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532B1 - Redundant power supply with dual monitoring - Google Patents
Redundant power supply with dual monito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6532B1 KR101006532B1 KR1020080008773A KR20080008773A KR101006532B1 KR 101006532 B1 KR101006532 B1 KR 101006532B1 KR 1020080008773 A KR1020080008773 A KR 1020080008773A KR 20080008773 A KR20080008773 A KR 20080008773A KR 101006532 B1 KR101006532 B1 KR 1010065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ain
- power supply
- power
- monito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04 por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1—Contacts shunted by semiconductor devices
- H01H9/542—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1—Contacts shunted by semiconductor devices
- H01H9/542—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 H01H2009/545—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comprising a parallel semiconductor switch being fired optically, e.g. using a photocoupl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는 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부와 예비 전원부의 오류를 각각 감시하는 주 감시부와 예비 감시부와, 상기 주 감시부 또는 예비 감시부 중에 하나에서 오류가 검출되면, 정상의 예비 전원부 또는 주 전원부로 절체시키는 주 절체부와, 상기 주절체부와 별도로 동작하며, 상기 주 전원부와 예비 전원부를 각각 감시하여, 작동상태에 다라 다른 예비전원부 또는 주 전원부로 절체시키는 보조 절체부를 포함한다.
전원장치, 절체, 절환, 예비전원, 이중감시
The redundant power supply device having a dual monitor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monitoring unit and a preliminary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errors of the main power supply unit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respectively, and an error in one of the main monitoring unit or the preliminary monitoring unit. When is detected, the main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o the normal spare power unit or main power unit and the main switching unit operates separately from the main switching unit, and monitors the main power unit and the spare power unit, respectively, and switches to another spare power unit or main power unit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It includes an auxiliary switch to make.
Power supply, transfer, changeover, backup power, double monito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시스템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주 전원과 예비전원을 이중 감시하여 전원공급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undant power supply unit having a dual monitor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dual monitoring function that improves reliability according to a power supply by dually monitoring a main power supply and a standby power supplying power to a system stably. It relates to a power supply.
일반적으로 이중화 전원장치는 작동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서버, 정보통신망 등의 시스템에 설치되어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 중에 어느 하나가 작동이 중지되거나 오류를 발생시킬 경우 신속하게 정상적인 전원으로 절체(절환)시키는 것이다. In general, redundant power supplies are installed in systems such as servers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where the operational status must be maintained continuously, and when any one of the power supplies to the system stops working or causes an error, it is quickly switched to normal power supply. )
도 1은 종래의 이중화 전원장치를 보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edundant power supply device.
이러한 이중화 전원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미 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부(1)과, 예비 전원부(2)의 전원공급상태를 각각 감지하는 주 전원감시부(3)와, 예비전원 감시부(4)로 구성된다. 그리고 주 전원감시부(3)와 예비전원 감시부(4)를 통해 주 전원부(1)와, 예비 전원부(2) 중에 선택된 하나로 절 체시키는 주 절체부(5)로 구성된다. The redundant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main
따라서 상기한 이중화 전원 장치는 주 전원부(1)의 손상 및 오류로 주 전원부를 통해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오류가 발생될 경우 주 전원 감시부(3)에서 오류를 검출하여 주 절체부(5)로 입력하면 주 절체부(5)는 입력된 신호에 의해 빠르게 반응하여 주 전원부(1)를 차단하고 예비 전원부(2)로 절체시키게 된다. Therefore, the redundant power supply device detects an error in the main
그리고 반대로 예비전원의 손상 및 오류로 예비전원을 통해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오류가 발생될 경우 예비전원 감시부에서 오류를 검출하여 주 절체부로 입력하면 주 절체부는 입력된 신호에 의해 빠르게 반응하여 예비전원을 차단하고 주 전원으로 절체시키게 된다. On the contrary, if an error occurs in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through the spare power due to damage and error of the spare power, the preliminary power monitoring unit detects an error and inputs it to the main switching part. The power is cut off and transferred to the mains.
그런데 상기한 이중화 전원장치는 주 전원감시부와 보조전원 감시부에서 감지되는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하더라도 주 절체부에 오류가 발생될 경우 절체되지 않고 불안정한 전원이 공급되거나 심할 경우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redundant power supply device, even if a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main power monitoring unit and the auxiliary power monitoring unit is input, when an error occurs in the main switching unit, the switching is not performed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when unstable power is supplied or severely.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시스템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주 전원과 예비전원을 이중 감시하여 전원공급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necessity, and provides a redundant power supply device having a dual monitoring function which improves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by double monitoring the main power supply and the standby power supplying the power to the system stably. There is a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는 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부와 예비 전원부의 오류를 각각 감시하는 주 감시부와 예비 감시부와, 상기 주 감시부 또는 예비 감시부 중에 하나에서 오류가 검출되면, 정상의 예비 전원부 또는 주 전원부로 절체시키는 주 절체부와, 상기 주절체부와 별도로 동작하며, 상기 주 전원부와 예비 전원부를 각각 감시하여, 작동상태에 다라 다른 예비전원부 또는 주 전원부로 절체시키는 보조 절체부를 포함한다.The redundant power supply having a dual monitor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main monitoring unit and the preliminary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error of the main power supply unit and the reserve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system, and the main monitoring unit or If an error is detected in one of the preliminary monitoring units, the main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o the normal reserve power unit or main power unit and the main switching unit are operated separately, and the main power unit and the reserve power unit are monitored separately, It includes an auxiliary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o the pre-power unit or the main power unit.
여기서, 상기 주 감시부와 예비 감시부는 각각 주 전원부와 예비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출력측 전원을 감시하며, 상기 보조 절체부는 주 전원부와 예비전원부로 입력되는 입력측 전원을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monitoring unit and the preliminary monitoring unit monitor the output side power output from the main power supply unit and the preliminary power supply unit, respectively, and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monitors the input side power input to the main power supply unit and the preliminary power supply unit.
그리고 상기 주 절체부는 상기 보조 절체부에 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main transfer part takes precedence over the said auxiliary transfer part.
또한, 상기 주 절체부는 신속한 절체를 위한 마이컴이며, 상기 보조 절체부는 논리회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ain switching unit is a microcomputer for rapid switching,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is preferably a logic circuit.
한편, 상기 주 절체부는 상기 주 감시부와 예비 감시부에서 일정한 주기로 발생되는 "제로(ZERO)"의 일치 여부로 오류를 검출하며, 검출을 위해 상기 주 감시부와 예비 감시부는 포토커플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switching unit detects an error based on whether or not the "ZERO" is generated at a constant cycle in the main monitoring unit and the preliminary monitoring unit, the main monitoring unit and the preliminary monitoring unit is preferably a photocoupler for detection. Do.
또한, 상기 주 절체부는 절체작동을 감시하는 절체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체 감시부는 상기 보조 절체부에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switching unit preferably includes a switching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switch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switching monitor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그리고 상기 전원장치는 상기 주 절체부 또는 상기 보조절체부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wer supply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ain switching unit or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더불어 상기 전원장치는 상기 주 절체부 또는 상기 보조절체부의 작동상태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switching unit or the auxiliary switching unit as a sound.
상기 주 전원부와 상기 예비전원부는 자동절체와 수동절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환스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주 절체부는 상기 예비 전원부로 절체된 상태에서 복귀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복귀시간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power supply unit and the preliminary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with a switching switch for selecting automatic switching and manual switching, the main switching unit includes a return time setting unit to set the time to return from the state switched to the preliminary power supply unit desirable.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주 전원과 예비전원을 이중 감시하므로 전원공급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power and the redundant power are stably monitored to supply power to the system, the reliability of the power supply is impro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 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defined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meanings that limit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의 제어 흐름을 보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주 감시부와, 예비 감시부를 보인 회로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a redundant power supply having a dual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main monitoring unit and a preliminary monitoring unit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절체부를 보인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체전원 출력부를 보인 회로도이다. In addition, 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uxiliary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witching power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100)는 작동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서버, 정보통신망 등의 시스템(미 도시)에 설치되어 시스템으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가 마련된다. 2 to 5, the redundant
그리고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에서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 감시하는 주 감시부(31)와 예비감시부(32)를 포함하며, 주 감시부(31)와 예비감시부(32)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주 전원부(10) 또는 예비전원부(20) 중에 선택적으로 절체시키는 주 절체부(30)로 구성된다. 또한 주 절체부(30)와 별도로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를 선택적으로 절체시키는 보조절체부(40)를 포함한다. And a
상기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는 시스템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는 주로 AC220V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하나는 주 공급원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주 전원부(10)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예비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게 마련된다. The main
이때 주 감시부(31)와 예비감시부(3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터 커플러를 이용하여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원에서 이상신호가 발생되면 주 절체부(30)로 공급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주 절체부(30)는 주 감시부(31)와 예비감시부(32)에서 전송된 신호를 판단하여 주 전원부(10) 또는 예비전원부(20) 중에 하나로 신속하게 절체시킨다. 이때 주 절체부(30)에서 판단하는 신호는 주 전원과 예비전원부(20)의 제로(ZERO)점의 일치 여부를 감지하여 불일치할 경우 오류로 판단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즉, 따라서 주 절체부(30)는 주 감시부(31)와 예비감시부(32)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일정 주파수에 따라 제로 발생구간과, 미발생구간을 설정하여 일정한 주기로 발생되는 제로의 위치가 불일치하여 발생구간에서 발생되지 않거나, 미발생구간에서 제로가 발생될 경우에 오류로 판단하여 절체한다.That is, the
이때 주 절체부(30)는 절체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을 출력하는 절체전원 출력부(60)를 포함하여 절체와 동시에 절체작동신호를 절체전원 출력부(60)로 출력하고, 절체전원 출력부(60)는 절체전원을 출력하여 절체 동작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절체작동이 수행여부를 감시하는 절체감시부(70)가 포함된다. 따라서 절체감시부(70)는 절체전원 출력부(60)에서의 절체 수행을 감시하여 그 여부를 주 절체부(30)로 전송한다.
즉, 상기 절체 감시부(70)는 상기 출력되는 절체 전원을 감시하여 절체작동의 수행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And a
That is, the
따라서 주 절체부(30)는 신속한 절체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마이컴으로 구성된다. Therefore, the
또한,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100)는 전체적인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5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dundant
여기서 표시부(50)는 주 전원부(10), 예비전원부(2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시스템에 공급중인 전원공급시간, 전류, 전압 등을 표시하며, 절체와 함께 이상상태를 표시한다. Here, the
따라서 주 전원 작동상태 표시램프, 예비전원부(2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예비전원 표시램프, 시스템 전원램프, 전원공급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표시램프, 및 이상상태를 표시하는 경고램프가 마련될 수 있다. Therefore, the main power operation status display lamp, the preliminary power display lamp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따라서 주 절체부(30)에서 주 전원부(10)의 오류를 검출하여 예비전원으로 절체동작을 수행하면, 표시부(50)는 주 전원의 작동상태에서 예비전원 작동상태로 전환상태를 표시하고, 경고램프에 그 상태를 출력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절체와 동시에 그 상태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알람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51)를 포함한다. And a
또한, 주 전원부(10)에서 예비전원부(20)로 절체된 상태에서 주 전원부(10)로 복귀될 수 있게 복귀시간을 설정하는 복귀시간 설정부(80)가 마련된다. 여기서 복귀시간 설정부(80)는 상기 주 전원부(10)의 오류로 인해 예비전원부(20)로 절체된 상태에서 주 전원부(10)를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게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 return
한편, 주 절체부(30)에 오류가 발생되면 절체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주 절체부(30)에 오류가 발생되더라도 절체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보조절체부(4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f an error occurs in the
상기 보조절체부(40)는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로 입력되는 상용전원 입력측 또는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로 연결되어 상기 주 전원과 예비전원의 흐름 상태에 따라 논리적으로 판단하여 절체동작을 수행한다. The
따라서 보조절체부(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논리 게이트의 조합으로 되는 논리 회로 이며 적어도 하나의 NOT 게이트와, 저어도 하나의 NAND 게이트를 적용하여 주 전원부(10)가 오류가 발생되고, 예비전원부(20)가 정상일 경우에 절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refore, the
즉, 주 전원부(10)에는 NOT 게이트를 설치하여, 주 전원부(10)에서 감지된 신호를 반전시키고, 반전된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에서 감지된 신호를 N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를 통과시켜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여기서 N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가 설치되었으나, 별도의 AND 게이트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a NOT gate is installed in the main
[표 1]TABLE 1
따라서 상기 표 1에서와 같은 결과 값으로 도출될 수 있으며 주 전원부(10)로의 신호가 없고, 예비전원부(20)로의 신호가 감지되면 예비전원부(20)로 절체시킬 수 있게 절체전원 출력부(60)로 전송하다. Therefore, it can be derived as a result value as shown in Table 1, when there is no signal to the
그리고 보조절체부(40)에서 출력된 신호는 절체전원 출력부(60)로 입력되고, 절체전원 출력부(60)는 절체에 필요한 전원을 출력시킨다. 이때 절체전원 출력부(60)에는 절체 동작을 주 절체부(30)와 보조절체부(40)에 의해 자동으로 절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하여 절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전환 스위치(61)가 마련된다. The signal output from the
이때 전환스위치(61)를 스위칭 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자동 전화되어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switching the switching
또한, 상기 전환 스위치(61)가 수동모드일 경우 주 전원부(10)와 예비전원부(20)의 절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미도시한 절체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redundant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dual monitor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only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Accordingly,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이중화 전원장치를 보인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edundant power suppl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의 제어 흐름을 보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a redundant power supply having a dual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주 감시부와, 예비 감시부를 보인 회로도.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main monitoring unit and a preliminary monitoring unit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절체부를 보인 회로도.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uxiliary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체전원 출력부를 보인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transfer power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전원장치 10: 주 전원부100: power supply 10: main power supply
20: 예비 전원부 30: 주 절체부20: spare power unit 30: main switching unit
31: 주 감시부 32: 예비감시부31: main monitoring unit 32: preliminary monitoring unit
40: 보조절체부 50: 표시부40: auxiliary switching unit 50: display unit
51: 음향출력부 60: 절체전원 출력부51: sound output unit 60: switching power output unit
61: 절환스위치 61: switch
70: 절체감시부 80: 복귀시간 설정부70: transfer monitoring unit 80: return time setting unit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8773A KR101006532B1 (en) | 2008-01-28 | 2008-01-28 | Redundant power supply with dual monito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8773A KR101006532B1 (en) | 2008-01-28 | 2008-01-28 | Redundant power supply with dual monitor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2809A KR20090082809A (en) | 2009-07-31 |
KR101006532B1 true KR101006532B1 (en) | 2011-01-07 |
Family
ID=4129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8773A Active KR101006532B1 (en) | 2008-01-28 | 2008-01-28 | Redundant power supply with dual monito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653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60319B1 (en) | 2024-06-28 | 2025-02-03 | 주식회사 한맥아이티 | Dual-lined electric power supply according to dc power shar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2434B1 (en) * | 2020-03-03 | 2021-09-16 |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 HMI for enhancing operational reliability and safety of data storag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therewith |
CN114844135A (en) * | 2021-02-02 | 2022-08-02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Charging method, charging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8544A (en) * | 1995-07-27 | 1997-04-08 | Keishin Cho | Dual / multiple voltage level input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
KR19990031451U (en) * | 1997-12-31 | 1999-07-26 | 손기락 | Power automatic changer |
KR20050000565A (en) * | 2003-06-24 | 2005-01-06 | 주식회사 렉티콤 | Dual power distribution switch |
KR20060101413A (en) * | 2005-09-05 | 2006-09-25 | 주식회사 케이티 | Parallel high speed switching device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its switching method |
-
2008
- 2008-01-28 KR KR1020080008773A patent/KR1010065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8544A (en) * | 1995-07-27 | 1997-04-08 | Keishin Cho | Dual / multiple voltage level input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
KR19990031451U (en) * | 1997-12-31 | 1999-07-26 | 손기락 | Power automatic changer |
KR20050000565A (en) * | 2003-06-24 | 2005-01-06 | 주식회사 렉티콤 | Dual power distribution switch |
KR20060101413A (en) * | 2005-09-05 | 2006-09-25 | 주식회사 케이티 | Parallel high speed switching device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its switching metho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60319B1 (en) | 2024-06-28 | 2025-02-03 | 주식회사 한맥아이티 | Dual-lined electric power supply according to dc power sharing |
KR102804167B1 (en) | 2024-06-28 | 2025-05-08 | 주식회사 한맥아이티 | LED screen status detection device of dual power supply according to DC power sha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2809A (en) | 2009-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23394B2 (en) | Rack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1395782A (en) | Power supply assembly | |
CN112531878A (en) | Redundant power supply and method for realizing redundant power supply on redundant power supply | |
US8304930B2 (en) | Fieldbus system with shared redundancy system | |
KR20150078489A (en) | Dual power supply apparatus for high voltage direct curr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006532B1 (en) | Redundant power supply with dual monitoring | |
JP4034999B2 (en) | Fire receiver expansion unit | |
KR102087607B1 (en) | Uninterruptible system switchover operating device of water supply equipment | |
WO2017215672A1 (en) | Power supply method and power supply device in poe system | |
US7058170B2 (en) |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a back-plane supporting redundant circuit cards | |
KR102018235B1 (en) | DC power automatic switcher | |
JP2006288142A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equipment and its testing method | |
JP2009081914A (en) | Power supply system, internal circuit driv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 |
TWI460965B (en) | Isolation power control redundancy system | |
JP4095268B2 (en) | Common standby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 |
KR101554249B1 (en) | Total dual type control system based on detection of abnormal state at a control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840061B1 (en) | Parallel high speed switching device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its switching method | |
CN113532771A (en) | A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for a power transmission converter valve and a monitoring and fault replacement method | |
CN107730857B (en) | Interface Circuit | |
JP2002272016A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 |
CN104753166A (en) | Multi-type multi-mode automatic transfer switching (ATS) device and method thereof | |
US20120042181A1 (en) | Always-On System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 |
JP5120038B2 (en) | Multi-system, its peripheral board | |
KR20100005197U (en) | Redundancy control device of H-bridge multilevel inverter | |
JP2005237169A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equipped with diagnostic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