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87465B1 - 정형외과용 부목 - Google Patents

정형외과용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465B1
KR100987465B1 KR1020080006167A KR20080006167A KR100987465B1 KR 100987465 B1 KR100987465 B1 KR 100987465B1 KR 1020080006167 A KR1020080006167 A KR 1020080006167A KR 20080006167 A KR20080006167 A KR 20080006167A KR 100987465 B1 KR100987465 B1 KR 10098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t
splint body
cover member
orthopedic
affecte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138A (ko
Inventor
윤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Publication of KR20090079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25Strips of substantially planar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환부를 감싸서 지지해주는 정형외과용 부목에 있어서, 환부에 대응되게 성형하여 상기 환부에 밀착지지하는 부목 몸체와; 부목 몸체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시키도록, 부목 몸체에 연결되는 다수의 고정밴드와; 부목몸체에 의해 감싸인 부분외에 노출된 부분을 덮어서 감싸도록 부목 몸체에 연결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부목이 개시된다.
정형외과, 부목, 고정밴드, 커버부재

Description

정형외과용 부목{SPLINT FOR ORTHOPEDICE}
본 발명은 골절 및 염좌와 같은 환부를 지지해주는 정형외과용 부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 경화용 수지가 도포된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지지체에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피부 접촉층과 그물 망 형태의 외피층을 사용하는 부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정형외과용 부목은 신체의 골절 및 근육의 손상 또는 염좌 등의 부상에 석고붕대와 합성 붕대류가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합성 부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고정방법들이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부목의 구조는 이를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수경화성 합성수지를 경화재료로 하여, 경화재료를 각종 섬유에 도포하여 지지체로 사용하고, 이를 패드로 감싸서 한번에 시술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용이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상기 정형외과용 부목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굴곡진 부위를 쉽게 성형하기 위해 유연성이 있어야 하고, 2차 부상을 막기 위하여 기계적인 강도가 충분히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성형 시에 균일한 경화시간이 유지되면서 작업시간이 적절해야 하며, 시술 후에는 건조가 잘 이루어져 환부의 진무름 등으로 인한 2차 부상이 없어야 한다.
상기 석고 붕대의 경우, 오랫동안 부목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시술시 작업시간 및 경화시간이 길고 제품이 무거운 단점을 작고 있으며, 무게에 비하여 낮은 강도를 갖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테르 편직물 등에 수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지지체에 외피를 감싸서 제작한 부목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부목은 포장된 상태로 공급되면, 병원 등에서는 포장을 풀고, 부목에 물을 적신 상태로 환자의 환부에 밀착시켜 성형한 뒤, 그 부목과 환부를 감싸도록 붕대를 감아서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붕대를 감아서 부목을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목을 포함하여 환부 전체를 붕대를 이용하여 감싸게 되면, 환부가 밀폐되어 통풍이 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여름철에는 땀 등에 의해, 환자에게 매우 불편함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환부에 쉽게 시술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환부를 감싸면서도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정형외과용 부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부목은, 환부를 감싸서 지지해주는 정형외과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환부에 대응되게 성형하여 상기 환부에 밀착 지지하는 부목 몸체와; 상기 부목 몸체를 상기 환자의 환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부목 몸체에 연결되는 다수의 고정밴드와; 상기 부목몸체에 의해 감싸인 부분 외에 노출된 부분을 덮어서 감싸도록 상기 부목 몸체에 연결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부목몸체는, 지지체에 수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의 일면을 감싸서 덮는 피부 접촉층과; 상기 지지층의 타면을 감싸서 덮는 외피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는, 일단은 상기 부목몸체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환자의 환부를 감싸서 상기 부목몸체의 타측부에 연결되게 제1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부목 몸체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가 연결되는 제2체결부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은 상기 부목몸체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는 상기 환자의 노출된 환부를 덮은 상태로 감싸서 상기 부목몸체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제3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부목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3체결부가 연결되는 제4체결부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4체결부는 상기 부목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섬유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망사 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 및 상기 커버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외피층 또는 상기 피부 접촉층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부목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은 환자의 환부에 밀착시켜 성형시킨 상태에서, 고정밴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따라서, 시술자가 혼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커버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부목몸체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노출부분을 덮어서 감쌀 수 있기 때문에, 신체가 노출되는 것을 감출 수 있고, 환부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커버부재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부의 통기로 인한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부재를 부목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환부의 상태나 환자의 선호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은, 환부를 감싸서 지지해주는 정형외과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환부에 대응되게 성형하여 상기 환부에 밀착 지지하는 부목 몸체(10)와, 상기 부목 몸체(10)를 상기 환자의 환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부목 몸체(10)에 연결되는 다수의 고정밴드(20)와, 상기 부목몸체(10)에 의해 감싸인 부분 외에 노출된 부분을 덮어서 감싸도록 상기 부목 몸체(10)에 연결되는 커버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부목 몸체(10)는 내부의 지지층(11)과, 외부의 피부 접촉층(13) 및 외피층(15)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층(11)은 후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수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지지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로는 유리섬유,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1)은 포장된 상태에서는 유연한 상태로 있다가, 수분이 첨가되면 경화되어 그 성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환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부접촉층(13)은 소수성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부직포를 포함하며, 수경화성 수지가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피층(15)은 라셀기로 편직 된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더블메쉬를 사용하여 물의 침투와 빠짐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부 접촉층(13)은 니들펀칭을 통하여 제작된 소수성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부직포를 사용하고, 예를 들어 100~400g의 중량을 유지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니들펀칭으로 제작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피부접촉 시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환부를 지지층(11)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소수성을 사용함으로 외피층(15)으로 침투한 물이 피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1)의 경우 수경화성 수지가 지지체에 도포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지체로는 3~8g/in·m 유리섬유직물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섬유 직물을 6~9겹 겹쳐서 사용하거나 300~1000g의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부직포를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섬유 또는 부직포의 중량이 적을 경우 지지체로서의 강도를 유지할 수 없으며 중량이 많을수록 성형이 어렵고 제품이 무거워지며, 통풍성이 떨어진다.
상기 지지층(11)의 수경화성 수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사용하며 점도가 25,000~60,000cps 이고 이보다 높을 경우 수지가 지지체에 완전히 도포되지 않아 강도를 떨어뜨리며 이보다 낮을 경우 수지의 흐름성이 좋아져 부직포 바깥쪽으로 수지가 흐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수경 화성 수지는 NCO%가 10~15%정도로 이루어진 수지가 적당하며 이보다 NCO%가 높을 경우 물과의 반응 시 발열온도가 높아 2차 부상의 위험이 있으며, 수지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NCO%가 이보다 낮을 경우 보관 시 저장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점도가 높아져 지지체에 도포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
상기 외피층(15)의 경우 물의 침투와 빠짐이 용이하도록 그물 망 형태(20~1000mesh)의 더블라셀(Double raschel) 직물을 사용하여 수분의 건조시간을 단축하였다. 그물 망 형태의 직물은 이중구조의 더블라셀 직물을 사용하여
수지가 외피층(15)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더블라셀 직물(15;외피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셀기로 편집한 그물망 구조인 두 개의 라셀직물(15a,15c) 사이에 모노사(mono)(15b)가 내재되어 직조된 것으로, 상기 라셀직물(15a,15c)은 물의 흐름과 통풍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모노사(15b)는 라셀직물(15a,15c)사에 공극을 주어 수지의 흐름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 수지가 외피층(15)으로 흐르는 현상이 있을 경우, 제품의 경화 후 제품 표면이 수지로 인해 거칠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다른 피부 부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상기 라셀직물(15a,15c) 사이에 모노사(15b)가 없을 경우에는 수경화성 수지가 외피층(15)으로 흘러 시술 시 손에 수지가 묻을 수 있다.
여기서 수지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물망 형태의 직물을 여러 장 겹쳐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물망 원사의 두께를 1000denier~10,000denier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그물망 형태의 외피층(15)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였으며, 이로 인해 환부의 짓무른 현상과 환자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20)는 복수 개가 마련되며, 부목 몸체(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에 일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밴드(20)의 타단 즉, 자유 단부에는 제1체결부(21)가 마련된다. 그리고 부목몸체(10)의 외측 즉, 외피층(11)의 외부에는 제1체결부(21)에 대응되는 제2체결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22)는 외피층(1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되어 외피층(15)에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목몸체(10)를 환자의 환부(100)에 밀착시켜 성형시킨 다음에, 상기 고정밴드(20)를 이용하여 부목몸체(10)를 환자의 환부에 안정되고, 간편하게 고정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0)는 고정밴드(20)의 타측에 연결되어 고정밴드(20)로 부목몸체(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환부를 덮어서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섬유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붕대와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커버부재(30)에는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되어, 환부를 덮은 상태에서도 환부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부의 쾌적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30)의 일단은 외피층(15)에 접착되거나, 박음질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3체결부(32)가 마련되고, 상기 제3체결부(32)에 대응되게 상기 부목몸체(10)에는 제4체결부(33)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30)는 고정밴드(2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전에 먼저 환부(100)의 노출된 부분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밴드(20)가 커버부재(30)의 외측을 감싸도록 감아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밴드(20)와 커버부재(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피층(15)과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 재질로 형성된 커버부재(130)를 부목 몸체(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커버부재(130)는 환부(100)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환부(100)를 덮을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환자에게 편안하고 안정감 있는 부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체결부는 벨크로부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체결부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클립, 패스터(fastener)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고정밴드(20)의 경우에는 그 길이에 구애를 받지 않고, 환부(100) 및 부목몸체(10)를 포함하여 수회 감아서 체결할 수 있을 정도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형 부목의 경우에는, 부목 몸체(10)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재(230)를 포함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커버부재(230)는 통풍을 위한 다수의 통공(231)을 가지며, 양측 테두리 부분에 부목 몸체(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부(232,233)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232,233)는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벨크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230)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환부의 상태에 따라서, 계절적인 요인에 따라서, 환자의 취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형외과용 부목의 단면도.
도 3은 도 2 도시된 피부 접촉층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형외과용 부목을 환자의 환부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부목몸체 11..지지층
13..피부 접촉층 15..외피층
20..고정밴드 30,130,230..커버부재
100..환자의 환부

Claims (10)

  1. 환부를 감싸서 지지해주는 정형외과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환부에 대응되게 성형하여 상기 환부에 밀착지지하는 부목 몸체와;
    상기 부목 몸체를 상기 환자의 환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부목 몸체에 연결되는 다수의 고정밴드와;
    상기 부목 몸체에 의해 감싸인 부분 외에 노출된 부분을 덮어서 감싸도록 상기 부목 몸체에 연결 가능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목몸체는,
    유리섬유, 부직포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지체에, 점도가 25,000~60,000cps인 수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의 일면을 감싸서 덮는, 니들펀칭으로 제작된 소수성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포함하는 피부 접촉층과;
    상기 지지층의 타면을 감싸서 덮는, 그물망 구조인 두 개의 라셀직물 사이에 모노사가 내재된 이중구조의 더블라셀 직물을 포함하는 외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밴드는, 일단은 상기 부목몸체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환자의 환부를 감싸서 상기 부목몸체의 타측부에 연결되는 제1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은 상기 부목몸체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환자의 노출된 환부를 덮은 상태로 감싸서 상기 부목몸체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제3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부목 몸체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와 연결되는 제2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목몸체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3체결부와 연결되는 제4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부목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부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4체결부는 상기 부목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부목.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섬유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부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망사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부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 및 상기 커버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외피층 또는 상기 피부 접촉층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부목.
  10. 삭제
KR1020080006167A 2008-01-16 2008-01-21 정형외과용 부목 KR100987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4941 2008-01-16
KR1020080004941 2008-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138A KR20090079138A (ko) 2009-07-21
KR100987465B1 true KR100987465B1 (ko) 2010-10-13

Family

ID=4133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167A KR100987465B1 (ko) 2008-01-16 2008-01-21 정형외과용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4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636B1 (ko) * 2011-09-27 2013-09-17 (주)에스앤에프 의료용 부목
KR20210021856A (ko) 2019-08-19 2021-03-02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부종완화 부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54B1 (ko) * 2012-06-25 2014-09-26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KR101332577B1 (ko) * 2013-04-16 2013-11-25 (주)에스앤에프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KR200482448Y1 (ko) 2016-11-22 2017-01-24 에스에이치메디칼 주식회사 손바닥의 안착과 각도조절이 가능한 소아용 부목
KR102705868B1 (ko) * 2023-10-06 2024-09-12 (주)키메코 골절 환자용 고정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5630A2 (en) * 2000-12-07 2002-06-13 Bsn Medical, Inc. Custom-formable knee immobilizer product, knee immobilizer and method
JP2006158833A (ja) * 2004-12-10 2006-06-22 Aomori Prefecture シンスプリント用装具
KR20070105075A (ko) *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티앤엘 정형외과용 부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5630A2 (en) * 2000-12-07 2002-06-13 Bsn Medical, Inc. Custom-formable knee immobilizer product, knee immobilizer and method
JP2006158833A (ja) * 2004-12-10 2006-06-22 Aomori Prefecture シンスプリント用装具
KR20070105075A (ko) *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티앤엘 정형외과용 부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636B1 (ko) * 2011-09-27 2013-09-17 (주)에스앤에프 의료용 부목
KR20210021856A (ko) 2019-08-19 2021-03-02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부종완화 부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138A (ko)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287B2 (en) Orthopedic padding
EP1838254B1 (en) Cast assembly with breathable double knit type padding
US5807295A (en) Medical articles
US8025631B2 (en) Water resistant undercast liner
US5102711A (en) Breathable layered materials
EP1776493B1 (en) Tubular spacer fabric
US5334442A (en) Orthopedic sheet-like composition
CN102421394B (zh) 用于定制合身产品的复合材料
US6042557A (en) Orthopedic spli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0987465B1 (ko) 정형외과용 부목
WO2005052235A1 (en) A soft, cushioning ans stiffening spacer fabric
US20080287852A1 (en) Water resistant elasticized retention bandage and undercast liner
US6461317B1 (en) Water hardenable compositions for splints and braces
US20040147859A1 (en) Orthopedic cast construction
KR101903132B1 (ko) 의료용 부목
JP5974015B2 (ja) 多段階整形外科的システム及び取外し可能なギプス
JP6053769B2 (ja) 耐湿性で成形可能な損傷治療器具及び方法
WO2002067832A1 (en) Orthopedic cast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