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801B1 - Wooden structure have a clearance prevention meterial - Google Patents
Wooden structure have a clearance prevention meteri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0801B1 KR100990801B1 KR1020100068696A KR20100068696A KR100990801B1 KR 100990801 B1 KR100990801 B1 KR 100990801B1 KR 1020100068696 A KR1020100068696 A KR 1020100068696A KR 20100068696 A KR20100068696 A KR 20100068696A KR 100990801 B1 KR100990801 B1 KR 1009908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rail
- insertion groove
- pillar
- wood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은, 교각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강재 바닥수평보와; 목재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수평보 상부에 제1조임볼트 및 제1조임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되, 제1조임너트와 바닥수평보 사이에 제1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바닥부재와;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에 난간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되, 난간보삽입홈의 외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면 형상의 제1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난간기둥과;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 끝단이 상기 난간기둥의 난간보삽입홈에 삽입되어 난간기둥 사이를 연결하되, 단면 상으로 난간보삽입홈과 0.5 ~ 2 mm의 간격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난간보와; 일측면이 난간보삽입홈 끝단에 밀착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부와, 밀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밀착부와 함께 주머니 형상을 취하며, 외주면에 다수 개의 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난간보삽입홈과 난간보 사이의 간격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둘레부와, 둘레부의 타측 끝단에 단면 형상이 제1테이퍼부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둘레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2테이퍼부와, 제2테이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난간보삽입홈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로 구성되어 난간보의 일측 끝단을 감싼 채 난간보삽입홈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유격방지부재와; 상기 바닥수평보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수직강판과, 상기 난간기둥과 수직강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끝단에 제2조임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제2조임볼트와, 제2조임너트와 수직강판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스프링으로 구성된 기둥유격방지장치와; 상기 교각 상부에 저면이 고정되어 있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바닥수평보의 하부에 상면이 고정되어 있는 상부브라켓과,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을 관통하여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일측면에 키홈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과, 상기 하부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되, 하부가 상기 키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키플레이트로 구성된 교좌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하중 및 충격에 의한 교량의 진동에 대한 교량의 손상을 방지하고, 난간기둥의 건조 수축에 의한 난간기둥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난간보의 건조 수축에 의한 난간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en structure provided with a play prevention member.
Wood structure provided with a play preven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bottom horizontal beam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ier; A bottom member made of wood and fixed by a first tightening bolt and a first tightening nut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horizontal beam, wherein a first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tightening nut and the bottom horizontal beam; It is made of wood, it is installed vertic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top of the bottom member, the balustrade insert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 first taper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shape inclined in the outer edge of the balustrade insert groove is formed A handrail column; Handrails made of wood,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of the handrail pillar and connected between the handrail pillar, the handrail beam is configured to have a gap between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and 0.5 to 2 mm in cross section;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and is formed in a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part,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ose contact part to take the shape of a pocket with the close contact part, and a plurality of annular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eriphery having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gap between the groove and the handrail beam, a second taper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periphery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at the other end of the perimeter has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taper portion, and the second taper portion And a play prevention member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a hook port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handrail inserting groove and to be inserted into the handrail inserting groove while wrapping one end of the handrail beam; A vertical steel plate having an upper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bottom horizontal beam, a second tightening bolt installed through the railing column and a vertical steel plate and fixed by a second tightening nut at both ends, and a second tightening nut and a vertical steel plate. A pillar clearance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 second spring disposed between the pillar clearance prevention devices; The lower bracket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the upper bracket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horizontal beam, and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through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It consists of a rotating shaft is formed in the key groove and a key plate is instal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bracket, the lower plate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idge from being damaged by the vibration of the bridge due to the load and impact,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balustrade column due to the dry shrinkage of the balustrade column, and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balustrade beam due to the dry shrinkage of the balustrade beam. You can do 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수평보, 바닥부재, 난간기둥, 난간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재 교량, 목재 데크와 같은 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재의 수축으로 인한 유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en structure, such as wooden bridges, wooden decks, including floor horizontal beams, floor members, handrail pillars, handrail beams, and the like, in particular, a play preventing member is provided to prevent play caused by contraction of wood. It relates to a provided wood structure.
일반적으로 목재 교량이나 목재 데크는 교각 위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 바닥수평보 위에 설치되는 목재 바닥부재, 바닥부재 위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는 난간기둥 및 난간기둥을 연결하는 난간보로 구성된다.Generally, wooden bridges or wooden decks are composed of floor horizontal beams mounted on bridge piers, wooden floor members installed on floor horizontal beams, handrail pillars that are installe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floor members, and handrail beams connecting rail columns. .
이중에서 바닥수평보의 경우 H빔이나 I빔과 같은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부재들은 목재로 구성된다.Among them, in the case of floor horizontal beams, metal members such as H beams and I beams are formed, and the remaining members are made of wood.
그런데, 이처럼 바닥수평보를 제외한 바닥부재, 난간기둥, 난간보의 경우 목재로 이루어진 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서 건조되면서 수축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floor member, railing pillar, railing beams except for the floor horizontal beam made of wood, shrinkage occurs as the drying time elapses.
이처럼 수축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뒤틀리거나 연결부위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은 물론, 유격 발생으로 인해 연결부위에 수분 침투 등의 현상이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면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When shrinkage deformation occurs, the gap between the twisted part or the joint is generated, the shaking occurs, and the user's safety accident is caused. This falling problem occurs.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 목구조물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목재 수축으로 인한 유격 방지 구조를 갖는 목구조물의 시공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721666호), "목재교의 교좌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7172호) 등의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in the conventional woo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the wooden structure having a play prevention structure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wood"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721666), "stool device of wood bridge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67172) and the like has been applied for and registered.
전자의 기술은 난간기둥과 바닥수평보간의 결합 부위에서 난간기둥의 수축 변형으로 인해 유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흔들림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닥수평보와 난간기둥 사이에 금속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금속 플레이트와 난간기둥을 서로 연결하면서 그 사이에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판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난간기둥의 흔들림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였다.The former technique uses a metal plate between the bottom horizontal beam and the railing column to eliminate the occurrence of play due to the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railing column at the joint between the railing column and the floor horizontal beam, and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shaking. And installing a plate spring between the metal plate and the railing column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railing column as much as possible by us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plate spring.
또, 후자의 기술은 바닥수평보와 교각 사이에 교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면서 힌지축의 중앙 부위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설치 및 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latter technology extends the service life by eliminating the phenomenon of sagging of the central part of the hinge shaft while absorbing the load and impact applied to the bridge by installing a bridge device between the floor horizontal beam and the bridge. The work was made easy.
상기와 같은 기술들을 개발하여 현장에 시공하게 되면서 목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안정성 문제 및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었다.The development of the above techniques and construction in the field has greatly improved the stability problems and durability generated in the wooden structure.
그런데, 전자의 경우와 같이 난간기둥의 흔들림은 방지되었으나, 난간기둥간을 연결하는 목재 난간보에서 건조 수축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난간기둥보가 여전히 흔들려 사용자들로 하여금 불안감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shaking of the railing pillars was prevented, but when the drying shrinkage phenomenon occurred in the wooden railings connecting the railing pillars, the railing pillars were still shaken to provide users with anxiety.
더욱이, 최근의 난간보와 난간기둥의 연결 방식은 난간기둥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난간보 끝단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난간보에 건조 수축이 발생하면서 난간보와 난간기둥 사이 공간이 커지고, 이로 인해 공기 및 빗물이 유입되면서 난간기둥에 형성된 홈을 통해 난간기둥의 부식이 발생하여 난간기둥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recent connection method of handrails and handrail pillars is formed by forming a groove in the handrail pillar and inserting the end of the handrail beam into the groove, and as the dry shrinkage occurs in the handrail beam, between the handrail beam and the handrail pillar. As the space is increased, air and rainwater are introduced, thereby causing corrosion of the railing pillars through grooves formed in the railing pillars, thereby lowering the durability of the railing pillars.
즉, 상기와 같은 기술들을 목구조물에 부분적으로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목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일부 부분은 여전히 건조 수축에 의한 유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내구성 저하 현상 역시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실정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at is, even though the above techniques have been partially applied to the wooden structure, some parts of the wooden structure still have the play caused by the shrinkage of the dry shrinkage, and thus, the shaking phenomenon occurs. Also, the situation is not completely solved, there is a need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의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목구조물 난간보의 건조 수축에 의해 난간보와 난간기둥과의 연결 부위에 유격이 발생하여 난간보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Wood structure provided with the play preven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the dry shrinkage of the wood structure railing beams and the play occurs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handrail beam and the handrail pillar This is to prevent the railing from shaking.
구체적으로, 난간기둥에 난간보삽입홈을 형성하고, 난간보삽입홈 끝단 모서리에 경사진 제1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유격방지부재는 난간보삽입홈 끝단에 밀착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부와, 밀착부와 연결된 둘레부, 제1테이퍼부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제2테이퍼부 및 걸림부로 구성하여, 난간보의 끝부분에 유격방지부재를 씌운 다음 난간보삽입홈에 끼워 설치하여, 난간보의 건조 수축이 발생하면서 난간보와 난간보삽입홈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때, 난간보의 길이방향으로는 유격방지부재의 신축성에 의해 유격방지부재가 난간보를 중앙 측으로 끌어당겨 난간보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려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railing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railing column, the tapered first taper part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end of the railing insertion groove, and the play prevention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railing insertion groove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consists of a circumferential part connected to the close contact part, a second taper part having a same inclination angle as that of the first taper part, and a locking part. When there is play between the balustrade and the balustrade insert groove while drying shrinkage occurs, the play prevention member pulls the balustrade toward the center by the elasticity of the play prevention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ustrade to prevent the banister from shaking. will be.
이때, 난간보의 건조 수축에 의해 난간보와 난간보삽입홈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난간보삽입홈과 걸림부가 만나는 모서리에서 걸림부가 걸려 이동이 제한되면서 제1테이퍼부와 제2테이퍼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격을 통해 빗물이나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되어 난간기둥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At this time, even if a play occurs between the handrail beam and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due to dry shrinkage of the handrail beam, the first taper part and the second taper part ar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locking part being restricted at the corner where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meets the locking part. As it maintains the con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rainwater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play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railing pillar can be maintained.
더욱이, 난간보의 경우 목구조물 전체에 다량 설치되는 점을 감안하여 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의 일체로 된 유격방지부재를 간단히 난간보의 끝단에 끼우는 작업을 통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유격방지부재의 시공성이 우수한 목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handrail beam, the construction of the play prevention member is made by simply installing the one-piece gap prevention member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having elasticit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is installed in the entire wooden structure in a large amount. It is to provide this excellent wood structure.
또, 저렴한 비용으로 다량 생산이 가능한 신축성 재질로 된 유격방지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유격 방지 기능을 갖추기 위한 시공비의 증가를 최소하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a play prevention memb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t low cost, it is intended to minimize the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to have a play prevention function.
또, 유격방지부재의 걸림부를 감싸도록 커버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설치 과정에서 유격방지부재가의 걸림부가 난간보삽입홈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cover member to surrou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learance preventing member is to prevent the locking portion of the clearance preventing member is sucked into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in the installation process.
또한, 제2테이퍼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난간보의 건조 수축에 의해 발생된 유격에 의해 난간보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anti-rotation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balustrade beam is lost by the play caused by the dry shrinkage of the balustrade beam.
결국, 본 발명은 목구조물에서 바닥부재의 건조 수축, 난간기둥의 건조 수축, 난간보의 건조 수축에 대해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수축 발생시 흔들림을 모두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목구조물 전체적으로 건조 수축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After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all the shaking during the shrinkage of each component to dry shrinkage of the bottom member, dry shrinkage of the handrail pillar, dry shrinkage of the balustrade beams in the wooden structure by shaking the dry contraction of the entire wooden structure To minimize it.
본 발명의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위하여, 교각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강재 바닥수평보와; 목재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수평보 상부에 조임볼트 및 조임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되, 조임너트와 바닥수평보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바닥부재와;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에 난간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되, 난간보삽입홈의 외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면 형상의 제1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난간기둥과;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 끝단이 상기 난간기둥의 난간보삽입홈에 삽입되어 난간기둥 사이를 연결하되, 단면 상으로 난간보삽입홈과 0.5 ~ 2 mm의 간격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난간보와; 일측면이 난간보삽입홈 끝단에 밀착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부와, 밀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밀착부와 함께 주머니 형상을 취하며, 외주면에 다수 개의 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난간보삽입홈과 난간보 사이의 간격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둘레부와, 둘레부의 타측 끝단에 단면 형상이 제1테이퍼부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둘레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2테이퍼부와, 제2테이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난간보삽입홈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로 구성되어 난간보의 일측 끝단을 감싼 채 난간보삽입홈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유격방지부재와; 상기 바닥수평보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수직강판과, 상기 난간기둥과 수직강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끝단에 조임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조임볼트와, 조임너트와 수직강판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기둥유격방지장치와; 상기 교각 상부에 저면이 고정되어 있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바닥수평보의 하부에 상면이 고정되어 있는 상부브라켓과,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을 관통하여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일측면에 키홈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과, 상기 하부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되, 하부가 상기 키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키플레이트로 구성된 교좌장치;로 구성된다.Wood structure provided with a clearance preven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teel floor horizontal beam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piers; A bottom member which is made of wood and is fixed by a tightening bolt and a fastening nut on the bottom horizontal beam, and a coil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fastening nut and the bottom horizontal beam; It is made of wood, it is installed vertic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top of the bottom member, the balustrade insert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 first taper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shape inclined in the outer edge of the balustrade insert groove is formed A handrail column; Handrails made of wood,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of the handrail pillar and connected between the handrail pillar, the handrail beam is configured to have a gap between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and 0.5 to 2 mm in cross section;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and is formed in a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part,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ose contact part to take the shape of a pocket with the close contact part, and a plurality of annular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eriphery having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gap between the groove and the handrail beam, a second taper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periphery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at the other end of the perimeter has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taper portion, and the second taper portion And a play prevention member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a hook port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handrail inserting groove and to be inserted into the handrail inserting groove while wrapping one end of the handrail beam; A vertical steel plate having an upper and lower end fixed to the bottom horizontal beam, a bolt installed through the railing column and the vertical steel plate and fixed by a tightening nut at both ends, and a coil installed between the tightening nut and the vertical steel plate. A pillar clearance prevention device composed of a spring; The lower bracket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the upper bracket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horizontal beam, and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through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And a rotating shaft having a key groove formed thereon and a key device instal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bracket and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이때,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으로 상기 유격방지부재의 걸림부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metal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member further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play prevention member inward.
또, 상기 커버부재는 걸림부를 감싸는 반대편 외측이 일측으로 절곡된 채 난간기둥에 박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surrounding the lock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handrail pillar bent to one side.
또한, 제2테이퍼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taper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더불어, 상기 난간기둥의 제1테이퍼부에 회전방지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groove of the handrail pill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해, 목구조물 난간보의 건조 수축에 의해 난간보와 난간기둥과의 연결 부위에 유격이 발생하여 난간보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handrail beam and the handrail pillar caused by dry shrinkage of the wooden handrail beam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구체적으로, 난간기둥에 난간보삽입홈을 형성하고, 난간보삽입홈 끝단 모서리에 경사진 제1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유격방지부재는 난간보삽입홈 끝단에 밀착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부와, 밀착부와 연결된 둘레부, 제1테이퍼부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제2테이퍼부 및 걸림부로 구성하여, 난간보의 끝부분에 유격방지부재를 씌운 다음 난간보삽입홈에 끼워 설치하여, 난간보의 건조 수축이 발생하면서 난간보와 난간보삽입홈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때, 난간보의 길이방향으로는 유격방지부재의 신축성에 의해 유격방지부재가 난간보를 중앙 측으로 끌어당겨 난간보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ailing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railing column, the tapered first taper part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end of the railing insertion groove, and the play prevention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railing insertion groove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consists of a circumferential part connected to the close contact part, a second taper part having a same inclination angle as that of the first taper part, and a locking part. When there is play between the balustrade and the balustrade insert groove while drying shrinkage occurs, the play prevention member pulls the balustrade toward the center by the elasticity of the play prevention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ustrade to prevent the balustrade from shaking. Can be.
이때, 난간보의 건조 수축에 의해 난간보와 난간보삽입홈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난간보삽입홈과 걸림부가 만나는 모서리에서 걸림부가 걸려 이동이 제한되면서 제1테이퍼부와 제2테이퍼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격을 통해 빗물이나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되어 난간기둥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even if a play occurs between the handrail beam and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due to dry shrinkage of the handrail beam, the first taper part and the second taper part ar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locking part being restricted at the corner where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meets the locking part. Since the state is maintained, rainwater and moisture do not penetrate through the play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railing pillar can be maintained.
더욱이, 난간보의 경우 목구조물 전체에 다량 설치되는 점을 감안하여 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의 일체로 된 유격방지부재를 간단히 난간보의 끝단에 끼우는 작업을 통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유격방지부재의 시공성이 우수한 목구조물이 제공된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handrail beam, the construction of the play prevention member is made by simply installing the one-piece gap prevention member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having elasticit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is installed in the entire wooden structure in a large amount. This excellent wood structure is provided.
또, 저렴한 비용으로 다량 생산이 가능한 신축성 재질로 된 유격방지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유격 방지 기능을 갖추기 위한 시공비의 증가가 최소화된다.In addition, by using a play prevention member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that can b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t low cost, the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to have a play prevention function is minimized.
또, 유격방지부재의 걸림부를 감싸도록 커버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설치 과정에서 유격방지부재가의 걸림부가 난간보삽입홈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cover member to surrou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learance preven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learance preventing member from being sucked into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또한, 제2테이퍼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난간보의 건조 수축에 의해 발생된 유격에 의해 난간보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anti-rotation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balustrade beams run out due to play caused by dry shrinkage of the balustrade beams.
결국, 본 발명은 목구조물에서 바닥부재의 건조 수축, 난간기둥의 건조 수축, 난간보의 건조 수축에 대해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수축 발생시 흔들림을 모두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목구조물 전체적으로 건조 수축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fter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all the shaking during the shrinkage of each component to dry shrinkage of the bottom member, dry shrinkage of the handrail pillar, dry shrinkage of the balustrade beams in the wooden structure by shaking the dry contraction of the entire wooden structure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 주요 연결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서 유격방지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단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서 유격방지부재에 회전방지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에서 유격방지부재에 커버부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부분절단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에서 유격방지부재의 걸림부 형상을 달리 한 예를 나타낸 부분절단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최초 목구조물 설치시 유격방지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난간보의 건조 수축이 발생시 유격방지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기둥유격방지부재의 구성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교좌장치의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wood structure provided with a play preven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nection portion of the wood structure provided with a play preven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lay prevention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nti-rotation portion formed in the play prevention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c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installed in the play prevention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d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different shape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play prevention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play prevention member when the first wooden structure install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play prevention member when the dry shrinkage of the handrail beam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illar clearance prevention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eaching apparatus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wood structure provided with the play preven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유격방지부재(500)가 구비된 목구조물은 목재 교량이나 목재 데크와 같은 구조물을 말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 위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100), 바닥수평보(100) 위에 설치되는 목재 바닥부재(200), 바닥부재(200) 위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는 난간기둥(300) 및 난간기둥(300)을 연결하는 난간보(400)가 기본 구성 요소로 포함된다.Wood structure provided with a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닥수평보(100)는 일반적으로 목구조물의 바닥 보 용도로 사용되는 H빔이나, I빔, 또는 각관이나 잔넬과 같은 강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각(10)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loor
바닥부재(20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수평보(100) 상부에 고정되어 바닥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도 6에는 바닥부재(200)가 제1조임볼트(210)와 제1조임너트(211)에 의해 바닥수평보(100)와 고정됨으로써 바닥부재(200)가 바닥수평보(100)에 고정됨을 알 수 있다.6, the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임너트(211)와 바닥부재(200)의 저면 사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프링(212)이 설치되어 바닥부재(200)의 건조 수축에 의해 바닥부재(200)의 흔들림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제1스프링(2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 난간기둥(300)은 바닥부재(200)와 마찬가지로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20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난간기둥(300)은 평면도 상으로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이러한 난간기둥(300)의 양측에는 난간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난간보(400)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난간보삽입홈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 끝단 모서리에 경사진 단면 형상의 제1테이퍼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본 발명에서 난간보(400) 역시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끝단이 난간기둥(300)의 난간보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난간보(400)는 난간기둥(3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이때, 난간보(400)의 크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유격방지부재(500)가 삽입 가능하도록 단면 상에서 봤을 때 난간보삽입홈과 0.5 ~ 2 mm의 간격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본 발명에서 유격방지부재(500)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510), 둘레부(520), 제2테이퍼부(530) 및 걸림부(540)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유격방지부재(500)는 밀착부(510), 둘레부(520), 제2테이퍼부(530) 및 걸림부(540)가 모두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재질은 고무와 같은 신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The
밀착부(510)는 조립된 상태에서 난간보삽입홈 끝단에 밀착되는 부분인데, 도 3a와 같이 중앙에 통기홀(511)을 형성하여 난간기둥(300)과 난간보(400) 사이의 공기가 서로 소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둘레부(5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5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밀착부(510)와 함께 'ㄷ' 형 단면 구조를 갖는 주머니 형상을 취한다.The
둘레부(520)의 길이는 난간보삽입홈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유격방지부재(500)가 난간보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신축성에 의한 탄성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ength of the
둘레부(520)의 두께는 난간보삽입홈과 난간보(400) 사이의 간격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설치 과정에서 걸림부(540)를 기준으로 길이가 늘어나면서 두께가 얇아지고, 난간보삽입홈과 난간보(400) 사이의 틈에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이러한 둘레부(520)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환형 돌기(5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환형 돌기(521)는 신축성을 갖는 부재 특성에 의해 난간보삽입홈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눌려 들어가게 되며, 이탈하려는 힘에 대해 저항을 발휘하게 된다.A plurality of
제2테이퍼부(530)는 둘레부(52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단면 형상이 난간보삽입홈의 제1테이퍼부(310)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는, 난간보(400)의 건조 수축이 발생할 때 제1테이퍼부(310)와 제2테이퍼부(530)가 서로 최대한 밀착을 유지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 gap by keeping the
걸림부(5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테이퍼부(5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난간보삽입홈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되어 있다.The locking
그 형상은 도 3a, 도 3d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510) 측으로 당기는 힘에 대해 빨려들어가지 않고 지탱할 수 있을 정도가 되도록 돌출되어 제2테이퍼부(530)에 비해 더 크거나 날카로운 단면 형태를 갖는다.The shap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GS. 3A and 3D, and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격방지부재(500)는 난간보(400)의 일측 끝단을 감싸 설치되고, 도 4와 같이 난간보(400)를 감싼 채 난간보삽입홈에 끼워진다.The
이때, 둘레부(520)의 길이가 난간보삽입홈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걸림부(540)가 난간보삽입홈 끝단 모서리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결국 난간보(400)로 하여금 난간보(400) 중앙 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while the length of the
한편, 도 5는 난간보(400)에 건조 수축이 발생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건조 수축에 의해 난간보(400)의 두께와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최초 설치시에 비해 보유격방지부의 둘레부(520)나 밀착부(510)가 난간보삽입홈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shows a state when the dry shrinkage occurs in the
이러한 이격 즉,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 난간보(400)가 흔들리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540)가 난간보삽입홈 끝단과 난간보(400)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걸려 있으면서 최초 설치시 둘레부(520)가 늘어난 상태로 설치되어 신축성을 유지한 상태이므로 난간보(400)의 유동을 억제하게 된다.Such spacing, that is, when the play occurs, the
더욱이, 두께 방향으로의 수축이 발생하여 틈이 발생하게 되나, 둘레부(520)에 비해 두께가 두꺼운 제2테이퍼부(530)가 제1테이퍼부(310)에 걸려 말착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난간보(400)의 상하 유격에 따른 흔들림이 방지된다.Further, the gap occurs due to shrinkage in the thickness direction, but since the second
특히, 상하 유격에 따른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제1테이퍼부(310)와 제2테이퍼부(530)가 밀착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난간보(400)의 건조 수축에 의해 발생된 틈을 통해 빗물이나 수분이 침투되지 않게 되므로 난간보삽입홈 내측에서 수분에 의해 목재가 썩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난간보(40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격방지부재(500)는 도 3c와 같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으로 상기 유격방지부재(500)의 걸림부(540)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부재(5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이 경우 걸림부(540)의 유동을 커버부재(532)가 방지할 수 있어 상술한 기능을 보다 원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이때, 커버부재(532)는 걸림부(540)를 감싸는 반대편 외측이 일측으로 절곡된 채 난간기둥(300)에 박히도록 구성할 경우 커부부재의 일측이 난간기둥(300)에 박혀 고정되므로 유격방지부재(500)의 일측이 완전히 고정되므로 난간보(400)의 흔들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테이퍼부(530)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부(5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3b may further include a
회전방지부(531)를 구비할 경우 회전방지부(531)가 제1테이퍼부(310)에 의해 밀착되어 회전을 보다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이러한 회전방지부(531)는 난간보(400)의 두께방향 건조 수축 발생에 의해 유격이 발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난간보(400)를 돌리게 될 경우 회전이 발생할 수 있고, 난간보(400)에 매달릴 경우 난간보(400)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에 위험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회전방지부(531)를 구성함에 있어서, 난간기둥(300)의 제1테이퍼부(310)에 회전방지부(531)가 삽입 가능하도록 된 걸림홈을 형성하여 회전방지부(531)가 걸림홈에 걸려 회전방지부(531)만을 형성할 때 보다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configuring the
본 발명에서 기둥유격방지장치(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강판(610), 제2조임볼트(620), 제2조임너트(621), 제2스프링(630)으로 구성된어 바닥수평보(100)에 고정된 난간기둥(300)이 건조 수축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강판(610)의 상단과 하단을 바닥수평보(100)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시키고, 난간기둥(300)과 수직강판(610)을 관통하는 홀을 형성한 후 이 홀에 제2조임볼트(620) 일측을 관통시킨 다음 제2조임너트(621)로 제2조임볼트(620)를 조인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top and bottom of the
이때, 수직강판(610)의 바깥쪽과 제2조임너트(621) 사이에 제2스프링(630)을 끼워 설치하여 난간기둥(300)의 건조 수축이 발생하여 유격이 발생할 때 제2스프링(630)에 의해 난간기둥(300)의 흔들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제2스프링(630)은 바닥 부분에서와 마찬가지로 코일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스프링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에서 교좌장치(7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브라켓(710), 상부브라켓(720), 회전축(730), 키플레이트(740)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하부브라켓(7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 상부에 저면이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711)와, 하부플레이트(711)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직선상으로 관통하는 제1회전축삽입홀(713)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하부수직판(712)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상부브라켓(7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수평보(100)의 하부에 상면이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721)와, 상부플레이트(721)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회전축삽입홀(713)과 일직선상의 제2회전축삽입홀(723)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수직판(722)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회전축(730)은 제1회전축삽입홀(713)과 제2회전축삽입홀(723)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일측의 머리 부분은 몸통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제1회전축삽입홀(713)에 걸리도록 하고, 타측은 제2회전축삽입홀(723)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되 상부에 키홈(731)이 형성되어 있다.The
키플레이트(740)는상기 회전축(730)이 하부브라켓(710)과 상부브라켓(720)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축(730)의 키홈(731)에 끼워진 후 볼팅 방법에 의해 하부브라켓(710)의 하부수직판(712)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교좌장치(700)는 목구조물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과 이에 따른 진동을 하부브라켓(710)에 축 결합되는 상부브라켓(720)에 의해 흡수 완화되어 사용 수명이 연장되고, 설치 및 보수 작업이 간편해지게 된다.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격방지부재(500)가 구비된 목구조물은 상부 하중 및 충격에 따른 진동을 교좌장치(700)가 흡수 완화시킴으로써 수명이 연장되고, 설치 및 보수 작업이 간편해지면서, 난간기둥(300)의 건조 수축에 따른 난간기둥(300)의 유동을 기둥유격방지장치(600)를 통해 방지하여 보다 안전한 목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Wood structure provided with the
특히, 목구조물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난간보(400)의 건조 수축에 대해 신축성 재질의 일체화된 단순 구조를 갖는 유격방지부재(500)를 이용하여 수직, 수평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사용상의 안전성을 더해주게 된다.In particular, by using the
결국, 본 발명은 목구조물에서 바닥부재의 건조 수축, 난간기둥의 건조 수축, 난간보의 건조 수축에 대해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수축 발생시 흔들림을 모두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목구조물 전체적으로 건조 수축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After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all the shaking during the shrinkage of each component to dry shrinkage of the bottom member, dry shrinkage of the handrail pillar, dry shrinkage of the balustrade beams in the wooden structure by shaking the dry contraction of the entire wooden structure Can be minimized.
본원발명의 목구조물은 목재 교량, 목재 데크는 물론, 바닥수평보, 바닥부재, 난간기둥, 난간보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목구조물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The woo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wood structures consisting of wooden bridges, wooden decks, as well as floor horizontal beams, floor members, handrail pillars, handrail beams and the like.
10 : 교각 100 : 바닥수평보
200 : 바닥부재 210 : 제1조임볼트
211 : 제1조임너트 212 : 제1스프링
300 : 난간기둥 310 : 제1테이퍼부
400 : 난간보 500 : 유격방지부재
510 : 밀착부 511 : 통기홀
520 : 둘레부 521 : 돌기
530 : 제2테이퍼부 531 : 회전방지부
532 : 커버부재 540 : 걸림부
600 : 기둥유격방지장치 610 : 수직강판
620 : 제2조임볼트 621 : 제2조임너트
630 : 제2스프링 700 : 교좌장치
710 : 하부브라켓 711 : 하부플레이트
712 : 하부수직판 713 : 제1회전축삽입홀
720 : 상부브라켓 721 : 상부플레이트
722 : 상부수직판 723 : 제2회전축삽입홀
730 : 회전축 731 : 키홈
740 : 키플레이트10: pier 100: floor horizontal beam
200: bottom member 210: first tightening bolt
211: 1st tightening nut 212: 1st spring
300: handrail pillar 310: first tapered portion
400: handrail 500: play prevention member
510: close contact 511: vent hole
520: circumference 521: protrusion
530: second taper portion 531: rotation preventing portion
532: cover member 540: locking part
600: pillar clearance prevention device 610: vertical steel sheet
620: tightening nut 2 621: tightening nut 2
630: second spring 700: bridge device
710: lower bracket 711: lower plate
712: lower vertical plate 713: first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720: upper bracket 721: upper plate
722: upper vertical plate 723: second rotary shaft insertion hole
730: axis of rotation 731: keyway
740: key plate
Claims (5)
교각(10)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강재 바닥수평보(100)와;
목재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수평보(100) 상부에 제1조임볼트(210) 및 제1조임너트(2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되, 제1조임너트(211)와 바닥수평보(100) 사이에 제1스프링(212)이 설치되어 있는 바닥부재(200)와;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20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에 난간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되, 난간보삽입홈의 외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면 형상의 제1테이퍼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난간기둥(300)과;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 끝단이 상기 난간기둥(300)의 난간보삽입홈에 삽입되어 난간기둥(300) 사이를 연결하되, 단면 상으로 난간보삽입홈과 0.5 ~ 2 mm의 간격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난간보(400)와;
일측면이 난간보삽입홈 끝단에 밀착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부(510)와, 밀착부(5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밀착부(510)와 함께 주머니 형상을 취하며, 외주면에 다수 개의 환형 돌기(521)가 형성되어 있고, 난간보삽입홈과 난간보(400) 사이의 간격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둘레부(520)와, 둘레부(520)의 타측 끝단에 단면 형상이 제1테이퍼부(310)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둘레부(520)와 일체로 형성된 제2테이퍼부(530)와, 제2테이퍼부(5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난간보삽입홈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540)로 구성되어 난간보(400)의 일측 끝단을 감싼 채 난간보삽입홈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유격방지부재(500)와;
상기 바닥수평보(100)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수직강판(610)과, 상기 난간기둥(300)과 수직강판(61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끝단에 제2조임너트(620)에 의해 고정되는 제2조임볼트(620)와, 제2조임너트(621)와 수직강판(6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스프링(630)으로 구성된 기둥유격방지장치(600)와;
상기 교각(10) 상부에 저면이 고정되어 있는 하부브라켓(710)과, 상기 바닥수평보(100)의 하부에 상면이 고정되어 있는 상부브라켓(720)과, 상부브라켓(720)과 하부브라켓(710)을 관통하여 상부브라켓(720)과 하부브라켓(710)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일측면에 키홈(731)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730)과, 상기 하부브라켓(71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되, 하부가 상기 키홈(731)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키플레이트(740)로 구성된 교좌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
In a wooden structure seated on a pier,
Steel bottom horizontal beam (100)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ier 10;
It is made of wood and is fixed by the first tightening bolt 210 and the first tightening nut 211 on the bottom horizontal beam 100, between the first tightening nut 211 and the bottom horizontal beam 100 A bottom member 200 having one spring 212 installed therein;
It is made of wood, is installed vertic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top of the bottom member 200, and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the first taper of the cross-sectional shape inclined to the outer edge of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Handrail pillar 300 is formed with a portion 310;
Consists of wood,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of the handrail pillar 300 is connected between the handrail pillar 300, it is configured to have a gap between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and 0.5 ~ 2 mm on the cross section. A handrail that is 400;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ct portion 51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contact portion 510 and takes the shape of a bag with the contact portion 510, a plurality of annula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projection 521 is formed, the first tapered portion having a circumferential portion 520 having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gap between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and the handrail beam 400 and the oth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520.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taper portion 530 and the second taper portion 530 formed integrally with the circumferential portion 520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310, and protrudes outside the handrail insertion groove A gap preventing member 500 configured to be formed of a locking portion 540 and to be inserted into a balustrade insert insertion groove while wrapping one end of the balustrade 400;
It is installed through the vertical steel plate 610, the upper and lower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bottom horizontal beam 100, and the handrail pillar 300 and the vertical steel plate 610, by the second tightening nut 620 at both ends. A pillar clearance prevention device 600 including a second tightening bolt 620 to be fixed and a second spring 630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tightening nut 621 and the vertical steel plate 610;
A lower bracket 710 having a bottom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ridge 10, an upper bracket 720 having an upper surface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horizontal beam 100, an upper bracket 720 and a lower bracket ( 710 is connected to the upper bracket 720 and the lower bracket 710 so as to be rotatable, bu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730, the key groove 731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lower bracket 710 It is fixed, but the lower portion is composed of a keying device consisting of a key plate 74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731;
Wood structure with play prevention member.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으로 상기 유격방지부재(500)의 걸림부(540)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부재(53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I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metal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member 532 is further provided to surround a part of the locking portion 540 of the play prevention member 500 inward,
Wood structure with play prevention member.
상기 커버부재(532)는 걸림부(540)를 감싸는 반대편 외측이 일측으로 절곡된 채 난간기둥(300)에 박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member 53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surrounding the locking portion 540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handrail pillar 300 bent to one side,
Wood structure with play prevention member.
상기 제2테이퍼부(530)에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부(5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taper portion 5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531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Wood structure with play prevention member.
상기 난간기둥(300)의 제1테이퍼부(310)에 회전방지부(531)가 삽입 가능하도록 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taper 310 of the handrail pillar 300,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531,
Wood structure with play prevention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696A KR100990801B1 (en) | 2010-07-15 | 2010-07-15 | Wooden structure have a clearance prevention meteri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696A KR100990801B1 (en) | 2010-07-15 | 2010-07-15 | Wooden structure have a clearance prevention meteri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0801B1 true KR100990801B1 (en) | 2010-10-29 |
Family
ID=4313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8696A Active KR100990801B1 (en) | 2010-07-15 | 2010-07-15 | Wooden structure have a clearance prevention meteri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0801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67649A (en) * | 2011-11-21 | 2012-03-07 | 长安大学 | Steel-wood combined bridge structure with pored steel plate connecting piece |
KR101137580B1 (en) | 2011-11-21 | 2012-04-20 | 주식회사 타스코아이 | System wooden deck structure with clearance prevention meterial |
KR20140005823U (en) * | 2013-05-08 | 2014-11-1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Moonpool flap securing device |
KR101653306B1 (en) * | 2015-10-01 | 2016-09-05 | 코랜스그린산업(주) | Handrail post fixing apparatus for deck rod |
KR102491293B1 (en) * | 2022-02-18 | 2023-01-26 | 주식회사 파크조경 | deck-coupled post-type footbridge with pile reinforcement cap and anti-loosening bolts |
KR102492698B1 (en) * | 2022-02-18 | 2023-01-27 | 주식회사 파크조경 | Bridge structure assembled with anti-loosening bolts with Y-clip decks and non-linear handrails |
KR102557666B1 (en) | 2022-11-15 | 2023-07-21 | 형진랜드주식회사 | Deck road structur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132Y1 (en) | 2002-10-16 | 2003-01-24 | 박인호 | Parapet of combination bridge and median strip |
KR100721666B1 (en) | 2007-02-27 | 2007-05-23 | 김종창 | Construction method of wood structure with play prevention structure due to shrinkage of wood |
KR100767172B1 (en) | 2007-07-31 | 2007-10-15 | 김종창 | Wooden bridge |
-
2010
- 2010-07-15 KR KR1020100068696A patent/KR1009908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132Y1 (en) | 2002-10-16 | 2003-01-24 | 박인호 | Parapet of combination bridge and median strip |
KR100721666B1 (en) | 2007-02-27 | 2007-05-23 | 김종창 | Construction method of wood structure with play prevention structure due to shrinkage of wood |
KR100767172B1 (en) | 2007-07-31 | 2007-10-15 | 김종창 | Wooden bridg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67649A (en) * | 2011-11-21 | 2012-03-07 | 长安大学 | Steel-wood combined bridge structure with pored steel plate connecting piece |
KR101137580B1 (en) | 2011-11-21 | 2012-04-20 | 주식회사 타스코아이 | System wooden deck structure with clearance prevention meterial |
KR20140005823U (en) * | 2013-05-08 | 2014-11-1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Moonpool flap securing device |
KR200485188Y1 (en) * | 2013-05-08 | 2017-12-07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Moonpool flap securing device |
KR101653306B1 (en) * | 2015-10-01 | 2016-09-05 | 코랜스그린산업(주) | Handrail post fixing apparatus for deck rod |
KR102491293B1 (en) * | 2022-02-18 | 2023-01-26 | 주식회사 파크조경 | deck-coupled post-type footbridge with pile reinforcement cap and anti-loosening bolts |
KR102492698B1 (en) * | 2022-02-18 | 2023-01-27 | 주식회사 파크조경 | Bridge structure assembled with anti-loosening bolts with Y-clip decks and non-linear handrails |
KR102557666B1 (en) | 2022-11-15 | 2023-07-21 | 형진랜드주식회사 | Deck road structur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
KR20240071293A (en) | 2022-11-15 | 2024-05-22 | 형진랜드주식회사 | Deck road installa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0801B1 (en) | Wooden structure have a clearance prevention meterial | |
KR101306114B1 (en) | A safety improvements with footbridge | |
KR101176188B1 (en) | Deck road structures | |
KR102244767B1 (en) | Handbar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 |
KR101959670B1 (en) | Metal Fence | |
KR101052624B1 (en) | Rolling Guard Barrier | |
KR20160142608A (en) | Finishing member for deck road | |
KR101681079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masonry-infilled wall from falling sideward by out-of-plane force on wall | |
KR200449138Y1 (en) | Lumber Fixture | |
KR101735090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masonry-infilled wall from falling sideward by out-of-plane force on wall using angles | |
KR101490495B1 (en) | Prefabricated wooden structure having clearance preventing device | |
KR200440869Y1 (en) | Handrail Post | |
KR102184096B1 (en) | Support assembly for water tank | |
JP5973864B2 (en) | Gap management tool | |
KR102000158B1 (en) | Railing structure that guarantees completeness of installation with excellent assembly strength | |
KR102028889B1 (en) | sliding rail insert type deck assembly system | |
KR101879136B1 (en) | Loosening prevention pole anchor structure using double helical structure | |
KR200428458Y1 (en) | Anchor Bolt Protective Cap | |
KR101828265B1 (en) | The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structure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240111410A (en) | guardrail system for preventing suicide | |
KR101128035B1 (en) | Baluster lower cap structure for steel balustrade | |
KR101535213B1 (en) | Fence connection structure improving usability and safety | |
KR102032697B1 (en) | Post assembly reinforcement of improving impact and seismic resistance function and prefabricated balustrade using the same | |
KR20050043104A (en) | A polyurethane for a bridge support earthquake control bearing | |
KR200403138Y1 (en) | Disc Type Bridge Fe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7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