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641B1 -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Google Patents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2641B1 KR100982641B1 KR1020080124810A KR20080124810A KR100982641B1 KR 100982641 B1 KR100982641 B1 KR 100982641B1 KR 1020080124810 A KR1020080124810 A KR 1020080124810A KR 20080124810 A KR20080124810 A KR 20080124810A KR 100982641 B1 KR100982641 B1 KR 1009826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organic hybrid
- adsorbent
- organic
- acid
-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6)
- 염화물을 포함하는 무기산의 금속전구체, 리간드로 작용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반응물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단계 1),여기서, 상기 리간드로서 작용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은 카르복실산기, 카르복실산의 음이온기, 아미노기(-NH2), 이미노기(), 아미드기(-CONH2), 술폰산기(-SO3H), 술폰산 음이온기(-SO3 -), 메탄디티오산기(-CS2H), 메탄디티오산 음이온기(-CS2 -), 피리딘기 및 피라진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임;상기 반응물 혼합액을 전기가열 또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80 ℃ ~ 250 ℃로 가열하여 유무기 혼성체를 형성하는 단계(단계 2); 및상기 단계 2에서 수득된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무기염, 산도조절제 또는 용매로 처리함으로써 정제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금속 전구체는 Ti, Zr, Hf, V, Nb, Ta, Cr, Mo, W, Mn, Re, Fe, Ru, Os, Co, Rh, Ir, Ni, Pd, Pt, Cu, Ag, Au, Zn, Cd, Hg, Mg, Ca, Sr, Ba, Sc, Y, Al, Ga, In, Tl, Si, Ge, Sn, Pb, As, Sb 및 B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금속 전구체가 Cr, Fe, Al, Cu, Mn 및 V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복실산의 음이온기를 갖는 화합물이 벤젠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디카복실산, 벤젠트리카복실산, 나프탈렌트리카복실산, 피리딘디카복실산, 비피리딜디카복실산, 포름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헥산다이오익산, 헵탄다이오익산 및 시클로헥실디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사용되는 무기염은 암모늄이온(NH+ 4),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가 또는 2가의 양이온과, 할로겐 음이온, 탄산 이온 (CO3 2-), 질산 이온 및 황산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가 또는 2가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무기염을 사용하여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처리함으로써 다공성 유무기혼성체 내의 불순물을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는 크롬테레프탈레이트, 철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테레프탈레이트, 구리테레프탈레이트, 바나듐테레프탈레이트, 및 망간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는 M3O(H2O)2Cl1-xOHx[C6H3-(CO2)3]2 ·nH2O (n~14.5), (0<x<1, M=Cr, Fe, Al, Cu, Mn and 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는 M3Cl1-xOHx(H2O)2O[C6H4(CO2)2]3·nH2O (n~25) (0<x<1, M=Cr, Fe, Al, Cu, Mn and 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는 나노입자, 분말, 박막, 하니컴 펠렛, 로터 또는 멤브레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제1항의 흡착제를 이용하여 수분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흡착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10 ~ 100 ℃에서 흡착제 1 g당 0.1 ~ 1 g의 흡착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착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10 ~ 100 ℃에서 수분탈착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착제.
- 제1항의 흡착제를 이용하여 증기상 또는 입자상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흡착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 제1항의 흡착제를 이용하여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타르, 니트로소아민류 및 폴리사이클릭아로마틱하이드로카본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증기상 또는 입자상의 물질의 흡착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810A KR100982641B1 (ko) | 2008-12-09 | 2008-12-09 |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810A KR100982641B1 (ko) | 2008-12-09 | 2008-12-09 |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6140A KR20100066140A (ko) | 2010-06-17 |
KR100982641B1 true KR100982641B1 (ko) | 2010-09-16 |
Family
ID=4236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4810A Active KR100982641B1 (ko) | 2008-12-09 | 2008-12-09 |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2641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3182B1 (ko) | 2011-11-25 | 2013-11-27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제거용 다공성 복합체 및 이를 채용한 오존 촉매 산화 반응기 |
KR20190061338A (ko) | 2017-11-27 | 2019-06-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무기 하이브리드 입자, 이를 포함하는 메탄 저장용 다공성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90061326A (ko) | 2017-11-27 | 2019-06-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올레핀에 대한 선택적 흡착능을 갖는 분리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90123944A (ko) | 2018-04-25 | 2019-11-0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일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적 흡착능을 갖는 일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90124478A (ko) | 2018-04-26 | 2019-11-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일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적 흡착능을 갖는 일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40012080A (ko) | 2022-07-20 | 2024-01-29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하이드록시 리간드를 함유하는 유무기나노세공체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75025B2 (en) * | 2011-06-01 | 2015-11-03 |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Method for preparing porous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
KR101253985B1 (ko) * | 2013-01-14 | 2013-04-15 | 한국화학연구원 |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포함하는 흡착제 및 그의 응용 |
CN103130822B (zh) * | 2013-02-25 | 2015-04-22 | 太原理工大学 | 一种碱土金属有机晶体材料的制备方法 |
KR101626857B1 (ko) * | 2014-05-15 | 2016-06-03 | 주식회사 세일에프에이 | 유해기체 제거용 구리-망간 산화물 제조 방법 |
US12312442B2 (en) | 2018-12-19 | 2025-05-27 | Lg Chem, Ltd. | Method for separating organic zinc catalyst using filtering membrane |
CN115805062B (zh) * | 2022-11-29 | 2024-04-26 | 四川轻化工大学 | 双配体型Met-MIL-101物理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6655662A (zh) * | 2023-04-25 | 2023-08-29 | 东南大学 | 一种基于哌啶的锌基有机-无机杂化晶体及其制法和应用 |
CN116408337B (zh) * | 2023-05-31 | 2023-10-17 | 瑞邦环境治理(广东)有限公司 | 一种存量垃圾原位好氧稳定化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0767B1 (ko) | 2006-02-07 | 2007-02-09 | 한국화학연구원 | 다공성 유무기혼성체의 제조방법 |
KR100806586B1 (ko) | 2006-03-10 | 2008-02-28 | 한국화학연구원 | 수분의 흡착 및 탈착을 위한 흡착제 |
-
2008
- 2008-12-09 KR KR1020080124810A patent/KR10098264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0767B1 (ko) | 2006-02-07 | 2007-02-09 | 한국화학연구원 | 다공성 유무기혼성체의 제조방법 |
KR100806586B1 (ko) | 2006-03-10 | 2008-02-28 | 한국화학연구원 | 수분의 흡착 및 탈착을 위한 흡착제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3182B1 (ko) | 2011-11-25 | 2013-11-27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제거용 다공성 복합체 및 이를 채용한 오존 촉매 산화 반응기 |
KR20190061338A (ko) | 2017-11-27 | 2019-06-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무기 하이브리드 입자, 이를 포함하는 메탄 저장용 다공성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90061326A (ko) | 2017-11-27 | 2019-06-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올레핀에 대한 선택적 흡착능을 갖는 분리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90123944A (ko) | 2018-04-25 | 2019-11-0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일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적 흡착능을 갖는 일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90124478A (ko) | 2018-04-26 | 2019-11-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일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적 흡착능을 갖는 일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40012080A (ko) | 2022-07-20 | 2024-01-29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하이드록시 리간드를 함유하는 유무기나노세공체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6140A (ko) | 2010-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2641B1 (ko) | 결정성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
KR101158456B1 (ko) | 결정성의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5453101B2 (ja) | 多孔性有・無機混成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吸着剤 | |
KR100806586B1 (ko) | 수분의 흡착 및 탈착을 위한 흡착제 | |
KR101273877B1 (ko) | 결정성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53985B1 (ko) |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포함하는 흡착제 및 그의 응용 | |
KR100803945B1 (ko) | 수분의 흡착을 위한 유무기 다공성 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20021899A (ko) |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포함하는 흡착제 및 그의 응용 | |
KR20110019804A (ko) | 유무기혼성 나노세공체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하여 수득되는 유무기혼성 나노세공체 및 이의 용도 | |
KR100895413B1 (ko) | 다공성 유무기혼성체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하여수득되는 유무기혼성체 및 이의 촉매적 용도 | |
KR100803964B1 (ko) | 철이 포함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및 이를 이용한수분흡착제 | |
KR100733347B1 (ko) |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이용한 특정유해물질의 제거방법 | |
JP5551119B2 (ja) | 多孔性有・無機混成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吸着剤 | |
KR101105640B1 (ko) | 공기 처리 장치 | |
KR100890347B1 (ko) | 다공성 유무기혼성체를 함유하는 흡착제 | |
KR101082832B1 (ko) |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하여 수득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및 이의 흡착제로서의 용도 | |
KR100912790B1 (ko) | 다공성 유무기혼성체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하여 수득되는 유무기혼성체 및 이의 촉매적 용도 | |
HK1130218B (en) | Adsorbent for water adsorption and desorp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