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536B1 - Collecting device for sewage filtering - Google Patents
Collecting device for sewage filte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4536B1 KR101024536B1 KR1020100075513A KR20100075513A KR101024536B1 KR 101024536 B1 KR101024536 B1 KR 101024536B1 KR 1020100075513 A KR1020100075513 A KR 1020100075513A KR 20100075513 A KR20100075513 A KR 20100075513A KR 101024536 B1 KR101024536 B1 KR 101024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 hole
- drainage
- dirt
- low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1—Gully gratings hinged to the body of the gu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이나 도로 상에 형성된 배수부에 설치되어 적정배수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waste to be installed on the drain portion formed on the bridge or road to maintain the proper drainage efficiency.
일반적으로 고가도로 일측에는 빗물 등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가 설치되는데, 배수구는 기본적으로 최초 빗물이 내부로 모이는 배수본체 일측에 배수배관이 연결되어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one side of the overpass is installed drainage for drainage, such as rainwater, the drainage is basically composed of a drain pip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ainage main body where the rainwater is collected into the interior to discharge the collected water to the outside.
이때 배수본체의 입구 상에는 오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오물차단장치가 설치되는데, 종래 오물차단장치는 단순히 사각 틀 안에 차단프레임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 그레이팅(grating)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a dirt block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inlet of the drainage main body to block the inflow of dirt. The conventional dirt blocking device is simply formed of a grating structure in which a blocking frame is spaced in a rectangular frame.
따라서 빗물이 배수본체 안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물은 차단프레임에 의해 걸러지게 되는데, 하지만 종래 오물차단장치는 오물의 유입차단이 배수본체 입구 상에서 한번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차단프레임 간 간격보다 작은 크기의 오물은 그대로 통과하여 유입될 수밖에 없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drainage body, the dirt is filtered out by the blocking fram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stewater blocking device, since the inflow blocking of the wastewater is made only once at the inlet of the drainage body, the dirt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blocking frames is There is no choice but to pass through.
만약 차단프레임 간 간격을 좁힐 경우 오물유입차단 효율은 높일 수 있지만 반대로 도로 상에서의 최초 빗물 유입이 원활하지 못해 도로상에 빗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되어 배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을 갖는다.If the interval between the blocking frames is narrowed, the efficiency of blocking the inflow of dirt can be increased. On the contrary, the rainwater is accumulated on the road due to the inflow of the first rainwater on the road and the drainage function is lo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 중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161948호 『맨홀』이 있는데, 이 종래기술은 배수구 내에 별도의 침전조를 구비시키고 침전조 측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빗물은 배수구로 배출됨과 동시에 오물은 걸러지도록 하고 걸러진 오물은 바닥판에 침전되도록 하여 별도 수거 처리함에 따라 배수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Model No. 161948 『Manhole』 is proposed. This prior art has a separate sedimentation tank in the drainage port and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drainag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ide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Is to be filtered and the filtered dirt is settled on the bottom plate to prevent clogging of the drain as a separate collection treatment.
하지만 이 종래기술은 통공이 침전조 측벽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침전조 내에 낙엽처럼 면적이 넓고 가벼운 오물이 들어갈 경우, 빗물의 배수과정에서 통공을 막게 되고, 이로 인해 빗물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해 침사조 내 빗물이 외부로 범람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is because the through-hole is formed only in the side 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if a large area and light dirt enters the sedimentation tank, the through-holes are blocked during the drainage process of the rainwater, which prevents the drainage of the rainwater. This overflowing phenomenon may occur.
또한 그레이팅 형태의 뚜껑이 단순히 맨홀 입구상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크고 내부의 바닥판을 들어내기 위해서는 뚜껑전체를 들어올려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동과정 중 떨어트릴 경우 안전사고의 우려도 크다.In addition, since the grating-type lid is simply installed on the entrance of the manhole, there is a high risk of loss, and the entire lid must be lifted and moved to lift the inner bottom plate. In case of a trip, there is a big risk of a safety accident.
그리고 종래기술은 뚜껑의 그레이팅 형상이 기다란 일자형상 이기 때문에 나뭇가지처럼 기다란 형상의 오물이 쉽게 통과될 가능성이 크다.In the prior art, since the grating shape of the lid is a long straight line, it is highly likely that dirt of a long shape like a tree branch passes easily.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빗물과 함께 유입된 오물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오물에 의한 차단공 막힘 현상을 최소화 함에 따라 빗물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단덮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오물차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minimize the blockage of the blocking hole caused by the dirt in the process of filtering the dirt introduced with the rain water to provide a dirt block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loss of the rain cover smoothly while at the same time.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도로나 교량에 형성되는 집수구에 삽입 설치되는 오물수거장치에 있어서,In the sewage collection device is inserted into the water collecting port formed on the road or bridge,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측개방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측개방부가 형성되고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차단공이 형성된 차단본체, 상기 상측개방부 상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차단공이 형성된 차단덮개, 상기 하측개방부에 설치되고 바닥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차단공이 형성된 차단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 upper opening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a lower open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and a blocking body having at least one first blocking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the blocking body installed on the upper opening part, and at least one second blocking hole being The blocking cover may include a blocking lower plate installed on the lower opening and having at least one third blocking hole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또는 도로나 교량 상판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배수본체 및 상기 배수본체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배관을 갖는 설치부, 상기 설치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집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측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측개방부가 형성되며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차단공이 형성된 차단본체와 상기 상측개방부 상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차단공이 형성된 차단덮개 및 상기 하측개방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차단공이 형성된 차단하판을 갖는 오물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r an installation portion having a drainage main body installed on the road or bridge top plate and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upper and lower opening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age main body; And an upper open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 lower op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blocking body having at least one first blocking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blocking cover formed at least one second blocking hole formed on the upper opening portion thereof.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rt blocking unit having a blocking lower plate installed in the lower open portion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third blocking hole.
그리고 상기 제2차단공은 상기 제1, 3차단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locking hole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and third blocking holes.
또한 상기 차단덮개와 상기 차단본체는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차단덮개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cover and the blocking body may be connected through a hinge portion so that the blocking cover may be opened and closed around the hinge portion.
또한 상기 차단본체 외부면과 상기 배수본체 내부면 사이에는 배수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drainage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blocking body outer surface and the drainage body inner surface.
그리고 상기 제1차단공과 제2차단공 및 제3차단공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걸름망이 형성될 수도 있다.A strainer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cking hole, the second blocking hole, and the third blocking hole.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se various embodiments,
기본적으로 빗물의 유입과정에서 차단덮개의 차단공을 통해 오물이 1차로 걸러지고 차단본체 또는 차단하판의 차단공을 통해 2차로 걸러지기 때문에, 오물이 걸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Basically, during the inflow of rain water, the dirt is first filtered through the blocking hole of the blocking cover and the second is filtered through the blocking hole of the blocking body or the lower plate, so that the dirt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filtering efficiency.
또한 차단본체의 측벽의 제3차단공과 더불어 바닥의 차단하판에도 제1차단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빗물의 배출 과정에서 오물에 의해 제1차단공 또는 제3차단공이 막히더라도 충분한 빗물의 배수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blocking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blocking plate together with the third blocking hole on the side wall of the blocking body, even if the first blocking hole or the third blocking hole is blocked by dirt during rain discharge, sufficient drainage efficiency is maintained. There are advantages to it.
더불어 차단덮개가 힌지부를 통해 차단본체와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분실이 방지되는 장점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blocking cover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blocking body through the hinge part, the blocking cover has an advantage of being prevented from being lost.
도 1은 오물차단부와 배수부 간 분해사시도
도 2는 오물차단부와 배수부 간 결합사시도
도 3은 빗물의 유입 및 배수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오물에 의해 제1차단공이 막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차단덮개를 개방시켜 차단본체 내부의 오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배수부가 생략된 상태에서 오물차단부가 맨홀에 직접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rt blocking part and a drain p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between the dirt blocking portion and the drainage por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ainwater inflow and drainage process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blocking hole is blocked by dir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collecting dirt inside the blocking body by opening the blocking cover.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dirt blocking unit is directly installed in the manhole in a state where the drainage unit is omitted.
7 and 8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의 적용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o explain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본 발명 오물차단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배수부(100)와 오물차단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ste bloc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배수부(100)는 교량 등 고가도로 상에서의 빗물의 집수 및 집수된 빗물의 외부 배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배수본체(110) 와 배수배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배수본체(110)는 사각 함체 형태로 내부에 설치공간(112)이 형성되고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고 하부에는 바닥판(114)이 형성되되, 바닥판(114) 중앙에는 배수공(116)이 형성된다.The
이러한 배수본체(110)는 전체적으로 깔때기(funnel))구조, 즉 내부면적이 위쪽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물론 배수본체(110)의 구조는 이 외에도 단순 직육면체 등 기타 다양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다.Of course, the structure of the
그리고 배수배관(120)은 배수본체(110) 및 후술하는 차단본체(210)로 유입된 빗물의 외부배출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명칭 그대로 배관구조이고 일단부가 배수본체(110)의 배수구(116)에 연결된다.And the
이러한 배수부(100)에는 오물차단부(200)가 설치된다.The
오물차단부(200)는 빗물의 유입과정에서 오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차단본체(210)와 차단덮개(220) 및 차단하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먼저 차단본체(210)는 배수본체(110)와 동일한 형태, 즉 전체적으로 깔대기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드는 수용공간(212)이 형성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측개방부(214) 및 하측개방부(216)가 형성되어 상하부가 완전히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First, the blocking
이때 차단본체(210)의 둘레면, 즉 수용공간(212)을 둘러싸고 있는 각 측벽에는 빗물과 함께 수용공간(212)으로 유입된 오물이 배수배관(120)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1차단공(218)이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block for block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ing
참고로 차단본체(210)의 구조도 깔대기 구조가 아닌 단순 직육면체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tructure of the blocking
이러한 차단본체(210)는 배수본체(110)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하단부가 배수본체(110)의 바닥판(114) 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외부의 빗물이 최초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The blocking
이때 차단본체(210)의 외부면과 배수본체(110)의 내부면 사이에는 배출간극(T)이 형성되도록 하여 차단본체(210) 안으로 유입된 빗물이 제1차단공(218)을 통해 배수본체(11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a discharge gap T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ing
참고로 제1차단공(218)은 도면과 같이 복수 개 형성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단순 원형구멍이 아니라 격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a plurality of
하지만 도면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격자형태와 달이 기다란 막대형태의 오물들은 통과할 수 없게 되는 장점을 더 갖게 된다.However, the circul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has the advantage of being impossible to pass through the lattice shape and the long rod-shaped dirt.
차단덮개(220)는 외부로부터 빗물이 최초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물의 1차유입차단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판재형태로 이루어지고 차단본체(210)의 상측개방부(214) 상에 덮개 형태로 안착 설치된다.The blocking
이때 차단덮개(220)는 일측이 별도 경첩형태의 힌지부(H)를 통해 차단본체(210)와 연결됨에 따라, 힌지부(H)를 통해 회동하여 개폐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blocking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단덮개(220)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시켜 차단덮개의 개폐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parate handle may be provided on the blocking
그리고 이러한 차단덮개(220)에는 도로 상의 빗물이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물이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2차단공(2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locking
이때 제2차단공(222)의 직경은 제1차단공(218)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아주 큰 오물을 제외한 타 오물들은 1차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여 오물에 의해 제2차단공(222)이 막혀 빗물의 최초 유입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즉 이렇게 차단덮개(220)와 차단본체(210)에 각각 제1, 2차단공(218)(222)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물이 제2차단공(222)을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지고 제2차단공(222)을 통과한 오물은 차단본체(210) 내부에서 제1차단공(218)을 통해 2차적으로 걸러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That is, as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holes 218 and 222 are formed in the blocking
참고로 제2차단공(222)도 제1차단공(218)과 마찬가지로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덮개(220) 자체를 기존처럼 일자형 그레이팅이나 격자형 그레이팅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차단편 간 사이 공간이 제2차단공이 된다.For reference, only one
하지만 제2차단공(222)도 제1차단공(218)처럼 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격자형상에 비해 기다란 막대형태의 오물들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However, forming the
차단하판(230)은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배출기능과 더불어 오물배출의 차단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판재형태로 이루어지며 차단본체(210)의 하측개방부(216)에 설치되어 하측개방부(216)를 차단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Blocking
이때 차단하판(230)은 기본적으로 용접 등을 통해 차단본체(210)에 고정 설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차단덮개(220)처럼 개폐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blocking
그리고 차단하판(230)에는 차단본체(210)에 집수된 물이 배수배관(120)으로 직접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과정에서 오물을 걸러내기 위한 제3차단공(232)이 복수개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ird blocking holes 232 are formed in the blocking
이때 제3차단공(232)들은 배수본체(110)의 배출구(116) 면적 내에 형성되도록 하여 제3차단공(232)으로부터 배출된 빗물이 배출구(116)를 통해 곧바로 배수배관(1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third blocking holes 232 are formed in the area of the
그리고 제3차단공(232)도 제1차단공(218)과 마찬가지로 제2차단공(22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크기가 큰 오물은 제2차단공(222)을 통해 걸러지고 제2차단공(222)을 통과한 오물은 차단본체(210) 내부에서 제1, 3차단공(218)(232)을 통해 걸러지게 된다.In addition, as the
참고로 차단하판(230)도 차단덮개(220)처럼 일자형 또는 격자형 그레이팅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blocking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by the configuration and the unique effects generated in the process.
먼저 [도 3]과 같이 오물차단부(200)가 배수본체(110) 내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 상의 빗물이 차단덮개(220)의 제2차단공(222)을 통해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빗물과 함께 쓸려온 오물 중 크기가 큰 오물은 제2차단공(222)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고 상대적으로 작은 오물은 빗물과 함께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된다.First, as shown in FIG. 3, rainwater on the road is inserted into the blocking
이렇게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차단본체(210)의 제1차단공(218)과 차단하판(230)의 제3차단공(232)을 통해 배수본체(110)와 배수배관(120)으로 배출된다.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blocking
이때 차단본체(210) 외부면과 배수본체(110) 내부면 사이에는 배수간극(T)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제1차단공(218)으로의 빗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rainage gap T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ing
이 과정에서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오물은 제1차단공(218)과 제3차단공(232)에 의해 걸러져 배출되지 못하고 차단본체(210) 내부에 계속 존재하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blocking
이와 같이 제2차단공(222)에 의해 차단덮개(220) 상에서 오물의 유입이 1차적으로 걸러지고 차단본체(210) 안에서 제1, 3차단공(218)(232)에 의해 2차 걸러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빗물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오물이 배수배관(120)으로 배출되는 것은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inflow of dirt on the blocking
그리고 만약 빗물이 제1, 3차단공(218)(232)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도 4]와 같이 비닐이나 낙옆 과 같이 가벼워 가라앉지 않는 오물(F)이 제1차단공(218)을 막아 제1차단공(218)으로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제3배출공(232)을 통해 충분히 배출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차단본체(2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범람하는 현상이 방지된다.And if the rain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third blocking holes 218 and 232, as shown in FIG. Even if the drainage to the
이처럼 본 발명은 차단본체(210) 측벽뿐만 아니라 바닥에도 차단공(218)(232)을 형성시킴에 따라 낙엽과 같이 가벼운 오물(F)에 의해 측벽의 차단공(218)이 막히더라도 항시 원활한 배수기능이 발휘 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cking
그리고 배수과정에서 오물이 차단본체(210) 내부에 많이 쌓일 경우 [도 5]와 같이 차단덮개(220)를 들러 올리면, 차단덮개(220)는 힌지부(H)를 중심으로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차단본체(210) 내부의 오물을 외부로 수거해 낸다.And in the drainage process, if a lot of dirt piled up inside the block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단덮개(220)가 힌지부(H)를 통해 차단본체(2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연결상태에서 개폐되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차단덮개 전체를 들어올려 분리해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들어올리고 내리는 과정에서 차단덮개를 떨어트려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cking
그리고 이렇게 차단덮개(220)가 차단본체(210)에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차단덮개(220)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nd since the blocking
참고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내지 제3차단공(218)(222)(232)에 매쉬 형태의 거름망(300)이 형성되어 오물의 유입 및 배출 차단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거름망(300)은 제1내지 제3차단공(218)(222)(232) 모두 형성되거나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as shown in FIGS. 1 and 3, mesh meshes 300 are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blocking holes 218, 222, and 232 to prevent the inflow and discharge of dirt. You can even increase it. In this case, the
또한 위 설명에서는 차단본체(210)가 별도 배수본체(110)에 설치된 구조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구조 외에 [도 6]처럼 일반적인 맨홀 형태의 배수구(400) 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배수본체(110)는 생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locking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차단본체(210)측벽과 차단하판(230)에 모두 차단공(218)(232)을 형성시킨 구조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도면과 같이 차단덮개(220)와 차단하판(230)을 연결와이어(500)로 상호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7 and 8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locking holes 218 and 232 are formed in both the blocking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단하판(230)은 면적이 차단본체(210) 바닥면적과 거의 동일하게 제작되고 상부면 각 모서리 상에는 제1연결고리(234)가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blocking
그리고 차단덮개(220)의 바닥면 각 모서리에는 제2연결고리(224)가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ing
그리고 연결와이어(500)은 차단덮개(220)와 차단하판(23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부는 어느 한 제2연결고리(224)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이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한 어느 한 제1연결고리(234)에 연결된다.And the connecting
따라서 차단하판(230)이 연결와이어(500)를 통해 차단덮개(230) 아래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blocking
참고로 연결와이어(500)는 도면과 같이 쇠사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단순 와이어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그리고 제1, 2연결고리(234)(224) 및 연결와이어(500)의 형성개수도 차단하판(230)과 차단덮개(22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형성지점도 차단하판(230)과 차단덮개(220) 모서리에 한정되지 않고 각 변에 형성되거나 변 및 모서리에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rings 234 and 224 and the
또한 연결와이어(500)를 철재로 적용할 경우 제1, 2연결고리(234)(224)를 생략한 상태에서 연결와이어(500) 양 단부를 차단덮개(220)와 차단하판(230)에 용접시키는 구조로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8]과 같이 차단하판(230) 상에 걸러진 오물을 외부로 수거하고자 할 경우 차단덮개(220)를 들어올리면 연결와이어(500)에 의해 차단하판(230)이 함께 들어올려지므로 작업자가 쉽게 차단하판(230) 상의 오물을 외부로 빼낼 수 있게 된다.By this structure, if you want to collect the dirt filtered on the blocking
본 실시예처럼 차단덮개(220)가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에서는 차단덮개(220)를 완전히 개방시켰을 때 차단하판(230)이 기울어져 오물이 밑으로 떨어질 우려가 있기는 하다.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blocking
하지만 차단덮개(220)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라도 차단하판(230)이 충분히 상승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한 손으로 차단덮개(220)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차단하판(230)을 더 들어올리거나 오물만을 빼내면 되므로 반드시 차단덮개(220)를 완전히 개방할 필요가 없다.However, even when the blocking
참고로 이렇게 연결와이어(500)로 차단덮개(220)와 차단하판(230)을 연결하는 구조는 힌지부(H)가 생략된 구조, 즉 차단덮개(220)를 기존처럼 완전히 들어올리는 구조에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tructure connecting the blocking
이 외에도 [도 9]와 같이 차단본체(210)를 구비시키지 않고 차단덮개(220)와 연결와이어(500) 및 차단하판(230)간 결합체를 배수본체(110)내에 직접 설치하는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applied to the structure that directly installs the coupling body between the blocking
이 경우 차단하판(230)상에 걸러진 오물을 외부로 수거하고자 할 경우 차단덮개(220)를 들어올리면 연결와이어(500)를 통해 연결된 차단하판(230)함께 들어올려지고 차단하판(230)을 외부로 완전히 빼낸 상태에서 오물을 수거하게 된다. In this case, if you want to collect the filth collected on the blocking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10 and 11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기본구조, 차단본체(210)와 차단하판(230)에 차단공(218)(232)을 형성시킨 구조는 앞의 두 실시예와 동일한 반면 차단하판(230)에 자동 개폐구조를 적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cking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단하판(230)이 차단본체(210) 하단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는 위 제1실시예와 달리 차단하판(230)이 별도의 제2힌지부(H2)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blocking
이를 위해 차단하판(230)의 일측 테두리와 차단본체(210) 하단 테두리가 접하는 지점에 별도의 제2힌지부(H2)가 설치됨에 따라 차단하판(230)은 차단덮개(220)처럼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To this end, a separate second hinge portion (H2) is installed at a point where one side border of the blocking
이때 제2힌지부(H2)에는 차단하판(230)의 자동복귀 기능을 위한 탄성부재(600)가 설치되는데, 탄성부재(600)는 일반적인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구조, 즉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610) 양측으로 회동편(620)과 고정편(630)이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econd hinge portion (H2) is provided with an
이 상태에서 고정편(630)은 차단본체(210) 측벽 하단에 연결되고 회동편(620)은 차단하판(230) 바닥면에 연결된다.In this state, the fixing
그리고 이때 배수배관(120)의 내벽 중 차단하판(230)과 배수본체(210)간의 개폐부분 아래쪽 지점에는 별도의 보조 수거함(130)이 설치되는데, 이때 보조 수거함(130)은 배수배관(120)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보조수거함(130)에는 제1 내지 제3차단공(218)(222)(232)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4차단공(132)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 separate
[도 10]과 같이 집,배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오물에 의해 제1차단공(218) 및 3차단공(232)이 막힐 경우 차단본체(210)로부터 빗물이 배수되지 못하고 차단본체(210) 내부에 차오르게 된다.10, when the
이 과정에서 빗물의 집수양이 일정수준이 되면 빗물의 무게에 의해 차단하판(230)이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아래로 젖혀져 차단본체(210) 하단이 완전히 개방된다.In this process, when the catchment amount of rain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the
따라서 차단본체(210) 내부의 빗물을 포함해 오물이 함께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빗물과 오물은 보조수거함(130)안으로 들어감과 동시에 보조수거함(130)의 제4차단공(132)에 의해 빗물은 보조수거함(130) 외부로 배출되고 오물은 보조수거함(130) 내에 남게 된다.Therefore, the rainwater including the rainwater inside the blocking
이렇게 차단하판(230)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600)의 회동편(620)이 차단하판(230) 함께 회전됨에 따라 탄성부(610)에는 비틀림하중이 적용됨과 동시에 이에 대응되는 탄성력이 적용된다.As the
이 상태에서 빗물이 어느 정도 배출되면 차단하판(230)은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위를 향해 상승되어 차단본체(210) 하단을 다시 차단하게 된다.When rain water is discharged to some extent in this state, the blocking
그 후 보조수거함(130)에 남아 있는 오물을 수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차단하판(230)을 아래로 밀어 개방시킨 후 보조수거함(130)을 외부로 꺼내거나 내부의 오물만을 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Then, if you want to collect the remaining waste in the
100 : 배수부 110 : 배수본체
112 : 설치공간 114 : 바닥판
116 : 배수구 120 : 배수배관
200 : 오물차단부 210 : 차단본체
212 : 수용공간 214 : 상측개방부
216 : 하측개방부 218 : 제1차단공
220 : 차단덮개 222 : 제2차단공
230 : 차단하판 232 : 제3차단공
H : 힌지부 300 : 거름망
400 : 배수구 500 : 연결와이어
234 : 제1연결고리 224 : 제2연결고리
H2 : 제2힌지부 130 : 보조수거함
132 : 제4차단공 600 : 탄성부재
610 : 탄성부 620 : 회동편
630 : 고정편100: drain 110: drain body
112: installation space 114: bottom plate
116: drain port 120: drain pipe
200: dirt blocking unit 210: blocking body
212: accommodation space 214: upper opening
216: lower opening 218: first blocking hole
220: blocking cover 222: second blocking hole
230: blocking bottom plate 232: third blocking hole
H: hinge part 300: sieve
400: drain hole 500: connection wire
234: first link 224: second link
H2: Second hinge 130: Auxiliary collection box
132: fourth blocking hole 600: elastic member
610: elastic portion 620: rotating piece
630: fixed piece
Claims (9)
상기 설치공간에 삽입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상측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하측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단본체,
상기 하측개방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차단하판,
상기 차단하판과 상기 차단본체를 연결하는 제2힌지부,
상기 제2힌지부 및 상기 차단하판과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오물수거용 집수장치.A drainage body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n lower portion opened;
The block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he upper open por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open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Blocking lower plate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lower open portion,
A second hinge portion connecting the blocking lower plate and the blocking body;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and the blocking lower plate
Sewage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상기 차단본체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차단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개방부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차단공을 갖는 차단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하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차단공이 형성되어 있는
오물수거용 집수장치.In claim 1,
At least one first blocking hol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locking body,
Installed on the upper open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cover having at least one or more second blocking holes,
At least one third blocking hole is formed in the blocking lower plate
Sewer collection device.
상기 차단덮개는 힌지부를 통해 상기 차단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In claim 2,
The blocking cover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body through the hinge portion and the waste collectio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round the hinge portion.
상기 차단본체 외부면과 상기 배수본체 내부면 사이에는 배수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In claim 1,
And a drainage gap is formed between the shielding body outer surface and the drainage body inner surface.
상기 제1차단공과 제2차단공 및 제3차단공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거름망이 형성되어 있는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In claim 2,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cking hole, the second blocking hole, and the third blocking hole is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waste is formed.
상기 제1차단공과 상기 제2차단공 및 상기 제3차단공은 모두 원형인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In claim 2,
And the first blocking hole, the second blocking hole, and the third blocking hole are all circular.
상기 배수본체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배관 및
상기 배수배관 내에 설치되어있는 보조 수거함을 더 포함하는 오물수거용 집수장치.
In claim 1,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drain body;
A sewage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sewage,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ollecting box installed in the drain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513A KR101024536B1 (en) | 2010-08-05 | 2010-08-05 | Collecting device for sewage filte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513A KR101024536B1 (en) | 2010-08-05 | 2010-08-05 | Collecting device for sewage filter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24536B1 true KR101024536B1 (en) | 2011-03-31 |
Family
ID=4393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5513A KR101024536B1 (en) | 2010-08-05 | 2010-08-05 | Collecting device for sewage filte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4536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1341B1 (en) | 2012-05-25 | 2013-08-29 | 전용준 | Filter having divided plural shutter for sink drainage hole |
CN108589894A (en) * | 2018-03-13 | 2018-09-28 | 安徽创新网络工程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intelligent building sewer discharge outlet anti-block apparatus and its control system |
CN110965467A (en) * | 2020-02-12 | 2020-04-07 | 宋鹏威 | Bridge drainage system |
KR102155590B1 (en) * | 2020-03-02 | 2020-09-14 | 주식회사 에스티 | Sand collect device for drain trench |
KR102210560B1 (en) * | 2020-07-09 | 2021-02-01 | 김해성 | Insect screen for drainage grat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0720Y1 (en) * | 2001-02-09 | 2001-07-19 |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 Rainwater catcher |
KR200278405Y1 (en) * | 2002-02-28 | 2002-06-20 | 안판상 | A grating with gathering case |
-
2010
- 2010-08-05 KR KR1020100075513A patent/KR10102453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0720Y1 (en) * | 2001-02-09 | 2001-07-19 |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 Rainwater catcher |
KR200278405Y1 (en) * | 2002-02-28 | 2002-06-20 | 안판상 | A grating with gathering cas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1341B1 (en) | 2012-05-25 | 2013-08-29 | 전용준 | Filter having divided plural shutter for sink drainage hole |
CN108589894A (en) * | 2018-03-13 | 2018-09-28 | 安徽创新网络工程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intelligent building sewer discharge outlet anti-block apparatus and its control system |
CN110965467A (en) * | 2020-02-12 | 2020-04-07 | 宋鹏威 | Bridge drainage system |
KR102155590B1 (en) * | 2020-03-02 | 2020-09-14 | 주식회사 에스티 | Sand collect device for drain trench |
KR102210560B1 (en) * | 2020-07-09 | 2021-02-01 | 김해성 | Insect screen for drainage grat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58226A (en) | Storm drain filter with removable debris tray | |
KR101683365B1 (en) | Rain water collecting well grating attached filtering function. | |
KR101024536B1 (en) | Collecting device for sewage filtering | |
KR100957464B1 (en) | A cover apparatus for a waterspout | |
CA3083588C (en) | A storm water drai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use | |
KR101102576B1 (en) | Collecting apparatus of adulteration for manhole | |
KR100985827B1 (en) | Removal apparatus of adulteration | |
KR100681845B1 (en) | Box structure installed at road | |
KR100976852B1 (en) | Drain box | |
KR20110010631U (en) | Alien substance filtering device for sewer | |
KR200437460Y1 (en) | Drain box of road for ease collecting sewage | |
KR101765132B1 (en) | Screen Manhole | |
KR101626502B1 (en) | Drain System for road having plug-prevent function | |
KR101772474B1 (en) | Manhole for drain | |
JP7001830B2 (en) | Stormwater | |
KR20210122428A (en) | Water-Collecting Unit Having a Function Filtering Oil and Grit | |
KR200431109Y1 (en) | Rainwater catcher | |
KR100683119B1 (en) |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 |
JP6001754B1 (en) | Rain drainage device for gutter | |
KR101020415B1 (en) | Manhole apparatus | |
KR200440804Y1 (en) | Rainwater bearer | |
KR101126280B1 (en) | Rain receptacle | |
KR200468245Y1 (en) | A portable manhole for gully hole of Rainwater case | |
KR20170079458A (en) | Simple rainwater filter hanging under a grating | |
KR200348451Y1 (en) | Manhole cover with screen gr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