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63106B1 -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광학 시트 - Google Patents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광학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106B1
KR100963106B1 KR1020080055688A KR20080055688A KR100963106B1 KR 100963106 B1 KR100963106 B1 KR 100963106B1 KR 1020080055688 A KR1020080055688 A KR 1020080055688A KR 20080055688 A KR20080055688 A KR 20080055688A KR 100963106 B1 KR100963106 B1 KR 10096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resin
light diffusion
backlight unit
light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655A (ko
Inventor
서정태
이문복
정인식
김광수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106B1/ko
Priority to JP2008244772A priority patent/JP5045626B2/ja
Priority to TW097137483A priority patent/TWI398699B/zh
Publication of KR2009012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10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의 굴절 및 회절 특성을 최대화하여 휘도 및 은폐 특성을 향상시킨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는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바인더 수지 및 입자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된 광확산층과 상기 광확산층 상에 상기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와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바인더 수지를 1종 이상 혼용하여 도포된 박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막층을 형성하는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은 1.30 ~ 1.80이며, 상기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 필름, 바인더 수지, 입자, 광확산층, 굴절율

Description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광학 시트{LIGHT-DIFFUSING SHEET AND OPTICAL SHEET FOR BACK LIGHT UNIT}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의 굴절 및 회절 특성을 최대화하여 휘도 및 은폐 특성을 향상시킨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백라이트용 광확산 시트는 카네비게이션, 휴대폰, PDA, 디지탈 카메라, 휴대용TV, 캠코더 등의 소형용이나, 중대형의 노트북 PC, 데스크 탑용 모니터 등에서 사용되는, 도광판 한쪽 단면에 선형 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DGE형 백라이트 유닛 및 한 개 이상의 램프가 설치, 사용되는 SIDE형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도광판에서 나온 불균일한 광원을 백라이트 유닛 전면 방향을 중심으로 한 균일한 광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TV나 일부 대형화된 모니터에 있어서 사용되는 직하형 즉 백라이트 후면에 다수의 냉음극형광 램프 또는 평면 램프가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선형으로 시인되는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전방향 중심 분포의 면광원화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빛의 분포 중심을 전면 방향으로 전환하는 기능으로부터 정면 방향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 온다.
이러한 LCD 백라이트용 광확산 시트의 기능에 있어서 은폐 기능과 확산 기능을 수행하고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위에 투명한 유기 수지입자 또는 무기 입자를 투명한 수지 바인더로 도포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왔다(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평7-174909, 한국공개공보 제2000-0027862호, 한국공개공보 제1998-0020430호).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고효율의 백라이트에 요구되는 휘도 및 은폐기능에 대한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빛의 굴절 및 회절 특성을 최대화하여 휘도 및 은폐 특성을 뛰어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바인더 수지 및 입자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된 광확산층과, 상기 광확산층 상에 상기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와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바인더 수지를 1종 이상 혼용하여 도포된 박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박막층을 형성하는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은 1.30 ~ 1.80이며, 상기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확산층의 입자는 평균 입경이 3㎛ ~ 50㎛인 입자로서, 단독의 최대입경을 입자 또는 최대 평균 입경을 가진 입자보다 작은 평균 입경을 가진 1종 이상 혼용된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필름은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내부에 유기확산제를 포함하고 40 ~ 95%의 헤이즈 및 50~95%의 투과율을 갖는 내부확산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는 10~95%의 헤이즈 및 50~95%의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1~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확산층 및 박막층의 두께는 상기 광확산층의 최대 평균 입경을 가진 입자의 평균 입경의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또한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 시트에 있어서, 시트의 최상위 층에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 바인더 수지를 차례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바인더 수지와 제2 바인더 수지는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바인더 수지의 굴절율은 1.30 ~ 1.80로서, 상기 제 1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빛의 굴절 및 회절 특성을 최대화하여 휘도 및 은폐 특성을 뛰어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LCD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광확산 시트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막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TFT-LCD) 또는 슈퍼트위스티드네마틱 액정디스플레이(STN-LCD)에 사용되는 광확산 시트로서, 디스플레이의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하여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한 냉음극 형광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선형 광으로부터의 빛을 통과시키면서 균일한 면광을 유도하고 높은 휘도 및 선명한 광화상을 얻을 수 있는 광확산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휘도 광확산 시트를 구현하기 위하여, 투명 기재필름 상의 적어도 일면에 광확산층을 구현함에 있어서 3㎛ ~ 50㎛의 평균 입경을 가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휘도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평균입경이 큰 입자를 고르게 전면 도포시키는 것이 좋으며, 또한 입자의 구형 모양이 최대한 외부로 돌출되도록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50㎛ 초과의 평균입경을 가진 입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습식 도포가 어려우며 도포액 분산에도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50㎛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확산 기능 및 은폐력을 올리기 위해서는 단독의 최대입경을 입자 또는 최대 평균 입경을 가진 입자보다 작은 평균 입경을 가진 1종 이상 혼용된 입자인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기재필름은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내부에 유기확산제를 포함하고 40 ~ 95%의 헤이즈 및 50~95%의 투과율을 갖는 내부확산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확산제로는 구형 투명 입자가 적합하며, 투명입자로는 아크릴 입자, 스티렌 입자, 실리콘입자 등의 유기입자와 합성 실리카, 글래스비드, 다이아몬드 등의 무기입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광확산제를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확산필름의 광확산층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는 투명하여야 하며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의 박막층의 바인더 수지도 상기 광확산층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와 동일한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이루는 것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광확산층 상에, 광확산층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와 굴절율이 다른, 바람직하게는 굴절율이 높은 투명 바인더 수지를 박막으로 코팅함으로써 아래에 있는 광확산층에서 올라온 빛의 방향을 굴절율 차이를 이용하여 한번 더 굴절시킴으로써 정면으로 향하는 빛의 양을 높여 보다 높은 휘도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방향으로 투과되는 빛을 반사시켜 효율적으로 리싸이클시킴으로써 휘도 뿐만 아니라 광효율과 램프 은폐 기능이 높은 광확산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막층을 형성하는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은 1.30 ~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범위 밖의 굴절률을 가진 바인더 수지는 제조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힘들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층이 구현된 광확산 시트는 헤이즈 10~95%, 투과율 50~95%의 기본적인 특성을 가지며, 상기 광확산층 위에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하여 박막의 코팅층을 구현한 최종 고휘도 광확산 시트의 물성 또한 헤이즈 10~95%, 투과율 50~95%의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광확산 시트를 제조하는 방식으로는 나이프 도포 방식, 그라비아 전이 도포방식, 리버스 롤 도포방식 등의 통상적인 습식 도포 방식 및 기타 증착 방식등의 다양한 도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광확산층과 박막층의 두께(도포 후도)는 최대 평균입경을 가진 입자의 평균 입경의 150%를 넘지 않도록 하여 균일한 도포 표면의 바람직한 효과를 얻는다. 도포 후도가 최대 평균입경을 가진 입자의 평균 입경의 150%를 넘으면 단위 면적당 입자량의 과잉 및 렌즈 형상의 효과 저하로 인한 휘도 저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확산층 위에 형성되 는 박막층은 0.1~3㎛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1㎛ 미만으로는 코팅하기 어려우며, 3㎛를 초과할 경우에는 광확산층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입자가 바인더에 묻혀 버릴 수 있기 때문에 광확산층의 표면이 평탄해져 광확산 시트에서 요구되는 특성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광확산 시트와 한 면에 형성된 광확산층의 이면에는 슬립성을 부여하고, 제단 및 조립 작업시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억제하기 위한 경도를 올리고, 이물 혼입을 방지할 목적의 대전방지 기능이 있는 도포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는 백라이트유닛에 장착되었을 때 기존 광확산 시트 보다 휘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 시트는 시트의 최상위 층에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 바인더 수지를 차례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제 1 바인더 수지보다 제2 바인더 수지가 더 위의 층(바깥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바인더 수지와 제2 바인더 수지는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바인더 수지의 굴절율은 1.30 ~ 1.80으로서, 상기 제 1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보다 더 큰 것이다.
이러한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 시트는 상술한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의 기술적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광확산 시트 외에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기타의 시트를 적용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 시트는 상술한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에 적용된 기술적 특징을 동일하게 포함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광확산층이 형성된 필름, 즉 100㎛의 기재필름에 바인더수지와 입자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된 광확산층을 가진 필름은 모두 동일한 도포액(광확산층의 바인더수지 굴절률 ; 1.49)을 사용하여 헤이즈 88%, 투과율 78%의 시료를 제조하여 공통적으로 사용하였으며(Standard), 제조된 시료 상부에 각각의 바인더 수지(굴절율 차이)에 따른 시료를 제작하였다. 또한 도포량(광확산층과 박막층으로 구성되는 코팅층 두께)에 따른 평가를 위해 동일한 바인더 수지를 사용하여 도포량에 따른 시료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광확산층이 형성된 확산필름에 하기의 조성을 가진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로 도포하여 박막층을 형성하였다.
도포액 조성
- 바인더 수지 1(굴절율 : 1.52) : 30 중량%
- 솔벤트 : 69 중량 %
- 경화제 및 첨가제 : 1중량 %
[실시예 2]
광확산층이 형성된 확산필름에 하기의 조성을 가진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로 도포하여 박막층을 형성하였다.
도포액 조성
- 바인더 수지 2(굴절율 : 1.54) : 30 중량%
- 솔벤트 : 69 중량 %
- 경화제 및 첨가제 : 1중량 %
[실시예 3]
광확산층이 형성된 확산필름에 하기의 조성을 가진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로 도포하여 박막층을 형성하였다.
도포액 조성
- 바인더 수지 3(굴절율 : 1.58) : 30 중량%
- 솔벤트 : 69 중량 %
- 경화제 및 첨가제 : 1중량 %
[실시예 4]
광확산층이 형성된 확산필름에 하기의 조성을 가진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로 도포하여 박막층을 형성하였다.
도포액 조성
- 바인더 수지 4(굴절율 : 1.64) : 30 중량%
- 솔벤트 : 69 중량 %
- 경화제 및 첨가제 : 1중량 %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바인더 수지 양을 조절하여 도포 두께를 조절한 광확산 시트를 제조하였다.
도포액 조성
- 바인더 수지 1(굴절율 : 1.52) : 45 중량%
- 솔벤트 : 54 중량 %
- 경화제 및 첨가제 : 1중량 %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바인더 수지 양을 조절하여 도포 두께를 조절한 광확산 시트를 제조하였다.
도포액 조성
- 바인더 수지 1(굴절율 : 1.52) : 55 중량%
- 솔벤트 : 44 중량 %
- 경화제 및 첨가제 : 1중량 %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바인더 수지 양을 조절하여 도포 두께를 조절한 광확산 시트를 제조하였다.
도포액 조성
- 바인더 수지 1(굴절율 : 1.52) : 60 중량%
- 솔벤트 : 39 중량 %
- 경화제 및 첨가제 : 1중량 %
[실험예]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확산 시트를 하기의 방법을 사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1. 헤이즈(HAZE)는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기기는 NIPPON DENSHOKU KOGYO Co. Ltd. 모델1000을 이용하였다.
2. 휘도는 탑콘사의 BM-7A측정기기를 사용하여 백라이트 조립 상의 정면 휘도값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3. 차폐력은 탑콘사의 BM-7A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백라이트 조립상의 정면 휘도를 등간격 30Point를 측정하여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하여 수치화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08042325187-pat00001
상기 실험예를 바탕으로 측정한 값을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후도"는 기재필름, 광확산층 및 박막층의 총 두께를 나타낸다.
[표 1]
물성
종합평가
헤이즈
(%)
투과율
(%)
후도
(㎛)
휘도
(%)
차폐력
(%)
Standard 88.23 78.85 110.0 100.0 1.7 Standard
실시예 1 88.43 77.72 110.1 102.3 1.4 양호
실시예 2 88.40 76.94 110.1 102.6 1.4 양호
실시예 3 88.45 75.53 110.1 103.1 1.2 우수
실시예 4 88.47 73.54 110.1 104.6 1.1 우수
실시예 5 88.42 77.91 110.1 102.0 1.4 양호
실시예 6 88.43 78.18 110.2 101.1 1.3 양호
실시예 7 88.29 79.53 110.3 99.2 1.3 부족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4에서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이 높을수록 휘도 및 차폐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5 ~ 7에서 볼 수 있듯이 바인더 수지의 도포량을 높일 경우 휘도 및 차폐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시트에 의하면, 광확산층이 형성된 광확산 필름 상에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보다 더 높은 굴절률을 가진 바인더 수지를 박막으로 코팅함으로써 휘도 및 차폐 성능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에 있어서,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바인더 수지 및 입자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된 광확산층과,
    상기 광확산층 상에 상기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와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하여 도포된 박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을 형성하는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은 1.30 ~ 1.80이며, 상기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의 입자는 평균 입경이 3㎛ ~ 50㎛인 입자로서, 단독의 최대입경을 입자 또는 최대 평균 입경을 가진 입자보다 작은 평균 입경을 가진 1종 이상 혼용된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내부에 유기확산제를 포함하고 40 ~ 95%의 헤이즈 및 50~95%의 투과율을 갖는 내부확산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는 10~95%의 헤이즈 및 50~95%의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7. 삭제
  8.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 시트에 있어서,
    시트의 최상위 층에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 바인더 수지를 차례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인더 수지와 상기 제2 바인더 수지는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 시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인더 수지의 굴절율은 1.30 ~ 1.80이고, 상기 제 1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 시트.
KR1020080055688A 2008-06-13 2008-06-13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광학 시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96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688A KR100963106B1 (ko) 2008-06-13 2008-06-13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광학 시트
JP2008244772A JP5045626B2 (ja) 2008-06-13 2008-09-24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光拡散シート及び光学シート
TW097137483A TWI398699B (zh) 2008-06-13 2008-09-30 用於背光單元之光擴散片材與光學片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688A KR100963106B1 (ko) 2008-06-13 2008-06-13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광학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655A KR20090129655A (ko) 2009-12-17
KR100963106B1 true KR100963106B1 (ko) 2010-06-14

Family

ID=4154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6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3106B1 (ko) 2008-06-13 2008-06-13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광학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45626B2 (ko)
KR (1) KR100963106B1 (ko)
TW (1) TWI3986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112B1 (ko) * 2011-04-12 2014-02-12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확산 시트, 광학 유닛,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16168B (zh) * 2021-12-31 2024-12-06 东莞市托普莱斯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用高亮度镀银反射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677A (ko) * 2005-07-27 2007-01-31 주식회사 코오롱 광제어 필름
JP2007293303A (ja) 2006-03-28 2007-11-08 Fujifilm Corp 光散乱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8032833A (ja) 2006-07-26 2008-02-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08122832A (ja) 2006-11-15 2008-05-29 Toppan Printing Co Ltd 防眩性光拡散部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2832B2 (ja) * 1993-10-27 2002-12-0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拡散板
US6010747A (en) * 1996-12-02 2000-01-04 Alliedsignal Inc. Process for making optical structures for diffusing light
TW409196B (en) * 1998-12-18 2000-10-21 Mitsubishi Rayon Co Transmission-type screen
JP2002048903A (ja) * 2000-05-26 2002-02-15 Comoc:Kk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および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を用いた表示装置
JP3822102B2 (ja) * 2001-12-27 2006-09-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拡散フイ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6636363B2 (en) * 2002-03-11 2003-10-21 Eastman Kodak Company Bulk complex polymer lens light diffuser
JP4227436B2 (ja) * 2003-02-21 2009-02-18 恵和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677A (ko) * 2005-07-27 2007-01-31 주식회사 코오롱 광제어 필름
JP2007293303A (ja) 2006-03-28 2007-11-08 Fujifilm Corp 光散乱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8032833A (ja) 2006-07-26 2008-02-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08122832A (ja) 2006-11-15 2008-05-29 Toppan Printing Co Ltd 防眩性光拡散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112B1 (ko) * 2011-04-12 2014-02-12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확산 시트, 광학 유닛,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8699B (zh) 2013-06-11
TW200951559A (en) 2009-12-16
JP5045626B2 (ja) 2012-10-10
JP2009300996A (ja) 2009-12-24
KR20090129655A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187B1 (ko) 광확산 필름, 광확산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조명 기구
US7507470B2 (en) Diffusion sheet for TFT-LCD
KR20080084343A (ko)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20070025733A (ko) 광확산 필름
TWI442137B (zh) Backlight device
KR100775850B1 (ko)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101752245B1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100963106B1 (ko)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광학 시트
TW201024811A (en) Light-diffusing film for back light unit of LC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84913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필름
KR20110076320A (ko) 복합 기능을 갖는 프리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8635B1 (ko) 인각율이 향상된 고휘도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4307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
WO2011074648A1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KR101175748B1 (ko) 색보정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008B1 (ko) 확산 및 차폐기능을 갖는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15638B1 (ko) 광확산필름
KR101175749B1 (ko) 휘도 및 확산성 향상 광학필름
KR20080065341A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판
KR101353845B1 (ko) 표면이 구조화된 광학시트
WO2010126182A1 (ko) 엘시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101601199B1 (ko)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시트
KR101102007B1 (ko) 확산성이 개선된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5836B1 (ko) 광학 시트
KR101292653B1 (ko) 확산성이 개선된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