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05520B1 - 덧마루 - Google Patents

덧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520B1
KR101005520B1 KR1020100045475A KR20100045475A KR101005520B1 KR 101005520 B1 KR101005520 B1 KR 101005520B1 KR 1020100045475 A KR1020100045475 A KR 1020100045475A KR 20100045475 A KR20100045475 A KR 20100045475A KR 101005520 B1 KR101005520 B1 KR 10100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ember
ridge
bound
bin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
Priority to KR102010004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8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hook and loop-type fastener or similar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덧마루는 덧마루 본체, 및 덧마루 본체의 측면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도록 덧마루 본체에 장착되며, 외부로 인출 시에, 외부의 피구조물에 결속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결속부재가 덧마루의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덧마루 위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Description

덧마루{PANEL FOR THRUST STAGE}
본 발명은 무대를 구성하는 덧마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 개를 상호 연결하여 무대를 제공할 수 있는 덧마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 임시용으로 설치하는 무대용 마루는 나무 재질의 마루용 패널을 다수 개 조립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무대용 마루에 사용되는 각각의 마루용 패널은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제공되며, 각각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무대용 마루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무대용 마루 위에서 벌어지는 각종 공연이나 행사 중에 사람들의 이동에 따라서 무대용 마루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마루용 패널 간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마루용 패널 간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인접한 마루용 패널들은 서로 별도의 결속부재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대용 마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을 참조하면, 무대용 마루는 복수개의 마루용 패널(10) 및 고리(20)를 포함한다. 결속부재로서 U-자 형태의 고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고리의 양 단부가 서로 인접한 마루용 패널(10)에 각각 형성된 홀(12)에 삽입됨으로써, 고리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마루용 패널 간의 이동을 방지하고, 마루용 패널(10) 간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무대용 마루는 임시로 설치되는 만큼 쉽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고리(20)를 용이하게 마루용 패널(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고리(20)가 삽입되는 홀(12)에 인접한 무대용 마루의 상면에는 함몰된 홈(14)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된 홈(14)을 통해서 노루발못뽑이, 노루발장도리(claw hammer)와 같은 연장을 사용하여 고리 형태의 결속부재를 쉽게 마루용 패널(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무대용 마루 위로 드러나는 상기 홈(14)은 공연 중에 사람들이 이동하는데 불편을 줄 수 있으며, 사람들이 걸려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형태의 고리(20)는 마루용 패널(10)에 삽입되어 있더라도 마루용 패널(10)에 분리된 상태로서 그 움직임이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잦은 충격에 의하여 솟아 나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덧마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구조물에 덧마루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덧마루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덧마루는 덧마루 본체, 및 덧마루 본체의 측면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도록 덧마루 본체에 장착되며, 외부로 인출 시에, 외부의 피구조물에 결속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결속부재가 덧마루의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덧마루 위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덧마루 본체에 결속부재의 일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결속부재 노출홀을 형성하고, 결속부재 노출홀을 통해서 별도의 회전체를 삽입하여, 회전체를 회전시켜 결속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속부재가 결속부재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는 노출부, 노출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에 단부에 일체로 절곡되어 피구조물과 결속되는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속부재 노출홀을 통해서 노출되는 노출부에는 회전체의 단부가 끼워져 결속되는 홈을 형성하여, 결속부재 노출홀을 통해서 삽입되는 회전체를 상기 홈에 결속시키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통해서 결속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덧마루는 복수개가 연결되어 하나의 덧마루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루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피구조물이라 함은, 상술한 덧마루 본체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다른 덧마루를 지칭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덧마루 외에도 앞서 설명한 덧마루의 결속부재가 결속되는 다른 구조물을 두루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재에 대향하여 덧마루 본체의 반대 측면에는 피구조물에 대응하는 피결속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다른 덧마루의 결속부재는 상기 피결속부에 결속되어 이웃하는 덧마루들을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피결속부를 결속부재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봉 형태로 제공하고, 결속부재의 결속부가 상기 봉 형태의 피결속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회전 배치되면, 결속부는 피결속부에 걸려 덧마루와 피구조물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피결속부가 결속부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피결속부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피구조물에 장착하는 경우에, 피결속부가 회전하면, 피결속부가 결속부의 내측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피결속부의 중심과 상기 회전축은 상호 편심 또는 불일치할 수 있으며, 캠 형상과 같이 피결속부의 단면은 원형이 아닌 타원형 또는 다각형, 불규칙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피구조물에 피결속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피결속부 노출홀을 형성하고, 피결속부 노출홀을 통해 삽입되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피결속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덧마루는 덧마루 자체에 결속부재가 제공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덧마루들을 서로 조립하여 무대를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덧마루의 결속부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설치된 무대 위에서 움직이는 사람들이 불편하지 않으며, 걸려 넘어지는 사고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고리를 이용하여 마루용 패널을 서로 결합하는 무대용 마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마루들의 결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덧마루를 A-A 방향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2에 도시된 덧마루를 B-B 방향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덧마루 간의 결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덧마루 간의 결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덧마루 간의 결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마루의 결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덧마루(100a, 100b, 100c)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서로 연결되는 덧마루의 개수는 마련하고자 하는 무대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덧마루의 형태 또한 직육면체, 정육면체의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제1 덧마루(100a)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덧마루(100b)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며, 다른 덧마루 간의 연결 과정은 제1 및 제2 덧마루(100a, 100b)의 연결 과정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덧마루(100a)은 제1 덧마루 본체(110a) 및 제1 결속부재(120a)를 포함한다.
제1 덧마루 본체(110a)의 측면 내부에는 측면을 통해서 외부와 연통되도록 제1 수용홈(112a)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덧마루 본체(110a)에는 제1 덧마루 본체(110a)의 상면으로부터 제1 수용홈(112a)까지 관통하는 제1 결속부재 노출홀(114a)이 형성되며, 제1 결속부재 노출홀(114a)을 통해서 후술할 제1 결속부재(120a)의 일단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결속부재(120a)는 제1 수용홈(112a)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도록 제1 덧마루 본체(110a)에 장착된다. 제1 결속부재(120a)는 회전하여 제1 수용홈(112a)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인출 시에, 외부의 피구조물 또는 다른 덧마루에 결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피구조물은 제2 덧마루(100b)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속부재(120a)는 제1 결속부재 노출홀(114a)을 통해 노출되는 제1 노출부(122a), 제1 노출부(122a)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3a), 및 제1 연장부(123a)에 단부에 일체로 절곡되어 피구조물과 결속되는 제1 결속부(124a)를 포함하며, 제1 결속부재 노출홀(114a)을 통해서 노출되는 제1 노출부(122a)에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체(30)의 단부가 끼워져 결속되는 제1 홈(121a)이 형성된다. 제1 결속부재 노출홀(114a)을 통해서 삽입되는 회전체(30)를 제1 홈(121a)에 결속시키고, 회전체(30)의 회전을 통해서 제1 결속부재(12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덧마루를 A-A 방향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2에 도시된 덧마루를 B-B 방향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덧마루 본체(110a)에 형성된 제1 결속부재 노출홀(114a)을 통해서 회전체(30)를 삽입하여, 제1 홈(121a)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는 외면을 갖는 회전체(30)의 단부를 제1 홈(121a)에 끼워 맞출 수 있다. 그 후에, 회전체(30)를 회전시켜 제1 결속부재(120a)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부재(120a)는 회전하여, 제1 결속부재(120a)의 피구조물에 해당하는 제2 덧마루(100b)의 제2 피결속부(130b)에 결속될 수 있다.
제2 덧마루(100b)의 제2 피결속부(130b)는 제2 덧마루 본체(110b)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제2 덧마루 본체(110b) 측면 내부에 마련된 제2 수용홈(112b) 내에 배치되는 봉 형태로 제공되며, 제2 피결속부(130b)는 앞서 설명한 제1 결속부재(120a)의 제1 결속부(124a)의 회전축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체(30)와 함께 회동하는 제1 결속부재(120a)의 제1 결속부(124a)가 제2 피결속부(130b)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1 덧마루(100a)과 제2 덧마루(100b)의 상호 마주하는 측면이 이격되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제1 덧마루(100a)에 배치되는 제1 결속부재(12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도 있고, 동일한 측면에 2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덧마루(100b)에 배치되는 제2 피결속부(130b) 역시 인접한 제1 덧마루(100a)의 제1 결속부재(120a)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결속부재 및 피결속부가 마루의 양 면에만 형성될 수 있고, 결속부재 및 피결속부가 같은 면에 형성되되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한 결속면에서 결속부재 및 피결속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덧마루 본체 역시 사각형 형상이 아닌 삼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덧마루(100a)에도 인접한 다른 덧마루에 제공되는 결속부재가 결속되도록 피결속부에 대응하는 제1 피결속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덧마루 간의 결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의 덧마루에 대한 구성요소들은 앞선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는 피결속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덧마루(200a)은 제1 덧마루 본체(210a) 및 제1 결속부재(220a)를 포함한다.
제1 덧마루 본체(210a)에는 제1 수용홈(212a)이 형성되며, 제1 덧마루 본체(210a)에는 제1 결속부재 노출홀(214a)이 형성된다. 제1 결속부재 노출홀(214a)을 통해서 제1 결속부재(220a)의 일단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결속부재(220a)는 제1 수용홈(212a) 내부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도록 제1 덧마루 본체(210a)에 장착된다. 제1 결속부재(220a)는 외부 인출 시에, 외부의 피구조물에 결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구조물은 제2 덧마루(200b)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결속부재(220a)는 제1 노출부(222a), 제1 연장부(223a), 및 제1 결속부(224a)를 포함하며, 제1 결속부재 노출홀(214a)을 통해서 노출되는 제1 노출부(222a)에는 회전체(30)의 단부가 끼워져 결속되는 제1 홈(221a)이 형성된다. 회전체(30)를 회전시켜 제1 결속부재(220a)를 회전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부재(220a)는 제1 결속부재(220a)의 피구조물에 해당하는 제2 덧마루(200b)의 제2 피결속부(230b)에 결속될 수 있다.
제2 덧마루(200b)의 제2 피결속부(230b)는 제2 덧마루 본체(210b)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제2 덧마루 본체(210b) 측면 내부에 마련된 제2 수용홈(212b) 내에 배치되는 봉 형태로 제공되며, 제2 피결속부(230b)는 앞서 설명한 제1 결속부재(220a)의 제1 결속부(224a)의 회전축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체(30)와 함께 회동하는 제1 결속부재(220a)의 제1 결속부(224a)가 제2 피결속부(230b)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1 덧마루(200a)과 제2 덧마루(200b)의 상호 마주하는 측면이 이격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2 피결속부(230b)는 제2 덧마루 본체(210b)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2 피결속부(230b) 중심과 그 회전축은 상호 편심 또는 불일치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이 이에도 캠 형상과 같이 피결속부(230b)의 단면은 원형이 아닌 타원형 또는 다각형, 불규칙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피결속부(230b)가 회전하면, 제2 피결속부(230b)가 제1 결속부(224a)의 내측을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피결속부(230b)를 도 5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피결속부(230b)의 장경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1 결속부(224a)의 내측면을 도면상 우측을 향하여 밀어냄으로써, 제1 결속부재(220a)가 제2 피결속부(230b)에 단단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속력을 증가시키고 결속부재 및 피결속부 간의 분리를 막기 위해 피결속부의 내면에 약간 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제2 덧마루 본체(210b)에는 제2 피결속부(230b)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피결속부 노출홀(214b)을 형성하고, 피결속부 노출홀(214b)을 통해서 노출되는 제2 피결속부(230b)의 상단부에는 앞서 설명한 제1 홈(221a)과 같이, 회전체(30)의 단부에 끼워지는 제2 홈(231b)을 형성하고, 피결속부 노출홀(214b)을 통해 삽입되는 회전체(30)의 회전에 의해서 제2 피결속부(230b)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덧마루 간의 결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덧마루에 대한 구성요소들은 앞선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덧마루 본체(310a)에는 제1 수용홈(312a)이 형성되며, 제1 결속부재(320a)는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도록 제1 덧마루 본체(310a)에 장착된다. 제1 결속부재(320a)는 외부 인출 시에, 외부의 피구조물에 결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구조물은 제2 덧마루(300b)에 해당하며, 본 실시예에서 제2 덧마루(300b)에는 제1 결속부(324a)을 수용할 수 있는 홈 형태의 걸림부(340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하여 걸림부(340b)에 결속된 제1 결속부(324a)에 의해서, 제1 및 제2 덧마루 본체(310a, 310b)들은 서로 이격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덧마루 간의 결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덧마루에 대한 구성요소들은 앞선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덧마루 본체(410a)의 일면에는 제1 결속부재(420a) 및 제1 피결속부(43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덧마루 본체(410a)에 이웃하는 제2 덧마루 본체(410b)에는 제1 덧마루 본체(410a)의 제1 결속부재(420a) 및 제1 피결속부(430a)와 각각 결합되는 제2 피결속부(430b) 및 제2 결속부재(420b)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덧마루 본체(410a)의 나머지 측면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속부재(420a) 및 제1 피결속부(430b)가 마련되어, 제1 덧마루 본체(410a)의 나머지 3 방향의 측면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또 다른 덧마루들이 제1 덧마루 본체(41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a, 100b, 100c:제1 내지 제3 덧마루 110a:덧마루 본체
120a:제1 결속부재 121a:제1 홈
122a:제1 노출부 123a:제1 연장부
124a:제1 결속부

Claims (9)

  1. 덧마루 본체; 및
    상기 덧마루 본체의 측면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덧마루 본체에 장착되며, 외부로 인출 시에, 외부의 피구조물에 결속되는 결속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덧마루 본체의 반대 측면에는 상기 피구조물에 대응하는 피결속부가 제공되며, 이웃하는 다른 덧마루의 결속부재는 상기 피결속부에 결속되어 이웃하는 덧마루들을 상호 결속시키며,
    상기 피결속부는 상기 결속부재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피결속부는 상기 피결속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덧마루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결속부가 회전 시, 상기 결속부재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피결속부의 회전축이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마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덧마루 본체에는 상기 결속부재의 일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결속부재 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재 노출홀을 통해 삽입되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결속부재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마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결속부재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는 노출부, 상기 노출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단부에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피구조물과 결속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마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에는 상기 회전체의 단부가 끼워져 결속되는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마루.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덧마루 본체에는 상기 피결속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피결속부 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결속부 노출홀을 통해 삽입되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피결속부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마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덧마루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결속부재 및 상기 피구조물에 대응하는 피결속부가 제공되며,
    상기 일면에 위치한 상기 결속부재 및 상기 피결속부는 이웃하는 다른 덧마루의 피결속부 및 결속부재와 각각 결합되어 이웃하는 덧마루들을 상호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마루.
KR1020100045475A 2010-05-14 2010-05-14 덧마루 KR10100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75A KR101005520B1 (ko) 2010-05-14 2010-05-14 덧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75A KR101005520B1 (ko) 2010-05-14 2010-05-14 덧마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520B1 true KR101005520B1 (ko) 2011-01-04

Family

ID=4361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475A KR101005520B1 (ko) 2010-05-14 2010-05-14 덧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5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538B1 (ko) 2012-03-09 2013-12-06 신준수 바닥재 데크보드 구조물
KR101964712B1 (ko) * 2018-07-06 2019-04-02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콘형 클램프 기반 이동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964708B1 (ko) * 2018-07-06 2019-04-02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블라스팅 기반 이동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990580B1 (ko) * 2018-07-06 2019-06-19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디스펜서 기반 고정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990581B1 (ko) * 2018-07-06 2019-06-19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디스펜서 기반 이동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964710B1 (ko) * 2018-07-06 2019-08-07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원통형 클램프 기반 이동식 스풀제작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6211U (ko) * 1977-04-25 1978-11-17
JPH07317726A (ja) * 1994-05-30 1995-12-08 Sanyo Electric Co Ltd プレハブパネル用フック装置
JPH08303416A (ja) * 1995-05-09 1996-11-19 Sanyo Electric Co Ltd 結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6211U (ko) * 1977-04-25 1978-11-17
JPH07317726A (ja) * 1994-05-30 1995-12-08 Sanyo Electric Co Ltd プレハブパネル用フック装置
JPH08303416A (ja) * 1995-05-09 1996-11-19 Sanyo Electric Co Ltd 結合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538B1 (ko) 2012-03-09 2013-12-06 신준수 바닥재 데크보드 구조물
KR101964712B1 (ko) * 2018-07-06 2019-04-02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콘형 클램프 기반 이동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964708B1 (ko) * 2018-07-06 2019-04-02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블라스팅 기반 이동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990580B1 (ko) * 2018-07-06 2019-06-19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디스펜서 기반 고정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990581B1 (ko) * 2018-07-06 2019-06-19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디스펜서 기반 이동식 스풀제작시스템
KR101964710B1 (ko) * 2018-07-06 2019-08-07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원통형 클램프 기반 이동식 스풀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520B1 (ko) 덧마루
RU2465491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рамах дисплея
US8905812B2 (en) Toy block
US6554676B1 (en) Toy building set
KR101896635B1 (ko) 암타이 랙크 밴드
KR20120087453A (ko) 유니버설 캐스터
KR200451845Y1 (ko)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
AU2013206462A1 (en) Flail chain for use in debarking trees
JP2008107741A (ja) 携帯機器の外装筐体
KR102200125B1 (ko)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RU2688280C1 (ru) Конструктор моделей
KR200438242Y1 (ko) 건축용 복합부재
KR101746489B1 (ko) 조립식 기둥
KR200250961Y1 (ko) 앵커볼트용 로커
KR102524582B1 (ko) 내진장치
KR102727075B1 (ko) 누음을 최소화한 가설 방음판
KR200472857Y1 (ko) 램프소켓의 연결구조
KR20230002129U (ko) 조립용 완구 유닛
JP5986864B2 (ja) 衝立および衝立を複数用いて区画されるブース
JP3007325B2 (ja) 緊縛具
JP7287658B2 (ja) 床パネル
US20230191274A1 (en) Modularized toy building block assembly
KR200469001Y1 (ko) 터널용 세그먼트 연결구
KR200346228Y1 (ko) 가설 방음판
JP4249052B2 (ja) 柵用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