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43447B1 - 와이어 트랩을 갖는 전기 컨택트 - Google Patents

와이어 트랩을 갖는 전기 컨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447B1
KR101043447B1 KR1020117001069A KR20117001069A KR101043447B1 KR 101043447 B1 KR101043447 B1 KR 101043447B1 KR 1020117001069 A KR1020117001069 A KR 1020117001069A KR 20117001069 A KR20117001069 A KR 20117001069A KR 101043447 B1 KR101043447 B1 KR 101043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connector
gripp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572A (ko
Inventor
티모시 리 코커
데이빗 제임스 페비언
존 마이클 랜디스
존 스티븐 윌슨
도널드 앨런 다이머
도널드 마이클 보흔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1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5Grip increasing with strai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1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the spring shape allowing insertion of the conductor end when the spring is unbiased
    • H01R4/4821Single-blad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6Busbar details
    • H01R4/4848Busba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 터미널은 제1단부, 제2단부 그리고 축을 갖는 채널을 포함한다. 채널은 제2단부를 향하여 제1단부를 통해 연장하고, 채널은 전기 도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고 배치된다.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 있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축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채널로 연장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바디와 연관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두께가 감소된 단부에서 끝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전기 도체상에 컨택트 그립핑 접촉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 트랩을 갖는 전기 컨택트{ELECTRICAL CONTACT WITH WIRE TRAP}
본발명은 개선된 전기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기 커넥터의 전기 터미널내에 전기 도체의 유지 및 전기 접속을 위한 개선된 와이어 트랩(wire trap)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발명은 블라인드 어셈블리(blind assembly)할 수 있는 개선된 결합 전기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external surface)은 외면과 물리적 접촉을 유발하는 구성요소(element)의 일부를 우연히 캡쳐할 수 있는 외부 피처(feature)가 없다.
전기 터미널은 커넥터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도체 접속부와 함께 핀(pin)과 결합 소켓(mating socket)을 포함한다. 터미널이 와이어에 접속되는 경우, 터미널은 와이어 접속부를 포함한다. 와이어 접속부의 한가지 형태는 와이어 크림프(wire crimp)이며, 여기서 와이어는 스트립되고 터미널 단부에 배치되며, 그 다음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도체에 대해 금속이 변형되는 장소에 크림프된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크림프된 접속을 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와이어들이 현장에서(on site) 스트립되고 크림핑 도구들을 쉽게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오버헤드 라이트가 설치되는 라이팅 산업에서 있을 수 있으며, 설치자에게는 크림프된 접속을 요하지 않는 것이 쉬울 수 있다.
그러나, 비-크림프된 접속에 의해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전기 터미널의 와이어에 대해 불충분한 유지력(retention force)이 가해지고 이것은 의도되지 않게 전기 터미널로부터 와이어가 뒤로 물러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전기 회로에서 단절을 야기시킨다.
신뢰성 있고 크림프없는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 터미널 구조가 요구된다.
본발명은 제1단부, 제2단부 그리고 축(axis)을 갖는 채널을 구비한 바디를 포함하며, 채널은 제1단부를 통해 제2단부로 연장된다. 채널은 전기 도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고 배치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contact gripping element)가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 있으며 축으로부터 일정 각도(angle)로 채널로 연장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바디와 연관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두께가 감소된 단부에서 끝나고,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컨택트 그립핑 접촉력(contact force)을 전기 도체상에 가하도록 구성된다. 여러가지 변형예에서,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빔(beam) 또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에서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전기 도체의 삽입은 반경력(radial force)을 컨택트 그립핑 요소에 가한다.
또한 본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에 위치되는 전기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전기 터미널은 제1단부, 제2단부, 채널을 구비한 바디를 포함하며, 채널은 제1단부를 통해 제2단부로 연장하는 축을 가지며, 채널은 전기 도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가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 있으며 축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채널로 연장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바디와 연관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두께가 감소된 단부에서 끝나고,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컨택트 그립핑 접촉력을 전기 도체상에 가하도록 구성된다. 바디는 커넥터 하우징에 바디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락킹부(locking portion)를 포함한다. 락킹부는 락킹 숄더(locking shoulder)를 규정하고, 락킹부는 채널을 통해 위치됨으로써 락킹 숄더는 바디에 의해 백업(back up)된다.
본발명은 또한 커넥터 하우징에 위치되는 전기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전기 터미널은 제1단부, 제2단부, 채널을 구비한 바디를 포함하며, 채널은 제1단부를 통해 제2단부로 연장하는 축을 가지며, 채널은 전기 도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가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 있으며 축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채널로 연장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바디와 연관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두께가 감소된 단부에서 끝나고,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컨택트 그립핑 접촉력을 전기 도체상에 가하도록 구성된다. 바디는 하우징에 바디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락킹부를 포함한다.
본발명은 또한 축을 따라 접속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전기 커넥터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갖는다. 각각의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터미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치수가 정해지는(dimensioned)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전기 커넥터와 제2 전기 커넥터 접속중 제1 전기 커넥터의 각각의 전기 터미널은 제2 전기 커넥터의 대응하는 전기 터미널과 물리적 접촉을 이룬다. 제1 키잉 배치부(first keying arrangement)는 제1 전기 커넥터와 제2 전기 커넥터 접속중 제1 전기 커넥터와 제2 전기 커넥터의 정확한 배향을 확실히 하기 위해 분극된다(polarize). 제1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제1 전기 커넥터의 제1단부를 지나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갖는다.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를 축상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연장부는 제2 전기 커넥터의 제1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축상 정렬(axial alignment)은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의 대응하는 전기 터미널들 사이의 물리적 접촉 이전에 이뤄진다.
다른 예에서, 바디는 개방단(open end)으로부터 제2단부로 바디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종방향 봉합부(longitudinal seam)를 포함한다. 또한,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봉합부를 가로지른다. 일실시예에서, 바디는 전기 도체의 채널로의 삽입에 따라 봉합부가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봉합부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에 가해지는 반경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봉합부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상의 응력(stress)을 완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전기 도체가 채널로 삽입되면, 전기 도체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에 반경력을 발생시킨다. 전기 도체의 삽입중, 전기 도체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의 대향 측면상에서 바디의 내면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채널에서 탄력적으로 편향되므로, 이러한 반경력은 전기 터미널의 바디와 연관된 지점에서 컨택트 그립핑 요소상에 응력을 가할 수 있다. 봉합부가 컨택트 그립핑 요소를 가로지르면, 봉합부는 넓어질 수 있고 전기 도체에 의해 컨택트 그립핑 요소에 가해지는 반경력을 감소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도체의 유지를 위한 터미널은 컨택트 그립핑 요소를 포함한 전기 터미널, 채널 그리고 개구(aperture)를 포함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개구를 통해 배치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채널에 배치되며 전기 도체에 의해 대체되도록 구성된 말단부(distal end)를 가지며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채널내에 배치된 전기 도체상에 컨택트 그립핑력(contact gripping force)을 가한다. 두가지 예에서,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아치(arch) 그리고 리프 스프링이다.
*다른 실시예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가 반경 방향에서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전기 도체의 삽입이 컨택트 그립핑 요소에 반경력을 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바디는 개방단으로부터 제2단부로 바디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종방향 봉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봉합부를 가로지른다. 일실시예에서, 바디는 전기 도체의 채널로의 삽입에 따라 봉합부가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봉합부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에 가해지는 반경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실시예에서, 봉합부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상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전기 도체가 채널로 삽입되면, 전기 도체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에 반경력을 발생시킨다. 전기 도체의 삽입중, 전기 도체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의 대향 측면상에서 바디의 내면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는 채널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반경력은 전기 터미널의 바디와 연관된 지점에서 컨택트 그립핑 요소에 응력을 가할 수 있다. 봉합부가 컨택트 그립핑 요소를 가로지르면, 봉합부는 넓어질 수 있고 전기 도체에 의해 컨택트 그립핑 요소에 가해지는 반경력을 감소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터미널은 개구를 갖는 바디와 바디 및 개구의 적어도 일부의 바깥으로부터 연장하는 락킹부재(locking member)를 포함하며, 락킹부재는 바디를 백업하도록 구성된다. 락킹부재는 하우징에 의해 편향되도록 구성된다. 락킹부재는 하우징으로의 바디 삽입중 바디의 중앙을 향하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편향되도록, 그리고 하우징으로의 추가적인 삽입에 따라 바디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제3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된다. 락킹부재는 개구를 통해 연장하고 바디를 백업한다. 락킹부재는 하우징에 접하기(abut) 위한 구조적 부재를 제공한다. 락킹부재가 하우징에 접하기 때문에 전기 터미널은 하우징에 대해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다.
바디는 바디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종방향 봉합부를 포함한다. 락킹부재는 봉합부를 가로지를 수 있다. 락킹부재가 바디와 연관된 곳으로부터 바디를 가로질러 개구가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디는 다수의 락킹부재, 다수의 접속 지점, 다수의 개구 그리고 다수의 말단부를 더 포함한다. 다수의 접속 지점중 적어도 하나는 바디의 인접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말단부중 적어도 하나는 바디의 인접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말단부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접속 지점중 적어도 하나보다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으로 더 큰 폭을 갖는다. 다른 예로, 다수의 접속 지점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으로 바디가 삽입되는중 바디를 백업하도록 구성된다. 락킹부재가 하우징에 접하기 때문에 전기 터미널은 하우징에 대해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다. 다른 예로, 다수의 말단부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개구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바디의 채널내에 배치된다. 다른 예로, 다수의 말단부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개구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바디의 채널내에 배치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다수의 개구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말단부중 적어도 하나와 접속 지점의 컷아웃(cutout)에 의해 규정된다(defined).
바디는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하며, 락킹위치(locking position)를 지나서 하우징으로 바디가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부는 하우징으로의 바디 삽입중 하우징의 숄더에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로, 돌출부는 리브(rib)이며, 리브는 바디 주변에 배치된다.
터미널이 양쪽방향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본발명의 이점이다. 즉, 전기 도체가 터미널에 수용되는 것과 동일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터미널이 커넥터 하우징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발명의 다른 이점은, 컨택트 그립핑 요소가 전기 도체를 신뢰성 있게 고정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다른 이점은, 전기 도체가 특별한 도구없이도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발명의 다른 이점은, 조립된 또는 계합된 커넥터 하우징들은 외면과의 물리적 접촉을 초래하는 요소의 일부를 의도하지 않게 캡쳐할 수 있는 외면 피처들이 없다는 것이다.
본발명의 다른 이점은, 어셈블리를 시각적으로 보지 않고 결합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들을 구비하는 전기 어셈블리이다.
본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전기 터미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미널을 통하는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터미널의 선택적 돌출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발명의 전기 터미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5는 본발명의 접속단으로서 와이어 크림프를 갖는, 도 4와 유사한 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6-6 라인을 따른 전기 터미널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전기 터미널의 스탬프된 블랭크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8은 완전히 내부위치로 이동된 락킹부재를 갖는 도 5 및 6의 터미널을 나타낸다.
도 9는 커넥터 하우징내로의 수용을 위해 공중에 뜬 도 1의 터미널을 나타낸다.
도 10은 완전히 락킹된 위치에서 도 9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은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삽입을 위한 전기 터미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전기 터미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전기 터미널의 실시예의 투시 단면도이다.
도 14는 커넥터 하우징내부로 완전히 락킹된 위치에 설치된 도 11의 전기 터미널의 실시예의 투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커넥터 하우징의 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커넥터 하우징의 역 투시도이다.
도 18은 도 11의 커넥터 하우징의 투시도이다.
도 19는 도 11 및 15의 계합된 또는 접속된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전기 터미널(2)은 바디(4)와, 개구(10)를 통해 연장하는 락킹숄더(8)를 규정하는 락킹부 또는 락킹부재(6)를 구비한다. 락킹부재(6)는 바디(4)로부터 컷아웃 또는 스탬프아웃(stamp out)될 수 있다. 락킹부재(6)는 아치 또는 빔 구조로 탄력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개구(10)를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잘 나와 있듯이, 락킹숄더(8)는 개구(10)를 규정하는 바디(4)의 전방엣지(1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터미널(2)은 플랫 블랭크 소재(flat blank material)로부터 스탬프되어 형성되고 플랫 블랭크는 핀 또는 소켓 또는 유사한 구조로 롤 형성되고, 블랭크의 측면 엣지는 인접 종방향 봉합부(34)로 형성된다. 스탬프된 터미널은 구리 합금과 같은, 적절한 도체 소재로 구성된다. 락킹부재(6)는 바디(4)내의 개구를 형성하는 블랭크로부터 스탬프되고, 그 다음 락킹부재(6)는 개구(10)를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바디(4)는 돌출부(12)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는 바디(4)의 주변을 따라 연장하는 구근 형태(bulbous form)로 도시되어 있지만, 바디(4)로부터 컷아웃 또는 스탬프아웃된 하나 이상의 탭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돌출부는 바디(4)로부터 스탬프된 탭(12')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바디(4)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28), 개구(30), 채널(32) 그리고 봉합부(34)를 더 포함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는 채널(32)로 탄력적으로 편향되거나 또는 연장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는 바디(4)로부터 컷아웃 또는 스탬프아웃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에 따르면 그것이 형성되는 소재의 블랭크로부터 스탬프된다. 따라서 터미널(2)은 단일 구조물이다. 선택적으로,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는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바디(4)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돌출부(12) 및 락킹부재(6)도 개별적으로 즉 단일 구조물이 아니게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함께 조합되어 단일 구조물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와 함께 조합되어 바디(4)에 고정될 수 있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 또는 빔 구조물 형태로 탄력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의 말단부(42) 또한 컨택부를 형성한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는 절연 와이어의 노출된 도체 또는 비절연된 와이어의 도체 또는 유사한 단면을 갖는 컨택트에 접촉하기 위한 와이어 트랩(wire trap)을 규정한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터미널의 선택적 실시예가 도시되며 터미널(14)은 다수의 개구(24)를 통해 연장하는, 다수의 빔부(20) 및 다수의 락킹단(22)을 갖는 다수의 락킹부재(18)를 갖는 바디를 포함한다. 빔부(20) 및 락킹단(22)은 바디(16)로부터 컷아웃 또는 스탬프아웃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4)은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를 포함하는 반면에 도 5에서 터미널(14)은 와이어 크림프 접속부(29)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여, 터미널(14)의 핀단부가 플랫 블랭크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빔부(20) 및 락킹단(22)는 그 형성 이전에 바디(16)로부터 스탬프된다. 도 6을 보면 락킹단(22)이 빔부(20)보다 더 넓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도 5의 구조물로 스탬프되어 형성될 때, 락킹단(22)은 스탬프된 개구(24)의 전방엣지(25)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빔부(2)가 스탬프되는 개구(24)보다 빔부(20)가 더 길게 되도록 락킹부는 빔부(20)를 스트레칭하고 컴프레싱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빔부(20)가 형성되면, 락킹단(22)은 엣지(25)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락킹부재(18)의 강직(rigidity)을 강화 또는 백업하는데 도움이 된다.
동시에, 안쪽으로 편향될 때 서로가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단은 빔부가 터치되는 위치를 향해 안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락킹단(22)이 개구(24)를 지나기 이전에 빔부(20)는 바닥이 서로 닿는다. 이것은 락킹단이 터미널 바디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빔부가 서로 접촉하고, 개구(24)를 통해 빔부를 되돌리기 위해 스프링이 빔부에 제공된다. 이것은 또한 빔부(20)와 바디(16)의 접속 지점의 밑바닥에서 과도한 응력을 방지한다.
전술한 개별적인 구성요소들과 함께, 전기 터미널(2)의 일실시예의 기능이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이하에 상술되는 기능은 다른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커넥터 하우징(36)은 터미널(2 또는 4) 양쪽으로 위치될 수 있는 캐비티 또는 채널(37)을 갖는다. 채널(37)은 커넥터 하우징(36)의 양단(52, 54) 사이에 위치하는 제1숄더(38) 및 제2숄더(40)와 같은, 감소된 단면 영역을 가지며, 감소된 단면 영역은 채널(37)의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하는 돌출부 형태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터미널(2)이 하우징(36)에 삽입되고, 락킹숄더(8)(도 2)는 제1숄더(38)와 접하고 돌출부(12)는 제2숄더(40)에 접한다. 락킹숄더(8)는 엣지(11)에 의해 강직해지고(rigidified), 터미널(2)의 하우징(36)으로의 락킹 계합을 강화시킨다.
커넥터 하우징(36)내의 터미널(2)의 설치 위치에 이르기 위해, 락킹부 또는 락킹부재(6)에 인접한 단부(46)가 커넥터 하우징(36)의 단부(52)로 향한다. 단부(46)와 락킹부재(6)는 돌출부(12)가 숄더(40)에 접할때까지 숄더(38, 40) 사이에 규정된 감소된 단면 영역을 통해 안쪽으로 통과한다. 돌출부(12)가 제2숄더(40)에 접하기 바로 이전에, 감소된 단면 영역 내부로 통과하기 위해 탄력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락킹부재(6)는 감소된 단면 영역을 빠져 나오고 이전의 비편향된 위치로 되돌려진다. 다시 말하면, 채널(37)의 감소된 단면 영역을 통과하면 즉 제1숄더(38)를 지나서 연장되면, 락킹부재(6)의 끝(tip)은 비편향된 위치로 되돌려지거나, 또는 채널(37)에 의해 방해받지 않게 연장되도록 되돌려진다.
락킹부재(6)가 비편향된 위치로 되돌려지면, 락킹부재(6)는 설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터미널(2)의 이동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채널(37)내의 위치에 터미널(20)을 락킹한다. 도체(50) 일부가 연장되는 부분적으로 스트립된 와이어(48)가 커넥터 하우징(36)의 단부(52)쪽을 향해 채널(37)안으로, 터미널(2, 14)의 단부(44)쪽을 향해 터미널의 채널(32)안으로 배향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재(6)는 터미널(2, 14)안으로 도체(50)가 더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로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도체(50)가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를 지나서 향할때,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는 도체(50)에 의해 탄력적으로 편향된다. 탄력적인 편향에 의해,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는 도체(50)와 컨택트 그립핑 요소 반대쪽의 채널(32) 표면에 압력을 가하고, 커넥터 하우징(36)내로의 설치와 반대 방향으로 도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트랩을 얻게된다.
달리 설명하면,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은 채널(32)로 탄력적으로 편향된다. 절연 와이어(48)는 도체(50)가 노출되도록 준비될 수 있고, 개구단(44)을 통해 전기 터미널(2, 14)의 채널(32)로 삽입될 수 있으며,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의 말단 접촉부 또는 단부(42)는 도체(50)상에 컨택트 그립핑력과 접촉력을 가하도록 반경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된다.
종방향 봉합부(34)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를 반경방향으로 가로질러 위치되며, 봉합부가 약간 개방되고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의 길어진 빔부내의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디(4)는 전기 도체가 채널(32)로 삽입될 때 컨택트 그립핑 요소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는 전기 도체(50)상에 컨택트 그립핑 접촉력을 가한다.
그러나, 다른 터미널 실시예에서, 봉합부(34)는 더 좋은 유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도체(50)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8의 실시예의 터미널은 숄더(38)에 인접 위치된 락킹단(22)과 숄더(40)에 인접한 돌출부(26)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하우징(36)에 락킹될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디의 외부로 연장하고, 뒤집혀서 돌출하는 락킹단을 가지며, 선택적인 락킹숄더를 형성하는 빔(20)으로 락킹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14는 커넥터 하우징(136)에 락킹되며 와이어(48)의 도체(50)를 락킹하며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터미널(5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 터미널(56)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기 터미널(2, 14)와 유사하다. 전기 터미널(56)의 이러한 구조적 차이점은 커넥터 하우징에 도체가 설치되는 것과 반대의 단부로부터 커넥터 하우징(136)에 전기 터미널(56)이 설치되는 것을 허용한다는 점이다. 도체(50)와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기 터미널(56)때문에, 커넥터 하우징(136)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와이어(48)를 당겨서 전기 터미널(56)로부터 도체(50)를 제거하려는 시도와 관련된 힘이 가해질 때 전기 터미널(56)은 커넥터 하우징(136)내에서의 락킹 유지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를 단부(44)쪽으로 향하게 하고 도체(50)가 정지부(62)에 접할때까지 채널(32)에 진입시킴으로써 절연 와이어(48)의 도체(50)가 전기 터미널(56)내에 설치된다. 정지부(62)는 채널로 안쪽으로 편향된 탭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부(46) 또한 채널(32)내의 도체(50)의 추가적인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감소된 단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체(50)가 정지부(62)에 접하기 이전에, 도체(50)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의 말단부(42)와 탄력적인 압축 접촉된다. 일실시예에서,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넥 또는 감소된 단면 영역(60)으로 인해, 압축 접촉이 이뤄지게 되거나 또는 압축 접촉의 크기(magnitude)가 증가된다. 이러한 감소된 단면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원형(circular)이나, 필요한 경우에는 원형이 아니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는 채널(32)내의 중앙축과 같은 축(58)에 대해 일정 각도(66)로 배치되며, 단부(42)는 전기 터미널(56)의 단부(46)를 향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각도(64)는 약 35도이며,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는 직선 또는 선형(noncurved) 프로파일을 규정한다. 다른 예에서, 각도(64)는 약 20도에서 50도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각도(66)에 추가적으로,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의 단부(42)는 도체 유지를 개선하기 위해 두께가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두께 감소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의 표면(70)으로부터 약 30도의 각도(64)에서 형성되는 챔퍼(chamfer)에 의해 이뤄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챔퍼의 각도(64)는 적어도 20도이나, 약 20도에서 50도 사이의 범위를 갖는 다른 크기의 각도도 가능하며, 20도보다 작거나 50도보다 큰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챔퍼는 평면 표면을 야기하는 소재의 제거 또는 형성에 의하지만, 단부(42)의 두께 감소를 야기하는 소재의 제거 또는 형성은 단부(42)에 인접한 비평면, 곡선 표면을 갖는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한다. 또한, 단부(42)의 감소된 두께의 크기는 컨택트 그립핑 요소(28)를 구성하는데 사용된 원래 소재 두께의 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 보다 작은 비율의 감소도 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두께는 약 0.007에서 0.003 인치(inch) 사이이다.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의 단부(42)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스키핑(skipping)으로 알려진 상태가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터미널(2)내의 도체(50)의 설치 방향과 반대로 축방향힘(axial force)이 가해질때 도체(50)의 표면과의 물리적 접촉을 유지할 수 없을 때 스키핑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축방향 제거힘이 가해질때, 단부(42)는 도체(50)를 적절히 계합시킬 수 없고, 터미널(2)로부터 도체(50)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날카로운(keen) 또는 뾰족한(pointed) 엣지로 단부(42)를 예리하게 제조할 정도로 감소시킬 필요는 없지만, 단부(42)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은 도체(50) 유지를 강화시키는데 도움이된다. 또한, 날카로운 또는 뾰족한 엣지로 단부(42)를 예리하게하는 것은 단부(42)가 갈라지게 하고 도체(50)에 가해지는 축방향 제거힘에 의해 도체(50)를 절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날카로운 또는 뾰족한 엣지를 갖는 단부(42)와 연관된 축방향 제거힘은 날카로운 또는 뾰족한 엣지로 예리하게되지 않은 두께가 감소된 단부(42)와 연관된 축방향 제거힘보다 더 작다.
단부(42)의 감소된 두께, 챔퍼의 각도(64) 크기, 각도(66) 크기의 실제 치수는 전기 터미널(56)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소재, 전기 터미널의 상기 소재의 두께, 컨택트 그립핑 요소의 길이 및 넥(60)의 압축량, 다른 소재 또는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파라미터들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하는 것은 도체(50)의 최적화된 유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도체(50)의 제거와 연관된 충분한 힘들은 컨택트 그립핑 요소가 도체(50)로부터 그 유지를 해제하는 것에 비해, 컨택트 그립핑 요소(28) 자체를 붕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단부(42)는 직선 또는 선형으로 도시되었지만, 비선형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한다.
커넥터 하우징(136)에 터미널(56)이 설치 위치에 있도록, 컨택트 그립핑 요소(28)에 인접한 단부(44)가 커넥터 하우징(136)의 단부(54)로 향해진다. 도 14에 도시된 숄더(68)와 같은 감소된 단면 영역에 단부(44)가 접할때까지 단부(44)는 채널(37)내부로 더 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단부(44)는 충돌없이 채널(37) 내부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그 틈(clearance)은 작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러한 최소의 틈때문에, 전기 터미널(56)의 단부(44)는 버클링(buckling)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되며, 커넥터 하우징(136)의 단부(52)를 통한 터미널 제거를 위해 숄더(68)를 지나서 터미널을 압박(urging)함으로써 터미널(56)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의 양을 증가시킨다. 커넥터 하우징의 단부(54)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136)으로부터의 전기 터미널(56) 제거를 방지하는 것은 채널(37)의 표면과 계합하는 하나 이상의 락킹부재(6')이다. 락킹부재(6')의 단부는 효과적으로 에워싸게되고(entrenched), 컨택트 그립핑 요소의 단부(42)와 유사한 방식으로 채널(37)의 표면과 계합한다.
도 11, 14 그리고 15 내지 19를 참조하여,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 사이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일실시예가 나타나있다. 전기 터미널(56)은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를 통한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 과 터미널(56)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특징들을 포함한다.
도 11, 14, 18 그리고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36)은 터미널(56)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37)을 규정하는 대향 단부들(54, 52)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널(37)은 터미널(56)을 수용하는 종방향축(144)을 포함하며, 다른 터미널(56)은 축(144)에 평행한 배향으로 다른 채널(37)에 배치된다. 단부(54)에 인접한 커넥터 하우징(136)의 일부는 커넥터 하우징(136)의 터미널(56)이 오직 커넥터 하우징(138, 도 15)의 터미널(56)과 결합되도록 보장하는 키잉 배치부(keying arrangement)(152)를 규정한다. 커넥터 하우징(136)은 하나 이상의 곡선 부분들과 같이, 단부(54)를 지나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확장부(15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150)는 커넥터 하우징(138)의 단부(140)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공간이 떨어져있고 커넥터 하우징(136)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대향하는 한쌍의 곡선부를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136)은 대향하는 한쌍의 비-캔틸레버 탄력부(non-cantilevered resilient portions)(146, 도 14)를 더 포함하며, 비-캔틸레버 탄력부(146) 각각은 그립핑부(168)를 포함한다. 비-캔틸레버 탄력부(146)는 단부(52)와 피벗부(170, 도 14) 사이에 배치되며, 커넥터 하우징(136)의 베이스(148)로부터 비-캔틸레버 탄력부(146)의 대향 단부들을 제외한 모두를 분리시키는 갭(172)을 갖는다. 커넥터 하우징(136)의 단부(52)에 인접하여 개구(174)가 비-캔틸레버 탄력부(146)의 단부에 형성된다. 커넥터 하우징(136)의 베이스(148)쪽으로의 비-캔틸레버 탄력부(146) 각각의 미드 스팬(mid-span) 탄성 변형(elastic deformation)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 그립핑부(168)에 가해져야 하는 압축력의 크기를 개구(174)가 감소시킨다. 커넥터 하우징(136)의 단부(52)와 반대인 비-캔틸레버 탄력부(146) 각각의 단부는 베이스(148)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단부를 갖는 피벗부(170, 도 14)에 고정된다. 피벗부(170)의 단부에서, 피벗부(170)는 베이스(148)로부터 일정 거리로 떨어져 있는 플랜지(flange)(156, 도 11, 14, 19)로 연장한다. 플랜지(156)는 베이스(148)를 향해 안쪽으로 연장하는 리테이너(retainer)(158, 도 14, 19)를 포함한다. 리테이너(158)는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을 결합 또는 접속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138)에 형성된 대응하는 리테이너(164, 도 15, 19)와 계합한다.
비-캔틸레버 탄력부(146)에 가해지는 압축력으로 인해, 베이스(148)를 향한 비-캔틸레버 탄력부(146) 각각의 탄성 변형은 커넥터 하우징(136)의 단부(52)를 향해 피봇부(170)를 피봇식으로 압박한다. 피봇부(170)의 피봇 이동에 대응하여, 피봇부(170) 반대의 플랜지(156)의 단부는 커넥터 하우징(136)의 베이스(148)로부터 떨어지도록 압박된다. 리테이너(158)의 충분한 이동은 커넥터 하우징(138, 도 19)의 리테이너(164)로부터 리테이너(158)를 해제하고,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이 서로 접속해제되는 것을 허용한다. 커넥터 하우징(138)의 그립핑부(166)를 움켜쥠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136)의 그립핑부(168)에 압축력이 가해지는 동안, 축(144, 도 11, 15)에 평행한 분리력(separation force)이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 서로를 접속해제하고 분리한다.
도 15 내지 17, 19를 참조하여, 커넥터 하우징(138)은 터미널(56)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37)을 규정하는 대향 단부들(140, 142)을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 채널(37)은 터미널(56)을 수용하는 종방향축(144)을 포함하며, 다른 터미널(56)은 축(144)에 평행한 배향으로 다른 채널(37)에 배치된다. 단부(140)에 인접한 커넥터 하우징(138)의 일부는 커넥터 하우징(138)의 터미널(56)이 오직 커넥터 하우징(136, 도 11)의 터미널(56)과 결합되도록 보장하는 키잉 배치부(154)를 규정한다. 커넥터 하우징(138)은 단부(140)와 단부(142)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하는 곡선부들(160)을 포함하며, 하나의 곡선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곡선부들(160)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 배치된 것은 릿지(ridge)(162)이다. 단부(140)에 인접한 릿지(162)내에 리테이너(164)가 형성되며, 리테이너(164)는 곡선부들(160)의 인접 단부들에 대해 리세스(recess)된다. 리테이너(164)는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이 접속위치에 있을 때 고정되도록 커넥터 하우징(136)의 리테이너(158)와 계합한다.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새로운 구조는 서로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블라인드 어셈블리(blind assembly)"를 허용한다. "블라인드 어셈블리" 라는 용어는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을 계합 또는 접속시키려고 시도할 때 설치자(installer)가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필요없이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이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설치자가 특수한 재능을 갖지 않는 한, 공지된 커넥터 하우징 구조에서 블라인드 어셈블리를 달성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 커넥터 하우징들은 동시에 축정렬 및 키잉 배치 정렬을 요하기 때문에, 시각적 인지를 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발명의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 역시 동시에 축정렬 및 키잉 배치 정렬을 요하지만, 본발명의 확장부(50, 도 11, 14, 19) 설비는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부분적인 예비 조립(partial preliminary assembly) 또는 집결위치(staging position)를 제공하며, 이것은 공지된 구조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것이다. 종방향축(144)을 따라 측정되어 확장부(150)의 단부(178)에 대해 커넥터 하우징(136)의 단부가 리세스되기 때문에 상기 집결위치가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확장부(150)의 단부(178)가 커넥터 하우징(136)의 단부(54)를 지나서 종방향으로 확장하기 때문에, 확장부(150) 내부로 커넥터 하우징(138)의 단부(140)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거나 또는 부분적 삽입을 허용한다. 이러한 부분적 삽입때문에,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결합 단부들(54, 140)이 접촉될 수 있고 설치자에 의해 접촉이 쉽게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도가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인 예비 조립이 이뤄지면, 확장부(150)의 내부 표면에 의해 규정되는 큰 타원형 슬롯에 의해 수용되는 타원형 슬롯을 규정하는 곡선부들(160)때문에,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단부들(54, 140)은 축정렬로 가이드된다. 그러나, 축정렬에 추가적으로,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접속을 이루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키잉 배치부(152, 154)(도 11, 15) 역시 정렬되도록 가이드되어야만 한다. 즉,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듯이, 부분적인 예비 조립이 이뤄지면, 키잉 배치부(152, 154)(도 11, 15)는 정렬되거나(극히 우연히) 또는 오정렬된다. 키잉 배치부(152, 154)가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을 직접 볼 필요없이, 보통의 기술을 가진 설치자라면 커넥터(138)의 단부(142)에 대해 커넥터 하우징(136)의 단부(52)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키잉 배치부(152, 154)가 바르게 정렬되지 않았다면, 설치자는 단순히 축(144)(도 11, 15)에 평행한 종방향축에 대해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중 하나를 회전시키면 된다.
선택적으로, 설치자는 축(144)(도 11, 15)에 평행한 종방향축에 대해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 둘다를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키잉 배치부(152, 154)의 정렬을 제공하는 종방향축에 대한 회전(들)이 완료되면, 축정렬을 이루기 위한 조작이 수행되고,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접속이 허용된다.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회전(들)중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단부(54, 140)들의 계속적인 물리적 접촉이 유지될 때, 축정렬을 이루기 위해 미세하고(subtle), 쉽게 수행되는 조작(manipulation)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단부(54, 140)들 사이의 계속적인 물리적 접촉이 유지되지 않을때 또는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회전(들)중에 전혀 접촉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해도, 확장부(150) 내부 커넥터 하우징(138)의 단부(140) 사이의 충분한 부분적인 예비 조립을 유지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 사이의 축정렬이 유지된다.
부분적인 예비 조립을 허용하지 않는 두번째 키잉 배치를 제공하기 위해, 릿지들(162, 도 15)의 폭 또는 각의 배치는 서로에 대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종방향축 회전은 부분적인 예비 조립을 허용한다.
결론적으로, 확장부(150)는 커넥터들의 시각적 인지를 요하지 않으면서 접속을 위한 추가적인 안정도를 제공하는 부분적인 예비 조립을 허용한다. 이러한 기능은 라이트가 부족하거나 극히 제한된 설치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다. 커넥터 하우징으로 향하는 와이어들이 결정되면, 양손에 하나의 와이어를 잡는 것이 가능하고, 커넥터 하우징이 양손에 정지될때까지 양손을 통해 와이어들을 슬라이딩한다. 커넥터 하우징이 양손에 위치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들은 쉽게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 도움없이도 커넥터 하우징들을 위치시키고 조립하거나 접속/계합 또는 접속해제/분리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일이다.
확장부(150)(도 11)가 곡선부(160)(도 15)에 맞춰지는 한쌍의 곡선 부재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조적 형태와 다른 부재들, 즉 하나 또는 3 이상의 부재들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다른 이점들은,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의 외부 표면(176)(도 19)은 외부 표면(176)과 물리적 접촉을 일으키는 일부 요소들을 우연히 캡쳐할 수 있는 외부적 피처들이 없다는 것이다. 일예에서, 형광등 설비와 같은 배선을 요하는 부품과 커넥터 하우징들(136, 138)이 조립될 수 있다. 즉, 형광등 설비가 설치될 곳으로 시설 와이어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와이어와 함께, 형광등 설비는 와이어와 전기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라이트 설비 어셈블리와 연관된 커넥터 하우징들에 의해 캡쳐되는 하나의 라이트 설비로부터 와이어링과 연관된 문제점들이 있을 수 있으며, 와이어링, 커넥터 하우징들 또는 라이트 설비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손상을 입힐 수 있다. 공지된 커넥터 하우징들은 와이어들을 캡쳐할 수 있는 캔틸레버 부분들과 같은 피처들을 갖는다. 본발명의 조립된 커넥터 하우징들은 조립된 커넥터 하우징들과 물리적 접촉을 일으키는 일부 요소들을 우연히 캡쳐할 수 있는 외부 피처들이 없다. 조립된 또는 접속된 커넥터 하우징들의 외부 피처들이 플랫 프로파일이 아닐 수도 있지만, 조립된 커넥터 하우징들과 물리적 접촉을 일으키는 다른 요소들을 우연히 캡쳐하는 턱(jutting) 또는 돌출면 또는 노출된 갭(gap)을 갖지 않는다.
본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발명의 범위 및 의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실시예들, 변경, 변화가 존재한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 포함되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Claims (10)

  1.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축을 따라 접속가능한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 -각각의 전기 커넥터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고 치수가 정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와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의 접속 중에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의 전기 터미널은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의 대응하는 전기 터미널과 물리적 접촉을 이룸- 와,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와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의 접속 중에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와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의 배향(orientation)을 보장하도록 분극하는(polarizing) 제1 키잉 배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단부를 지나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를 축정렬하기 위해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축정렬은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의 대응하는 전기 터미널들 사이에 물리적 접촉이 있기 이전에 이뤄지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주변(periphery)을 따라 연장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적어도 2개의 부재(member)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곡선 부재(curved member)를 규정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의 제1단부는 곡선부(curved portion)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 배치된 비-캔틸레버 탄력부(non-cantilevered resilient portions)를 포함하며, 상기 비-캔틸레버 탄력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에 형성된 리테이너(retainer)가 상기 제2 전기 커넥터에 형성된 리테이너와 분리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캔틸레버 탄력부는 그립핑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는 제2 키잉 배치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사이에 배치된 그립핑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0. 삭제
KR1020117001069A 2006-09-14 2007-09-07 와이어 트랩을 갖는 전기 컨택트 KR101043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32,075 US7462079B2 (en) 2005-11-14 2006-09-14 Electrical contact with wire trap
US11/532,075 2006-09-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288A Division KR101043512B1 (ko) 2006-09-14 2007-09-07 와이어 트랩을 갖는 전기 컨택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572A KR20110013572A (ko) 2011-02-09
KR101043447B1 true KR101043447B1 (ko) 2011-06-23

Family

ID=391677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288A KR101043512B1 (ko) 2006-09-14 2007-09-07 와이어 트랩을 갖는 전기 컨택트
KR1020117001069A KR101043447B1 (ko) 2006-09-14 2007-09-07 와이어 트랩을 갖는 전기 컨택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288A KR101043512B1 (ko) 2006-09-14 2007-09-07 와이어 트랩을 갖는 전기 컨택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462079B2 (ko)
JP (1) JP2010503963A (ko)
KR (2) KR101043512B1 (ko)
CN (1) CN101529663B (ko)
CA (1) CA2662637C (ko)
MX (1) MX2009002750A (ko)
WO (1) WO20080332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2837A1 (de) * 2008-07-14 2010-01-2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vorrichtung
CN102025064B (zh) * 2009-09-17 2013-01-3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插孔及使用该转接插孔的滤波电连接器
EP2302744B1 (en) * 2009-09-24 2012-06-20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ctrical socket with supporting element, electrical plug with deformation pocket and plug assembly with at least one socket and one plug as well as a method for connecting a plug and a socket
JP5359975B2 (ja) * 2010-04-07 2013-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DE102010036868B3 (de) * 2010-08-05 2012-01-0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Grundkörper für einen 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er
CN102723628B (zh) * 2011-03-30 2015-03-25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源端子及电源连接器
US8480412B2 (en) 2011-06-21 2013-07-09 Lear Corporation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US8864535B2 (en) * 2012-08-13 2014-10-2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ke-in contact with multiple contact sections to accept and terminate a respective wire from varied directions
DE102013222142A1 (de) * 2013-10-30 2015-04-30 Tyco Electronics Amp Gmbh Dichtungsschonendes Kontaktelement mit einem Lagesicherungselement
CN203721910U (zh) * 2014-03-06 2014-07-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连接导线的电连接器
US20150286402A1 (en) * 2014-04-08 2015-10-08 Qualcomm Incorporated Live non-visual feedback during predictive text keyboard operation
US9647368B2 (en) * 2014-09-22 2017-05-09 Ideal Industries, Inc.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ors
CN105552605A (zh) * 2014-10-22 2016-05-04 西蒙独资有限公司 用于电连接的快接端子装置
GB2546081B (en) * 2016-01-06 2019-08-14 Amphenol Ltd Pin for adapting electrical connectors, and a kit of parts inlcuding same
US10454232B2 (en) * 2016-05-04 2019-10-2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Terminal locator for a terminal crimping device
US10003152B1 (en) * 2017-01-25 2018-06-1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verse-gender pin contact for use with a connector having a high density layout
CN207638110U (zh) * 2017-05-23 2018-07-20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和同轴连接器
CN110212335B (zh) * 2018-02-28 2024-09-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微型电机、电连接器和连接端子
DE102020003770B4 (de) 2020-06-19 2023-06-29 Sbs Massenbachhausen Verwaltungs Gmbh Elektrischer Kontakt
JP1738021S (ja) * 2021-06-01 2023-03-01 電気接触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4876A (en) 1975-10-15 1978-04-1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6261134B1 (en) 1995-10-20 2001-07-1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One-piece hooded socket contac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6890192B2 (en) 2002-05-09 2005-05-10 Tyco Electronics Amp K.K. Sequential connection-type connector and additional contact used in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9214A (en) 1960-01-18 1962-10-16 Watts Electric & Mfg Co Connector structure
US3325775A (en) 1965-11-08 1967-06-13 Alfred M Zak Electrical terminal
NL137554B (ko) * 1966-03-25
US3621445A (en) 1969-02-13 1971-11-16 Molex Products Co Printed circuit board lead wire receptacle
US3748634A (en) 1971-09-09 1973-07-24 Bead Chain Mfg Co Hollow contact pin with wire wrap termin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975072A (en) 1974-04-15 1976-08-17 Elfab Corporation Low profile integrated circuit connector and method
US4498719A (en) 1977-12-27 1985-02-12 Allied Corporation Environmental connector assembly
DE2808671A1 (de) 1978-03-01 1979-09-06 Walter Esser Kunststoff Spritz Federelement in einem isoliergehaeuse
DE2811774A1 (de) * 1978-03-17 1979-09-20 Bunker Ramo Elektrischer buchsenkontakt
FR2579375B1 (fr) 1985-03-19 1991-05-03 Souriau & Cie Connecteur electrique a element de contact en materiau a memoire de forme
US4729740A (en) 1986-12-12 1988-03-08 Amp Incorporated Fluorescent ballast having integral connector
JP2537467Y2 (ja) * 1993-07-06 1997-06-04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電線接続器
GB2294817B (en) 1994-11-01 1998-08-05 Whitaker Corp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ical terminal therefor
US20040084876A1 (en) * 1997-08-22 2004-05-06 Losee Jerry Lee Docking guidance indicator
US6019521A (en) 1998-02-09 2000-02-01 The Whitaker Corporation Optical fiber connector
US6428343B1 (en) 2001-03-16 2002-08-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ower conductors
JP2002324638A (ja) * 2001-04-26 2002-11-08 Jst Mfg Co Ltd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DE20119530U1 (de) 2001-12-01 2002-04-18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32339 Espelkamp Elektrisches Kontaktelement
DE20202788U1 (de) 2002-02-22 2002-05-23 Visplay Ip Ag, Muttenz Steckverbindung mit einer in eine Hülse einsteckbaren Stütze
DE10253858B4 (de) 2002-11-19 2004-09-16 Gerd Conrad Anschlußklemmelement und damit gebildete Anschlußklemme
US6893277B2 (en) * 2003-02-26 2005-05-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quib connector assembly with CPA
US7160133B2 (en) * 2004-09-01 2007-01-09 Gencsus Nurse call connector system and method
US7118429B1 (en) 2006-01-31 2006-10-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with wire tr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4876A (en) 1975-10-15 1978-04-1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6261134B1 (en) 1995-10-20 2001-07-1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One-piece hooded socket contac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6890192B2 (en) 2002-05-09 2005-05-10 Tyco Electronics Amp K.K. Sequential connection-type connector and additional contact used in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11612A1 (en) 2007-05-17
CA2662637C (en) 2012-03-20
CA2662637A1 (en) 2008-03-20
WO2008033258A2 (en) 2008-03-20
CN101529663B (zh) 2013-07-24
JP2010503963A (ja) 2010-02-04
US7993154B2 (en) 2011-08-09
WO2008033258A3 (en) 2008-09-04
KR20110013572A (ko) 2011-02-09
KR101043512B1 (ko) 2011-06-23
KR20090048503A (ko) 2009-05-13
CN101529663A (zh) 2009-09-09
WO2008033258A9 (en) 2008-07-24
MX2009002750A (es) 2009-05-12
US7462079B2 (en) 2008-12-09
US20110021085A1 (en)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447B1 (ko) 와이어 트랩을 갖는 전기 컨택트
KR101797249B1 (ko) 커넥터 단자 위치 보장 장치
US3409867A (en) Detachable electrical connectors
US7985106B2 (en) Female type terminal pin
US2015005083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Retention Force
EP1111728A2 (en) Connector with an improved guide portion for guiding connection of the connector and an object to be connected thereto
US4252399A (en) Electrical socket contact
JP3763574B2 (ja) コネクタ
US7198526B1 (en) Low-profile flag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7118404B2 (en) Insulation cutting and displacing contact element
US20150249295A1 (en) Disconnect with enhanced electrical contact
JP273825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7118429B1 (en) Electrical contact with wire trap
US20190379146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grounding coupling nut
US10910737B2 (en) Rail terminal assembling structure
US7419401B2 (en) Terminal contact for electric conductors
CN110649410B (zh) 端子金属配件
US6033262A (en) Contact spring
JP2014093197A (ja) 雌端子及びその成形方法
US7270581B2 (en) Contact termination member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CA2594016A1 (en) Contact termination member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US9780477B1 (en) Box terminal with insertion limiter
JP2561030Y2 (ja) 差込み型コネクタ
GB2050712A (en) Self-stripping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H07176339A (ja) 電気接続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