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투명기재 상부에 복굴절성 해도사로 이루어진 편광층 및 기공부가 형성된 광확산층으로 이루어진 고휘도 복합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을 위한 제1태양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1태양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는
투명기재(10),
상기 투명기재(10) 상부에 10 내지 500㎛ 두께로 형성된 복굴절성 해도사(30)로 이루어진 편광층(50) 및
상기 투명기재(10) 하부에 0.1 내지 3 mm 두께로 기공부가 형성된 광확산층으로 이루어진 고휘도 복합플레이트이며, 상기 기공부가 형성된 광확산층은 중공사가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중공사층(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공사층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스티렌과 메타크릴산메틸과의 랜덤공중합체 수지(MS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중공사로 이루어지며, 중공사 제어가 가능하도록 5 내지 30㎛의 직경을 갖는다. 여기서 중공사는 단면상 내부가 빈(Hollow) 형태의 섬유를 의미하며, 단면의 형상은 원형, 삼각, 사각 및 기타 이형단면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공부를 형성하는 중공사의 중공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며, 적절한 중공율과 중공사의 형태안정성을 고려할 때 10 내지 90%이다. 한편, 중공사의 형태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공정 중 압착에 의해 중공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상기 중공율은 15 내지 50%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사는 투명기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을 위한 제2태양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기재(10),
상기 투명기재(10) 상부에 10 내지 500㎛ 두께로 형성된 복굴절성 해도사(30)로 이루어진 편광층(50) 및
상기 편광층(50)을 제외한 투명기재(10) 전면(全面)에 기공부가 형성된 광확산층으로 이루어진 고휘도 복합플레이트로서, 상기 기공부가 형성된 광확산층이 발포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에어버블층(7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버블층의 기공은 발포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발포 방법으로는 압출기에서 폴리머가 용융될 때 직접 가스를 주입하는 방식과, 압출기 내부에서 특정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화학적인 반응이 일어나면서 기포가 발생되는 화학발포 방식이 이용된다. 화학발포 방식에서는 흡열성 화학반응형 발포제인 중탄산나트륨 (Sodium bicarbonate), 구연산, 구연산 염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발포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공 형성을 위한 발포 과정에서, 본 발명에서는 발포제와 더불어 증점제 또는 사슬 연장제(chain extender)를 사용할 수 있다. 발포제에 의해서 형성되는 기공의 형태 및 크기를 미세한 구형 기포로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압출기에서 용융되 는 수지의 점도가 높아야 하기 때문에 에폭시 기능성기를 가지는 첨가제 및 파이로멜리틱 엔하이드라이드(Pyromellitic di-anhydride), 트리메릴틱 엔하이드라이드(Trimellitic anhydride)와 같은 사슬연장제를 사용한다.
사슬연장제의 함량이 많아지면, 광학적으로는 이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불리하므로 최소의 함량에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물질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 이내의 함량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에어버블층의 기공은 에어버블층 전체 부피의 10 ∼ 50% 범위로 형성되며, 0.1 ∼ 50 ㎛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버블층의 중공 직경이 0.1㎛ 미만이면, 투과광에 색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휘도가 낮아지기 쉬우며, 50㎛를 초과하면, 기공이 육안상에서 결점으로 인식되어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을 위한 제3태양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투명기재(10),
상기 투명기재(10) 상부에 10 내지 500㎛ 두께로 형성된 복굴절성 해도사(30)로 이루어진 편광층(50),
상기 투명기재(10) 하부에 0.1 내지 3 mm 두께로 형성된 기공부로 이루어진 중공사층(60) 및
상기 편광층 및 중공사층을 제외한 투명기재(10) 중앙부에 에어버블층(70)이 분산되어 형성된 고휘도 복합플레이트이며, 상기 기공부로 이루어진 중공사층(60)이 5 내지 30㎛의 직경과 10 내지 90%의 중공율을 가지며, 에어버블층(70)은 중공 직경 0.1 내지 50㎛이고, 에어버블층 전체부피의 10 내지 50%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태양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1)의 전체 두께는 1∼5mm이며, 복굴절성 해도사(30)로 이루어진 편광층(50)의 두께는 10∼500㎛를 충족하도록 제작한다.
이때, 확산판 일체형 고휘도 복합플레이트의 두께는 광학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이내로 제작되어야 하나, 상기 두께가 1mm 미만이면, 박형으로 인하여 휨 신뢰성문제가 발생하고, 5mm를 초과하면, 복합플레이트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백라이트 유닛의 슬림화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태양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1)는 종래 백라이트 유닛에서 확산판 상에 다층으로 광학시트를 적층하지 않더라도 동등 이상의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표 1].
도 4는 본 발명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의 고휘도 원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30)로 이루어진 편광층(50)에 있어서 해성분과 도성분 간의 굴절율이 하기 식을 만족함으로써, 휘도 상승을 최적화한다.
┃n'x - nx┃> 0.1 (1)
┃n'y - ny┃< 0.05 (2)
┃n'z - nz┃< 0.05 (3)
(상기에서, n'x는 도성분의 연신방향(x축 방향)의 굴절율이고, n'y 및 n'z는 상기 연신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y방향 및 z방향의 굴절율이고, nx, ny 및 nz는 해성분의 x축 방향, y방향 및 z방향의 굴절율이다.)
즉, 상기 굴절율 조건을 충족하면,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무편광된 빛은 연신방향과 수직인 편광(P편광) 부분만 복합플레이트(1)를 통과하여 패널에 도달하게 되고, 나머지 연신방향의 편광(S편광)은 아래로 반사되는데, 이 과정에서 확산판 또는 BLU 하부의 반사시트로부터 재귀 반사되면서 편광이 바뀌어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P편광 부분은 복합플레이트(1)를 통과하고, 나머지 S편광은 똑같은 원리로 리사이클링(Recycling)되면서 휘도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해도사(30)는 광학적으로 복굴절성을 가지며 광투과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며, 본 발명의 해도사(30)에서 해성분 또는 도성분 중 어느 하나는 등방성이고, 다른 하나가 이방성이여야 한다. 따라서, 해도사(30) 내부에 해성분 또는 도성분의 광학적 성질이 상이하여, 해도사 내부에서 복굴절 계면을 형성하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휘도강화 효율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복굴절성 해도사(30)에서, 해성분은 등방성을 가지고, 도성분이 이방성을 가짐으로써,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무편광된 빛은 등방성인 투명기재(10)와 복굴절성 해도사(30)로 이루어진 편광층(50)의 굴절률에 의한 복굴절성 계면에 의해 휘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해도사의 내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해성분과 도성분간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복굴절성에 의해, P편광은 복합플레이트(1)를 통과하고, S편광은 리사이클링(Recycling)되면서 휘도가 상승되는 경로를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은 해도사 수십가닥을 꼬아 복합섬유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복굴절성 해도사 일부가 분산되어 제직된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도사의 해성분 및 도성분의 재질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 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 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UF), 멜라민(MF), 불포화폴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엘라스토머 및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의 복굴절성 해도사(30)는 해성분과 도성분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나, 광학적 성질이 다른 수지간의 조합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일례로, 해도사의 해성분은 등방성 co-PEN을 사용하고, 도성분은 복굴절성을 가지는 PEN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복굴절성 해도사(30)의 횡단면의 형상은 원형 및 타원형, 다각형 등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이형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도사 중 도성분의 횡단면 역시 형상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및 타원형, 다각형 등의 이형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도성분의 형상, 크기, 갯수 및 배치는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복굴절성 해도사(30)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해성분과 도성분의 면적비가 2:8 ∼ 8:2을 충족 해야 한다.
본 발명의 복굴절성 해도사(30)의 굵기는 0.3∼50 데니어이며, 상기 복굴절성 해도사(30)로 이루어진 편광층(50)의 두께는 10∼500㎛이 바람직하다. 이때, 10㎛ 미만이면, 편광층의 두께가 얇아 복굴절성 해도사로 인한 휘도 강화 효과가 미흡하고, 편광층의 두께가 500㎛를 초과하면, 휘도 강화 효과가 더 이상 올라가지 않고 포화(Saturation)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기공부가 형성된 광확산층에 의한 확산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투명기재 내에 통상의 광확산제를 포함한 확산판일 경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굴절로 인한 확산경로를 보인다. 반면에, 도 6은 투명기재 내에 통상의 광확산제가 아닌 에어버블이 형성된 확산판을 도시한 것으로서, 에어버블 경계면에서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되어 빛의 확산각도가 더욱 커지게 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에어버블의 굴절률이 1이므로 통상의 광확산제의 굴절율인 1.4 ∼ 1.6보다 투명기재와의 굴절율 차이가 훨씬 크기 때문으로,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되는 빛의 양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적은 양을 사용하더라도 동등이상의 확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기재 상부에 복굴절성 해도사로 이루어진 편광층을 형성하고, 투명기재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기공부가 형성된 광확산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복합플레이트는 복굴절성 해도사로 이루어진 편광층으로 인한 휘도 향상효과와 기공부 가 형성된 광확산층으로 인한, 확산향상 효과로 인하여, 종래 확산판 상에 다층의 광학시트 수를 줄이면서도 동등이상의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투명기재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기공부가 형성된 광확산층을 형성하여,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먼저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기공부의 확산효과 증가로 인한 램프의 휘선은폐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는 압출방법 및 핫프레스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를 압출법(Extrusion Process)에 의해 제조되는 주요공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태양 및 제3태양의 복합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발포제가 함유된 용융된 투명기재용 수지가 다이(74)를 통해 압출될 때, 상기 투명기재 하부에 중공사 섬유(71)가 위치하고, 복굴절성 해도사 섬유(72)가 투명기재 상부에 놓이도록 설계한 후, 동시 합지하고 롤러를 통과한 후, 냉각, 시트성형 공정으로 수행되어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태양의 복합플레이트 제조공정은 발포제가 함유된 용융된 투명기재용 수지가 다이(74)를 통해 압출될 때, 복굴절성 해도사 섬유(72)가 투명기재 상부 혹은 하부에 놓이도록 설계한 후, 합지하고 롤러를 통과한 후, 냉각, 시트성형 공정으로 수행되어 제조될 수 있다[미도시].
본 발명의 제2태양 및 제3태양의 복합플레이트에서 에어버블층의 형성방법은 압출기에서 폴리머가 용융될 때 직접 가스를 주입하는 방식과, 압출기 내부에서 특정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화학적인 반응이 일어나면서 기포가 발생되는 화학발포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발포에 의해서 형성되는 기공의 분산정도 및 크기의 제어를 위해서는 발포제와 더불어 증점제 또는 사슬 연장제(Chain extender)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의 다른 제조방법으로서, 핫프레스 방법(Hot Pressing)으로서, 본 발명의 제1태양 및 제3태양의 복합플레이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발포제를 이용하여 발포된 확산판(80)의 양면에 기재원단(83)을 도포하고, 상기 확산판(80) 상부에 위치한 기재원단(83) 상에 복굴절성 해도사 섬유(81)를 올리고, 상기 확산판 하부에 위치한 기재원단(83)에 중공사 섬유(82)를 올린 후, 상기 기재원단(83)이 용융되는 가열 및 가압조건에서 가열판(84)을 이용하여 양측에서 압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도 8].
또한, 본 발명의 제2태양의 복합플레이트 제조공정은 상기 발포제를 이용하여 발포된 확산판(80) 상에 해도사 섬유(81) 및 기재원단(83)을 순차적으로 올린 후, 상기 기재원단(83)이 용융되는 가열 및 가압조건에서 가열판(84)을 이용하여 양측에서 압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미도시].
본 발명의 핫프레스 방법에 의한 복합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핫 프레스로 열과 압력을 가하면, 기재원단이 녹으면서 섬유 속에 함침됨에 따라, 섬유와 확산판이 합지되는 것이다. 이때, 기재원단(83)은 투명기재와 동일 재질을 사용하고, 투명기재와 동일한 굴절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굴절율이 1.4∼2.0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투명기재는 광학용으로 사용 가능한 투명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스티렌과 메타크릴산 메틸과의 랜덤공중합체 수지(MS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는 휘도 상승 목적에 따라, 렌티큘러, 프리즘 또는 피라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렌즈패턴을 상기 고휘도 복합플레이트 상부표면에 더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LCD TV용 백라이트 유닛에서,
램프;
투명기재 상부에 10 내지 500㎛ 두께로 형성된 복굴절성 해도사로 이루어진 편광층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기재 하부 또는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공부가 형성된 광확산층으로 이루어진 고휘도 복합플레이트; 및
액정 패널;이 순차 적층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굴절성 해도사로 이루어진 편광층은 0.3 내지 50 데니어의 해도사 단독 또는 상기 해도사가 일부 분산되어 제직된 섬유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기공부가 형성된 광확산층은 중공사층 또는 에어버블층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인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중공사층일 경우에는 중공사 직경이 5 내지 30㎛, 중공율은 10 내지 90%이며, 에어버블층일 경우에는 중공 직경이 0.1 내지 50㎛, 에어버블층 전체부피의 10 내지 50%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휘도 복합플레이트를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함으로써, 종래 백라이트 유닛에서 확산판 상에 광학시트류 2 내지 3매로 이루어진 광학 부품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도 9].
또한, 종래 백라이트 유닛에서 확산판과 시트류 2∼3매를 조립할 때보다 복합플레이트 1매만 조립하므로, 시트류 조립시간을 3∼4배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확산판 일체형 복합플레이트 1매 구조로 대체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광학시트의 다층 조립 시, 시트간의 움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함으로써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고휘도 복합플레이트를 LCD TV용 백라이트 유닛에 구비함으로써, 고휘도를 구현하면서도 광학 부품의 조립과정을 단순화하여 공정비용을 절감하고 슬림화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