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140B1 - Wall for building block - Google Patents
Wall for building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3140B1 KR100993140B1 KR1020100003812A KR20100003812A KR100993140B1 KR 100993140 B1 KR100993140 B1 KR 100993140B1 KR 1020100003812 A KR1020100003812 A KR 1020100003812A KR 20100003812 A KR20100003812 A KR 20100003812A KR 100993140 B1 KR100993140 B1 KR 1009931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slot
- receiving space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 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 후방에 채움되는 토사에 매립되는 강성보강재, 연성보강재, 또는 띠보강재를 선택적으로 걸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도로변의 비탈면, 제방, 하안 및 아파트 단지 조경 벽면 등에는 토사가 전단되거나 외압에 의해 변형되어 토압을 이기지 못하고 변형 또는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된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고 있다.
In general, retaining walls are used on slopes, embankments, riverbanks, and landscaping walls of apartment complexes by using blocks made of stone or concrete to prevent soil from being sheared or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r collapse. It is building.
상기 블록들은 통상적으로 상층열과 하층열이 지그재그방식으로 서로 엇갈리게 축조되면서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밀려나는 뒷물림 축조방식으로 시공된다. 이렇게 적층된 블록 후방 경사면 사이에는 토사를 채움하게 되는데, 이 토사의 토압에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강성보강재, 연성보강재 또는 띠보강재를 블록에 연결한 상태에서 이들 보강재를 블록 후방에 채움되는 토사에 매립하게 된다. 따라서 축조되어 옹벽을 형성한 각각의 블록은 토사에 매립된 보강재에 고정되므로 후방에서 토압이 작용하여도 축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The blocks are typically constructed in a back stitching manner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rows are pushed back toward the top while being staggered in a zigzag manner. Soil is filled between the stacked rear slopes of the blocks. Soils filled with the stiffeners, soft stiffeners, or strip stiffeners are connected to the blocks so that the blocks are not pushed forward by the earth pressure. Landfill Therefore, each block that is constructed to form the retaining wall is fixed to the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soil, so that even if the earth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rear to maintain the built state firmly.
이와 같이 옹벽을 형성하는 종래 옹벽 축조용 블록은 강성보강재를 사용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된 것과 띠보강재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된 것으로 구분되어 있다. As such,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s for forming the retaining wall are divided into slots for fixing rigid reinforcing materials and slots for fastening band reinforcing materials.
그러므로, 강성보강재용 블록의 슬롯에 띠보강재를 연결하지 못하고, 또한 띠보강재용 블록의 슬롯에 강성보강재를 연결하지 못하므로 이들은 서로 호환이 불가능하여 사용상의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connect the strip reinforcement to the slot of the block for rigid reinforcement, and also cannot connect the rigid reinforcement to the slot of the block for strip reinforcement, so that they are not 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in use.
예컨대, 옹벽축조 장소의 환경 조건에 따라 한 장소에서 강성보강재용 블록과 띠보강재용 블록을 모두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2가지 블록과 강성보강재 및 띠보강재 모두 준비해야 하므로 이들의 준비과정이 번거롭고, 또한 옹벽 축조과정에서 강성보강재 사용 블록과 띠보강재 사용 블록의 조립위치에 해당 블록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축조해야 하므로 축조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For example, if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using both the rigid reinforcement block and the strip reinforcement block in one plac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ite, the two blocks and the rigid reinforcement and the strip reinforcement should be prepared. The preparation process was cumbersome, and the building process was complicated because the building blocks must be precisely positioned a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rigid reinforcement block and the band reinforcement block i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process.
이에 본 발명은 하나의 블록에 강성보강재, 연성보강재, 또는 띠보강재를 모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옹벽 축조용 블록 구조를 개선하여, 이들 보강재를 같이 또는 선택하여 적어도 1개 이상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structure so that the rigid reinforcement, the flexible reinforcement, or the strip reinforcement can be connected to one block to be used, and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to use at least one of these reinforcements together or selected. In providing a bloc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옹벽 축조용 블록은,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이 관통되고, 양단부에 이웃하는 블록과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끼워맞춤부가 형성되는 본체;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so that the receiving space penetrates inside the body, and can be assembled with the block adjacent to both ends;
강성보강재를 걸어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몸체 후방에 형성되는 제1슬롯; A first slot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so as to receive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rigid reinforcement;
띠보강재를 걸어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수용공간 양측에 형성되는 제2슬롯; 및A second slot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receive the band reinforcing material; And
몸체 상면 양단부에 돌출되는 전단키;를 포함하며,Shear keys protruding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여기서, 상기 전단키는 상면에 적층되는 블록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Here, the shear key is formed in a position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lock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로는,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이 관통되고, 양단부에 이웃하는 블록과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끼워맞춤부가 형성되는 본체;Another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itting portion formed therein so that a receiving space penetrates inside the body and can be assembled with the neighboring blocks at both ends;
강성보강재를 걸어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몸체 후방에 형성되는 제1슬롯; A first slot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so as to receive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rigid reinforcement;
띠보강재를 걸어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수용공간 양측에 형성되는 제2슬롯;A second slot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receive the band reinforcing material;
몸체 상면 양단부에 돌출되는 전단키; 및Shear keys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몸체 상면 중앙부분에 돌출되어 옹벽 축조시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저면를 받침지지하여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하중이 중앙부분에 집중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block stacked on the retaining wall when the wall is constructed so that the load of the block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여기서, 상기 전단키는 상면에 적층되는 블록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hear key is formed in a position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lock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에 연성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블록 상면에 연성보강재를 위치한 상태에서 그 연성보강재 상부에 블록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옹벽을 축조하고 각 블록 사이에 위치한 상기 연성보강재는 옹벽 후방에 채움되는 토사로 매립하는 방법으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flexible reinforcement is used for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blocks on the flexible reinforcement in the state where the flexible reinforcement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and between each block. The flexible reinforcement located can build the retaining wall by embedding it with earth and sand filled behind the retaining wall.
본 발명의 블록에 강성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적층식으로 축조되는 각각의 블록의 제1슬롯에 연결부재를 끼운 상태에서 이 연결부재의 걸고리에 강성보강재를 걸어 고정하고, 상기 강성보강재는 옹벽 후방에 채움되는 토사로 매립하는 방법으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When the rigid reinforcement is used in th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 reinforcement is fixed to the hook of the connecting member while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ot of each block that is constructed in a stacked manner, and the rigid reinforcing material is located behind the retaining wall. Retaining walls can be constructed by landfilling with filled soil.
또한, 본 발명의 블록에 띠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적층식으로 축조되는 각각의 블록의 제2슬롯에 띠보강재를 끼운 상태에서 띠보강재 블록 후방으로 인출시킨 후 경사면에 고정한 다음 옹벽 후방에 채움되는 토사로 띠보강재를 매립하는 방법으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strip stiffener in th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stiffener is drawn to the rear of the strip stiffener block in the state in which the strip stiffen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ot of each block to be laminated,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and then filled in the retaining wall behind Retaining walls can be constructed by embedding strip stiffeners.
여기서, 상기 연성보강재, 강성보강재 및 띠보강재 모두를 본 발명의 블록 하나에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이들 3개의 보강재 중 2개 또는 1개를 블록에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In this case, all of the flexible reinforcement, the rigid reinforcement and the band reinforcement may be used in on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wo or one of these three reinforcements may be selectively used in the block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록은 3개의 보강재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호환성을 담보할 수 있어 옹벽을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erefore, th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nsure compatibility because the three reinforcement can be used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so that the retaining wall can be easily and firmly constru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적층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적층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상부에 연성보강재가 놓여진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이 연성보강재를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옹벽 축조용 블록과 강성보강재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에 강성보재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이 강성보강재를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원내부를 확대한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에 띠보강재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원내부를 확대하여 띠보강재가 블록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aminated state block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laminated state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state where the flexible reinforcing material is placed o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ccording to the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 retaining wall using a flexible reinforcement material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eparating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nd the rigid rei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igid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 retaining wall using a rigid reinforcement material
10 is an enlarged detailed view of the inner part of FIG.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nd reinforcing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rip reinforcing material is fixed to a block by enlarging the inner portion of FIG. 1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1)은, 본체(2), 본체(2) 후방에 형성되는 제1슬롯(3), 상기 제1슬롯(3) 양측에 형성되는 제2슬롯(4), 상기 본체(2) 상면 양측에 돌출되는 전단키(5)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retaining
또한, 본 발명은 본체(2) 상면 중앙부분에 돌출되어 옹벽 축조시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1)의 저면를 받침지지하여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1)의 하중이 중앙부분에 집중되도록 하는 돌출부(6);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j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본체(2)는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부피를 가지고 있으며,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1)이 하부에 위치한 블록(1)의 전단키(5)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7)이 관통되고, 양단부에 이웃하는 블록(1)과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끼워맞춤부(8)가 형성된다.The
상기 수용공간(7)은 본체(2)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수용공간(7)과 대응되는 하부에 적층된 블록(1)의 전단키(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저면이 일정한 홈형태로 삽입되게 형성하고, 상부는 강성보강재(10) 및 띠보강재(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형태로 삽입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The
상기 본체(2)의 끼워맞춤부(8)는 이웃하는 블록(1)들이 서로 끼워맞춤되어 옹벽을 형성한 상태에서 임의대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끼워맞춤부(8)는 도 1 내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의 양측면 각각에 밀접하게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형상으로 내측면(8a)과 외측면(8b)이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경사면(8c)이 형성된다.The
상기 끼워맞춤부(8)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외에도 여러 가지 형상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슬롯(3)은 강성보강재(10)를 걸어 연결하기 위한 도 7의 연결부재(12)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7)과 연통되게 몸체 후방 중앙부분에 형성된다. 연결부재(12)가 제1슬롯(3)에 끼워지면 블록(1)에서 빠지지 않기 때문에 블록(1)과 강성보강재(10)를 연결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상기 강성보강재(10)는 공지의 기술로서, 연결부재(12)의 걸고리(12a)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멍에 형성되어 있고, 옹벽 축조시 옹벽 후방에 채움되는 토사에 매립된다. 따라서 옹벽 후방에 채움되는 토사의 토압이 옹벽에 작용하더라도 토사에 매립된 강성보강재(10)가 블록(1)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블록(1)은 축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Here, the rigid reinforcing
상기 제2슬롯(4)은 띠보강재(11)를 걸어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7)과 연통되게 수용공간(7) 양측, 즉 제1슬롯(3) 양측에 형성된다.
The
상기 전단키(5)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블록(1)에 돌출된 전단키(5)가 상부에 축조되는 블록(1)의 수용공간(7)에 삽입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게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하부 블록(1)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하면서 상부 블록(1)이 하부 블록(1)보다 약간 후방으로 밀려나게 하는 뒷물림식으로 옹벽을 축조할 때 상부 블록(1)의 뒷물림 조립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부 블록(1)의 전단키(5) 측면과 수용공간(7)의 측면이 맞닿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As shown in FIG. 4, the
한편, 본 발명의 블록(1)은 본체(2) 상면에 돌출부(6)가 더 형성되는데, 이 돌출부(6)는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1)의 중량이 하중에 취약한 본체(2) 양단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옹벽이 축조된 상태에서 본체(2)의 양단부에 파손되어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체(2)의 상면 중앙부분이 양측면보다 더 높기 때문에 두꺼워 그 위에 적층되는 블록(1)이 두꺼운 중앙부분에 놓이게 되므로 측면 부분은 상부 블록(1)이 닿지 않아 하중을 적게 받아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돌출부(6)는 양측 전단키(5) 내측 부분에 돌출되는데, 전방 중앙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이음되게 돌출되게 하였다.
The protruding
또한, 본 발명의 본체(2)의 전방은 모르타르를 뿌려 표면을 불규칙하게 형성하여 외적 미감을 갖게 하고, 상기 전방 양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반기둥형상을 갖는 곡면(1a)이 연속되게 하여 독창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게 하였고, 제1슬롯(3)과 인접된 상면 양측에는 돌출부(6)와 같은 높이의 지지편(9)을 더 구비하였다.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블록(1)은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망사형 연성보강재(13)를 각 층의 블록(1) 상부에 놓은 상태에서 그 상부에 상부 블록(1)을 적층하는 방법은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각 층의 연성보강재(13)는 순차적으로 채움 토사에 매립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
In the
한편, 본 발명의 블록(1)은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강성보강재(10)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되는데, 적층된 각 층의 블록(1)의 제1슬롯(3)에 연결부재(12)를 끼움 고정한 상태에서 연결부재(12)의 걸고리(12a)에 강성보강재(10)를 걸어 고정하고, 상기 강성보강재(10)는 순차적으로 채움 토사에 매립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한편, 본 발명의 블록(1)은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적측된 각 층의 블록(1)의 제2슬롯(4)에 띠보강재(11)를 끼운 상태에서 블록(1) 후방으로 연장된 띠보강재(11)를 채움 토사에 매립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 Meanwhile, the
옹벽 축조용으로 유용하므로 해당분야에서 이용가능성이 아주 높다.
It is very useful in the field because it is useful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1 : 블록 2 : 본체
3: 제1슬롯 4 : 제2슬롯
5 : 전단키 6 : 돌출부
8 : 끼워맞춤부1: block 2: body
3: slot 1 4:
5: shear key 6: protrusion
8: fitting part
Claims (4)
강성보강재를 걸어 연결하는 걸고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몸체 후방에 형성되는 제1슬롯;
띠보강재를 걸어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수용공간 양측에 형성되는 제2슬롯;
몸체 상면 양단부에 돌출되는 전단키; 및
몸체 상면 중앙부분에 돌출되어 옹벽 축조시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저면를 받침지지하여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하중이 중앙부분에 집중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단키는 상면에 적층되는 블록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양측 전단키 내측 부분에 돌출되는데, 전방 중앙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이음되게 돌출되며;
상기 제1슬롯 상면 양측에 지지편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A main body having a fitting portion formed therein so that the receiving space penetrates inside the body and can be assembled with the blocks adjacent to both ends;
A first slot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to accommodate a hook connecting the rigid reinforcement;
A second slot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receive the band reinforcing material;
Shear keys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block stacked on the retaining wall when the wall is constructed so that the load of the block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Here, the shear key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lock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The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portions of both shear keys, and protrude rearwardly from the front center both ends;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iece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o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3812A KR100993140B1 (en) | 2010-01-15 | 2010-01-15 | Wall for building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3812A KR100993140B1 (en) | 2010-01-15 | 2010-01-15 | Wall for building b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3140B1 true KR100993140B1 (en) | 2010-11-09 |
Family
ID=4340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3812A KR100993140B1 (en) | 2010-01-15 | 2010-01-15 | Wall for building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314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8019A (en) * | 2019-10-22 | 2021-05-03 | 주식회사 봉견 | Retaining wall connection structure with grid with increased binding for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7873Y1 (en) * | 2005-07-04 | 2005-10-10 | 이정수 | A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
KR100654625B1 (en) * | 2004-11-22 | 2006-12-08 | 이정수 | Concrete block for wall |
KR100665022B1 (en) * | 2006-01-19 | 2007-01-04 | 최영근 | The breast wall-block and connecting instrument |
-
2010
- 2010-01-15 KR KR1020100003812A patent/KR10099314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4625B1 (en) * | 2004-11-22 | 2006-12-08 | 이정수 | Concrete block for wall |
KR200397873Y1 (en) * | 2005-07-04 | 2005-10-10 | 이정수 | A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
KR100665022B1 (en) * | 2006-01-19 | 2007-01-04 | 최영근 | The breast wall-block and connecting instrumen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8019A (en) * | 2019-10-22 | 2021-05-03 | 주식회사 봉견 | Retaining wall connection structure with grid with increased binding force |
KR102316590B1 (en) | 2019-10-22 | 2021-10-25 | 주식회사 봉견 | Retaining wall connection structure with grid with increased binding for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65289B2 (en) |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 |
KR101652163B1 (en) | Concrerte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20190022240A (en) | block for construct retaining wall | |
US10889980B2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 multi-stage block wall | |
KR101397432B1 (en) | Panel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
KR102135594B1 (en) | Retaining Wall Block System | |
KR100993140B1 (en) | Wall for building block | |
KR101077348B1 (en)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998502B1 (en) | Gravity type precast retaining wall for having shear key and steel pile | |
KR200307195Y1 (en) | Retaining wall block having self-supported structure | |
KR101005352B1 (en) | Retaining wall using geogrid | |
CN111511992A (en) | Thin and stable segmented wall block and soil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 |
KR101148228B1 (en) | Mounting structure of stronggrided for Revetment-block | |
JP2008261218A (en) | Masonry tool for stacking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
US20090110491A1 (en) |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 |
KR100574830B1 (en) | A block for revetment and assembly and revetment construction method | |
KR102062534B1 (en) | Structure for grid join | |
KR101527703B1 (en) | Revetment Block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KR102399378B1 (en) | Stone wall structure for artificial hill | |
KR200308702Y1 (en) | Block having many function for breast wall | |
KR101089661B1 (en) | Block for breast wall construction | |
JP2002220834A (en) | Reinforced earth structure and reinforced earth block | |
KR200433699Y1 (en) | A Retaining Wall | |
KR101647089B1 (en) | Breast wall block | |
KR102112678B1 (en) | Retaining wall with connected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