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78075B1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075B1
KR100978075B1 KR1020100010426A KR20100010426A KR100978075B1 KR 100978075 B1 KR100978075 B1 KR 100978075B1 KR 1020100010426 A KR1020100010426 A KR 1020100010426A KR 20100010426 A KR20100010426 A KR 20100010426A KR 100978075 B1 KR100978075 B1 KR 100978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primary
screen
tertiary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을호
백진기
신철호
함재현
전재청
이대형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0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처리조를 매설하고, 고형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의 초기 우수를 호퍼를 통해 유입시켜 1차, 2차, 3차 스크린을 통하여 우수로부터 고체 이물질과 슬러지를 다단계에 걸쳐서 분리시키고, 최종적으로 초기우수로부터 오일, 그리스를 포함한 유류물질 및 미세 중금속을 흡착 처리할 수 있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우수에 대해 1mm이상 조대 고형물을 95%이상 제거하고, 200㎛이상 침전성물질을 95%이상 제거할 수 있어서 매우 우수한 입자 제거율을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초기우수의 처리과정에서 처리조의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고형물이나 협잡물로 인한 스크린 폐쇄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유 및 침전물질(SS), 유류물질(Oil&Grease)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연 1~2회 정도 내부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1차에서는 슬러지버켓을 들어 제거하고, 2차와 3차는 진공흡입 차량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FIRST RUN-OFF RAIN}
본 발명은 도로 또는 주차장, 단지 내의 분류식 우수관거의 초기 우수내에 포함되어있는 비점오염원을 처리하기 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지하에 처리조를 매설하고, 고형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의 초기 우수를 호퍼를 통해 유입시켜 1차, 2차, 3차 스크린을 통하여 우수로부터 고체 이물질과 슬러지를 다단계에 걸쳐서 분리시키고, 최종적으로 초기우수로부터 오일, 그리스를 포함한 유류 물질 및 미세 중금속을 흡착 제거할 수 있으며, 대규모 유량까지 처리범위가 크고, 유량변동에 대한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점오염원은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오염원으로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 폐수등이 이에 속하며, 비점오염원은 주로 초기우수나,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원으로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 침식물, 교총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초기우수가 주된 비점오염원이 되는 것이다.
특히 도시지역 하천의 경우, 각종 유기 독성 및 중금속 등의 주요 오염원들이 비점오염원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고, 미국 등 일부 국자에서는 비점오염원의 적극적 규제 및 처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도 최근 들어 공공 수역의 수질 관리를 위하여 비점오염원 제어가 중요하다는 사실이 점차 인식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택지개발 및 도로의 건설 등으로 불투수층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비점오염원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53332호의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하천이나 수로 및 저수지 등에서 오염된 물을 정화하기 위하여 하천이나 수로 바닥에 그레이팅을 묻은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이루어진 여과 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된 물을 이 여과시설에 수직으로 통과시켜서 수질을 정화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하천 바닥 수로 밑에 흐름 방향으로 길게 상부가 개방된 콘크리트 여과재 충진 구조물을 만들며, 그 내부에는 최하부에 가장 큰 입경의 자갈층을 수평으로 충진하고 그 위에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입경이 작은 자갈층을 순차적으로 충진하며, 최상부에는 0.3 ~ 1m 깊이의 모래층과 그레이팅 카바를 묻어서 설치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필터 작용을 거쳐서 오염된 자갈층과 모래층을 새롭게 보수하는 것이 어렵고 보수 유지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는 다른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392908호의 "우수정화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우수정화필터는 수직홈을 가진 원통형의 케이싱으로 구성하여 케이싱 자체가 우수속에 포함된 협잡물 등을 거르는 1차 필터층을 형성시키고, 케이싱 외부에 청소갈취가 부착된 부력식 튜브가 설치되어 있어서 우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튜브가 부력으로 인하여 우수정화필터 상하로 움직이면서 케이싱 수직홈에 부착되어 있는 협잡물을 무동력으로 청소해 주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우수정화필터 내부는 2중 필터층 구조로 2차 필터층은 백탄을 주 원료로 한 숯담체로, 3차 필터층은 입자가 작은 숯을 은나노액에 함침시킨 은나노숯담체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숯담체를 이용하여 우수속에 포함된 무기물 및 중금속을 흡착하고, 은의 항균작용으로 우수속에 살고 있는 병원성 미생물도 사멸시킨 후에 정화된 우수를 하천에 방류시켜 하천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도 은나노숯담체의 보수 유지가 어렵고, 보수 유지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을 갖는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546061호의 "다면적 여과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 전량 여과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개발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에서 오염도 높은 초기우수를 분리하여 부지면적을 적게 요구하는 월류수 배출구없는 다면적 여과시설에서 전량여과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우수가 유출하는 측구, 하수도 등의 수로상에서 여과를 위한 수위차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초기우수 분리시설을 설치하고 이 분리시설에 연결하여 초기우수를 충분히 여과할 수 있는 규모의 월류수 배출구가 없는 다면적 여과시설을 인접한 위치에 설치한 구조이다.
따라서 비가 와서 유출이 시작되면 초기우수를 여과공간으로 선착순 유입시켜 월류수 배출구없는 다면적 여과시설에 포획저장하여 전량 여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여과시설내에 모래층과 자갈층, 유공관을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일측에 여과수 방류관이 연결된 집수정을 설치한 것으로서, 이 또한 필터 작용을 거쳐서 오염된 자갈층과 모래층을 새롭게 보수하는 것이 어렵고 보수 유지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을 갖는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0-2008-0027305호의 "초기우수 집수부를 갖는 확장형 노견"이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하천구조의 제방인 법면 또는 옹벽에 상판을 갖는 구조물을 설치해 하천방향으로 확장된 노견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노견은 부족한 도로시설을 보충할 수 있는 보행로 또는 자전거도로로 활용되도록 하며, 상기 확장노견의 하부에는 지지체인 본체에 집수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도로의 노면에서 발생하는 타이어가루, 분진 등 비점오염원을 비롯한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포집해 인근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하천이 형성하는 습지등의 자연환경을 보호하면서 하천을 이용하는 주민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하천의 생태환경보호와 도로시설의 공존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우수로부터 분리된 각종 고형 이물질이 집수부에 모이는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수거하여 인근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처리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강우량이 많은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 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0-2009-0120986호의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위한 측구"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측면에 기초부가 설치되고, 기초부에 여과층과 투구 블록이 차례로 설치되어, 투구 블록과 여과층에 의해 초기 우수와 함께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이 효율적으로 정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측구의 파손시 보수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그 처리 용량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서 대용량의 초기우수를 처리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초기우수에 대해 우수한 입자 제거율을 갖고, 초기우수의 처리과정에서 고형물이나 협잡물로 인한 스크린 폐쇄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유 및 침전물질(SS), 유류물질(Oil&Grease)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처리 및 구조물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규모 유량까지 처리범위가 크며, 유량변동에 대한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소요부지가 매우 적고, 시각적으로 깨끗할 뿐만 아니라, 소규모에서 대규모 용량까지 초기우수 처리시설을 규격화 할 수 있고, 신속 및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1차 처리조의 내부에 고형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의 초기 우수를 호퍼를 통해 유입시켜 1차 스크린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1차 스크린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처리수단; 상기 1차 처리수단의 1차 처리조에 인접 배치된 2차 처리조의 내부에 상기 1차 스크린보다는 가는 메쉬눈금의 2차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처리수단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를 2차 스크린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2차 스크린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처리수단; 상기 2차 처리수단의 2차 처리조에 인접 배치된 3차 처리조의 내부에 3차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3차 스크린에는 오일제거 흡착포를 부착하여 상기 2차 처리수단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로부터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3차 제거하여 정화수로 처리하는 3차 처리수단; 및 상기 3차 처리수단을 통하여 처리된 정화수를 모으는 집수조를 구비하고, 내부에 설치된 펌프를 통하여 정화된 처리용수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정화수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초기우수로부터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서 분리시키고,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수로 처리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처리수단은 1차 처리조의 일측으로 우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 유입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1차 처리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구의 직하부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을 갖는 호퍼가 위치되어 초기 우수를 받으며, 상기 호퍼의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1차 처리수 배출구의 높이보다는 낮고, 1차 처리조의 바닥면 보다는 높은 높이에 메쉬 크기 1mm의 1차 스크린이 1차 처리조의 횡단면 전체에 걸쳐서 수평으로 고정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퍼는 그 하단 모서리에 고무재료를 포함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거름판이 상기 호퍼의 하부 구멍을 에워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호퍼의 하부로 유입된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1차 스크린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1차 처리조의 바닥면과의 사이 공간에 버켓이 볼트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1차 스크린을 통하여 분리된 이물질과 슬러지를 수거하도록 구성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처리수단은 2차 처리조의 일측으로 2차 처리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2차 처리수 유입구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1차 처리조의 우수 유입구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2차 처리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2차 처리수 유입구와 2차 처리수 배출구의 사이에는 메쉬 크기 0.6mm의 2차 스크린이 2차 처리조의 횡단면 전체에 걸쳐서 수평으로 고정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처리조는 그 바닥면의 일측은 높고 타측은 낮으며, 타측의 낮은 지점에는 샌드 피트가 형성되어 상기 2차 스크린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모으고,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도록 구성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 처리수단은 3차 처리조의 일측으로 3차 처리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3차 처리수 유입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3차 처리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3차 처리수 유입구와 3차 처리수 배출구의 사이에는 3차 스크린이 3차 처리조의 내부 공간을 3차 처리수 유입구의 전방 공간과 3차 처리수 배출구의 후방 공간으로 2분할하도록 배치되고, 3차 처리조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 스크린은 메쉬 크기 1mm의 스크린 본체의 일측 또는 사이에 오일제거 흡착포를 부착하여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흡착제거시키고, 상기 3차 처리조는 3차 스크린이 설치된 바닥면의 중앙지점이 높고, 그 양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낮으며, 상기 경사면을 통하여 3차 스크린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모으고,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도록 구성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처리조, 2차 처리조 및 3차 처리조는 단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이루어지고, 그 내측에서 중간 격벽들을 통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1차 처리조와 2차 처리조를 구획하는 중간 격벽에는 1차 처리수 배출구와 2차 처리수 유입구가 하나의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2차 처리조와 3차 처리조를 구획하는 중간 격벽에는 2차 처리수 배출구와 3차 처리수 유입구가 하나의 구멍으로서 형성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 처리수단의 3차 처리조와 정화수 처리수단의 집수조는 각각 별개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형성되고, 3차 처리조의 3차 처리수 배출구와 집수조의 정화수 유입구 사이는 처리수 유입관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집수조의 타측으로는 펌프의 토출관과는 별개의 처리수 유출관이 정화수 유입구와 동일 높이로 형성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1차 처리수단의 1차 처리조의 내부에 고형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의 초기 우수를 호퍼를 통해 유입시켜 1차 스크린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1차 스크린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단계; 상기 1차 처리수단의 1차 처리조에 인접 배치된 2차 처리수단의 2차 처리조 내부에 상기 1차 스크린보다는 가는 메쉬눈금의 2차 스크린을 설치하고, 상기 1차 처리수단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를 2차 스크린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2차 스크린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단계; 상기 2차 처리수단의 2차 처리조에 인접 배치된 3차 처리수단의 3차 처리조 내부에 수직으로 3차 스크린을 설치하고, 상기 3차 스크린에는 오일제거 흡착포를 부착하여 상기 2차 처리수단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로부터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3차 제거하여 정화수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3차 처리수단을 통하여 처리된 정화수를 모으는 정화수 처리수단의 집수조를 구비하고, 내부에 설치된 펌프를 통하여 정화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초기우수로부터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서 분리시키고,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수로 처리하는 초기우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스크린은 메쉬 크기 1mm로 초기우수로부터 이물질을 1차 분리시키고, 분리된 1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1차 스크린 하부의 버켓을 통하여 1차 집수조의 외부로 분리수거하며, 상기 2차 스크린은 메쉬 크기 0,6mm로 초기우수로부터 이물질을 2차 분리시키고, 분리된 2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2차 처리조 하부 일측의 샌드 피트를 통하여 모은 다음,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며, 상기 3차 스크린은 메쉬 크기 1mm의 스크린 본체의 일측 또는 사이에 오일제거 흡착포를 부착하여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흡착제거시키고, 분리된 3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3차 처리조 하부 일측에서 모은 다음,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며, 흡착된 유류물질은 오일제거 흡착포를 교환하여 수거하는 초기우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초기우수에 대해 1mm 이상 조대 고형물을 95% 이상 제거하고, 200㎛ 이상 침전성 물질을 95% 이상 제거할 수 있어서 매우 우수한 입자 제거율을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초기우수의 처리과정에서 처리조의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고형물이나 협잡물로 인한 스크린 폐쇄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유 및 침전물질(SS), 유류물질(Oil&Grease)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연 1 ~ 2회 정도 내부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1차에서는 슬러지 버켓을 들어 제거하고, 2차와 3차는 진공흡입 차량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규모 유량까지 처리범위가 크며 유량변동에 대한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소요부지가 매우 적고, 지하에 매설되므로 시각적으로 깨끗할 뿐만 아니라, 소규모에서 대규모 용량까지 초기우수 처리시설을 규격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처리조에 대해서 원형, 사각형 등 현장 조건에 맞춰 현장타설 또는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서 신속 및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고, 처리용수는 청소 및 조경용수로 사용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1차 처리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호퍼의 평면도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호퍼, 1차 스크린 및 버켓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2차 처리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2차 스크린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3차 처리수단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3차 스크린을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100)는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 일측으로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가 배치되며, 그 일측으로 3차 처리수단(170)의 3차 처리조(180)와 정화수 처리수단(200)의 집수조(210)가 차례로 위치되어 초기우수(Wa)로부터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서 분리시키고,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수(Wb)로 처리하게 된다.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1차 처리조(120)의 내부에 고형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의 초기우수(Wa)를 호퍼(122)를 통해 유입시켜 1차 스크린(130)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1차 스크린(130)의 하부면에서 초기 우수로부터 고체 이물질와 슬러지를 1차 제거한다.
이와 같은 1차 처리수단(110)은 1차 처리조(120)의 일측으로 우수 유입구(126)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 유입구(126)보다 낮은 위치에 1차 처리수 배출구(1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수 유입구(126)의 직하부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을 갖는 호퍼(122)가 위치되어 초기우수를 받는다.
이와 같은 호퍼(122)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 모서리에 고무재료를 포함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거름판(132)이 상기 호퍼(122)의 하부 구멍(122a)을 에워싸도록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거름판(132)은 역류방지 밸브(Check Valve)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호퍼(122)의 내측 상부로부터 초기우수 및 이에 포함된 이물질과 슬러지들은 하방으로 통과를 허용하지만, 상기 호퍼(122)의 하부로 유입된 다음에는 역류를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거름판(132)의 하부로 낙하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슬러지는 호퍼(122)측으로 역방향의 역류가 방지되고 1차 처리수 배출구(128) 측으로 이동하면서 1차 스크린(130)에 의해서 걸러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호퍼(122)의 하단 모서리에 고정된 1차 스크린(130)은 메쉬 크기 1mm의 눈금을 갖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높이(h2)는 상기 우수 유입구(126)의 높이(h1)와 1차 처리수 배출구(128)의 높이(h3)보다는 낮고, 1차 처리조(120)의 바닥면(120a) 보다는 높은 위치에서 1차 처리조(120)의 횡단면 전체에 걸쳐서 수평으로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1차 스크린(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122)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1차 처리조(120)의 바닥면(120a)과의 사이 공간에 버켓(140)이 볼트(142)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1차 스크린(130)을 통하여 분리된 이물질과 슬러지를 수거하게 된다.
상기 버켓(140)은 1차 스크린(130)에 다수의 볼트(142) 결합을 통하여 탈착식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1차 스크린(130)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과 슬러지를 내부에 담는 사각 박스형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은 메쉬 크기 1mm의 1차 스크린(130)이 초기 우수로부터 이물질을 1차 분리시키고, 분리된 1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1차 스크린(130) 하부의 버켓(140)을 통하여 수집한 다음, 연 1 ~ 2회 정도 상기 버켓(140)을 1차 처리조(120)의 외부로 분리수거하여 그 내부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에 인접하여 2차 처리수단(15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2차 처리수단(150)은 지하에 매설된 2차 처리조(160)의 내부에 상기 1차 스크린(130)보다는 가는 메쉬눈금의 2차 스크린(162)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를 2차 스크린(162)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2차 스크린(162)의 하부면에서 우수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2차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처리조(160)의 일측으로 2차 처리수 유입구(15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2차 처리수 유입구(152)의 높이(h4)보다는 높고, 상기 1차 처리조(120)의 우수 유입구(126)의 높이(h1) 보다 낮은 높이(h5)에 2차 처리수 배출구(15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를 통하여 2차 처리수단(150)은 2차 처리수 유입구(152)를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가 1차 처리조(120)의 우수 유입구(126)의 높이(h1) 수두를 유지하게 되고, 이 보다 낮은 높이(h5)의 2차 처리수 배출구(154)를 통하여 2차 처리조(16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2차 처리수 유입구(152)와 2차 처리수 배출구(154)의 사이에는 메쉬 크기 0.6mm의 2차 스크린(162)이 2차 처리조(160)의 횡단면 전체에 걸쳐서 수평으로 고정되어 2차 처리조(160)를 통과하는 초기우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 제거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2차 처리조(160)는 그 바닥면(160a)이 경사진 구조를 형성하는데 바닥면(160a)의 일측은 높고, 타측은 낮게 형성된다. 또한 바닥면(160a)의 낮은 지점에는 오목한 샌드 피트(166)가 형성되어 상기 2차 스크린(162)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모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2차 처리조(160)는 2차 스크린(162)이 메쉬 크기 0,6mm로서 우수로부터 이물질을 2차 분리시키고, 분리된 2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2차 처리조(160) 하부 일측의 샌드 피트(166)를 통하여 모은 다음, 주기적으로 외부로부터 진공흡입차량의 흡입관(미 도시)을 상기 샌드 피트(166)에 위치시켜 수집된 이물질을 수거 처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는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에 일체로 형성된 단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사이의 중간 격벽(168)을 통하여 1차 처리조(120)와 2차 처리조(160)가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1차 처리조(120)와 2차 처리조(160)를 구획하는 중간 격벽(168)에는 1차 처리수 배출구(128)와 2차 처리수 유입구(152)가 하나의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제작가능하다. 또한 1차 처리조(120)와 2차 처리조(160)는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에 인접하여 3차 처리수단(170)이 배치되고, 3차 처리수단(170)은 지하에 매설된 3차 처리조(18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3차 처리조(180)는 그 내부에 3차 스크린(182)을 구비하고, 상기 3차 스크린(182)에는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부착하여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로부터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3차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3차 처리수단(17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 처리조(180)의 일측으로 3차 처리수 유입구(172)가 형성되고, 상기 3차 처리수 유입구(172)의 높이(h6)보다 낮은 높이(h7)에 3차 처리수 배출구(17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3차 처리수 유입구(172)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그 보다 낮은 위치의 3차 처리수 배출구(174)를 통해서 흘러 나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3차 처리수 유입구(172)와 3차 처리수 배출구(174)의 사이에 배치된 3차 스크린(182)을 통과한다.
이와 같은 3차 스크린(182)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크기 1mm의 스크린 본체(184b)의 일측 또는 그 사이에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부착하여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흡착 제거시키는 것으로서, 3차 처리조(180)의 내부 공간을 3차 처리수 유입구(172)의 전방 공간(180a)과 3차 처리수 배출구(174)의 후방 공간(180b)으로 2분할하도록 배치되고, 3차 처리조(180)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3차 처리조(180)는 3차 스크린(182)이 설치된 바닥면(181a)의 중앙지점(P)이 높고, 그 양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낮으며, 상기 경사면을 통하여 3차 스크린(182)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모으고, 진공흡입차량(미 도시)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수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은 3차 스크린(182)이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통하여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흡착하고,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 유류 물질을 수거하며, 메쉬 크기 1mm의 스크린 본체(184b)를 통하여 초기우수로부터 3차로 이물질과 슬러지를 3차 처리조(180) 하부 일측에서 모은 다음,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수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의 3차 처리조(180)는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에 일체로 형성된 단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사이의 중간 격벽(192)을 통하여 2차 처리조(160)와 3차 처리조(180)가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2차 처리조(160)와 3차 처리조(180)를 구획하는 중간 격벽(192)에는 2차 처리수 배출구(154)와 3차 처리수 유입구(172)가 하나의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제작가능하다. 또한 2차 처리조(160)와 3차 처리조(180)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장치(100)는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을 통하여 정화된 초기우수를 모으는 집수조(210)를 구비하고, 내부에 설치된 펌프(220)를 통하여 정화된 처리용수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정화수 처리수단(200)을 포함한다.
즉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을 거친 초기우수는 이물질 뿐만이 아니라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도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통하여 정화처리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청소 및 조경용수로서 충분히 사용이 가능한 고품질의 정화수이다.
이와 같은 정화수는 정화수 처리수단(200)의 집수조(210)에 일단 모였다가 사용처로 분배되는데, 상기 집수조(210)의 내부에는 별도의 펌프(220)를 구비하여 사용처에 높은 수압으로서 펌프(220)의 토출관(222)을 통해서 공급한다.
또한 이와 같은 3차 처리수단(170)은 집수조(210)의 내부에 모아진 정화수를 상기 펌프(220)와는 별개로 구비된 처리수 유출관(224)을 통하여 주변 하천으로 방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처리수 유출관(224)은 정화수 유입구(212)와 동일 높이(h8)로 형성되어 집수조(210)내에 정화수가 수집되고, 별도의 펌프(220) 작동이 없으면 자연적으로 주변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정화수 처리수단(200)은 그 집수조(210)가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의 3차 처리조(180)와는 각각 별개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형성되는데, 상기 3차 처리조(180)의 3차 처리수 배출구(174)와 집수조(210)의 정화수 유입구(212) 사이는 처리수 유입관(230)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3차 집수조(210)와는 떨어진 장소에서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1차 처리조(120),2차 처리조(160) 및 3차 처리조(180)를 하나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구축하고, 이와는 별개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집수조(210)를 구축함으로써 현장 사정에 맞추어 소요부지를 적게 필요로 하면서 정확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미 설명 부호(148)는 비상 유출관이고, (C)는 덮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100)를 이용한 초기우수 처리방법(3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방법(300)은 먼저 초기우수(Wa)에 포함된 1차 이물질과 슬러지 중, 1mm 이상의 입자들을 1차적으로 분리시켜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지하에 매설된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의 내부에 고형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의 초기우수(Wa)를 호퍼(122)를 통해 유입시키고, 메쉬 크기 1mm의 1차 스크린(130)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1차 스크린(130)의 하부면에서 우수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1차 제거한다.
이때 초기우수(Wa)는 호퍼(122)의 거름판(132)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되며, 우수 유입구(126)의 높이(h1)가 1차 처리수 배출구(128)의 높이(h3)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1차 스크린(130)을 통과하여 1차 처리수 배출구(128)로 흘러 나간다.
따라서 1차 스크린(130)의 하부면에는 입자 크기 1mm 이상의 이물질과 슬러지가 걸러지고 버켓(140)내에 수집되며, 연 1 ~ 2회 정도 상기 버켓(140)을 1차 처리조(120)의 외부로 분리수거하여 그 내부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에 인접 배치된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 내부에서 입자 크기 0.6mm 이상의 이물질과 슬러지가 2차로 걸러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2차 처리수단(150)은 상기 1차 스크린(130)보다는 가는 0.6mm 의 메쉬눈금을 갖는 2차 스크린(162)을 구비하고, 2차 스크린(162)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초기우수(Wa)가 흐르도록 하여 2차 스크린(162)의 하부면에서 우수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2차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2차 처리수단(150)은 2차 처리조(160)의 일측으로 2차 처리수 유입구(15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2차 처리수 유입구(152)의 높이(h4)보다 높고, 상기 1차 처리조(120)의 우수 유입구(126) 높이(h1)보다 낮은 높이(h5)에 2차 처리수 배출구(154)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배치 구조를 통하여 상기 2차 처리수 유입구(152)를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Wa)가 1차 처리조(120)의 우수 유입구(126) 높이(h1)의 수두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이 보다 낮은 위치의 2차 처리수 배출구(154)를 통하여 2차 처리조(160)의 외부로 자연스럽게 흘러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으로 초기우수(Wa)로부터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3차 제거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단계는 3차 처리수단(170)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3차 처리조(18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3차 스크린(182)을 구비하고, 상기 3차 스크린(182)에는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구비하여 초기우수로부터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흡착제거한다.
이와 같은 3차 처리단계에서는 상기 3차 스크린(182)에 구비된 메쉬 크기 1mm의 스크린 본체(184b)가 초기우수(Wa)로부터 3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분리시켜 3차 처리조(180)의 하부 일측에서 모은 다음, 진공흡입차량(미 도시)을 이용하여 수거하며, 오일제거 흡착포(184a)에서 흡착된 유류물질은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교환하여 수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단계에 걸쳐서 이물질, 슬러지 및 유류물질이 제거된 정화수(Wb)는 정화수 처리수단(200)의 집수조(210)에 모이고, 집수조(210)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220)를 통하여 정화된 처리용수를 사용처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100) 및 방법을 통하여 처리된 후, 집수조(210)의 내부에 모이는 정화수(Wb)는 아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 제거율이 매우 우수한 것이다.
구 분 BOD COD TSS TN TP 오일 및
그리스
중금속
제거율(%) 20~50 20~50 30~60 20~50 20~50 75~80 8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초기우수(Wa)에 대해 1mm 이상 조대 고형물을 95% 이상 제거하고, 200㎛ 이상 침전성 물질을 95% 이상 제거할 수 있어서 매우 우수한 입자 제거율을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초기우수(Wa)의 처리과정에서 1차 처리조(120) 내지 3차 처리조(180)의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고형물이나 협잡물로 인한 스크린 폐쇄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유 및 침전물질(SS), 유류물질(Oil&Grease)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초기우수(Wa)로부터 분리 수거된 이물질, 슬러지 및 유류물질은 연 1 ~ 2회 정도 내부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1차에서는 슬러지 버켓(140)을 들어 제거하고, 2차와 3차는 진공흡입 차량으로 주기적으로 제거하며, 오일제거 흡착포(184a)는 수시로 쉽게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단계에 의하여 초기우수(Wa)를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으로써 대규모 유량까지 처리범위가 크며, 유량변동에 대한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소요부지가 매우 적고, 지하에 매설되므로 시각적으로 깨끗할 뿐만 아니라, 소규모에서 대규모 용량까지 초기우수 처리시설을 규격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처리조에 대해서 원형, 사각형 등 현장 조건에 맞춰 현장타설 또는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서 신속 및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고, 처리용수는 청소 및 조경용수로 사용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 110..... 1차 처리수단
120...... 1차 처리조 122..... 호퍼
126...... 우수 유입구 128..... 1차 처리수 배출구
130..... 1차 스크린 132...... 거름판
140...... 버켓 150...... 2차 처리수단
152...... 2차 처리수 유입구 154...... 2차 처리수 배출구
160...... 2차 처리조 162..... 2차 스크린
166...... 샌드 피트 168,192..... 중간 격벽
170...... 3차 처리수단 172..... 3차 처리수 유입구
174....... 3차 처리수 배출구 180...... 3차 처리조
182..... 3차 스크린 184a.... 오일제거 흡착포
184b...... 스크린 본체 200...... 정화수 처리수단
210...... 집수조 220..... 펌프
222...... 토출관 224..... 처리수 유출관
230..... 처리수 유입관 P..... 중앙지점
Wa...... 초기우수 Wb...... 정화수

Claims (11)

  1. 지하에 매설된 1차 처리조(120)의 내부에 고형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의 초기우수(Wa)를 호퍼(122)를 통해 유입시켜 1차 스크린(130)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1차 스크린(130)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Wa)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처리수단(110);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에 인접 배치된 2차 처리조(160)의 내부에 상기 1차 스크린(130)보다는 가는 메쉬눈금의 2차 스크린(162)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Wa)를 2차 스크린(162)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2차 스크린(162)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Wa)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처리수단(150);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에 인접 배치된 3차 처리조(180)의 내부에 3차 스크린(182)을 구비하고, 상기 3차 스크린(182)에는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부착하여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Wa)로부터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3차 제거하여 정화수(Wb)로 처리하는 3차 처리수단(170); 및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을 통하여 처리된 정화수(Wb)를 모으는 집수조(210)를 구비하고, 내부에 설치된 펌프(220)를 통하여 정화된 처리용수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정화수 처리수단(200);을 포함하여 초기우수(Wa)로부터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서 분리시키고,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수(Wb)로 처리하고,
    상기 호퍼(122)는 그 하단 모서리에 고무재료를 포함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거름판(132)이 상기 호퍼(122)의 하부 구멍(122a)을 에워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호퍼(122)의 하부로 유입된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1차 스크린(130)은 상기 호퍼(122)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1차 처리조(120)의 바닥면(120a)과의 사이 공간에 버켓(140)이 볼트(142)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1차 스크린(130)을 통하여 분리된 이물질과 슬러지를 수거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은 1차 처리조(120)의 일측으로 우수 유입구(126)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 유입구(126)의 높이(h1)보다 낮은 높이(h3)에 1차 처리수 배출구(128)가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구(126)의 직하부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을 갖는 호퍼(122)가 위치되어 초기우수를 받으며, 상기 호퍼(122)의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1차 처리수 배출구(128)의 높이(h3)보다는 낮고, 1차 처리조(120)의 바닥면(120a) 보다는 높은 높이(h2)에 메쉬 크기 1mm의 1차 스크린(130)이 1차 처리조(120)의 횡단면 전체에 걸쳐서 수평으로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은 2차 처리조(160)의 일측으로 2차 처리수 유입구(152)가 형성되고, 상기 2차 처리수 유입구(152)의 높이(h4)보다 높고, 상기 1차 처리조(120)의 우수 유입구(126) 높이(h1)보다 낮은 위치에 2차 처리수 배출구(154)가 형성되며, 상기 2차 처리수 유입구(152)와 2차 처리수 배출구(154)의 사이에는 메쉬 크기 0.6mm의 2차 스크린(162)이 2차 처리조(160)의 횡단면 전체에 걸쳐서 수평으로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조(160)는 그 바닥면(160a)의 일측은 높고 타측은 낮으며, 타측의 낮은 지점에는 샌드 피트(166)가 형성되어 상기 2차 스크린(162)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모으고,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은 3차 처리조(180)의 일측으로 3차 처리수 유입구(172)가 형성되고, 상기 3차 처리수 유입구(172)의 높이(h6)보다 낮은 높이(h7)에 3차 처리수 배출구(174)가 형성되며, 상기 3차 처리수 유입구(172)와 3차 처리수 배출구(174)의 사이에는 3차 스크린(182)이 3차 처리조(180)의 내부 공간을 3차 처리수 유입구(172)의 전방 공간(180a)과 3차 처리수 배출구(174)의 후방 공간(180b)으로 2분할하도록 배치되고, 3차 처리조(180)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스크린(182)은 메쉬 크기 1mm의 스크린 본체(184b)의 일측 또는 그 사이에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부착하여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흡착제거시키고, 상기 3차 처리조(180)는 3차 스크린(182)이 설치된 바닥면(181a)의 중앙지점(P)이 높고, 그 양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낮으며, 상기 경사면을 통하여 3차 스크린(182)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모으고,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조(120), 2차 처리조(160) 및 3차 처리조(180)는 단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이루어지고, 그 내측에서 중간 격벽(168)(192)들을 통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1차 처리조(120)와 2차 처리조(160)를 구획하는 중간 격벽(168)에는 1차 처리수 배출구(128)와 2차 처리수 유입구(152)가 하나의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2차 처리조(160)와 3차 처리조(180)를 구획하는 중간 격벽(192)에는 2차 처리수 배출구(154)와 3차 처리수 유입구(172)가 하나의 구멍으로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의 3차 처리조(180)와 정화수 처리수단(200)의 집수조(210)는 각각 별개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형성되고, 3차 처리조(180)의 3차 처리수 배출구(174)와 집수조(210)의 정화수 유입구(212) 사이는 처리수 유입관(230)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집수조(210)의 타측으로는 펌프(220)의 토출관(222)과는 별개의 처리수 유출관(224)이 정화수 유입구(212)와 동일 높이(h8)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10. 지하에 매설된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의 내부에 고형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의 초기우수(Wa)를 호퍼(122)를 통해 유입시켜 1차 스크린(130)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1차 스크린(130)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Wa)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1차 제거하되, 상기 호퍼(122)는 그 하단 모서리에 고무재료를 포함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거름판(132)이 상기 호퍼(122)의 하부 구멍(122a)을 에워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호퍼(122)의 하부로 유입된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1차 스크린(130)은 상기 호퍼(122)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1차 처리조(120)의 바닥면(120a)과의 사이 공간에 버켓(140)이 볼트(142)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1차 스크린(130)을 통하여 분리된 이물질과 슬러지를 수거하도록 구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에 인접 배치된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 내부에 상기 1차 스크린(130)보다는 가는 메쉬눈금의 2차 스크린(162)을 설치하고,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Wa)를 2차 스크린(162)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2차 스크린(162)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Wa)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단계;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에 인접 배치된 3차 처리수단(170)의 3차 처리조(180) 내부에 수직으로 3차 스크린(182)을 설치하고, 상기 3차 스크린(182)에는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부착하여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Wa)로부터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3차 제거하여 정화수(Wb)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을 통하여 처리된 정화수(Wb)를 모으는 정화수 처리수단(200)의 집수조(210)를 구비하고, 내부에 설치된 펌프(220)를 통하여 정화수(Wb)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초기우수로부터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서 분리시키고,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수(Wb)로 처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크린(130)은 메쉬 크기 1mm로 초기우수(Wa)로부터 이물질을 1차 분리시키고, 분리된 1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1차 스크린(130) 하부의 버켓(140)을 통하여 1차 처리조(120)의 외부로 분리수거하며, 상기 2차 스크린(162)은 메쉬 크기 0,6mm로 초기우수(Wa)로부터 이물질을 2차 분리시키고, 분리된 2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2차 처리조(160) 하부 일측의 샌드 피트(166)를 통하여 모은 다음,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며, 상기 3차 스크린(182)은 메쉬 크기 1mm의 스크린 본체(184b)의 일측 또는 그 사이에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부착하여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흡착제거시키고, 분리된 3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3차 처리조(180) 하부 일측에서 모은 다음,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며, 오일제거 흡착포(184a)에 흡착된 유류물질은 해당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 수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방법.
KR1020100010426A 2010-02-04 2010-02-04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Active KR100978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426A KR100978075B1 (ko) 2010-02-04 2010-02-04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426A KR100978075B1 (ko) 2010-02-04 2010-02-04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075B1 true KR100978075B1 (ko) 2010-08-26

Family

ID=4276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426A Active KR100978075B1 (ko) 2010-02-04 2010-02-04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0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842B1 (ko) * 2011-09-29 2013-06-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파이프 연결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 및 저류방법
KR101308064B1 (ko) 2012-05-14 2013-09-12 민은진 우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
KR101331600B1 (ko) 2011-08-24 2013-11-21 이승영 다중 여과용 침전조
KR20160126183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CN111074992A (zh) * 2019-12-13 2020-04-28 同济大学 一种多级建筑雨水回收处理装置
LU500616A1 (fr) 2020-09-04 2022-03-04 Ecobeton Water Tech Nv Réservoir d'eau
CN116332410A (zh) * 2023-03-21 2023-06-27 重庆市三峡生态环境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初期雨水调蓄处理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2510A (ja) 1987-04-08 1988-10-19 Koken:Kk 排水処理装置
KR100886477B1 (ko) * 2007-08-02 2009-03-05 (주) 해동에이앤씨 고분자필터를 이용한 폐수 및 우수의 고형물 및 유수분리 처리시스템
KR100891621B1 (ko) 2008-09-29 2009-04-02 주식회사두합크린텍 점ㆍ비점오염원처리용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정화방법
KR20100020867A (ko) * 2008-08-13 2010-02-2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2510A (ja) 1987-04-08 1988-10-19 Koken:Kk 排水処理装置
KR100886477B1 (ko) * 2007-08-02 2009-03-05 (주) 해동에이앤씨 고분자필터를 이용한 폐수 및 우수의 고형물 및 유수분리 처리시스템
KR20100020867A (ko) * 2008-08-13 2010-02-2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KR100891621B1 (ko) 2008-09-29 2009-04-02 주식회사두합크린텍 점ㆍ비점오염원처리용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정화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600B1 (ko) 2011-08-24 2013-11-21 이승영 다중 여과용 침전조
KR101273842B1 (ko) * 2011-09-29 2013-06-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파이프 연결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 및 저류방법
KR101308064B1 (ko) 2012-05-14 2013-09-12 민은진 우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
KR20160126183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KR101699418B1 (ko) * 2015-04-23 2017-01-24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CN111074992A (zh) * 2019-12-13 2020-04-28 同济大学 一种多级建筑雨水回收处理装置
LU500616A1 (fr) 2020-09-04 2022-03-04 Ecobeton Water Tech Nv Réservoir d'eau
DE102021122297A1 (de) 2020-09-04 2022-03-10 Ecobeton Water Technologies Nv Wassertank
BE1028583B1 (nl) * 2020-09-04 2022-04-04 Ecobeton Water Tech Nv Watertank
DE102021122297B4 (de) 2020-09-04 2023-05-04 Ecobeton Water Technologies Nv Wassertank
CN116332410A (zh) * 2023-03-21 2023-06-27 重庆市三峡生态环境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初期雨水调蓄处理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CA2686415C (en) Pre-assembled flow control structure and related media filtration system
KR100978075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0854314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20120102378A (ko)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0912708B1 (ko)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20170011353A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147021B1 (ko) 비점오염수 정화장치
KR100952117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자연형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KR101649039B1 (ko) 친환경 빗물받이
KR101291606B1 (ko)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64596B1 (ko)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