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89524B1 - 보호용 헬멧 - Google Patents

보호용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524B1
KR100989524B1 KR1020100024643A KR20100024643A KR100989524B1 KR 100989524 B1 KR100989524 B1 KR 100989524B1 KR 1020100024643 A KR1020100024643 A KR 1020100024643A KR 20100024643 A KR20100024643 A KR 20100024643A KR 100989524 B1 KR100989524 B1 KR 100989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lens
concave
hinge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0002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5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05Linings with additional protection f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2Suspension devices with restraining or stabilizing means, e.g. nap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쉘; 상기 쉘의 내측에 설치되어 머리를 쉘로부터 이격시키는 라이너링; 상기 쉘의 내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회전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쉘의 내부에 고정하는 어저스터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어저스터패스너는 상기 쉘의 양측에 마련되는 보스; 상기 보스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요철이 마련된 요철링; 상기 렌즈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요철링에 삽압되어 회전하며, 상기 요철에 교합되어 요철을 따라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회전하는 돌기를 갖는 힌지; 및 상기 힌지를 상기 보스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렌즈에 마련되고, 상기 힌지와 함께 상기 요철링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돌기; 및 상기 요철링의 외주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보호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호용 헬멧은 렌즈의 회전각도조절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안면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머리를 전방, 후방 및 측방의 이물질이나 열로부터 보호한다.

Description

보호용 헬멧{PROTECTIVE 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함과 아울러 작업현장의 열이나 이물질로부터 전방과 양측방 및 후방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보호용 헬멧은 소방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소방현장이나 건설현장에는 여러가지의 위험한 구조물이 산재되어 있으며, 작업중에 구조물들이 낙하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장에 노출되는 작업자의 신체, 특히 머리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헬멧을 필수적으로 착용하여 왔다.
보호용 헬멧은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에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경량성을 갖도록 제작되며, 또한 우수한 강도로 제작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부위를 보호한다.
통상의 보호용 헬멧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머리를 보호하는 헬멧외피와, 헬멧외피의 내측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며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내피와, 헬멧외피를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끈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근래에는 작업자의 안면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렌즈가 설치된다. 이러한 렌즈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고강도로 제작되는 투명판으로써, 작업시에는 안면부를 폐쇄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열로부터 보호하고, 평상시에는 개방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보호용 헬멧은 전술한 렌즈에 의해 안면부가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만이 가능하고, 일부만의 개폐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렌즈는 안면부의 개방시에 헬멧외피의 외측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통상의 헬멧은 헬멧내피의 상부에 메쉬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작업자의 머리 상부에 안착된다. 이러한 메쉬는 직물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머리에 직접 접하기 때문에 헬멧으로부터 분리하여 자주 세탁하여야 한다. 그러나 통상의 헬멧은 메쉬가 헬멧내피에 분리가 안되도록 고정되어 메쉬를 세탁하기 위해서는 헬멧내피를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헬멧내피가 헬멧외피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메쉬만의 분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통상의 헬멧은 작업자의 머리부분만을 보호하기 때문에 귀부위나 후두부, 목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어 작업자의 측방 및 후방의 열이나 이물질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안면부를 보호하는 렌즈의 단계적인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렌즈에 의한 안면부의 일부개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렌즈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용 헬멧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렌즈의 개방시 렌즈가 헬멧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보호용 헬멧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헬멧의 헬멧내피를 분리하지 않고도 헬멧내피에 결합된 메쉬만을 따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보호용 헬멧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헬멧의 내측에 충격을 흡수하는 별도의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보호용 헬멧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덧붙여, 머리부위뿐만 아니라 귀와 후두부 및 후방의 목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용 헬멧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쉘; 상기 쉘의 내측에 설치되어 머리를 쉘로부터 이격시키는 라이너링; 상기 쉘의 내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회전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쉘의 내부에 고정하는 어저스터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어저스터패스너는, 상기 쉘의 양측에 마련되는 보스; 상기 보스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요철이 마련된 요철링; 상기 렌즈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요철링에 삽압되어 회전하며, 상기 요철에 교합되어 요철을 따라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회전하는 돌기를 갖는 힌지; 및 상기 힌지를 상기 보스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렌즈에 마련되고, 상기 힌지와 함께 상기 요철링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돌기; 및 상기 요철링의 외주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보호용 헬멧에 관계한다.
삭제
삭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요철에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힌지에 마련된 돌기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보스와 상기 요철링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의 돌기와 교합하는 요철에 유동공간을 제공하여 요철을 탄성변형시키는 탄성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쉘은 양측 및 후방에서 연장되어 귀와 머리의 후두부를 보호하는 넥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쉘의 내측에 마련되어 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인너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너쉘은, 상기 쉘의 상부에 부착되어 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하드폼; 및 상기 하드폼의 하부에 적층되고, 방사상으로 복수의 절개부를 가지며, 하드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소프트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라이너링에 결합되고 라이너링의 상부를 통기가능하게 차폐하는 메쉬; 및 상기 메쉬를 상기 라이너링에 탈부착시키는 패스너;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라이너링의 일단부에 돌출되는 복수의 끼움돌기; 상기 메쉬의 일단부에 매립되고 상기 끼움돌기에 결합되는 다수의 끼움공이 일체로 마련되는 끼움편; 상기 라이너링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속공; 및 상기 메쉬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속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쉬를 라이너링에 결속시키는 벨크로패스너;를 포함한다.
덧붙여, 본 발명은 상기 라이너링의 후방 둘레에 다수 마련되고, 상기 라이너링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결합편; 및 상기 결합편에 결합되고, 상기 쉘의 후방을 차폐하여 열이나 이물질로부터 목부위를 보호하는 네크후드;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용 헬멧은 어저스터패스너에 의해 렌즈의 회전각도조절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안면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안면부를 개폐하는 렌즈가 스토퍼에 의해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며, 탄성수단에 의해 렌즈가 원활하게 회전된다.
삭제
또, 쉘에 연장되는 넥가이드에 의해 측방 및 후방의 위험요소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쉘에 가해지는 충격이 인너쉘에 의해 완충되므로 작업자의 머리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패스너에 의해 메쉬만을 헬멧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메쉬의 세탁시나 교환시에 메쉬만을 간편하게 분리하고 세탁 후에 재부착할 수 있다.
또한, 벨크로패스너에 의해 메쉬의 고정위치를 머리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귀와 후두부 및 목부위가 네크후드에 의해 보호되므로 작업자의 측방 및 후방을 열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결합편이 라이너링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므로 네크후드를 라이너링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의 어저스터패스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의 어저스터패스너를 나타내는 확대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의 라이너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을 나타내는 일측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의 어저스터패스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의 어저스터패스너를 나타내는 확대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의 라이너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용 헬멧을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보호용 헬멧(100)은 쉘(10)과, 라이너링(20)과, 렌즈(30) 및 어저스터패스너(40)를 포함한다.
쉘(10)은 머리에 씌워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한다. 쉘(10)은 고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또한 내열성이 높고 방염성을 갖는 플라스틱계열의 재질로 형성된다. 쉘(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표면에 리브(11)가 마련된다.
한편, 쉘(10)은 귀와 머리의 후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양형태의 넥가이드(13)가 마련된다. 넥가이드(13)는 쉘(10)의 양측 및 후방이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넥가이드(13)는 의해 귀와 후두부를 가려서 양측방 및 후방의 이물질이나 열로부터 귀와 후두부를 보호한다.
또한, 쉘(10)의 내부에는 인너쉘(15)이 마련된다. 인너쉘(15)은 쉘(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킨다.
인너쉘(15)은 하드폼(15a) 및 소프트폼(15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드폼(15a)은 쉘(10)의 상부에 부착되어 쉘(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1차로 완화시킨다. 하드폼(15a)은 형태가 유지되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며, 쉘(10)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 쉘(10)의 내부에 억지끼움이나 부착식으로 고정된다.
소프트폼(15b)은 하드폼(15a)의 하부에 적층되어 하드폼(15a)에 의해 1차로 완화된 충격을 2차로 완충시킨다. 여기서, 소프트폼(15b)은 착용감을 위해 하드폼(15a)보다 부드럽고 유연한 발포수지로 이루어지고, 억지끼움이나 부착식으로 하드폼(15a)의 하부에 적층된다.
소프트폼(15b)은 연질이므로 반구형 성형이 어렵다. 따라서, 소프트폼(15b)은 반구형으로 성형하지 않고 판상의 발포재를 원형으로 절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소프트폼(15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절개부(15c)가 형성된다.절개부(15c)는 소프트폼(15b)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이다. 즉, 소프트폼(15b)은 절개부(15c)가 없으면 반구형으로 형성되지 못한다.
쉘(10)은 내측에 라이너링(20)이 설치된다. 라이너링(20)은 쉘(10)의 내측에 고정되어 머리에 끼워지며, 머리를 쉘(10)로부터 이격시킨다. 라이너링(20)은 쉘(10)에 고정되는 아우터라이너(21)와 머리가 삽입되는 인너라이너(25)를 포함한다.
아우터라이너(21)는 원형의 띠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쉘(10)의 내측둘레에 체결된다.
인너라이너(25)는 아우터라이너(21)의 내측에 마련되며, 연결구(26)를 통해 아우터라이너(21)에 이격된 상태로 연결된다. 인너라이너(25)는 내주면에 섬유질의 쿠션밴드(미도시)가 결합되며, 일단부에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구(27)가 마련된다.
아우터라이너(21)의 상부에는 메쉬(50)가 결합된다. 메쉬(50)는 통기가능한 망체로 형성되고, 아우터라이너(21)의 상부를 차폐하여 인너라이너(25)에 삽입되는 머리의 상부를 지지한다. 메쉬(50)의 결합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아우터라이너(21)는 후술하는 네크후드(60)가 결합되는 결합편(63)이 후방에 다수로 마련된다.
렌즈(30)는 고강도를 갖는 투명의 재질로 형성되며, 어저스터패스너(40)에 의해 쉘(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쉘(10)의 전방을 개폐면서 안면부를 보호한다. 또한, 렌즈(30)는 어저스터패스너(40)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하면서 쉘(10)의 전방을 개폐한다. 여기서, 렌즈(30)는 회전을 위하여 손으로 파지되는 손잡이(33)가 하단에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어저스터패스너(40)는 보스(41)와, 요철링(43)과, 힌지(45) 및 체결부재(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스(41)는 쉘(10)의 내부 양측에 홈 형태로 마련된다. 보스(41)는 쉘(10)과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되는 부재로 형성되어 쉘(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보스(41)는 일측에 단턱(41a)이 마련된다. 단턱(41a)은 보스(41)에 삽입되는 요철링(43)의 회전을 방지한다.
요철링(43)은 보스(41)에 삽입되며, 전술한 단턱(41a)에 끼워맞춤되는 걸림턱(48b)이 마련된다. 따라서, 요철링(43)은 보스(41)의 단턱(41a)에 의해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요철링(43)은 내주면에 다수의 요철(43a)이 형성된다. 요철(4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링(43)의 양측에 형성되며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힌지(45)는 렌즈(30)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되며, 보스(41)에 고정된 요철링(43)에 삽입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힌지(45)의 외측에는 요철링(43)의 요철(43a)에 교합되는 돌기(45a)가 마련된다.
체결부재(47)는 힌지(45)가 형성된 렌즈(30)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보스(41)가 형성된 쉘(10)의 내측에 체결된다. 즉, 렌즈(30)는 체결부재(47)에 의해 쉘(10)에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요철(43a)에 교합되는 힌지(45)의 돌기(45a)는 요철(43a)을 따라 걸리면서 회전한다. 즉, 요철(43a)은 보스(4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렌즈(30)를 단계적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렌즈(30)는 힌지(45)에 형성된 돌기(45a) 및 요철링(43)의 요철(43a)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한다.
한편, 어저스터패스너(40)는 스토퍼(4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48)는 힌지(45)의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힌지(45)를 설정구간 안에서만 회전시키는 부재이다. 여기서, 설정구간은 힌지(45)와 함께 회전하는 렌즈(30)가 쉘(10)의 전방을 개폐하는 구간이며, 후술하는 회전돌기(48a)가 회전하는 구간이다. 따라서, 스토퍼(48)는 렌즈(30)가 쉘(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과도하게 쉘(10)의 전방측 하부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스토퍼(48)는 회전돌기(48a) 및 전술한 걸림턱(48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돌기(48a)는 렌즈(30)에 마련되어 힌지(45)와 함께 요철링(43)의 외주를 따라 회전한다. 즉, 회전돌기(48a)는 요철링(43)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힌지(45)의 외측에 돌출형성된다.
걸림턱(48b)은 요철링(43)의 외주에 돌출되며, 요철링(43)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돌기(48a)의 회전을 저지한다. 또한, 걸림턱(48b)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스(41)의 단턱(41a)에 끼워맞춤되어 요철링(43)의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걸림턱(48b)은 힌지(45)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시에, 요철링(43)을 고정시킨다.
걸림턱(48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걸림턱(48b)의 사이에서 회전돌기(48a)가 회전한다.
회전돌기(48a)는 한 쌍의 걸림턱(48b)의 사이구간, 즉 전술한 설정구간 내에서만 회전한다. 따라서, 렌즈(30)는 회전돌기(48a) 및 걸림턱(48b)에 의해 설정구간만을 회전한다.
또한, 어저스터패스너(40)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수단은 요철(43a)에 탄성을 제공하여 힌지(45)에 마련된 돌기(45a)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한다. 탄성수단은 전술한 보스(41)와 요철링(43)의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공간(49)으로 구성된다.
탄성공간(49)은 요철(43a)의 외측에 형성되어 요철(43a)이 탄성변형되도록 유동공간을 제공한다. 즉, 요철(43a)은 힌지(45)의 돌기(45a)가 회전될 경우 탄성공간(49)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렌즈(30)는 요철(43a)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하면서, 탄성공간(49)에 의해 원활히 회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쉬(50)는 아우터라이너(21)에 결합되어 아우터라이너(21)의 상부를 통기가능하게 차폐한다. 메쉬(50)는 섬유재 또는 피혁재로 형성되고 패스너(55)에 의해 아우터라이너(21)에 결합된다.
패스너(55)는 아우터라이너(21)에 마련되는 끼움돌기(56)와 결속공(58) 및 메쉬(50)에 마련되는 끼움편(57)과 밸크로패스너(5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끼움돌기(56)는 아우터라이너(21)의 일단부에 돌출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아우터라이너(21)의 전방 외측에 복수로 돌출된다. 끼움돌기(56)는 확대도에서와 같이 단부의 양측에 후술하는 끼움편(57)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56a)이 마련된다.
끼움편(57)은 메쉬(5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메쉬(50)의 일단부에 매립된다. 끼움편(57)은 끼움돌기(56)에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부(57a)가 마련된다. 끼움부(57a)는 메쉬(50)에 매립되는 끼움편(57)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끼움부(57a)는 끼움공(57b) 및 끼움턱(57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끼움부(57a)는 끼움공(57b)에 의해 끼움돌기(56)에 끼워지며,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장공으로 형성된다.
끼움턱(57c)은 끼움공(57b)의 하부에 돌출되어 끼움돌기(56)의 이탈방지턱(56a)과 아우터라이너(21)의 사이에 억지끼워진다. 즉, 끼움부(57a)는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공(57b)을 끼움돌기(56)에 끼워지며, 확대도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끼움턱(57c)에 의해 끼움돌기(56)의 이탈방지턱(56a)의 하부에 억지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메쉬(50)는 일단부가 끼움편(57) 및 끼움돌기(56)에 의해 아우터라이너(21)에 결합된다.
결속공(58)은 아우터라이너(21)의 타단부에 마련된다. 여기서, 결속공(58)은 아우터라이너(21)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에 형성되어 아우터라이너(2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벨크로패스너(59)는 메쉬(50)의 타단부에 암,수부재(59a,59b)를 이루면서 끈형태로 연장되고, 결속공(58)을 관통하여 암,수부재(59a,59b)의 결합에 의해 메쉬(50)를 아우터라이너(21)에 결속시킨다. 여기서, 벨크로패스너(59)는 암,수부재(59a,59b)의 결합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메쉬(50)는 벨크로패스너(59)에 의해 고정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용 헬멧(100)은 네크후드(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크후드(60)는 쉘(10)의 후방을 차폐하여 열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방염가공된 섬유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스냅단추(61)와 같은 결합부재가 마련된다.
네크후드(60)는 전술한 아우터라이너(21)에 마련되는 결합편(63)에 결합된다. 결합편(63)은 아우터라이너(21)의 후방둘레에 다수로 마련되어 아우터라이너(2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네크후드(60)의 스냅단추(61)에 대응되는 결합부재(65)가 마련된다. 여기서, 결합편(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라이너(21)와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우터라이너(2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쉘(10)은 내측에 렌즈(30)가 수납되는 수납실(17)이 마련된다. 수납실(17)은 쉘(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아우터라이너(21)의 전방이 쉘(10)과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이다.
따라서, 렌즈(10)는 사용되지 않을 때 수납실(17)에 수납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인너쉘(15)은 쉘(10)의 내측 중앙, 즉 머리의 정수리가 위치하는 부위에 마련된다. 따라서, 인너쉘(15)은 쉘(10)의 상부에만 마련된다.
여기서, 인너쉘(15)의 하드폼(15a)은 상면에 완충돌기(15d)가 마련된다. 완충돌기(15d)는 하드폼(15a)을 쉘(10)로부터 이격시켜 완충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쉘(10)은 내부에 쉘(10)을 머리에 고정시키는 턱끈(29)이 마련된다. 턱끈(29)은 아우터라이너(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쉘(10)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부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 보호용 헬멧(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호용 헬멧(100)은 소방현장이나 건설작업현장 등 위험요소가 산재된 장소에서 작업할 때에 머리에 착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보호용 헬멧(100)은 쉘(10)을 통해 머리를 보호하며, 쉘(10)에 마련된 넥가이드(13)를 통해 귀부위와 머리의 후두부를 보호한다. 또한, 네크후드(60)는 쉘(10)의 후방에 마련되어 목부위를 보호하며, 렌즈(30)는 쉘(10)의 전방을 차폐하여 얼굴부위를 보호한다.
따라서, 본 발명 보호용 헬멧(100)은 머리를 전방, 후방, 측방 및 상방의 이물질이나 열로부터 보호한다.
라이너링(20)은 쉘(10)을 머리에 착용할 때, 머리를 쉘(10)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때, 인너라이너(25)는 머리에 끼워지며, 메쉬(50)는 아우터라이너(21)에 결합되어 머리의 상부를 통기가능하게 차폐한다.
인너쉘(15)은 작업시 쉘(1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킨다. 이때, 인너쉘(15)은 하드폼(15a)에 의해 충격을 1차로 완충시키고, 소프폼(15b)에 의해 충격을 2차로 완충시킨다.
렌즈(30)는 작업시에 쉘(10)의 전면부를 차폐하여 얼굴을 보호한다. 이때, 렌즈(30)는 하단에 마련된 손잡이(33)에 의해 하강한다.
렌즈(30)는 하강시, 보스(41)에 삽입된 힌지(45)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하강한다. 렌즈(30)는 힌지(45)의 돌기(45a)가 보스(41)에 결합된 요철링(43)의 요철(43a)에 걸리면서 회전하므로, 단계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요철(43a)은 외측에 마련되는 탄성공간(49)을 통해 탄성변형되어 힌지(45)의 돌기(45a)를 원활히 회전시킨다.
한편, 렌즈(30)는 쉘(10)의 전면부를 완전히 차폐하면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이때에는, 힌지(45)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돌기(48a)가 요철링(43)의 걸림턱(48b)에 걸린다. 따라서, 렌즈(3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작업중에 렌즈(30)의 일부만을 개방할 경우, 렌즈(30)는 힌지(45)의 돌기(45a)가 요철링(43)의 요철(43a)에 걸린상태가 유지되어 일부가 개방된다.
작업이 종료되면 렌즈(30)는 완전개방되면서 쉘(10)의 내부에 마련된 수납실(17)에 수납된다.
한편, 메쉬(50)는 세탁을 위하여 분리될 경우, 아우터라이너(21)의 전방측 끼움돌기(56)에 끼움편(57)을 분리한 후, 아우터라이너(21)의 후방측 결속공(58)에 결속된 벨크로파스너(59)를 분리한다. 따라서, 메쉬(50)는 아우터라이너(21)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된다.
네크후드(60)는 작업시 아우터라이너(21)의 결합편(63)에 부착된다. 이때, 결합편(63)은 아우터라이너(21)의 하부, 즉 넥가이드(13)의 내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네크후드(60)는 스냅단추(61)에 의해 결합편(63)에 부착되기 때문에 세탁 또는 보관을 위하여 분리할 경우, 결합편(63)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용 헬멧은 렌즈의 회전각도조절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안면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렌즈가 헬멧의 내부에 수납되므로, 외부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보호용 헬멧 10 : 쉘 11 : 리브
13 : 넥가이드 15 : 인너쉘 17 : 수납실
20 : 라이너링 21 : 아우터라이너 25 : 인너라이너
30 : 렌즈 40 : 어저스터패스너 41 : 보스
43 : 요철링 43a : 요철 45 : 힌지
45a : 돌기 47 : 체결부재 48 : 스토퍼
48a : 회전돌기 48b : 걸림턱 49 : 탄성공간
50 : 메쉬 55 : 패스너 56 : 끼움돌기
57 : 끼움편 58 : 결속공 59 : 벨크로패스너
60 : 네크후드

Claims (9)

  1.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쉘;
    상기 쉘의 내측에 설치되어 머리를 쉘로부터 이격시키는 라이너링;
    상기 쉘의 내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회전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쉘의 내부에 고정하는 어저스터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어저스터패스너는,
    상기 쉘의 양측에 마련되는 보스;
    상기 보스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요철이 마련된 요철링;
    상기 렌즈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요철링에 삽압되어 회전하며, 상기 요철에 교합되어 요철을 따라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회전하는 돌기를 갖는 힌지; 및
    상기 힌지를 상기 보스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렌즈에 마련되고, 상기 힌지와 함께 상기 요철링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돌기; 및
    상기 요철링의 외주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보호용 헬멧.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에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힌지에 마련된 돌기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보스와 상기 요철링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의 돌기와 교합하는 요철에 유동공간을 제공하여 요철을 탄성변형시키는 탄성공간;을 포함하는 보호용 헬멧.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양측 및 후방에서 연장되어 귀와 머리의 후두부를 보호하는 넥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보호용 헬멧.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내측에 마련되어 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인너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너쉘은,
    상기 쉘의 상부에 부착되어 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하드폼; 및
    상기 하드폼의 하부에 적층되고, 방사상으로 복수의 절개부를 가지며, 하드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소프트폼;을 포함하는 보호용 헬멧.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링에 결합되고 라이너링의 상부를 통기가능하게 차폐하는 메쉬; 및
    상기 메쉬를 상기 라이너링에 탈부착시키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는 보호용 헬멧.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라이너링의 일단부에 돌출되는 복수의 끼움돌기;
    상기 메쉬의 일단부에 매립되고 상기 끼움돌기에 결합되는 다수의 끼움공이 일체로 마련되는 끼움편;
    상기 라이너링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속공; 및
    상기 메쉬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속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쉬를 라이너링에 결속시키는 벨크로패스너;를 포함하는 보호용 헬멧.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링의 후방 둘레에 다수 마련되고, 상기 라이너링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결합편; 및
    상기 결합편에 결합되고, 상기 쉘의 후방을 차폐하여 열이나 이물질로부터 목부위를 보호하는 네크후드;를 더 포함하는 보호용 헬멧.
KR1020100024643A 2010-03-19 2010-03-19 보호용 헬멧 Active KR100989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43A KR100989524B1 (ko) 2010-03-19 2010-03-19 보호용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43A KR100989524B1 (ko) 2010-03-19 2010-03-19 보호용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524B1 true KR100989524B1 (ko) 2010-10-25

Family

ID=4313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643A Active KR100989524B1 (ko) 2010-03-19 2010-03-19 보호용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52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513B1 (ko) 2012-05-02 2012-08-14 주식회사 산청 머리보호용 하드폼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헬멧
KR101443259B1 (ko) * 2014-04-02 2014-09-22 주식회사 산청 헬멧
KR101648754B1 (ko) 2016-06-07 2016-08-17 주식회사 산청 소방용 보호헬멧
KR101649742B1 (ko) 2016-04-15 2016-08-22 주식회사 산청 보호용 헬멧
KR101670404B1 (ko) 2016-06-07 2016-10-28 주식회사 산청 소방용 보호헬멧
KR101680255B1 (ko) * 2016-08-12 2016-11-28 주식회사 산청 보호용 헬멧
CN112823685A (zh) * 2019-11-20 2021-05-21 德尔格安全股份两合公司 头部保护系统
KR102266916B1 (ko) * 2021-02-26 2021-06-18 노태종 헬멧의 둘레 길이 조정식 머리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908Y1 (ko) * 2002-06-14 2002-09-09 김원태 차양모자
JP2003003317A (ja) * 2001-06-22 2003-01-08 Kitagawa Kogyo Kk 消防用ヘルメット内装構造体
WO2008033189A2 (en) 2006-09-14 2008-03-20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Protective helmet
KR20080070305A (ko) * 2007-01-26 2008-07-30 대한민국(경찰청장) 경찰용 방석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317A (ja) * 2001-06-22 2003-01-08 Kitagawa Kogyo Kk 消防用ヘルメット内装構造体
KR200287908Y1 (ko) * 2002-06-14 2002-09-09 김원태 차양모자
WO2008033189A2 (en) 2006-09-14 2008-03-20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Protective helmet
KR20080070305A (ko) * 2007-01-26 2008-07-30 대한민국(경찰청장) 경찰용 방석모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513B1 (ko) 2012-05-02 2012-08-14 주식회사 산청 머리보호용 하드폼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헬멧
KR101443259B1 (ko) * 2014-04-02 2014-09-22 주식회사 산청 헬멧
KR101649742B1 (ko) 2016-04-15 2016-08-22 주식회사 산청 보호용 헬멧
KR101648754B1 (ko) 2016-06-07 2016-08-17 주식회사 산청 소방용 보호헬멧
KR101670404B1 (ko) 2016-06-07 2016-10-28 주식회사 산청 소방용 보호헬멧
KR101680255B1 (ko) * 2016-08-12 2016-11-28 주식회사 산청 보호용 헬멧
CN112823685A (zh) * 2019-11-20 2021-05-21 德尔格安全股份两合公司 头部保护系统
EP3827683A1 (de) * 2019-11-20 2021-06-02 Dräger Safety AG & Co. KGaA Kopfschutzsystem
US11666111B2 (en) 2019-11-20 2023-06-06 Dräger Safety AG & Co. KGaA Head protection system
CN112823685B (zh) * 2019-11-20 2024-03-08 德尔格安全股份两合公司 头部保护系统
KR102266916B1 (ko) * 2021-02-26 2021-06-18 노태종 헬멧의 둘레 길이 조정식 머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524B1 (ko) 보호용 헬멧
EP1670329B1 (en) Protective helmet
EP1567824B1 (en) Helmet
US8166578B2 (en) Goggle with quick release double locking lens
JP5180073B2 (ja) 保護用ヘルメット
KR101530061B1 (ko) 착용감 개선을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KR101906047B1 (ko)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US20100024097A1 (en) Protective Headgear System
KR101660000B1 (ko) 안전모가 구비된 용접마스크
KR101648754B1 (ko) 소방용 보호헬멧
KR101781563B1 (ko) 헬멧
JP4559578B2 (ja) 消防用安全帽
JP2005273107A (ja) ヘルメット
KR102049070B1 (ko) 안전모용 걸이구
KR101397142B1 (ko) 안전모
KR101018507B1 (ko) 후레쉬 장착부를 구비한 안전모
KR101559752B1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KR100718563B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US20250000196A1 (en) Reinforced face protection accessories for hard hats
KR20120085595A (ko) 산업용 고글 및 그 고글이 장착된 안전 보호구
KR200428393Y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101647416B1 (ko) 개량 안전모
KR20140131164A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KR100893922B1 (ko) 안전 헬멧용 턱 커튼
SE2151405A1 (en) Reinforced face protection accessories for hard h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