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50386B1 -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 Google Patents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386B1
KR101050386B1 KR1020100137843A KR20100137843A KR101050386B1 KR 101050386 B1 KR101050386 B1 KR 101050386B1 KR 1020100137843 A KR1020100137843 A KR 1020100137843A KR 20100137843 A KR20100137843 A KR 20100137843A KR 101050386 B1 KR101050386 B1 KR 10105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uoy
water
closing membe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영
Original Assignee
(주)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케이 filed Critical (주)지케이
Priority to PCT/KR2011/0016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6399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07Passive control mechanisms without external energy, e.g. using a floa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개선용 섬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 등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에 유입된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하천 등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섬프장치는,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 등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와, 상하의 도중에 통공을 갖도록 마련된 내측턱에 의해 상부의 승강공간과 하부의 연통공간이 분리 형성된 수직관과,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공간으로 섬프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수직관에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본체와, 상기 승강공간에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는 부표와, 상기 부표의 승강에 의해 내측턱에 면접촉되거나 내측턱에서 이격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부표와 개폐부재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Sump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본 발명은 수질개선용 섬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 등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에 유입된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하천 등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프(sump)는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 등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하는 구조물이다.
종래의 섬프는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 등이(이하 우수) 모이도록 지표면이나 포장면에 터파기를 행하고 내벽을 시공하여 이루어지는 본체와, 이 본체와 연통되고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에 연결되는 배수관과,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보행자나 차량의 지지면을 이루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덮개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본체는 지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터파기가 이루어진 홈부 내벽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우수가 담기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금속재질로 제작된 본체가 홈부 내벽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배수관은 본체의 내부에 연통되고, 배수관의 바닥면은 본체의 바닥면과 비교하여 높게 배치되므로 본체에 유입되는 우수는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담기고, 우수의 수면이 배수관의 바닥면 이상으로 상승하면 배수관을 따라 방류된다.
덮개는 섬프를 지나는 보행자나 차량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거름망 형상으로 제작되어 본체의 상단에 안착된다.
한편, 오일이 지면에 유출되면 땅속으로 스며들거나 지표면에 존재하다가 비가 오면 우수와 함께 섬프로 유입된다.
상기 오일 중 비중이 물보다 작은 경질유분은 섬프 내의 물 위에 부유하고, 비중이 물보다 큰 중질유분은 섬프 내의 바닥으로 가라앉아, 평상시에 중질유분은 배수관을 따라 물과 함께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유출되고 폭우시에 경질유분이 물과 함께 범람하여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유출되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밸브본체의 유입홀을 섬프의 바닥면보다 높게 설치하고 수위가 물의 양에 따라 자동 조절되게 하여 섬프에 유입된 오일이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유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 등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고주파를 전파하여 되돌아오는 수신율로 오일과 오일의 두께를 검출하고 오일의 두께가 기준 두께 이상이 되면 이를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하여 알림으로써 오일을 제거하게 하여 하천 등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섬프장치는,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
상하의 도중에 통공을 갖도록 마련된 내측턱에 의해 상부의 승강공간과 하부의 연통공간이 분리 형성된 수직관과,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공간으로 섬프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수직관에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승강공간에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의 승강에 의해 내측턱에 면접촉되거나 내측턱에서 이격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부표와 개폐부재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섬프에 유입된 오일이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유출되지 않게 하고, 검출된 오일의 두께가 기준 두께 이상이 되면 이를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하여 제거하게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 등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프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섬프장치의 구조도,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오일검출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낸 개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섬프장치의 구조도,
도 8는 도 7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프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섬프장치는 밸브본체(10), 밸브 실린더(20), 시트(30), 개스킷(40), 부표(50), 링크(60) 및 개폐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섬프(1) 내부에 설치되어 외측로 돌출되는 밸브본체(10)는 수직관(11)과 수평관(12)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관(11)의 도중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14)을 갖도록 내측턱(13)이 형성되어, 이 내측턱(13)을 기준으로 수직관(11) 상하에 승강공간(15)과 연통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턱(13)은 수직관(11)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턱(13) 상부의 밸브본체(10)에는 물이 밸브본체 내부 즉, 승강공간(15)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17)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턱(13) 하부의 밸브본체(10) 내부 즉, 연통공간(16)은 수평관(12)과 연통된다.
상기 수평관(12)은 섬프(1)의 측벽(2)을 관통하여 외부의 배수관(3)과 연결된다.
상기 승강공간(15)에는 하방이 개방된 밸브실린더(20)가 밸브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상기 밸브실린더(20)에도 물이 승강공간(15)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21)이 유입홀(17)과 같은 위치에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턱(13)의 상부에는 개폐부재(70)에 의해 통공(14)이 폐쇄된 경우 물이 개폐부재(70)와 내측턱(13) 사이로 물이 새지 않도록 시트(30)가 안치되고, 이때 실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트(30) 상부에 개스킷(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30)와 개스킷(40)이 유입홀(17,21)을 통해 외측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유입홀(17,21) 아래의 내측턱(13)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공간(15) 내에서 수위에 맞추어 밸브실린더(20)를 따라 승강하는 부표(50)는 하부의 개폐부재(70)와 링크(60)에 의해 소정거리를 두고 연결되어 상기 부표(50)가 승강함에 따라 개폐부재(70)도 같이 승강한다.
이때 상기 링크(60)는 상부의 부표(50)와 커플링(coupling:61)으로 결합되며, 링크(60)의 하부에는 외주연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개폐부재(70)가 링크(60)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폐부재(70) 상하의 링크(60)에 너트(62)가 나사결합함으로써 개폐부재(70)가 링크(6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개폐부재(70)가 상하 너트(62)의 나사결합에 의해 링크(60)의 하부에 결합하므로 부표(50)와 개폐부재(7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통공(14)이 개방되도록 하는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부표(50)와 개폐부재(70)와의 거리가 짧으면 통공(14)이 개방되도록 하는 수위가 낮고, 거리가 길면 통공(14)이 개방되도록 하는 수위가 높다.
상기 개폐부재(70)는 섬프(1) 내부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표(50)가 하강하는 경우, 부표(50)와 함께 하강하여 시트(30)에 면접촉됨으로써 내측턱(13) 사이 즉, 통공(14)을 밀폐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표(50)가 상승하는 경우, 부표(50)와 함께 상승하여 시트(30)에서 이격됨으로써 통공(14)을 개방하여 섬프(1) 내의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재(70)는 밸브실린더(20)를 따라 원활히 승강하면서 개폐부재(70)와 밸브실린더(20) 사이로 물이 새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재(70)의 좌우 폭이 밸브실린더(20)의 내측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되, 개폐부재(70)는 탄력이 있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관(11)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는 커버(80)에 의해 밀폐되어 상부와 하부를 통해서 물이 들어오지 못하고, 수평관(12)의 개방된 측부는 플랜지(82)가 결합되어 외부의 배수관(3)과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섬프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줄어들어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면 부표(50)가 밸브실린더(20) 내부에서 하강함에 따라 부표(50)에 링크(60)로 연결된 개폐부재(70)도 밸브실린더(20) 내부에서 하강하다가 내측턱(13) 상부의 시트(30)에 안착되어 정지된다.
이에 의해 통공(14)이 개폐부재(70)에 의해 막히고, 개폐부재(70)는 개스킷(40)에 의해 시트(30)에 면접촉됨으로써 그 사이로 물이 스며들지 않아 밸브본체(10)를 통해 주변의 배수관(3)으로 물이나 오일(경질유분(4), 중질유분(5) 포함)이 더 이상 방류되지 않는다.
이때 유입홀(17,21)의 최대 높이(H)가 통공(14)이 밀폐되었을 때의 수위보다 아래에 형성되어 물 위에 떠있는 경질유분이 유입홀(17,21)을 통해 승강공간(15)에 유입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등에 의해 외부의 물이 섬프(1)에 유입되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표(50)도 밸브실린더(20)를 따라서 상승하고, 부표(50)에 링크(60)로 연결된 개폐부재(70)도 밸브실린더(20) 내부를 상승하여 시트(30)에서 이격된다.
이에 의해 내측턱(13) 사이 즉, 통공(14)이 개방되면서 섬프(1) 내부의 물이 밸브본체(10)를 통해 주변의 배수관(3)으로 물이 방류된다.
이때 밸브본체(10)에 형성된 유입홀(17,21)의 최저 높이(h)가 섬프(1)의 바닥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바닥면에 가라앉은 중질유분(5)은 밸브본체(10)를 통해 주변의 배수관(3)으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섬프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섬프장치는 밸브 본체(10), 밸브 실린더(20), 시트(30), 개스킷(40), 부표(50), 링크(60) 및 개폐부재(70') 및 오일검출장치(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섬프(1) 내부에 설치되어 외측로 돌출되는 밸브본체(10)는 수직관(11)과 수평관(12)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관(11)의 도중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14)을 갖도록 내측턱(13)이 형성되어, 이 내측턱(13)을 기준으로 수직관(11) 상하에 승강공간(15)과 연통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턱(13)은 수직관(11)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턱(13) 상부의 밸브본체(10)에는 물이 밸브본체 내부 즉, 승강공간(15)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17)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턱(13) 하부의 밸브본체(10) 내부 즉, 연통공간(16)은 수평관(12)과 연결된다.
상기 수평관(12)은 섬프(1)의 측벽(2)을 관통하여 외부의 배수관(3)과 연결된다.
상기 승강공간(15)에는 하방이 개방된 밸브실린더(20)가 밸브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상기 밸브실린더(20)에도 물이 승강공간(15)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21)이 유입홀(17)과 같은 위치에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턱(13)의 상부에는 개폐부재(70')에 의해 통공(14)이 폐쇄된 경우 물이 개폐부재(70')와 내측턱(13) 사이로 물이 새지 않도록 시트(30)가 안치되고, 이때 실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트(30) 상부에 캐스킷(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30)와 개스킷(40)이 유입홀(17,21)을 통해 외측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유입홀(17,21) 아래의 내측턱(13)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공간(15) 내에서 수위에 맞추어 밸브실린더(20)를 따라 승강하는 부표(50)는 하부의 개폐부재(70')와 링크(60)에 의해 소정거리를 두고 연결되어 상기 부표(50)가 승강함에 따라 개폐부재(70')도 같이 승강한다.
이때 상기 링크(60)는 상부의 부표(50)와 커플링(coupling:61)으로 결합되며, 링크(60)의 하부에는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개폐부재(70')가 링크(60)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에 너트(62)가 나사결합함으로써 개폐부재(70')가 링크(6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개폐부재(70')가 상하 너트(62)의 나사결합에 의해 링크(60)의 하부에 결합하므로 부표(50)와 개폐부재(7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통공(14)이 개방되도록 하는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부표(50)와 개폐부재(70')와의 거리가 짧으면 통공(14)이 개방되도록 하는 수위가 낮고, 거리가 길면 통공(14)이 개방되도록 하는 수위가 높다.
상기 개폐부재(70')는 섬프(1) 내부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표(50)가 하강하는 경우, 부표(50)와 함께 하강하여 시트(30)에 밀착됨으로써 내측턱(13) 사이 즉, 통공(14)을 밀폐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표(50)가 상승하는 경우 부표(50)와 함께 상승하여 시트(30)에서 이격됨으로써 통공(14)을 개방하여 섬프(1) 내의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재(70')는 밸브실린더(20)를 따라 원활히 승강하면서 개폐부재(70')와 밸브실린더(20) 사이로 물이 새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재(70')의 좌우 폭이 밸브실린더(20)의 내측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되, 개폐부재(70')는 탄력이 있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부재(70') 상부의 수압과 하부의 대기압과의 기압차를 줄여 통공(14)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내측턱(13) 상부의 개폐부재(70')에 핀홀(71)이 상하를 관통하여 다수 형성된다.
이때 핀홀(71)의 굵기나 갯수는 수압이나 섬프(1)의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핀홀(71)을 통해 개폐부재(70')와 개스킷(40) 사이로 물이 조금씩 스며들어 수압에 의한 통공(14)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70')나 부표(50)는 원형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등 그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형상을 변경할 수 있고, 그 사각 개폐부재(70')에 핀홀(7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관(11)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는 커버(80)에 의해 밀폐되어 상부와 하부를 통해서 물이 들어오지 못하고, 수평관(12)의 개방된 측부는 플랜지(82)가 결합되어 외부의 배수관(3)과 연결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오일의 유무와 오일의 두께를 검출하는 오일검출장치(90)가 더 구비되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검출장치(90)는 배터리(91), 마이컴(92), 안테나(93) 및 A/D 컨버터(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는 오일검출장치(90)가 또 다른 부표(50')에 내장되어 수위와 함께 높낮이가 조절되면 물 위에 부유하고 있는 오일의 유무나 오일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배터리(91)는 마이컴(92)에 전원을 공급하고, 마이컴(92)은 고주파(마이크로파)를 생성하여 안테나(93)를 통해 주변으로 고주파를 전파하며, 반사되어 안테나(93)를 통해 들어오는 고주파의 수신율로 물 위에 부유하는 오일의 유무와 오일의 두께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수면에 부유하는 오일이 없으면 전자파는 안테나(93)에 100%에 근접하는 수신율을 보이고, 수면에 부유하는 오일 있는 경우 오일의 두께에 비례하여 안테나(93)에 수신되는 전자파의 수신율은 감소한다.
최종적으로 안테나(93)에 수신되는 전자파는 A/D 컨버터(94)를 통해 전류로 변환되어 마이컴(92)은 전류의 세기에 따라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오일 두께를 검출하는 바, 전류의 세기가 크면 오일 두께가 두꺼운 것을 의미한다.
상기 오일의 두께가 기준 두께 이상이면 마이컴(92)은 안테나(93)를 통해 별도의 장소에 설치된 모니터링 시스템에 오일의 두께가 기준 두께 이상임을 전송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오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섬프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줄어들어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면 부표(50)가 밸브실린더(20) 내부에서 하강함에 따라 부표(50)에 링크(60)로 연결된 개폐부재(70)도 밸브실린더(20) 내부에서 하강하다가 내측턱(13) 상부의 시트(30)에 안착되어 정지된다.
이에 의해 통공(14)의 상부가 개폐부재(70')에 의해 막히고, 기압차를 줄이기 위해 개폐부재(70')에 형성된 핀홀(71)을 통해 개폐부재와 시트(30) 사이로 스며들어 유출되되, 유출되는 물의 양은 극히 미미하고, 유입홀(17,21)의 최대 높이(H)가 통공(14)이 밀폐되었을 때의 수위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물 위에 떠있는 경질유분이 유입홀(17,21)을 통해 승강공간(15)에 유입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등에 의해 외부의 물이 섬프(1)에 유입되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표(50)도 밸브실린더(20)를 따라서 상승하고, 부표(50)에 링크(60)로 연결된 개폐부재(70)도 밸브실린더(20) 내부에서 상승하여 시트(30)에서 이격된다.
이에 의해 내측턱(13) 사이 즉, 통공(14)이 개방되면서 섬프(1) 내부의 물이 밸브본체(10)를 통해 주변의 배수관(3)으로 방류된다.
이때 밸브본체(10)에 형성된 유입홀(17,21)의 최저 높이(h)가 섬프(1)의 바닥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바닥면에 가라앉은 중질유분은 밸브본체(10)를 통해 주변의 배수관(3)으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부표(50')에 내장된 오일검출장치(90)의 마이컴(92)은 안테나(93)를 통해 고주파를 전파하고 되돌아오는 고주파의 수신율로 수면에 부유하는 오일의 유무와 오일의 두께를 검출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섬프장치의 작동이 반복되면서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수면에 쌓이게 되며, 이때 오일의 두께가 기준 두께 이상이 되면 마이컴(92)에서 외부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이런 사실을 전송하여 해당 섬프(1)에 오일이 많이 유입되었음을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섬프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섬프장치는 밸브본체(110), 개스킷(140), 부표(150), 링크(160) 및 개폐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섬프(1) 내부에 설치되어 외측로 돌출되는 사각의 밸브본체(110)는 수직관(111)과 수평관(112)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관(111)의 도중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114)을 갖도록 내측턱(113)이 형성되어, 이 내측턱(113)을 기준으로 수직관(111) 상하에 승강공간(115)과 연통공간(116)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턱(113)은 직각으로 절곡된 ┏나 ┛ 형상으로 수직관(111) 내측의 서로 다른 높이에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턱(113) 상부의 밸브본체(110)에는 물이 밸브본체 내부 즉, 승강공간(115)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117)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턱(113) 하부의 밸브본체(110) 내부 즉, 연통공간(116)은 수평관(112)과 연통된다.
상기 수평관(112)은 섬프(1)의 측벽(2)을 관통하여 외부의 배수관(3)과 연결된다.
상기 내측턱(113)이 개폐부재(170)에 의해 통공(114)이 폐쇄된 경우 물이 개폐부재(170)와 내측턱(113) 사이로 물이 새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재(170)에 접촉하는 내측턱(113)에는 개스킷(14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공간(115) 내에서 수위에 맞추어 수직관(111)을 따라 승강하는 부표(150)는 하부에 위치된 개폐부재(170)의 일측과 링크(160)에 의해 소정거리를 두고 연결되어 상기 부표(150)가 승강함에 따라 개폐부재(170)가 반시계방향이나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개폐부재(170)는 그 중앙 부분이 수직관(111)의 내부에 회동축(171)으로 수직관(111)에 축결합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170)는 섬프(1) 내부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표(150)가 하강하는 경우, 회동축(17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부재(170)의 일측은 내측턱(113)의 상부에 구비된 캐스킷(140)에 면접촉되고 개폐부재(170)의 타측은 내측턱(113)의 하부에 구비된 개스킷(140)에 면접촉됨으로써 내측턱(113) 사이 즉, 통공(114)을 밀폐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반대로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표(150)가 상승하는 경우, 개폐부재(170)는 회동축(17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개스킷(140)에서 이격됨으로써 통공(114)을 개방하여 섬프(1) 내의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관(111)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는 커버(180)에 의해 밀폐되어 상부와 하부를 통해서 물이 들어오지 못하고, 수평관(112)의 개방된 측부는 플랜지(182)가 결합되어 외부의 배수관(3)과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섬프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줄어들어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면 부표(150)가 승강공간(115) 내부에서 하강함에 따라 부표(150)에 링크(160)로 일측이 연결된 개폐부재(170)가 회동축(17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다가 내측턱(113)에 걸려 정지된다.
이때 개폐부재(170)의 일측은 내측턱(113)의 상부에 구비된 캐스킷(140)에 면접촉되고 개폐부재(170)의 타측은 내측턱(113)의 하부에 구비된 개스킷(140)에 면접촉됨으로써 내측턱(113) 사이 즉, 통공(114)을 밀폐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통공(114)이 개폐부재(170)에 의해 막히고, 개폐부재(170)는 개스킷(140)에 의해 내측턱(113)에 면접촉됨으로써 그 사이로 물이 스며들지 않아 밸브본체(110)를 통해 주변의 배수관(3)으로 물이나 오일(경질유분(4), 중질유분(5) 포함)이 더 이상 방류되지 않는다.
이때 유입홀(117)의 최대 높이(H)가 통공(114)이 밀폐되었을 때의 수위보다 아래에 형성되어 물 위에 떠있는 경질유분이 유입홀(117)을 통해 승강공간(115)에 유입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등에 의해 외부의 물이 섬프(1)에 유입되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표(150)도 승강공간(115)을 따라서 상승하고, 부표(150)에 링크(160)로 일측이 연결된 개폐부재(17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내측턱(113)에서 이격된다.
이에 의해 내측턱(113) 사이 즉, 통공(114)이 개방되면서 섬프(1) 내부의 물이 밸브본체(110)를 통해 주변의 배수관(3)으로 물이 방류된다.
이때 밸브본체(110)에 형성된 유입홀(117)의 최저 높이(h)가 섬프(1)의 바닥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바닥면에 가라앉은 중질유분(5)은 밸브본체(110)를 통해 주변의 배수관(3)으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제3실시예는 부표(150)가 중앙의 회동축(17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개폐부재(170)의 일측에 링크(160)로 연결되어, 부표(150)가 상승하는 경우에 개폐부재(170)의 일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내측턱(113)에서 이격시키면 되므로 수압의 영향을 덜 받고 통공(114)을 개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섬프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는 농수로와 같은 수로 등에 설치되어 수문을 조절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1: 섬프 10,110: 밸브본체
20: 밸브실린더 30: 시트
140: 개스킷 50,50',150: 부표
60,160: 링크 70,70',170: 개폐부재
90: 오일검출장치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
    상하의 도중에 통공을 갖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턱에 의해 상부의 승강공간과 하부의 연통공간이 분리 형성된 수직관과,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공간으로 섬프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수직관에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승강공간에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의 승강에 의해 내측턱에 면접촉되거나 내측턱에서 이격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부표와 개폐부재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공간에는 하방이 개방된 밸브실린더가 밸브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부표와 개폐부재가 밸브실린더를 따라 승강하며, 물이 승강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밸브실린더에 또 다른 유입홀이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4.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
    상하의 도중에 통공을 갖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턱에 의해 상부의 승강공간과 하부의 연통공간이 분리 형성된 수직관과,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공간으로 섬프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수직관에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승강공간에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의 승강에 의해 내측턱에 면접촉되거나 내측턱에서 이격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부표와 개폐부재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부표와 함께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며, 상기 내측턱에 개폐부재가 면접촉하는 경우 물이 새지 않도록 내측턱 상부에 안치되는 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상부에 실링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개스킷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6.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
    상하의 도중에 통공을 갖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턱에 의해 상부의 승강공간과 하부의 연통공간이 분리 형성된 수직관과,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공간으로 섬프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수직관에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승강공간에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의 승강에 의해 내측턱에 면접촉되거나 내측턱에서 이격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부표와 개폐부재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부표와 함께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며, 상기 링크의 하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개폐부재가 링크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폐부재 상하의 링크에 너트가 나사결합함으로써 부표와 개폐부재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7.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
    상하의 도중에 통공을 갖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턱에 의해 상부의 승강공간과 하부의 연통공간이 분리 형성된 수직관과,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공간으로 섬프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수직관에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승강공간에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의 승강에 의해 내측턱에 면접촉되거나 내측턱에서 이격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부표와 개폐부재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부표와 함께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며, 상기 내측턱에 개폐부재가 면접촉하는 경우에 상부의 수압과 하부의 공기압과의 기압차를 줄이기 위해 내측턱 상부의 개폐부재에 상하로 관통하는 핀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8.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
    상하의 도중에 통공을 갖도록 마련된 내측턱에 의해 상부의 승강공간과 하부의 연통공간이 분리 형성된 수직관과,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공간으로 섬프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수직관에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승강공간에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의 승강에 의해 내측턱에 면접촉되거나 내측턱에서 이격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부표와 개폐부재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턱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직관 내측의 서로 다른 높이에 체결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중앙 부분이 회동축으로 수직관에 축결합되고 개폐부재의 일측에는 링크가 연결되어, 부표가 승강함에 따라 개폐부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측은 내측턱의 상부에 면접촉되거나 이격되고, 타측은 내측턱의 하부에 면접촉되거나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와 면접촉하는 내측턱의 상부나 하부에는 물이 새지 않도록 개스킷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10.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
    상하의 도중에 통공을 갖도록 마련된 내측턱에 의해 상부의 승강공간과 하부의 연통공간이 분리 형성된 수직관과,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공간으로 섬프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수직관에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승강공간에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의 승강에 의해 내측턱에 면접촉되거나 내측턱에서 이격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부표와 개폐부재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입홀의 최대 높이가 통공이 밀폐되었을 때의 수위보다 아래에 형성되며, 제1유입홀의 최저 높이가 섬프의 바닥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11. 우수, 지하수 또는 청소용 물을 하천이나 주변 배수로로 방류시키는 섬프;
    상하의 도중에 통공을 갖도록 마련된 내측턱에 의해 상부의 승강공간과 하부의 연통공간이 분리 형성된 수직관과,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수평관이 서로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공간으로 섬프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수직관에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승강공간에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공간 내를 승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의 승강에 의해 내측턱에 면접촉되거나 내측턱에서 이격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부표와 개폐부재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섬프 내의 수면 주위로 고주파를 전파하며, 반사되어 오는 고주파의 수신율로 물 위에 부유하는 오일의 유무와 오일의 두께를 검출하는 오일검출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검출장치는 섬프 내에 위치한 또 다른 부표에 내장되어 수위와 함께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물 위에 부유하는 오일의 유무와 오일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KR1020100137843A 2010-11-12 2010-12-29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KR10105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1637 WO2012063996A1 (en) 2010-11-12 2011-03-09 Sump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02 2010-11-12
KR20100112802 2010-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386B1 true KR101050386B1 (ko) 2011-07-19

Family

ID=4492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843A KR101050386B1 (ko) 2010-11-12 2010-12-29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0386B1 (ko)
WO (1) WO20120639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623A (zh) * 2018-11-24 2019-04-12 温州市久丰建设有限公司 一种节能减排型市政污水处理系统
KR102659647B1 (ko) * 2023-11-30 2024-04-23 김동한 맨홀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부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0353B (zh) * 2017-09-07 2023-08-01 宁波欧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水槽
CN109283017A (zh) * 2018-11-27 2019-01-29 云南农业大学 一种收集农田土壤壤中流的试验装置
CN113030411A (zh) * 2021-03-03 2021-06-25 厦门市邑度高新技术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河长制水文水质监测装置
CN115792164B (zh) * 2023-01-30 2023-06-06 邦达诚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河道内监测水质的预警装置
CN116001995B (zh) * 2023-02-28 2023-05-30 上海博取仪器有限公司 海洋水质生态检测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41B1 (ko) * 2007-05-17 2008-04-11 이경우 도로변 우수측구에 설치되는 우수단속장치를 구비한다중구조맨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2238A (en) * 1977-04-29 1979-01-02 Clark Earl A Automatic separator valve
US5161564A (en) * 1991-06-03 1992-11-10 Clark Stephen E Automatic separator valve
US6027639A (en) * 1996-04-30 2000-02-22 Stormwater Treatment Llc Self-cleaning siphon-actuated radial flow filter basket
US6148852A (en) * 1997-11-24 2000-11-21 Osterman; David M. Sump pit regulating valve
US20050025573A1 (en) * 2003-07-31 2005-02-03 Waldman John Jeffrey Liquid control structure
CA2559879C (en) * 2005-09-20 2016-01-19 Thomas E. Pank System for feeding a liquid fluid through a filter
JP2008259994A (ja) * 2007-04-13 2008-10-30 Tlv Co Ltd 油水分離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41B1 (ko) * 2007-05-17 2008-04-11 이경우 도로변 우수측구에 설치되는 우수단속장치를 구비한다중구조맨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623A (zh) * 2018-11-24 2019-04-12 温州市久丰建设有限公司 一种节能减排型市政污水处理系统
KR102659647B1 (ko) * 2023-11-30 2024-04-23 김동한 맨홀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부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3996A1 (en)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386B1 (ko) 수질개선용 섬프장치
CN103939142B (zh) 水压可控式隧道排水系统及其水压控制装置
CN211472605U (zh) 一种地下室底板抗浮装置
KR100856388B1 (ko) 지하수 배수 구조물
KR102047325B1 (ko) 부력을 이용한 방수문 가동구조
CN201794082U (zh) 局部深基坑降排水装置
CN103628557A (zh) 一体式排水井盖
CN203835453U (zh) 水压可控式隧道排水系统及其水压控制装置
KR100654756B1 (ko)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CN211523442U (zh) 一种市政工程下水道防臭井盖
CN209260872U (zh) 基于zigbee的窨井信息监控系统
KR101478223B1 (ko) 누수 배수장치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JP2000291037A (ja) マンホールの排水装置及びリング状パッキン
CN213805750U (zh) 一种一体化截流井
CN212641711U (zh) 一种防倒灌雨水箱涵截污泵站
CN218580811U (zh) 一种圆形排水道用井盖自动打开装置
CN210767122U (zh) 联排别墅地下雨水集中排放系统
CN106400845B (zh) 一种防止污水倒灌的城市道路用窨井盖装置
KR101370248B1 (ko) 하수 역류 방지를 위한 배수 장치
CN217128469U (zh) 一种市政工程用防洪涝井盖
CN205206021U (zh) 一种污水一体化智能提升设备
CN211368938U (zh) 一种适用于农村地形变化较大的组合式雨水边沟
CN214005923U (zh) 一种雨污水截流装置
CN218373973U (zh) 一种用于地下室集水井的泄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