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32066B1 -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066B1
KR101032066B1 KR1020090095814A KR20090095814A KR101032066B1 KR 101032066 B1 KR101032066 B1 KR 101032066B1 KR 1020090095814 A KR1020090095814 A KR 1020090095814A KR 20090095814 A KR20090095814 A KR 20090095814A KR 101032066 B1 KR101032066 B1 KR 101032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raction
extract
resveratrol
co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499A (ko
Inventor
노문철
이우송
이승웅
박수진
장종선
류영배
권형준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9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066B1/ko
Priority to PCT/KR2010/006914 priority patent/WO2011043631A2/ko
Publication of KR2011003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0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스틸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식료품 및 개인위생용품에 관한 것이다.
호장근, 리노바이러스, 감기, 스틸벤계 화합물, 레스베라트롤

Description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ommon cold comprising extract or fraction from Polygonum Cuspidatum or stilbene compound}
본 발명은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스틸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식료품 및 개인위생용품에 관한 것이다.
감기(感氣, common cold)란 코, 목구멍, 기관지 등 호흡기 점막의 급성 염증성 질환이나 알레르기성 질환의 총칭으로서, 급성비염, 급성인두염, 급성후두염, 급성편도염, 기관지염, 그 밖의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증 등을 포함한다. 감기의 원인으로서는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 세균에 의한 감염, 한랭이나 먼지 등의 자극, 체온 분포의 불균형, 알레르기원 등이 원인이 되나 이들 중 한 가지만이 원인이 되는 경우는 적고, 대부분은 한랭이나 먼지의 자극, 체온 분포의 불균형 등의 복합적 인 원인이 되어 바이러스 감염이 일어나 감기가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기의 병원이 되는 바이러스는 50여종에 이르나, 주요한 것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호흡기 신시치아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등이다. 이들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은 콧물, 재채기, 기침, 발열이나 목이 아픈 증세 등 감기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는 공통점이 많아 이들을 통틀어 '감기'라고 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의학의 발달에 따라 원인 및 증상이 확실한 것은 인플루엔자, 알레르기성 비염 등과 같은 독립된 병명으로 부르는 경향이 생겨, 현재 감기라고 하면 좁은 의미의 감기, 즉 인플루엔자 외의 바이러스성 감기를 뜻한다.
감기와 독감은 특히 합병증에서 차이가 많이 난다는 점에서 구별되는데, 감기의 경우 리노바이러스, 독감의 경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주된 원인이다. 유행성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항원형에 따라 A, B, C 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데, 이 중 A형이 가장 항원 변이를 자주 일으키며 범세계적인 대유행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 중 90% 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여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데, 고열에 의한 오한과 근육통, 무기력증, 호흡기 통증, 두통, 복통 등을 수반하는 등 몸이 무겁고 괴로운 증상을 호소하게 되며, 면역 능력이 약한 어린이와 노인들에 대해 치사율이 높고, 합병증으로 폐렴, 심폐질환 등의 기관지 질환들을 수반하는 경우 치사율이 더욱 높아져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리노바이러스(Rhinovirus)는 성인 감기 원인의 30-35% 를 차지하며, 100 여가지의 항원형을 가지고 있다. 감염된 리노바이러스는 몸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상기도의 상피 세포에 4일~2주 붙어서 생존한다. 폐렴을 일으키고 감염자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독감 바이러스와는 달리, 리노바이러스는 콧물, 오한, 두통, 권태감 등의 증상을 유발하나 인체에 큰 해를 끼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사람과 공생하면서 사는 덕분에 쉽게 증식할 수 있으며 천식, 만성기관지염 등의 급성 호흡질환을 유발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리노바이러스는 초가을, 봄, 여름에 활발히 활동한다. 중합효소연쇄반응(PCR) 연구에 대한 조사에서는 일반 감기 증후군에 연루된 리노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실제 범위가 통상적인 세포배양기술을 통해 관찰된 것과 비교하여 최소 두 배가 높다고 한다(Johnsto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111-117, 1993). 이는 일반 감기에 걸린 모든 환자의 70-75% 까지가 단일 감염이나 공감염으로써 진행중인 리노바이러스 감염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 일반 감기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는 없다. 몇몇 제공된 치료는 일반 감기를 더 악화시키기도 하는데, 예컨대, 아스피린 및 아세트아미노펜의 투여는 일반 감기 치료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항체를 중화시키고 코기관 문제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Graham, J.Infect.Dis, 162:1277-1282, 1990). 경구알파-작용제는 많은 개체에게 충혈을 경감시킬 수 있고 항히스타민제는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실제 치료는 조사된 바 없다. 인조 가용성 수용체(artificial soluble receptors)로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은 기대했던 것 만큼 성공하지 못하였다(Hayden, Antiviral Res., 9:233-237, 1988). 인터페론으로 일반 감기 환자를 치료하는 여러가지 시도도 부정적이었다(Monto,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33(3):387-930, 1989; Sperber, J. Infectious Dis. 160:700-705, 1989). 최근에는 부착 부위를 통해 리노바이러스의 결합을 억제시키는 Plecarnil 도 역시 부정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감기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호장근(Polygonum Cuspidatum , Japanese Knotweed )은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라는 마디풀과의 다년초 식물로 한국, 일본, 타이완 및 중국 등지에서 분포한다. 호장근은 민간에서 이뇨, 통경제, 진정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완화, 이뇨, 통경, 화농성 피부염, 요도염, 방광염, 고혈압, 암, 동맥경화 등 여러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양권의 전통의학에서 이용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에서 감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검색하던 중, 호장근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레스베라트롤이 리노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기 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식료품 및 개인위생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기 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장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호장근 추출물을 얻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호장근 분쇄물을 건조 중량의 약 2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저급 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를 용출 용매로써 사용하고,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추출 기간은 약 12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3일 내지 7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로 1회 내지 5회 연속 추출하여 감압여과하고, 그 여과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감압농축하여 물,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호장근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감기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상기 호장근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며 호장근의 뿌리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호장근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은 호장근 추출물을 물로 현탁한 후 n-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함으로써 극성 용매 분획물과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체적인 일 양태로서 용매분획물로는 물 분획물, n-헥산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호장근 추출물의 분획물을 얻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얻은 호장근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현탁액의 약 1 내지 100배, 바 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에 걸쳐 비극성 용매 가용층을 추출,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 3rd Ed. p6-7, 1998). 구체적으로, 상기 호장근 조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등량의 n-헥산 및 클로로포름을 용매를 이용하여 연속 추출로 호장근 각 용매 가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호장근 조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동량의 n-헥산을 혼합한 후 분획하여 n-헥산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수가용성 분획물에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호장근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은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스틸벤계 화합물인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61790859-pat00001
본 발명의 호장근의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은 리노바이러스의 다양한 주(HRV-2, HRV-3)에 대하여 적은 농도에도 높은 항바이러스 효능을 보였다 (표 3). 또한, 호장근의 추출물 및 분획물은 각각 높은 함량의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보였 는데, 레스베라트롤은 높은 수준의 항리노바이러스 활성을 보였으므로(도 6 내지 도 8),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호장근 추출물 및 분획물 역시 감기의 예방 및 치료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레스베라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레스베라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레스베라트롤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이 포함된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콜(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 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레스베라트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레스베라트롤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 등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란, 감기의 예방 및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치료를 포함한다. 이는 또한 감기 증상의 감소, 감기 증상의 개선, 감기 또는 그 증상의 고통 경감, 감기 발생율 감소 또는 치료결과를 증가시키는 환자의 어떠한 다른 변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감기의 증상은 재채기, 콧물, 비강폐색(nasal obstruction), 코막힘, 후두염 또는 목의 통증, 기침, 목이쉼, 천식악화 및 두통, 열, 한기 및 컨디션이 좋지 않은 것과 같은 일반적인 증상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침, 재채기, 콧물, 근육통, 인후염, 비강폐색, 후두염, 목의 통증, 쉰소리, 천식악화, 두통, 부비강에 대한 통증, 비염, 점막 종기, 인두염, 기관지염 오한, 한기 및 권태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은 감기 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rhinovirus)에 의한 감기에 예방 및 치료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의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는바, 레스베라트롤을 바이러스와 섞어 1시간 반응 후 세포에 접종한 경우와, 바이러스를 먼저 세포에 접종하고 1시간 후 레스베라트롤을 첨가(after 1h)한 경우에 모두 리노바이러스(HRV2) 저해활성이 우수하였으므로, 레스베라트롤이 리노바이러스에 직접 작용하여 항바이러스 효능 및 바이러스 감염 예방 효과도 함께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6 내지 도 8).
본 발명의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사람 및 동물용 식료품, 제약학상 제품, 수의학용 제품, 화장품, 개인 위생 제품 및 가정 용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의 피부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식료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아가린, 지방 지속성(fat continuous) 또는 물 지속성(water continuous) 또는 양쪽 지속성(bicontinuous) 스프레드, 지방 감소된 스프레드, 초콜렛, 또는 초콜렛 코팅 또는 초콜렛 속(fillings) 또는 베이커리 속과 같은 과자류, 과자, 껌, 아이스크림, 아이스크림 코팅, 아이스크림 함유물, 드레싱, 마요네즈, 치즈, 크림 대체물, 건조 스프, 드링크, 시리얼 바, 소스, 스낵바, 유제품, 임상 영양식품 또는 소아 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개인위생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누, 화장품, 물티슈, 휴지, 샴푸, 구강청정제, 피부 크림, 얼굴 크림, 치약, 립스틱, 향수,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볼터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선스크린 로션,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또는 세정 겔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레스베라트롤은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제인 호장근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므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및 그 분획물 또는 화합물 1을 0.0001 내지 1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장근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장근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과의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장근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호장근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레스베라트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 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장근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레스베라트롤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호장근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으며, 레스베라트롤은 1일 0.0001 내지 1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스틸벤계 화합물은 리노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기 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외용제, 식료품, 화장품 및 개인위생용품 등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호장근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
호장근은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그늘에서 건조한 후, 와링 브랜드로 분말화 시켰다. 분말화된 호장근 3.6 ㎏을 에탄올 20 ℓ에 넣고 실온에서 7일간 냉침 추출한 후,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감압 여과한 다음, 여과 추출물은 진공회전농축기로 실온에서 에탄올 용매를 제거한 후 추출된 잔사로서 호장근 조추출물 146g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추출물은 물 1 ℓ 에 현탁 시킨 후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혼합하여 분획하였으며, 이 과정을 4회 반복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물 4 ℓ를 수득하였다. 이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물을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80 g 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중 40 g 을, 클로로포름:메탄올 = (100/0 ~ 1/1)로 구성된 단계농도 구배(step gradient) 용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레스베라트롤이 함유된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 830 mg 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호장근 에탄올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에 대하여 레스베라트롤 함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LC-MS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호장근 추출물 및 분획물의 레스베라트롤 함량 분석
2-1. 레스베라트롤 표준정량곡선
표준품의 분석 조건을 살펴보면, HPLC는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를 사용하였고, 분석용 컬럼은 ZORBAX SB-C18 (Agilent, 5 μm, 4.6x150 mm), 60% 메탄올을 분석용매로 사용하였다. 210nm에서 분석하였으며, 유속은 0.2 mℓ /min을 흘려 주었으며, 시료는 2 μℓ 을 injection 후 분석하였다. 레스베라트롤 표준화합물은 1.25 mg/mℓ , 0.63 mg/mℓ, 0.31 mg/mℓ, 0.16 mg/mℓ, 0.08 mg/mℓ, 0.04 mg/mℓ 농도로 조제 후 2 μL을 injection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 된 크로마토그램에서 레스베라트롤 표준품의 peak는 11분대에 관찰되었으며, 분석된 peak의 면적과 injection 된 레스베라트롤의 양으로부터 표준 정량곡선 및 직선의 방정식을 얻었다 (도 1).
2-2.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레스베라트롤 함량 분석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분석 조건으로는,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의 HPLC를 사용하였고, 분석용 컬럼은 ZORBAX SB-C18 (Agilent, 5 μm, 4.6x150 mm), 50~90% 메탄올을 분석용매로 사용하였다 (표 1-용매분석조건). 분석 파장은 210nm, 유속은 0.2 mℓ/min을 흘려 주었으며, 시료는 2 μℓ을 injection 후 분석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료는 10 mg/mℓ 농도로 제조 후 2 μℓ를 injection하여 LC-MS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HPLC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레스베라트롤의 peak는 17분대에서 관찰되었으며, MS 분석 결과 m/z 227 [M-H]+의 분자 peak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2). 분석된 peak의 면적을 표준정량곡선에서 얻어진 직선의 방정식에 대입해본 결과,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 1g 안에는 12 mg의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2).
Time (min) Solvents (%)
MeOH H2O
0 50 50
10 50 50
35 90 10
50 90 10
55 50 50
60 50 50
2-3. 호장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에 대한 레스베라트롤 분석
상기에서 얻어진 호장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과 동일한 방업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HPLC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레스베라트롤의 peak는 17분대에서 관찰되었으며, MS 분석 결과 m/z 227 [M-H]+의 분자 peak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3).
상기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은 레스베라트롤 표준품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HPLC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레스베라트롤의 peak는 11분대에서 관찰되었으며, MS 분석 결과 m/z 227 [M-H]+의 분자 peak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4).
이상의 호장근 에탄올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에 대한 LC-MS 분석결과, 각각의 시료에는 레스베라트롤이 1.2 %, 4.6 %, 7.1 %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환산한 결과, 호장근 생약 1kg 에 함유된 레스베라트롤은 2.4 g으로 건조중량의 0.24 %를 차지하였다 (표 2-레스베라트롤 함량).
시료 레스베라트롤 함량(mg/g)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 1.2
호장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46.0
호장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20:1 분획 70.5
2-4. 산 처리 후 레스베라트롤 함량 변화 분석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 (200 mg) 은 9 mℓ 의 메탄올에 녹인 후 1 mℓ 의 3M 황산 용액을 첨가하여 둥근바닥 플라스크 에 넣는다. 이 플라스크는 70 ℃ 물중탕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반응을 종결시킨다. 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00 mg)에 들어 있는 레스베라트롤의 함량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10 mg/mℓ 농도로 제조 후 2 μℓ를 injection하여 LC-MS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림-5를 살펴보면, 에탄올 추출물 HPLC 크로마토그램에서는 resveratrol-3-O-β-D-glucoside peak (11분대)의 면적은 41,363 mAU로 관찰되나, 12시간 산 처리 후 26,400 mAU 로 감소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레스베라트롤 peak (17분대)의 면적은 5,618 mAU에서 23,380 mAU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5).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12 mg/g (에탄올 추출물) 로 측정되었고 (표 2), 산 처리 12시간 후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은 50 mg/g (에탄올 추출물)로 약 4배 증가 하였다.
실시예 3. 호장근 추출물 및 분획물의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저해 효과 측정
호장근 에탄올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의 리노바이러스 (HRV-2, 3)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의 폐포 섬유아세포주(human lung fibroblast)인 WI-38 (ATCC: CCL-75)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WI-38 세포를 각 웰 당 1 X 105 cells/ well 이 되도록 넣고 배지 EMEM (penicillin 100 units, streptomycin 100 μg, 10% FBS)로 배양하였다. WI-38 세포가 monolayer가 되면 항생제만 포함된 EMEM 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HRV-2, HRV-3주를 각각 100 TCID50이 되도록 희석하여 EP 튜브에 담아 두었다. 여기에 DMSO (dimethylsulfoxide)로 희석한 호장근 에탄올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의 최종 농도가 100 μg/mℓ, 60 μg/mℓ, 30 μg/mℓ, 10 μg/mℓ, 1 μg/mℓ로 각 튜브에 넣은 후 4℃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1시간 후 미리 세척한 WI-38 세포에 한 농도 당 3 웰에 각각 접종하였다.
한편, 항바이러스 효과가 알려진 인터페론 알파(INF-α)와 비감염, 비투여 대조군(Control) 및 감염, 비투여 대조군(Virus control)을 동일한 조건에서 1시간 반응 후 WI-38 세포에 접종하여 33℃에서 배양한다. 감염, 비투여 대조군에서 완전히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 CPE)가 나올 때 까지 3-4일간 배양하였다. 도립현미경으로 매일 세포 상태를 배율 50X 관찰하여 사진을 찍었다. 배양 3-4일 후 세포 생존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Cell Counting kit-8 (Dojin, Japan, tetrazolium salt WST-8)을 각 웰당 10 μℓ 씩 넣은 후 33℃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DMSO만 처리한 세포와 DMSO 및 HRV-2, HRV-3를 처리한 세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비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 나타내는 리노바이러스 저해 효과를 결정하였다.
본 발명의 호장근 에탄올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측정 결과, HRV-2의 경우 EC50 값이 각각 >60 μg/mℓ, 37.2 μg/mℓ, 11.5 μg/mℓ로 측정되었으며, HRV-3주의 경우 EC50 값이 47.8 μg/mℓ, 44.4 μg/mℓ, 11.3 μg/mℓ의 측정되었다 (표 3-CPE reduction effects of HRV).
이상의 결과로부터, 호장근 에탄올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은 감기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의 다양한 주 (HRV-2, HRV-3)에 모두 좋은 항바이러스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바이러스에 직접 작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예방효과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Samples HRV-2 HRV-3
EC50 a
(mg/mL)
EC50 a
(mg/mL)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 >60 47.8
호장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7.2 44.4
호장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 11.5 11.3
a EC50, mean (50%) value from concentration of inhibitory effect
실시예 4. 레스베라트롤의 화합물의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저해 효과 측정
레스베라트롤의 리노바이러스 (HRV-2, 3, 14)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의 폐포 섬유아세포주(human lung fibroblast)인 WI-38 (ATCC: CCL-75)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WI-38 세포를 각 웰 당 1 X 105 cells/ well 이 되도록 넣고 배지 EMEM (penicillin 100 units, streptomycin 100 μg, 10% FBS)로 배양하였다. WI-38 세포가 monolayer가 되면 항생제만 포함된 EMEM 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HRV-2, HRV-3, HRV-14주를 각각 100 TCID50이 되도록 희석하여 EP 튜브에 담아 두었다. 여기에 DMSO (dimethylsulfoxide)로 희석한 레스베라트롤이 최종 농도가 100 μM, 60 μM, 30 μM, 10 μM, 1 μM로 각 튜브에 넣은 후 4℃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1시간 후 미리 세척한 WI-38 세포에 한 농도 당 3 웰에 각각 접종하였다.
한편, 항바이러스 효과가 알려진 인터페론 알파(INF-α)와 비감염, 비투여 대조군(Control) 및 감염, 비투여 대조군(Virus control)을 동일한 조건에서 1시간 반응 후 WI-38 세포에 접종하여 33℃에서 배양한다. 감염, 비투여 대조군에서 완전히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 CPE)가 나올 때 까지 3-4일간 배양하였다. 도립현미경으로 매일 세포 상태를 배율 50X 관찰하여 사진을 찍었다. 배양 3-4일 후 세포 생존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Cell Counting kit-8 (Dojin, Japan, tetrazolium salt WST-8)을 각 웰당 10 μℓ 씩 넣은 후 33℃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DMSO만 처리한 세포와 DMSO 및 HRV-2, HRV-3, HRV-14를 처리한 세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비교한 레스베라트롤이 나타내는 리노바이러스 저해 효과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인터페론 알파(INF-α)는 HRV-2에서는 22%로 낮은 저해 능력을 보였고, HRV-3와 HRV-14에서는 각각 55.6%, 80.8%로 저해 능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은 HRV-2와 HRV-3에서는 60 μM에서 각각 100%, 78%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RV-14주의 경우 90 μM에서 100%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6). 또한 도립현미경 상에서 세포 형태를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만을 접종한 것 (HRV-2, 3, 14)은 WI-38세포가 거의 파괴되어 100% 세포 변성효과가 나왔으나, 바이러스와 레스베라트롤을 100 μM를 처리한 군은 WI-38 세포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8).
또한, 레스베라트롤을 HRV-2주의 감염 전과 감염 후 투여를 비교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감염 후 레스베라트롤의 바이러스 저해 활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항생제만 포함된 EMEM 배지로 2회 세척한 WI-38 세포 리노바이러스(HRV-2)를 접종하여 1시간 동안 33℃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 후 접종한 바이러스액을 모두 제거하고, 레스베라트롤의 최종 농도가 100 μM, 60 μM, 30 μM, 10 μM 1 μM 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바이러스가 접종된 WI-38 세포에 넣어주었다. 이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이 나타내는 리노바이러스 저해 효과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HRV-2를 레스베라트롤과 먼저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감염 시킨 경우 60 μM에서 100% 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IC50 값은 13 μM이었다. 또한 바이러스를 먼저 감염시키고 1시간 후에 레스베라트롤을 투여한 경우 같은 농도에서 71.6% 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IC50 값은 36 μM이었다. (도 7).
이상의 결과로부터, 레스베라트롤은 감기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의 다양한 주 (HRV-2, HRV-3, HRV-14)에 모두 좋은 항바이러스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바이러스에 직접 작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예방효과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레스베라트롤 표준정량곡선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 크로마토그램 및 MS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호장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크로마토그램 및 MS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호장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 분획의 크로마토그램 및 MS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 및 12 시간 산 처리 후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레스베라트롤의 리노바이러스 (HRV-2, 3, 14) 저해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레스베라트롤을 바이러스와 섞어 1시간 반응 후 세포에 접종한 것(before 1h)과 바이러스를 먼저 세포에 접종하고 1시간 후 레스베라트롤을 첨가(after 1h)하여 리노바이러스(HRV2) 저해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WI-38 세포주에 바이러스를 접종하지 않은 현미경 사진과 각 HRV-2, HRV-3, HRV-14주를 접종한 현미경사진, 그리고 각각의 바이러스와 레스베라트롤을 100 μM 첨가하였을 때의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Claims (13)

  1.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리노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성 질환인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물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n-헥산 분획물 또는 클로로포름 분획물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61790859-pat00002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침, 재채기, 콧물, 근육통, 인후염, 비강폐색, 후두염, 목의 통증, 쉰소리, 천식악화, 두통, 부비강에 대한 통증, 비염, 점막 종기, 인두염, 기관지염 오한, 한기 및 권태감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기 증상을 개선하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9. 제8항에 있어서,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인 피부 외용제.
  10.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마아가린, 지방 지속성(fat continuous) 또는 물 지속성(water continuous) 또는 양쪽지속성(bicontinuous) 스프레드, 지방 감소된 스프레드, 초콜렛, 초콜렛 코팅 또는 초콜렛 속(fillings) 또는 베이커리 속, 과자류, 껌, 아이스크림, 아이스크림 코팅, 아이스크림 함유물, 드레싱, 마요네즈, 치즈, 크림 대체물, 건조 스프, 드링크, 시리얼 바, 소스, 스낵바, 유제품, 임상 영양식품 및 소아 제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품용 조성물.
  12.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개인위생용품.
  13. 제12항에 있어서, 비누, 화장품, 물티슈, 휴지, 샴푸, 구강청정제, 피부 크림, 얼굴 크림, 치약, 립스틱, 향수,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볼터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선스크린 로션,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및 세정 겔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개인위생용품.
KR1020090095814A 2009-10-08 2009-10-08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032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814A KR101032066B1 (ko) 2009-10-08 2009-10-08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10/006914 WO2011043631A2 (ko) 2009-10-08 2010-10-08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814A KR101032066B1 (ko) 2009-10-08 2009-10-08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499A KR20110038499A (ko) 2011-04-14
KR101032066B1 true KR101032066B1 (ko) 2011-05-02

Family

ID=4385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8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2066B1 (ko) 2009-10-08 2009-10-08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2066B1 (ko)
WO (1) WO2011043631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843A3 (ko) * 2011-05-30 2013-03-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45050A (ko) 2018-09-07 2019-05-02 류형준 감기 개선 식품조성물
KR20190127461A (ko) * 2018-05-04 2019-1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틸벤 유도체를 포함하는 만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10655A (ko) 2021-01-31 2022-08-09 (주)예스킨 코비드-19 항바이러스제 및 항바이러스제용 어주번트
KR20220110669A (ko) 2021-01-31 2022-08-09 (주)예스킨 코비드-19 항바이러스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010B1 (ko) * 2013-03-21 2015-05-1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왕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3479777B (zh) * 2013-08-29 2015-11-25 青岛绿曼生物工程有限公司 治疗小鹅瘟的纯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735701B (zh) * 2014-02-10 2016-02-24 安徽科技学院 一种治疗肛门痛痒的坐浴袋泡剂
CN108430322B (zh) 2015-12-21 2021-11-19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连续监测生命体征的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970B1 (ko) 2006-12-26 2008-04-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장근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알레르기 질환의치료제로서 그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686B1 (ko) * 1991-07-10 1995-01-27 주식회사 태평양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US7166435B2 (en) * 2001-08-06 2007-01-23 The Quigley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transmissivity of illnesses
TWI370739B (en) * 2005-12-30 2012-08-21 Ind Tech Res Inst Herbal compositions of inhibiting free radicals
KR20100058331A (ko) * 2008-11-24 2010-06-03 (주)아모레퍼시픽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970B1 (ko) 2006-12-26 2008-04-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장근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알레르기 질환의치료제로서 그의 용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843A3 (ko) * 2011-05-30 2013-03-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7461A (ko) * 2018-05-04 2019-1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틸벤 유도체를 포함하는 만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3566B1 (ko) 2018-05-04 2021-03-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틸벤 유도체를 포함하는 만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45050A (ko) 2018-09-07 2019-05-02 류형준 감기 개선 식품조성물
KR20220110655A (ko) 2021-01-31 2022-08-09 (주)예스킨 코비드-19 항바이러스제 및 항바이러스제용 어주번트
KR20220110669A (ko) 2021-01-31 2022-08-09 (주)예스킨 코비드-19 항바이러스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3631A2 (ko) 2011-04-14
WO2011043631A3 (ko) 2011-11-03
KR20110038499A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066B1 (ko)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06738B1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86467B1 (ko) 천궁 및 종대황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11361B1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7024B1 (ko) 천궁 및 호장근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6463B1 (ko) 천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7096B1 (ko) 관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5683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1499B1 (ko) 용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407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1252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7506B1 (ko)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57899A (ko) 6'-하이드록시 저스티시딘-B(6'-hydroxy justicidin B)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09992B1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포간접착인자-1로 매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31633B1 (ko) 국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독감 또는 감기의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738005B1 (ko) 면역증진 또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150095605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282243B (zh) 一种治疗小儿急性支气管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26992B1 (ko)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251147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648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28496A2 (ko) 마키아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41248B1 (ko) 암전이 억제효과를 갖는 장생도라지 추출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