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14867B1 -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과 상기 발효된 콩 발효물, 한약 조성물, 및 오곡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라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과 상기 발효된 콩 발효물, 한약 조성물, 및 오곡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라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867B1
KR101014867B1 KR1020080078778A KR20080078778A KR101014867B1 KR 101014867 B1 KR101014867 B1 KR 101014867B1 KR 1020080078778 A KR1020080078778 A KR 1020080078778A KR 20080078778 A KR20080078778 A KR 20080078778A KR 101014867 B1 KR101014867 B1 KR 10101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lactic acid
acid bacteria
fermented
ram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122A (ko
Inventor
윤기천
정인범
Original Assignee
두두원발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두원발효(주) filed Critical 두두원발효(주)
Priority to KR102008007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8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86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과 오곡에 상기 콩 발효물 및 한약조성물을 첨가하고 반죽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용 라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자에 의해 김치유산균으로 콩물을 발효시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음주 후 숙취의 개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숙취해소용 콩 발효물과 기존에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한약 재료와 함께 첨가하여 라면을 제조함으로써, 종래 해장국을 대신하여 숙취해소용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어, 음주 후 숙취의 개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숙취해소, 라면, 콩 발효물, 김치유산균

Description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과 상기 발효된 콩 발효물, 한약 조성물, 및 오곡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라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A soybean compound fermented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An instant noodle for hangover remedy comprising a fermentation compound, oriental medicines, and powder from five grains, and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과 오곡에 상기 콩 발효물 및 한약조성물을 첨가하고 반죽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용 라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되어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콩 발효물, 및 상기 콩 발효물,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을 첨가하여 오곡으로 반죽하여 제조한 숙취해소용 라면에 관한 것이다.
음주 후 다음날 느끼는 숙취는 신체 건강은 물론 삶의 질까지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술을 마시고 난 다음날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속 쓰림과 구토, 심한 두통에 시달리게 된다. 오전 내내 이런 증상에 시달리다보면 점심 식사 후 찾아오 는 나른함 때문에 손에 일이 잡히지 않게 된다. 결국 오전에는 몸이 아파 아무 일도 할 수 없고, 오후에는 몰려오는 피로 때문에 하루를 그냥 보내게 되는 셈이다.
술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소주를 기준으로 에탄올 1g당 7.1kcal의 열량을 가지며, 다른 영양소는 거의 없다. 음주로 흡수된 에탄올은 2∼10%만이 신장이나 폐를 통해 소변이나 내쉬는 호흡으로 체외로 배출되고, 나머지 에탄올의 90% 이상은 빠른 속도로 간에서 대사된다. 간에서 분해되는 에탄올은 아세트알데히드를 생성하고 다시 아세트산으로 변화돼 물과 탄산가스로 분해된다. 이때 생기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얼굴을 붉게 하고 심장을 두근거리게 하며 두통과 위통을 유발시키는, 숙취의 원인이 된다. 잦은 음주는 알코올을 분해하는 간에 큰 무리를 주는 주요 원인이다.
간은 사람의 몸속에서 제일 중요한 장기 중 하나다. 인체의 화학공장으로 불리는 간은 평소에도 각종 독성 물질을 해독하고 인체 대사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런 작용을 하는 간에 알코올까지 가세하면 간이 받는 부담은 상상을 초월하게 된다. 과로와 음주가 잦은 사람들 가운데 만성 피로와 무기력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음주 때문에 생기는 이른바 ‘속병’은 소화기 계통의 장기에 큰 무리를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속이 아파 맛있는 것은 고사하고 늘 해장국을 끼고 살게 된다.
라면이 한국에 도입된 것은 1960년경으로, 현재 여러 식품회사에서는 각각 특색 있는 제품들을 만들어 시판한다. 라면은 건조식품이므로 수분이 많은 식품에 비해 단위 중량당 영양분이 많으며, 튀긴 식품이므로 지방이 많아 120g당 500kcal 의 열량을 내는 고(高)칼로리 식품이다.
라면은 간편한 간식으로 이용되기도 하지만 음주 후에 속을 푸는 음식, 해장국으로 널리 이용된다. 라면을 만들 때 숙취해소에 도움이 되는 성분을 넣는다면 음주 후에 먹는 라면으로 각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한방과 민간에서 숙취의 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여러 천연 식물들이 있으며, 인삼, 가시오가피, 오리나무, 알로에, 콩나물, 갈근, 감초, 복분자, 당귀, 헛개나무, 매실, 오이, 생강 등 많은 식물 재료들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유산균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탄수화물을 혐기적으로 이용하여 유산을 생산한다. 유산균이 발견되는 자연환경은 다양한데,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에 존재할 뿐 아니라, 다양한 채소와 과일에서도 발견되며 요구르트, 우리나라의 김치나 독일의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와 같은 발효식품에서 그 발효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유산균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스포로락토바실러스 속(Sporolactobacilus sp.),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등이 있다. 이들 유산균은 장내로 유입된 후 장내 상피세포에 착생하게 되어 유해 미생물의 장 정착을 방지하고 항균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설사와 변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면역활성 증진, 항암 작용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유산균이 장내에 유입되어 자체적인 대사활동을 통해 분비하는 물질은 숙주에 많은 이로움을 주기 때문에 유산균을 이 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숙취해소에 효과적인 물질과 이를 간편하게 복용하는 방법을 찾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김치유산균으로 콩을 발효하여 생성한 콩 발효물이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고, 상기 콩 발효물과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한약 조성물을 쌀, 보리, 밀, 콩, 및 기장으로 이루어진 오곡분말에 혼합하여 반죽을 하고, 상기 반죽으로 라면을 제조하여 음주 후에 섭취하는 경우, 음주 후 생기는 숙취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음주 후 생기는 숙취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생성된 콩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생성된 콩 발효물을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한약 조성물과 함께 오곡분말에 첨가하고 반죽하여 해장국 대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라면을 제조함으로써 라면의 형태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콩 발효물을 섭취하여 간편하게 음주 후 숙취를 해소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김치유산균(kimchi lactic acid bacteria)은 콩물을 발효하여 숙취해소에 도움이 되는 물질, 예를 들면 비타민 B, C 등과 아스파라긴산과 같은 아미노산 등 알코올 대사에 도움을 주는 물질을 분비할 수 있는 어떠한 김치유산균들을 선택하여 접종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 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김치 유산균 복합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B1, B2, B3, C, D, E, 엽산, 및 아미노산등 숙취해소에 도움이 되는 영양성분을 타 균주들에 비해 많이 생산하고 분비하여 숙취해소에 도움이 되므로 좋다.
본 발명에서 복합균주를 사용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은 유산균의 종류마다 그 발효 메카니즘이 상이하여 상호 보완을 통해 풍부한 발효산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발효 메카니즘의 상이함의 예를 들면 같은 부류의 유산균이라 하더라도 포도당을 이용하여 생육할 때에 젖산(Lactic acid)을 주로 생성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과 같은 김치 유산균이 있는가 하면 젖산과 더불어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류코노스톡 속의 김치 유산균이 있고, 젖산과 초산을 생성하는 비피도박테리움과 같은 유산균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김치에서 채취한 수십 가지의 김치 유산균 중에서 콩물에서 배양할 때 생육이 촉진되고, 대사산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많은 양의 유기 물질을 생성하는 김치 유산균들을 분리하고, 이들을 혼합 배양하였을 때 상호 보완적으로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김치 유산균의 조합을 발견하고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콩 발효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는 복합 김치유산균이 생육하여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는 발효 대사산물을 배출할 수 있는 어떠한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0 ~ 40℃에서 10내지 30시간 발효하는 것이 김치유산균의 생장이 촉진되고, 많은 발효 대사산물을 배출할 수 있어서 좋고, 더욱 바람직하 게는 25 ~ 35℃에서 20내지 30시간 발효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에서 24시간 발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 및 한약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라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라면에서, 상기 콩 발효물은 콩물(두유)에 김치유산균을 접종하여 20 ~ 40℃에서 10내지 30시간 발효된 것이 김치유산균의 생장이 증가하고, 많은 발효 대사산물을 배출할 수 있어서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5℃에서 20내지 30시간 발효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에서 24시간 발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콩물이라 함은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만든 두유를 의미하며, 김치유산균의 접종 시 잡균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 100℃ 이상에서 3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라면에서, 상기 복합 김치 유산균(kimchi lactic acid bacteria)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김치 유산균 복합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라면에서, 상기 한약조성물은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어떠한 한약도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삼, 가시오가피, 오리나무, 알로에, 콩나물, 갈근, 감초, 복분자, 당귀, 헛개나무, 매실, 오이, 또는 생강인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감초, 오리나무, 및 갈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약조성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김치 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첨가하여 라면을 제조하였으나, 라면의 제조 시에 상기 콩 발효물의 숙취해소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이를 보완하는 물질로서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한약조성물을 상기 콩 발효물과 함께 첨가하여 본 발명의 라면을 제조하였고, 한약조성물과 콩 발효물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라면의 제조공정을 거치더라도 숙취해소 기능이 떨어지지 않는 라면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라면에서, 상기 라면은 면의 주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곡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곡물에 함유된 영양소의 균형을 맞춰주기 위하여 혼합 곡물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쌀, 보리, 밀, 콩, 및 기장으로 이루어진 오곡으로 반죽하여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콩물을 멸균하고 20 ~ 40℃로 식힌 후 복합 김치유산균을 접종하여 10 내지 20 시간 발효하여 콩 발효물을 준비하는 단계; 40~60 중량% 헛개나무 건조분말, 10~30 중량 % 감초 건조분말, 5~15 중량 % 오리나무 건조분말, 및 10~30 중량 % 갈근 건조분말로 이루어진 한약조성물을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한약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콩 발효물과 한약추출물을 쌀, 보리, 밀, 콩, 및 기장으로 이루어 진 오곡에 첨가하여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으로 면발을 제조하고 증숙(烝熟), 성형, 유탕, 및 냉각하여 면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김치유산균 발효된 콩 발효물 및 한약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라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라면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복합 김치 유산균(kimchi lactic acid bacteria)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김치 유산균 복합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콩물에 김치유산균을 접종 배양하여 숙취해소에 효과적인 콩 발효물을 제공한다. 상기 콩물은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멸균한 후에 사용한다. 상기 김치유산균은 복합균주를 사용하는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0123), 류코노스톡 김치아이( Leuconostoc kimchii, KCTC0651),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KCTC 3526),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IMSNU 10146),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KCTC 3753),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KCTC 3528),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IMSNU 10130),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OPK-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복합균주를 사용하였다. 단일한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것보다 복합유산균을 사용할 경우에 우리 몸에 유익한 발효산물이 다양하게 만들어질 뿐만 아니라 음주 후 보충이 필요한 비타민 등의 성분도 많이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비타민 C의 경우를 들어보면 한 가지 유산균을 사용하여 콩을 발효한 경우엔 10mg/100ml 이하로 만들어지지만 복합유산균을 사용하여 발효하면 30mg/100ml 이상 만들어진다.
한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김치유산균 복합균주로 콩을 발효하면 콩의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바뀌고 비타민 B1, B2, B3, C, D, E, 엽산 등이 만들어지며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는 10mg/100g 이상 만들어진다. 또한 발효 중에 김치유산균이 만든 유기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렇게 콩을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아미노산, 비타민, 유기산이 풍부한 발효산물을 본 발명자는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이라고 명명하였다. 콩 발효물을 음주 후 섭취하게 되면 부족해지기 쉬운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의 공급에 도움이 되고, 가바는 숙취로 인해 예민해진 신경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음주로 인해 나빠진 장의 기능을 회복하는데도 효과적이다.
상기 김치 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은 그 자체로 복용하여도 숙취해소에 도움이 되지만, 다른 식품에 첨가되어도 숙취해소에 유용한 효과를 발휘하여 식품 첨가물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해장국 대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라면에 상기 숙취해소용 콩 발효물을 첨가하여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되는 라면을 제조하였다.
상기 김치유산균을 발효하여 만들어진 콩 발효물을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헛개나무, 감초, 오리나무, 갈근의 추출액을 포함하는 한약조성물과 함께, 쌀, 보리, 밀, 콩, 기장으로 이루어진 오곡분말에 혼합하여 반죽을 하여 면발을 제조하였다.
라면의 제조공정 중 원료의 혼합공정 이외의 공정은 당 업계에서 사용 가능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가능하다. 즉 배합한 원료로 반죽을 만들고 제면기를 통해 1차 성형하고, 고온 스팀으로 증숙시키고, 열풍건조하면서 2차 성형을 하는 공정과 성형된 면을 기름으로 튀기는 유탕 처리공정 등의 제반 라면제조 공정은 일반적으로 당 업계에서 행하여지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숙취해소라면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균( 김치유산균 ) 배양 단계
배지를 가열 멸균하고 김치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각각 접종하여 이들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균주를 복합배양(mixed culture)을 한다. 이 때 가열 멸균은 121℃에서 15분 이상 하는 것이 좋고, 각각의 김치유산균 접종량은 1× 104 cfu/ml 이상이 되게 하고 배양온도는 20~40℃, 배양시간은 10~30시간, 배지는 MRS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양은 정치 배양한다.
콩의 발효단계
콩물을 100℃에서 1~2시간 가열 멸균하고 20~40℃로 식힌 다음 여기에 종균을 2~4%(v/v)되게 접종한 다음 20~40℃에서 10~30시간 발효한다.
이때, 10시간 이하로 발효하면 발효대사산물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고, 30시 간 이상으로 발효하면 유기산이 많이 만들어져 신맛이 강하여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술한 발효 시간 범위 내에서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발효 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라면원료의 배합 공정
한약 추출물은 40~60 중량%의 헛개나무, 10~30 중량%의 감초, 5~15 중량%의 오리나무, 및 10~30 중량%의 갈근 건조 분말을 용매 추출하여, 함유 고형분은 1.0 ~ 3.0%의 것을 사용하고, 이것을 면발의 반죽 전에 첨가하는데 반죽 총 중량에 대한 중량비율을 1.0 ~ 10.0%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미만이면 숙취해소 효과가 떨어지고, 10.0% 이상이면 추출액의 쓴 맛 등으로 인해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1.0 ~ 10.0%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혼합되는 콩 발효물은 총 중량대비 10 ~ 3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10% 이상은 되어야 숙취해소 효과가 좋으며 30% 이상이 되면 콩 발효물에 함유된 효소의 작용으로 인해 반죽의 물성이 변하여 라면의 성형과정이 순조롭게 되지 않는다. 여기에 쌀, 보리, 밀, 콩, 및 기장을 포함하는 오곡분말을 넣어 반죽을 한다. 오곡분말에서 쌀, 보리, 밀, 콩, 및 기장 분말의 혼합 비율은 임의로 결정 할 수 있다. 그러나 맛과 라면성형을 고려하면 이중 밀의 함량이 오곡분말 총 중량대비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반죽을 하여 라면 면발을 만드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 통상 채택되는 방법 중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통상 라면의 제조법은 배합공정(소맥분과 배합수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공정); 면대형성(롤러로 압연하여 면대를 을 만드는 공정); 제면공정(제면기로 국수 모양을 만들고,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조절하여 라면 특유의 꼬불꼬불한 형태로 만드는 공정); 증숙공정(스팀 박스를 통과시키면서 호화(α화)시키는 공정); 성형공정(일정한 모양으로 만들기 위해 납형 케이스에 넣는 공정); 유탕공정(150℃ 정도에서 튀기고 수분을 휘발시키는 공정); 냉각공정(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정); 수프제조공정(주원료를 고압처리하여 진공농축, 진공건조시킨 다음 각 원료를 혼합 포장하여 수프를 제조하는 공정); 포장공정(수프를 첨부하여 완제품으로 포장하는 공정)으로 이루진다. 본 발명에서는 김치 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 및 한약조성물을 쌀, 보리, 밀, 콩, 및 기장을 포함하는 오곡분말에 넣어 반죽을 만드는 배합공정을 수행한 후에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종균 배양
MRS 배지를 121℃에서 20분 가열 멸균하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0123), 류코노스톡 김치아이( Leuconostoc kimchii, KCTC0651),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KCTC 3526),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IMSNU 10146),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KCTC 3753),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KCTC 3528),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IMSNU 10130),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OPK-3)를 각각 5× 104 cfu/ml 되게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2.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의 제조
콩물을 100℃에서 1시간 가열하여 멸균하고 30℃로 식힌 다음 표 1과 같이 무작위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종균 배양액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콩물에 총 중량의 3 %(v/v)로 접종하였다. 30℃에서 24시간 발효하여 본 발명의 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08057563963-pat00001
제조된 콩 발효물의 영양성분을 발효 전의 두유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표 2).
[표 2] 영양성분 함량(100g 당 함량)
Figure 112008057563963-pat00002
실시예 3. 라면원료의 배합 및 라면의 제조
3-1. 일반 라면의 제조
총 중량 대비 쌀 10%, 보리 10%, 밀 70%, 콩 5%, 기장 5%를 포함하는 오곡분말 5.0kg과 물5.0kg 섞고 라면반죽을 만들었다. 라면반죽을 제면기를 통하여 국수모양으로 만들었고 여기에 110℃의 스팀을 가하여 호화성 전분으로 만들었고, 90℃에서 열풍건조하면서 이차 성형을 하였고, 200℃ 온도의 기름으로 2분 동안 튀겨 라면 면발을 만들었다.
3-2. 한약 조성물을 함유한 라면의 제조
한약 추출물은 50 중량%의 헛개나무(5Kg), 20 중량%의 감초, 10 중량%의 오리나무, 20 중량%의 갈근 건조 분말을 80℃의 물로 30 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였고,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추출물을 0.45 ㎛의 필터로 여과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한약 추출물 고형분 200g을 추출하였다. 한약 추출물을 면발의 반죽 전에 총 중량 대비 5% 되게 첨가하여 실시예 3-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단 물의 양은 첨가된 한약 추출물의 양만큼 줄였다.
3-3. 콩 발효물을 함유한 라면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 내지 2-15에서 제조한 콩 발효물 2kg을 실시예 3-1의 오곡분말과 동일한 조성의 오곡분말 5kg 그리고 물 3.0kg을 넣고 3-3-1 내지 3-3-15의 라면반죽 15종을 만들었다(이때, 3-3-1의 라면 반죽은 실시예 2-1의 콩 발효물을 넣은 라면반죽을 의미한다.). 이렇게 제조된 라면반죽을 가지고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면 면발을 제조하였다.
3-4. 콩 발효물과 한약 조성물을 함유한 라면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한약 조성물 1.8kg, 상기 실시예 2-1 내지 2-15에서 제조한 콩 발효물 2kg, 실시예 3-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조 성의 오곡분말 5kg 그리고 물 1.2kg을 넣고, 3-4-1 내지 3-4-15의 라면반죽 15종을 만들었다(이때, 3-4-1의 라면 반죽은 실시예 2-1의 콩 발효물을 넣은 라면반죽을, 3-4-2의 라면 반죽은 실시예 2-2의 콩 발효물을 넣은 라면반죽을 의미한다.). 라면반죽을 가지고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면 면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숙취해소 효능에 대한 임상실험
20-30대의 신체 건강한 성인남녀 360명(표 3)을 20명씩 1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알코올 함량 22%의 소주를 음용하게 하였다. 음주량은 각자의 주량에 맞게 음용토록 하였다.
[표 3]. 실험군
Figure 112008057563963-pat00003
음주 후 한 그룹을 제외한 11개의 그룹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콩 발효물 100g과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라면 4가지 중 한 가지를 각각 섭취하게 하였다. 소주를 섭취하는 시간은 30분으로 한정하였으며, 안주로는 소시지 3쪽을 먹게 하였다. 라면은 미리 끓여 놓았고, 각각 동일양의 고추장과 마늘, 그리고 파를 썰어 넣었다. 라면의 섭취량은 건더기 100g과 액상 100g으로 하였다. 라면을 먹는 시간은 15분으로 한정하였다. 음주 30분후와 2시간 후에 혈중 알코올농도를 알코올 농도측정기(CA-2000)로 측정하고 표 4에 표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콩 발효물은 그 차체로 혈중 알코올 농도의 감소에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콩 발효물을 넣어 제조된 실시예 3-3의 라면은 기존에 숙취해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된 한약재를 첨가하여 제조된 실시예 3-2의 라면에 비하여 우수한 혈중 알코올 분해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과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한약재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실시예 3-4의 라면의 경우 가장 우수한 혈중 알코올 분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4]. 혈중 알코올 분해 효과
Figure 112008057563963-pat00004
그리고 음주 2시간 후 각각 숙취정도와 두통여부를 스스로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 때 숙취정도와 두통여부는 모두 5:전혀 없음, 4:없음, 3:보통, 2:약간 있음, 1:매우 심함으로 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그 평균값으로 기재하였다.
[표 5]. 숙취 및 두통 효과
Figure 112008057563963-pat00005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은 그 자체로 음주 후 숙취 및 두통의 해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3-3에서 제조된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숙취해소용 라면을 섭취한 경우 기존에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한약재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라면에 비해 우수한 숙취 및 두통 해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과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한약재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실시예 3-4의 라면의 경우 가장 우수한 숙취 및 두통 해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숙취해소용 콩 발효물을 생산함으로써 숙취 해소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장국 대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라면에 상기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숙취해소용 콩 발효물과 기존에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한약 재료를 함께 첨가하여 라면을 제조함으로써,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하여, 음주 후 숙취의 개선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생성된 콩 발효물과 한약 조성물 그리고 오곡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라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라면의 형태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콩 발효물을 섭취하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음주 후 숙취를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콩물을 멸균하고 20 ~ 40℃로 식힌 후 복합 김치유산균을 접종하여 10 내지 30 시간 발효하여 콩 발효물을 준비하는 단계;
    40~60 중량% 헛개나무 건조분말, 10~30 중량 % 감초 건조분말, 5~15 중량 % 오리나무 건조분말, 및 10~30 중량 % 갈근 건조분말로 이루어진 한약조성물을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한약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콩 발효물과 한약추출물을 쌀, 보리, 밀, 콩, 및 기장으로 이루어진 오곡에 첨가하여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으로 면발을 제조하고 증숙, 성형, 유탕, 및 냉각하여 면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 및 한약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라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김치 유산균(kimchi lactic acid bacteria)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김치 유산균 복합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라면의 제조방법.
KR1020080078778A 2008-08-12 2008-08-12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과 상기 발효된 콩 발효물, 한약 조성물, 및 오곡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라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1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78A KR101014867B1 (ko) 2008-08-12 2008-08-12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과 상기 발효된 콩 발효물, 한약 조성물, 및 오곡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라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78A KR101014867B1 (ko) 2008-08-12 2008-08-12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과 상기 발효된 콩 발효물, 한약 조성물, 및 오곡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라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22A KR20100020122A (ko) 2010-02-22
KR101014867B1 true KR101014867B1 (ko) 2011-02-15

Family

ID=4209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7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4867B1 (ko) 2008-08-12 2008-08-12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과 상기 발효된 콩 발효물, 한약 조성물, 및 오곡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라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6743A (ko) 2022-11-28 2024-06-19 유기종 신규한 유산균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VITA-PB2(Leuconostoc mesenteroides VITA-PB2, KCTC19046P) 및 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507B1 (ko) 1999-12-17 2002-04-20 정가진 유산균 배양액을 함유한 두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61032B1 (ko) 2005-04-19 2006-12-2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간 기능 개선, 혈중 알코올 감소 및 항산화에 유효한조성물
KR100663086B1 (ko) * 2005-01-21 2007-01-0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숙취제거 및 간기능 보호 발효유 제조방법
KR20070110989A (ko) * 2006-05-16 2007-11-21 조은경 식물성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균을 이용한 콩 발효음료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507B1 (ko) 1999-12-17 2002-04-20 정가진 유산균 배양액을 함유한 두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63086B1 (ko) * 2005-01-21 2007-01-0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숙취제거 및 간기능 보호 발효유 제조방법
KR100661032B1 (ko) 2005-04-19 2006-12-2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간 기능 개선, 혈중 알코올 감소 및 항산화에 유효한조성물
KR20070110989A (ko) * 2006-05-16 2007-11-21 조은경 식물성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균을 이용한 콩 발효음료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6743A (ko) 2022-11-28 2024-06-19 유기종 신규한 유산균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VITA-PB2(Leuconostoc mesenteroides VITA-PB2, KCTC19046P) 및 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22A (ko) 201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vans et al. Nigerian indigenous fermented foods: processes and prospects
CN101785511B (zh) 苦荞麦红曲发酵茶的制作方法
KR101386879B1 (ko) 현미 및 모링가를 주재로 하여 복합유산균 발효에 의해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유산균 발효식품
CN109349479B (zh) 一种发酵大枣饮料及其制备方法
Chaudhary et al. Prospects of Indi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as functional foods
KR20200076157A (ko) 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또는 염증성 장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10169545A (zh) 一种利用乳酸菌制备发酵鸭肉的方法
Anyiam et al.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n Nigeria and Covid-19: a possible approach for boosting immune system
KR20200065497A (ko) 복합 발효를 이용한 gaba 증진된 대추 발효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20844B1 (ko) 표고 균사체 배양미를 이용한 젖산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192673B1 (ko) 복합유용발효미생물(fm)을 이용한 혼합곡의 발효 방법 및 대량 생산 방법
CN109349480A (zh) 一种发酵茯苓饮料及其制备方法
JP2023000116A (ja) 蜂蜜発酵物の製造方法
CN108740790B (zh) 一种酱豆及其制作方法
KR101014867B1 (ko)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과 상기 발효된 콩 발효물, 한약 조성물, 및 오곡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라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KR100795239B1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식품·음료의 제조방법
KR101098624B1 (ko) 묵은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KR102140382B1 (ko) 복합배양 균사체 및 홍국현미가 포함된 취반용 첨가제
KR101360223B1 (ko)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
Mondal et al. Rice-based Fermented Foods and Beverages Functional and Nutraceutical Properties
Saibhavani et al. Chapter-7 role of traditional foods for immunity boosting
CN108740969A (zh) 一种老麦酱及其制作方法
Ababa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Study of Azo, A Traditional Fermented Condiment Prepared from Sorghum and Leaves of Endod (Phytolacca dodecandra) in Kafta Humera, Tigray Regional State.
KR102644071B1 (ko) 양배추 발효액을 이용한 바게트 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바게트 빵
CN108770931A (zh) 一种苦荞-雪莲果酸奶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08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110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