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863B1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eservoir for Precipitation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eservoir for Precipi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0863B1 KR101020863B1 KR1020100065054A KR20100065054A KR101020863B1 KR 101020863 B1 KR101020863 B1 KR 101020863B1 KR 1020100065054 A KR1020100065054 A KR 1020100065054A KR 20100065054 A KR20100065054 A KR 20100065054A KR 101020863 B1 KR101020863 B1 KR 1010208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horizontal
- blocks
- cover member
- rain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크기의 조절이 용이한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를 구비하는 제1 블럭과,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2 블럭과, 상기 제1, 제2 블럭의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이 구획되고 유입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측면블럭과, 상기 제1, 제2 블럭 및 측면블럭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부재 및 상기 제1, 제2 블럭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산소공급수단은 상기 덮개부재에 설치되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상기 덮개부재의 하부로 유입수가 낙하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소정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충진되는 공극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는 보관,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며, 저류조로 우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용존산소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정화효과가 상승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multi-degree retaining wall storage tank for the early rainwater treatment in the downtown, easy to store and transport, can be made by assembling at the construction site, easy to adjust the size, prefabricated for rainwater early treat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retaining wall storage tank has a first block including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block including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and a side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to partition an inner space and prevent leakage of inflow water. The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block, the cover member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and the side block and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blocks. It is provided with an oxygen supply means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the oxygen supply means is installed in the cover member and opened upwards to allow rainwater to flow in, the inflow water can fall to the bottom of the cover member on the bottom surface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drainage hole so that the air gap member is filled so that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Prefabricated multi-wall retaining wall storage tank for the early urban rain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store, transport and constru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urification effect is increased becau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creases during the rainwater flow into the storage tank.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크기의 조절이 용이한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ta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multi-deformable retaining wall storage tank for the early rainwater treatment in the downtown can be easily stored and transported, easy to adjust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can be made in the construction site.
최근에, 하천 유역의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우수의 유출량이 증대하게 되었다. 그로 인한 하천의 단면부족으로 매년 홍수 시에는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우수 저류조를 주차장, 운동장, 공원 등의 지하에 매설하여 초기 강우량의 수질 오염을 저감시키고 누수 유출을 억제시켜 재난을 방지하여 수자원을 재활용하여 물 부족 현실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 저류조의 설치가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In recent years, as the urbanization of river basins proceeds rapidly, the runoff of rainwater ha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lack of cross-sections of rivers, many floods and property damages have been repeatedly experienced every year. As a countermeasure to solve this problem, rainwater reservoirs can be buried underground in parking lots, sports grounds, parks, etc. to reduce water pollution in early rainfall, prevent leakage and prevent disasters, and recycle water resources to contribute to water shortages. The installation of storm water storage tanks is urgently need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82121호에서는 육면체의 측면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면판과 저면판의 각 모서리에 기둥이 형성되고, 각 기둥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면판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저면판에는 기초면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저류블록; 및 사각형의 판형상을 갖고 끝단이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 단차부에 안착되어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상면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저류블록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면블록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의 저류블록들 사이에 결합되어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우수저류조를 제시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82121, pillars ar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such that openings are formed at the sides of the hexahedron, and a plurality of nut settlement grooves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each pillar. Is formed, at least one side of the top plate is formed with a step, the bottom plate is a storage block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to be integral with the base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block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ving an e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plate step portion of the storage block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plate of the storage block, wherein the storage blocks are repeatedly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has proposed a good storage tank is coupled between the storage blocks in a straight line to form a storage space.
이러한 종래의 우수저류조는 기본구조로서 육면체형상을 갖기 때문에 우수저류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완성품을 현장으로 이동할 수 없어 현장에서 직접 우수저류조를 제작해야 하는 단점과 함께 우수저류조의 설치를 위해서는 대형 기중기 등이 필요한 문제와 함께 설치시 미세 조절에서도 거대한 무게로 인하여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rainwater storage tank has a hexahedral shape as a basic structure, the finished product cannot be moved to the site in order to use it as a rainwater storage tank, and a large crane is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long with the problem,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djustment is difficult due to the huge weight in the fine adjustment at the time of installa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블럭들을 통해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유입되는 우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켜 정화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through a plurality of unit blocks formed to be assembled, prefabricated for the early rainwater treatment to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of rainwater to maximize the purification rat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wall retaining wall reservoi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를 구비하는 제1 블럭과,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2 블럭과, 상기 제1, 제2 블럭의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이 구획되고 유입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측면블럭과, 상기 제1, 제2 블럭 및 측면블럭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부재 및 상기 제1, 제2 블럭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산소공급수단은 상기 덮개부재에 설치되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상기 덮개부재의 하부로 유입수가 낙하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소정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충진되는 공극부재를 구비한다.The prefabricated multi-wall retaining wall storage tank for initial urban rain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irst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 second block including a first block, a second horizontal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block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is partitioned to prevent the leakage of inflow water, the cover member seated on the first, the second block and the upper side of the block and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second block It is provided with an oxygen supply means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the oxygen supply means is installed in the cover member and is opened upwards to allow rainwater to flow in And provided with a body and a drain hole formed so that the incoming water can fall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member to the bottom surface, the void filling member is such that a predetermined gap form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제1 블럭은 제1 수평부의 단부와 제2 블럭의 일단은 상호 포개어 겹쳐질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블럭과 제1 블럭이 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열될 때, 그 사이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블럭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수직부에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입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홀을 통과하는 유입수의 오염원을 흡착하고, 상기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원의 침강을 유도하는 투수블럭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block is formed stepped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block can overlap each other, and when the second block and the first block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s face each other, A partition plate block is further provided to extend upwardly and partitions the internal space. A moving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vertical portion to move the inflow wate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and is installed in the second block.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ermeation block for adsorbing the contaminant of the influent water passing through the moving hole, and inducing sedimentation of the contaminant contained in the influent.
본 발명에 따른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는 보관,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며, 저류조로 우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용존산소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정화효과가 상승하는 이점이 있다.Prefabricated multi-wall retaining wall storage tank for the early urban rain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store, transport and constru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urification effect is increased becau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creases during the rainwater flow into the storage tan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 제2 블럭 및 측면블럭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1, 제2 블럭과 측면블럭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투수블럭을 더 구비한 제2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1 블럭의 체결을 위한 체결수단을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multi-degree retaining wall storage tank for urban rainwater excellent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first and second blocks and side blocks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first and second blocks and side blocks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 block further comprising a permeable block;
Figure 6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first blo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efabricated multi-degree retaining wall storage tank for early urban rain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1 to 4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multi-wall retaining
도면을 참조하면,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는 제1, 제2 블럭(110,120)과, 구획판블럭(130), 측면블럭(140), 덮개부재(150) 및 유입되는 우수의 용존산소량 증가를 위한 산소공급수단(16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fabricated polymorphic retaining
제1 블럭(110)은 'ㄴ'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수평부(111)와, 제1 수평부(111)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 수직부(112)를 갖는데, 제1 수평부(111)의 단부는 제2 블럭(120)과의 체결을 위해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수평부(111)는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The
제1 블럭(110)의 제1 수직부(112)는 측면블럭(140)과 함께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의 외벽을 형성하는 것이며, 제1 수직부(112)의 상단에는 덮개부재(150)의 체결을 위해 제1 체결홈(1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 체결홈(113)은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상기 제1 블럭(110)들은 복수개가 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결합되며, 양 끝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블럭(110)에는 측면블럭(140)을 체결하기 위해 제1 수평부(111)의 상면과 제1 수직부(112)의 전면에 제1 삽입홈(114)이 마련되어 있다.The
상기 제1 삽입홈(114)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제1 고리부재(115)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제1 고리부재(115)는 제1 삽입홈(114)의 내부에서 폐쇄된 관통홀을 형성하게 된다.The
제2 블럭(120)은 제1 블럭(110)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 블럭(110)과 마찬가지로 'ㄴ'자 형으로 형성된다.The
제2 블럭(120) 역시 제2 수평부(121)와 제2 수직부(122)로 구성되며, 제2 수평부(121)와 제2 수직부(12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블럭(110)의 단차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단차져 있다.The
제2 수직부(122)는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획된 내부공간들 사이로 유입된 우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이동홀(125)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제1 체결홈(113)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홈(123)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제2 블럭(120)도 제1 블럭(110)과 같이 양 측면들이 상호 접촉되도록 복수개가 상호 결합되어 소정길이 연장되는데,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2 블럭(120)에는 제2 수평부(121)의 상면과 제2 수직부(122)의 전면에 측면블럭(140)의 체결을 위해 제2 삽입홈(124)이 형성되어 있다.Like the
상기 구획판블럭(130)은 제1, 제2 블럭(110,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것인데, 제1, 제2 블럭(110,120)이 모두 'ㄴ'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상호 체결하면 일측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의 끝단부에는 제1 블럭(110)을 뒤집어서 설치하고, 그 사이에 구획판블럭(130)을 설치하여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The
구획판블럭(130)은 제1, 제2 블럭(110,120)의 결합부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31)와, 삽입부(13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구획부(132)를 구비한다.The
제1, 제2 블럭(110,120)의 단부가 모두 단차져 있기 때문에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면 단차부에 의해 하방으로 인입된 소정의 인입홈이 형성되므로 이 홈에 삽입부(131)가 삽입된다. Since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구획부(132)는 삽입부(13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데, 삽입부(131)와 연결되는 하단의 폭이 삽입부(131)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 부분이 제1, 제2 수평부(121)의 상면에 소정영역 지지되어 있고,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구획판블럭(130)에도 유입된 우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이동홀(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부재(150)의 설치를 위해서 상면에는 제1, 제2 체결홈(113,123)에 대응하는 제3 체결홈(133)이 마련되어 있고, 양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구획판블럭(130)은 측면블럭(140)의 설치를 위해 제3 삽입홈(13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측면블럭(140)은 상술한 것처럼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는 제1, 제2 블럭(110,120)들의 사이에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측면블럭(140)은 제1 내지 제3 삽입홈(134)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삽입패널(141)과, 삽입패널(14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제, 제2 블럭(120)의 수평부의 상면과 수직부의 전후면에 접촉하는 보조패널(142)을 포함한다.
삽입패널(141)의 양 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제2 체결홈(123)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재(115)에 대응하는 보조고리부재(143)가 마련되어 있으며, 측면부재와 제1, 제2 블럭(110,120)의 체결시에 상기 고리부재(115)와 보조고리부재(143)가 포개지도록 위치시킨 다음 각각의 고리부재(115)와 보조고리부재(143)들을 관통하는 체결핀(144)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측면블럭(140)이 제1, 제2 블럭(110,1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력을 보강한다.At both side edges of the
측면블럭(140)은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제1, 제2 블럭(110,120)과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제2 블럭(110,120)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덮개부재(150)는 제1, 제2 블럭(110,120)과 구획판블럭(130)의 상부에 안착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인데, 덮개부재(150)는 하면에 상기 제1 체결홈(113)이나 제2 체결홈(123) 또는 제3 체결홈(1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151)가 형성되어 있다.The
돌기(151)는 두 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1 블럭(110)의 제1 체결홈(113)에 삽입되는 돌기(151)의 경우 덮개부재(150)에 제1 체결홈(113)에 온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151)가 돌출되어 있고, 제2 체결홈(123) 또는 제3 체결홈(133)에 삽입되는 돌기(151)의 경우에는 인접하는 다른 덮개부재(150)의 돌기(151)와 함게 제2 체결홈(123) 또는 제3 체결홈(133)에 삽입될 수 있게 제2, 제3 체결홈(133)의 절반 크기로 형성된다.The
덮개부재(150)들 중 일부에는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유입홀(1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유입홀(152)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Some of the
상기 산소공급수단(160)은 덮개부재(150)에 설치되어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oxygen supply means 160 is installed on the
산소공급수단(160)은 상술한 유입홀(15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컵 형태의 본체(161)와, 이 본체(161)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자갈(162)을 포함하는데, 본체(161)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우수가 유입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술한 것처럼 소정 크기의 자갈(162)들이 충진되어 있고, 본체(161)의 바닥면에는 자갈(162)들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구멍(163)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oxygen supply means 160 includes a cup-shaped
따라서 우수는 본체(161)로 유입되어 자갈(162)층을 통과한 뒤 구멍(163)을 통해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Therefore, the rainwater flows into the
우수가 자갈(162)층을 통과해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의 내부로 낙하해 들어가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물은 자갈(162)층에서 많은 충돌이 일어나므로 용존산소량이 증가하게 된다.Since rainwater falls through the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는 내부에 우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용존산소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물의 정화능이 상승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양 단부열에 설치된 제1 블럭(110)과, 그 사이에 설치된 2열의 제2 블럭(120)들을 통해서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가 형성되었는데, 제2 블럭(120)의 열의 개수를 가감하여 전후방향의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블럭(110,120)의 배열 개수에 따라 좌우 측방향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100)의 크기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multi-variable retaining
도 5에는 제2 블럭(12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제2 블럭(120)은 상기 이동홀(125)을 통과하는 저류수의 정화를 위한 투수블럭(126)을 더 구비한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투수블럭(126)은 폴리머와 시멘트를 이용해 형성한 것으로서 이동홀(125)의 하단으로부터 약 2/3 지점 높이까지 연장되게 설치되며, 수위가 투수블럭(126)의 상단에 이를때까지 저류수가 다음 블럭의 내부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없으므로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원의 침전을 유도할 수 있고, 진흙, 질소 인과 같은 비점오염원들은 투수블럭(126)에 흡착되어 정화된다.The
상기 제1 블럭(110)들과 제2 블럭(120)들은 인장강선(170)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력을 부여받게 되는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연속되는 블럭들의 일측에는 인장강선(170)을 고정하는 앵커유닛(171)이 설치되고, 인장강선(170)의 일단이 상기 앵커유닛(171)에 고정된 상태로 다음 블럭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그 단부가 관통하는 블럭의 단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인장강선(170)에 의해 블럭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제1 블럭(110)들 또는 제2 블럭(120)들의 연결은 본 실시예와는 달리 접착이나 다른 형태의 결합구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nnection of the
100;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
110; 제1 블럭
120; 제2 블럭
130; 구획판블럭
140; 측면블럭
150; 덮개부재
160; 산소공급수단100;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eservoir for Precipitation
110; First block
120; Second block
130; Partition plate block
140; Side block
150; Cover member
160; Oxygen supply means
Claims (3)
상기 제1 수평부의 단차진 타단부에 포개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일단의 하측이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수평부의 타단부와 동일하게 단차진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일단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2 블럭과;
상기 제2 블럭의 타단부와 상기 제1 블럭의 타단부가 상호 접촉하도록 배열될 때, 제1, 제2 수평부의 사이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제2 수평부의 단차진 단부형상에 의해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인입홈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점점 커져 하단면이 상기 인입홈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제1, 제2 수평부의 상면에 지지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구획판블럭과;
측면부가 상기 제1, 제2 수직부 또는 상기 구획부에 맞닿고, 하면부가 상기 제1 수평부 또는 제2 수평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블럭 및 구획판블럭과 함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유입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측면블럭과;
상기 제1, 제2 블럭, 구획판블럭 및 측면블럭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부재; 및
상기 제1, 제2 블럭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덮개부재에 설치되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상기 덮개부재의 하부로 유입수가 낙하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소정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충진되며 상기 배수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공극부재를 포함하는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블럭과 제2 블럭에는 각각 상기 제1, 제2 수직부와 상기 제1, 제2 수평부 상에 상기 측면블럭의 결합을 위해 인입된 제1, 제2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직부와 제2 수직부의 상면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체결을 위한 제1, 제2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판블럭에도 상기 측면블럭의 체결을 위해 상기 제1, 제2 블럭의 제1, 제2 삽입홈에 대응하는 제3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덮개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체결홈에 대응하는 제3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블럭은 상기 제1 내지 제3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패널과, 상기 삽입패널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은 제1, 제2 블럭 또는 구획판블럭에 접촉하는 보조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수직부 및 구획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삽입홈에는 고리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블럭의 삽입패널에는 상기 고리부재와 대응하는 보조고리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삽입패널이 상기 제1 내지 제3 삽입홈에 삽입되면 측면블럭과 제1, 제2 블럭 또는 구획판블럭의 체결되도록 상기 고리부재와 보조고리부재를 함께 관통하는 체결핀이 삽입설치되며,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삽입홈에 결합되도록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직부 및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제2 수직부와 구획부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공간들 사이에서 유입수의 이동이 가능하게 내부공간들을 상호 연통하는 이동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2 수직부와 구획부에는 상기 이동홀을 통과하는 유입수의 비점오염원을 흡착하고 오염물질의 침강을 유도하도록 상기 이동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투수블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
A first block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block including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ther end downward, and a first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 lower end of one e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an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so that the first horizontal part can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in an overlapped state, and the other end is stepped to be equal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A second block including a second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an upper end of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Wh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lock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lock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installed to extend upwar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arts, and the stepped dust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arts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be inserted downward by an end shape, and a first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end thereof, the width of which i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a bottom surface thereof is connected to form the insertion groove; A partition plate block including a partition portion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The side surfac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econd vertical portion or the partition portion, the lower surface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the inner space together with the first, second block and the partition plate block A side block for partitioning and preventing leakage of inflow water;
A cover member seated on top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the partition plate block and the side block;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blocks, it is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and opened upwards to allow rainwater to flow in, the cover member on the bottom surface And oxygen supply means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drainage hole formed therein so as to allow the inflow of water to fall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pore member filled with a predetermined void formed therein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drainage hole. But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inserted for coupling the side blocks o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ortion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for fastening the cover member are formed on upper surfaces of the first vertical part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A third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is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block to fasten the side block, and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block is provided to install the cover member. The third faste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is formed,
The side block may include an insertion panel inserted into the first to third insertion grooves, and a first or second block or partition plate formed outside the insertion panel so that the first to third insertion grooves are not formed. An auxiliary panel contacting
Ring members are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arts and the partition part, and an auxiliary r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loop member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panel of the side block. When the panel is inserted into the first to third insertion grooves, a fastening pin penetrating the loop member and the auxiliary ring member together is inserted and installed to fasten the side block and the first, second block, or partition plate block.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jecting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first to third insertion groove,
The second vertical portion and the partition portion are formed with a moving hole for communicating the internal spaces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inflow between the second vertical portion and the inner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ortion, the second vertical portion Prefabricated block for the initial urban rain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meate block is formed in the partition portion is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moving hole to adsorb the non-point source of influent water passing through the moving hole and induces the settling of contaminants. Multi-form retaining wall reservoi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5054A KR101020863B1 (en) | 2010-07-06 | 2010-07-06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eservoir for Precipi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5054A KR101020863B1 (en) | 2010-07-06 | 2010-07-06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eservoir for Precipit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20863B1 true KR101020863B1 (en) | 2011-03-09 |
Family
ID=4393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5054A Active KR101020863B1 (en) | 2010-07-06 | 2010-07-06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eservoir for Precipit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086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9827B1 (en) * | 2018-09-21 | 2019-04-17 | 지산투수개발(주) | Trench for landscape |
KR102019100B1 (en) * | 2018-06-08 | 2019-09-06 | 주식회사 지승개발 | Nonpoint pollution sourc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709002B1 (en) * | 2023-06-05 | 2024-09-25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Fish Habitat Block for River Embankment |
KR20240171892A (en) * | 2023-05-31 | 2024-12-09 | 김영현 | Odor-preventive drainage well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1556A (en) * | 2002-06-28 | 2004-01-07 | 주식회사 케이티 | Precast structure |
KR100784400B1 (en) * | 2006-09-29 | 2007-12-12 | 주식회사 드림니어 | Freshwater Lakes and River Purifiers |
KR100938223B1 (en) * | 2009-07-20 | 2010-01-22 |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 Precasting rainfall detention basin |
-
2010
- 2010-07-06 KR KR1020100065054A patent/KR10102086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1556A (en) * | 2002-06-28 | 2004-01-07 | 주식회사 케이티 | Precast structure |
KR100784400B1 (en) * | 2006-09-29 | 2007-12-12 | 주식회사 드림니어 | Freshwater Lakes and River Purifiers |
KR100938223B1 (en) * | 2009-07-20 | 2010-01-22 |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 Precasting rainfall detention basi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9100B1 (en) * | 2018-06-08 | 2019-09-06 | 주식회사 지승개발 | Nonpoint pollution sourc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969827B1 (en) * | 2018-09-21 | 2019-04-17 | 지산투수개발(주) | Trench for landscape |
KR20240171892A (en) * | 2023-05-31 | 2024-12-09 | 김영현 | Odor-preventive drainage wells |
KR102817349B1 (en) * | 2023-05-31 | 2025-06-05 | 김영현 | Odor-preventive drainage wells |
KR102709002B1 (en) * | 2023-06-05 | 2024-09-25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Fish Habitat Block for River Embank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5742B1 (en) | Water-storage tank | |
KR101896264B1 (en) | Pretreatment integrated modular rainwater penetration-storage facility | |
KR101020863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eservoir for Precipitation | |
JP2003201722A (en) | Rainwater storage and/or infiltration equipment and filling member used for the same | |
KR20180081697A (en) | Gutter Structure | |
KR100813995B1 (en) | Storage tank structure and storage tank construction method using cast iron panel | |
KR101321992B1 (en) |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 |
JP4712640B2 (en) | Resin skeleton block for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and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 |
KR100731773B1 (en) | Rainwater storage tank with storage block of weight reduction structure | |
KR101388870B1 (en) |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 |
JP2006169814A (en) | Rainwater outflow control facility and cleaning method thereof | |
JP5366259B2 (en) | Rainwater storage facility | |
KR101564767B1 (en) | Assembling rain water storag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ain water storage using this same | |
KR20140127074A (en) |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 |
JP5263698B2 (en) | Rainwater storage facility | |
KR102571761B1 (en) | Rainwater storage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 |
KR200324301Y1 (en) | Built-up pavement member block set | |
KR20180135515A (en) | Assembly type road support structure having rainwater reserving function | |
JP4583215B2 (en) | Rainwater outflow control drainage channel structure | |
KR101327393B1 (en) | Rainwater storage tank using unit blocks | |
JP4206006B2 (en) | Side groove block for permeable pavement | |
JP4029098B2 (en) | Rainwater storage device | |
KR101373110B1 (en) | Jointed rainwater recycling facilities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KR20210030196A (en) | Sidewalk blok | |
KR20160080135A (en) | multi-function sidewalk block sub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7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