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86692B1 - 공기흡입펌프 - Google Patents

공기흡입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692B1
KR100986692B1 KR1020100054113A KR20100054113A KR100986692B1 KR 100986692 B1 KR100986692 B1 KR 100986692B1 KR 1020100054113 A KR1020100054113 A KR 1020100054113A KR 20100054113 A KR20100054113 A KR 20100054113A KR 100986692 B1 KR100986692 B1 KR 10098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se member
piston member
upper por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to KR1020100054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692B1/ko
Priority to US13/695,539 priority patent/US20130101442A1/en
Priority to PCT/KR2010/008011 priority patent/WO2011059269A2/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흡입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스톤부재의 상하이동에 의해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곧바로 열봉합을 할 수 있는 공기흡입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흡입펌프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열선과;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또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메인가스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1연통공을 개폐하는 연통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흡입펌프 { AIR SUCTION PUMP }
본 발명은 공기흡입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스톤부재의 상하이동에 의해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곧바로 열봉합을 할 수 있는 공기흡입펌프에 관한 것이다.
과일, 야채, 육류, 반찬 등의 식품을 보관함에 있어서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공기 중의 산소로 인해 식품이 빨리 부패하거나 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 상태로 보관하도록 하는 진공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진공용기는 용기 자체에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진공용기 일단에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체크 밸브를 구비하고, 별도의 자동공기흡입펌프 또는 수동공기흡입펌프를 이용하여 진공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자동공기흡입펌프의 경우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동공기흡입펌프를 많이 사용한다.
일반적인 수동공기흡입펌프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배치된 피스톤부와, 일단이 상기 피스톤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로드부재와,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에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수동공기흡입펌프는 피스톤부의 상하이동에 의해 비닐봉투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별도의 실링장치를 이용하여 열봉합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진공후 실링과정에서 비닐봉투의 진공이 풀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비닐봉투에 별도의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있어서, 비닐봉투의 진공을 잡아주도록 하였으나, 체크밸브가 없는 비닐봉투에는 종래의 수동공기흡입펌프를 위와 같은 이유로 사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수동에 의해 일반적인 비닐봉투를 용이하게 진공시키면서 동시에 진공이 완료되면 열봉합하여 밀봉시킬 수 있는 공기흡입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흡입펌프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열선과;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또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메인가스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1연통공을 개폐하는 연통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부가 배치되는 중공형상의 하우징본체와; 내부에 상하를 관통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장착공에 삽입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흡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흡입공의 둘레를 감싸는 상기 열선이 장착된 가압부와; 상기 흡입공의 상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피스톤부재의 상승시 상기 흡입공의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강시 상기 흡입공의 상부를 폐쇄한다.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강시 상기 가압부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봉투를 절개하는 펀치돌기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방향으로 개방되고 절개된 비닐봉투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며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강시 상기 펀치돌기가 삽입되는 낙하공과; 상기 낙하공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납부의 내부를 상기 흡입공과 연통시키는 유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펀치돌기의 둘레에는 상기 열선이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연결단자가 상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중간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피스톤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는 연결선에 의해 상기 열선과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강시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단자는 상호 접하여 상기 열선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에 상기 중간판이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가압부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에 장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에는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상기 흡입공과 연통되는 제2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재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강시 상기 피스톤부재에 눌려 압축되면서 상기 가압부를 하강시킨다.
상기 탄성부에는 제2연통공에 상기 체크밸브를 누르는 누름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부재의 상부 또는 베이스부재의 하부에는 레일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부재의 상부에는 누름커버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되되, 상기 누름커버의 하면 또는 피스톤부재의 상면에는 레일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흡입펌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피스톤부재를 수동에 의해 왕복운동시킴으로써, 비닐봉투를 용이하게 진공시키면서 동시에 진공이 완료되면 열봉합하여 밀봉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의 하부에 제2연통공을 형성함으로써, 비닐봉투뿐만 아니라 진공용기를 진공시킬 수도 있고, 와인병의 마개를 분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체크밸브의 상부를 누르는 누름부를 형성함으로써, 체크밸브가 흡입공의 상부를 보다 잘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레일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지퍼백의 지퍼부를 보다 잘 체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재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일부구성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일부구성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의 베이스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비닐봉투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하우징을 하강시켜 비닐봉투를 절개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피스톤부재를 상승시켜 펌핑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진공완료 후 비닐봉투의 절개부위를 열봉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에 의해 진공이 완료된 상태의 비닐봉투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재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일부구성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일부구성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흡입펌프는, 베이스부재(10)와, 하우징(20)과, 열선(30)과, 피스톤부재(60)와, 전원공급부(70)와, 메인가스켓(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비닐봉투(9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수납부(12)와, 상기 수납부(12)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부재(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부(12)는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재(10)와 하우징(20) 사이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비닐봉투(90)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재(60)를 상하이동시킬 경우, 상기 비닐봉투(90)에서 배출된 이물질은 상기 수납부(12)에 수용된다.
상기 수납부(12)의 하부에는 상기 수납부(12)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2)에는 상기 제1연통공(12a)을 개폐하는 연통도어(12b)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연통공(12a)은 다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3)는 상기 수납부(12)의 상부를 덮고 있다.
상기 커버부재(13)가 상기 수납부(1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커버부재(13)와 수납부(12)의 접촉부위는 별도의 밀폐수단 등을 통해 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한다.
상기 커버부재(13)에는 상기 수납부(12)의 내부와 상부를 연통시키는 낙하공(14)과 유동공(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낙하공(14)과 유동공(15)은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낙하공(14) 둘레에는 하부차단가스켓(18)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부재(60)의 하강시 상기 낙하공(14)과 유동공(15)의 연통경로를 차단한다.
상기 낙하공(14)에는 상기 하우징(20)의 하강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 형성된 펀치돌기(29)가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하우징본체(21)와, 하부덮개(22)와, 가압부(23)와, 체크밸브(24)와, 탄성부(25)와, 중간판(2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21)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피스톤부재(60)의 하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덮개(22)는 상기 하우징본체(21)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본체(21)의 하부를 덮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하부덮개(22)는 내부에 상하를 관통하는 장착공(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덮개(22)의 하부에는 중공 폐곡선 형상의 하부메인가스켓(41)이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덮개(22)에는 하방향으로 가이드돌기(27)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7)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27)에는 제2스프링(27a)이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대해 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탄성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게 된다.
상기 가압부(23)는, 상기 장착공(22b)에 삽입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흡입공(23a)이 관통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흡입공(23a)의 둘레를 감싸는 상기 열선(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23)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부(23)의 하강시 상기 하부차단가스켓(18)과 접하는 상부차단가스켓(28)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차단가스켓(28)에 의해 상기 흡입공(23a)의 하부는 상기 가압부(23)의 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24)는 상기 흡입공(23a)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공(23a)의 상부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체크밸브(24)는, 상기 피스톤부재(60)의 상승시 상기 흡입공(23a)의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피스톤부재(60)의 하강시 상기 흡입공(23a)의 상부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23)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20)의 하강시 상기 가압부(23)와 베이스부재(10)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봉투(90)를 절개하는 펀치돌기(29)가 장착된다.
상기 펀치돌기(29)는 상기 하우징(20)의 하강시 상기 비닐봉투(90)를 절개한 후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형성된 상기 낙하공(14)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25)는 상기 하부덮개(22)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 상기 가압부(23)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25)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자유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재(60) 방향 즉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부재(60)의 하강시 상기 피스톤부재(60)에 눌려 압축되면서 상기 가압부(23)를 하강시킨다.
상기 탄성부(25)에는 상기 체크밸브(24)에 의해 상기 흡입공(23a)과 연통되는 제2연통공(2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25)에는 상기 제2연통공(25a)에 상기 체크밸브(24)를 누르는 누름부(25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25b)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어, 상기 체크밸브(2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흡입공(23a)을 개폐할 때, 상기 누름부(25b)는 상기 체크밸브(24)와 같이 함께 상하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상기 누름부(25b)가 상기 체크밸브(24)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상기 체크밸브(24)가 임의로 상승되어 상기 흡입공(23a)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체크밸브(24)가 상기 흡입공(23a)의 상부를 보다 잘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판(26)은 상기 탄성부(25)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25)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가압부(23)와 결합된다.
즉, 상기 탄성부(25)와 가압부(23)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25)가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26)과 가압부(23)는 상기 탄성부(25)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판(26), 탄성부(25) 및 가압부(23)는 함께 상하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26)에는 연결단자(26a)가 상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재(60)의 하강시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연결단자(26a)는 상기 가압부(23)를 관통하는 연결선에 의해 상기 가압부(23)의 하부에 결합된 열선(3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부재(60)의 하강시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상기 연결단자(26a)가 상호 접촉하고, 이로 인해 상기 열선(30)에는 상기 전원공급부(70)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열선(30)은 상기 펀치돌기(29)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가압부(23)의 하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선(30)은 상기 펀치돌기(29)를 감싸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열선(30)은 상기 하우징(20)의 하강시 상기 하부차단가스켓(18)에 접하게 된다.
상기 메인가스켓(40)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및/또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가스켓(40)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20)의 하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한쪽에만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가스켓(40)은, 상기 하우징(20)의 하면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덮개(22)의 외곽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폐곡선 형상의 상부메인가스켓(42)과,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 자세하게는 상기 커버부재(13)의 외곽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20)의 하강시 상기 상부메인가스켓(42)과 접하는 폐곡선 형상의 하부메인가스켓(4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하강시 상부메인가스켓(42)과 하부메인가스켓(41)은 상호 접하여 압축됨으로써, 상기 하우징(20)과 베이스부재(10) 사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펀치돌기(29), 열선(30), 낙하공(14) 및 유동공(15)은 모두 상기 메인가스켓(40)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13)에는 상방향으로 하부스토퍼(13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덮개(22)에는 하방향으로 상부스토퍼(2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스토퍼(13a)와 상부스토퍼(22a)의 돌출길이의 합은, 상기 메인가스켓(40)의 돌출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의 하강시 상기 상부메인가스켓(42)과 하부메인가스켓(41)이 먼저 닿고, 그 후에 상기 상부스토퍼(22a)와 하부스토퍼(13a)가 상호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20)의 하강시 상기 상부메인가스켓(42)과 하부메인가스켓(41)은 상기 상부스토퍼(22a)와 하부스토퍼(13a)가 상호 접하여 상기 하우징(20)의 하강이 정지될 때까지, 상기 베이스부재(10)와 하우징(20)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90)를 누르면서 상호 압축되게 된다.
상기 피스톤부재(60)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부재(60)는, 피스톤부(61)와, 로드부(62)와, 손잡이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부(61)는 상기 하우징(20)의 내측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외주면에 고무링(61a)이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내측면과 접하며, 하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연결된 접속단자(61b)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62)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부(61)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부(62)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부(70)가 삽입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부재(60)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로드부(62)와 피스톤부재(60)는 별개로 제작된 후 조립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63)는 상기 로드부(62)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63)는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63)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상부 사이에는 제1스프링(65)에 의해 승강되도록 탄성지지되는 버튼부(64)가 돌출 장착된다.
상기 버튼부(64)는 승강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열선(30)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버튼부(64)는 상기 전원공급부(70) 및 접속단자(61b)와 각각 전선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버튼부(64)와 전원공급부(70)가 전선(미도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버튼부(64)와 접속단자(61b)가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64)가 눌려 상기 제1스프링(65)을 최대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70)에 연결된 전선과 상기 접속단자(61b)에 연결된 전선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속단자(61b)에 연결된 전선은 상기 피스톤부재(60)를 관통하여 상기 버튼부(64)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종래의 공지된 버튼식 스위치를 참조하면 충분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버튼부(64)가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열선(30)은 상호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상기 버튼부(64)가 눌리면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열선(30)이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프링(65) 및 버튼부(64)는 상기 손잡이부(63)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으나,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상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64)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63)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상부를 상호 이격되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63)의 하부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상부에 닿기 전에 상기 버튼부(64)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상부에 먼저 닿게 되고, 상기 피스톤부재(6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1스프링(65)에 의해 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상기 버튼부(64)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63)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상부는 상호 이격된 상태가 된다.
상기 피스톤부재(6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즉 상기 제1스프링(65)이 압축되기 전에는,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상기 접속단자(61b)는 상기 버튼부(64)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이 상호 차단되어 있다.
그러다가 상기 피스톤부재(60)를 하강시키면, 상기 버튼부(64)가 눌리면서 상기 제1스프링(65)이 압축되고,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접속단자(61b)는 상기 버튼부(64)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전원공급부(70)는 상기 열선(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상기 로드부(6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70)는 상기 버튼부(64)와 접속단자(61b)를 통해 상기 열선(30)과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부재(60)의 하강에 의해 상기 버튼부(64)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접속단자(61b)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접속단자(61b)와 연결단자(26a)가 상호 접하게 되면,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상기 열선(30)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열선(30)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열선(30)은 가열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열선(30)의 상호 연결은 상기 버튼부(64)가 최대로 눌렸을 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재(60)의 하강시 상기 피스톤부재(60)의 하면 즉 상기 피스톤부(61)는 상기 중간판(26)의 상면을 눌러, 상기 탄성부(25)를 아랫방향으로 눌러 압축시키면서 상기 가압부(23)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재(60)의 상부에는 레일돌기(6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레일돌기(66)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퍼백 즉 지퍼부(93)가 형성된 비닐봉투(90)에서의 지퍼부(93)를 눌러 지퍼가 잘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재(60)의 상부에는 상기 피스톤부재(6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별도의 누름커버(80)를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누름커버(80)의 하면 및/또는 피스톤부재(60)의 상면에는 레일돌기(81)가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퍼백의 지퍼부(93)가 상기 누름커버(80)와 피스톤부재(60)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누름커버(80)가 눌리면서 레일돌기(66,81)가 지퍼부(93)를 가압하도록 한 상태에서, 지퍼백 또는 공기흡입펌프를 이동시켜 지퍼부(93)가 연속적으로 잘 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레일돌기(19)는 상기 피스톤부재(60)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의 베이스부재(10)와 하우징(20) 사이에 비닐봉투(90)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하우징(20)을 하강시켜 비닐봉투(90)를 절개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서 피스톤부재(60)를 상승시켜 펌핑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진공완료 후 비닐봉투(90)의 절개부위(95)를 열봉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펌프에 의해 진공이 완료된 상태의 비닐봉투(90)의 사시도이다.
상기 피스톤부재(60) 또는 베이스부재(10)에 형성된 상기 레일돌기(19,66)를 이용하여 지퍼백의 개구부(91)에 형성된 지퍼부(93)를 가압한 상태에서 공기흡입펌프 또는 지퍼백을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지퍼부(93)는 상기 레일돌기(19,66)가 누르고 있기 때문에, 이동하면서 상기 지퍼부(93)가 상호 체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지퍼부(93)가 형성된 비닐봉투(90) 즉 지퍼백은 개구부(91)가 밀봉된다.
상기 개구부(91)가 봉합된 상기 비닐봉투(9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와 하우징(20) 사이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삽입 배치한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90)는 도 13에 도시된 측면접합부(92)가 상기 베이스부재(10)와 하우징(20) 사이의 개방된 전방으로 삽입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제2스프링(27a)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3)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20)과 커버부재(13)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으로 상기 비닐봉투(90)를 삽입 배치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봉투(90)는 상기 낙하공(14)을 덮고 있고, 상기 펀치돌기(29)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스프링(65) 및 버튼부(64)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63)의 하부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상부와 이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접속단자(61b)는 상기 버튼부(64)에 의해 상호 접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상기 열선(30)은 가열되지 않은 상태로 놓여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을 하강시킨다.
상기 하우징(2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펀치돌기(29)는 상기 비닐봉투(90)를 절개한 후 상기 낙하공(14)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상부메인가스켓(42)과 하부메인가스켓(41)은 상호 접하여 상기 메인가스켓(40)의 내외부 공기유출입을 차단하고, 상호 압축된다.
그러다가, 상기 상부스토퍼(22a)와 하부스토퍼(13a)가 상호 접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20)은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상부메인가스켓(42)과 하부메인가스켓(41)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90)가 너무 압축되어 상기 비닐봉투(90)의 내부공기가 상기 펀치돌기(29)에 의해 절개된 비닐봉투(90)의 절개부위(95)로 이동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재(60)를 상승시킨다.
상기 피스톤부재(6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61)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내부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상기 체크밸브(24)는 상하부의 압력차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하부덮개(22)의 하부에 있는 공기는 상기 흡입공(23a) 및 체크밸브(24)를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닐봉투(90) 내부의 공기는 상기 펀치돌기(29)에 의해 절개된 부위를 통해 상기 낙하공(14)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는 다시 수납부(12)를 거쳐 상기 유동공(15)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는 다시 상기 흡입공(23a) 및 체크밸브(24)를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9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액체 또는 분말 등이 함께 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물질은 상기 낙하공(14)을 통해 상기 수납부(12)로 이동한 후 낙하되어 적재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피스톤부재(60)의 상승 후 상기 피스톤부재(60)를 하강시키면, 상기 피스톤부(61)의 하부에 위치한 공기는 상기 피스톤부(61)의 외주면에 장착된 고무링(61a)과의 간극을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24)는 폐쇄되어 상기 하우징본체(21) 내부의 공기가 상기 하부덮개(22)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24)는 상기 누름부(25b)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상기 흡입공(23a)의 상부를 보다 잘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피스톤부재(60)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90) 내부의 공기는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상기 피스톤부재(60)의 펌핑운동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90) 내부가 진공이 되었다면 판단되면, 상기 피스톤부재(60)를 눌러 하강시킨다.
물론, 이때까지도 상기 하우징(20)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재(6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버튼부(64)는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상부와 접하면서 상기 제1스프링(65)은 압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상기 접속단자(61b)는 상기 버튼부(64)를 통해 상호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재(60)가 더 하강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61)의 하부는 상기 중간판(26)의 상부와 닿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접속단자(61b)와 연결단자(26a)는 상호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열선(30)은 상기 접속단자(61b) 및 연결단자(26a)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열선(30)은 가열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61b)와 연결단자(26a)는 상기 버튼부(64)가 약간 눌려졌을 때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많이 눌려졌을 때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부재(60)의 승강운동시 불필요하게 상기 열선(30)이 가열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재(60)가 더 하강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61)의 하부는 상기 중간판(26)의 상부를 아랫방향으로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25)는 아랫방향으로 압축되어 눌리면서 상기 가압부(23)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23)가 하강됨에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부(70)와 연결되어 가열된 상기 열선(30)도 하강되고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열선(30)은 상기 비닐봉투(90)의 상면을 강하게 누르게 된다.
위와 같이 가열된 상기 열선(30)이 상기 비닐봉투(90)의 상면을 강하게 누름에 따라서, 상기 펀치돌기(29)에 의해 절개된 상기 비닐봉투(90)의 절개부위(95) 둘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선(30)의 가열에 의해 열봉합부위(9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열선(30)은 상기 펀치돌기(29)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비닐봉투(90)의 절개부위(95)는 상기 비닐봉투(90)의 내부와 상기 열봉합부위(94)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선(30)에 의해 열봉합부위(94)는 상기 비닐봉투(90)의 측면접합부(92)와 연결된다.
상기 비닐봉투(90)의 진공 및 열봉합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부재(60)를 아랫방향으로 가하고 있는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상기 제1스프링(6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64)가 상기 피스톤부재(60)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단자(26a)와 접속단자(61b)는 상호 차단된다.
그리고, 눌려져 압축되어 있던 상기 탄성부(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23)는 상승하여 상기 열선(30)이 상기 비닐봉투(90)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한편, 별도의 진공용기(미도시)를 진공시키고자 할 경우 또는 와인병(미도시)의 마개를 뽑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연통도어(12b)을 이용하여 상기 수납부(12)에 형성된 상기 제1연통공(12a)을 개방한 후, 이를 진공용기의 상부 또는 와인병의 마개에 올려놓고, 상기 피스톤부재(60)를 왕복운동시켜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시키거나 와인병의 마개를 분리시킨다.
본 발명인 공기흡입펌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베이스부재, 12 : 수납부, 12a : 제1연통공, 12b : 연통도어, 13 : 커버부재, 13a : 하부스토퍼, 14 : 낙하공, 15 : 유동공, 16 : 가이드홈, 18 : 하부차단가스켓, 19 : 레일돌기,
20 : 하우징, 21 : 하우징본체, 22 : 하부덮개, 22a : 상부스토퍼, 22b : 장착공, 23 : 가압부, 23a : 흡입공, 24 : 체크밸브, 25 : 탄성부, 25a : 제2연통공, 25b : 누름부, 26 : 중간판, 26a : 연결단자, 27 : 가이드돌기, 27a : 제2스프링, 28 : 상부차단가스켓, 29 : 펀치돌기,
30 : 열선,
40 : 메인가스켓, 41 : 하부메인가스켓, 42 : 상부메인가스켓,
60 : 피스톤부재, 61 : 피스톤부, 61a : 고무링, 61b : 접속단자, 62 : 로드부, 63 : 손잡이부, 64 : 버튼부, 65 : 제1스프링, 66 : 레일돌기,
70 : 전원공급부,
80 : 누름커버, 81 : 레일돌기,
90 : 비닐봉투, 91 : 개구부, 92 : 측면접합부, 93 : 지퍼부, 94 : 열봉합부위, 95 : 절개부위,

Claims (8)

  1. 삭제
  2.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열선과;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또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메인가스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1연통공을 개폐하는 연통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부가 배치되는 중공형상의 하우징본체와;
    내부에 상하를 관통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장착공에 삽입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흡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흡입공의 둘레를 감싸는 상기 열선이 장착된 가압부와;
    상기 흡입공의 상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피스톤부재의 상승시 상기 흡입공의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강시 상기 흡입공의 상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흡입펌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강시 상기 가압부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봉투를 절개하는 펀치돌기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방향으로 개방되고 절개된 비닐봉투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며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강시 상기 펀치돌기가 삽입되는 낙하공과; 상기 낙하공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납부의 내부를 상기 흡입공과 연통시키는 유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펀치돌기의 둘레에는 상기 열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흡입펌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연결단자가 상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중간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피스톤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는 연결선에 의해 상기 열선과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강시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단자는 상호 접하여 상기 열선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흡입펌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에 상기 중간판이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가압부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에 장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에는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상기 흡입공과 연통되는 제2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재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강시 상기 피스톤부재에 눌려 압축되면서 상기 가압부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흡입펌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는 제2연통공에 상기 체크밸브를 누르는 누름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흡입펌프.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의 상부 또는 베이스부재의 하부에는 레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흡입펌프.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의 상부에는 누름커버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되되,
    상기 누름커버의 하면 또는 피스톤부재의 상면에는 레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흡입펌프.


KR1020100054113A 2009-11-12 2010-06-08 공기흡입펌프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113A KR100986692B1 (ko) 2010-06-08 2010-06-08 공기흡입펌프
US13/695,539 US20130101442A1 (en) 2009-11-12 2010-11-12 Air suction pump and method for vacuum sealing vinyl bag using same
PCT/KR2010/008011 WO2011059269A2 (ko) 2009-11-12 2010-11-12 공기흡입펌프와 이를 이용한 비닐봉투의 진공 및 밀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113A KR100986692B1 (ko) 2010-06-08 2010-06-08 공기흡입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692B1 true KR100986692B1 (ko) 2010-10-08

Family

ID=43135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1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692B1 (ko) 2009-11-12 2010-06-08 공기흡입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9459A1 (zh) * 2016-12-02 2018-06-0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气泵组件和冷藏冷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254A (ja) * 1993-04-13 1994-11-15 Germano Maina コンテナーの中に真空を発生させる吸引装置
KR20030029425A (ko) * 2001-10-08 2003-04-14 고려알파라인(주) 진공보존용 병마개
KR20050115655A (ko) * 2004-06-04 2005-12-08 안준영 진공포장용 쟈크백
KR20100056057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제로팩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254A (ja) * 1993-04-13 1994-11-15 Germano Maina コンテナーの中に真空を発生させる吸引装置
KR20030029425A (ko) * 2001-10-08 2003-04-14 고려알파라인(주) 진공보존용 병마개
KR20050115655A (ko) * 2004-06-04 2005-12-08 안준영 진공포장용 쟈크백
KR20100056057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제로팩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9459A1 (zh) * 2016-12-02 2018-06-0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气泵组件和冷藏冷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20100128968A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KR100986692B1 (ko) 공기흡입펌프
KR101322780B1 (ko) 용기 열봉합 장치
US20130101442A1 (en) Air suction pump and method for vacuum sealing vinyl bag using same
KR20140042487A (ko) 수동형 진공 핸디 펌프
KR20120032245A (ko) 용기용 진공펌프
KR20110054571A (ko) 전동형 진공흡입장치
KR100986690B1 (ko) 공기흡입펌프
KR100991751B1 (ko) 실링장치가 구비된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KR20110052297A (ko) 펀치돌기가 형성된 진공흡입장치와 이를 이용한 비닐봉투의 진공 및 열봉합 방법
KR100968619B1 (ko) 공기흡입펌프
KR100968618B1 (ko) 공기흡입펌프 및 이의 공기흡입 및 열봉합 방법
KR20110052286A (ko) 진공흡입장치와 이를 이용한 비닐봉투의 진공 및 열봉합 방법
KR101944257B1 (ko) 다양한 진공용기에 사용 가능한 휴대용 진공기
KR100732152B1 (ko) 이중 누름장치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20110101282A (ko)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및 이것이 장착된 공기흡입펌프
KR20100056057A (ko)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JP6991571B2 (ja) サーバー
KR200447921Y1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0992194B1 (ko)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KR20090129290A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1974385B1 (ko) 진공 포장 시스템
KR20100116501A (ko) 상하 슬라이드형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1974540B1 (ko) 휴대용 진공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