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97689B1 -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689B1
KR100997689B1 KR20070063643A KR20070063643A KR100997689B1 KR 100997689 B1 KR100997689 B1 KR 100997689B1 KR 20070063643 A KR20070063643 A KR 20070063643A KR 20070063643 A KR20070063643 A KR 20070063643A KR 100997689 B1 KR100997689 B1 KR 100997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call
multimedia data
user terminal
call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7006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312A (ko
Inventor
황경진
Original Assignee
황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경진 filed Critical 황경진
Priority to KR2007006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68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68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문자 발신 콜 서비스 가입자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등록된 문자를 입력할 경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 단말에게 회송 전화번호를 발송하지 않고,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를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는 이동 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신 콜을 요청한 경우에, 문자 발신 인식 모듈이 이를 구분하여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지향시킨다. 상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문자 발신 DB를 구비하고; 수신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문자 발신 DB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갖는 상대방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에 통화를 연결해주는 문자 발신 콜 서버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63643
문자 발신 콜, 이동단말, 문자, 영상, 인식 모듈, 전화번호부

Description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all connecting service for mobile terminal using text or multi-media data}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용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단말이 송신하는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예 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간의 전화 통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사용자 단말 200: 이동통신사 시스템
210, 260: 기지국 220, 250: 기지국 제어기
230, 240: 교환기 300: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10: 인터페이스 서버 320: 인증 서버
330: 가입자 DB 340: 문자 발신 콜 서버
350: 문자 발신 DB 360: 인식 모듈 다운로드부
400: 상대방 단말
본 발명은 이동단말용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발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단말 간의 전화를 연결하는 이동 단말용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히 사용하는 통화 연결 방법 중 하나로서, 전화기에서 숫자 번호를 직접 다이얼링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축키를 이용하여 다이얼링하거나, 또는 전화번호부에서 해당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 발신 버튼을 눌러 다이얼링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개인이 음성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부를 전화기에 미리 등록해놓고, 이름, 닉네임 등을 말하면 전화기에서 음성을 인식하여 그 인식된 결과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는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단말용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이동통신사 시스템 (20) 및 상대방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키입력부(11) 및 전화번호 DB(1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동통신사 시스템(20)은 기지국(21, 26), 기지국 제어기(22, 25), 교환기(23, 24) 및 인증 센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개인이 휴대하게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키입력부(11) 및 전화번호 DB(12)를 이용하여 숫자인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상대방 단말(40)과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전화번호 목록(12)은 사용자가 설정한 전화번호부가 저장되는 DB를 말한다. 또한, 상대방 단말(30)은 사용자 단말(10)과 동일한 이동통신 단말이거나 또는 유선 단말일 수도 있다.
기지국(21, 26)은 사용자 단말(10)과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또한 사용자 단말(10)을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 등을 실행한다. 이때, 복수 개의 기지국(21, 26)이 상호 연동하며, 기지국 제어기(22, 25)는 각각의 기지국(21, 26)을 관리하면서, 각각의 사 용자 단말(10)에 대한 통신 채널의 할당을 제어하고, 핸드오버 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기(23, 24)는 기지국 제어기(22, 25)와 국선 또는 국선 교환기와 인증 센터를 연결하며, 인증 센터는 각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고유 번호 등을 구비하여, 임의의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사용 허가와 과금 처리 등을 실행한다.
한편, 제1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440556호(공개일: 2004. 7. 6)에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전화번호가 아닌 아이디 또는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선행기술에 따른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문자열로 구성된 착신자 아이디를 전송받는 단계, 착신자 아이디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번역하는 단계, 번역된 전화번호를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전화번호를 수신한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화번호로 호를 요청받는 단계, 및 호 요청에 따라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를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제1 선행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SMS를 통해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아이디를 전송하면, 서버에서 해당 아이디에 대응되는 착신번호를 발신자에게 회송한 후에, 발신자가 해당 착신번호로 호를 발신해야 하므로, 서비스 절차가 상당히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제2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6395호(공개일: 2007. 1. 11)에는 "번호 대신 아이디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여 통화 연결하는 아이 디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서버에서 아이디에 해당하는 착신번호를 찾아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선행기술에 따른 "번호 대신 아이디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여 통화 연결하는 아이디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은, 전화망 기반에서 이용자가 번호를 암기하거나 주소록에 등록해 놓지 않아도, 아이디를 SMS로 전송해서 전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선행기술에 따르면, 서비스 가입자가 번호 대신에 자신을 표현하는 아이디를 사용하면,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은 문자메시지의 아이디에 매핑된 해당 착신번호를 선택하고, 해당 착신번호와 문자메시지의 발신번호로 전화를 걸어,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 간에 통화를 상호 연결해준다. 하지만, 제2 선행기술은 문자메시지 내의 아이디에 대응되는 전화번호(착신번호)를 SMS로부터 반드시 추출해야만 하며, SMS를 보내는 방법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전술한 종래 기술은 발신 콜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 이용에 한정되므로, 이미지나 동영상과 같이 상대방을 식별하는 다양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구성은 단지 문자로 된 아이디를 발신 콜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착신자에게 상기 문자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의 확장을 수행할 수 없는 구성이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콜 서비스 가입자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등록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게 회송 전화번호를 발송하지 않고, 입력된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를 신속하게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자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전화번호부에 발신자의 정보가 없더라도 발신자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콜 서비스 가입자가 특정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하나의 상호나 상표처럼 자신 또는 자신의 사업체를 표시 및 홍보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끔 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을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문자 발신 콜 서비스 가입시 기재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DB; 문자 발신 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위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문자 발신 DB; 및 발신 콜에 있어,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문자 발신 DB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갖는 상대방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에 통화를 연결해주는 문자 발신 콜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 발신 콜 서버는, 상기 가입자 DB에 저장된 가입자로부터의 발신에 대해 발신자 식별자(CID)로서 상기 문자 발신 DB에 저장된 상기 가입자의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측면을 따른 문자 발신 콜 제공 서비스 방법은, a)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문자 발신 콜을 위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록을 제공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발신 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등록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수신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등록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상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등록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e) 상기 검색된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신망을 경유해 상대방 단말간의 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측면을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된 후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콜 연결을 지향 시켜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번호로 콜 연결을 수행함에 있 어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웹사이트로 접속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의 가입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특정 착신번호와 대응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측면을 따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는, a) 통화 요청 전에 입력된 데이터가 전화번호인지 상기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구분하는 기능; 및 b) 상기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콜 연결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멀티 미디어 데이터"는 동영상, 이미지, 음원, 게임, 텍스트등의 모든 종류의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인 경우를 위주로 본 발명을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이미지 또는 동영상”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도 확장 적용이 가능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문자 발신 콜 서비스"는 실제로 "숫자가 아닌 문자" 뿐 아니라 상기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발신 콜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만, 호칭의 편의상 "문자 발신 콜 서비스"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하여 등록 및 지정한다. 이에 따라 착신 전화번호 대신에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콜 연결은 문자 발신 콜 제공 시스템으로 지향되고,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콜 연결을 위한 착신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회송 전화번호를 사용자에게 보내지 않고, 상기 착신 전화번호로 상기 발신 콜을 스위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 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 이동통신사 시스템(200),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 및 상대방 단말(400)이 구비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단말,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단말, W-CDMA 단말, CDMA 2000 단말, WIBRO 단말 및 기타 차세대 통신 방식의 단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이 동영상 등을 지원하는 화상 단말기인 경우, 이미지, 동영상 형태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가 발신번호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대방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과 동일한 이동통신 단말이거나 또는 유선 단말일 수도 있다.
이동통신사 시스템(200)은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및 교환기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기지국은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전송 장비, 기지국 송수신기(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BT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동일한 장소에 함께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 별개의 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들을 구분할 필요가 없으므로 함께 블록화하여 이동통신사 시스템(200)이라 한다. 이동통신사 시스템(200)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유선 네트워크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로의 사용자 통화를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교환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에서, 사용자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에 가입한다. 상기 가입은 유, 무선 인터넷 등 어떠한 네트워크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가입자는 자신이 원하는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착신 전화번호를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한 후, 통화 버튼을 눌러서, 상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하면,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등록된 착신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발신 전화번호와 상대방 단말(400)의 착신 전화번호 사이에 통화를 연결한다. 이때,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회송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달할 필요는 없다.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문자(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인식되어 발생된 발신 콜에 대해, 상기 등록된 착신 전화 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착신 전화번호로 해당 콜을 스위칭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이동통신사 시스템(200),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 및 상대방 단말(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통신사 시스템(200)은 기지국(210, 260), 기지국 제어기(220, 250) 및 교환기(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인터페이스 서버(310), 인증 서버(320), 가입자 DB(330), 문자 발신 콜 서버(340), 문자 발신 DB(350) 및 인식 모듈 다운로드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문자 발신 콜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위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휴대폰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가입자 사용자 단말(100) 및 상대방 단말(400)은 특정 문자의 입력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감상이 가능한 단말기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발착신 단말에서 상기의 기능(문자 메시지 전송 기능, 음성통화 기능)이 가능한 한, 그 단말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는다.
이때, 상기 특정 문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키입력부 또는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를 포함하고,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할 수 있는 촬영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 전화번호가 함께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통화 연결을 위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상기 검색된 착신 전화번호를 갖는 상대방 단말(400)과 통화를 연결해 준다.
인터페이스 서버(310)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의 웹사이트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서버(34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통신 규격에 맞도록 변환 처리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서버(34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10)을 통해 가입자는 자신의 착신 번호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의 방식은 구매 또는 경매에 의한 낙찰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10)는 등록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열람을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지원한다.
인증 서버(320)는 사용자의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의 회원 가입 및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의 로그인을 관리한다. 인증 서버(320)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서버(31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사용자가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이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가입자 데이터베이스(330)에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때,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는 문자 발신 DB(350)에 저장된다.
문자 발신 콜 서버(340)는 접수된 문자 발신 콜에 응답하여 문자 발신 DB(350)을 검색하여 착신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해당 착신 전화번호와의 호 연결을 이동 통신사 시스템(200)에 요청한다.
또한, 문자 발신 콜 서버(340)는 콜 처리 제어, 과금 제어 등을 수행하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로직을 탑재하고,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및 서비스 데이터를 관리하며, 또한 서비스 로직으로부터 제어를 받으면서 이동통신망에서 실제 콜 처리 및 과금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한, 문자 발신 콜 서버(340)는 발신자가 착신번호가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에는 이를 상기 착신 번호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발신자 식별자(CID)로서 콜 연결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식 모듈 다운로드부(36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하여 발신할 경우,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문자로 인식하여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과 연결시키는 문자 발신 인식 모듈(129)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게 다운로드해준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가입자는 서비스 가입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록하고 연결할 착신 전화번호를 지정한다. 이때, 서비스 가입자는 착신 전화번호를 다수 개 설정해 둘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착신 우선순위가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가입자로의 발신뿐만 아니라 문자 발신 콜 서비스 가입자로부터의 발신의 경우, 상대방 단말에게 등록된 특정 문자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착신 전화번호와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해당 착신 전화번호로부터의 발신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착신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문자나 멀티 미디어 데이터는 이동 통신망에서 하나의 상표나 상호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판매 또는 경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즉,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인터넷상에서 판매 또는 경매를 통해 등록될 수 있다.
상기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호, 상표 뿐 아니라 제품의 모델 이미지 또는 인물 사진, 홍보 동영상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 가입자는 자신을 표시하거나 홍보하는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등록하여 자신의 착신 전화번호 및 발신자 표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위한 이동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위한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송신되어 온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등으로 구성된 저잡음 증폭부, 상기 저잡음 증폭부를 통해 입력된 주파수 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113)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복조부(113)와 변조부(111)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 이터에 대해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인터리빙(Interleaving)과 블록 코딩(Block Coding) 및 컨벌루션 코딩(Convolution Coding)을 실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09), 기지국과 소정 규격에 따라 송수신하게 되는 제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상대방 단말부터의 음성 신호를 가청 음성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3)와 수신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서 변환 입력하는 마이크로폰(101), 상기 마이크로폰(101)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109)를 통해서 인가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03)로 출력하는 등의 음성 처리를 실행하는 음성 처리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109)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111)와 상기 변조부(111)에서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117), 사용자 단말(100)의 각종 동작 상태나 조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부(123), 상기 데이터 처리부(107)를 통한 기지국과의 송수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 상태를 동작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19), 상기 제어부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125), 상기 제어부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처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127)를 더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복조부(113)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여 그 수신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를 더 포함하며, 이는 사용자 단말(100)의 기지국 선택이나 핸드 오버(Hand Over)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키입력부(117)는 자동 저장된 발신 번호의 조회 및 선택을 위한 기능키를 구비하며, 제어부(119)는 수신되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수신자의 필요에 따라 재접속을 실행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메모리(125)는 상기 제어부(119)의 발신자 전화 번호 기록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발신 문자 인식 모듈(129)을 구비하며, 상기 인식 모듈 다운로드부로부터 제공된 문자 발신 인식 모듈(129)을 프로그램 형태로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문자 발신 인식 모듈(129)은 통화 버튼에 의해 발신 콜 요청 이전에 입력된 것이 숫자가 아닌 경우를 인식하여, 숫자가 아닌 경우에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통화 요청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파일명 또는 특정 식별자를 문자로서 인식하여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 문자 인식 모듈은 터치 패드 기능을 추가하여, 터치 패드로 입력된 텍스트를 문자로서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위한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면부호 A로 도시된 숫자를 입력하여 발신할 경우, 도면부호 B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하여 발신할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면부호 A로 도시된 숫자를 입력하여 발신할 경우, 입력 데이터는 "010-xxx-xxxx"와 같은 숫자 착신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이때 변환되는 데이터에서, 문자/숫자 구별비트가, 예를 들어, “0”으로서, 발신이 숫자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숫자 및 문자는 각각 고유의 코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코드를 이용하여 숫자 및 문자를 서로 구분하는 임의의 기술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부호 B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하여 발신할 경우, 착신 전화번호 대신에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며, 변환되는 데이터에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발신 인식 모듈을 통해 문자로 인식되어 발송됨으로써, 후속적으로 회송 전화번호가 전달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시, 회송 전화번호가 전달되지 않고, 상대방 단말에게 곧바로 일방향으로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착신 번호에 해당하는 "홍길동"은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파일명이나 식별자로 대체될 수 있다. 착신 전화번호가 숫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발신 콜은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300)으로 연결된다.
도 5는 사용자 단말에서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 템(300)으로 호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지만, 문자 발신 콜 서비스의 경우에도 이동 통신사 시스템(200)으로 우선적으로 호 연결을 수행하고, 문자 발신 콜 서비스 해당 여부를 이동 통신사 시스템(200)이 판단하여, 발신 콜을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300)으로 연결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 방법은, 먼저, 가입자는 가입자 단말(10)을 사용하여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S610), 소정의 가입 절차에 따라 문자 발신 콜 서비스에 가입한다(S620). 이때, 가입자는 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의 가입자 정보를 기재하게 되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는 이러한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DB에 저장하고, 가입자별로 정보를 분류하게 된다. 상기 가입자 단말(10)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가 해당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입자는 문자 발신 콜을 위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등록한다(S630). 즉, 가입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문자 발신 콜을 위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록한다.
상기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온라인 판매 또는 경매의 방식으로 선택 및 등록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문자 발신 콜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인식 모듈 프로그램 또는 등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할 수 있다(S640).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다운로드는 이미지나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발신 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 수행되며, 단순한 텍스트를 이용한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0), 예를 들면, 휴대폰을 이용하여 전화를 하되, 숫자가 아닌 등록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 통화 요청 버튼을 누른다(S65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내의 문자 발신 인식 모듈을 통해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발신 문자로 인식되고, 이때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달된다(S660).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발신 콜의 경우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소스 일부가 전송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100)과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 사이에 동일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파일명과 같은 식별자만이 문자로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미지나 동영상의 용량에 상관없이 발신 콜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제품, 인물 홍보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잇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의의 정보를 "멀티미디어데이터 식별자"라고 칭한다.
다음으로,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는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수신된 특 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로직을 호출하여, 수신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등록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확인한다(S670). 즉, 가입자가 전송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웹사이트를 통해 등록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수신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등록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는 등록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 단말(400)의 착신 전화번호를 검색한다(S680).
이후,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는 상기 수신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과 함께 전송된 가입자 발신 전화번호와 검색된 가입자 단말(10)의 착신 전화 번호간의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S690). 여기서, 가입자 단말(10)은 상대방 단말(400)에 해당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송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의 웹사이트에 미리 등록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00)에 전화번호부에 상대방에 대한 전화번호가 보관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간단히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만 입력하면,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이 착신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신속하게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해주게 된다. 이때, 착신 전화번호는 사용자 단말(100)로 회송되지 않는다.
한편,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통화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대방 단말(400)의 다른 착신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통화를 연결해주거나,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콜 연결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역시 문자 발신 콜 서비스의 가입자라면, 착신 전화번호를 갖는 가입자 단말(10)에는 사용자 단말(100)의 발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이미 특정 가입자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또는 그 식별자)를 등록해두었기 때문에, 가입자로부터 발생한 콜 연결 요청에 대해, 발신자의 정보로서 전화번호 대신 상기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또는 그 식별자)를 대신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예시하는 도면들로서,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가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는 사용자 단말이 대기화면(711)에서,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로 통화를 연결한 화면(712),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인 (주)국가를 통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713) 및 통화가 종료된 상태의 화면(714)을 순서별로 나타내고 있다.
도 7b는 사용자 단말이 대기화면(721)에서, 터치패드로 입력된 텍스트로 통화를 연결한 화면(722),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인 (주)국가를 통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723) 및 통화가 종료된 상태의 화면(724)을 순서별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터치패드로 입력된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는 모듈이 탑재된 단말이어야 한다.
도 7c는 사용자 단말이 대기화면(731)에서, 카메라로 찍은 영상 사진을 사용자 단말이 인식하여 통화를 연결한 화면(732),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인 (주)국가를 통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733) 및 통화가 종료된 상태의 화면(734)을 순서별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카메라가 탑재되어야 하며,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이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로 찍은 영상 사진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의 웹사이트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이동단말용 문자 발신 콜 서비스에 있어서, 영상통화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이 텍스트로 통화를 요청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801), 및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인 (주)국가로 연결된 후 상대방 단말과 통화가 연결되어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802)을 각각 보여준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및 타사용자 단말간의 전화 통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발신 콜 서비스에 있어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화를 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대신 특정 문자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면부호 9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텍스트를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면부호 902는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면부호 903은 상대방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대신 특정 문자가 나타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발신을 요청한 사용자가 자신의 번호를 "특허 사무소"라는 문자로서 등록한 경우에는, 상대방 단말에는 발신자의 전화 번호 대신 "특허 사무소"라는 문자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표시 문자는 통상의 발신자 ID(CID)의 영역에 문자를 삽입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발신자 전화번호 대신 특정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듈 또는 프로그램이 구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전화번호가 회송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서 사용자가 특정 문자나 영상을 발신하면,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는 곧바로 해당되는 착신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통화를 연결할 수 있게 되며, 이때, 특정 문자나 영상은 이동통신망에사 상표나 상호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발신 콜 서비스 가입자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등록된 문자를 입력할 경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 단말에게 회송 전화번호를 발송하지 않고,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를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문자 뿐 아니라 이미지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신 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발신 콜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상호, 상표, 홍보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Claims (16)

  1.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발신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문자 발신 콜 서비스 가입시 기재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DB;
    문자 발신 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위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문자 발신 DB; 및
    발신 콜에 있어, 발신 콜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문자 발신 DB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갖는 상대방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에 통화를 연결해주는 문자 발신 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발신 콜 서버는, 상기 가입자 DB에 저장된 가입자의 발신인 경우 콜 연결 데이터의 발신자 식별자(CID)에 상기 문자 발신 DB에 저장된 상기 가입자의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를 포함시키며,
    상기 발신 콜 요청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의 문자 발신 인식 모듈이 전화 번호 대신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상기 문자 발신 콜 서버로 콜 연결 요청시에 전송되는 것인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화 번호와 문자를 구분하여 문자 발신 서비스 요청인 경우 상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콜 연결을 지향시키는 문자 발신 인식 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다운로드해주는 문자 발신 인식 모듈 다운로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발신 인식 모듈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식별자를 문자로서 인식하여, 상기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지향시키는 것인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 및 등록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를 통해, 착신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판매 또는 경매를 제공하는 것인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또는 경매가 완료되어 등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가 부여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것인 발신 콜 서비스 시스템.
  7.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발신 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문자 발신 콜을 위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등록을 제공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문자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한 발신 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특정 문자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등록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등록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e) 상기 검색된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신망을 경유해 상대방 단말간의 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f) 상기 발신 콜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 상기 가입 사용자 단말의 발신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 식별자를 검색하는 단계; 및
    g) 상기 검색된 특정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 식별자를 콜 연결 데이터의 발신 식별자에 포함시켜 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 콜 요청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의 문자 발신 인식 모듈이 전화 번호 대신 상기 특정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문자 발신 콜 서버로 콜 연결 요청시에 전송되는 것인 발신 콜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전화 번호와 문자를 구분하여 문자 발신 서비스 요청인 경우 상기 문자 발신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콜 연결을 지향시키는 문자 발신 인식 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신 콜 서비스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멀티 미디어 데이터 식별자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신 콜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20070063643A 2007-06-27 2007-06-27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97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3643A KR100997689B1 (ko) 2007-06-27 2007-06-27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3643A KR100997689B1 (ko) 2007-06-27 2007-06-27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12A KR20090002312A (ko) 2009-01-09
KR100997689B1 true KR100997689B1 (ko) 2010-12-01

Family

ID=4048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636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7689B1 (ko) 2007-06-27 2007-06-27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329B1 (ko) * 2010-11-29 2011-05-09 김성열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
KR102532371B1 (ko) * 2022-07-01 2023-05-15 송성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문자번호 발신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124A (ko) 2004-09-02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124A (ko) 2004-09-02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12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3969B2 (en) Mobile terminal for chatting by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JP4542299B2 (ja) 通信網内で情報を交換する方法と装置
CN102714681B (zh) 用于使用语音信箱提供消息传送的方法和装置
US689193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6248077B2 (ja) 音声通話のデータセッションへの変換をサポートするセルラー電話システム
WO2007074959A1 (en) System for providing share of contents based on packet network in voice comunication based on circuit network
TW200400750A (en) Communication system, data processing control method, server and data processing control program
JP2006514513A (ja) 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方法
US20070165800A1 (en)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0678086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997689B1 (ko)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66859B1 (ko)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7094151A1 (ja) 電話中継装置、電話中継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02116B2 (ja) データ共有機能を有した通話システム
KR20040044256A (ko)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및 장치
JP5049203B2 (ja) 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バ装置
RU22666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JP2006129379A (ja) 携帯電話端末の録画メッセージ提供システム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661187B1 (ko) 대표전화번호를 이용한 그룹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20016333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0553136B1 (ko)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93323B1 (ko)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708535B1 (ko) 전화번호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20040066959A (ko) 웹 자동 응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