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13959B1 -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959B1
KR101013959B1 KR1020040111363A KR20040111363A KR101013959B1 KR 101013959 B1 KR101013959 B1 KR 101013959B1 KR 1020040111363 A KR1020040111363 A KR 1020040111363A KR 20040111363 A KR20040111363 A KR 20040111363A KR 101013959 B1 KR101013959 B1 KR 101013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pressure
fuel cell
gas leakage
cell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665A (ko
Inventor
오승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9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9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425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at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s, compressors, bu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73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s, compressors, bu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432Pressure differences, e.g. between anode and 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센서의 고장, 가스의 미량 누출, 차량 정지시 수소 누출, 가스 센서 위치에 따른 수소 누출 검지불가 시에도 가스 누출을 감지할 수 있어 가스 누출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의 압력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1 압력 센서와;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제1 온도 센서와; 수소 탱크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수소 탱크의 수소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와;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의 압력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2 압력 센서와;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온도 센서와; 수소 가스 누출부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와; 수소 탱크와 수소 가스 누출부의 압력 차이값과 설정된 압력 차이값을 비교하여 연료 전지 차량의 전원 및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차량의 구동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연료 전지, 차량, 수소, 가스, 누출

Description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HYDROGEN GAS LEAKAGE DETECTION DEVICE OF FUEL CELL VEHICL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에서 수소 누출을 감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0 ; 제1 솔레노이드 밸브 222 ; 제2 솔레노이드 밸브
240 ; 제1 압력 센서 242 ; 제2 압력 센서
250 ;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 260 ; 제어부
270 ; 제1 온도 센서 272 ; 제2 온도 센서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 다.
통상적으로, 연료 전지 차량 내 수소 탱크는 연료 전지에 수소를 공급해 주기 위한 저장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1)에서 수소 누출을 감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소(5)를 거쳐 고압용기인 수소 탱크(1)에 저장된 연료는 솔레노이드 밸브(2)와 감압장치(8)를 거쳐 배관(3)을 통해 내연 기관 또는 연료 전지(4)로 공급된다.
이때 수소 누출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기(7)는 가스 센서(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 누출을 감지한다.
이러한 연료 공급 장치 및 솔레노이드 밸브(2)/감압장치(8)는 고압의 가스를 직접 공급하였을 경우 안전상의 문제 및 일정한 압력으로 연료를 공급해 줌으로써 에너지 변환장치인 연료 전지(4)에 안정적인 연료공급을 가능하게 해준다.
만약, 수소 탱크(1)에서 수소 가스가 누출 시 수소 가스 센서(6)에서 누출된 수소 가스를 검출하여 제어기(7)로 신호를 보내 안전조치를 취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은 수소 탱크(1) 내에 수소 가스가 누출 시 제어기(7)는 가스 센서(6)로 누출여부를 판단하여 안전제어를 한다.
그러나, 가스 센서(6) 고장 또는 오작동에 의한 수소 가스 누출을 검지하지 못하거나 미량의 가스가 지속적으로 나올 경우 가스 센서(6)가 검지를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수소 가스센서는 일반적으로 차량이 운행이 될 때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고압가스의 누출을 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 센서(6)가 누출된 가스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누출된 가스를 검지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누출 수소 가스에 의한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시스템은 수소 탱크 파손에 의한 수소 가스 누출 시 센서 고장, 미량 가스 누출 시 검지 불가, 차량 정지 시 수소 누출 검지 불가 및 가스 센서 위치에 따른 가스 검지 불가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고압 용기내의 수소 누출을 정확히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센서의 고장, 가스의 미량 누출, 차량 정지시 수소 누출, 가스 센서 위치에 따른 수소 누출 검지불가 시에도 가스 누출을 감지할 수 있어 가스 누출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의 압력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제1 온도 센서와; 상기 수소 탱크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수소 탱크의 수소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와; 상기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의 압력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2 압력 센서와; 상기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온도 센서와; 상기 수소 가스 누출부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수소 탱크와 수소 가스 누출부의 압력 차이값과 설정된 압력 차이값을 비교하여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전원 및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차량의 구동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방법에 있어서, 수소 탱크 내 제1 압력 센서와 제1 온도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 탱크 내 압력,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수소 누출 검지부 내의 제2 압력 센서와 제2 온도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 누출 검지부 내의 압력,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수소 탱크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 압력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수소 탱크와 수소 가스 누출부의 압력 차이값과 설정된 압력 차이값을 비교하여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전원 및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차량의 구동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압력 센서(240), 제1 온도 센서(270), 제1 솔레노이드 밸브(220),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250), 제2 압력 센서(242), 제2 온도 센서(272),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2),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연료 전지 차량에 장착되는 수소 고압 용기 파손에 의한 수소 가스 누출 시 수소 가스 검지 센서 고장, 미량 수소 가스 누출 시 검지 불가, 차량 정지 시 수소 누출 검지 불가 및 가스 센서 위치에 따른 수소 가스 검지 불가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참조 번호 (230)는 배관(고압 배관)을 나타낸 것이다.
제1 압력 센서(240)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210)의 압력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제1 온도 센서(270)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21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한다.
제1 솔레노이드 밸브(220)는 수소 탱크(210)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250)는 수소 탱크(210)의 수소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압력 센서(242)는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250)의 압력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제2 온도 센서(272)는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250)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2)는 수소 가스 누출부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제어부(260)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에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일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소 탱크(210)와 수소 가스 누출부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이하로 하강했을 경우 연료 전지 차량의 전원 및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0, 222)를 제어하여 차량의 구동조건을 제어한다.
상기한 구성을 이용한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의 작동 및 검지방법은 다음과 같다.
차량 운행 시 연료인 가스를 공급해 주기 위해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0, 222)를 동시에 열어 준다.
차량 운행 시에는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0, 222)가 동시에 열려있도록 하여 수소 탱크(210)와 수소 누출 검지부(250) 내의 압력이 동일하게 한다.
이와는 달리, 차량 운행 정지 시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0, 222)를 동시에 닫아준다.
따라서, 수소 탱크(210)와 수소 누출 검지부(250)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에서 가스의 공급은 중단된다.
차량 운행을 위해 연료 전지에 수소 공급시 수소 탱크(210) 내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먼저 열고 수소 탱크(210) 내의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250)의 압력을 제1, 제2 압력 센서(240, 242)를 통해 읽어 제어부(260)로 보내준다.
이때, 제어부(260)는 수소 탱크(210)와 수소 누출 검지부(250) 내 장착되는 제1, 제2 온도 센서(270, 272)에서 온도 값을 읽어 온도 차이에 의한 압력차이를 보상해 준다.
제어부(260)는 수소 탱크(210) 내의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250)의 압력의 차가 없을 경우 수소 가스의 누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수소 누출 검지부(250)의 제2 솔레노이드 밸브(272)를 열어준다.
만약, 제어부(260)는 수소 탱크(210) 내의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250)의 압력의 차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차이가 날 경우 수소 탱크(210) 내에 고압 가스가 누출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솔레노이드 밸브 차단 외)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부의 수소 누출 검지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수소 탱크(210) 내 제1 압력 센서(240)와 제1 온도 센서(27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 탱크(210) 내 압력, 온도를 측정한다(S310).
이어서, 수소 누출 검지부(250) 내의 제2 압력 센서(240)와 제2 온도 센서(27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 누출 검지부(250) 내의 압력, 온도를 측정한다(S312).
그리고, 수소 탱크(210)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250) 압력의 차이값을 계산한다(S314).
만약, 수소 탱크(210)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250) 압력의 차이값이 0~5 bar이면, 제어부(260)는 연료 전지 차량의 운행상태가 정상 운행시, 수소 누출 검지부(250) 내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2)를 오픈(Open)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S316, S318).
그리고, 연료 전지 차량의 정지 시에는 수소 누출 검지부(250) 내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2)를 클로즈(Close)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S320).
이와는 달리, 수소 탱크(210)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250) 압력의 차이값이 5~10bar이면, 제어부(260)는 연료 전지 차량의 운행상태가 정상 운행시, 경고 신호를 송출한다(S322, S324).
한편, 수소 탱크(210)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250) 압력의 차이값이 10bar 이상이면, 제어부(260)는 차량 운행 불가상태로 판단하고, 차량 긴급 정지에 관련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S326, S328).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소 탱크(210) 내에 수소 가스의 누출을 가스 센서의 고장, 가스의 미량 누출, 차량 정지 시 수소 누출, 가스 센서 위치에 따른 수소 누출 검지불가 시에도 수소 가스 누출을 감지할 수 있어 수소 가스 누출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은 수소 탱크 파손시 고압 가스 누출을 가스 센서 고장시에도 검출할 수 있어 가스 누출에 의한 화재나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차량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소 탱크에서 미량 가스의 누출 시에도 고압 가스 누출에 의한 압력차를 측정하여 가스 누출을 검지할 수 있어 가스 누출에 의한 화재나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차량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정지시에도 수소 가스의 누출을 검지할 수 있어 가스 누출에 의한 화재나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차량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센서의 위치에 따른 누출 수소 검지 불가시에도 수소 가스의 누출을 검지할 수 있어 가스 누출에 의한 화재나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차량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의 압력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는 제1 온도 센서와;
    상기 수소 탱크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수소 탱크의 수소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와;
    상기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의 압력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2 압력 센서와;
    상기 수소 가스 누출 검지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온도 센서와;
    상기 수소 가스 누출부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수소 탱크와 수소 가스 누출부의 압력 차이값과 설정된 압력 차이값을 비교하여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전원 및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차량의 구동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2.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방법에 있어서,
    수소 탱크 내 제1 압력 센서와 제1 온도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 탱크 내 압력,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수소 누출 검지부 내의 제2 압력 센서와 제2 온도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 누출 검지부 내의 압력,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수소 탱크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 압력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수소 탱크와 수소 가스 누출부의 압력 차이값과 설정된 압력 차이값을 비교하여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전원 및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차량의 구동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수소 탱크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 압력의 차이값이 0~5 bar이면, 연료 전지 차량의 운행상태가 정상 운행시, 수소 누출 검지부 내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픈(Open)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연료 전지 차량의 정지 시에는 수소 누출 검지부 내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클로즈(Close)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수소 탱크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 압력의 차이값이 5~10bar이면, 연료 전지 차량의 운행상태가 정상 운행시,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수소 탱크 압력과 수소 누출 검지부 압력의 차이값이 10bar 이상이면, 차량 운행 불가상태로 판단하고, 차량 긴급 정지에 관련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방법.
KR1020040111363A 2004-12-23 2004-12-23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13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363A KR101013959B1 (ko) 2004-12-23 2004-12-23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363A KR101013959B1 (ko) 2004-12-23 2004-12-23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665A KR20060072665A (ko) 2006-06-28
KR101013959B1 true KR101013959B1 (ko) 2011-02-14

Family

ID=3716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36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3959B1 (ko) 2004-12-23 2004-12-23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8698B2 (en) 2016-07-29 2019-11-0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eliminating leakage from fuel tank val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244B1 (ko) * 2006-12-08 2008-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저장시스템
KR101417109B1 (ko) * 2008-09-17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스누출경보장치
WO2010120309A1 (en) * 2009-04-17 2010-10-21 Utc Power Corporation Fuel cell stack gas leak detection
KR101755805B1 (ko) 2015-07-09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소연료전지 차량의 수소탱크 내 리크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7863543B (zh) * 2017-11-15 2024-08-09 深圳国氢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监控方法及燃料电池装置
CN107968213A (zh) * 2017-11-29 2018-04-27 同济大学 供氢控制装置
CN108899565B (zh) * 2018-06-13 2024-03-19 畔星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电堆内部破损泄漏的检测方法及装置
CN109860663A (zh) * 2019-03-26 2019-06-07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快速判断氢气泄露部位的供氢系统
CN110441001A (zh) * 2019-05-20 2019-11-12 北京清佰华通科技有限公司 自动气密测试系统
US11251447B2 (en) * 2020-02-12 2022-02-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ocess and system for detecting low-level fuel injector leakage in a fuel cell system
CN113707922A (zh) * 2021-09-07 2021-11-26 江苏智安行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车动力电池箱火灾抑制和灭火设备以及方法
CN114216048B (zh) * 2021-12-21 2023-07-28 格林美(武汉)城市矿山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安全泄放车载储氢气瓶氢气的泄气装置及使用方法
CN115909672A (zh) * 2022-11-18 2023-04-04 北理新源(佛山)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叉车、加氢站的监控方法及系统
CN116146907A (zh) * 2023-03-10 2023-05-23 武汉海亿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实验室氢气泄漏保护装置及检测方法
CN116182077A (zh) * 2023-03-16 2023-05-30 金龙联合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燃料电池瓶阀故障检测装置、检测方法及燃料电池汽车
CN118066463B (zh) * 2024-04-17 2024-07-05 蓝海星网装备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无人机供氢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833A (ko) * 1995-05-09 1996-12-19 김택진 가스누출시 자동차단되는 가스안전장치
KR19980037527A (ko) * 1996-11-22 1998-08-05 김영귀 자동차의 연료 레일 지지구조
KR20040054194A (ko) * 2002-12-18 2004-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먼 레일 시스템의 연료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833A (ko) * 1995-05-09 1996-12-19 김택진 가스누출시 자동차단되는 가스안전장치
KR19980037527A (ko) * 1996-11-22 1998-08-05 김영귀 자동차의 연료 레일 지지구조
KR20040054194A (ko) * 2002-12-18 2004-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먼 레일 시스템의 연료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8698B2 (en) 2016-07-29 2019-11-0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eliminating leakage from fuel tank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665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959B1 (ko)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가스 누출 검지 장치 및 방법
KR100413559B1 (ko) 연료공급시스템에서누출을검출하기위한검출장치
US8621913B2 (en) Use of hydrogen sensor to detect hydrogen storage system pressure regulator failure
US8855898B2 (en) Systems and methods to diagnose valve leakage in a vehicle
WO2021250171A3 (de) Ventileinrichtung, intankventil und gasdruckspeichersystem, insbesondere für brennstoffzellensysteme, sowie verfahren zum detektieren einer leckage
US20130014855A1 (en) Fuel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EP1591297B1 (en) Fuel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engine and method thereof
US6923201B2 (en) Gas feed device
KR20160071599A (ko) 연료전지차량의 수소 누출 판단 시스템 제어방법
KR20170006622A (ko) 수소연료전지 차량의 수소탱크 내 리크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0521625A (ja) 遮断弁の診断方法
KR20110021938A (ko) 공용 레일 분사 시스템에서 레일 압력 센서의 에러 작용 및 특히 드리프트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US688639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mass flows into the inlet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257340A (ja) 高圧タンクシステムのガス漏れ検出装置
KR20060034502A (ko) 가스 차량의 연료 누출 감지장치 및 방법
JP4211001B2 (ja) 高圧タンクシステムのガス漏れ検出装置
KR100472226B1 (ko) 연료증발누설제어장치
JP3859925B2 (ja) 気体燃料エンジンの診断装置
JP2713066B2 (ja) ガス供給設備異常検出装置
JP2006329135A (ja) 燃料供給系の診断方法
KR102590526B1 (ko) 전자 솔밸브를 이용한 가스 누출 방지 시스템
KR102728757B1 (ko) 수소 충전 시스템
JP7192654B2 (ja) ガス漏れ検知システム
JP2008019791A (ja) 内燃機関の二次空気供給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KR100514391B1 (ko) 연료캡의 장착상태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