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83160B1 -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160B1
KR100983160B1 KR1020100025271A KR20100025271A KR100983160B1 KR 100983160 B1 KR100983160 B1 KR 100983160B1 KR 1020100025271 A KR1020100025271 A KR 1020100025271A KR 20100025271 A KR20100025271 A KR 20100025271A KR 100983160 B1 KR100983160 B1 KR 10098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ainwater
rain
introducing
gra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호
김윤배
Original Assignee
(주)보성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성건영 filed Critical (주)보성건영
Priority to KR102010002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1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가에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에 있어서, 기 설치된 빗물받이의 바닥을 준설하고 살수(撒水) 청소하는 단계, 상기 빗물받이의 바닥면을 일정 심도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공간에 자갈 및 왕마사로 치환하는 단계, 상기 자갈 및 왕마사 위에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기 상에 청소 및 유지관리용 분리 상부 캡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빗물받이를 개선함으로써, 빗물이 지하로 유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Method for introducing rainwater into a underground using existing case of rainwater, and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본 발명은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가에 기 설치된 빗물받이에서 수집된 빗물을 하수관으로 배수하기 전에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을 지하로 유입시킬 수 있는 기존 빗물받이 성능 개선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엔(UN)의 발표에 따르면 향후 우리나라가 물이 부족한 물 부족 국가, 물 기근 국가가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강수량이 여름철에 집중되는 지역적인 특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없는 것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시가 발달하면서 건축 면적이 증가하고, 도로가 포장되면서, 투수 면적이 감소하는 것에 비례하여 지하로 침투하는 수량이 급격하게 감소되고, 그에 따라 지하수가 점차 고갈되고, 아울러 수분 공급이 어렵게 됨으로써 식물이 성장하기 어렵고, 토양 생태계가 파괴되며 갈천 현상이 증가되면서 하천 생태계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불투수면적의 증가 현상은 집중 호우 시 저지대가 침수되는 원인이 되고, 하천이 범람하는 위험이 있다.
여기에 환경이 오염되면서 대기권과 지표면을 통과한 빗물에 무기, 유기성 오염 물질이 포함되고, 이들이 포함된 상태에서 지하로 침투하여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가에는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빗물받이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 빗물받이 시설은 집수된 빗물을 그대로 하수구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토양에의 빗물 유입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빗물받이 시설을 성능 개선하여 지하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존 빗물받이 성능 개선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가에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에 있어서, 기존에 설치된 빗물받이의 바닥을 준설하고 살수(撒水) 청소하는 단계, 상기 빗물받이의 바닥면을 일정 심도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공간에 친환경 재료인 자갈 및 왕마사로 치환하는 단계, 상기 자갈 및 왕마사 위에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기 상에 청소 및 유지관리용 분리 상부 캡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천공 단계는, 코아 드릴(Core Drill)을 이용하여 천공할 수 있다.
상기 여과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기의 외부는 PVC(polyvinyl chloride)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기 내부에 미세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막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막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 상부 캡은 청소를 위하여 상기 여과기와 분리/결합하기 위한 나선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기는 분리 상부 캡의 나선형 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나선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상부 캡은 위로 들어올려 청소 및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상면 중앙부에 환형(環形)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여과 장치는 빗물받이 본체의 바닥면 중 일부를 천공하여 일정심도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자갈 및 왕마사로 치환되며, 상기 자갈 및 왕마사 위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 및 상기 여과기 상에 설치된 청소 및 유지관리용 분리 상부 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빗물받이를 개선함으로써, 빗물이 지하로 유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빗물이 지하로 유입됨으로써, 지하수가 증가하고, 토양의 건조화가 해결되며, 지반 침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빗물받이를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면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빗물받이가 설치된 도로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와 청소용 분리 상부 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설치된 빗물 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기존 빗물받이와 본 발명의 개선된 빗물받이에서의 빗물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빗물받이가 설치된 도로의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도(1)와 인도(3)가 도시되어 있고, 차도(1)의 측면에 빗물받이(100)가 설치되어 있다. 차도(1)는 가운데 부분이 높고 인도(3)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되어 있어서, 빗물이 빗물받이(100)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빗물받이(100)는 연결관(5)에 의하여 하수관(7)과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기존에는 빗물받이(100)로 유입되는 빗물이 그대로 하수관(7)으로 배수됨으로써, 지표면으로의 자연적 빗물 유입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지하수가 고갈되고, 토양이 건조화되고, 지반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빗물받이의 성능을 개선하여 최대한 지하로 빗물을 유입하는 공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빗물받이(100)는 스틸 그레이팅 뚜껑(110), 본체(120), 자갈 및 왕마사(140), 여과기(150), 분리 상부 캡(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틸 그레이팅 뚜껑(110)은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스틸 그레이팅 뚜껑(110)은 빗물과 함께 휩쓸려 들어오는 이물질을 일차로 제거하도록 격자로 형성되어 본체(120)의 상단에 수평 상태로 설치된다.
본체(120)는 스틸 그레이팅 뚜껑(110)을 지지하고, 유입된 빗물 중 일부를 하수관(7)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연결관(5)과 연결되고, 바닥면 중 일부분이 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120)의 바닥면 중 천공된 부분에 일정심도로 천공 공간(130)이 형성되고, 친환경 재료인 자갈 및 왕마사(140)가 천공 공간(130)에 치환된다.
여과기(150)는 자갈 및 왕마사(140) 위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여과기(150)는 상부가 개방되고,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여과기(150)는 PVC(polyvinyl chloride)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 상부 캡(160)은 여과기(150)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분리 상부 캡(160)은 여과기(150)와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분리 상부 캡(160)을 여과기(150)에 탈착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기(150)에 누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 상부 캡(160)은 여과기(150)와 분리/결합하기 위한 나선형 홈이 형성되고, 여과기(150)는 분리 상부 캡(160)의 나선형 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와 분리 상부 캡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과기(150)와 분리 상부 캡(160) 표면에는 빗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여과기(150)가 원통형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여과기(150) 내부에 부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막(170)이 구비될 수 있다. 필터막(170)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필터막(170)을 구비함으로써, 분리 상부 캡(160)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을 여과하고, 분리 상부 캡을 통과한 미세한 이물질을 필터막(170)을 통하여 2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깨끗한 물을 지하로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리 상부 캡(160)은 상면 중앙부에 환형(環形) 돌출부(16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환형 돌출부(162)가 분리 상부 캡(160)에 구비됨으로써, 위에서 갈고리 등을 사용하여 환형 돌출부(162)에 체결하여 분리 상부 캡(160)을 들어올려 여과기(150)를 청소하고, 청소 후에 환형 돌출부(162)를 사용하여 분리 상부캡(160)과 여과기(15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분리 상부캡(160)을 여과기(150)에 탈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설치된 빗물 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기존에 설치된 빗물받이의 바닥면을 준설하고, 살수(撒水) 청소를 시행한다(S100).
다음, 설치된 빗물받이의 바닥면을 일정 심도로 천공한다(S200). S200 단계의 빗물받이 종단면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천공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아 드릴(Core Drill)을 이용하여 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천공 공간(130)에 자갈 및 왕마사(140)로 치환한다(S300). S300 단계의 빗물받이 종단면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자갈 및 왕마사(140) 위에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150)를 설치한다(S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여과기(150)는 상부가 개방되고,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여과기(150)는 PVC(polyvinyl chloride)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 여과기(150) 상에 분리 상부 캡(160)을 설치한다(S500). S400, S500 단계의 종단면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분리 상부 캡(160)은 여과기(150)와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분리 상부 캡(160)을 여과기(150)에 탈착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기(150)에 누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 상부 캡(160)은 여과기(150)와 분리/결합하기 위한 나선형 홈이 형성되고, 여과기(150)는 분리 상부 캡(160)의 나선형 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기존 빗물받이와 본 발명의 개선된 빗물받이에서의 빗물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존 빗물받이에서의 빗물 흐름과 본 발명에서의 개선된 빗물받이에서의 빗물 흐름을 비교할 수 있다.
기존 빗물받이에 유입된 빗물(A)은 연결관(5)을 통해 하수관(7)으로 배수되는 구조이다. 이처럼, 기존 빗물받이에서는 유입되는 빗물(A)이 그대로 하수관(7)으로 배수됨으로써, 지하로의 자연적 빗물 유입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지하수가 고갈되고, 토양이 건조화되고, 지반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개선된 빗물받이(100)에서는, 유입된 빗물(A) 중 일부는 연결관(5)을 통해 하수관(7)으로 흘러들어가고, 일부는 여과기(150), 자갈 및 왕마사(140)를 거쳐 정수되고, 이렇게 정수된 물이 지하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개선된 빗물받이(100)에서는 지하로의 자연적 빗물 유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 빗물받이에서 발생하던 지하수 고갈, 토양 건조화, 지반 약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 차도 3 인도
5 연결관 7 하수구
100 빗물받이 110 스틸 그레이팅 뚜껑
120 본체 130 천공 공간
140 자갈 및 왕마사 150 여과기
160 분리 상부 캡 162 환형 돌출부
170 필터막

Claims (15)

  1. 도로가에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에 있어서,
    기 설치된 빗물받이의 바닥을 준설하고 살수(撒水) 청소하는 단계;
    상기 빗물받이의 바닥면을 일정 심도로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공간에 자갈과 왕마사로 치환하는 단계;
    표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갈과 왕마사 위에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기의 나선형 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여과기와의 분리/결합을 위한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기 상에 청소 및 유지관리를 위한 분리 상부 캡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단계는, 코아 드릴(Core Drill)을 이용하여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PVC(polyvinyl chloride) 소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 내부에 부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막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막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소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상부 캡은 위로 들어올려 청소 및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상면 중앙부에 환형(環形)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9.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여과하기 위한 스틸 그레이팅 뚜껑, 상기 스틸 그레이팅 뚜껑을 지지하고, 유입된 빗물 중 일부를 하수관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연결관과 연결되는 본체로 구성되는 빗물받이에서의 빗물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 중 일부를 천공하여 일정심도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치환되는 자갈 및 마사토;
    표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갈 및 마사토 위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 및
    상기 여과기의 나선형 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여과기와의 분리/결합을 위한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기 상에 청소 및 유지관리를 위해 설치되는 분리 상부 캡을 포함하는 빗물 여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여과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PVC(polyvinyl chloride) 소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여과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 내부에 부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여과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막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소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여과 장치.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상부 캡은 위로 들어올려 청소 및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상면 중앙부에 환형(環形)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여과 장치.
KR1020100025271A 2010-03-22 2010-03-22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Active KR10098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271A KR100983160B1 (ko) 2010-03-22 2010-03-22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271A KR100983160B1 (ko) 2010-03-22 2010-03-22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160B1 true KR100983160B1 (ko) 2010-09-20

Family

ID=4301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271A Active KR100983160B1 (ko) 2010-03-22 2010-03-22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1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132B1 (ko) 2009-12-30 2011-10-27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도로용 빗물받이
KR102067348B1 (ko) * 2018-12-20 2020-02-11 박지운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KR20200110142A (ko) * 2019-03-15 2020-09-23 최승선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468A (ja) * 1992-04-02 1993-10-26 Tadashi Nakamur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ー
KR20000072406A (ko) * 2000-09-01 2000-12-05 전양근 자연정화식 맨홀
KR100691566B1 (ko) * 2005-02-25 2007-03-09 조명자 우수 저류 및 지하 침투를 유도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468A (ja) * 1992-04-02 1993-10-26 Tadashi Nakamur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ー
KR20000072406A (ko) * 2000-09-01 2000-12-05 전양근 자연정화식 맨홀
KR100691566B1 (ko) * 2005-02-25 2007-03-09 조명자 우수 저류 및 지하 침투를 유도하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132B1 (ko) 2009-12-30 2011-10-27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도로용 빗물받이
KR102067348B1 (ko) * 2018-12-20 2020-02-11 박지운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KR20200110142A (ko) * 2019-03-15 2020-09-23 최승선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200336B1 (ko) * 2019-03-15 2021-01-11 최승선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1749656B1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KR101323288B1 (ko)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JP5101379B2 (ja) 雨水浸透桝用フィルタ、及び雨水浸透桝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5224388B2 (ja) 浸透装置用フィルタ及び浸透装置
KR101038336B1 (ko)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KR101333120B1 (ko)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US20120228234A1 (en) Filter Adapted for use in a Road Gully or Water Course
KR20120006715A (ko) 배수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 기능을 갖는 측구 및 초기우수 재활용 방법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546061B1 (ko) 다면적 여과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 전량 여과방법 및 장치
JP4386952B2 (ja) 雨水桝の施工構造
KR101593907B1 (ko)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JP2009074285A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への雨水供給配管構造
KR20100059750A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036279B1 (ko) 집배수시설용 침투식 비점오염 정화장치
JP6393379B1 (ja) 縦型雨水浸透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42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