[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64514B1 -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 Google Patents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514B1
KR101064514B1 KR1020110023092A KR20110023092A KR101064514B1 KR 101064514 B1 KR101064514 B1 KR 101064514B1 KR 1020110023092 A KR1020110023092 A KR 1020110023092A KR 20110023092 A KR20110023092 A KR 20110023092A KR 101064514 B1 KR101064514 B1 KR 101064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oles
rectangular
sides
integrated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수만
Original Assignee
(주)신명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명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신명이앤씨
Priority to KR102011002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51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1Tubula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으로 통합전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벽면에 연속반복되게 적층하여 매립설치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있어서; 평면이 직사각을 이루는 사각통체로, 하단에는 상단이 삽입되어 연속적으로 적층결합되는 하단플렌지가 형성되고, 전후방측에는 정면에서 직사각형상인 전후방유동공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전후방유동공이 있는 좌우측면 중심 외측면에는 나사공을 갖는 나사유도블럭이 고정되어 고정핀이 외부에서 나사공을 통해 내측으로 나사결합되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나사삽입공이 형성되는 사각덕트몸체와; 상기 사각덕트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사각통체로, 상하단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절개된 상하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유도공 내측에서 정면에서 후방을 관통하데 정후면 상하부에는 상하측판요부를 갖는 전후방작동공이 각각 형성되며, 전후방작동공 좌우측면에는 상기 좌우측나사삽입공 연장선상으로 상하측으로 다수 개가 일정 간격 연속적으로 형성된 좌우측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는 승강조절덕트와; 상기 승강조절덕트의 정면측 전후방작동공 연장선상의 사각통체로, 일측선단 상하부에는 상하측판요부에 안착되어 접착제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상하단날개부를 갖는 배전유도덕트와; 상기 승강조절덕트의 전후방작동공 중에서 상기 배전유도덕트가 접착고정되지 않은 타측의 전후방작동공 중 하나에 위치되어 상하단날개부가 접착고정되어 밀폐시키는 밀폐판을 구비하는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합전선의 배선위치를 실내공간에서 상하측이나 전후방측으로 양방향 자유롭게 위치조절하여 편리하게 통합전선을 배선시공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시공위치를 손쉽게 변경하거나 순정할 수 있어 시공비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Duct for protected Interactive multi-electric line to being buried inwall}
본 발명은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합전선의 배선위치를 실내공간에서 상하측이나 전후방측으로 양방향 자유롭게 위치조절하여 편리하게 통합전선을 배선시공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시공위치를 손쉽게 변경하거나 순정할 수 있어 시공비가 크게 절감되는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전기선만 배선되면 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는 그 면적이 1.3×0.7(㎡) 정도로 매우 크므로 이로 인해 공용면적이 작아져 실질적인 주거공간이 좁아지는 원인이 되었으며, 불필요한 건축 및 전화세대단자함에서 EPS실까지 배관시공이 어려워 높은 공사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설치하지 않고 시공하는 경우에는 각종 전선을 수용한 다량의 PVC 전선관을 골조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전선관 시공이 매우 어려움은 물론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여 별도의 철근보강이 필요하며, 입선 후 앙카 또는 드릴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있고 파손시에는 보수를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공지 기술로 다양한 전선들을 함께 수용하기 위한 통합 보호덕트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통합 보호덕트는 시공시 많은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공동주택의 층간 높이는 시공사의 설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시공사의 설계 기준에 따라 통합보호덕트의 규격을 다시 설계하여 제작시공해야 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합전선의 배선위치를 실내공간에서 상하측이나 전후방측으로 양방향 자유롭게 위치조절하여 편리하게 통합전선을 배선시공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시공위치를 손쉽게 변경하거나 순정할 수 있어 시공비가 크게 절감되는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면으로 통합전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벽면에 연속반복되게 적층하여 매립설치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있어서;
평면이 직사각을 이루는 사각통체로, 하단에는 상단이 삽입되어 연속적으로 적층결합되는 하단플렌지가 형성되고, 전후방측에는 정면에서 직사각형상인 전후방유동공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전후방유동공이 있는 좌우측면 중심 외측면에는 나사공을 갖는 나사유도블럭이 고정되어 고정핀이 외부에서 나사공을 통해 내측으로 나사결합되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나사삽입공이 형성되는 사각덕트몸체와;
상기 사각덕트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사각통체로, 상하단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절개된 상하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유도공 내측에서 정면에서 후방을 관통하데 정후면 상하부에는 상하측판요부를 갖는 전후방작동공이 각각 형성되며, 전후방작동공 좌우측면에는 상기 좌우측나사삽입공 연장선상으로 상하측으로 다수 개가 일정 간격 연속적으로 형성된 좌우측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는 승강조절덕트와;
상기 승강조절덕트의 정면측 전후방작동공 연장선상의 사각통체로, 일측선단 상하부에는 상하측판요부에 안착되어 접착제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상하단날개부를 갖는 배전유도덕트와;
상기 승강조절덕트의 전후방작동공 중에서 상기 배전유도덕트가 접착고정되지 않은 타측의 전후방작동공 중 하나에 위치되어 상하단날개부가 접착고정되어 밀폐시키는 밀폐판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합전선의 배선위치를 실내공간에서 상하측이나 전후방측으로 양방향 자유롭게 위치조절하여 편리하게 통합전선을 배선시공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시공위치를 손쉽게 변경하거나 순정할 수 있어 시공비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결합모습을 보인 결합상태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결합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벽면(60)으로 통합전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벽면(60)에 연속반복되게 적층하여 매립설치하는 보호덕트로, 벽면(60)에 매립설치되는 사각덕트몸체(10)와, 사각덕트몸체(10) 내부에 위치되어 승강조절되고 고정되는 승강조절덕트(20)와, 승강조절덕트(20)의 전방이나 후방에 고정되어 배전을 유도하는 배전유도덕트(30)와, 배전유도덕트(30)가 고정된 승강조절덕트(20)의 반대편에 고정되어 밀폐시키는 밀폐판(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각덕트몸체(10)는, 평면이 직사각을 이루는 사각통체로, 하단에는 상단이 삽입되어 연속적으로 적층결합되는 하단플렌지(11)가 형성되고, 전후방측에는 정면에서 직사각형상인 전후방유동공(12,12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전후방유동공(12,12a)이 있는 좌우측면 중심 외측면에는 나사공(14b)을 갖는 나사유도블럭(14,14a)이 각각 고정되어 고정핀(14c)이 외부에서 나사공(14b)을 통해 내측으로 나사결합되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나사삽입공(13,13a)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조절덕트(20)는, 상기 사각덕트몸체(10) 내부에 삽입되는 사각통체로, 상하단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절개된 상하부경사면(21,21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유도공(12,12a) 내측에서 정면에서 후방을 관통하데 정후면 각각의 상하부에 상하측판요부(22a,22b)(23a,23b)를 갖는 전후방작동공(22,23)이 각각 형성되며, 전후방작동공(22,23) 좌우측면에는 상기 좌우측나사삽입공(13,13a) 연장선상에 상하측으로 다수 개가 일정 간격 연속적으로 형성된 좌우측고정공(24,2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배전유도덕트(30)는, 상기 승강조절덕트(20)의 정면측 전후방작동공(22,23) 연장선상의 사각통체로, 일측선단 상하부에는 상하측판요부(22a,22b)(23a23b)에 안착되어 접착제(50)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상하단날개부(31,31a)를 갖는다.
상기 밀폐판(40)은, 상기 승강조절덕트(20)의 전후방작동공(22,23) 중에서 상기 배전유도덕트(30)가 접착고정되지 않은 타측의 전후방작동공(22.23) 중 하나에 위치되고 상하단날개부(41,41a)가 접착제(50)에 의해 접착고정되어 밀폐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먼저 사각덕트몸체(10)의 내부에 승강조절덕트(2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배전유도덕트(30)를 이용하여 배전이 승강조절덕트(20)의 전방측으로 유도되면, 배전유도덕트(30)의 상하단날개부(31,31a)는 전방유도공(12)을 통해서 승강조절덕트(20)의 전방작동공(22)의 상하측판요부(22a,22b)에 접착제(50)에 의해 접착고정된다.
이에 따라 고정핀(14c)은 나사유도블럭(14,14a)의 나사공(14b)을 거치고 다시 좌우측나사삽입공(13,13a)을 통해서 승강조절덕트(20)의 좌우측고정공(24,25)으로 삽입되어 사각덕트몸체(10) 내측에서 승강조절덕트(20)를 고정시킴으로써 배전유도덕트(30)의 실내측 높이를 조절한다.
그 다음, 배전유도덕트(30)가 접착고정된 승강조절덕트(20)의 전방작동공(22) 후방측의 후방작동공(23)의 상하측판요부(23a,23b)에 밀페판(40)의 상하단날개부(41,41a)를 접착제(50)로 접착고정시켜 밀폐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 공동주택이나 건물의 벽면(60) 형성을 위한 모르타르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10 : 사각덕트몸체 12,12a : 전후방유동공
13,13a : 좌우측나사삽입공 14c : 고정핀
20 : 승강조절너트 22.23 : 전후방작동공
24,25 : 좌우측고정공
30 : 배전유도덕트
40 : 밀폐판
50 : 접착제
60 : 벽면

Claims (1)

  1. 평면이 직사각을 이루는 사각통체로, 하단에는 상단이 삽입되어 연속적으로 적층결합되는 하단플렌지(11)가 형성되는 사각덕트몸체(10)와; 상기 사각덕트몸체(10) 내부에 삽입되는 사각통체로, 상하단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절개된 상하부경사면(21,21a)이 각각 형성되는 승강조절덕트(20)와; 상기 승강조절덕트(20)의 정면측 사각통체인 배전유도덕트(30)를 구비하여 벽면(60)으로 통합전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벽면(60)에 연속반복되게 적층하여 매립설치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있어서;
    상기 사각덕트몸체(10)는, 전후방측에는 정면에서 직사각형상인 전후방유동공(12,12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방유동공(12,12a)이 있는 좌우측면 중심 외측면에는 나사공(14b)을 갖는 나사유도블럭(14,14a)이 각각 고정되어 고정핀(14c)이 외부에서 나사공(14b)을 통해 내측으로 나사결합되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나사삽입공(13,13a)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조절덕트(20)는, 상기 전후방유동공(12,12a) 내측에서 정면에서 후방을 관통하되 정후면 각각의 상하부에 상하측판요부(22a,22b)(23a,23b)를 갖는 전후방작동공(22,23)이 각각 형성되고, 전후방작동공(22,23) 좌우측면에는 상기 좌우측나사삽입공(13,13a) 연장선상에 상하측으로 다수 개가 일정 간격 연속적으로 형성된 좌우측고정공(24,2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전유도덕트(30)는, 상기 승강조절덕트(20)의 정면측 전후방작동공(22,23)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일측선단 상하부에는 상하측판요부(22a,22b)(23a23b)에 안착되어 접착제(50)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상하단날개부(31,31a)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조절덕트(20)의 전후방작동공(22,23) 중에서 상기 배전유도덕트(30)가 접착고정되지 않은 타측의 전후방작동공(22,23) 중 하나에 위치되고 상하단날개부(41,41a)가 접착제(50)에 의해 접착고정되어 밀폐시키는 밀폐판(40)을 구비하는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0110023092A 2011-03-15 2011-03-15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064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092A KR101064514B1 (ko) 2011-03-15 2011-03-15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092A KR101064514B1 (ko) 2011-03-15 2011-03-15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514B1 true KR101064514B1 (ko) 2011-09-16

Family

ID=4495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0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4514B1 (ko) 2011-03-15 2011-03-15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472B1 (ko) * 2006-02-28 2006-08-02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0629785B1 (ko) 2006-05-24 2006-09-28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05074B1 (ko) 2007-09-13 2008-02-2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2010259183A (ja) 2009-04-23 2010-11-11 Kyodo Ky Tec Corp ダクトハウジング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472B1 (ko) * 2006-02-28 2006-08-02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0629785B1 (ko) 2006-05-24 2006-09-28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05074B1 (ko) 2007-09-13 2008-02-2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2010259183A (ja) 2009-04-23 2010-11-11 Kyodo Ky Tec Corp ダクトハウジング接続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0876A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064514B1 (ko)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CN104499689B (zh) 高层住宅的强弱电井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080507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108448B1 (ko) 층고를 낮추기 위한 가변식 급배기 덕트장치
CN107863735A (zh) 一种隐藏式布线槽
CN203961041U (zh) 防火展位箱
KR20140112934A (ko) 전선배선용 배관박스
CN203589630U (zh) 一种光电缆线槽
CN110258855A (zh) 一种预埋电线的装配式墙体
KR101072185B1 (ko)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 이를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US8881477B2 (en) Ceiling frame system
KR100629785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CN205857617U (zh) 一种便于布线的悬浮拼装地板
CN210621997U (zh) 一种预埋电线的装配式墙体
CN206611094U (zh) 一种户外gis电缆终端固定装置
CN209016630U (zh) 一类高层住宅矿物绝缘电缆出线结构
CN213682630U (zh) 一种便于机电管线进户的一体化预制内墙结构
KR20240098385A (ko) 전선관 연결체의 연결용 고무호스
WO2019085537A1 (zh) 移动房屋用墙板及移动房屋
KR20240113092A (ko) 건축물의 전기공사를 위한 전선의 덕트 구조물
CN203965679U (zh) 一种光纤分线盒
JP2015158075A (ja) 共同住宅のメーターボックス
KR101070665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