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527B1 - Artificial hair, wig having artificial hair and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hair - Google Patents
Artificial hair, wig having artificial hair and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6527B1 KR101036527B1 KR1020087021130A KR20087021130A KR101036527B1 KR 101036527 B1 KR101036527 B1 KR 101036527B1 KR 1020087021130 A KR1020087021130 A KR 1020087021130A KR 20087021130 A KR20087021130 A KR 20087021130A KR 101036527 B1 KR101036527 B1 KR 1010365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ificial hair
- hair
- artificial
- core
- wi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83—Filaments for making wig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인공 모발 다발(10)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1)과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5)을 혼합하여 되고, 제1의 인공 모발(1)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와,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고, 이 굴곡 강성치는, 습도 40% 하에서 약 6.5∼7.8×10-3gf·㎠/가닥의 범위에 있어, 제1의 인공 모발(1)이 제2의 인공 모발(5)의 집속성을 억제하고, 제1 및 제2의 인공 모발(5)이 천연 모발과 같이 거동한다.The artificial hair bundle 10 is a mixture of the first artificial hair 1 made of polyester resin and the second artificial hair 5 made of polyamide resin, and the first artificial hair 1 is It is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has a cross-sectional dimension similar to that of natural hair, and a flexural rigidity of the same degree as that of natural hair, and the flexural rigidity is about 6.5-7.8 × 10 − under a humidity of 40%. In the range of 3 gf · cm 2 / strand, the first artificial hair 1 suppresses the convergence of the second artificial hair 5, and the first and second artificial hair 5 are combined with the natural hair. It behaves together.
인공 모발, 가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굴곡 강성치, 집속성 Artificial Hair, Wig, Polyester, Polyamide, Flexural Stiffness, Focu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발, 즉 천연 모발에 근사한 느낌(feeling)과 물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과 이 인공 모발을 붙인 가발, 및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air, that is, artificial hair having a feeling and physical properties close to natural hair, a wig to which the artificial hair is attache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rtificial hair.
일반적으로, 두발, 즉 천연 모발은 80∼100 ㎛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천연적으로 또는 퍼머넌트 처리 등으로 컬(curl)이 붙어 있지만, 비에 노출되거나 머리 감기에 의해 컬이 풀어지고 펴짐이 생기는 특성을 가진다. 또, 습도의 높고 낮음에 의해서도 두발은 촉촉한 감(moist feeling) 또는 촉감(tactile feeling) 등의 느낌, 혹은 굴곡 강성 등의 물성치가 변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가발에 이용되는 모발로서는, 될 수 있는 한 사람의 천연 모발에 가까운 특성을 가지도록, 인간 또는 동물로부터 채취한 천연 모발이 소재로서 예로부터 제조에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천연 모발 소재의 조달상의 제약 및 기타의 이유로 합성 섬유를 가발용 모발 소재로 하여 제조하는 경우가 많아져,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합성 섬유가 인공 모발의 소재로서 다용(多用)되고 있다.In general, hair, ie, natural hair, has a diameter of about 80 to 100 μm, and curls are naturally or permanently applied, but curls are loosened and stretched due to exposure to rain or cold. Ha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even when the humidity is high and low, the hairs change their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oist feeling, tactile feeling, or flexural rigidity. For this reason, as hair used for wigs, natural hair collected from humans or animals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material so as to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as close to natural hair as possible. However, in recent years, due to the procurement constraints of natural hair materials and other reasons, synthetic fibers are often manufactured as a wig hair material. For example, polyacrylic, polyester, and polyamide synthetic fibers are artificial. It is used as a material for hair.
폴리아크릴계 섬유에 의한 인공 모발은, 융점이 낮고, 내열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퍼머 세팅 후의 형태 유지성이 나쁘고, 예를 들어, 온수에 노출될 경우 섬유에 제공된 컬 등의 가공이 풀어지는 등의 약점이 있다. 또, 촉촉한 감이나 촉감 등의 느낌도 두발과는 달라서 인성(toughness)이 부족하기 때문에, 위화감을 부정할 수 없다. Artificial hair by polyacrylic fibers has a low melting point and poor heat resistance, and thus has poor shape retention after perm setting. For example, when the hair is exposed to hot water, processing of curls and the like provided to the fiber is weak. have. In addition, the feeling such as moist feeling and touch also differs from the hair, and thus the toughness is insufficient, so that the sense of discomfort cannot be denied.
이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강도,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소재이지만, 천연 모발에 비해 흡습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예를 들면 높은 습도의 환경 하에서는 천연 모발과 다른 외관, 감촉, 물성을 나타내어, 가발용의 모발로서 이용하면 위화감을 준다. 천연 모발은 비에 젖거나 머리를 감거나 하여 습기에 노출되면 컬이 풀어져 펴짐이 생긴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흡습성과 보습력이 매우 적고, 그 때문에 컬 유지성이 풍부하다는 특질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펴짐이 대부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인공 모발을 만들고, 일단 컬 붙임의 처리를 행한 후에는, 습도가 높아져도 부여한 컬이 잘 풀어지지 않는데, 이것이 오히려 천연 모발의 거동과 크게 달라 부자연감이 현저해진다. 이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습도의 고저에 따라 촉촉한 감이나 촉감 등의 느낌 또는, 컬 유지력 등의 물성치가 변화되는 천연 모발과 같은 거동을 나타낼 수 없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polyester fiber is a material excellent in both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since it has very low hygroscopicity compared with natural hair, it shows a different appearance, texture, and physical properties from natural hair, for example, in a high humidity environment, If you use as hair, gives a sense of discomfort. Natural hair gets wet in the rain or hair curls, so when exposed to moisture, curls loosen and spread. However, polyester-based fibers have very low hygroscopicity and moisture retention, and therefore have a property of abundant curl retention, and most of these unevennesses do not occur. Therefore, after artificial hair is made of polyester fiber and the curling treatment is performed once, the curl given is hardly released even when the humidity is high, but this is largely different from the behavior of natural hair, resulting in unnatural feeling. As described above, the polyester fiber cannot exhibit the same behavior as natural hair in which a feeling of moist feeling, feel, or the like, or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url holding force change depending on the height of humidity.
이에 더하여, 천연 모발과 같은 80∼100㎛ 정도의 직경으로 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천연 모발에 비해 굴곡 강성치가 지나치게 높다. 굴곡 강성치라 함은, 섬유의 촉감이나 텍스쳐 등 느낌에 관련된 물성치로, 굽힐 때에 필요한 힘인데, 천단(川端)식 측정법에 의해 수치화할 수 있는 것으로 섬유직물 산업에 널리 알려져 있는 물성치이다 (비특허 문헌1). 1 가닥의 섬유 또는 모발의 굴곡 강성치를 측정 할 수 있는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2). 이 굴곡 강성치는 굽힘 강도라고도 불리우며 인공 모발에 단위 크기의 굽힘 모멘트를 가하였을 때, 그에 의해 생긴 곡률 변화의 역수로 정의된다.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가 클수록, 굽힘에 강하고 휘지 않는, 즉, 단단하여 굽히기 어려운 인공 모발이다. 반대로 이 굴곡 강성치가 작을수록 굽히기 쉽고, 유연한 인공 모발이라 할 수 있다. In addition, polyester-based fibers having a diameter of about 80 to 100 µm, such as natural hair, have excessively high flexural rigidity compared to natural hair. The flexural stiffness value is a property value related to the feel and texture of the fiber, which is necessary for bending, and is a property value widely known in the textile fabric industry that can be quantified by a hem measurement method (Non-Patent Document) One).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flexural rigidity of one strand of fiber or hair has also been developed (Non-Patent Document 2). This flexural stiffness, also called bending strength, is defined as the reciprocal of the curvature change produced when a unit-size bending moment is applied to artificial hair. The greater the flexural rigidity of the artificial hair, the more artificial hair is resistant to bending and not bent, that is, hard and hard to bend. On the contrary, the smaller the flexural stiffness, the easier it is to bend, and the flexible artificial hair.
천연 모발과 같은 직경 80∼100㎛ 정도의 폴리에스테르로 인공 모발을 하였을 경우, 그 굴곡 강성치는 천연 모발에 비해 대단히 높으므로, 가발 베이스에 심어서 제공하면 윗쪽을 향하여 일어섬(standing)이 지나치게 크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모발의 감촉은 천연 모발에 비해 뻣뻣한 경질감이 높아, 천연 모발과 같은 적당한 유연함을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자신의 모발과 가발의 모발을 혼합하여 장착하는 소위, 자기 모발 활용형의 가발의 모발로서, 폴리에스테르계의 모발을 사용했을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모발은, 유연한 자기 모발에 적응되지 않고, 적정한 정도로 누워 있는 자기 모발의 사이에서 보풀이 일도록 일어서 버린다. 이러한 자기 모발과 폴리에스테르계의 모발과의 분리 경향은, 습기가 높아질수록 현저해진다. When artificial hair is made of polyester having a diameter of about 80 to 100 μm, such as natural hair, its flexural rigidity is much higher than that of natural hair. Therefore, when it is planted in a wig base, standing up is excessively large. In addition, the feel of polyester-based hair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at of natural hair, and cannot express moderate softness such as natural hair. Therefore, when the hair of the polyester type hair is used as the hair of the so-called magnetic hair utilization type wig which mixes and attaches the hair of the own hair and the wig hair, the hair of the polyester fiber is not adapted to the flexible magnetic hair. Rise up and lint between your hairs lying down to an appropriate degree. The tendency of separation between such magnetic hairs and polyester hairs becomes remarkable as the humidity increases.
이에 대하여,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만든 인공 모발은 상기 폴리아크릴이나 폴리에스테르로 만든 인공 모발에 비해, 상기 천연 모발에 가까운 외관, 물성을 가지고 있고, 특히 표면 처리에 의해 부자연스러운 광택을 없애는 본 출원인의 발명에 의해, 우수한 가발이 제공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폴리아미드계 섬유 중에서 지방족의 폴리아미드는 특히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인공 모발로서 바람직 하다. 그러나,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만든 섬유는, 천연 모발에 비해 굴곡 강성치가 낮기 때문에,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해도 일어섬이 좋지 않아 가발 베이스를 따라 옆으로 누워 버린다. 이 때문에,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만든 인공 모발은 강인함(腰感)이 부족하고 볼륨감에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출원인은 예의 연구의 결과,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방향족의 폴리아미드 수지를, 초심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 습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천연 모발과 지극히 유사하는 거동을 나타내는 인공 모발을 만드는 것에 성공하였다 (2005년 2월 15일자 특원 2005-38415). 이 기술에 의해,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모발에서는 천연 모발과 같은 굴곡 강성치를 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rtificial hair made of polyamide fiber has an appearance and physical properties close to those of the natural hair, compared to the artificial hair made of polyacrylic or polyester, and in particular, of the present applicant who removes unnatural luster by surface treatment. By the invention, an excellent wig is provided (see Patent Document 1). Among the polyamide fibers, aliphatic polyamides are particularly preferred as artificial hair because of their excellent processability. However, the fiber made of aliphatic polyamide has a lower flexural rigidity than natural hair, so even if it is planted in a wig base, it does not stand up well and lie on the side along the wig base. For this reason, artificial hair made from aliphatic polyamides lacks toughness and tends to fall in volume. As a result of the intensive research, the applicant has succeeded in making artificial hair exhibiting a behavior very similar to that of natural hai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humidity by using an aliphatic polyamide resin and an aromatic polyamide resin as a super-duplex structure. Special Issue 2005-38415, February 15, 2005). By this technique, the flexural rigidity value like natural hair can be achieved in the hair of polyamide fiber.
인공 모발에 관한 그 밖의 기술로서, 헤어 드라이어나 컬링 아이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만든 인공 모발과 나일론 섬유로 만든 인공 모발을 다발로 하고 서로 섞어 인공모 다발을 만들고, 이 인공모 다발로부터 몇 가닥씩 인발(引拔)하여 가발에 심어 설치하는 기술(특허 문헌 2)이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형성한 인공 모발에 천연 모발을 혼합시킴으로써 보습성을 확보하고, 가발 전체의 색조 및 광택을 천연 모발에 근접시키는 기술(특허 문헌 3)도 제안되어 있다. As another technique for artificial hair, in order to be able to use a hair dryer or curling iron, the artificial hair made of polyester fiber and the artificial hair made of nylon fiber are bundled and mixed with each other to make the artificial hair bundle. It is a technique to draw a few strands from a hair bundle and plant it in a wig (patent document 2), or by mixing natural hair with artificial hair formed of polyester fiber to secure moisture retention and tones of the entire wig. And the technique (patent document 3) which makes gloss close to natural hair is also proposed.
특허 문헌 4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하여 용융 방사함으로써, 적당한 모요(毛腰)를 갖게 한 칫솔 또는 화장 브러시 등의 브러시용 털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5에는, 수송용 차량의 카시트 표피재 또는 도어 내장재 등의 차량 내장재로서, 소프트한 촉감을 얻기 위해서, 폴 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여 블랜드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단섬유가 공개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에는, 부드럽고 스트레치성이 우수한 직물을 제공하기 위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블랜드하여 얻어지는 가연 가공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소정의 질량비로 혼합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부직포가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개소 64-6114호 공보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4-6114
특허문헌 2:일본 특개평 9-324314호 공보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324314
특허문헌 3:실용신안 등록 제3021160호 공보 Patent Document 3: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21160
특허문헌 4:특개 2004-166966호 공보 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66966
특허문헌 5:특개 2004-84119호 공보 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84119
특허문헌 6:특개 2000-273727호 공보 Patent Document 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73727
특허문헌 7:특허 제3458924호 공보 Patent Document 7: Patent No. 3458924
비특허 문헌 1: 川端 季雄, 섬유기계학회지 (섬유공학), 26, 10, pp. 721-728, 1973 [Non-Patent Document 1] Kawagoe C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extile Machinery (Textile Engineering), 26, 10, pp. 721-728, 1973
비특허 문헌 2: 카토테크 주식회사 KES-SH 싱글헤어벤딩 테스터 취급 설명서Non-Patent Literature 2: KATO TECH Corporation KES-SH Single Hair Bending Tester Instruction Manual
발명의 개시DISCLOSURE OF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가발에 사용하는 인공 모발은, 천연 모발이 가지는 느낌(외관, 촉감, 질감)에 가능한 한 가까워지도록 여러가지 연구되어 있다. 또, 흡습성이나 인장 강도, 탄성율, 혹은 굴곡 강성 등의 물성치도 천연 모발의 그것과 비교하여 뒤지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천연 모발 보다 우수한 물성치를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본 출원인의 상기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초심 구조로 이루어진 인공 모발은, 상기와 같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인 80∼100㎛ 정도의 직경의 것으로 천연 모발에 지극히 가까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매우 우수한 소재다. 그러나,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하는 인공 모발을 가발 베이스에 붙였을 경우, 시간이 경과하면, 인공 모발 끼리 서로 복수개로 서로 달라 붙어서 집속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 때마다 정성스럽게 브러싱하여 집속된 모발을 풀어내야 한다. 또,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인공 모발은 천연 모발과 마찬가지로 흡습성을 가지기 때문에, 습도가 높으면 서로 섬유끼리 특성상 달라 붙어서 다발 상태로 되기 쉽다. 이러한 경향은 습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해진다. 이 때문에,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이 예를 들면 비에 젖거나 머리를 감아 습도를 흡수함으로써 집속되었을 경우, 가발 장착자는 집속 상태의 모발을 머리빗 또는 브러시로 풀어서 헤어 스타일을 정돈하려고 해도, 인공 모발의 한가닥 한가닥이 풀어지기 어려워, 소망하는 헤어 스타일을 얻는 데에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특성은, 상기 지방족과 방향족의 폴리아미드 수지로 초심의 이중 구조로 한 인공 모발의 경우도 동일하여,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고, 습도가 높을 수록, 인공 모발 끼리 밀착해 버려, 다발 상태 또는 줄기 상태(筋狀)로 집속하는 것을 막기 어렵다. As described above, the artificial hair used for the wig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so as to get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eeling (appearance, feel, texture) of natural hair. 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ygroscopicity, tensile strength, elastic modulus, or flexural rigidity are preferably required to have physical properties superior to that of natural hair, so as not to be inferior to that of natural hair. The artificial hair of the applicant's polyamide-based fibers having a super-core structure has a diameter of about 80 to 100 µm, which is about the same as that of natural hair, and can provide an extremely close feeling to natural hair. All. However, when artificial hair made of polyamide fiber is attached to a wig base, when time passes, artificial hairs have a characteristic of sticking together and focusing on a plurality of artificial hairs. Therefore, each time, the brush should be carefully brushed to release the bundled hair. Moreover, since artificial hair of a polyamide fiber has hygroscopicity similarly to natural hair, when humidity is high, a fiber will mutually stick together in a characteristic and will be in a bundle state. This tendency becomes more pronounced with higher humidity. For this reason, when polyamide artificial hair is focused by, for example, getting wet in the rain or by wrapping hair and absorbing humidity, even if a wig wearer tries to trim the hair style by unwinding the bundled hair with a hairbrush or a brush, artificial hai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loosen one strand of hair, and it takes time to get the desired hairstyle. Such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as in the case of artificial hair in which the aliphatic and aromatic polyamide resin has a double core structure of the core, and it is difficult to suppress the focusing of the artificial hair of the polyamide fiber, and the higher the humidity, the more artificial It is difficult to prevent hair from sticking together and focusing in a bundle state or a stem state.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제의 모발과 나일론 섬유제의 모발을 서로 섞어서 가발 베이스에 붙였을 경우는, 나일론 섬유 끼리의 집속성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나일론 섬유는 천연 모발과 같은 거동으로 가발 베이스 상에서 도복(倒伏)하는 반면, 폴리에스테르의 인공 모발은 일어서서 천연 모발 또는 나일론 섬유와 잘 혼합되지 않아, 분리된 외관을 가진다. 이러한 경향은 습기가 높을수록 현저해져, 습기가 많은 상태에서는 나일론 섬유 끼리는 흡습력에 의해 천연 모발과 동일하게 두피에 펼쳐져 붙어 누워 버리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굽힘 강성치가 높고 또한 흡습성에 떨어지기 때문에, 위쪽으로 일어선 채의 상태로 되므로, 자연감이 나오지 않고 가발 장착이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되어 버린다. When the polyester fiber hairs and the nylon fiber hairs described in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천연 모발에 근사한 느낌과 물성치, 특히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한 인공 모발의 일부가 부자연스럽게 일어서는 일 없이, 머리 모양의 유지성이 우수하고, 사람 모발과 동일한 컬 특성을 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인공 모발 끼리가 습도의 영향을 받아도 집속하지 않고 찰랑 찰랑한 감을 주고, 나아가, 천연 모발에 근사하는 굴곡 강성을 가지며, 천연 모발과 동일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는 인공 모발과, 이를 이용한 가발 및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xcellent curl retention and the same curl characteristics as human hair, without the natural feeling of natural hair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air, especially a part of the artificial hair planted in the wig base. And artificial hairs that give artificial feelings to the hair without focusing even under the influence of humidity, and furthermore, have the flexural rigidity that approximates natural hair and exhibit the same behavior as natural hai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g and artificial hair using the same.
과제를 해결 하기 위한 수단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의 집속 상태는,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의 분자 구조에 기인하여 쉽게 집속하거나,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 끼리의 표면에 있어서의 분자 결합력, 소위 반데르 발스 힘에 의한 것이라고 추측하고, 다양한 실험을 행한 바,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 단독이 아니고, 다른 합성 섬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인공 모발과 혼합하여 가발 베이스에 붙임으로써 집속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나아가,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을 천연 모발 유사의 굴곡 강성치로 하기 위해서는, 섬유를 초부와 심부의 이중 구조로 하고 초심비 등을 조정함에 의해 매우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있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그 직경을 제어하거나 혹은 다른 합성 수지와의 용융 방사에 의해 얻어진다고 하는 지견을 얻고, 본 발명을 완성되는 것에 이르렀다. 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by the present inventors, the focused state of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is easily converged due to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or the molecular bonding force on the surface of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It is assumed that it is caused by van der Waals force, and various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and it is not a polyamide artificial hair alone, but it is mixed with other synthetic fibers, specifically, artificial hair inclu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attached to the base of the wig. I have found that it can solve the problem. Furthermore, in order to make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into the flexural rigidity similar to that of the natural hair, very excellent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fiber ratio to the dual structure of the sheath and the core and adjusting the super-contrast ratio, and the like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rtificial hair. In this case, the inventors obtained the knowledge that the diameter was controlled or obtained by melt spinning with other synthetic res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공 모발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예를 들어, 섬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치수를 평균 직경으로 50∼70㎛ 의 범위로 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rtificial 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iber contain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has the same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Specifically, the artificial hair is made of fibers contain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has a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same degree as that of natural hair, for example, a cross-sectional dimens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ber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50 to 70 µm. By setting it as the range, it has the bending rigidity value of the same grade as natural hair.
상기 인공 모발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이 경우, 섬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치수를 평균 직경으로 50∼100㎛ 의 범위로 하면 바람직하다.The artificial hair is preferably a fiber contain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has the same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fiber into the range of 50-100 micrometers in average diameter.
상기 각 구성에 있어서, 섬유의 굴곡 강성치는, 바람직하게는, 습도 40%에 있어서 6.5~7.8×10-3gf·㎠/가닥의 범위이다. 섬유의 표면에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In each said structure, the bending rigidity value of a fiber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6.5-7.8 * 10 <-3> gf <2> gf / strand in 40% of humidity. On the surface of the fiber, micropores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되는 섬유의 단면 치수를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로 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굴곡 강성이 높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굴곡 강성이 낮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해, 굴곡 강성이 자연히 조절되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로 할 수 있으므로, 천연 모발에 근사하는 형상과 특성을 가지는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의 인공 모발은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에 근사하므로, 특히, 외관, 촉감, 질감 등의 느낌이 천연 모발에 매우 가까운 자연스러운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인공 모발이 가발 베이스로부터 일어서는 것은 천연 모발이 두피로부터 일어서는 것과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므로, 자연감을 실현되어 가발을 장착하고 있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되기 어렵다. 인공 모발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조사된 광이 난반사하므로 광택이 억제되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광택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by making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fiber which consist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bout the same as natural hair, the artificial hair which has the bending rigidity value of the same grade as natural hair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bending rigidity is naturally adjusted by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high bending stiffness and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having low bending stiffness, so that the bending stiffness value that is the same as that of natural hair can be obtained. It can provide an artificial hair having. These artificial hairs can provide natural artificial hairs whose flexural stiffness approximates natural hairs, and in particular, the appearance, feel, texture, etc. are very close to natural hair. Since this artificial hair rises from the wig base, the natural hair exhibits the same behavior as the rise from the scalp.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that the natural hair is attached to the wig. If micropor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hai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rradiated light is diffusely reflected so that the gloss can be suppressed, and the gloss can be as high as that of natural hair.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을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에 분산시켜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다발 상태로 하여 되고, 나아가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동일한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rtificial hair bu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rtificial hair made of a polyester resin is dispersed in a second artificial hair made of a polyamide resin, mixed at a predetermined ratio to obtain a bundle state, and the polyester resin is made of polyethylene. It comprises terephthalat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rtificial hair has the same cross-sectional dimension and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상기 제1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이 제1의 인공 모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치수는, 평균 직경으로 50∼70㎛ 의 범위이다. 상기 제2의 인공 모발은, 바람직하게는, 심(芯)부와 상기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심부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초부가 상기 심부보다도 굴곡 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다. 제2의 인공 모발은, 바람직하게는,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고, 습도 40%로 6.5~7.8×10-3gf·㎠/가닥의 범위이다. In the first artificial hair, preferably, the polyester resin contain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has a flexural rigidity of the same degree as that of natural hair.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is 1st artificial hair is 50-70 micrometers in average diameter. The second artificial hair preferably has a super / core structure composed of a core portion and a core covering the core portion, the core portion being made of polyamide resin, and the edge portion having a lower flexural rigidity than the core portion. It consists of a polyamide resin. The second artificial hair preferably has the same cross-sectional dimension and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and is in the range of 6.5-7.8 × 10 −3 gf ·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 중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을 적당히 혼합시켜 두고, 이것을 적당히 분산 상태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함으로써, 제2의 인공 모발 자체의 집속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의 인공 모발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소재로 하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만을 소재로 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짐으로써, 외관, 촉감, 질감 등의 느낌이 천연 모발에 지극히 가까운 자연스러운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second artificial hair made of the polyamide resin, the first artificial hair made of the polyester resin is mixed appropriately and planted in the wig base in an appropriately dispersed state so that the second artificial hair itself can be bundled. It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rtificial hair is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it has the same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compared to the case of on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Feelings like texture can provide natural artificial hair that is extremely close to natural hair.
본 발명의 제1의 구성에 따른 가발은, 가발 베이스와 이 가발 베이스에 심어서 설치되는 인공 모발을 포함하고, 인공 모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과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을 이용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를 가지는 것에 의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g which concerns on the 1st structure of this invention contains a wig base and the artificial hair planted and installed in this wig base, Comprising: The agent which consists of 1st artificial hair which consists of polyester resin, and polyamide resin as artificial hair The artificial hair of 2 is used, and the polyester resin contain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since the first artificial hair has the same cross-sectional dimension as that of the natural hair, it has the same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the natural hair. It is done.
본 발명의 제2의 구성에 따른 가발은, 가발 베이스와 이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는 인공 모발을 포함하고, 인공 모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과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을 이용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의 인공 모발은, 바람직하게는, 심부와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심부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초부가 심부보다도 굴곡 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다. The wig which concerns on the 2nd structure of this invention contains the wig base and the artificial hair planted by this wig base, The artificial hair is the 1st artificial hair which consists of polyester resin, and the 2nd which consists of polyamide resin The artificial 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ester resin comprise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the first artificial hair has the same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The second artificial hair preferably has a super / core structure composed of a core portion covering the core portion and the core portion, the core portion is made of a polyamide resin, and the core portion is made of a polyamide resin having a lower flexural rigidity than the core portion.
본 발명의 가발에 상기 구성의 인공 모발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찰랑찰랑한 감을 나타내고, 천연 모발에 가까운 거동을 보이는 가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이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과 적당히 서로 섞여서 심어 설치되므로, 제2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이 억제되고, 습기의 다소에 관계 없이 세팅된 헤어 스타일의 불량이 생기지 않으며, 가발 장착자는 마치 머리 부분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육성된 자기 모발인 것과 같은 외관에 의해 가발 장착이 노출되지 않는다. By using the artificial hair of the said structure for the wig of this invention, it can provide the wig which exhibits a natural feeling and is close to a natural hair. For this reason, since the 1st artificial hair which consists of polyester resins is planted and mixed with the 2nd artificial hair which becomes a polyamide-type fiber suitably, it is suppressed and the convergence property of a 2nd artificial hair is suppressed, and it is related to some moisture There is no failure of the set hairstyle without, and the wig wearer is not exposed to the wig mounting by the appearance as if it were magnetic hairs naturally grown from the hair.
상기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따른 제1의 구성은,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얻기 위하여,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착색용 원료를 첨가하고 용융해서 토출하는 제1의 공정과, 토출한 사상(絲狀) 용융물을 고화하는 제2의 공정과, 고화된 사상 부재를 연신해서 소정의 직경으로 하는 제3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의 구성은,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얻기 위해서,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착색용 원료를 소정의 질량비로 용융해서 토출하는 제1의 공정과, 토출한 사상 용융물을 고화하는 제2의 공정과, 고화한 사상 부재를 연신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하는 제3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의 구성에 있어서, 제2의 공정 및 제3의 공정 중 어느 것에서,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하여 인공 모발의 표면에 미세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firs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rtificial hair, in order to obtain artificial hair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dimension and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a coloring raw material is added to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a raw material, melted and discharged. And a third step of solidifying the discharged finishing melt, and a third step of stretching the solidified finishing member to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second constitution is a first method of melting and discharg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as a raw material and a raw material for coloring at a predetermined mass ratio in order to obtain artificial hair having the same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And a second step of solidifying the discharged fusing melt, and a third step of stretching the solidified fusing member to a predetermined diameter. In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in any of the second step and the third step, an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may be performed to form fine pores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hair.
상기 구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도 천연 모발과 같은 특성을 가지는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인공 모발 중에 혼합시킴에 의해,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하는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rtificial hair having the same properties as natural hair even with a polyester resin, and furthermore, by mixing in artificial hair made of a polyamide resin, Restraining artificial hair can be provided.
발명의 효과 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느낌 (외관, 촉감, 질감) 및 물성, 특히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에 가까운 폴리에스테르 수지제의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인공 모발은,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하므로,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을 심어 설치한 가발에 있어서 모발로서 적절한 개수를 혼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이 집속하여 다발 상태로 되지 않고, 한가닥 한가닥 흩어진다. 따라서 상기 인공 모발은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을 찰랑 찰랑한 상태로 하여 천연 모발과 동일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발에 의하면,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한 모발이 가발 장착자 자신의 모발과 같은 거동을 나타내므로, 가발 장착이 노출되어 보이기 어려운, 외관상 우수한 돋보임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tificial hair made of polyester resin having a feeling (appearance, feel, texture) and physical properties, particularly flexural rigidity, is close to natural hair. Since the artificial hair suppresses the binding of the artificial hair of the polyamide resin, the artificial hair of the polyamide resin is focused by mixing and using an appropriate number as the hair in the wig in which the artificial hair of the polyamide resin is installed. It does not become a bundle state and is scattered one by one. Therefore, the artificial hair can exhibit the same behavior as natural hair by leaving the artificial hair of the polyamide resin fluttering. Therefore, according to the wi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ir planted in the base of the wig exhibits the same behavior as the hair of the wig wearer itself, the wig can be exposed to be exposed and can have excellent appearance.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공 모발은 천연 모발보다 높은 굴곡 강성치를 가지므로, 가발 베이스로부터의 일어섬이 크고, 또, 동일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가 낮은 것과 만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공 모발이 일어서서 눈에 띄어, 가발 장착이 육안으로 쉽게 확인되고, 헤어 스타일로서의 통일성도 가질 수 없다. 반대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보다 낮은 굴곡 강성치인 경우, 가발 베이스를 따라서 누운 상태가 되므로, 천연 모발의 굴곡 강성치에 가까운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의 일어섬이 두드러지고, 일어선 모발과 누운 상태의 모발이 혼재하게 된다. 그 결과, 가발 장착이 육안으로 쉽게 확인되고, 헤어 스타일로서의 통일성도 가질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을 따른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공 모발은,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므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어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과 같은 정도로 일어선 결과, 가발 장착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Since artificial hair of conventional polyester resin has a higher flexural rigidity than natural hair, the curling rigidity value of artificial hair of polyamide resin which is planted in the same wig base is large and rises from wig base, and is installed, Artificial hair of polyester resin stands up and stands out, and wig attachment is easily visually confirmed and cannot have uniformity as a hairstyle. On the contrary, when the artificial hair of the polyester resin planted in the wig base has a lower flexural rigidity than that of the natural hair, the hair is laid down along the base of the wig, so that the artificial hair of the polyamide resin close to the flexural rigidity of the natural hair is raised. It stands out and the hair standing up and the hair lying down are mixed. As a result, the wig is easily visually confirmed and cannot have uniformity as a hairstyl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rtificial hair of the polyest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bending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the result is that the artificial hair of the polyamide resin planted in the wig base is raised to the same level as the artificial hair. It is difficult to check with the naked eye.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우선, 본 발명의 인공 모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은,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되고,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또,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라는 것은, 가장 적절하게는, 습도 40%에서 6.5∼7.8×10-3gf·㎠/가닥이며, 습도 80%에서 3.9∼5.8×10-3gf·㎠/가닥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인공 모발을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된 인공 모발에 분산시켜 소정의 비율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하면,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된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인공 모발이,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인공 모발 및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발 장착자의 머리 부분로부터 육성되어 있는 천연 모발 및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는 폴리아미드계의 인공 모발과 같은 거동을 나타내어, 예를 들어, 가발 베이스에 붙인 폴리아미드계의 인공 모발 또는 가발 장착자의 두피로부터 육성되어 있는 천연 모발과 위로 나 있는 상태가 같아져, 통일적 외관을 가진다.First, the artificial hai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artificial 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polyester-based synthetic fiber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has the same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a polymer obtain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substantially. In addition, it has bending rigidity of about cease like natural hair, most suitably, it is 6.5~7.8 × 10 -3 gf · ㎠ / strand a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공 모발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e artificial hair by this invention is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인공 모발의 제1의 형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착색 안료를 포함한 섬유로 되며, 상기 섬유는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를 가지고,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The first aspect of the artificial 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ber contain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a component and, if necessary, a coloring pigment, the fiber having a cross-sectional dimension equivalent to that of natural hair, and also natural hair. It has the same bending stiffness as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는 인공 모발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 인공 모발(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진원(眞圓)이어도, 어느 방향으로 편평한 타원형 또는, 고치형이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의 인공 모발(1)의 단면 치수는 평균 직경을 50∼70㎛ 로 한다. 인공 모발(1)의 단면의 평균 직경이 50 ㎛ 미만에서는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의 그것보다 낮아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했을 경우에 가발 베이스를 따라 누운 상태가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평균 직경이 70㎛ 를 넘으면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 보다 지나치게 높아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했을 때에 가발 베이스로부터의 일어섬이 커서 바람직하지 않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one form of the artificial hair which uses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of this invention as a component. As shown in FIG. 1, this
본 발명에 따른 인공 모발의 제2의 형태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합성 섬유로 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의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소정의 비율로 포함시킴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이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테레프탈산과 1,4-부탄디올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이 제2의 형태의 인공 모발은, 도 1과 동일하게, 그 단면이 진원이어도, 어느 방향으로 편평한 타원형 또는 고치형이여도 좋다. 그 단면 치수는, 50∼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공 모발에서는, 천연 모발과 같이 80∼100㎛의 직경으로 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The second aspect of the artificial 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ester-based synthetic fiber, and by contain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in a predetermined ratio as a component of the polyester-based synthetic fiber, natural hair It has the same degree of bending stiffness. Polybutylene terephthalate is a polymer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terephthalic acid and 1, 4- butanediol substantially. Similarly to FIG. 1, the artificial hair of this 2nd aspect may be an elliptical shape or a cocoon type | mold which is flat in any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is 50-100 micrometers. In this artificial hair, since it can be made into the diameter of 80-100 micrometers like natural hair, it is advantageous.
이어서, 인공 모발의 제3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third aspect of artificial hair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제3의 형태에 의한 인공 모발(2)을 나타내는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과는 다르게, 이 인공 모발(2)의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부(2a)를 표면에 가지는 인공 모발(2)에서는 난반사가 생기기 때문에, 인공 모발(2)의 표면에 있어서 광택이 생기기 어려워, 소위 광택 제거 효과가 출현할 수 있다. 요철부(2a)는, 광이 난반사되도록 가시광 파장 정도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철부(2a)는, 예를 들면 인공 모발을 방사한 후에, 수산화 나트륨 용액 등에 침지하여 알카리 감량 가공을 하고, 수세, 건조를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요철부(2a)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인공 모발(2)의 성분은, 제1의 형태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 제2의 형태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소정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의 각 형태에 있어서의 인공 모발에는, 소정의 착색을 행하는 안료가 성분으로서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wing the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되는 섬유는 굴곡 강성이 강하여, 인공 모발의 소재로서 부적절하였지만, 본 발명의 인공 모발(1),(2)는, 상기 섬유를 천연 모발보다 약간 가늘거나 혹은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의 그것에 가까워,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외관, 감촉, 질감을 얻을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되는 섬유로 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실질적으로 같은 정도의 직경에서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의 그것에 가까워,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외관, 감촉, 질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의 형태의 인공 모발(이후,「제1의 인공 모발」이라 칭함)과,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의 인공 모발이 서로 섞어서 가발 베이스에 붙게 됨으로써, 제1 및 제2의 인공 모발 한가닥 한가닥이 흩어져서 찰랑 찰랑하게 되므로, 제2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할 수 있다. 소망하는 헤어 스타일로 정돈했을 때, 집속에 의한 부자연스러움을 방지하고, 가발에 자연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Generally, fibers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e strong bending stiffness and are inadequate as materials for artificial hair. However, the artificial hair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ross section of the fiber slightly thinner or the same as that of natural hair. By having a dimension, a flexural rigidity value is close to that of natural hair, and the appearance, a texture, and a texture similar to a natural hair can be obtained. In addition, by using fibers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the flexural rigidity is close to that of natural hair at a diamete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natural hair, and the appearance, texture, and texture of natural hair can be obtained. have. The first and third artificial hai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irst artificial hair ") and the second artificial hairs made of polyamide fibers are mixed together and adhered to the wig base. Since one strand of artificial hair is scattered and flutters, the converging property of the second artificial hair can be suppressed. When trimmed to the desired hairstyl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aturalness caused by focusing and to give the wig a natural appearance.
이하,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10)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인공 모발 다발(10)은, 도 3이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1)의 소정 개수를,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로 되는 복수개의 제2의 인공 모발(5)에 분산시켜 섞어서 다발 상태로 하고, 이들 제1 및 제2의 인공 모발을 가발 베이스에 적절하게 분산시키면서 랜덤하게 붙이도록 한 것이다. 제2의 인공 모발(5)로서의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는,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상기 인공 모발 다발(10)에 있어서는, 제2의 인공 모발(5)의 열수축률이 제1의 인공 모발(1)의 그것과 같은 정도 또는 그것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인공 모발 다발(10)에 대하여 열에 의한 컬 붙임 처리를 실시해도 제1의 인공 모발(1)과 제2의 인공 모발(5)가 같은 정도로 수축하므로, 파상(波狀)의 단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파상의 단의 발생 원인은 하기와 같다. 제2의 인공 모발(5)의 열수축률이 제1의 인공 모발(1)의 그것보다도 높을 경우, 인공 모발 다발(10)에 대하여 열에 의한 컬 붙임 처리를 실시하면, 제2의 인공 모발(5)에 인접한 제1의 인공 모발(1)은, 제2의 인공 모발(5)과 동일하게 수축하고자 한다. 그러나, 제2의 인공 모발(5)의 수축은 제1의 인공 모발(1)의 수축에 비해 크기 때문에, 수축이 작은 제1의 인공 모발(1)이 잡아 당겨져서 꼬임(kink) 또는 쳐짐(slack)이 발생하여, 소정의 깨끗한 컬을 부여할 수 없게 되며, 이것이 파상의 단으로 되어 나타난다. In the above-mentioned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제2의 인공 모발(5)의 바람직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제2의 인공 모발(5)의 길이 방향의 수직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인공 모발(5)은, 그 표면이 초부(5A)이고, 초부(5A)의 내부에 심부(5B)를 가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모두 폴리아미드 수지로 된다. 초/심 구조는 도시한 경우, 거의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심부(5B) 및 초부(5A) 모두 대략 동심원 형상 이외의 이형(異形) 형상이어도 좋고, 제2의 인공 모발(5)의 단면 형상은, 원, 타원, 고치형 등이어도 좋다. FIG. 4: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the preferable structure of the 2nd
상기 심부(5B)의 재료가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강도와 강성이 높은 반방향족의 폴리아미드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과의 교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예를 들어, 나일론6T),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디프산과 메타 크실렌디아민을 아미드 결합으로 교호로 결합시킨 고분자 (예를 들면, 나일론MXD6)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분자 재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 재료에 비해, 헤어 세트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나일론」은 듀폰사의 등록상표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나일론」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용어를 사용한다.As the polyamide resin serving as the material of the
상기 초부(5A)의 재료가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심부(5B)의 재료보다도 굴곡 강성이 낮은, 예를 들어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로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프로락탐의 개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예를 들면 나일론 6,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과의 교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예를 들면 나일론66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polyamide resin serving as the material of the above-described 5A portion, a linear saturated aliphatic polyamide having a lower bending rigidity than that of the
제2의 인공 모발(5)의 초부(5A)의 표면이 평활할 경우는 부자연스러운 광택이 생기므로, 이러한 광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소위 광택 제거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2의 인공 모발(6)의 변형예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제2의 인공 모발(6)의 초부(5A)의 표면에는 광택 제거 효과가 발현되도록 미세한 요철부(5C)가 형성되어 있다. Unnatural glossiness occurs when the surface of the
여기서, 미세한 요철부(5C)는, 제2의 인공 모발(6)의 방사 중 또는 방사 후의 섬유를 모래, 얼음, 드라이 아이스 등의 미소 분말에 의한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부여할 수 있다. 제2의 인공 모발(6)의 방사 중에 형성할 경우에는, 제2의 인공 모발(6)의 최외 표면에 구상(球狀)의 결정을 형성하면 좋다. 구정(球晶) 형성과, 상기 모래, 얼음, 드라이 아이스 등의 미소 분말에 의한 블라스트 처리를 조합한 처리여도 좋다. 구정 형성 및/또는 블라스트 처리로 형성한 요철부는, 광이 난반사되도록, 가시광 파장의 정도보다도 큰 요철부(5C)가 되도록 형성하면 좋다. 이 제2의 인공 모발(5),(6)도, 장착자의 기호에 따라 착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은 방사 시의 원료가 되는 폴리머의 혼련 중에 안료 및/또는 염료를 배합해도 좋고, 방사 후에 염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2의 인공 모발(5),(6)은, 심부(5B)에 굴곡 강성이 높은 폴리아미드를 이용하고, 초부(5A)에는 심부(5B)보다도 굴곡 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를 이용한 초/심 구조로 함으로써, 온도나 습도에 따라 강성이 변 화하여, 천연 모발에 보다 가까운 거동을 나타내는 인공 모발로 할 수 있다 Here, 5 C of fine uneven | corrugated parts can give the fiber in the spinning | disconnection of the 2nd
인공 모발 다발(10)에 있어서의 제1의 인공 모발(1),(2)는, 제2의 인공 모발(5),(6)과의 혼합 비율이 10∼60 중량%의 범위가 좋고, 특히 20∼3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에서는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집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1의 인공 모발(1),(2), 다시 말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혼합 비율이 10 중량% 미만에서는,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집속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제1의 인공 모발)의 혼합 비율이 60 중량%를 넘으면,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집속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제1의 인공 모발)가 눈에 띄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폴리아미드계 섬유에 비하여 흡습성이 나쁘기 때문에, 2 종류의 섬유로 되는 인공 모발 다발(10)은 흡습성의 차이로 인해, 습도의 변화에 따라 다른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The first
이와 같이,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에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을 혼합했을 경우 집속하기 어렵게 되는 것은,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에 화학 구조가 다른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이 혼합된 것과,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은 정(正)의 전하를 띠기 쉽고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은 부(負)의 전하를 띠기 쉽다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고 추측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polyester-based artificial hair is mixed with polyamide-based artificial hair, it becomes difficult to focus on the mixture of polyamide-based artificial hair and polyester-based artificial hairs having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It is assumed that it is due to the fact that it is easy to carry a positive charge, and that polyester artificial hair is easy to carry a negative charge.
인공 모발 다발(10)이, 제1의 인공 모발(1),(2)과 제2의 인공 모발(5),(6)을 바람직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제2의 인공 모발(5),(6)이 집속하지 않고, 또한, 제1의 인공 모발(1),(2) 및 제2의 인공 모발(5),(6)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질 수 있다. The
이어서, 본 발명의 가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wig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도 6은 본 발명의 가발(2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인공 모발(1),(2)을 이용한 가발(20)은, 가발 베이스(11)에, 제1의 인공 모발(1),(2)과 제2의 인공 모발(5),(6)이 소정의 비율로 심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의 인공 모발(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로 되고,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이다. 제2의 인공 모발(5),(6)은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로 되고,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심부(5B)가 강성이 높은 폴리아미드 수지, 초부(5A)가 심부(5B) 보다 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된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가발 베이스(21)에 심어 설치되는 제1의 인공 모발(1),(2)과 제2의 인공 모발(5),(6)과의 혼합 비율은, 임의의 영역에 있어서, 제1의 인공 모발(1),(2)이 20±5 중량% 정도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에서 혼합하면 가발 베이스(21)에 심어 설치되어 있는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5),(6)이 집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1의 인공 모발의 혼합비율이 20±5중량% 미만에서는,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집속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제1의 인공 모발)의 혼합비율이 20±5 중량%를 넘으면,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집속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제1의 인공 모발)가 눈에 띄어 바람직하지 않다. 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가발 베이스(21)는 네트 베이스 또는 인공 피부 베이스로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한 경우에는, 가발 베이스(21)가 네트 부재로 구성되어, 제1의 인공 모발(1),(2) 및 제2의 인공 모발(5),(6)이 네트 부재를 구성하는 종횡의 필라멘트에 심어 설치되어 있다. 가발 베이스(21)는, 네트형 베이스와 인공 피부 베이스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가발의 디자인이나 용도에 맞춘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의 인공 모발(1),(2) 및 제2의 인공 모발(5),(6)은, 바람직하게는, 표면의 경면 광택을 억제할 수 있어, 천연 모발에 근사한 광택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의 인공 모발의 색은, 장착자의 희망에 따라, 흑색, 자색, 블론드 등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탈모부 주변의 자기 모발에 맞춘 색의 인공 모발을 선택하면 자연감이 증가한다. 멋내기용 가발 또는 붙임 머리로 할 경우는, 본 발명의 인공 모발에 자기 모발과 다른 착색으로 메쉬 형상으로 하거나, 인공 모발에 기단(基端)부로부터 선단(先端)부에 걸쳐, 예를 들어 색조의 농담(濃淡)을 변화시킨다든가 색채를 서서히 변화시켜 그라데이션(gradation)을 실시해도 좋다. The first
도 7 (A)는 본 발명의 가발(20)을, (B)는 비교예로서의 가발(25)을,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발(20)에서는, 제1의 인공 모발(1),(2)을, 천연 모발과 같은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제2의 인공 모발(5),(6)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1의 인공 모발(1),(2)과 제2의 인공 모발(5),(6)은 동일하게, 가발 베이스(21)에 심어 설치되어 양자를 준별(峻別)할 수 없다. 나아가, 제2의 인공 모발(5),(6)을 형성하는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집속하지 않는, 우수한 가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 여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발 베이스(21)에, 제2의 인공 모발(5),(6)과 함께,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으로 50∼70㎛의 범위 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3)을 심어 설치한 종래의 가발(20)에서는, 인공 모발(3)이, 제2의 인공 모발(5),(6)과 다른 굴곡 강성치를 가지므로, 가발 베이스(21)로부터의 일어섬이 커서, 제2의 인공 모발(5),(6)과는 분리된 외관을 나타내어 바람직하지 않다. 7: (A)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the
이어서,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장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rtificial hai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First, the apparatus system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rtificial hai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도 8은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에 이용하는 장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장치(30)는,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렛 또는 착색 원료를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렛을 넣어 두는 원료조(31)와, 원료를 용융해서 혼련하는 용융 압출기(32)와, 용융 압출기(32)에서 혼련한 용융액을 토출구(32A)로부터 토출한 사상 용융물을 고화하는 온욕부(33)와, 그 후, 각 단이 연신 롤러(34,36,38,40) 및 건열조 (35,37,39)로 이루어지는 3단의 연신 열처리 공정을 거치고, 인공 모발(1)을 권취하는 권취기(41)와, 실 표면에 추가로 미세구멍(2a)를 형성하기 위한 알카리 감량부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paratus system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용융 압출기(32)는,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렛이나 착색 원료를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렛 등을 용융시키기 위한 가열 장치와, 균일해지도록 분산시켜 교반하기 위한 혼련기와, 용융액을 토출 구(32A)로 송액(送液)하는 기어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The
토출부(32)의 토출구(32A)에는 소정의 직경의 구멍이 소정의 개수로 구비되어 있고, 토출부(32)의 토출구(32A)로부터 나온 섬유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순서대로, 온욕부(33), 제1 연신 롤러(34), 제1 건열조(35), 제2 연신 롤러(36), 제2 건열조(37), 제3 연신 롤러(38), 제3 건열조(39), 제4 연신 롤러(40)를 거친 후에, 권취기(41)에 감기고, 그 후 알카리 감량부 (도시하지 않음)에서 알칼리 감량 처리를 행한다. 제1 연신 롤러(34)∼제4 연신 롤러(40)는 고화한 사(絲)부재에 대하여 연신 처리를 실시한다. 우선,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를 제1 연신 롤러(34)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증가시킴에 의해 사부재에 대하여 제1 연신 처리를 행하고, 이어서,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를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증가시킴에 의해 사부재에 대하여 제2 연신 처리를 행하고, 그 후, 제4 연신 롤러(40)의 롤러 속도를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감소시킴 의해 섬유에 준 긴장을 완화하여 치수를 안정시키는 이완 연신 처리가 행해진다. 제4 연신 롤러(40)로부터 권취기(41)의 사이에, 정전 방지용 오일링(oiling)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ischarge holes 32A of the
도 9는 알카리 감량부(45)의 모식도이다. 알카리 감량부(45)는, 알카리 수용액을 포함하는 처리액을 저장하는 액 저장부 (46)와, 이 액 저장부(46)에 섬유(100)의 일부를 침지하도록 섬유(100)를 매달고 회전하는 회전통부(47)와, 이 회전통부(47)의 상방에 배치되고 회전통부(47)에 매달려 있는 섬유(100)에 대하여 처리액을 분사하는 샤워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액 저장부(46)에는, 폴리 에스테르계 섬유를 에칭하기 위한 알카리 수용액과 가수분해 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촉진제를 포함하는 처리액이 저장되어, 처리액 중에 섬유(100)의 일부를 침지함으로써, 섬유(100)의 표면을 에칭한다. 회전통부(47)는, 세쌍의 관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연설(延設)하고, 또한 각 쌍의 관부가 서로 대략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배열 설치되어 구성되고, 각 관부에는 회전축의 방향과 반대쪽에 복수개의 분사구(47a)가 설치되어, 관부 내에 유입된 처리액을 회전 외측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9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알카리 감량부(45)에 있어서, 연장 및 이완 처리된 섬유(100)에 대하여 에칭처리를 실시한다. 즉, 섬유(100)의 일부를 처리액에 침지함으로써, 섬유가 균일하게 에칭되어 섬유 직경이 작아진다. 도 9에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진 방향으로, 회전통부(47)가 회전함으로써 섬유(100)가 도면에 실선에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이 때, 회전통부(47)의 각 분사구(47a) 또는 샤워부(48)로부터 분사된 처리액이, 회전통부(47)에 걸린 섬유(100)의 외주 표면에 부착된다. 회전통부(47)의 우측에서는, 섬유(100)의 이동 방향(실선으로 표시한 화살표의 방향)과 처리액의 자중에 의한 이동 방향(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의 방향)이 일치하여 섬유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시 말해, 처리액의 흐름에 따라 에칭 처리가 실시된다. 한편, 회전통부(47)의 좌측에서는, 섬유(100)의 이동 방향과 처리액과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섬유의 이동 방향에 거슬러서 에칭된다. 이와 같이, 섬유(100)의 표면에 부착된 처리액은 처리액의 자중에 의해 섬유의 표면을 섬유의 축 방향, 다시 말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직 하방으로 흐르고, 이 흐름의 방향을 따르도록 에칭 처 리가 실시된다. 따라서, 섬유(100)는 알카리 감량 처리에 의해 가늘게 되고, 또한 섬유의 표면에 그 축 방향으로 미세 구멍이 형성된다. In the
도 8에 나타낸 장치 시스템(30)에 의한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고 착색 원료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로 되는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rtificial hair by the
도 8에 나타낸 제조 장치(30)에 있어서, 원료조(31)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베이스로 하여 착색 안료를 포함한 착색용 수지 펠렛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넣는다. 착색용 수지 펠렛의 혼합비율을 변경시킴으로써 최종 제품인 인공 모발의 모발 색을 바꿀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에 대한 착색용 수지 펠렛의 혼합 비율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착색용 수지 펠렛을 질량비로 40:60을 최대로 한다. In the
원료조(31) 내의 펠렛을 용융 압출기(32)로 보내고, 이 펠렛을 용융 압출기(32)에서 혼련하여 그 용융액(31A)을 토출구(32A)로부터 토출시켜, 온욕부(33)에 의해 사상 용융물을 고화시킨다. 온욕부(33)의 온도는, 생산성의 면에서 40℃ 전후가 바람직하다. 온욕부(33)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용융한 수지를 토출시킨 후, 온욕부(33)에 접촉할 때에 사상 용융물의 최초로 물에 닿는 외부와 내부에 관하여, 급냉에 의해 내부의 수지의 결정화가 진행되고 외부의 결정화는 진행되지 않는 결과, 분자 구조의 차이가 생기고, 이것이 원인으로 「실의 물결침(waving)」이 생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온욕부(33)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사상 용융물의 결정화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사상 용융물의 연신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지고, 연신 시에 사절(絲切)이 생기는 경향이 있어서 생산성이 나빠진다.The pellet in the
고화된 사부재에 대하여, 제1 연신 롤러(34) 및 제2 연신 롤러(36)에 의해 제1 단계의 연신 처리를 실시하고, 제2 연신 롤러(36)및 제3 연신 롤러(38)에 의해 제2 단계의 연신 처리를 실시하고, 제3 연신 롤러(38)및 제4 연신 롤러(40)에 의해 이완 처리를 실시한다. 제1 및 제2의 연신 처리에 의해, 연신 배율로서 합계 배율을 6배로 한다. The solidified sand member is subjected to the stretching process in the first step by the
이어서, 연신 처리가 실시된 섬유에 대하여 알카리 감량 처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알카리 용액에 가수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촉진제를 혼합한 처리액을 액 저장부(46) 내에 저장하고, 회전통부(47)에 걸린 섬유(100)의 일부를 침지하는 동시에, 침지하지 않은 섬유(100)의 부분에 처리액을 회전통부(47)의 분사구 또는 샤워부(48)로부터 분사한다. 섬유(100)의 표면에 부착한 처리액은 처리액의 자중으로 섬유의 표면을 섬유의 축방향, 즉, 길이 방향을 따라 연직 하방으로 흐르고, 이 흐름의 방향을 따르도록 에칭 처리가 실시된다. 따라서, 섬유(100)는 알카리 감량 처리에 의해 섬유(100)가 가늘어지고, 또한, 섬유의 표면에 축 방향으로 미세구멍이 형성된다. 이 때 처리액은, 가수분해를 촉진하기 위해서 소정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섬유에 부착한 알카리를 중화한 후 세정 처리를 행하여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다. Subsequently, an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fibers subjected to the stretching treatmen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the processing liquid which mixed the accelerator for promoting hydrolysis to alkaline solutions, such as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is stored in the
토출구(32A)에 제공된 구멍의 직경 또는 온욕(33)의 온도 등의 방사 조건, 제1 ∼ 제4 연신 롤러의 속도, 제1 ∼ 제3의 건열조의 온도 등의 연신 조건, 나아가, 알카리 감량 조건을 조정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착색 안료를 성분 으로 한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섬유가,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와 굴곡 강성치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 인취(引取) 속도를 27.9m/분, 최종 권취 속도를 155m/분으로 함으로서, 알카리 감량 후의 굴곡 강성치가 6.5×1O-3gf·㎠/가닥인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다. Spinning conditions such as the diameter of the hole provided in the
이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고, 거기에 착색 안료를 포함한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rtificial hair which use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a polybutylene terephthalate as a component, and contains a coloring pigment is demonstrated.
도 8에 나타낸 제조 장치(30)에 있어서, 원료조(31)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베이스로 하여 착색 안료를 포함한 착색용 수지 펠렛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시켜 넣는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총 펠렛에 대한 착색용 수지 펠렛의 혼합 비율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총 펠렛:착색용 수지 펠렛을 질량비로 40:60을 최대로 한다. 온욕의 온도는 40℃ 전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다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착색 안료만을 성분으로 하는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원료조(31) 내의 펠렛을 용융 압출기(32)로 보내고, 펠렛을 용융 압출기(32)로 혼련한 용융액(31A)을 토출구(32A)로부터 토출시켜, 온욕부(33)에 의해 사상 용융물을 고화한다. 고화한 사부재에 대하여, 전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단계의 연신 처리, 제2 단계의 연신 처리 및 이완 처리를 실시하 고, 알카리 감량 처리를 실시한다. 그 후, 섬유에 부착한 알카리를 중화한 후 세정 처리를 행하여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다. Next, the pellets in th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의 혼합비를 조정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이 얻어진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질량비는 15:85 내지 25:75의 범위, 특히 20:80이 바람직하다. 질량비가 15:85 미만에서는 굴곡 강성치가 높고, 반대로, 질량비가 25:75를 넘으면 굴곡 강성치가 낮다. 상기범위로부터 벗어난 인공 모발을 가발에 이용하면, 상기 인공 모발과 가발 장착자의 천연 모발과의 거동이 상이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토출구(32A)에 제공된 구멍의 직경 또는 온욕(33)의 온도 등의 방사 조건, 제1 내지 제4 연신 롤러의 속도, 제1 내지 제3의 건열조의 온도 등의 연신 조건, 나아가 알카리 감량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최적인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이 얻어진다.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of the pellet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the pellets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artificial hair having the same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is obtained. The mass ratio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is in the range of 15:85 to 25:75, particularly 20:80. If the mass ratio is less than 15:85, the flexural rigidity value is high. On the contrary, if the mass ratio exceeds 25:75, the flexural rigidity value is low. If artificial hair outside the above range is used in the wig, the behavior of the artificial hair and the natural hair of the wig wearer is different, which is not preferable. Spinning conditions such as the diameter of the hole provided in the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을 구성하는 제2의 인공 모발(5),(6)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2nd
도 10은 제2의 인공 모발(5),(6)의 제조에 이용하는 장치(50)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조 장치에 이용하는 토출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장치(50)는, 초부(5A)가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용의 제1의 원료조(51)와, 심부(5B)가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용의 제2의 원료조(52)와, 이들의 원료조(51),(52)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용융하여 혼련하는 용융 압출기 (51D),(52D)와, 용융 압출기 (51D),(52D)에서 혼련한 용융액(51A),(52A)를 토출부(53)의 토출 구(53C)로부터 토출하는 사상 용융물을 고화하는 동시에,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온욕부(54)와, 그 후, 각 단이 연신 롤러(55),(57),(59) 및 건열조 (56),(58),(60)로 이루어지는 3단의 연신 열처리 공정부를 거치고, 실 표면에 요철부(5C)를 붙이기 위한 블라스트기(63)와, 블라스트기(63)에 의해 소망하는 정도로 광택 제거된 인공 모발을 감는 권취기(6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FIG. 10 is a schematic view of an
용융 압출기 (51D),(52D)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펠렛을 용융하기 위한 가열 장치와, 균일해지도록 분산시켜 교반하기 위한 혼련기와, 용융액(51A),(52A)을 토출부(53)로 송액하는 기어 펌프(51B),(52B)를 구비하고 있다. The melt extruders 51D and 52D include a heating device for melting the pellets of the polyamide resin, a kneader for dispersing and agitating so as to be uniform, and
토출부(53)의 토출구(53C)로부터 나온 섬유는 도시한 대로 온욕, 연신, 건열기구를 거친 후, 정전 방지용 오일링 장치(61)와, 치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인공 모발에 준 긴장을 완화하는 연신 롤러(62)와, 표면 처리용의 블라스트 (63)를 통하여 권취기(64)에 권취된다. The fiber from the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부(53)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 설치되는 2중의 토출구를 가지고, 그 중심원부(53B)로부터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용융액(52A)를, 그리고, 중심원부(53B)를 둘러싸는 외환부(53A)로부터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1A)를, 각각 토출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이어서, 상기 제조 장치(50)에 의한 제2의 인공 모발(5),(6)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조 장치(50)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기(51D),(52D)에서, 각 폴리아미드 수지를 각각 알맞은 온도로 용융하여 토출부(53)로 송액하고, 토출구의 중심원부(53B)로부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2A)와, 외환부(53A) 로부터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1A)를 토출구(53C)로부터 토출시켜, 초/심 구조의 실로 하여, 인공 모발(5),(6)을 제조할 수 있다. 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2nd
여기서,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1A)을 기어 펌프(51B)로 일정 시간 송액한 용량과,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2A)를 기어 펌프(52B)로 송액한 용량과의 비율을, 본 발명에서는 초/심 용량비라고 칭한다. 인공 모발(5)의 굴곡 강성치를 천연 모발의 굴곡 강성치에 근사하도록 하기 위해, 초부와 심부의 중량비인 초/심 중량비는 10/90 ∼ 35/65가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이러한 초부와 심부의 중량비를 얻기 위한 제조 조건은, 초/심 용량비로서 1/2 ∼ 1/7이 바람직한 값이 되고, 이 범위가 인공 모발(5),(6)의 굴곡 강성치 등의 물성치에 바람직하다. 이 초/심 용량비가 1/2보다 커지면, 즉 초부(5A)의 비율이 커지면, 인공 모발(5),(6)의 심부(5B)의 굴곡 강성치의 증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작아진다. 초/심 용량비가 1/7보다 작아지면, 즉 심부(5B)의 비율이 커지면, 굴곡 강성치가 지나치게 커져서 천연 모발에 근사하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Here, the ratio between the capacity | capacitance which sent 51 A of linear saturated aliphatic polyamide resin melts with the gear pump 51B, and the capacity which sent the semi-aromatic
인공 모발(5),(6)의 방사 시의 연신 배율은 5 ∼ 6배로 할 수 있다. 이 연신 배율은, 종래의 나일론6 단독의 인공 모발의 연신 배율보다도 약 2배 정도의 값이다. 제2의 인공 모발(5),(6)은, 방사 시의 연신 배율, 사 직경, 굴곡 강성치 등을, 소망하는 설계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인공 모발(5),(6)의 초/심의 형상은, 방사 시의 조건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대략 동심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The draw ratio at the time of spinning of the
인공 모발용 방사에서는, 토출구(53C)로부터 인출한 실을 온욕부(54) 중에서 80℃ 이상의 물속을 통과시킴에 의해 초부(5A)의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표면에 요철부(5C)로 되는 구정을 발생 성장시킬 수 있어, 천연 모발과 같은 외관을 주고, 부자연스러운 광택을 제거한 광택 제거 인공 모발(6)을 제조할 수 있다.In the spinning for artificial hair, the yarn drawn out from the
실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5C)를 부여하는 방법은, 상기 구정의 발생 성장에 의한 것 이외에, 방사 후의 실 표면을 모래, 얼음, 드라이 아이스 등의 미립자로 블라스트하는 방법, 또는, 실 표면을 약품 처리하는 방법 중 어느 것 또는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the fine concavo-
인공 모발(5),(6)로서 바람직한 색, 외관을 주기 위해서, 방사 시에 안료 및/또는 염료를 배합할 수 있고, 방사 종료 후에 인공 모발(5),(6)자체를 염색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give the desired color and appearance as artificial hairs (5) and (6), pigments and / or dyes may be blended at the time of spinning, and the
이상과 같이, 제2의 인공 모발(5),(6)은, 굴곡 강성이 상이한 폴리아미드 수지에 의한 초/심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종래의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단체(單體)의 인공 모발보다도 굴곡 강성이 높은 인공 모발(5),(6)을, 재현성 좋게 제조할 수 있다. 인공 모발(5)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5C)를 형성하면, 천연 모발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광택을 부여하여, 모발로서의 자연스러운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도 1]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form of the artificial 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rtificial 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rtificial hair bu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도 3에 나타낸 제2의 인공 모발의 바람직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제2의 인공 모발의 길이 방향의 수직 단면도이다. FIG. 4: shows the preferable structure of the 2nd artificial hair shown in FIG. 3 typically,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2nd artificial hair.
[도 5] 제2의 인공 모발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FIG. 5: is sectional drawing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showed the modification of 2nd artificial hair typically.
[도 6] 본 발명의 가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A)는 본 발명의 가발을, (B)는 비교예로서의 가발을,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FIG. 7: (A) is the figure which showed typically the wig of this invention, (B) shows the wig as a comparative example, respectively.
[도 8]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에 이용하는 일련의 장치의 개략도이다.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ries of devices used for producing artificial 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알카리 감량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an alkali weight loss part.
[도 10]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을 구성하는 제2의 인공 모발의 제조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for producing a second artificial hair constituting the artificial hair bu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도 10의 제조 장치에 이용하는 토출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charge portion used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10.
[도 1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공 모발의 주사 전자 현미경상을 나타내는 도이다.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artificial hair prepared in Example 1. FIG.
[도 13]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에 관하여, 인공 모발의 단면 직경에 대한 굴곡 강성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exural rigidity value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diameters of artificial hairs of the artificial hair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FIG.
[도 14]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질량에 관한 혼합 비율에 대한 굴곡 강성치를 나타낸 도이다.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bending stiffness value with respect to the mixing ratio with respect to the mass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도 15]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이 20%, 60%인 경우의, 알카리 감량 처리 전후에서의 굴곡 강성치를 나타낸 도이다.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flexural rigidity values before and after the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when the mixing ratio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is 20% or 60%.
[도 16] 각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에 대한 열수축률을 나타낸 도이다. FIG. 16 is a diagram showing the heat shrinkage rate with respect to the flexural rigidity of each artificial hair. FIG.
※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1, 2: 제1의 인공 모발 1, 2: first artificial hair
2a: 미세구멍 2a: micropores
5, 6: 제2의 인공 모발 5, 6: second artificial hair
5A: 초부 5A: Beginner
5B: 심부 5B: Deep
5C: 요철부 5C: irregularities
10: 인공 모발 다발 10: bundle of artificial hair
20: 가발 20: wig
21: 가발 베이스 21: wig base
30, 50: 제조 장치 30, 50: manufacturing apparatus
31, 51, 52: 원료조 31, 51, 52: raw material tank
31A, 51A, 52A: 용융액 31A, 51A, 52A: Melt
32, 51D, 52D: 용융 압출기 32, 51D, 52D: Melt Extruder
32A, 53C: 토출구 32A, 53C: discharge port
33, 54: 온욕부 33, 54: warmth
34, 36, 38, 40, 55, 57, 59, 62: 연신 롤러 34, 36, 38, 40, 55, 57, 59, 62: stretching roller
35, 37, 39, 56, 58, 60: 건열조35, 37, 39, 56, 58, 60: dry heat
41, 64: 권취기41, 64: winder
45:알카리 감량부 45: Alkali weight loss part
46: 액저장부 46: liquid storage
47: 회전 통부 47: rotating tube
47a: 분사구 47a: nozzle
48: 샤워부 48: shower
51B, 52B: 기어 펌프51B, 52B: Gear Pump
53: 토출부 53: discharge part
53A: 외환(外環)부 53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53B: 중심원부 53B: Central circle
61: 정전 방지용 오일링 장치 61: anti-static oiling device
63: 블라스트기 63: blast
100:섬유 100: fiber
실시예 1Example 1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도 8에 나타낸 방사기(30)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는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인공 모발의 원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東洋紡(주) 제조, 밀도 1.40g/㎤, 융점 255℃)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베이스에 흑색, 황색, 오렌지색, 적색의 안료 중량%이, 각각 6%, 6%, 5%, 5%인 착색용 수지 펠렛을 이용하였다 Using the spinning
방사 조건은, 펠렛의 용융 온도를 토출구로부터의 토출온도로 270℃로 해서 토출구에는 구경 0.7mm의 구멍을 15개 구비한 구금(口金)을 준비하였다. 온욕(33)의 온도는 40℃로 했다. In spinning conditions,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pellets was set to 270 ° C at the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ort was prepared with a cap including 15 holes having a diameter of 0.7 mm. The temperature of the
연신 조건에 대해서는, 제1 연신 롤러(34) 내지 제4 연신 롤러(40)의 각 롤러의 속도를 조정하여, 알카리 감량 처리 후의 인공 모발의 단면 평균 직경이 65㎛가 되도록 했다. 즉,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를 제1 연신 롤러(34)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4.6배로 하고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를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1.3배로 하고 제4 연신 롤러(40)의 롤러 속도를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0.93배로 하였다. 또, 제1 연신 온도로서 제1 건열조(35)의 온도를 130℃, 제2 연신 온도로서 제2 건열조(37)의 온도를 180℃, 이완 연신 온도로서 제3 건열조(39)의 온도를 180℃로 했다. About extending | stretching conditions, the speed | rate of each roller of the
알카리 감량 처리의 조건은, 알카리 수용액으로서 5중량%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가수분해 촉진제로서 카치오졸 (高松油脂(주) 제조)을 0.5중량%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이용하였다. 욕비(浴比)는 피처리물:처리액의 질량비=1:30, 처리 온도는 약 100℃, 처리 시간 60분으로서 알카리 감량율이 10~20%가 되도록 했다. As the conditions of the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hydroxide having a concentration of 5% by weight as an aqueous alkali solution was added to a concentration of 0.5% by weight of kaziosol (manufactured by Komatsu Co., Ltd.) as a hydrolysis accelerator. Bath ratio was mass ratio of the to-be-processed object: treatment liquid = 1: 30, treatment temperature was about 100 degreeC, and processing time was 60 minutes, and the alkali reduction ratio was 10 to 20%.
표 1은 알카리 감량 처리의 유무에 의한 인공 모발의 각 물성치를 나타낸 표이다. 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physical property values of artificial hairs with or without alkaline weight loss treatment.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함으로써 인공 모발의 직경은 75.1㎛로부터 66.1㎛로 감소하였다. 강도는 84.7kgf/㎟으로부터 63.4kgf/㎟으로 감소하였다. 신도는 19.6%로부터 12.2%로 감소하였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1, the diameter of the artificial hair was reduced from 75.1 µm to 66.1 µm by performing an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The strength decreased from 84.7 kgf /
도 12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의 주사 전자 현미경상을 나타낸다. 전자의 가속 전압은 15kV로 배율은 800배이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공 모발의 표면에 그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섬유의 축 방향에 세로 길이(縱長)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미세 구멍에 의해 광택 제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인공 모발의 단면 치수는 평균 직경으로 약 65㎛로 확인되었다. 12 shows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artificial hair manufactured in Example 1. FIG. The electron's acceleration voltage is 15kV and the magnification is 800 times. As can be seen from FIG. 12, it was confirmed that fine holes having a longitudinal length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hai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ber. The effect of gloss removal can be obtained by such a fine hole. Moreover,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artificial hair was confirmed about 65 micrometers in average diameter.
실시예 2Example 2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50㎛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The stretching conditions were changed, an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rtificial hair having a cross-sectional dimension of 50 µm in average diameter was produced.
실시예 3Example 3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55㎛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The stretching conditions were changed, an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rtificial hair having a cross-sectional dimension of 55 µm in average diameter was produced.
실시예 4Example 4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60㎛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The stretching conditions were changed, an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rtificial hair having a cross-sectional dimension of 60 µm in average diameter was produced.
실시예 5Example 5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70㎛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The stretching conditions were changed, an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rtificial hair having a cross-sectional dimension of 70 µm in average diameter was produced.
이어서,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한 비교예 1 내지 3을 나타낸다. Next, Comparative Examples 1-3 with respect to Examples 1-5 are shown.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45㎛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The stretching conditions were changed, an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rtificial hair having a cross-sectional dimension of 45 µm in average diameter was produced.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75㎛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The stretching conditions were changed, an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rtificial hair having a cross-sectional dimension of 75 µm in average diameter was produced.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80㎛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The stretching conditions were changed, an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rtificial hair having a cross-sectional dimension of 80 µm in average diameter was produced.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으로 제조한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의 결과를 나타낸다. 굴곡 강성치의 측정은, 온도 22℃, 습도 40%의 환경 하에서 수행하였다. 섬유의 굴곡 강성의 측정은 직물에 관하여 천단식 측정법과 그 원리가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를 개량한 싱글 헤어 벤딩 테스터 (카토테크(주)제, 모델 KES-FB2-SH)를 이용하여,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시료가 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의 인공 모발 및 천연 모발의 어느 경우에도, 각 1cm의 1 가닥에 대하여, 모발 전체를 일정 곡률까지 원호 상태로 등속도로 굽히고, 이에 수반되는 미소한 굴곡 모멘트를 검출하여, 굴곡 모멘트와 곡률의 관계를 측정했다. 이로부터, 굴곡 모멘트/곡률 변화에 의해 굴곡 강성치를 구하였다. 대표적인 측정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The result of the bending rigidity value of the artificial hair manufactured by Examples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3 is shown. The measurement of the bending rigidity value was performed in the environment of the temperature of 22 degreeC, and 40% of humidity. The measurement of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fiber is widely known for its fabric-based metric method and its principle. Using an improved single hair bending tester (model KES-FB2-SH, manufactured by Katotech Co., Ltd.), Flexural stiffness was measured. In the meas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ficial hair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natural hair, which is a sample, in any case, each 1 cm strand of the whole hair is bent at a constant curvature at a constant curvature at a constant speed, and the resulting minute One bending moment was det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ding moment and curvature was measured. From this, the bending stiffness value was determined by the bending moment / curvature change. Representative measurement conditions are shown below.
(측정 조건) (Measuring conditions)
척(chuck)간 거리:1cm Chuck distance: 1cm
토크 검출기: 토션 와이어(스틸 와이어)의 비틀림 검출 방식 Torque detector: Torsion detection method of torsion wire (steel wire)
토크 감도: 1.0gf·㎝ (풀 스케일 1OV에 있어서) Torque sensitivity: 1.0gfcm (at full scale 1OV)
곡률: ±2.5cm-1 Curvature: ± 2.5cm -1
굴곡 변위속도: 0.5㎝-1/secFlexural Displacement Speed: 0.5cm -1 / sec
측정 사이클: 1 왕복 Measuring cycles: 1 round trip
여기서, 척은, 상기 1cm의 각 모발을 끼워넣는 기구이다. Here, the chuck is a mechanism for fitting the hairs of the 1 cm.
표 2는,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한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3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한 인공 모발에 관하여, 인공 모발의 단면 직경에 대한 굴곡 강성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의 세로축은 굴곡 강성치(gf·㎠/가닥)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인공 모발의 단면 평균 직경(㎛)이다. Table 2 is a table | surface which show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bending rigidity value of the artificial hair manufactured by Examples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3.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ural stiffness value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artificial hairs for artificial hair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FIG. The vertical axis of the figure represents the flexural rigidity value (gf ·
단면 평균 직경(㎛)
Cross section average diameter (㎛)
(gf·㎠/가닥)
(
표 2 및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 모발은, 단면 치수가 커지면 굴곡 강성치가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다시 말해, 평균 직경이 45㎛, 50㎛, 55㎛, 60㎛, 65㎛, 70㎛, 75㎛, 80㎛로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 굴곡 강성치가, 6.37×10-3gf·㎠/가닥, 6.70×10-3gf·㎠/가닥, 6.86×10-3gf·㎠/가닥, 7.12×10-3gf·㎠/가닥, 7.44×10-3gf·㎠/가닥, 7.67×10-3gf·㎠/가닥, 8.06×10-3gf·㎠/가닥, 8.35×10-3gf·㎠/가닥으로 증가하였다. 천연 모발의 굴곡 강성치는 개체 차이도 크므로, 연령층 20∼50 세대 각 층의 남성 25명, 여성 38명으로부터 두발을 채취하고, 그 중 직경 80㎛인 실험 자료에 관한 굴곡 강성치를 같은 측정 환경 하, 다시 말해, 온도 22℃, 습도 40%의 환경 하에서 실행하였다. 최대치는 7.4×10-3gf·㎠/가닥이고, 최소값은 6.6×10-3gf·㎠/가닥이며, 그 평균값은 7.1×10-3gf·㎠/가닥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온도 22℃, 습도 40%의 환경 하에서는 약 6.5∼7.8×10-3gf·㎠/가닥의 범위이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이다. 이들의 결과에 근거하면,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의 경우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지만,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의 경우, 천연 모발의 굴곡 강성치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는 인공 모발에서는,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소유하기 위해서는, 50∼70㎛ 이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한 인공 모발은, 모두 실시예 1과 같이 미세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주사 전자 현미경상으로 확인하였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2 and FIG. 13, the flexural rigidity value linearly increased in the artificial hair mainly compos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increased. In other words, as the average diameter increases to 45 µm, 50 µm, 55 µm, 60 µm, 65 µm, 70 µm, 75 µm, 80 µm, the flexural stiffness value is 6.37 × 10 −3 gf ·
실시예 6Example 6
도 8에 나타낸 제조 장치(30)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2)을 제조하였다. 인공 모발의 원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東洋紡(주)제, 밀도 1.4Og/㎤, 융점 255℃)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미츠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주)제조, 밀도 1.31g/㎤, 융점 224℃)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베이스에 흑색, 황색, 오렌지색, 적색 각 안료 중량%가, 6:6:5:5인 착색용 수지 펠렛을 이용하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에 대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의 혼합비율을 질량비로 0∼75%로 변화시켜, 7 종류의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방사 조건, 연신 조건, 알카리 감량 처리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The polyester
표 3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이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합 비율을 파라미터로 하여, 알카리 감량 처리 전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표 3을 그래프화한 것으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질량에 관한 혼합 비율에 대한 굴곡 강성치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굴곡 강성치(gf·㎠/가닥)이며, 가로축은 질량에 관한 펠렛 전체에 대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PBT/(PET+PBT)(%)이다. 플롯 중, ◆은 알카리 감량 처리전에서의 값, ■은 알카리 감량 처리 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측정 조건은, 온도 22℃, 습도는 40%였다. Table 3 is a bending stiffness value of the artificial hair prepared in Example 4, and shows the values before and after the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using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mixing ratio as a parameter. FIG. 14 is a graph of Table 3, and shows flexural stiffness values with respect to the mixing ratio with respect to the mass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FIG.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flexural rigidity value (gf ·
PBT 혼합비율(%)
PBT mixing ratio (%)
표 3 및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공 모발의 성분에 대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을 증가시키면, 알카리 감량의 전과 후 어느 것에 있어서도 굴곡 강성치는 감소했다. 알카리 감량 처리 전에서는, 굴곡 강성치는, 혼합비율이 20%에서는 약 1.6×10-2gf·㎠/가닥이었지만, 혼합비율을 75%까지 증가시키자 약 6.7×10-3gf·㎠/가닥까지 단조(單調) 감소하였다. 알카리 감량 처리 후에는, 굴곡 강성치는, 혼합 비율이 0%에서는 약 1.2×10-2gf·㎠/가닥이었지만, 혼합비율을 20%까지 증가시키자 약 8.3×10-3gf·㎠/가닥까지 단조하게 감소하고, 혼합비율이 60%에서는 약 5.7×10-3gf·㎠/가닥이었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3 and Fig. 14, when the ratio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to the component of artificial hair was increased, the flexural rigidity value decreased before and after the loss of alkali. Before the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the flexural rigidity was about 1.6 × 10 −2 gf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이 다른 7 종류의 인공 모발의 단면 직경은, 알카리 감량 처리 전에서는 평균 81.3㎛이며, 알카리 감량 처리 후에는 평균 71.1㎛이었다. The cross-sectional diameters of the seven kinds of artificial hairs having different mixing ratios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were 81.3 µm on average before the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and 71.1 µm on average after the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이상의 결과로부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6.5∼7.8×10-3gf·㎠/가닥)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을 약 70∼80%,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할 경우에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을 약 20∼60%로 하면 좋음을 확인하였다. From the above results, by increasing the mixing ratio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the flexural rigidity of artificial hair can be reduced, and the flexural rigidity similar to that of natural hair (6.5-7.8 × 10 -3 gf ·
도 15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 비율이 20%, 60%인 경우의, 알카리 감량 처리 전후에서의 굴곡 강성치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굴곡 강성치(gf·㎠/가닥), 가로축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이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함으로써, 굴곡 강성치는, 혼합비율이 20%에서는 약 1.6×10-2gf·㎠/가닥이었지만 약 8.3×10-3gf·㎠/가닥까지 감소했다. 혼합비율이 60%에서는 약 9.8×10-3gf·㎠/가닥이었지만 약 5.7×10-3gf·㎠/가닥까지 감소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이 20% 및 60%의 인공 모발의 단면직경은, 알카리 감량 처리 전에서는 평균 80.4㎛이며, 알카리 감량 처리 나중에는 평균 71.1 ㎛이었다. FIG. 15 shows the bending stiffness values before and after the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when the mixing ratio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is 20% or 60%.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bending stiffness value (gf ·
이상으로부터, 인공 모발의 단면 직경을 감소시키고,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알카리 감량 처리가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수지로 되는 인공 모발의 제조가 있어 유효한 것을 확인하였다.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artificial hair and to reduce the bending rigidity value similar to that of natural hair, it confirmed that the alkali weight loss process has produced the artificial hair which consists of polyester type synthetic resins, and is effective.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하여 굴곡 강성치가 약 6.5×10-3gf·㎠/가닥이고 직경이 약 66㎛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 대하여 열처리를 행하였다. 상기 열처리는 컬 붙임 처리의 모의 실험으로서, 인공 모발을 직경 30mm의 파이프에 감아 붙인 상태로 180℃의 환경 하에 2시간 유지함으로써 행하였다. 열처리 후의 인공 모발의 수축률을 측정한 바, 0.77%였다.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 alkali weight loss treatment was performed to heat-treat artificial hair made of polyester fiber having a flexural rigidity of about 6.5 × 10 −3 gf ·
실시예 8Example 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되, 실시예 7과는 달리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하지 않고 굴곡 강성치가 약 1.2×10-2gf·㎠/가닥, 직경 약 75㎛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 대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열처리를 행하였다. 열처리한 인공 모발의 수축률을 측정한 바, 1.55%이었다.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unlike Example 7, with respect to artificial hair made of polyester fibers having a bending stiffness of about 1.2 × 10 −2 gf ·
실시예 7 및 8을 비교하면,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함으로써 열처리에 의한 열수축률이 반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omparing Example 7 and 8, it turns out that the heat shrink rate by heat processing is halved by performing an alkali weight loss process.
실시예 9Example 9
이어서, 인공 모발 다발의 제2의 인공 모발에 미리 열처리를 실시하고, 제1의 인공 모발과 섞어서 컬 붙임 처리를 수행하는 유사실험으로서, 제2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의 전처리의 유무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Subsequently, as a similar experiment in which the second artificial hair of the artificial hair bundle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in advance and mixed with the first artificial hair to perform curling treatment,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treatment in the second artificial hair is confirmed. Was
초/심 구조로 굴곡 강성치가 3.9∼7.8×10-3gf·㎠/가닥인 인공 모발에 대하여 제1의 열처리를 수행하고, 그 후 제2의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인공 모발의 심부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의 나일론 MXD6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상품명 MX나일론)으로 형성되고, 초부는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의 공중합체 (NY6/66) 및 착색원료를 포함한 나일론6 (NY6)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열처리는 전처리에 상당하는 것으로, 인공 모발을 파이프에 감지 않고 연신한 상태로 160℃의 환경 하에 30분 유지하였다. 제2의 열처리는 본 처리에 상당하는 컬 붙임 처리로서, 실시예 3 및 4의 열처리와 동일하게 인공 모발을 직경 30mm의 파이프에 둘러 감은 상태로 180℃의 환경 하에서 2시간 유지하였다. The firs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on artificial hair having a flexural stiffness of 3.9-7.8 × 10 −3 gf ·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9에 대한 비교예 4를 나타낸다. 비교예 4에서는, 실시예 9와 같은 인공 모발에 대하여 제1의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제2의 열처리를 행하였다. The comparative example 4 with respect to Example 9 i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 4, the second artificial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artificial hairs as in Example 9 without performing the first heat treatment.
실시예 9 및 비교예 4의 결과를 설명한다. 표 4는, 실시예 9 및 비교예 4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로서, 각각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을 나타내고, 실시예 9의 결과로서 제1의 열처리 후의 값 및 제1 및 제2의 열처리 후의 값과, 비교예 4의 결과로서 제2의 열처리만 행한 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표 4를 그래프로 한 것으로, 각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에 대한 열수축률을 나타낸다. 세로축은 열수축률(%)이며, 가로축은 굴곡 강성치(gf·㎠/가닥)이다. 한편, 플롯◆은 제1의 열처리 후의 굴곡 강성치를 나타내고, 플롯■은 제1 및 제2의 열처리 후의 굴곡 강성치를 나타내고, 플롯▲은, 비교예 4의 결과로서, 제2의 열처리만 행한 후의 굴곡 강성치를 나타내고 있다.The result of Example 9 and the comparative example 4 is demonstrated. Table 4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Example 9 and Comparative Example 4, showing the heat shrinkage rate in each artificial hair, the value after the first heat treatment and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 as a result of Example 9 The value after and the value after performing only 2nd heat processing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example 4 are shown. Fig. 16 is a graph of Table 4 and shows the heat shrinkage rate for the flexural rigidity of each artificial hair.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rmal contraction rate (%),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flexural rigidity value (gf ·
(gf·㎠/가닥)Flexural Rigidity × 10 -3
(
표 4 및 도 16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의 열처리를 실시해도 제2의 열처리만을 실시해도 또 쌍방의 열처리를 실시해도 인공 모발은 열수축한다. 실시예 9의 결과, 다시 말해, 굴곡 강성치가 클수록 제1의 열처리에 의한 열수축률이 커서, 굴곡 강성치가 약 3.9×10-3gf·㎠/가닥의 인공 모발에서는 약 3%이지만, 굴곡 강성치가 약 7.8×10-3gf·㎠/가닥의 인공 모발에서는 약 4.6%이었다. 또, 제1 및 제2의 열처리 후에 의한 열수축률은, 굴곡 강성치의 값에 따르지 않고 1% 미만이며, 0.53~0.08%의 범위이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4의 결과, 다시 말해, 제2의 열처리만을 실시하면, 열수축률은 굴곡 강성치에 그다지 의존하지 않고, 약 1~1.4%였다. As is apparent from Table 4 and FIG. 16, even when the first heat treatment is performed, only the second heat treatment is performed, or both heat treatments are performed, the artificial hair is thermally contracted. As a result of Example 9, in other words, the larger the flexural rigidity value, the larger the heat shrinkage rate due to the first heat treatment, and the flexural rigidity value was about 3% in artificial hair of about 3.9 × 10 −3 gf ·
실시예 7과 실시예 9 및 비교예 4를 대비한다. 실시예 7의 결과에 의하면 제1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의 열수축률은 0.77%이며, 비교예 4의 결과에 의하면 제2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의 열수축률은 1%이상인 것으로부터, 제2의 인공 모발이 제1의 인공 모발보다도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실시예 7에서 이용한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과 비교예 4에서 이용한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을 섞어서 본 처리를 행하면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에 인접해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이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과 동일하게 수축하고자 한다. 그러나,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에 전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과 섞어서 본 처리를 행하면,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보다도 수축성이 작은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은,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과 동일하게 수축할 수 없다. 그 결과, 인공 모발 다발에 파상의 단차가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Compare Example 7 and Example 9 and Comparative Example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ple 7, the heat shrinkage rate of the polyester artificial hair as the first artificial hair is 0.77%,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ative Example 4, the heat shrinkage rate of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as the second artificial hair is 1%. As a result, the second artificial hair is greatly reduced than the first artificial hair. Therefore, when the polyester artificial hair used in Example 7 is mixed with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used in Comparative Example 4, the polyester artificial hair adjacent to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is the same as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I want to shrink. However, when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is mixed with polyester artificial hair without pretreatment, the present treatment causes polyester artificial hair with smaller shrinkage than polyamide artificial hair to shrink like polyamide artificial hair. Can not. As a result, a wave step occurs in the artificial hair bundle, which is not preferable.
이에 대하여, 실시예 9의 결과에 의하면 제2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의 열수축률은 0.5% 이하이고, 실시예 7의 결과에 의하면 제1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의 열수축률은 0.77%로서, 양자의 열수축률의 차이는 작다. 따라서, 제2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에 대하여 미리 전처리를 행하여 열수축시켜 둠으로써, 제1의 인공 모발인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을 섞어서 컬 붙임 처리를 수행해도, 제1의 인공 모발과 제2의 인공 모발이 같은 정도로 수축하므로, 파상의 단차가 생기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ple 9, the thermal contraction rate of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as the second artificial hair is 0.5% or less,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ple 7, the heat of the polyester artificial hair as the first artificial hair The shrinkage rate is 0.77%, and the difference in thermal shrinkage between them is small. Therefore, by pretreating and thermally contracting the polyamide artificial hair as the second artificial hair in advance, even if the curling treatment is performed by mixing the polyester artificial hair which is the first artificial hair, Since the second artificial hair shrinks to the same extent, there is no wave step.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을 구성할 경우, 제2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아미드 섬유에 대하여 미리 열처리를 수행함에 의해 제1의 인공 모발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하의 열수축률로 함으로써, 인공 모발 다발에 컬 붙임 처리를 행할 때 제1의 인공 모발에 파상의 단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view of the foregoing, when the artificial hair bu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the artificial hair is obtained by performing heat treatment on the polyamide fiber as the second artificial hair in advance so as to have a heat shrinkage at the same level or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artificial hair. When performing a curling treatment on the bundl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rtificial hairs from generating wavy end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용융 방사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를 가지도록 연신 처리 및 알카리 감량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도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소정 의 질량비로 용융 방사하여 인공 모발로 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느낌을 가지는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되는 인공 모발은, 그 자체는 집속하지 않아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되는 인공 모발의 집속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천연 모발의 굴곡 강성치와 같은 정도로 할 수 있다. 나아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되는 인공 모발을 제1의 인공 모발로 하여,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제2의 인공 모발 중에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서, 제2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인공 모발을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한 가발에서는, 가발 장착자가 소망하는 헤어 스타일을 정리하면, 제2의 인공 모발이 집속하지 않고, 또한, 제1의 인공 모발 및 제2의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를 천연 모발에 근사시킬 수 있으므로, 천연 모발과 동일하게 거동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으로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lt spinning with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a main component, the stretching treatment and the alkali loss treatment are carried out so as to have a cross-sectional dimension equivalent to that of natural hair, and furthermore, the same dimensions as that of natural hair. And artificial hair by melting and spinn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in a predetermined mass ratio to have flexural rigidity, thereby providing artificial hair having a feeling like natural hair. The artificial hair made of these polyester fibers can not be focused on itself, can suppress the focusing of artificial hair made of polyamide fibers, and can be made to the same degree as the flexural rigidity of natural hair. Furthermore, by mixing artificial hair made of polyester fiber as the first artificial hair and mixing in a predetermined ratio in the second artificial hair which is made of polyamide fiber and has the same size and flexural rigidity as that of natural hair, The focusing property of the second artificial hair can be suppressed. Therefore, in a wig in which these artificial hairs are planted in a wig base, when the wig wearer arranges a desired hairstyle, the second artificial hair is not focused, and the first artificial hair and the second artificial hair are not focused. Since the flexural rigidity of can be approximated to natural hair, it can be behaved similarly to natural hair, and can make it feel natural.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는, 적절하게,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The best mode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demonstrated above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the range of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 suitably.
Claims (1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021539 | 2006-01-30 | ||
JP2006021539 | 2006-01-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1385A KR20080091385A (en) | 2008-10-10 |
KR101036527B1 true KR101036527B1 (en) | 2011-05-24 |
Family
ID=3830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21130A KR101036527B1 (en) | 2006-01-30 | 2007-01-23 | Artificial hair, wig having artificial hair and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hair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314402A1 (en) |
EP (1) | EP1980166B1 (en) |
JP (1) | JP4823237B2 (en) |
KR (1) | KR101036527B1 (en) |
CN (1) | CN101374432B (en) |
AU (1) | AU2007208839B2 (en) |
CA (1) | CA2636318A1 (en) |
DK (1) | DK1980166T3 (en) |
ES (1) | ES2648980T3 (en) |
NO (1) | NO344050B1 (en) |
PT (1) | PT1980166T (en) |
RU (1) | RU2008126197A (en) |
TW (1) | TWI353820B (en) |
WO (1) | WO200708637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PL1852022T3 (en) * | 2005-02-15 | 2012-10-31 | Aderans Kk | Artificial hair and wig using the same |
JP5063242B2 (en) * | 2006-08-14 | 2012-10-31 | 株式会社アデランス | Artificial hair and wig using the same |
US20110073122A1 (en) * | 2008-06-05 | 2011-03-31 | Sayuri Shigematsu | Wig base |
WO2010090191A1 (en) * | 2009-02-04 | 2010-08-12 | 株式会社アデランスホールディングス | Hairpiece |
CN101897489B (en) * | 2009-05-27 | 2012-11-14 | 香港理工大学 | Periwig having shape memory func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
JP5978306B2 (en) * | 2012-08-31 | 2016-08-24 | 富士ケミカル株式会社 | Artificial hair and wig using the same |
US20150361595A1 (en) * | 2014-06-11 | 2015-12-17 | Noble Fiber Technologies, Llc | Antimicrobial Multicomponent Synthetic Fiber and Method of Making Same |
RU2683656C2 (en) | 2014-07-11 | 2019-04-01 |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 Aerosol-forming system containing a detachable heater |
CN105019142B (en) * | 2015-06-30 | 2017-08-29 | 河南工程学院 |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the micro-nano PET of high pore volume |
JP6929289B2 (en) | 2016-08-23 | 2021-09-01 | デンカ株式会社 | Fiber for artificial hair |
CN107815874A (en) * | 2017-11-10 | 2018-03-20 | 义乌市丝黛文化创意有限公司 | A kind of water and oil repellant wi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N109457357A (en) * | 2018-10-19 | 2019-03-12 | 山东超亚刷丝有限公司 | A method of manufacturing scale brush filament |
WO2020166262A1 (en) | 2019-02-15 | 2020-08-20 | 株式会社カネカ | Core-sheath composite fiber for artificial hair, headdress product including sam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KR102662795B1 (en) * | 2021-11-12 | 2024-05-03 | 김가혜 | Model device for hair removel pract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82309A (en) * | 1988-05-09 | 1989-11-14 | Unitika Ltd | Polyamide fiber for artificial hair |
JPH09324314A (en) * | 1996-06-05 | 1997-12-16 | Art Neichiyaa:Kk | Wig and artificial hair |
JP2002161423A (en) * | 2000-11-22 | 2002-06-04 | Artnature Co Ltd | Artificial hair |
WO2005089821A1 (en) * | 2004-03-19 | 2005-09-29 | Kaneka Corporation | Flame-retardant polyester artificial hair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29449A (en) * | 1969-08-27 | 1973-04-24 | Kanegafuchi Spinning Co Ltd | Polyamide fibers composed of the polyamide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reof |
JPS536253B1 (en) * | 1970-04-18 | 1978-03-06 | ||
JPS5222300B2 (en) * | 1973-01-12 | 1977-06-16 | ||
US4316924A (en) * | 1979-03-26 | 1982-02-23 | Teijin Limited | Synthetic fur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
US5234370A (en) * | 1991-10-24 | 1993-08-10 | Mattel, Inc. | Posable doll hair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the same |
CA2202693A1 (en) * | 1996-04-19 | 1997-10-19 | Tsutomu Tomatsu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temperature-dependent shape-transformable/fixable products making use of the same |
JPH1161558A (en) * | 1997-08-26 | 1999-03-05 | Toray Ind Inc | Long and short composite yarn, and its production |
US6296934B1 (en) * | 1999-03-12 | 2001-10-02 |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Glitter containing filaments for use in brushes |
TW576719B (en) * | 2001-01-29 | 2004-02-21 | Kaneka Corp | Artificial hair and its processing method |
JP2002242017A (en) * | 2001-02-15 | 2002-08-28 | Pilot Ink Co Ltd | Alternately color-changeable wig |
KR20040017283A (en) * | 2001-07-19 | 2004-02-26 |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Polyester based fiber and artificial hair using the same |
CN1646740A (en) * | 2002-02-22 | 2005-07-27 | 株式会社钟化 | Flame-retardant polyester fiber and artificial hair comprising the same |
US7135225B2 (en) * | 2002-08-01 | 2006-11-14 | Kaneka Corporation | Acrylic synthetic fiber improved in styleability |
KR20060067928A (en) * | 2003-07-14 | 2006-06-20 | 후지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 Artificial hai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KR20060112657A (en) * | 2003-10-17 | 2006-11-01 | 카네카 코포레이션 | Fiber for hair use improved in curling property and head decoration product comprising the same |
US20070122614A1 (en) * | 2005-11-30 | 2007-05-31 | The Dow Chemical Company | Surface modified bi-component polymeric fiber |
JP4756694B2 (en) * | 2006-02-14 | 2011-08-24 | 株式会社ユニヘアー | Wig manufacturing method |
CN101426386B (en) * | 2006-02-17 | 2011-06-22 | 株式会社环球焕发 | Wig |
US20080293326A1 (en) * | 2007-05-22 | 2008-11-27 | The Pilot Ink Co., Ltd. | Hair for toys |
-
2007
- 2007-01-23 CN CN2007800038859A patent/CN101374432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1-23 AU AU2007208839A patent/AU2007208839B2/en not_active Ceased
- 2007-01-23 WO PCT/JP2007/050984 patent/WO200708637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1-23 JP JP2007555944A patent/JP4823237B2/en active Active
- 2007-01-23 US US12/162,609 patent/US2008031440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1-23 KR KR1020087021130A patent/KR10103652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7-01-23 PT PT77072478T patent/PT1980166T/en unknown
- 2007-01-23 CA CA002636318A patent/CA263631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1-23 ES ES07707247.8T patent/ES2648980T3/en active Active
- 2007-01-23 EP EP07707247.8A patent/EP1980166B1/en active Active
- 2007-01-23 RU RU2008126197/12A patent/RU200812619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1-23 DK DK07707247.8T patent/DK1980166T3/en active
- 2007-01-25 TW TW096102790A patent/TWI353820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8-05 NO NO20083423A patent/NO34405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82309A (en) * | 1988-05-09 | 1989-11-14 | Unitika Ltd | Polyamide fiber for artificial hair |
JPH09324314A (en) * | 1996-06-05 | 1997-12-16 | Art Neichiyaa:Kk | Wig and artificial hair |
JP2002161423A (en) * | 2000-11-22 | 2002-06-04 | Artnature Co Ltd | Artificial hair |
WO2005089821A1 (en) * | 2004-03-19 | 2005-09-29 | Kaneka Corporation | Flame-retardant polyester artificial h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NO344050B1 (en) | 2019-08-26 |
JPWO2007086374A1 (en) | 2009-06-18 |
NO20083423L (en) | 2008-10-23 |
AU2007208839B2 (en) | 2011-03-03 |
ES2648980T3 (en) | 2018-01-09 |
CA2636318A1 (en) | 2007-08-02 |
CN101374432A (en) | 2009-02-25 |
DK1980166T3 (en) | 2018-02-12 |
RU2008126197A (en) | 2010-03-10 |
EP1980166B1 (en) | 2017-11-08 |
US20080314402A1 (en) | 2008-12-25 |
TW200735798A (en) | 2007-10-01 |
KR20080091385A (en) | 2008-10-10 |
WO2007086374A1 (en) | 2007-08-02 |
EP1980166A4 (en) | 2012-03-21 |
CN101374432B (en) | 2011-06-08 |
JP4823237B2 (en) | 2011-11-24 |
PT1980166T (en) | 2018-02-09 |
AU2007208839A1 (en) | 2007-08-02 |
EP1980166A1 (en) | 2008-10-15 |
TWI353820B (en) | 2011-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6527B1 (en) | Artificial hair, wig having artificial hair and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hair | |
KR100924319B1 (en) | Artificial hair and wig using the same | |
JP5063242B2 (en) | Artificial hair and wig using the same | |
KR101989959B1 (en) | Artificial hair and wig comprising same | |
CN109072498A (en) | Buiky yarn | |
TWI432150B (en) | Artificial hair fib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WO2010090191A1 (en) | Hairpiece | |
CN100525664C (en) | Artificial hair and wig using the same | |
JPH0319911A (en) | Synthetic fiber having rugged surface and its production | |
JPH0310726B2 (en) | ||
JPS60151337A (en) | Leather like raised produ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