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고형 색조화장료 조성물은, 색조 화장료에 있어서,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실리콘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오일상 25 내지 55중량% 및 카르나우바납 처리된 마이카, 탈크, 실리콘 처리된 운모티탄, 실리콘 코팅된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디메티콘, 디메티코놀/세스퀴옥산 코폴리머, 전분 파우더, 산화철 색소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파우더상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혼합 교반기를 이용하여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실리콘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오일상 25 내지 55중량% 및 카르나우바납 처리된 마이카, 탈크, 실리콘 처리된 운모티탄, 실리콘 코팅된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디메티콘, 디메티코놀/세스퀴옥산 코폴리머, 전분 파우더, 산화철 색소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파우더상을 혼합, 압축 및 성형함으로써 촉촉하면서도 부드럽게 밀착되는 사용감이 우수한 특성을 갖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오일상은 25 내지 55중량%의 양의 범위 이내로 사용하는데, 25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파우더와 오일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 반죽이 잘 되지 않고 압축, 성형 시, 내용물이 부서지거나 표면에 미세 크랙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 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5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제조된 반고형 색조화장료 조성물이 질척해져서 용기에의 충진이 원활하지 않고, 압축성형 시, 오일이 용출되어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오일상은 바람직하게는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페닐트리메티콘, 스쿠알란, 사이클로메티콘이 1 : 12 : 24 : 58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될 수 있다. 이 혼합비는 본 발명자가 반복된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고형 색조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최적이 되는 오일상을 찾은 결과에 기한 것이다.
오일상 가운데 사이클로 메티콘과 같은 휘발성 기재는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10.0 내지 40.0중량%로 더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휘발성 기재가 화장료 조성물에 10.0중량%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사용성 및 지속성향상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4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자극을 유발 및 건조감이 심해 피부 당김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휘발성 기재의 함량이 너무 많을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기타 오일상성분과 파우더상의 함량을 제한해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힘든 어려움도 있다. 이러한 제형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겔화제를 사용하였다.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제형적 안정성 및 사용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 왁스에 의한 딱딱한 사용성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겔화제를 사용하였다.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은 글리세린에 하이드록시스테아릭에시드 3개가 결합된 형태로 통상적인 겔화제에 비해 겔화력이 우수하며, 고온안정성과 부드러운 사용질감 이 우수하다. 이러한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2 내지 5.0중량%로 함유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중량%로 함유된다.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을 0.02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고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거의 없고, 점증 효과도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왁스의 함량을 줄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을 5.0중량%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고온 점도가 너무 높아 성형이 어렵고, 사용감이 무거우며, 화장막이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공개특허 10-2006-0080753).
이 혼합 비율 내에서 피부 안전성, 사용성 및 지속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파우더상은 바람직하게는 카르나우바납 처리된 마이카를 3 내지 7중량%의 양으로 포함한 것이 될 수 있다. 이 혼합량 역시 본 발명자가 반복된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고형 색조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최적이 되는 파우더 상을 찾은 결과에 기한 것이다.
체질안료를 카르나우바납 2.0중량을 표면처리하여(MICA MK-200-2CX 원료로 마이카 98%에 카르나우바납 2%로 표면 개질한 원료) 왁스 느낌의 무겁고 매트한 사용감을 줄이면서도 파우더간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피부 밀착력 및 성형성을 보완하는데 큰 기여를 나타내었다. 체질안료의 파우더 질감을 극대화 하면서도 적층구조로 인해 성형안정성이 좋지 않은 단점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색조화장료 조성물은 아이새도우, 블러셔 또는 하이라이터의 제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이새도우, 블러셔(달리 ‘볼터치’라고도 함) 및 하이 라이터들은 모두 색조화장에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들로서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화장품의 제형들이며, 장업 분야에서 종사하는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우더상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분체를 혼합하고 분쇄한 다음, 상기 오일상 25 내지 55중량%와 잔량으로서 파우더상을 혼합교반기에 넣고, 30 내지 38rpm으로 혼합하면서 반죽한다. 혼합 시간은 10 내지 30분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절단 공정을 통해 적당량 잘라 적정 용기에 담고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형화한다. 이와 같이 제형화 된 본 발명에 따른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새도우 및 블러셔 등의 부분 화장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크림-투-파우더’는 리퀴드 파운데이션보다 조금 더 높은 커버력으로 촉촉함과 편안함을 주고, 피부 도포 후, 잘 묻어나지 않으며, 메이크업 효과가 오래가는 롱라스팅 파운데이션의 일종으로서, 실리콘 성분이 피부요철을 가려주어 매끈하게 커버하도록 하는 색조화장품의 일종이다. 평소 성상은 반고형상으로 유지되며 사용자가 피부에 도포 시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고 사용시 분말(파우더)화하여 피부에 산뜻한 느낌을 주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
블러셔의
제조
분체(1 내지 10)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혼합하고, 분쇄하여 파우더상을 준비한 다음, 이를 혼합교반기에 투입하고, 하기 표 1에서 잔여의 오일상을 혼합교반기 내로 분사하여, 30rpm으로 10분간 회전시켜 내용물을 균일화 시킨 후, 38rpm으로 15분간 혼합시켰다. 다음, 성형기기를 통해 나온 내용물을 컷팅기기를 이용해 절단하여 용기에 충진 후 5 내지 10Kg/cm2 압력 하에 반고형의 블러셔로 제형화 하였다.
원료명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1 |
비교예2 |
1. 탈크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2. 실리콘처리 마이카/이산화티탄 |
10 |
10 |
10 |
10 |
10 |
3.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
3 |
3 |
3 |
3 |
3 |
4. 실리콘처리 실리카 |
7 |
7 |
7 |
7 |
7 |
5. 디메티코놀/세스퀴옥산 코폴리머 |
7 |
7 |
7 |
7 |
7 |
6. 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디메티콘 |
3 |
3 |
3 |
- |
- |
7. 카르나우바납처리된 마이카 |
- |
5 |
10 |
- |
- |
8. 산화철 |
1 |
1 |
1 |
1 |
1 |
9. 전분 |
3 |
3 |
3 |
3 |
3 |
10. 방부제 |
0.2 |
0.2 |
0.2 |
0.2 |
0.2 |
11.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
- |
0.5 |
1 |
- |
- |
12. 스쿠알란 |
12 |
12 |
12 |
- |
- |
13. 사이클로메티콘 |
10 |
29 |
35 |
- |
- |
14. 페닐트리메티콘 |
6 |
6 |
6 |
- |
- |
15.크로스링크드메틸폴리실록산/디메티콘 |
- |
- |
- |
20 |
30 |
16. 디메틸폴리실록산 |
- |
- |
- |
20 |
30 |
* 단위 ; 중량% |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체질안료는 카르나우바납 처리 1 내지 3중량% , 바람직하게는 2중량%에 의해 피복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질안료의 표면 개질 방법을 제공하며 MICA MK-200-2CX(KAKUHACHI CO., LTD (JAPAN))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TM 50SSM(한국 합성펄)은 마이카 및 이산화티탄을 실리콘 2중량%, 바람직하게는 메티콘 1중량%, 디메티콘 1중량%으로 동시에 혼합하여 피복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배합량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0.50 내지 10.0중량%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SILICA BEAD SS(한국합성펄)은 실리카를 실리콘 3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메티콘 4중량%를 표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배합량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0.50 내지 10.0중량%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구조식은 (C5H8O2)n으로 표현되며, 분자량은 100.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장표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0.5 내지 5.0중량%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상기 크로스링크된 실리콘 폴리머는 가볍고 부드러운 사용 질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비중이 0.9± 0.05이며 겉보기밀도(Bulk Density)가 0.3±0.1, 평균입도가 1 내지 10㎛, 오일 흡유력이 폴리머 자체 1g당 75 내지 90g인 폴리머로 실리콘 겔 전체조성비에서 20 내지 30중량%로 배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실리콘 겔은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가교중합체(Dimethicone / 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20 내지 30%), 디메티콘(Dimethicone)(70 내지 80%)으로 구성되며, 점도는 (가교화된 폴리머 함량 20%) 20,000(mPa.s)를 가지며, 굴절율이 1.4(25도)이다.
실험예
1
사용감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 의 화장료들의 실제 피부 도포 시, 사용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20세 내지 30세의 여성 30명을 시험대상으로 하여 관능시험을 실시하고, 화장 시의 사용느낌 및 효과를 5점평가(5 : 매우 우수, 4 : 우수, 3 : 보통, 2 : 나쁨, 1 : 매우 나쁨)를 기준으로 관능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1 |
비교예2 |
번들거림개선 |
3.5 |
4.5 |
3.0 |
2.5 |
2.0 |
사용감촉 |
3.0 |
4.8 |
3.5 |
3.0 |
2.5 |
색상지속성 |
3.0 |
4.5 |
3.5 |
3.0 |
2.5 |
밀착성 |
2.5 |
4.5 |
3.5 |
2.5 |
2.0 |
실리콘 겔 및 오일계로 분산된 비교예 1 및 2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들에 비해 번들거림 현상이 심했으며, 화장 마무리 효과도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카르나우바납처리된 마이카를 다량 함유한 실시예 3은 실시예 2 보다는 표면경화 및 번들거림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1은 실시예 2 보다는 피부 도포 시, 밀착성이 떨어져 화장 지속성이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비교예들 보다는 더 개선된 점들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내충격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들 및 비교예 1 및 2의 반고형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반죽경도 및 성형성 정도, 낙하 시 쏠림정도를 평가하였다.
성형성 정도는 5점평가(5 : 매우 우수, 4 : 우수, 3 : 보통, 2 : 나쁨, 1 : 매우 나쁨)를 기준으로 하였다.
낙하 시, 쏠림정도 시험의 경우, 30㎝ 높이에서 조성물이 담긴 용기를 3㎜ 두께의 고무판에 3회 이상 자유 낙하하여 내용물의 쏠림 정도를 육안으로 파악하였다.
내용물 경도의 경우, 레오미터(Rheometer, Fudoh사, JAPAN)로 측정(측정조건 ; 아답타 핀 (∮10㎜), 진입깊이 13㎜, 시료 내용량 50g, 테이블 헤드 스피드 30㎝/분)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1 |
비교예2 |
성형성 정도 |
3 |
4.5 |
3 |
2.5 |
2 |
낙하 시 쏠림 정도 |
2회시 쏠림 |
3회시 쏠림 |
3회시 쏠림 |
1회시 쏠림 |
1회시 쏠림 |
반죽 경도 |
450 |
600 |
750 |
350 |
200 |
실시예 1 내지 3들에서는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의 함량을 증가시켜 제품의 내충격성에 대한 안정성을 테스트한 결과이며, 비교예 1 및 2 의 경우에서 보다 실시예들의 경우, 내용물의 반죽경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의 경우,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의 함량을 다량 증가시킬수록 내용물 반죽 경도는 높아지고, 낙하 시 쏠림 정도는 양호해졌으나, 내용물 표면 경화로 인해 페이오프량(pay-off amount ; 화장 시 묻어나오는 양)이 약간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안정성 평가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밀폐성 용기에 충진하여 장기적인 온도 안정성
실온 및 -5℃에서 6시간, 50℃에서 6시간을 1회로 1일 2회로 반복 진행하는 순환시험(cycle test)을 거쳐 발한 현상, 휘발성 성분의 감량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1 |
비교예2 |
1주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극소량의 오일 용출 |
2주 |
미세한 갈라짐 |
양호 |
미세한 갈라짐 |
극소량의 오일 용출 |
오일 용출 |
3주 |
갈라짐 |
양호 |
갈라짐 |
오일 용출 |
- |
4주 |
- |
양호 |
- |
- |
- |
8주 |
- |
양호 |
- |
- |
- |
12주 |
- |
양호 |
- |
- |
- |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비교예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2의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