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075B1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8075B1 KR100978075B1 KR1020100010426A KR20100010426A KR100978075B1 KR 100978075 B1 KR100978075 B1 KR 100978075B1 KR 1020100010426 A KR1020100010426 A KR 1020100010426A KR 20100010426 A KR20100010426 A KR 20100010426A KR 100978075 B1 KR100978075 B1 KR 1009780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atment
- primary
- screen
- tertiary
-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2
- 238000011221 initial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010 microb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우수에 대해 1mm이상 조대 고형물을 95%이상 제거하고, 200㎛이상 침전성물질을 95%이상 제거할 수 있어서 매우 우수한 입자 제거율을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초기우수의 처리과정에서 처리조의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고형물이나 협잡물로 인한 스크린 폐쇄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유 및 침전물질(SS), 유류물질(Oil&Grease)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연 1~2회 정도 내부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1차에서는 슬러지버켓을 들어 제거하고, 2차와 3차는 진공흡입 차량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1차 처리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호퍼의 평면도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호퍼, 1차 스크린 및 버켓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2차 처리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2차 스크린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3차 처리수단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된 3차 스크린을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구 분 | BOD | COD | TSS | TN | TP | 오일 및 그리스 |
중금속 |
제거율(%) | 20~50 | 20~50 | 30~60 | 20~50 | 20~50 | 75~80 | 80 |
120...... 1차 처리조 122..... 호퍼
126...... 우수 유입구 128..... 1차 처리수 배출구
130..... 1차 스크린 132...... 거름판
140...... 버켓 150...... 2차 처리수단
152...... 2차 처리수 유입구 154...... 2차 처리수 배출구
160...... 2차 처리조 162..... 2차 스크린
166...... 샌드 피트 168,192..... 중간 격벽
170...... 3차 처리수단 172..... 3차 처리수 유입구
174....... 3차 처리수 배출구 180...... 3차 처리조
182..... 3차 스크린 184a.... 오일제거 흡착포
184b...... 스크린 본체 200...... 정화수 처리수단
210...... 집수조 220..... 펌프
222...... 토출관 224..... 처리수 유출관
230..... 처리수 유입관 P..... 중앙지점
Wa...... 초기우수 Wb...... 정화수
Claims (11)
- 지하에 매설된 1차 처리조(120)의 내부에 고형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의 초기우수(Wa)를 호퍼(122)를 통해 유입시켜 1차 스크린(130)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1차 스크린(130)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Wa)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처리수단(110);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에 인접 배치된 2차 처리조(160)의 내부에 상기 1차 스크린(130)보다는 가는 메쉬눈금의 2차 스크린(162)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Wa)를 2차 스크린(162)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2차 스크린(162)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Wa)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처리수단(150);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에 인접 배치된 3차 처리조(180)의 내부에 3차 스크린(182)을 구비하고, 상기 3차 스크린(182)에는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부착하여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Wa)로부터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3차 제거하여 정화수(Wb)로 처리하는 3차 처리수단(170); 및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을 통하여 처리된 정화수(Wb)를 모으는 집수조(210)를 구비하고, 내부에 설치된 펌프(220)를 통하여 정화된 처리용수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정화수 처리수단(200);을 포함하여 초기우수(Wa)로부터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서 분리시키고,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수(Wb)로 처리하고,
상기 호퍼(122)는 그 하단 모서리에 고무재료를 포함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거름판(132)이 상기 호퍼(122)의 하부 구멍(122a)을 에워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호퍼(122)의 하부로 유입된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1차 스크린(130)은 상기 호퍼(122)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1차 처리조(120)의 바닥면(120a)과의 사이 공간에 버켓(140)이 볼트(142)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1차 스크린(130)을 통하여 분리된 이물질과 슬러지를 수거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은 1차 처리조(120)의 일측으로 우수 유입구(126)가 형성되고, 상기 우수 유입구(126)의 높이(h1)보다 낮은 높이(h3)에 1차 처리수 배출구(128)가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구(126)의 직하부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을 갖는 호퍼(122)가 위치되어 초기우수를 받으며, 상기 호퍼(122)의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1차 처리수 배출구(128)의 높이(h3)보다는 낮고, 1차 처리조(120)의 바닥면(120a) 보다는 높은 높이(h2)에 메쉬 크기 1mm의 1차 스크린(130)이 1차 처리조(120)의 횡단면 전체에 걸쳐서 수평으로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은 2차 처리조(160)의 일측으로 2차 처리수 유입구(152)가 형성되고, 상기 2차 처리수 유입구(152)의 높이(h4)보다 높고, 상기 1차 처리조(120)의 우수 유입구(126) 높이(h1)보다 낮은 위치에 2차 처리수 배출구(154)가 형성되며, 상기 2차 처리수 유입구(152)와 2차 처리수 배출구(154)의 사이에는 메쉬 크기 0.6mm의 2차 스크린(162)이 2차 처리조(160)의 횡단면 전체에 걸쳐서 수평으로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조(160)는 그 바닥면(160a)의 일측은 높고 타측은 낮으며, 타측의 낮은 지점에는 샌드 피트(166)가 형성되어 상기 2차 스크린(162)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모으고,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은 3차 처리조(180)의 일측으로 3차 처리수 유입구(172)가 형성되고, 상기 3차 처리수 유입구(172)의 높이(h6)보다 낮은 높이(h7)에 3차 처리수 배출구(174)가 형성되며, 상기 3차 처리수 유입구(172)와 3차 처리수 배출구(174)의 사이에는 3차 스크린(182)이 3차 처리조(180)의 내부 공간을 3차 처리수 유입구(172)의 전방 공간(180a)과 3차 처리수 배출구(174)의 후방 공간(180b)으로 2분할하도록 배치되고, 3차 처리조(180)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스크린(182)은 메쉬 크기 1mm의 스크린 본체(184b)의 일측 또는 그 사이에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부착하여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흡착제거시키고, 상기 3차 처리조(180)는 3차 스크린(182)이 설치된 바닥면(181a)의 중앙지점(P)이 높고, 그 양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낮으며, 상기 경사면을 통하여 3차 스크린(182)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모으고,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조(120), 2차 처리조(160) 및 3차 처리조(180)는 단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이루어지고, 그 내측에서 중간 격벽(168)(192)들을 통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1차 처리조(120)와 2차 처리조(160)를 구획하는 중간 격벽(168)에는 1차 처리수 배출구(128)와 2차 처리수 유입구(152)가 하나의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2차 처리조(160)와 3차 처리조(180)를 구획하는 중간 격벽(192)에는 2차 처리수 배출구(154)와 3차 처리수 유입구(172)가 하나의 구멍으로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의 3차 처리조(180)와 정화수 처리수단(200)의 집수조(210)는 각각 별개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형성되고, 3차 처리조(180)의 3차 처리수 배출구(174)와 집수조(210)의 정화수 유입구(212) 사이는 처리수 유입관(230)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집수조(210)의 타측으로는 펌프(220)의 토출관(222)과는 별개의 처리수 유출관(224)이 정화수 유입구(212)와 동일 높이(h8)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지하에 매설된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의 내부에 고형물을 포함한 비점오염원의 초기우수(Wa)를 호퍼(122)를 통해 유입시켜 1차 스크린(130)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1차 스크린(130)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Wa)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1차 제거하되, 상기 호퍼(122)는 그 하단 모서리에 고무재료를 포함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거름판(132)이 상기 호퍼(122)의 하부 구멍(122a)을 에워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호퍼(122)의 하부로 유입된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1차 스크린(130)은 상기 호퍼(122)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1차 처리조(120)의 바닥면(120a)과의 사이 공간에 버켓(140)이 볼트(142)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1차 스크린(130)을 통하여 분리된 이물질과 슬러지를 수거하도록 구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의 1차 처리조(120)에 인접 배치된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 내부에 상기 1차 스크린(130)보다는 가는 메쉬눈금의 2차 스크린(162)을 설치하고, 상기 1차 처리수단(110)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Wa)를 2차 스크린(162)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2차 스크린(162)의 하부면에서 초기우수(Wa)로부터 고체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단계;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의 2차 처리조(160)에 인접 배치된 3차 처리수단(170)의 3차 처리조(180) 내부에 수직으로 3차 스크린(182)을 설치하고, 상기 3차 스크린(182)에는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부착하여 상기 2차 처리수단(150)을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Wa)로부터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3차 제거하여 정화수(Wb)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3차 처리수단(170)을 통하여 처리된 정화수(Wb)를 모으는 정화수 처리수단(200)의 집수조(210)를 구비하고, 내부에 설치된 펌프(220)를 통하여 정화수(Wb)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초기우수로부터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서 분리시키고,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수(Wb)로 처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크린(130)은 메쉬 크기 1mm로 초기우수(Wa)로부터 이물질을 1차 분리시키고, 분리된 1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1차 스크린(130) 하부의 버켓(140)을 통하여 1차 처리조(120)의 외부로 분리수거하며, 상기 2차 스크린(162)은 메쉬 크기 0,6mm로 초기우수(Wa)로부터 이물질을 2차 분리시키고, 분리된 2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2차 처리조(160) 하부 일측의 샌드 피트(166)를 통하여 모은 다음,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며, 상기 3차 스크린(182)은 메쉬 크기 1mm의 스크린 본체(184b)의 일측 또는 그 사이에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부착하여 오일 및 그리스를 포함하는 유류물질을 흡착제거시키고, 분리된 3차 이물질과 슬러지를 3차 처리조(180) 하부 일측에서 모은 다음,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수거하며, 오일제거 흡착포(184a)에 흡착된 유류물질은 해당 오일제거 흡착포(184a)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 수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0426A KR100978075B1 (ko) | 2010-02-04 | 2010-02-04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0426A KR100978075B1 (ko) | 2010-02-04 | 2010-02-04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8075B1 true KR100978075B1 (ko) | 2010-08-26 |
Family
ID=4276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0426A Active KR100978075B1 (ko) | 2010-02-04 | 2010-02-04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8075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3842B1 (ko) * | 2011-09-29 | 2013-06-1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파이프 연결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 및 저류방법 |
KR101308064B1 (ko) | 2012-05-14 | 2013-09-12 | 민은진 | 우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 |
KR101331600B1 (ko) | 2011-08-24 | 2013-11-21 | 이승영 | 다중 여과용 침전조 |
KR20160126183A (ko) * | 2015-04-23 | 2016-11-02 |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
CN111074992A (zh) * | 2019-12-13 | 2020-04-28 | 同济大学 | 一种多级建筑雨水回收处理装置 |
LU500616A1 (fr) | 2020-09-04 | 2022-03-04 | Ecobeton Water Tech Nv | Réservoir d'eau |
CN116332410A (zh) * | 2023-03-21 | 2023-06-27 | 重庆市三峡生态环境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 一种初期雨水调蓄处理装置及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52510A (ja) | 1987-04-08 | 1988-10-19 | Koken:Kk | 排水処理装置 |
KR100886477B1 (ko) * | 2007-08-02 | 2009-03-05 | (주) 해동에이앤씨 | 고분자필터를 이용한 폐수 및 우수의 고형물 및 유수분리 처리시스템 |
KR100891621B1 (ko) | 2008-09-29 | 2009-04-02 | 주식회사두합크린텍 | 점ㆍ비점오염원처리용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정화방법 |
KR20100020867A (ko) * | 2008-08-13 | 2010-02-23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
-
2010
- 2010-02-04 KR KR1020100010426A patent/KR10097807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52510A (ja) | 1987-04-08 | 1988-10-19 | Koken:Kk | 排水処理装置 |
KR100886477B1 (ko) * | 2007-08-02 | 2009-03-05 | (주) 해동에이앤씨 | 고분자필터를 이용한 폐수 및 우수의 고형물 및 유수분리 처리시스템 |
KR20100020867A (ko) * | 2008-08-13 | 2010-02-23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
KR100891621B1 (ko) | 2008-09-29 | 2009-04-02 | 주식회사두합크린텍 | 점ㆍ비점오염원처리용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정화방법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1600B1 (ko) | 2011-08-24 | 2013-11-21 | 이승영 | 다중 여과용 침전조 |
KR101273842B1 (ko) * | 2011-09-29 | 2013-06-1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파이프 연결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 및 저류방법 |
KR101308064B1 (ko) | 2012-05-14 | 2013-09-12 | 민은진 | 우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 |
KR20160126183A (ko) * | 2015-04-23 | 2016-11-02 |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
KR101699418B1 (ko) * | 2015-04-23 | 2017-01-24 |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
CN111074992A (zh) * | 2019-12-13 | 2020-04-28 | 同济大学 | 一种多级建筑雨水回收处理装置 |
LU500616A1 (fr) | 2020-09-04 | 2022-03-04 | Ecobeton Water Tech Nv | Réservoir d'eau |
DE102021122297A1 (de) | 2020-09-04 | 2022-03-10 | Ecobeton Water Technologies Nv | Wassertank |
BE1028583B1 (nl) * | 2020-09-04 | 2022-04-04 | Ecobeton Water Tech Nv | Watertank |
DE102021122297B4 (de) | 2020-09-04 | 2023-05-04 | Ecobeton Water Technologies Nv | Wassertank |
CN116332410A (zh) * | 2023-03-21 | 2023-06-27 | 重庆市三峡生态环境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 一种初期雨水调蓄处理装置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6269B1 (ko) |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 |
KR100911819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1242275B1 (ko) |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CA2686415C (en) | Pre-assembled flow control structure and related media filtration system | |
KR100978075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0991492B1 (ko) |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 |
KR100854314B1 (ko) | 초기우수 처리시설 | |
KR101249741B1 (ko) |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 |
KR100987316B1 (ko) |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 |
KR20120102378A (ko) |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0951098B1 (ko) |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 |
KR100904081B1 (ko) |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 |
KR101244122B1 (ko) |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20150114224A (ko) |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 |
KR100912708B1 (ko) |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 |
KR101842653B1 (ko) |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 |
KR100814790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 |
KR101177714B1 (ko) |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1195091B1 (ko) |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 |
KR20170011353A (ko) |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 |
KR101147021B1 (ko) | 비점오염수 정화장치 | |
KR100952117B1 (ko) |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자연형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 |
KR101649039B1 (ko) | 친환경 빗물받이 | |
KR101291606B1 (ko) |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0964596B1 (ko) |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2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