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238B1 - 탑승원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탑승원 보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1238B1 KR101051238B1 KR1020090040174A KR20090040174A KR101051238B1 KR 101051238 B1 KR101051238 B1 KR 101051238B1 KR 1020090040174 A KR1020090040174 A KR 1020090040174A KR 20090040174 A KR20090040174 A KR 20090040174A KR 101051238 B1 KR101051238 B1 KR 1010512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 movement
- inflated
- vehicle
- upper airba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벨트에 장착되는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의 팽창 시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의 상대 위치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탑승원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탑승원 보호 장치는 숄더 벨트부(11) 및 랩 벨트부(13)를 갖는 안전 벨트 장치와, 숄더 벨트부(11)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팽창하는 상부 에어백(27)과, 랩 벨트부(13)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팽창하는 하부 에어백(29)과,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에어백(27)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팽창된 하부 에어백(29)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 팽창된 상부 에어백(27)과 하부 에어백(29)이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었을 때에 각각의 에어백끼리(27, 29)의 상대 전후 이동을 억제하는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을 구비하고 있다.
안전 벨트, 에어백, 랩 벨트, 숄더 벨트, 이동 억제 수단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한 경우에 탑승원을 보호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안전 벨트에 에어백을 내장하여 차량의 전방면 충돌 시에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탑승원을 보호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참조).
이 특허 문헌1에서는 안전 벨트를 구성하는 숄더 벨트부에 상부 에어백을 내장하고, 랩 벨트부에 하부 에어백을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 충돌 시에 상기 상부 에어백 및 하부 에어백을 각각 팽창시켜 상부 에어백의 하면과 하부 에어백의 상면을 접촉시킴으로써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의 차량 전후 방향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출원 공개2006-160062 공보
상기 배경 기술에 기재된 탑승원 보호 장치에서는, 상부 에어백의 하면과 하부 에어백의 상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 제동 시에 있어서의 탑승원의 관성력이나 상부·하부 에어백의 팽창력이 큰 경우에는 상기 마찰력에 의한 차량 전후 방향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전 벨트에 장착되는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의 팽창 시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의 상대 위치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탑승원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탑승원 보호 장치는, 탑승원의 좌우의 일측의 견부로부터 흉부를 비스듬히 구속하는 숄더 벨트부 및 탑승원의 요부를 구속하는 랩 벨트부를 갖는 안전 벨트 장치와, 상기 숄더 벨트부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 상기 숄더 벨트부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팽창하는 상부 에어백과, 상기 랩 벨트부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 상기 랩 벨트부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팽창하는 하부 에어백과,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에어백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팽창된 상기 하부 에어백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 팽창된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 백이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었을 때에 각각의 에어백끼리의 상대 전후 이동을 억제하는 이동 억제 수단을 구비한 탑승원 보호 장치로서,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 상기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이 팽창되어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이동 억제 수단에 의해, 팽창된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의 상대 전후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승원 보호 장치에 따르면, 상기 이동 억제 수단에 의해, 팽창된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의 상대 전후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 상기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이 팽창되어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이동 억제 수단에 의해, 팽창된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의 상대 전후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벨트에 장착되는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의 팽창 시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의 상대 위치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탑승원 보호 장치를 구비한 안전 벨트 장치를 장착한 탑승원의 측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뒷좌석의 우측 단부측의 좌석에 배치된 탑승원 보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위치의 좌석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 충돌을 「검지 」 또는 「예지」했을 때에,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여기서, 「검지」, 「예지」에는 차량에 충돌 하중이 입력된 경우 이외에도, 예를 들어 차량의 감속도를 검지한 경우, 차량이 장해물에 접촉하는 것을 검지한 경우, 초음파 센서, 레이저 레이더 또는 카메라 등에 의한 외계 검지 수단에 의해 장해물과의 충돌을 예지한 경우 등도 폭넓게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전 벨트 장치(22)는, 3점식 안전 벨트이며, 탑승원(15)의 우측(차폭 방향 외측)의 상방에 배치된 숄더 앵커부(7)와, 탑승원(15)의 우측(차폭 방향 외측)의 하방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랩 앵커부와, 탑승원(15)의 좌측(차폭 방향 내측)의 하방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버클 앵커부의 3점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들 숄더 앵커부(7), 랩 앵커부 및 버클 앵커부는 차체에 설치해도 되고, 차량용 시트(6)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안전 벨트 장치(22)는 숄더 벨트부(11)와 랩 벨트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숄더 벨트부(11)는 상기 앵커부(7)로부터 버클부(9)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탑승원(15)의 견부(17)로부터 흉부(19)를 비스듬히 구속하고, 상기 랩 벨트부(13)는 탑승원(15)의 요부(21)를 구속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23은 탑승원(15)의 헤드부이며, 부호 25는 대퇴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차량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하면 도 2에 도시하는 상부 에어백(27) 및 하부 에어백(29)이 차량 전방을 향하여 팽창된다. 즉, 상기 상부 에어백(27)은 통상 시(차량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숄더 벨트부(11) 내에 저장되어 있으며, 차량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하면 숄더 벨트부(11)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팽창된다. 또한, 상기 하부 에어백(29)도, 통상 시에는 랩 벨트부(13) 내에 저장되어 있으며, 차량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하면 랩 벨트부(13)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팽창된다. 이들 팽창된 상부 에어백(27)과 하부 에어백(29)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된다.
또한,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 탑승원(15)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관성력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탑승원(15)의 상체가 랩 벨트부(13)에 구속된 요부(21) 근방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탑승원(15)의 견부(17) 중 구속되지 않은 측인 버클부(9)측(도 1 참조)의 견부(17)가 관성력에 의해 차량 전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에어백(27)에 대하여, 상부 에어백 설치부(28)를 중심으로 한 회전 모멘트(M)가, 예를 들어 우측 좌석의 탑승원(15)에 대하여 정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 좌측 좌석의 탑승원(15)에 대해서는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가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이동 억제 수단을 배치한 비팽창 시의 상부 에어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상부 에어백(27)은 2매의 시트 부재의 주연부(95)끼리를 봉합함으로써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유입구(99)가 형성되어 있다. 봉합 라인(97)은 주연부(95)에 평면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에어백(27)의 하측 부분은, 내측을 향하여 거의 V자 형상으로 돌출하는 오목 형성 부위(103)[오목부(101)]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 형성 부위(103)의 단부(105, 107)끼리를 연결하도록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단부(105)는 팽창된 상부 에어백(27)의 외표면을 내측을 향하여 움푹 들어가게 한 오목 형성 부위(103)의 가장자리 중 숄더 벨트부(11)의 앵커부(7)가 배치된 측[즉, 탑승원(15)의 좌우의 견부(17, 17) 중 숄더 벨트부(11)에 의해 구속되는 측]의 단부이다. 또한, 단부(107)는 팽창된 상부 에어백(27)의 외표면을 내측을 향하여 움푹 들어가게 한 오목 형성 부위(103)의 가장자리 중 숄더 벨트부(11)의 버클부(9)가 배치된 측[즉, 탑승원(15)의 좌우의 견부(17, 17) 중 숄더 벨트부(11)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 측]의 단부이다.
상기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2매의 시트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의 삼각 형상으로 잘라 남긴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의 시트 부재를 절단하고, 후방측의 시트 부재의 일부를 거의 삼각 형상으로 남기고 있다. 또한,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은,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에어백(27)의 하측에 차량의 앵커부(7)(도 1 참조)가 배치된 측과 버클부(9)(도 1 참조)가 배치된 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에어백(27)은 상부 에어백 본체부(93)와, 상기 상부 에어백 본체부(93)의 하측 부분에 차폭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으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구(99)를 통하여 상부 에어백 본체부(93)의 내부로 유체가 공급되면 상부 에어백 본체부(93)가 팽창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에어백(29)은 전방측 시트 부재(31)와 후방측 시트 부재(33)를 포갠 상태에서, 각각의 주연부(35)끼리를 봉합 등에 의해 결합시키고 있다. 상기 전방측 시트 부재(31)의 상부에는 원형의 배출 구멍(45, 45)이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시트 부재(31)의 내면측과 후방측 시트 부재(33)의 내면측은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팽창 규제 수단(37)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팽창 규제 수단(37)은, 하부 에어백(29)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팽창 규제 수단(37)이 설치된 전방측 시트 부재(31) 및 후방측 시트 부재(33)의 부위는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인장된다. 따라서, 팽창 규제 수단(37)이 설치된 하부 에어백(29)의 전후 방향 두께는, 다른 부위의 전후 방향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외표면에 오목부(3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팽창 규제 수단(37)은, 하부 에어백(29)이 팽창할 때에 하부 에어백(29)의 전후 방향의 팽창을 규제한다. 하부 에어백(29)에 있어서의 팽창 규제 수단(37)보다도 상측의 부위를 상측부(41)로 하고 팽창 규제 수단(37)보다도 하측의 부위를 하측부(43)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 규제 수단(37)이 설치된 하부 에어백(29)의 전후 방향 두께는 다른 부위의 전후 방향 두께보다도 얇다. 따라서, 팽창된 상측부(41)는 하측부(43)에 대하여, 팽창 규제 수단(37)이 설치된 부위를 경계로 굴곡되기 쉽게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을 팽창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다.
전술한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을 갖는 상부 에어백(27)과 하부 에어백(29) 이 팽창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이 상부 에어백(27)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팽창된 하부 에어백(29)의 상측부(41)의 차량 후방측[즉, 하부 에어백(29)의 상측부(41)와 탑승원(15)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은 상부 에어백(27)에 있어서의 비팽창부로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상부 에어백에 가해지는 장력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a)는 상부 에어백 내에 유체를 유입시켰을 때의 상부 에어백 내의 압력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b)는 상부 에어백 내의 압력에 의해 제1 이동 억제 수단에 가해지는 장력을 나타내고 있다.
상부 에어백(27)의 단부에 형성된 유입구(99)에는 공급 파이프(111)가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상기 공급 파이프(111)로부터 상부 에어백(27)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면 상부 에어백(27)은 팽창된다. 이 팽창된 상태의 상부 에어백(27)의 내면의 각 부위에 압력(P)이 균일하게 가해진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에어백(27)이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 외표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 형성 부위(103)[오목부(10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P)에 의해 오목 형성 부위(103)를 외방을 향하여 밀어내려고 한다. 그러면, 오목 형성 부위(103)의 단부(105, 107)끼리가 서로 이반하려고 하기 때문에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에 화살표 방향을 따라 장력(T)이 작용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에어백(27)의 하측으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팽창된 상기 하부 에어백(29)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 팽창된 상부 에어백(27)과 하부 에어백(29)이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었을 때에 각각의 에어백끼리(27, 29)의 상대 전후 이동을 억제하는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 상기 상부 에어백(27)과 하부 에어백(29)이 팽창되어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에 의해, 팽창된 상부 에어백(27)과 하부 에어백(29)의 상대 전후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량 제동 시에 탑승원(15)이 전방으로 관성 이동할 경우, 상부 에어백(27)과 하부 에어백(29)에 의해 탑승원(15)의 헤드부(23) 등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 팽창된 하부 에어백(29)의 상측부(41)가 상부 에어 백(27)의 차량 후방측으로 침입하여 탑승원(15)에게 하부 에어백(29)의 팽창력이 가해지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하여 상부 에어백(27)에 대하여 탑승원(15)으로부터의 하중이 입력되어 상부 에어백(27)이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이 하부 에어백(29)의 상측부(41)에 닿아 상부 에어백(27)의 이동이 저지된다. 그 결과, 상부 에어백(27)과 하부 에어백(29)의 차량 전후 방향의 상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앞으로 굽어지는 탑승원(15)의 헤드부(23)를 상부·하부 에어백(27, 29)에 의해 받아서, 그 하중을 상부·하부 에어백(27, 29)을 통해 탑승원(15)의 대퇴부(25) 또는 시트 쿠션(3)의 시트면에 의해 지지시키도록 하여 탑승 원(15)의 헤드부(23)를 보다 신속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 벨트부(11)는 착석한 탑승원(15)의 좌우의 견부(17, 17)의 일측에 배치된 앵커부(7)로부터 타측에 배치된 버클부(9)에 걸쳐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은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에어백(27)의 하측에 상기 앵커부(7)가 배치된 측과 버클부(9)가 배치된 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에어백(27)이 팽창되면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에는 앵커부(7)가 배치된 측으로부터 버클부(9)가 배치된 측을 따라 장력(T)이 발생한다. 이 장력이 작용한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에 의해 하부 에어백(29)의 상측부(41)가 상부 에어백(27)의 차량 후방측으로 침입하는 것이 억제되는 동시에, 하부 에어백(29)의 상측부(41)가 차량 전방으로 굴곡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는 탑승원(15)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관성력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탑승원(15)의 상체가 랩 벨트부(13)에 구속된 요부(21) 근방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탑승원(15)의 견부(17) 중 구속되지 않은 측인 버클부(9)측의 견부(17)가 관성력에 의해 차량 전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에어백(27)에 대하여, 상부 에어백 설치부(28)를 중심으로 한 회전 모멘트(M)가, 예를 들어 우측 좌석의 탑승원(15)에 대하여 정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 좌측 좌석의 탑승원(15)에 대해서는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가해진다. 이 회전 모멘트(M)에 의해 상부 에어백(27)의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에 장력(T)이 부여되고, 이 장력(T)이 부여된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이 팽창된 하부 에어백(29)에 닿음으로써 상부 에어백(27)이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어, 상부 에어백(27)과 하부 에어백(29)의 전후 방향의 상대 위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에어백(27)에는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 외표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은 상기 오목부(101)의 단부(105, 107)끼리를 차폭 방향을 따라 연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 에어백(27) 내로 유체(63)가 공급되면 상기 유체(63)에 의한 압력이 상부 에어백(27)의 내면 전체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상기 오목부(101)를 외측으로 밀어내려고 하기 때문에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을 신장시키려고 하는 장력(T)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에 대하여 장력(T)이 더 부여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은 상부 에어백(27)에 있어서의 비팽창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에어백(29)과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은 팽창 시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겹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을 팽창부로 하면, 하부 에어백(29)과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이 모두 팽창됨으로써 탑승원(15)에 대하여 팽창력을 부여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부 에어백(27)에 있어서의 비팽창부를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에 설정함으로써 탑승원(15)에 부여하는 팽창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에어백(27)은 2매의 시트 부재의 주연부(95)끼리를 결합하 여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101)는 이 결합 부분을 내측을 향하여 배치한 오목 형성 부위(103)이며, 상기 오목 형성 부위(103)에 배치된 시트 부재의 일부에 의해 상기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시트 부재의 주연부(95)의 일부를 절단하지 않고 남기는 것만으로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을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이동 억제 수단(109)의 작성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탑승원 보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나,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조의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이동 억제 수단을 배치한 상부 에어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상부 에어백(113)은, 상부 에어백 본체부(115)와, 상기 상부 에어백 본체부(115)의 오목 형성 부위(103)의 단부(105, 107)끼리를 연결한 선 형상 부재인 제2 이동 억제 수단(1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이동 억제 수단(117)은, 비신축성의 끈 등이면 다양한 선 형상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 억제 수단(117)의 양 단부는 상부 에어백 본체부(115)에 봉합 등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이동 억제 수단(117)을 선 형상 부재로 구성하고 있 기 때문에, 제2 이동 억제 수단(117)의 길이를 간단하게 바꿀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탑승원 보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 구조의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비팽창 시의 상부 에어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을 팽창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에어백(119)은, 상부 에어백 본체부(121)와, 상기 상부 에어백 본체부(121)의 하부에 설치된 제1 이동 억제 수단(109)과, 상부 에어백 본체부(121)의 상부에 설치된 연장 설치부(123)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 설치부(123)는 상부 에어백 본체부(121)를 구성하는 전후 2매의 시트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잘라 남긴 것이며, 선단부에 숄더 벨트부(11)(웨빙)를 삽입 관통시키는 삽입 관통구(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관통구(125)는 숄더 벨트부(11)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이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에어백(119)의 상측을 상기 숄더 벨트부(11)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에어백(119)의 상측을, 상기 숄더 벨트부(11)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에어백(119) 및 하부 에어백(29)이 팽창되었을 때에 팽창에 의해 탑승원으로부터 이반하려는 상부 에어백 본체부(121)의 상부가 숄더 벨트부(11)(웨빙)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는 연장 설치부(123)에 의해 차량 후방측[탑승원(15)측]을 향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가까이 끌어 당겨지기[상부 에어백(27)의 상측과 숄더 벨트부(11)의 거리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부 에어백(119)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탑승원(15)의 흉부(19)로부터 멀어지는 일이 없다.
이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탑승원 보호 장치의 작동 수순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탑승원 보호 장치의 작동 수순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a)는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의 초기 단계를 도시하고, (b)는 중간 단계를 도시하고, (c)는 하부 에어백이 굴곡된 후기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하면, 숄더 벨트부(11)로부터 상부 에어백(27)이 차량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고, 랩 벨트부(13)로부터 하부 에어백(29)이 차량 전방을 향하여 팽창된다. 여기서, 하부 에어백(29)은 상방으로도 팽창되기 때문에, 상부 에어백(27)의 하면에 상하 방향으로 접촉된다. 또한, 하부 에어백(29)의 전방면에는 배출 구멍(4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 구멍(45)으로부터 하부 에어백(29)의 내부의 유체(예를 들어, 가스)가 차량 전방을 향하여 배출된다.
또한, 도 10의 (b)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원(15)에게 관성력이 가해지면 헤드부(23)가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나, 상부 에어백(27)에 의해 전방 이동이 억제된다. 여기서, 하부 에어백(29)에는 팽창 규제 수단(37)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에어백(29)은 상부 에어백(27)으로부터 하방으로 압박되고, 대퇴부(25)로부터 상방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팽창 규제 수단(37)을 경계로, 하부 에어백(29)의 상측부(41)가 하측부(43)에 대하여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절곡된다. 또한, 하부 에어백(29)이 굴곡된 경우에도 배출 구멍(45)이 좁아지는 일이 없도록 유체(63)는 차량 전방을 향하여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안전 벨트 장치를 장착한 탑승원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이동 억제 수단을 배치한 비팽창 시의 상부 에어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에어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을 팽창 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상부 에어백에 가해지는 장력을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는 상부 에어백 내로 유체를 유입시켰을 때의 상부 에어백내의 압력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b)는 상부 에어백 내의 압력에 의해 제1 이동 억제 수단에 가해지는 장력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이동 억제 수단을 배치한 비팽창 시의 상부 에어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비팽창 시의 상부 에어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을 팽창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탑승원 보호 장치의 작동 수순을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a)는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의 초기 단계를 도시하고, (b)는 중간 단계를 도시하고, (c)는 하부 에어백이 굴곡된 후기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7 : 앵커부
9 : 버클부
11 : 숄더 벨트부
13 : 랩 벨트부
15 : 탑승원
17 : 견부
19 : 흉부
21 : 요부
22 : 안전 벨트 장치
27, 113, 119 : 상부 에어백
29 : 하부 에어백
95 : 주연부
101 : 오목부
103 : 오목 형성 부위
105, 107 : 단부
109 : 제1 이동 억제 수단(이동 억제 수단)
117 : 제2 이동 억제 수단(이동 억제 수단)
Claims (10)
- 탑승원의 한쪽의 견부로부터 흉부를 비스듬히 구속하는 숄더 벨트부 및 탑승원의 요부를 구속하는 랩 벨트부를 갖는 안전 벨트 장치와,상기 숄더 벨트부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 상기 숄더 벨트부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팽창하는 상부 에어백과,상기 랩 벨트부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 상기 랩 벨트부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팽창하는 하부 에어백과,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에어백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팽창된 상기 하부 에어백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 팽창된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이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었을 때에 각각의 에어백끼리의 상대 전후 이동을 억제하는 이동 억제 수단을 구비하고,차량 충돌을 검지 또는 예지했을 때에, 상기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이 팽창되어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이동 억제 수단에 의해, 팽창된 상부 에어백과 하부 에어백의 상대 전후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벨트부는 착석한 탑승원의 좌우의 견부의 일측에 배치된 앵커부로부터 타측에 배치된 버클부에 걸쳐 연장 설치되고,상기 이동 억제 수단은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에어백의 하측에, 상기 앵커부가 배치된 측과 버클부가 배치된 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에어백에는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 외표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억제 수단은, 상기 오목부의 단부끼리를 차폭 방향을 따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억제 수단은, 상부 에어백에 있어서의 비팽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에어백은 2매의 시트 부재의 주연부끼리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이 결합 부분을 내측을 향하여 배치한 오목 형성 부위이며, 상기 오목 형성 부위에 배치된 시트 부재의 일부에 의해 상기 이동 억제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에어백의 상측을, 상기 숄더 벨트부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억제 수단은, 팽창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에어백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팽창된 상기 하부 에어백의 상측부와 탑승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에어백이 팽창됨으로써, 상기 이동 억제 수단에 장력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억제 수단을, 상기 앵커부가 배치된 측과 버클부가 배치된 측을 연결하는 선 형상 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억제 수단을, 거의 삼각 형상으로 잘라 남긴 상기 시트 부재의 일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원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23406 | 2008-05-09 | ||
JP2008123406A JP4929230B2 (ja) | 2008-05-09 | 2008-05-09 | 乗員保護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7655A KR20090117655A (ko) | 2009-11-12 |
KR101051238B1 true KR101051238B1 (ko) | 2011-07-21 |
Family
ID=4110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0174A KR101051238B1 (ko) | 2008-05-09 | 2009-05-08 | 탑승원 보호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971902B2 (ko) |
EP (1) | EP2116429B1 (ko) |
JP (1) | JP4929230B2 (ko) |
KR (1) | KR101051238B1 (ko) |
CN (1) | CN101574950B (ko) |
AT (1) | ATE530393T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69684B2 (ja) * | 2008-08-01 | 2010-10-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乗員拘束装置 |
DE102011000052A1 (de) * | 2010-01-08 | 2011-07-28 | TK Holdings, Inc., Mich. | Airbag |
JP5440456B2 (ja) * | 2010-09-07 | 2014-03-12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 |
US9616747B1 (en) | 2013-01-29 | 2017-04-11 |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of golf carts and all-terrain vehicles |
CN105966341A (zh) * | 2016-05-31 | 2016-09-28 | 孙本新 | 客车座前安全挡板装置 |
JP6438996B2 (ja) * | 2017-03-27 | 2018-12-19 | 株式会社Subaru | 乗員保護装置 |
DE102017003291A1 (de) | 2017-04-04 | 2018-10-04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 Kraftfahrzeug mit Sicherheitsgurtrückhaltesystem |
DE102018123209A1 (de) * | 2018-09-20 | 2020-03-26 |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 Sicherheitsgurtanordnungen für ein Kraftfahrzeug |
CN109204218B (zh) * | 2018-09-28 | 2024-02-27 | 上海东方久乐汽车安全气囊有限公司 | 一种儿童座椅安全气囊及安装该气囊的儿童座椅 |
JP7243557B2 (ja) * | 2018-10-22 | 2023-03-22 | 豊田合成株式会社 | 乗員保護装置 |
US11548468B2 (en) * | 2019-09-30 | 2023-01-10 | Toyoda Gosei Co., Ltd. | Occupant protection system |
US11390232B2 (en) * | 2019-10-31 | 2022-07-19 |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 Vehicle safety systems including inflatable seatbelt restraint |
JP7276224B2 (ja) * | 2020-03-31 | 2023-05-18 | 豊田合成株式会社 | 乗員保護装置 |
US11648905B2 (en) * | 2020-08-11 | 2023-05-16 | Toyoda Gosei Co., Ltd. | Occupant protection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6975B1 (ko) * | 1998-02-10 | 2001-01-15 | 윤장진 | 에어백 시스템용 충돌 감지장치 및 그 방법 |
US6378898B1 (en) | 1999-06-09 | 2002-04-30 | The B.F. Goodrich Company | Inflatable air bag for a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
JP2006044614A (ja) | 2004-08-09 | 2006-02-16 | Nissan Motor Co Ltd |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
JP2006160062A (ja) * | 2004-12-07 | 2006-06-22 | Nissan Motor Co Ltd |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01156A (en) * | 1971-11-15 | 1974-04-02 | H Granig | Safety-belt |
US3841654A (en) * | 1972-09-21 | 1974-10-15 | Allied Chem | Vehicle safety system |
US3866940A (en) * | 1973-01-11 | 1975-02-18 | Allied Chem | Differentially inflatable restraining band for vehicles |
US3865398A (en) * | 1973-02-05 | 1975-02-11 | Toni Woll | Expandable crash-restraining means |
US3905615A (en) * | 1974-06-27 | 1975-09-16 | Us Navy | Inflatable body and head restraint |
US6142511A (en) * | 1995-12-22 | 2000-11-07 |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 Inflatable passenger restraint and inflator therefor |
JP4310115B2 (ja) * | 2002-03-06 | 2009-08-0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
JP2005096653A (ja) * | 2003-09-25 | 2005-04-14 | Toyoda Gosei Co Ltd | 後席用エアバッグ及び後席用エアバッグ装置 |
JP4734933B2 (ja) * | 2004-02-27 | 2011-07-27 | タカタ株式会社 | 車両乗員保護システムおよびインフレータ |
DE602005010341D1 (de) * | 2004-08-09 | 2008-11-27 | Nissan Motor |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nd Verfahren |
JP4595455B2 (ja) * | 2004-09-09 | 2010-12-0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
US20060170199A1 (en) * | 2005-02-02 | 2006-08-03 | Srinivasan Sundararajan | Belt guide apparatus for a seatbelt restraint system of a vehicle |
JP4645280B2 (ja) * | 2005-04-18 | 2011-03-09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乗員保護装置及び方法 |
JP4670531B2 (ja) * | 2005-08-02 | 2011-04-13 | タカタ株式会社 |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
JP4452676B2 (ja) * | 2005-11-10 | 2010-04-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
US7665761B1 (en) * | 2008-03-27 | 2010-02-23 | Amsafe, Inc. |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
JP5081716B2 (ja) * | 2008-05-09 | 2012-11-2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乗員保護装置 |
-
2008
- 2008-05-09 JP JP2008123406A patent/JP492923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4-28 CN CN2009101353993A patent/CN10157495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4-29 AT AT09158998T patent/ATE530393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04-29 US US12/431,919 patent/US797190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4-29 EP EP09158998A patent/EP2116429B1/en not_active Ceased
- 2009-05-08 KR KR1020090040174A patent/KR1010512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6975B1 (ko) * | 1998-02-10 | 2001-01-15 | 윤장진 | 에어백 시스템용 충돌 감지장치 및 그 방법 |
US6378898B1 (en) | 1999-06-09 | 2002-04-30 | The B.F. Goodrich Company | Inflatable air bag for a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
JP2006044614A (ja) | 2004-08-09 | 2006-02-16 | Nissan Motor Co Ltd |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
JP2006160062A (ja) * | 2004-12-07 | 2006-06-22 | Nissan Motor Co Ltd |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7655A (ko) | 2009-11-12 |
ATE530393T1 (de) | 2011-11-15 |
JP2009269539A (ja) | 2009-11-19 |
JP4929230B2 (ja) | 2012-05-09 |
CN101574950A (zh) | 2009-11-11 |
EP2116429A1 (en) | 2009-11-11 |
CN101574950B (zh) | 2012-03-14 |
EP2116429B1 (en) | 2011-10-26 |
US20090278339A1 (en) | 2009-11-12 |
US7971902B2 (en) | 2011-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1238B1 (ko) | 탑승원 보호 장치 | |
KR101051866B1 (ko) | 탑승원 보호 장치 | |
US7571931B2 (en) | Vehicle passenger restraint system | |
KR101919550B1 (ko) | 승차인 구속 장치 | |
US9533651B1 (en) | Occupant protection device | |
JP6565776B2 (ja) | 乗員保護装置 | |
JP4569684B2 (ja) | 車両用乗員拘束装置 | |
JP4420067B2 (ja) |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 |
JP2009154812A (ja) | 乗員保護装置 | |
US20160297393A1 (en) | Vehicle airbag system | |
JP2008184159A (ja) | 乗員保護装置 | |
JP2009166569A (ja) | 車両用乗員拘束装置 | |
JP2006044614A (ja) |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 |
JP2013124063A (ja) | 車両の側面衝突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システム | |
JP2007190944A (ja) | 頭部拘束装置 | |
KR20210009121A (ko) | 루프 에어백 장치 | |
JP2018135095A (ja) | 乗員保護装置 | |
US20100164215A1 (en) |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 |
JP2017190046A (ja) | 乗員保護装置 | |
JP6607351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JP4946444B2 (ja) | 乗員保護装置 | |
JP6937144B2 (ja) | 乗員保護装置 | |
JP6937145B2 (ja) | 乗員保護装置 | |
JP2005112099A (ja) | 車両用乗員拘束装置 | |
JP7294298B2 (ja) | 乗員保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