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053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9053B1 KR100999053B1 KR1020030061327A KR20030061327A KR100999053B1 KR 100999053 B1 KR100999053 B1 KR 100999053B1 KR 1020030061327 A KR1020030061327 A KR 1020030061327A KR 20030061327 A KR20030061327 A KR 20030061327A KR 100999053 B1 KR100999053 B1 KR 1009990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housing
- contact
- connecting member
- electrical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전기 커넥터(1)는 복수의 컨택트(2)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3)과, 지지축(4)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커버(5)와, 커버(5)를 폐쇄자세로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32,33)을 구비한다. 커버(5)에 소정의 삽입방향(Y)을 따라 하우징(3) 내의 소정의 삽입위치에 삽입되는 접속부재(7)를 컨택트(2)의 접촉부(28)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38)를 설치한다. 상기 잠금수단(32,33)에 의한 잠금이 해제된 반폐쇄자세의 커버(5)를 하우징(3) 내에 삽입되는 접속부재(7)의 삽입동작에 연동하여 개방시키기 위한 연동수단(40)을 추가로 구비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경사진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커버를 폐쇄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를 경사진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를 폐쇄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를 경사진 전방으로부터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버를 폐쇄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커버를 폐쇄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커버를 폐쇄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8B-8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A의 8C-8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커버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커버가 반폐쇄자세로 있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접속부재를 장착하는 경우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기립 개방된 커버를 폐쇄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커넥터 2 … 컨택트(contact)
3 … 하우징 4 … 지지축
5 … 커버 6 … 프레임
7 … 접속부재 8 … 삽입구
9 … 개구부 10 … 바닥벽
12,13 … 측벽 14 … 고정구멍
15 … 보강판 16 … 주체부
17 … 삽입부 18 … 고정부
19 … 지지부 20 … 고정구멍
21 … 고정부 22 … 탄성편부
23 … 고정편부 24 … 리드부
25 … 구획판 27 … 수용홈
28 … 접촉부 29 … 제1끝가장자리
30 … 제2끝가장자리 31 … 돌출부
32 … 잠금부 33 … 걸어맞춤부
35 … 투과구멍 36 … 축부
37 … 고정편부 수용홈 38 … 가압부
39 … 끝면 40 … 구동부
41 … 모따기부 42 … 탄성편부
본 발명은, 예컨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평형이고 얇은 접속부재를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구부를 갖는 합성수지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개구부에 면하도록 배열되는 컨택트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회동에 의해 개폐하는 합성수지제 커버와, 커버를 폐쇄자세로 잠그는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의 전반부에 설치한 커버를 개방한 상태로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무삽입력(ZIF: Zero Insert Force)으로 삽입한 후, 커버를 폐쇄하여 접속부재를 고정하는 전기 커넥터가 있다.
한편, 하우징의 삽입구로부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접속부재의 두께 이하의 거리로 컨택트의 서로 대향하는 고정편부와 탄성편부의 접촉부를 대향시키고,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조작레버의 외부조작에 의해 탄성편부의 접촉부를 「지레」의 원리로 잡아올려서 접촉부 간의 거리를 넓히고, 무삽입력으로 접속부재를 삽입하도록 한 전기 커넥터가 제공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개평10-154556호 공보 참조.)
전자의 커버 개폐방식의 전기 커넥터는 제조라인에 있어서, 로보트핸드의 유지부에 공기흡인에 의해 흡착되어서 회로기판 상에 반송되고, 자동실장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반송에 공기흡인을 이용하기 때문에 커버를 폐쇄자세로 잠거둘 필요가 있다.
통상적인 예로서, 기판으로의 자동실장이 완료한 전기 커넥터에 FPC를 접속하는 작업은 수동으로 행해지고 있다. 고리로 커버의 선단부를 잡아올려서 잠금을 해제하고, 커버를 개방시킨 후, 손가락끝으로 유지한 FPC를 삽입하고, 이어서, 커버를 폐쇄하여 폐쇄자세로 잠근다.
그런데, 일단, 개방시킨 커버가 FPC의 삽입전에 폐쇄방향으로 회동하고, 반폐쇄상태(잠금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 다시, 커버를 개방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이 번잡하게 되어 버렸다.
한편, 일본 특허문헌1의 조작레버의 외부조작으로 컨택트의 고정편부와 탄성편부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방식에는 하기의 문제점이 있다. 즉, 컨택트에 「지레」를 위한 연장설치빔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컨택트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또한, 별도로 외부조작용 레버를 설치할 필요도 있고,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대형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소형이고 접속부재를 접속할 때의 작업성이 좋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컨택트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지지축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소정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우징 내의 소정의 삽입위치에 삽입되는 접속부재를 컨택트의 접촉부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및 상기 커버를 폐쇄자세로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잠금이 해제된 반폐쇄자세의 커버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접속부재의 삽입동작에 연동하여 개방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의 대응하는 고정구멍에 눌러넣어지는 주체부와, 이 주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하에 서로 대향하는 고정편부 및 탄성편부를 포함하고, 이 탄성편부에 상기 접속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는 폐쇄자세의 커버의 하면에 설치되고, 커버의 폐쇄자세에서 컨택트의 고정편부와 교대로 횡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가 반폐쇄자세로 되어 있었더라도 접속부재를 삽입하면 자동적으로 커버가 기립시켜져 개방될 수 있으므로 접속부재를 소정의 삽입위치까지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고, 그 후는 커버를 폐쇄하여 잠금을 달성하면 좋다. 따라서, 커버의 개방작업에 있어서, 전체수가 엄밀하게 개방되어 있지 않아도 좋게 되고, 작업을 현격하게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재의 삽입부재의 삽입동작에 커버의 개방동작을 연동시키는 것이므로 외부에 조작레버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조를 현격하게 간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 가압부를 컨택트의 고정편부의 하방측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기 커넥터의 높이를 현격하게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후방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소위, 백 잠금타입(back lock type)의 전기 커넥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수단은 커버의 기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이 구동부는 상기 커버가 반폐쇄자세로 있는 상태로 접속부재의 삽입측단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반폐쇄자세의 커버를 개방시킨다. 이 경우, 커버의 기단부의 형상변경만으로 좋고,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반폐쇄자세의 커버의 끝면에 설치된다. 이 경우, 커버를 안정하게 개방시킬 수 있고, 또한, 접속부재에 걸리는 부담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접속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구획하는 사각고리형상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이 프레임의 내면은 접속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이 경우, 소위, 백 잠금타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부재를 삽입구 내에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커버의 구동부를 누름으로써 반력을 받는 삽입구 내의 접속부재를 프레임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확실히 반폐쇄자세의 커버를 개방시킬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서로 인접하는 가압부 사이를 이들 가압부 사이의 컨택트의 고정편부의 하방측에서 접속하는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폐쇄자세에서 축부와 대응하는 컨택트의 탄성편부의 접촉부 사이에 접속부재의 두께 이상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 경우, 만일, 커버가 부주의한 힘을 받았을 때 에 이것을 컨택트의 고정편부로 수용할 수 있고, 커버의 하우징으로의 연결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버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의 전기 커넥터를 경사진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전기 커넥터를 경사진 전방으로부터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전기 커넥터(1)는 복수의 컨택트(2)를 횡으로 나란히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3)과, 이 하우징(3)에 단면 둥근형상의 지지축(4)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절연성의 커버(5)를 구비한다. 도 1 및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X는 하우징(3)의 전방을 표시한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하우징(3)의 전방부에는 사각고리형상의 프레임(6)이 형성되고, 프레임(6)은 FPC 등의 접속부재(7)(도 10A 참조)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8)를 구획한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6)의 내면은 접속부재(7)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삽입구(8)의 폭이 좁게 되도록 경사면(6b)에 형성되고, 접속부재(7)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은 프레임(6)보다 후방측에 개구부(9)를 설치하여 두고, 이 개구부(9)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의 회동에 수반되어 개페된다.
하우징(3)은 프레임(6)의 도 3에 나타내는 하부 프레임(6a)에 연결되는 바닥벽(10)(도 1 및 도 7 참조)을 갖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벽(10) 및 후술하는 구획판(25)에는 하우징(3)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복수의 컨택트(2)가 횡으로 나란히 유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은 바닥벽(10)을 사이에 둔 양측에 1쌍의 측벽(12,13)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1쌍의 측벽(12,13)은 개구부(9)의 측부를 구획한다. 각 측벽(12,13)에 전방으로 개방하도록 설치된 고정구멍(14)(도 3 참조)에 각각 금속제 보강판(15)의 일부가 눌러넣어져서 고정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보강판(15)은 하우징(3)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주체부(16)와, 주체부(16)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구멍(14)에 눌러넣어지는 삽입부(17)를 구비한다. 주체부(16)의 하부에는 기판표면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8)와, 커버(5)의 지지축(4)을 측벽(12,13)(도 6에서는 측벽(13)만을 나타낸다)의 전단부와 공동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9)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컨택트(2)는 하우징(3)의 고정구멍(20)에 눌러넣어져서 고정되는 걸림돌기(도시않함)가 부착된 고정부(21)와, 이 고정부(21)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탄성편부(22)와, 고정부(21)의 후단으로부터 갈고리형으로 굴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편부(23)와, 고정부(21)의 후단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리드부(24)를 구비한다.
고정편부(23)는 하우징(3)의 고정구멍(20)의 상부를 구획하는 구획판(25)에 의해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3)의 개구부(9)는 접속부재(7)가 삽입구(8)를 통해서 컨택트(2)의 고정편부(23)와 탄성편부(2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 되어 있다.
탄성편부(22)는 하우징(3)의 바닥벽(10)의 상면에 형성된 수용홈(27)에 대부분이 수용되고, 후단부를 기단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탄성편부(22)의 전단에는 상향의 산형상 돌기로 이루어지는 접촉부(28)가 형성되고, 수용홈(27)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8A를 참조하여 커버(5)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하고 있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끝가장자리(29,30)를 갖고 있다. 커버(5)의 제1끝가장자리(29)의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측부로부터는 상기 1쌍의 둥근형상의 지지축(4)이 각각 돌출되어 있다.
또한, 커버(5)의 제2끝가장자리(30)의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측부로부터는 1쌍의 돌출부(31)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각 돌출부(31)에는 하우징(3)의 대응하는 측벽(12,13)의 후단에 형성되는, 예컨대, 홈으로 이루어지는 잠금부(32)에 걸어맞춤가능한, 예컨대, 돌기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33)를 잠금부(32)에 걸어맞춤으로써 커버(5)는 그 표면(5a)이 수평으로 되는 폐쇄자세로 잠겨진다. 이들 걸어맞춤부(33) 및 잠금부(32)에 의해 커버(5)를 폐쇄자세로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이 구성된다.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여 커버(5)의 제1끝가장자리(29)에는 각 고정편부 (23)의 전단(34)을 각각 삽입통과시키는 투과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각 투과구멍(35)의 제1끝가장자리(29)측에 각각 축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축부(36)는 단면 D형을 이루도록 그 둘레면의 일부에 평탄면(36a)을 설치하고 있다.
도 1, 도 7 및 도 8B를 참조하여 커버(5)의 이면(5b)에는 커버(5)의 폐쇄상태로 대응하는 컨택트(2)의 고정편부(22)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편부 수용홈(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커버(5)의 이면(5b)은 제1끝가장자리(29)측의 양측부에 빠짐방지용 돌기(4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커버(5)의 폐쇄자세로 빠짐방지용 돌기(42)가 접속부재(7)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오목홈(도시않함)에 걸어맞춰져서 접속부재(7)의 빠짐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도 1, 도 7 및 도 8C를 참조하여 커버(5)의 이면(5b)에는 고정편부 수용홈(37)을 사이에 둔 양측에 있어서 제1끝가장자리(29)로부터 소정거리까지의 부분에 가압부(38)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38)는 커버(5)의 폐쇄자세에 있어서 컨택트 (2)의 고정편부(23)와 교대로 횡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축부(36)는 서로 인접하는 가압부(38,38) 사이를 컨택트(2)의 고정편부 (23)의 하방측에서 접속한다. 각 축부(36)는 대응하는 컨택트(2)의 탄성편부(22)의 접촉부(28) 상에 위치하지만 커버(5)의 폐쇄자세에서 각 축부(36)와 대응하는 컨택트 (2)의 탄성편부(22)의 접촉부(28) 사이에 접속부재(7)의 두께이상의 간극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각 컨택트(2)를 사이에 둔 양측에 위치하는 가압부(38)가 커버(5)의 폐쇄자세에 있어서, 접속부재(7)를 컨택트(2)의 탄성편부(22)측으로 밀고, 접압(접촉압력)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커버(5)의 제1끝가장자리(29)의 끝면(39)은 표면(5a)에 대해서 수직한 면으 로 구성되어 있고, 이 끝면(39)은 그 일부로서 상기 축부(36)의 평탄면(36a)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끝면(39)은 폐쇄자세 내지 반폐쇄자세의 커버(5)에 있어서, 축부(36)보다 접촉부(28)측에 접근하는 구동부(4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40)는 접속부재(7)의 삽입동작에 반폐쇄자세의 커버(5)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커버(5)의 표면(5a)과 상기 끝면(39) 사이에는 모따기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 즉, 기립자세를 넘어서 반대측에 약간 경사진 자세에서는 모따기부(41)가 삽입구(8)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경사지고, 접속부재(7)를 상기 모따기부(41)와 탄성편부(22)의 접촉부 (28) 사이에 부드럽게 안내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구동부(40)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A을 참조하여 커버(5)가 잠금되어 있지 않은 반폐쇄자세로 있다. 이 때에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8)를 통해서 접속부재(7)가 삽입방향(Y)을 따라서 삽입된 경우, 접속부재(7)의 삽입측단(7a)이 커버(5)의 기단측의 끝면(39)의 구동부(40)를 누름으로써 커버(5)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되고,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를 기립상태로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0C와 같이 커버(5)가 기립함으로써 상기 구동부(40)를 포함하는 커버(5)의 끝면(39)이 접속부재(7)의 삽입방향[즉, 하우징(3)의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되고, 끝면(39)과 컨택트(2)의 탄성편부(22)의 접촉부(28) 사이에 접속부재(7)를 무삽입력으로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7)의 삽입측단(7a)이 구획판(25)의 끝면에 접촉하는 정규의 삽입위치까지 접속부재(7)를 삽입한 후,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를 폐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를 완전히 폐쇄하여 폐쇄자세로 잠근다. 이로써, 가압부(38)가 접속부재(7)를 컨택트의 탄성편부(22)의 접촉부(28)에 가압하고, 확실한 접압이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임시로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가 반폐쇄자세로 되어 있었더라도 접속부재(7)를 삽입하면 자동적으로 커버 (5)가 기립되어 개방될 수 있으므로 접속부재(7)를 소정의 삽입위치까지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고, 그 후는 커버(5)를 폐쇄하여 잠금을 달성하면 좋다.
따라서, 제조라인에 있어서, 기판으로의 자동실장이 완료된 전기 커넥터(1)에 대해서 접속부재(7)를 장착하기 위하여 고리로 커버(5)의 제2끝가장자리(30)를 잡아올려서 잠금을 풀면서 다수의 전기 커넥터(1)의 커버(5)를 개방하는 작업을 실시할 때에 커버(5)의 전체수가 엄밀하게 개방되어 있지 않아도 좋게 되고, 작업을 현격하게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재(7)의 삽입동작에 커버(5)의 개방동작을 연동시키는 것이므로 컨택트에 연장설치빔을 설치하고, 또한, 외부에 조작레버를 설치하는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구조를 현격하게 간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접속부재(7)의 삽입동작에 반폐쇄자세의 커버(5)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으로서 커버(5)에 구동부(4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좋고,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또한, 구동부(40)는 커버(5)의 끝면(39)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커버(5)를 안 정하게 개방시킬 수 있고, 또한, 접속부재(7)에 걸리는 부담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의 전방부에 삽입구(8)를 구획하는 사각고리형상의 프레임 (6)을 설치하고, 하우징(3)의 후방부에 커버(5)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접속부재(7)의 장착측인 하우징(3)의 전방부와 반대측인 하우징(3)의 후방부에서 커버(5)를 폐쇄하여 접속부재(7)에 대한 잠금을 달성하는, 소위, 백 잠금타입의 전기 커넥터(1)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6)의 내면이 접속부재(7)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6b)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접속부재(7)를 삽입구(8) 내에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의 구동부(40)를 누름으로써 반력을 받는 접속부재(7)를 프레임(6)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확실하게 반폐쇄자세의 커버(5)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38)가 커버(5)의 폐쇄자세에서 컨택트(2)의 고정편부(23)와 교대로 횡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므로 가압부를 컨택트의 고정편부의 하방측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기 컨택트(1)의 높이를 현격하게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가압부(8) 사이를 컨택트(2)의 고정편부(23)의 하방측에서 접속하는 축부(36)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만일, 커버(5)가 부주의한 힘을 받았을 때에 이것을 컨택트(2)의 고정편부(23)로 받을 수 있고, 커버(5)의 하우징 (3)으로의 연결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사각고리형상의 프레임(6)의 상부 프레임을 폐지하여 홈형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FPC를 대신하여 FFC(flexible flat cable)나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접속부재를 접속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버(5)를 폐쇄자세로 잠그는 구조로서의 걸어맞춤부(33) 및 잠금부(32)를 커버(5) 및 하우징(3)에 각각 설치하였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혹은 이것에 부가하여 걸어맞춤부(33) 및 잠금부(32)를 커버(5) 및 컨택트(2)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33) 및 잠금부(32)를 커버(5) 및 금속제 보강판(15)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33) 및 잠금부(32)에 관해서는 어느 한쪽을 홈으로 하고 타방을 돌기로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을 접속부재를 횡방방향으로부터는 아니고 상방으로부터 삽입하는 종형의 전기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상기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변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와 그 균등한 범위로 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형이고 접속부재를 접속할 때의 작업성이 좋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 복수의 컨택트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상기 하우징에 지지축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커버;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소정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우징 내의 소정의 삽입위치에 삽입되는 접속부재를 컨택트의 접촉부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및상기 커버를 폐쇄자세로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잠금이 해제된 반폐쇄자세의 커버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접속부재의 삽입동작에 연동하여 개방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상기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의 대응하는 고정구멍에 눌러넣어지는 주체부와, 이 주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하에 서로 대향하는 고정편부 및 탄성편부를 포함하고, 이 탄성편부에 상기 접속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설치되고,상기 가압부는 폐쇄자세의 커버의 하면에 설치되고, 커버의 폐쇄자세에서 컨택트의 고정편부와 교대로 횡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후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커버의 기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이 구동부는 상기 커버가 반폐쇄자세로 있는 상태로 접속부재의 삽입측단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반폐쇄자세의 커버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반폐쇄자세의 커버의 끝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접속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구획하는 사각고리형상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이 프레임의 내면은 접속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서로 인접하는 가압부 사이를 이들 가압부 사이의 컨택트의 고정편부의 하방측에서 접속하는 축부를 포함하고,상기 커버의 폐쇄자세에서 축부와 대응하는 컨택트의 탄성편부의 접촉부 사이에 접속부재의 두께 이상의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잠금부와, 커버에 설치되어 잠금부에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195018A JP4184881B2 (ja) | 2003-07-10 | 2003-07-10 | 電気コネクタ |
JPJP-P-2003-00195018 | 2003-07-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08428A KR20050008428A (ko) | 2005-01-21 |
KR100999053B1 true KR100999053B1 (ko) | 2010-12-07 |
Family
ID=3420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1327A KR100999053B1 (ko) | 2003-07-10 | 2003-09-03 |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184881B2 (ko) |
KR (1) | KR100999053B1 (ko) |
CN (1) | CN1321482C (ko) |
TW (1) | TWI23742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97108B2 (ja) * | 2006-03-02 | 2010-07-07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レバー式コネクタ |
WO2008114929A1 (en) * | 2007-03-16 | 2008-09-25 | Absco., Ltd. | Connector device |
JP5311052B2 (ja) * | 2009-04-03 | 2013-10-09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5016695B2 (ja) * | 2010-03-03 | 2012-09-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908606B2 (ja) * | 2010-03-18 | 2012-04-0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999541B2 (ja) * | 2011-08-24 | 2016-09-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985164B2 (ja) * | 2011-09-07 | 2016-09-06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
JP6267857B2 (ja) * | 2012-09-21 | 2018-01-24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CN105792506B (zh) * | 2016-03-25 | 2018-11-27 |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 Fpc、fpc连接器和fpc连接装置 |
CN110224267B (zh) * | 2019-07-09 | 2024-02-20 | 深圳市精博德科技有限公司 | 多种装配方式的电子连接器 |
JP2021064461A (ja) | 2019-10-10 | 2021-04-22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CN113224570B (zh) * | 2020-01-20 | 2023-11-28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带有位置保证装置的连接器组件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10483A (ja) | 1999-10-06 | 2001-04-20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2002334735A (ja) | 1996-08-23 | 2002-11-22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
KR100373597B1 (ko) | 1999-10-06 | 2003-02-26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65000U (zh) * | 1990-04-30 | 1990-11-07 | 王鸿波 | 调节式腰带 |
JPH10154556A (ja) * | 1996-11-25 | 1998-06-09 | Omron Corp | コネクタ |
JPH10225318A (ja) * | 1997-02-14 | 1998-08-25 | Vanguard Co Ltd | カバンの締付ベルトの連結装置 |
CN2317677Y (zh) * | 1997-12-02 | 1999-05-12 | 李舜起 | 腰带 |
JP3075707B2 (ja) * | 1997-12-24 | 2000-08-14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
JP3574891B2 (ja) * | 1999-08-17 | 2004-10-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Fpc用コネクタ |
JP3964583B2 (ja) * | 1999-10-26 | 2007-08-22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TW443641U (en) * | 2000-02-02 | 2001-06-23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3762216B2 (ja) * | 2000-12-07 | 2006-04-05 | Smk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
CN2548291Y (zh) * | 2002-06-07 | 2003-04-30 | 陈财福 | 软性电路板连接器改良结构(三) |
-
2003
- 2003-07-10 JP JP2003195018A patent/JP418488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9-03 KR KR1020030061327A patent/KR1009990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
- 2004-06-29 TW TW093118929A patent/TWI23742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7-02 CN CNB2004100621836A patent/CN132148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4735A (ja) | 1996-08-23 | 2002-11-22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
JP2001110483A (ja) | 1999-10-06 | 2001-04-20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KR100373597B1 (ko) | 1999-10-06 | 2003-02-26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184881B2 (ja) | 2008-11-19 |
KR20050008428A (ko) | 2005-01-21 |
CN1321482C (zh) | 2007-06-13 |
CN1577994A (zh) | 2005-02-09 |
JP2005032509A (ja) | 2005-02-03 |
TW200511662A (en) | 2005-03-16 |
TWI237424B (en) | 2005-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52096A (en) | Connector | |
KR100847304B1 (ko) | 전기 커넥터 | |
US5320555A (en) | Module type connector assembly | |
KR100645288B1 (ko) |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 |
EP1235301B1 (en) | A connector assembly for a flat wire member | |
US7445493B2 (en) | Connector for a flexible conductor | |
JP2555733Y2 (ja) | コネクタ | |
KR100999053B1 (ko) | 전기 커넥터 | |
JP2019106368A (ja) |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 |
KR100709547B1 (ko) |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
US20070020997A1 (en) | Double engaged connector | |
JP3472559B2 (ja) | 電気コネクタ | |
WO2009148027A1 (ja) | 電気コネクタ | |
JPH1174043A (ja) |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とケーブルの接続構造 におけるロック構造 | |
US11018449B2 (en) | Connector | |
US7513783B2 (en) | Connector with a rotatable lever with a recess with a spring | |
KR101366052B1 (ko) | 커넥터 | |
JP3472532B2 (ja)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
JP2010062076A (ja) | 端子係止コネクタ | |
KR100558604B1 (ko) | 전기 커넥터 | |
JP4205524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3989386B2 (ja) | 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KR100591583B1 (ko) | 전기 커넥터 | |
JPH10199615A (ja) | Lifコネクタ | |
JP3706312B2 (ja) | コネクタのレバー仮係止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