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965B1 - Towel dryer - Google Patents
Towel dr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6965B1 KR100986965B1 KR1020090055902A KR20090055902A KR100986965B1 KR 100986965 B1 KR100986965 B1 KR 100986965B1 KR 1020090055902 A KR1020090055902 A KR 1020090055902A KR 20090055902 A KR20090055902 A KR 20090055902A KR 100986965 B1 KR100986965 B1 KR 100986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ger
- towel
- pair
- coupling
-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287 bat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8 plas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06F57/04—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and having radial arms, e.g. collapsibl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여 수건을 건조대의 수건행거에서 인출하지 않고 수건행거와 같이 수건수납장에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수건 건조대(100)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지면에 기립되게 구비된 한 쌍의 수직봉(110)과;“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자유단부가 상기 한 쌍의 수직봉(110)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봉(11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행거홀더(140L,140R)와; 수건이 지지되는 행거봉이 복수개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행거홀더 사이에 지렛대방식으로 걸림결합되는 수건행거(160L,160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한 수건 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l drying rack (100) that facilitates assembly and disassembly so that towels can be stored together in a towel cabinet like a towel hanger without being taken out of the towel hanger. A pair of vertical rods 110; provided in a “c” shape and having free ends penetrated by the pair of vertical rods 110 so as to face each other about the pair of vertical rods 110; A pair of hanger holders 140L and 140R disposed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 plurality of hanger rods to which the towel is supported are coupled, and the towel hangers 160L and 160R are coupled between the pair of hanger holders in a lever manner. As a result,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o provide a towel drying rack that is easy to store and carry.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건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여 건조대의 수건행거에서 일출하지 않고 수건행거와 함께 수건수납장에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건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l drying r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wel drying rack to facilitate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so that it can be stored together with the towel hanger in the towel rack without sunrise in the towel hanger of the drying rack.
수건 건조대는 복수의 수건을 동시에 건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Towel drying racks are used to dry a plurality of towels at the same time.
종래 수건 건조대는 다리부와, 다리부 상에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옆으로 펼치거나 아래로 접을수 있도록 된 걸이부와, 펼쳐진 걸이부를 지지하여 주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통상 다리부와 걸이부 및 지지대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Conventionally, the towel drying rack is provided with a leg, a hook portion which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leg portion so as to be extended laterally or folded dow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unfolded hook portion, and is usually a leg portion and a hook portion. And the support is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종래 수건 건조대를 통해 수건을 건조할 경우, 건조가 완료된 수건은 개별적으로 접어서 수건수납장에 보관해야했다. 사용되는 수건량이 많은 곳의 경우 건조가 완료된 수건을 접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When towels are dried using a conventional towel rack, the towels that have been dried must be folded individually and stored in a towel cabinet. Where the amount of towels used is large, it takes a lot of time to fold the dried towe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object.
본 발명은 수건이 건조되면 수건이 걸려 있는 상태 그대로 수건 수납장에 보관할 수 있는 수건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wel drying rack that can be stored in the towel cabinet as the towel is hanging when the towel is drie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수건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건 건조대는 지면에 기립되게 구비된 한 쌍의 수직봉과;“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자유단부가 상기 한 쌍의 수직봉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봉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행거홀더와; 수건이 지지되는 행거봉이 복수개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행거홀더 사이에 지렛대방식으로 걸림결합되는 수건행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relates to a towel drying rack. Towel drying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vertical rods provided to stand up on the ground; provided in a "c" shape and the free end is coupled to the pair of vertical rods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pair of vertical rods A pair of hanger holders disposed to be on the same line in a direction to be aligned; A plurality of hanger rods supporting the towel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towel hanger is coupled between the pair of hanger holders in a latching mann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수직봉에는 상하로 홀더결합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행거홀더는,“ㄷ”자 형상으로 구비된 홀더본체와; 상기 홀더본체의 한 쌍의 자유단부에 절곡형성되며 상기 홀더결합공에 수용결합되는 수직봉결합부를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ir of vertical rods are formed through the holder coupling hole up and down, the pair of hanger holder, the holder body provided in the "c" shape; The holder body may include a vertical rod coupling portion that is bent at a pair of free ends of the holder body and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coupling ho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건행거는 상기 복수개의 행거봉이 결합되는 행거프레임과, 상기 행거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행거프레임이 상기 한 쌍의 행거홀더에 지렛대방식으로 지지됐을 때 상기 한 쌍의 홀더본체 중 어느 하나의 홀더본체와 걸림결합하는 걸림고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owel hanger is provided with a hanger frame to which the plurality of hanger rods are coupled,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ger frame when the hanger frame is supported by the pair of hanger holders in the pair. It includes a locking ring for engaging with any one of the holder body of the holder bod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행거홀더와 상기 수건행거는 상기 수직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anger holder and the towel hanger may be coupl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rod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수직봉(11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봉(130)과; 상기 결합봉(130)의 양단부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봉(110)이 지면에 기립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레그(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수건 건조대는 수건이 건조되는 수건행거가 수건 건조대로부터 탈착되게 구비되어 수건 건조가 완료되면 수건수납장 내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owel drying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towel hanger to dry the towel is detachable from the towel drying rack can be accommodated in the towel cabinet when the towel drying is comple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또한, 타 수건 건조대에 결합되어 건조대를 확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ombined with other towel drying rack to perform a function of extending the drying rack.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which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건조대(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건조가 완료된 수건 건조대(100)의 수건행거(160)를 보관하는 수건수납장(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1 to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건조대(100)에 수건(T)이 건조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건조대(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wel T is being dried on a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건조대(100)는 지면에 대해 직립되도록 구비된 수직봉(110)과, 수건 건조시 수건건조대(1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직봉(110)의 하부에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된 복수의 지지레그(120)와, 수직봉(110)이 체결된 지지레그(120)를 연결하여 수직봉(110)이 대응되게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결합봉(130)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건조대(100)는 한 쌍의 수직봉(110)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두 쌍의 행거홀더(140R, 140L, 150L, 150R)와, 두 쌍의 행거홀더(140R, 140L, 150L, 150R)에 지렛대원리로 삽입 지지되며 수건(T) 건조가 완료되면 수건수납장(200) 내에 수용되는 수건행거(160R, 160L, 170L, 170R)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한 쌍의 수직봉(110)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되며 행거홀더(140R, 140L, 150L, 150R, 이하 140)와 수건행거(160R, 160L, 170L, 170R, 이하 160)가 좌우로 결합되어 복수의 수건(T)이 거치될 수 있도록 행거홀더(140)와 수건행거(160)를 지지한다. 한 쌍의 수직봉(1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결합부(111)와 하부결합부(113)가 각각 구비된다. A pair of
상부결합부(111)에는 상부행거홀더(140R,140L)가 결합되고 하부결합부(113)에는 하부행거홀더(150R,150L)가 결합된다. 상부결합부(111)는 상부행거홀더(140R,140L)의 수직봉결합부(143)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111a)과 제2수용공(111b)이 각각 관통형성된다. 상부결합부(111)는 복수의 수용공(111a,111b)이 관통형성되어야 하므로 수직봉(110)의 다른 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 수용공(111a,111b)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결합부(111)는 수직봉(110)을 프레스기로 압착하여 형성된다. 하부결합부(113)는 상부결합부(11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Upper hanger holder (140R, 140L) is coupled to the
수직봉(110)의 하부영역에는 제1체결공(110a)이 형성된다. 제1체결공(110a)은 수직봉(110)이 결합봉(130)의 수직봉수용부(133)과 결합될 때 나사(134)가 체결된다.The
수직봉(110)은 스틸,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비되거나, 무게를 고려하여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의 가벼운 소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지지레그(120)는 수직봉(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직봉(110)이 지면에 대해 기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지지레그(120)는 결합봉(130)에 돌출형성된 지지레그결합부(135)에 결합되어 수직봉(110)이 안정적으로 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지지레그(1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결합봉(130)에 결합된다. 각각의 지지레그(120)의 일단에는 지지레그(120)가 지면에 미끄러지지 않고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부재(121)가 구비된다. 미끄럼방지부재(121)는 고무로 구비될 수 있다.The
한편, 미끄럼방지부재(121)와 대향되는 지지레그의 타단에는 단부영역에는 레그결합공(122)이 구비된다. 레그결합공(122)은 지지레그(120)가 결합봉(130)에 결합될 때 나사(134)가 체결된다. 지지레그(120)는 수직봉(110)과 동일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leg opposed to the
결합봉(130)은 수직봉(110)과 지지레그(120)를 상호 결합시켜 수직봉(110)이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결합봉(130)은 한 쌍의 수직봉(11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본체(131)와, 각각의 수직봉(110)과 결합하는 수직봉결합부(133)와, 지지레그(120)와 결합하는 레그결합부(135)를 포함한다. The
결합본체(131)는 한 쌍의 수직봉(110)의 이격폭에 대응하는 만큼의 길이로 구비되어 한 쌍의 수직봉(110)을 상호 연결한다. 결합본체(131)의 길이는 수건(T)의 폭 보다 일정길이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본체(131)는 봉형상으로 구비된다. The
수직봉결합부(133)는 결합본체(131)와 결합되며, 상부영역으로 돌출형성되며 외경이 수직봉(11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수직봉(110)의 직경 보다 약간 작게 구비된다. 수직봉수용부(133)의 판면에는 나사(134)가 체결되는 제2체결공(133a)이 형성된다. 제2체결공(133a)은 수직봉수용부(133)에 수직봉(110)이 수용될 때 제1결합공(110a)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나사(134)는 제2체결공(133a)을 통해 제1체결공(110a)과 결합되어 수직봉(110)이 수직봉수용부(133)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The vertical
레그결합부(135)는 수직봉결합부(133)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외경이 지지레그(1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지지레그(120)의 직경 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레그결합부(135)의 판면에는 나사(134)가 체결되는 제3체결공(135a)이 형성된다. 제3체결공(135a)은 레그결합부(135)가 지지레그(120) 내부로 수용될 때 레그체결공(122)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나사(134)는 제3체결공(135a)을 통해 레그체결공(122)에 결합되어 지지레그(120)가 레그수용부(135)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지지레그(120)는 레그결합부(135)를 내부에 수용하여 수직봉(110)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한다. 이에 의해 수건행거(160)에 다량의 수건이 걸리더라도 수직봉(110)이 어느 한 쪽으로 편심되지 않고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지지한다. Th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봉(110)과 지지레그(120)는 나사(134)를 통해 수직봉결합부(133)와 레그결합부(135)에 결합되나, 수직봉(110)과 지지레그(120)는 결합본체(131)에 직접 나사결합되거나 원터치 버튼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수직봉(110)과 결합본체(131)에는 상호 대응되는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수직봉(110)이 결합본체(131)에 직접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는 수직봉(110)에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버튼이 구비되어 결합본체(131)에 수용된 후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도 있다. Here,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레그(120)는 결합봉(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나, 경우에 따라 지지레그(120)는 결합봉(130)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즉, 결합봉(130)의 레그결합부(135)에 돌출편(124)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편(124)과 대응되도록 지지레그(120)의 일단에 결합편(125)을 구비하여 체결힌지수단(126)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형성하된 지지레그(120)의 외측에는 사용시에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12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도 3d 참조)That is, the
수건을 건조할 때는 결합봉(130)으로부터 수직하게 펼쳐진 상태로 한 후 고정수단(120')을 결합봉(130) 측으로 밀어서 절첩되지 않도록 하여 수직봉(110)을 지지하고, 수건 건조가 완료되면 고정수단(120')를 인출한 후 결합봉(130) 측으로 지지레그(120)를 접어 전체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과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When the towel is dried in a vertically unfolded state from the
행거홀더(140)는 한 쌍의 수직봉(110)의 상하좌우에 결합되어 수건행거(160)를 지지한다. 행거홀더(140)는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대(100)는 상부행거홀더(140R, 140L)와 하부행거홀더(150L, 150R)가 상하로 구비된다. Hanger holder 140 is coupled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pair of
상부행거홀더(140L, 140R)는 수직봉(110)의 상부결합부(111)에 결합되고, 하부행거홀더(150L, 150R)는 수직봉(110)의 하부결합부(113)에 결합된다. 상부행거홀더(140L, 140R)과 하부행거홀더(150L, 150R)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부행거홀더(140L, 140R)의 구성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상부행거홀더(140R, 140L)는 “ㄷ”자 형상으로 마련된 홀더본체(141)와, 홀더본체(141)의 양단부로부터 일정각도 절곡형성되어 수직봉(110)의 결합부(111)에 수용되는 수직봉결합부(143)를 포함한다. 좌측행거홀더(140L)과 우측행거홀 더(140R)는 수직봉결합부(143)가 홀더본체(141)로부터 동일한 각도로 절곡형성된다. The
좌측행거홀더(140L)와 우측행거홀더(140R)는 수직봉(110)에 결합시 홀더본체(141)가 상호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호 반대방향으로 결합된다. 즉,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행거홀더(140L)는 수직봉결합부(143)의 절곡형상이 아래로 위치하게 수직봉(110)에 결합되고 우측행거홀더(140R)은 수직봉결합부(143)의 절곡형상이 위로 향하도록 수직봉(110)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수직봉(110)의 좌우에 결합된 좌측행거홀더(140L)와 우측행거홀더(140R)는 동일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The
한편, 각각의 수직봉결합부(143)의 판면에는 나사산(143a)이 형성된다. 나사산(143a)은 수직봉결합부(143)가 각각의 결합공(111a, 111b)을 관통한 후 결합너트(112a,112b)에 결합될 때 사용된다. 결합너트(112a, 112b)도 내부에 수직봉결합부(143)의 나사산(143a)의 형상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포함하며, 서로 치합되어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hreaded portion (143a) is formed on the plate surface of each vertical
행거홀더(140)는 강도를 고려하여 금속재질로 마련되거나, 무게를 고려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Hanger holder 140 may be provided in a metal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r may be provided in a plastic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수건행거(160)는 행거홀더(140)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렛대방식으로 결합되어 다량의 수건(T)이 건조되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대(100)는 상부수건행거(160R, 160L)와 하부수건행거(170L, 170R)가 구비된다. 상부수건행거(160L, 160R)는 상부행거홀더(140L, 140R)에 결합되고, 하부수건행거(170L, 170R)는 하부행거홀더(150L, 150R)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부수 건행거(160L,160R)과 하부수건행거(170L,170R)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부수건행거(160L,160R)에 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수건행거(160R, 160L)는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 행거프레임(161)과, 행거프레임(161) 내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수건이 거치되는 행거봉(163)와, 행거프레임(161)의 단부영역에 구비되어 행거홀더(140R, 140L)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고리(165)를 포함한다. 행거프레임(161)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행거프레임(161)은 내부에 형성된 행거봉(163)의 개수에 따라 전체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행거프레임(161)은 후술할 수건수납장(200)의 행거걸림고리(220)에 결합되어 수건행거(160R, 160L)이 수건수납장(200) 내에 수용되도록 한다. Upper towel hanger (160R, 160L) is a
행거프레임(161)은 장시간 사용되어야 하므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행거프레임(161)은 행거봉(163)에 비해 일정 두께 굵게 구비된다. The
행거프레임(161)의 폭은 일반적인 수건(T)의 폭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The width of the
걸림고리(165)는 행거프레임(161)의 자유단 측에 구비되어 행거홀더(140R, 140L)에 걸림결합된다. 걸림고리(165)는 상부영역이 개방된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며 홀더본체(141)의 일부영역이 걸림고리(165) 상부에 수용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즉, 걸림고리(165)의 절곡형상은 홀더본체(141)의 직경에 대응하게 구비된다. Hanging
행거봉(163)는 행거프레임(161) 내에 복수개가 나란하게 구비된다. 행거봉(163)는 행거프레임(161)의 걸림고리(165) 측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행거봉(163)의 간격은 통풍을 위해 수건(T) 두께의 3배 이상은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건조대(100)의 조립과정을 도3a 내지 3c를 참조로 설명한다. The assembly process of the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봉(110)과, 4개의 지지레그(120)와, 결합봉(130)을 준비한다. 사용자는 결합봉(130)의 레그결합부(135)를 4개의 지지레그(120) 각각의 내부에 삽입시켜 결합한다. 이 때, 지지레그(120)의 레그체결공(122)과 제3체결공(135a)이 동일선상에 있도록 위치를 상호 조절한 후 나사(134)를 레그체결공(122)과 제3체결공(135a)에 결합하여 지지레그(120)의 결합을 완료한다. First, as shown in FIG. 3A, a pair of
4개의 지지레그(120)와 결합봉(130)의 결합이 완료되면 결합봉(130)의 수직봉수용부(133)를 한 쌍의 수직봉(110)에 끼운다. 사용자는 수직봉(110) 내부에 수직봉수용부(133)를 삽입한 후 제1체결공(110a)과 제2체결공(133a)의 위치를 일치시킨다. 그리고, 나사(134)를 끼워 수직봉(110)의 결합을 완료한다. When the coupling of the four
한 쌍의 수직봉(110)의 결합을 모두 완료하면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봉(110)에 상부행거홀더(140L, 140R)를 결합시킨다. 좌우측 상부행거홀더(140L, 140R)의 수직봉결합부(143,153)를 제1결합부(111)의 제1수용공(111a)과 제2수용공(111b)에 각각 삽입한다. 제1결합부(111)를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돌출된 수직봉결합부(143,153)의 나사산(143a)에 결합너트(112a,112b)를 체결한다. 이에 의해 수직봉(110)에 좌우측 상부행거홀더(140L, 140R)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결합된다. When the coupling of the pair of
좌우측 상부행거홀더(140L, 140R)를 수직봉(110)에 결합시킨 후 좌우측 하부행거홀더(150L, 150R)를 수직봉(110)에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시킨다. The left and right
여기서, 건조할 수건의 양을 고려하여 상부수건행거(160L, 160R)만으로도 충분히 건조될 경우 하부 행거홀더(150L, 150R)는 조립을 하지 않아도 된다. Here,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towels to be dried, if the
상하 행거홀더(140R)의 결합이 모두 완료되면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행거홀더(140)에 수건행거(160)를 결합시킨다. 먼저, 상부수건행거(160L, 160R)를 상부행거홀더(140L, 140R)에 결합시킨다. 우측 상부수건행거(160R)를 우측 행거홀더(140R)의 위쪽으로 진입시킨다. 그리고, 우측 행거홀더(140R)의 위쪽으로 진입된 행거프레임(161)을 좌측 행거홀더(140L)의 아래쪽으로 진입시키면서 걸림고리(165)가 좌측 행거홀더(140L)를 지지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행거프레임(161)의 반대쪽을 걸림고리(165)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에 의해 걸림고리(165)는 좌측 행거홀더(140L)의 하부영역을 지지하게 되고 행거프레임(161)은 우측 행거홀더(140R)의 상측에 위치하여 우측 행거홀더(140R)에 의해 지지된다. When the coupling of the upper and
즉, 한 쌍의 행거홀더(140R, 140L)는 행거프레임(161)을 지렛대방식으로 지지한다. 즉, 서로 힘점과 작용점으로 작용하며 행거프레임(161)을 지지한다. 여기서, 행거봉(163)에 복수의 수건이 걸리게 되면 한 쌍의 행거프레임(161)이 무게를 분산하여 지탱해준다. That is, the pair of
우측 수건행거(160R)의 결합이 완료되면 좌측 수건행거(160L)를 결합시킨다. 좌측 수건행거(160L)는 좌측행거홀더(140L)의 위쪽으로 진입하여 우측행거홀더(140R)의 아래쪽으로 진입시킨다. 그리고, 걸림고리(165)가 좌측 행거홀더(140L)에 걸림결합되도록 행거프레임(16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좌측 수건행거(160L)의 결합이 완료된다. When the coupling of the
여기서, 한 쌍의 수건행거(160R, 160L)는 서로 반대방향에서 한 쌍의 행거홀더(140R, 140L)에 결합되므로 무게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한 쌍의 수건행거(160R, 160L)에 동일한 양의 수건이 걸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air of towel hangers (160R, 160L) are coupled to the pair of hanger holders (140R, 140L)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ame amount of towels in the pair of towel hangers (160R, 160L) to achieve weight balance It is desirable to hang this.
상부 수건행거(160R, 160L)의 결합이 완료되면 하부 수건행거(170L, 170R)도 하부 행거홀더(150L, 150R)에 결합시킨다. 결합이 완료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봉(163,173)에 수건(T)을 걸어 수건을 건조할 수 있다. When the coupling of the
한편, 수건(T)의 건조가 완료되면 수건행거(160)는 수건 건조대(100)로부터 분해하여 후술할 수건 수납장(200) 내부에 보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ying of the towel (T) is complet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대(100)는 수직봉(110)에 상하로 두 개의 결합부(111,113)가 구비되며, 상하로 행거홀더(140)와 수건행거(160R)가 복층 형태로 수직봉(110)에 결합된다.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3층, 4층 형태로 행거홀더(140)와 수건행거(16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수직봉(110)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3개 또는 4개의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건행거(160)는 힘점과 작용점으로 작용하는 두 개의 바만 있으면 어느 곳에든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가정에서 사용하는 종래 빨래 건조대(300)의 행거봉(3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빨래 건조대(300)에 결합시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수납장(20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수잡장(2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수납장(200)은 케이싱(210)과, 케이싱(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건행거(160)가 걸림결합되는 행거걸림고리(220)와, 케이싱(210)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230)와, 케이싱(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목욕용품 등을 수납하는 수납대(240)와, 케이싱(210)을 벽에 결합시키는 벽결합부재(25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케이싱(2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복수의 수건행거(160)를 수용한다. 케이싱(210)은 하부영역이 개방되게 구비되어 수건행거(160)에 걸려있는 수건(T)이 수건행거(160)에 걸린상태로 케이싱(210)의 하부영역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수건행거(160)의 길이가 케이싱(210)의 길이 보다 길 경우에도 케이싱(21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The
케이싱(210)은 벽에 접촉되는 바닥부재(211)와, 바닥부재(211)의 양측에 구비된 측면부재(213)를 포함한다. 케이싱(210)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건행거(160)의 폭 보다 약간의 여유길이가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수건행거(160)를 케이싱(210) 내부에 결합시킬 때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The
케이싱(210)은 목재, 금속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The
행거걸림고리(220)는 바닥부재(211)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수건행거(160)가 걸림결합된다. 행거걸림고리(220)는 바닥부재(211)의 상측에 양쪽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행거걸림고리(220)는 수건행거(160)의 행거프레임(261)의 양측을 지지한다. 행거걸림고리(220)에 걸림결합된 수건행거(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된 복수의 수건이 아랫방향으로 상호 적층된 상태로 정렬된다.
행거걸림고리(220)는 복수의 수건행거(160)가 걸림결합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며, 단부영역은 걸림결합된 수건행거(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절곡부(221)가 구비된다. 이탈방지절곡부(221)는 직선형태로 구비된 행거걸림고리(220)에 상측으로 절곡형성된다. 수건의 무게에 의해 행거걸림고리(220)를 따라 이동된 수건행거(160)는 이탈방지절곡부(221)에 이르러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행거걸림고리(220)는 복수의 수건행거(160)의 무게와 수건행거(160)에 거치된 수건의 무게를 모두 지탱하여야 하므로 적절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230)는 케이싱(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싱(210)을 개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230)는 힌지(235)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230)의 판면에는 케이싱(210) 내부에 수용된 수건(T)의 일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수건배출구(231)가 관통 형성된다. 수건배출구(231)는 사용자가 수건배출구(231)를 통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측에 적층되어 있는 수건(T)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마련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23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수건행거(160)에 걸려있는 수건을 수건배출구(231)를 통해 외부로 1장씩 배출할 수 있다. 수건배출구(231)는 사용자가 팔을 뻗어 쉽게 닿을 수 있는 높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케이싱(210)의 일측에는 목용용품 등을 수납하는 수납대(240)가 구비된다. 수납대(240)는 구획부재(241)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수납공간에는 목욕용품, 휴지 등의 다양한 용품들을 수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케이싱(210)에는 케이싱(210)을 벽에 결합시키는 벽결합부재(250)가 구비된다. 벽결합부재(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 못 등에 수용된다. 못 등에 의해 케이싱(210)은 벽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수납장(200)은 수건건조대(100)를 통해 건조가 완료된 수건들이 수건행거(160)와 함께 수건수납장(200)에 일괄적으로 수용되므로 별도로 수건을 접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건을 많이 사용하는 곳에서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도8과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건수납장(20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건수납장(200a)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수납장(200)에 비해 도어(260)가 한 쌍(261,263)으로 구비된다. 각각의 도어(261,263)에는 수건배출구(261a,26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210) 내부에 수납대(270)가 형성된다.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즉, 수건수납장(200a)은 수건행거(160)가 수용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수납대(270)도 케이싱(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260)도 한 개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케이싱(210)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행거걸림고리(225)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 행거걸림고리(225)는 케이싱(210)의 하부영역에 구비되어 걸 려 있는 수건이 모두 외부로 배출된 수건행거(160)를 지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사용자는 행거걸림고리(220)에 건조가 완료된 수건이 걸려 있는 복수의 수건행거(160)를 걸어놓고 도어(230)를 닫은 상태로 사용한다. 그리고, 수건배출구(231)를 통해 최외측에 적층되어 있는 수건부터 1장씩 뽑아서 사용한다. 최외측에 걸린 수건행거(160)에 걸린 수건이 모두 배출되고 나면 뒤에 걸려있는 수건행거(160)의 수건을 사용하기 위해 앞쪽의 수건행거(160)는 외부로 배출하거나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행거걸림고리(225)에 걸어놓고 사용할 수 있다. The user hangs a plurality of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은 수건행거의 폭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한 열로 수건행거를 적층되게 수용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케이싱은 수건행거의 2배의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수건행거가 좌우로 두 개의 열로 적층되게 수용될 수 있어 수건 수용량을 늘릴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s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towel hanger to accommodate the towel hanger stacked in one row, in some cases, the casing may be provided with a width of twice the towel hanger. In this case, the towel hanger can be accommodated stacked in two rows from side to side to increase the towel capacity.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수건 건조대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 of the towel drying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 will be.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owel drying ra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하시도이고,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decomposi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owel drying ra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대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Figure 3a to 3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towel drying ra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대의 조립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towel drying ra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대의 수건 행거의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owel hanger of the towel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수납장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owel cabin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건수납장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owel cabin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건수납장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owel cabi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건수납장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owel cabi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건수납장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owel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수건건조대 110 : 수직봉100: towel drying rack 110: vertical rod
110a : 제1체결공 111 : 상부결합부110a: first fastening hole 111: upper coupling portion
111a : 제1수용공 111b : 제2수용공111a:
112a : 제1결합너트 112b : 제2결합너트112a:
113 : 하부결합부 113a : 제1수용공113:
113b : 제2수용공 120 : 지지레그113b: Second accommodation ball 120: Support leg
121 : 미끄럼방지부재 122 : 레그체결공121: non-slip member 122: leg fastening
130 : 결합봉 131 : 결합본체130: coupling rod 131: coupling body
133 : 수직봉결합부 133a : 제2체결공133: vertical
134 : 나사 135 : 레그결합부134: screw 135: leg coupling portion
135a : 제3체결공 140 : 행거홀더135a: 3rd fastener 140: hanger holder
140L, 140R : 상부행거홀더 141 : 홀더본체140L, 140R: upper hanger holder 141: holder body
143 : 수직봉결합부 143a : 나사산143: vertical
150L, 150R : 하부행거홀더 151 : 홀더본체150L, 150R: Lower hanger holder 151: Holder body
153 : 수직봉결합부 153a : 나사산153: vertical
160 : 수건행거 160L, 160R : 상부수건행거160:
161 : 행거프레임 163 : 행거봉161: hanger frame 163: hanger rod
165 : 걸림고리 170L, 170R : 하부수건행거165:
171 : 행거프레임 173 : 행거봉171: hanger frame 173: hanger rod
175 : 걸림고리 200 : 수건수납장175: hook 200: towel storage
210 : 케이싱 211 : 바닥부재210: casing 211: bottom member
213 : 측면부재 220 : 행거걸림고리213: side member 220: hanger hook
221 : 이탈방지절곡부 225 : 보조 행거걸림고리221: departure prevention bending part 225: auxiliary hanger hook
230 : 도어 231 : 수건배출구230: door 231: towel outlet
233 : 손잡이 235 : 힌지233
240 : 수납대 241 : 구획부재240: storage table 241: partition member
250 : 벽결합부재 260 : 도어250: wall coupling member 260: door
261 : 좌측도어 261a : 좌측배출구261: left
263 : 우측도어 263a : 우측배출구263:
270 : 수납대270: storage stan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5902A KR100986965B1 (en) | 2009-06-23 | 2009-06-23 | Towel dr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5902A KR100986965B1 (en) | 2009-06-23 | 2009-06-23 | Towel dry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6965B1 true KR100986965B1 (en) | 2010-10-11 |
Family
ID=4313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59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965B1 (en) | 2009-06-23 | 2009-06-23 | Towel dry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696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1474B1 (en) | 2014-05-21 | 2015-02-10 | 정순원 | modular wash clothes rod using combination with 3 way. |
CN119983747A (en) * | 2025-04-15 | 2025-05-13 | 山东维普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 Drying equipment for wiping towel for cow nipp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495U (en) * | 1993-11-04 | 1995-05-23 | モリ工業株式会社 | Multi-function clothes dryer |
KR970003632Y1 (en) * | 1994-04-04 | 1997-04-23 | 홍영선 | Table binding construction for the laundry |
KR200279132Y1 (en) * | 2002-04-02 | 2002-06-22 | 심일옥 | Foldaway stand for drying wash |
KR20020079132A (en) * | 2001-04-13 | 2002-10-19 | 고낙용 | Obstacle Avoidance Method of a Mobile Robot Using Lane Method |
-
2009
- 2009-06-23 KR KR1020090055902A patent/KR1009869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495U (en) * | 1993-11-04 | 1995-05-23 | モリ工業株式会社 | Multi-function clothes dryer |
KR970003632Y1 (en) * | 1994-04-04 | 1997-04-23 | 홍영선 | Table binding construction for the laundry |
KR20020079132A (en) * | 2001-04-13 | 2002-10-19 | 고낙용 | Obstacle Avoidance Method of a Mobile Robot Using Lane Method |
KR200279132Y1 (en) * | 2002-04-02 | 2002-06-22 | 심일옥 | Foldaway stand for drying wash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1474B1 (en) | 2014-05-21 | 2015-02-10 | 정순원 | modular wash clothes rod using combination with 3 way. |
CN119983747A (en) * | 2025-04-15 | 2025-05-13 | 山东维普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 Drying equipment for wiping towel for cow nipp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86337B2 (en) | Wooden shoe rack construction | |
KR101740190B1 (en) | Rotary Hangers for mounting shelf | |
KR100986965B1 (en) | Towel dryer | |
US20100019634A1 (en) | Foldable cabinet | |
KR20100004365U (en) | Coat Hanger | |
KR100995441B1 (en) | Towel cabinet with embedded dry hanger | |
KR102286624B1 (en) | Door hanger type multi purpose receipt | |
KR100937360B1 (en) | Towel closet | |
US6443321B1 (en) | Luggage rack with hanging bar for garments | |
KR20120045345A (en) | Ceiling cabinets | |
US20090184117A1 (en) | Combination storage device | |
KR200467112Y1 (en) | Clothes dryer | |
KR200464898Y1 (en) | Ironning Board | |
KR200203572Y1 (en) | Walk in closet | |
KR200459857Y1 (en) | a hanger | |
KR200461957Y1 (en) | Clothes rack | |
KR100947586B1 (en) | Shelf supporter | |
CN201911993U (en) | Folding towel rack | |
KR200385893Y1 (en) | Length form cabinet | |
KR20120037584A (en) | Folding meeting table | |
KR200325261Y1 (en) | Towel rack | |
CN215604200U (en) | Clothes towel cabinet | |
JP6311208B2 (en) | Bathroom vanity | |
JP3208609U (en) | Storage rack | |
CN208988420U (en) | A kind of accepting rack with fixed dis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8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