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246B1 -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1246B1 KR100961246B1 KR1020080093256A KR20080093256A KR100961246B1 KR 100961246 B1 KR100961246 B1 KR 100961246B1 KR 1020080093256 A KR1020080093256 A KR 1020080093256A KR 20080093256 A KR20080093256 A KR 20080093256A KR 100961246 B1 KR100961246 B1 KR 1009612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mer
- coating layer
- substrate
- liquid crystal
- fre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he substrate being rotated
- B05D1/005—Spin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 제1 코팅층의 표면이 제2 코팅층의 표면과 접하도록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배치하고,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을 본-경화하고,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층 필름, 프리-경화, 본-경화, 액정 필름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다층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각 화소에 액정 분자배열이 변화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 Ray Tube; CRT),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는 달리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한 표시는 그 자체가 비발광성이기 때문에 빛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어두운 곳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정보 표시면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광원 어셈블리를 장착한다.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원 어셈블리는 크게 2종류로 구분된다. 첫째는 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에서 빛을 제공하는 에지형 광원 어셈블리고 둘째는 액정 표시 장치의 후면에서 빛을 직접 제공하는 직하형 광원 어셈블리다. 에지형 광원 어셈블리의 경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측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 도광판을 구비하며, 도광판을 통과한 빛의 광학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도광판 위쪽에 적어도 하나의 광학 필름을 구비한다. 직하형 광원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휘선을 감소시키기 위해 확산판을 구비하며, 확산판을 통과한 빛의 광학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광학 필름을 구비한다. 몇몇 액정 표시 장치는 휘도를 개선하기 위해 광학 필름의 하나로서 액정 필름을 구비한다.
광학 필름은 필요에 따라 광특성을 조절하는 2 이상의 기능성 막들을 포함한다. 2 이상의 막들은 기재 상에서 통상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되어 적층된다.
그런데, 기재 위 또는 막들 사이에 접착제층이 개재되면, 광학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가 두꺼워진다. 또, 접착제층의 개재는 광투과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광간섭을 유발한다. 그 결과, 광원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휘도, 광질 및 액정 표시 장치의 화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들에 근거해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착제층의 개재없이 기재 상에 2 이상의 코팅막을 적층함으로써, 광투과율이 개선되고, 광간섭이 방지된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한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한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 상기 제1 코팅층의 표면이 상기 제2 코팅층의 표면과 접하도록 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2 코팅층을 본-경화하고, 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일면에 본-경화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 상기 제1 코팅층의 표면이 상기 제2 코팅층의 표면과 접하도록 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1 코팅층과 함께 및 상기 제2 코팅층을 본-경화하고, 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프라이머 함유 기재,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 및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면이 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에 접하도록 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상기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여 상기 제1 코팅층의 타면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면이 상기 제1 코팅층의 타면과 접하도록 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상기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2 코팅층을 본-경화하고, 상기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어셈블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층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층 필름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기재, 제1 코팅층과 제2 코팅층이 접착제층의 개재 없이도 상호 접착되므로, 접착제층이 개재한 경우에 비하여 그 두께가 얇다. 또, 접착제층이 개재하지 않으므로, 그 자체로 광투과율 개선의 효과가 있으며, 접착제층에 따른 광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다층 필름을 광학 필름으로서 광원 어셈블리에 적용하면, 휘도 및 광질이 개선되어, 광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다층 필름"은 2 이상의 막(또는 층)이 서로 적층되어 있는 필름을 지칭한다. 여기서, 적층이라 함은, 대면하는 2막이 상호 접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적층"은 대면하는 2막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호 밀착되어 결합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각 막은 서로 상이한 물질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서로 동일한 물질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층 필름은 기재 위에 2 이상의 기능성 막들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를 지칭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재 없이 기능성 막들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필름"은 "~시트", "~판"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면에 프리-경화(pre-curing)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와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한다(S11). 이에 대한 예시적인 공정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및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 를 준비한다.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는 문자 그대로 프라이머(primer)를 함유하는 기재를 의미하고,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는 프라이머를 함유하지 않는 기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프라이머 함유 기재는 프라이머가 기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프라이머가 기재와는 구분된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프라이머 함유 기재는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라이머는 그 위에 적층되는 층 구조물과 결합 내지 접착할 수 있는 구조물을 보유한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는 하이드록실기, 카복실기, 아민기 등의 작용기를 가지는 에폭시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재의 일 표면에 프라이머가 노출되어 있거나, 기재의 일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위에 형성되는 코팅층(즉, 도 2의 제1 코팅층(120a))은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에 안정적으로 결합 내지 접착할 수 있다.
반면에,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는 프라이머가 없기 때문에, 다른 접착층 등이 개재되지 않는 한 기재에 대한 그 위에 형성되는 코팅층(즉, 도 2의 제2 코팅층(120b))의 결합력이 적어도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보다는 작다.
한편,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와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는 단지, 프라이머를 함유하는지 여부에 따른 구분에 불과하며, 각 기재(110a, 110b)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물질과 기능의 기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및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는 각각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 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 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계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계열,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후술하겠지만,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다층 필름의 기재로서 잔류하기 때문에, 다층 필름에 적합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는 최종 다층 필름에서는 제거되기 때문에,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다층 필름이 높은 광투과 특성을 요할 경우,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프라이머 비함유 기재(110b)는 불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하다.
계속해서,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의 일면에 제1 코팅층(120a)을,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의 일면에 제2 코팅층(120b)을 각각 형성한다.
제1 코팅층(120a)은 액상의 제1 코팅액을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의 일면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코팅층(120b)은 액상의 제2 코팅액을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의 일면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코팅액 및 제2 코팅액은 적층하고자 대상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상 코팅 조성물은 다층 필름에 의해 구현하려고 하는 기 능을 발휘하기 위한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층 필름이 액정 필름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코팅 조성물은 액정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후속의 프리-경화 및/또는 본-경화가 UV 조사(radiation)를 통해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코팅액이 그 조사(radiation)의 대상이 되는 경우, 제1 및 제2 코팅액은 UV 경화성 물질 및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용가능한 UV 경화성 물질의 예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터계, 실리콘계, 에스테르계 등의 반응성 올리고머 및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다관능성 (디,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예컨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펜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트리에틸렌디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이소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마이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t-옥틸(메타)아크릴아마이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몰포린, 디싸이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 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싸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펜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펜타디엔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열거된 물질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벤질 케탈류, 벤조인 에테르류, 아세토페논 유도체, 케톡심 에테르류, 벤조페논, 벤조 또는 티옥산톤계 화합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자유라디칼 개시제, 오늄 염(onium salts), 페로세늄 염(ferrocenium salts), 및 디아조늄 염(diazonium salts)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성 개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제1 코팅액 및 제2 코팅액의 코팅은 기재 상에 용액을 코팅하는 공지된 다양한 코팅 방법, 예컨대, 롤 코팅, 딥 코팅, 스핀 코팅, 슬릿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그라비아 코팅, 3 롤 리버스(roll reverse) 코팅, 콤마 코팅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단계에서 제1 코팅층(120a) 및 제2 코팅층(120b)은 접착제 등을 개재하지 않고 각 기재(110a, 110b) 상에 직접 코팅되기 때문에, 아직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지만,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에 대한 제1 코팅층(120a)의 결합 내지 접착력은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에 대한 제2 코팅층(120b)의 결합 내지 접착력보다 같거나 크다.
도 3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optionally), 제1 코팅층(122a) 및 제2 코팅층(122b)을 건조시킨다. 제1 코팅층(122a) 및 제2 코팅층(122b)의 건조는 제1 코팅액 및 제2 코팅액의 유동성을 감소시켜 공정 편의성을 증진하고, 후속의 경화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행한다. 본 건조 공정은 예컨대, 열처리 장치나 오븐 등에 건조 대상을 재치하고, 약 6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약 20초 내지 20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어서, 제1 코팅층(124a) 및 제2 코팅층(124b)을 프리-경화한다. 프리-경화는 제1 코팅층(124a) 및 제2 코팅층(124b)의 막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함으로써, 막질 안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후속 본-경화에 따른 제1 코팅층(124a) 및 제2 코팅층(124b)의 접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프리-경화는 후속하는 본-경화보다는 더 작은 에너지를 부여하여 수행한다. 예컨대, UV 조사를 통해 프리-경화 및 본-경화를 수행하는 경우, 프리-경화는 본-경화시보다 더 작은 조사량으로 UV 조사된다. 예를 들어, 프리-경화는 약 20mJ/cm2 내지 250mJ/cm2, 바람직하게는 약 50mJ/cm2 내지 200mJ/cm2의 조사량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상기 관점에서 프리-경화는 약 5mW/cm2 내지 50mW/cm2, 바람직하게는 약 10mW/cm2 내지 40mW/cm2의 조사 강도로, 약 1초 내지 60초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5초 내지 3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프리-경화를 통해 프라이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정한 구조로 변경됨으로써,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와 제1 코팅층(124a)간의 결합/접착력이 더 욱 증진된다. 반면,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에서는 그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와 제1 코팅층(124a) 간의 결합/접착력과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와 제2 코팅층(124b) 간의 결합/접착력간의 차이가 더욱 증가한다.
다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어서, 제1 코팅층(124a)의 표면이 제2 코팅층(124b)의 표면과 접하도록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및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배치한다(S12).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제2 코팅층(124b)의 표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은 후,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의 제1 코팅층(124a) 표면 상에 배치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코팅층(124a)의 표면 및 제2 코팅층(124b)의 표면을 접하게 하는 다른 다양한 배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어서, 제1 코팅층(126a)과 제2 코팅층(126b)을 본-경화(main-curing)한다(S13). 본-경화에 UV 조사가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것처럼, 프리-경화보다는 더 높은 조사량으로 UV 조사한다. 예를 들어, 본-경화는 약 250mJ/cm2 내지 2000mJ/cm2, 바람직하게는 약 500mJ/cm2 내지 1500mJ/cm2의 조사량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상기 관점에서 본-경화는 약 50mW/cm2 내지 700mW/cm2, 바람직하게는 약 100mW/cm2 내지 300mW/cm2의 조사 강도로, 약 1초 내지 60초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0초 내지 4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코팅층의 표면 및 제2 코팅층의 표면의 접촉 배치만으로는 제1 코팅층과 제2 코팅층 간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이들을 접촉 배치한 상태 에서 상술한 조건으로 본-경화를 수행하게 되면, 제1 코팅층(126a)과 제2 코팅층(126b)이 상호 접착된다. 이는 본-경화로 제1 코팅층과 제2 코팅층이 동시에 분자 구조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상호간 결합력을 획득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본-경화를 통하여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이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접착되기도 하지만,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는 단지 물리적인 결합을 통하여 결합 및 접착된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코팅층과 제2 코팅층의 접착에 화학적인 결합 및 물리적인 결합이 모두 관여한다.
아울러, 본-경화를 통해 프라이머도 그 구조의 변화를 통해 인접하는 제1 코팅층(126a)에 대해 더욱 강한 결합/접착력을 갖게 된다. 반면,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에서는 그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와 제1 코팅층(124a) 간의 결합/접착력과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와 제2 코팅층(124b) 간의 결합/접착력간의 차이가 더욱 증가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제거한다(S14).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의 제거는 박리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것처럼,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와는 달리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는 제2 코팅층(126b)과의 접착/결합력이 미미하므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제거하는 방법이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마 등의 다른 방법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의 제거 결과, 제2 코팅층(126b)의 타면이 노출된다.
본 단계에 의해,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상의 제1 코팅층(126a), 및 제1 코팅층(126a) 상의 제2 코팅층(126b)을 포함하되, 제1 코팅층(126a)과 제2 코팅층(126b)은 본-경화되고 서로 접착되어 있는 다층 필름이 완성된다. 여기서, 다층 필름의 제1 코팅층(126b)은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에 강하게 결합/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은 제1 코팅층(126a)과 제2 코팅층(126b)이 접착제층의 개재 없이도 상호 접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와 제1 코팅층(126a) 사이도 접착제층의 개재 없이 상호 강하게 결합/접착되어 있으므로, 접착제층이 개재하여 접착된 경우에 비하여 그 두께가 훨씬 얇아진다. 또, 접착제층이 개재하지 않으므로, 그 자체로 광투과율 개선의 효과가 있으며, 접착제층에 따른 광 간섭을 줄일 수 있어, 광학 필름으로 적용시 휘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다층 필름의 기재로서 잔류함으로써, 다층 필름의 물리적 안정성 및 가공성을 확보하게 한다. 나아가,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로 편광, 위상차 보상, 색보상 등과 같은 기능성 기재를 적용하면, 코팅층(126a, 126b)의 기능과는 별도의 추가적인 기능이 부여된다. 즉, 박형화된 최소의 구조로서, 더욱 많은 기능을 갖는 다층 필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의 타면에 프리즘 구조물, 렌즈 구조물, 확산 구조물, 엠보 패턴 등을 구비하면, 그에 따른 추가적인 기능이 더 발휘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단계 후, 계속해서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제2 코팅층(126b) 상에 다른 코팅층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면에 본-경화된 제1 코팅층(136a)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와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134b)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준비한다(S21).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134b)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준비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면에 본-경화된 제1 코팅층(136a)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를 준비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 중 도 4의 프리-경화 단계를 도 6의 본 경화 단계의 조건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대체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에 따라, 제1 코팅층(136a)이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에 안정적으로 결합/접착될 것임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어서, 제1 코팅층(136a)의 표면이 제2 코팅층(134b)의 표면과 접하도록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및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배치한다(S21).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제2 코팅층(134b)의 표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은 후,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의 제1 코팅층(136a) 표면 상에 배치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프라이머 함 유 기재(110a)와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의 위치를 반대로 하는 등, 제1 코팅층(136a)의 표면 및 제2 코팅층(134b)의 표면을 접하게 하는 다른 다양한 배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어서, 제1 코팅층(136a)과 함께 제2 코팅층(136b)을 본-경화한다(S23). 본 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 6에서는 본-경화되는 대상 코팅층이 모두 프리-경화된 코팅층인 반면, 본 단계에서는 본-경화되는 대상 코팅층 중 제2 코팅층(134b)은 프리-경화된 코팅층이지만, 제1 코팅층(136a)은 이미 본-경화된 코팅층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처럼, 서로 접한 코팅층 중 어느 하나는 프리-경화되어 있고, 다른 하나가 본-경화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을 함께 본-경화하게 되면, 도 6의 경우처럼 상호 접착된다. 이는 본-경화로 적어도 제1 코팅층의 분자 구조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제2 코팅층과 결합력을 획득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본-경화되어 있는 제2 코팅층도 본 단계의 본-경화에 의해 일부 분자 구조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제1 코팅층과의 결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도 7의 단계처럼,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제거하면, 결과적으로 도 7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상의 제1 코팅층(126a), 및 제1 코팅층(126a) 상의 제2 코팅층(126b)을 포함하되, 제1 코팅층(126a)과 제2 코팅층(126b)은 본-경화되고 서로 접착되어 있으며, 다층 필름의 제1 코팅층(126b)이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에 강하게 결합/ 접착되어 있는 다층 필름이 완성된다. 따라서,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가 나타날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이 모두 단일막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각 코팅층은 2 이상의 서브 코팅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에 대한 일 예를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면에 본-경화된 제1 코팅층(146a)으로서, 제1 서브 코팅막(146a_1) 및 제2 서브 코팅막(146a_2)을 포함하는 제1 코팅층(146a)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및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144b)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준비한다(S31).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144b)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를 준비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면에 본-경화된 제1 코팅층(146a)으로서, 제1 서브 코팅막(146a_1) 및 제2 서브 코팅막(146a_2)을 포함하는 제1 코팅층(146a)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를 준비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또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코팅막(146a_1) 및 제2 서브 코팅막(146a_2)을 각각 도 2 내지 도 7 또는 도 9 내지 도 11의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으로 대체하면, 결과적으로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의 일면에 본-경화된 제1 서브 코팅막(146a_1) 및 제2 서브 코팅막(146a_2)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이 적용되면, 여기서, 제1 서브 코팅막(146a_2)과 제2 서브 코팅막(146a_2)이 접착제층의 개재없이 직접 상호 접착되어 있고, 제1 서브 코팅막(146a_1)과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가 안정적으로 결합/접착되어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이어서, 제1 코팅층(146a)의 표면(즉, 제2 서브 코팅막 표면)이 제2 코팅층(144b)의 표면과 접하도록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및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_1)를 배치한다(S32).
도 15를 참조하면, 이어서, 제1 코팅층(146a)과 함께 제2 코팅층(146b)을 본-경화한다(S33). 본 단계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어서, 도 7의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110b_1)를 제거한다(S34). 따라서, 본 단계에 의해,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 상의 제1 서브 코팅막(146a_1), 제1 서브 코팅막(146a_1) 상의 제2 서브 코팅막(146a_2), 및 제2 서브 코팅막(146a_2) 상의 제2 코팅층(146b)을 포함하되, 제1 서브 코팅막(146a_1), 제2 서브 코팅막(146a_2), 및 제2 코팅층(146b)은 모두 본-경화되고 상호 접착되어 있으며, 제1 서브 코팅막(146a_1)이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와 강하게 결합/접작되어 있는 다층 필름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은 제1 서브 코팅막(146a_1), 제2 서브 코팅막(146a_2), 및 제2 코팅층(146b)이 접착제층의 개재 없이도 상호 접착되 며, 프라이머 함유 기재(110a)와 제1 코팅층(126a) 사이도 접착제층의 개재 없이 상호 강하게 결합/접착되어 있으므로, 접착제층이 개재한 경우에 비하여 그 두께가 훨씬 얇다. 또, 접착제층이 개재하지 않으므로, 그 자체로 광투과율 개선의 효과가 있으며, 접착제층에 따른 광 간섭을 줄일 수 있어, 광학 필름으로 적용시 휘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들은 2 이상이 기능성 층들이 적층된 광학 필름, 예컨대 액정 필름, 확산 필름, 프리즘 필름, 반사 필름, 편광 필름, 반사형 필름, 보호 필름 등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들은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 상에 각각 직접 코팅액을 코팅한 경우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경우, 프라이머 함유 기재 상에는 직접적인 코팅이 불가능하거나 비효율적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다층 필름으로서 액정 필름을 제조할 경우, 코팅층으로 액정층이 적용되는데, 액정이 직접 프라이머 함유 기재 상에 코팅되면, 액정의 배향 방향을 제어하기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그 정밀도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
또,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 등에서, 도 2 내지 도 7의 단계를 반복하면, 3층 이상의 코팅층이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는데, 이때 프라이머 함유 기재 상에 코팅액을 직접 코팅하여야 한다면, 가장 아래층의 코팅층은 프라이머 함유 기재 상에 코팅된 채 준비되어야 하고, 나머지 코팅층은 프라이머 비함유 기재 상에 코팅된 상태로 준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타겟으로 하는 코팅층의 종류 및 순서에 따라 그 기재의 종류가 달라져야 한다면, 코팅층이 형 성된 기재를 미리 대량으로 준비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적층되는 모든 코팅층들이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 상에 형성되어 준비되고, 프라이머 함유 기재는 별도로 준비된 후, 제조 과정에서 상호 접착된다.
이하, 액정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상기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해의 편의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액정 필름의 예시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필름으로서, 액정 필름으로 적용된 다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층 필름(200)은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 및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액정층(226a), 제1 액정층(226a) 상에 형성된 제2 액정층(226b), 제2 액정층(226b) 상에 형성된 제3 액정층(226c)을 포함한다.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로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 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 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계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계열,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기재(1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 ethylene naphtha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되, 위상차 보상 필름의 특성을 갖는다. 이 경우, 다층 필름(200)은 액정/위상차 보상 일체형 필름이 된다.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의 두께는 다층 필름이 적용되는 예에 따라 다양하다. 일 예를 들면, 약 10 내지 100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600㎛일 수 있다. 그러나,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의 두께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 액정층(226a), 제2 액정층(226b) 및 제3 액정층(226c)은 각각 콜레스테릭 액정(또는 카이럴 네마틱 액정)을 포함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일정한 피치(pitch)를 가지며 반복적으로 꼬인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반복되는 꼬인 나선형 구조는 광의 브래그(Bragg) 반사를 유도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는 반사되는 빛의 파장에 관계된다. 즉, 콜레스테릭 액정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파장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 및 콜레스테릭 액정의 굴절률에 비례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그 나선 방향에 따라 우선성(right-handed) 콜레스테릭 액정 및 좌선성(left-handed)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분류된다. 우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은 우원 편광된 빛은 반사하지만, 좌원 편광된 빛은 투과한다. 반대로, 좌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은 우원 편광된 빛은 투과하지만, 좌원 편광된 빛은 반사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콜레스테릭 액정은 그 콜레스테릭 액정이 반사하는 밴드폭(band width)에 포함된 파장의 빛의 50%는 투과하고, 나머지 50%는 반사한다.
따라서, 제1 액정층(226a), 제2 액정층(226b) 및 제3 액정층(226c)의 콜레스테릭 액정이 각각 가시광선 파장(약 380nm 내지 780nm)의 1/3의 밴드폭을 갖되, 제1 액정층(226a)은 레드 파장을, 제2 액정층(226b)은 그린 파장을, 제3 액정층(226c)은 블루 파장을 각각 반사시키도록 설정하면, 이론적으로 제1 내지 제3 액정층(226c)은 가시광선 전파장의 50%를 투과하고, 나머지 50%를 반사시킬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네마틱 액정(nematic liquid crystal)과 키랄 도펀트(chiral dopant)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액정층(226a, 226b, 226c)의 반사 파장은 네마틱 액정과 키랄 도펀트의 배합 비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네마틱 액정의 배합 비율이 높을수록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긴 반면, 상대적으로 키랄 도펀트의 배합 비율이 높을수록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짧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액정층(226a)은 네마틱 액정과 키랄 도펀트의 비율이 약 96:4이고, 제2 액정층(226b)은 약 95:5이고, 제3 액정층(226c)은 약 94:6이면, 상기한 반사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합 비율은 구체적인 액정의 종류, 첨가제의 유무, 반사 파장의 밴드폭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제1 액정층(226a)과 제2 액정층(226b)은 접착제층의 개재없이 직접 접착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액정층(226b)과 제3 액정층(226c)도 접착제층의 개재없이 직접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다층 필름(200)은 입사하는 빛의 전 파장에 대하여 원편광된 빛의 50%는 투과하고 50%는 반사시켜, 광이용율을 극대화하면서도, 제1 액정층(226a), 제2 액정층(226b), 제3 액정층(226c)이 서로 접착제층의 개재 없이 접착되어 있으므로, 그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광투과율 개선의 효과가 있으며, 접착제층에 따른 광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와 액정층(226a, 226b, 226c) 간에도 접착제층 없이 결합/접착되어 있으므로,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로서 위상차 보상 기능을 갖는 기재를 사용하게 되면, 다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그 두께가 최소화되고, 광투과율 및 광간섭 방지 효과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액정층에 의해 광학 필름(200)의 반사 특성이 최적화된 경우가 예시되고 있지만, 반사 파장이나 반사 밴드폭을 조절하면, 2층의 액정층이나, 4층 이상의 액정층들에 의해 상기한 특성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1)를 준비하고,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1)의 일면에 예컨대, 롤 코팅, 딥 코팅, 스핀 코팅, 슬릿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그라비아 코팅, 3 롤 리버스(roll reverse) 코팅, 콤마 코팅 등의 방법으로 제1 액정층(220a)을 코팅한다. 제1 액정층(220a)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물질들 및 그 배합과, 후속의 프리-경화 및 본-경화를 위해 UV 경화성 물질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액상의 용액으로 이루어진다. UV 경화성 물질 및 광개시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9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optionally), 제1 액정층(222a)을 건조시킨다. 본 단계는 도 3의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0를 참조하면,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제1 액정층(224a)을 프리-경화한다.
이상에서, 제1 액정층은 프라이머가 없는 기재 상에 코팅되고, 그 위에서 프리-경화되므로, 액정 분자의 배향이 프라이머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액정 배향 방향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를 준비하고, 제1 액정층(224a)의 표면이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의 일면(구체적으로, 프라이머 또는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 있는 일면)과 접하도록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 및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1)를 배치하고,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을 본-경화한 후,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1)를 제거한다. 도 21은 그 실효적인 일 방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20의 단계를 거쳐 제1 액정층(224a)이 프리-경화되면,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 및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1)는 각각 권취 롤러(250) 등에 권취될 수 있다.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 및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1)가 권취 롤러(250)로부터 권출되어, 복수의 압착 롤러(260)를 지나게 되면,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와 제1 액정층(224a)의 표면이 압착되어 접하게 된다.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 및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1)의 진행 방향 중에 자외선 램프를 배치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1 액정층(226a)을 본-경화한다. 본-경화를 위한 자외선 조사의 조건들은 도 6에 제시된 조건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경화에 의해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의 표면과 제1 액정층(226a)이 상호 결합/접착된다. 이후,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1)는 박리 니들(270)에 의해 제거되며, 남은 본-경화된 제1 액정층(226a)과 그와 결합/접착된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만이 귄취 롤러(250)에 권취된다. 한편, 후속 단계에서도 본-경화의 단계가 있기 때문에, 본 단계에서 본-경화는 프리-경화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2)를 준비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계속해서,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2)를 권취 롤러(250) 등에 권취한다. 이어서,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 및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2)가 권취 롤러(250)로부터 권출되어, 복수의 압착 롤러(260)를 지나게 되면,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의 제1 액정층(226a)와 제2 액정층(224b)의 표면이 압착되어 접하게 된다.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 및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2)의 진행 방향 중에 자외선 램프를 배치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1 액정층(226a)과 함께 제2 액정층(226b)을 본-경화한다. 본-경화를 위한 자외선 조사의 조건들은 도 6에 제시된 조건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경화에 의해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의 제1 액정층(226a)과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26b)의 제2 액정층(226b)이 상호 접착된다. 이후,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210b_2)는 박리 니들(270)에 의해 제거되며, 남은 본-경화된 제1 액정층(226a) 및 제2 액정층(226b)이 형성된 프라이머 함유 기재(210a)만이 권취 롤러(250)에 권취된다.
계속해서,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3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3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 도 22의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액정층(226b) 상에 제3 액정층(226c)을 접착시키고, 제3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함으로써, 도 17의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이 완성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액정층이 형성된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 프라이머 함유 기재, 제2 액정층이 형성된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 및 제3 액정층이 형성된 제3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의 순으로 그 준비가 이루어진 예를 들었지만, 이들은 그 순서에 상관없이 한꺼번에 미리 준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광학 필름들은 광원 어셈블리에 채용되어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된다. 광원 어셈블리는 램프가 하부에 위치하는 직하형 광원 어셈블리, 램프가 사이드에 위치하는 에지형 광원 어셈블리 등으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은 어떠한 종류의 광원 어셈블리에도 채용가능하다. 또, 액정 패널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백라이트(back light) 어셈블리나 액정 패널의 위쪽에 배치되는 프론트 라이트(front light) 어셈블리에도 적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적용예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이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6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300), 액정 패널 어셈블리(400), 및 탑 샤시(500)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램프(310), 램프(3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 필름(315), 및 출사된 빛의 광학적 특성을 조절하는 확산판(320)과 광학 필름들(330)을 포함한다.
램프(310)는 예를 들어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램프(310)의 아래에는 반사 필름(315)이 배치되어, 램프(310)로부터 아래로 출사된 빛을 상부로 반사한다.
램프(310)의 상부에는 확산판(320) 및 광학 필름들(230)이 배치된다. 확산판(320)은 램프(310)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킨다. 광학 필름들(330)은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필름, 입사된 빛을 집광하는 프리즘 시트, 입사된 원편광을 일부 반사하는 다층 액정 필름, 원편광 빛을 선형 편광으로 변환시키는 위상차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다층 액정 필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을 적용하면, 입사하는 빛의 전 파장에 대하여 원편광된 빛의 50%는 투과하고 50%는 반사시켜, 광이용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액정층, 제2 액정층, 제3 액정층이 서로 접착제층의 개재 없이 직접 접착되어 있으므로, 그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광투과율 개선의 효과가 있으며, 접착제층에 따른 광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기재로서 위상차 보상 특성을 갖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를 사용하면, 접착제층이나 다른 추가적인 부재없이 위상차 보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의 구조로부터 양질의 다기능 광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램프(310), 반사 필름(315), 확산판(320) 및 광학 필름들(330)은 바텀 샤시(340) 및 몰드 프레임(350)에 의해 수납된다. 바텀 샤시(34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300)의 최하부면을 이루며, 바텀 샤시(340) 위에는 창틀 형상의 몰드 프레임(350)이 배치되어, 몰드 프레임(350)에 구비된 안착단에 광확산판(320), 광학 필름들(330) 및 액정 패널(410)을 안착시킨다.
액정 패널 어셈블리(400)는 제1 표시판(411), 제2 표시판(412)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410), 제1 표시판(411) 및 제2 표시판(412)의 표면에 부착된 편광판(420), 액정 패널(3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데이터 TCP(Tape Carrier Package)(430), 데이터 TCP(430)에 부착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440)을 포함한다. 데이터 TCP(430) 상에는 데이터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431)가 실장되어 있다. 또, 데이터 TCP(430)의 부착 측면에 인접한 액정 패널(410)의 타측에는 게이트 TCP(미도시)가 부착되어 있고, 게이트 TCP 상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미도시)가 실장되어 있다.
탑 샤시(500)는 액정 패널(410)의 테두리를 덮으며, 액정 패널(41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300)의 측면을 감싼다. 데이터 TCP(430) 및 인쇄 회로 기판(440) 등은 절곡되어 바텀 샤시(340)의 측벽과 탑 샤시(500)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 수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필름이 적용됨으로써, 두께가 얇아지고, 휘도가 개선되며, 광 간섭 효과가 억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a: 제1 기재 110b: 제2 기재
126a: 제1 코팅층 126b: 제2 코팅층
Claims (30)
-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상기 제1 코팅층의 표면이 상기 제2 코팅층의 표면과 접하도록 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배치하고,상기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2 코팅층을 본-경화하고,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코팅층은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본-경화로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이 접착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를 준비하는 것은,프라이머 함유 기재를 준비하고,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상에 제1 코팅층을 형성하고,상기 제1 코팅층을 프리-경화하는 것을 포함하고,상기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는 것은,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 상에 제2 코팅층을 형성하고,상기 제2 코팅층을 프리-경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상기 프리-경화는 제1 조사량으로 UV를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경화는 상기 제1 조사량보다 큰 제2 조사량으로 UV를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5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조사량은 20mJ/cm2 내지 250mJ/cm2이고, 상기 제2 조사량은 250mJ/cm2 내지 2000mJ/cm2인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코팅층은 각각 제1 및 제2 액정층인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는 위상차 보상 필름인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일면에 본-경화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상기 제1 코팅층의 표면이 상기 제2 코팅층의 표면과 접하도록 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배치하고,상기 제1 코팅층과 함께 및 상기 제2 코팅층을 본-경화하고,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코팅층은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상기 본-경화로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이 접착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코팅층은 제1 서브 코팅막 및 제2 서브 코팅막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서브 코팅막과 상기 제2 서브 코팅막은 접착되어 있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상기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를 준비하는 것은,프라이머 함유 기재를 준비하고,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상에 제1 코팅층을 형성하고,상기 제1 코팅층을 프리-경화하는 것을 포함하고,상기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는 것은,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 상에 제2 코팅층을 형성하고,상기 제2 코팅층을 프리-경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상기 프리-경화는 제1 조사량으로 UV를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경화는 상기 제1 조사량보다 큰 제2 조사량으로 UV를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조사량은 20mJ/cm2 내지 250mJ/cm2이고, 상기 제2 조사량은 250mJ/cm2 내지 2000mJ/cm2인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코팅층은 각각 제1 및 제2 액정층인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7 항에 있어서,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는 위상차 보상 필름인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프라이머 함유 기재,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 및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상기 제1 코팅층의 일면이 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에 접하도록 상기 프라이 머 함유 기재 및 상기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배치하고,상기 제1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여 상기 제1 코팅층의 타면을 노출하고,상기 제2 코팅층의 일면이 상기 제1 코팅층의 타면과 접하도록 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상기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배치하고,상기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2 코팅층을 본-경화하고,상기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9 항에 있어서,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코팅층은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9 항에 있어서,상기 본-경화로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이 접착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9 항에 있어서,상기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함유 기재를 준비하는 것은,프라이머 함유 기재를 준비하고,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상에 제1 코팅층을 형성하고,상기 제1 코팅층을 프리-경화하는 것을 포함하고,상기 일면에 프리-경화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는 것은,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고,상기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 상에 제2 코팅층을 형성하고,상기 제2 코팅층을 프리-경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22 항에 있어서,상기 프리-경화는 제1 조사량으로 UV를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경화는 상기 제1 조사량보다 큰 제2 조사량으로 UV를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23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조사량은 20mJ/cm2 내지 250mJ/cm2이고, 상기 제2 조사량은 250mJ/cm2 내지 2000mJ/cm2인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9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코팅층은 각각 제1 및 제2 액정층인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25 항에 있어서,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는 위상차 보상 필름인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9 항에 있어서,일면에 프리-경화된 제3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3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준비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상기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는 것은 상기 제2 코팅층의 타면을 노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의 제거 후, 상기 제3 코팅층의 일면이 상기 제2 코팅층의 타면과 접하도록 상기 프라이머 함유 기재 및 상기 제3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과 함께 상기 제3 코팅층을 본-경화하고, 상기 제3 프라이머 미함유 기재를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층 필름 제조 방법.
- 제1 항 내지 제2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필름.
- 제28 항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 제28 항에 따른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3256A KR100961246B1 (ko) | 2008-09-23 | 2008-09-23 |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3256A KR100961246B1 (ko) | 2008-09-23 | 2008-09-23 |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4228A KR20100034228A (ko) | 2010-04-01 |
KR100961246B1 true KR100961246B1 (ko) | 2010-06-03 |
Family
ID=4221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3256A KR100961246B1 (ko) | 2008-09-23 | 2008-09-23 |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12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5927B1 (ko) * | 2018-03-26 | 2019-10-23 | 김성철 | 스마트폰용 박막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1438A (ja) | 1999-06-18 | 2001-01-09 | Toto Ltd | 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7272176A (ja) | 2006-03-07 | 2007-10-18 | Sumitomo Chemical Co Ltd | 複合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複合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
JP2008052089A (ja) | 2006-08-25 | 2008-03-06 | Sumitomo Chemical Co Ltd | 複合位相差板及び複合光学部材の製造方法。 |
-
2008
- 2008-09-23 KR KR1020080093256A patent/KR1009612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1438A (ja) | 1999-06-18 | 2001-01-09 | Toto Ltd | 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7272176A (ja) | 2006-03-07 | 2007-10-18 | Sumitomo Chemical Co Ltd | 複合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複合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
JP2008052089A (ja) | 2006-08-25 | 2008-03-06 | Sumitomo Chemical Co Ltd | 複合位相差板及び複合光学部材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4228A (ko) | 2010-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583299B (en) |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1155876B1 (ko) | 복합 광학 시트,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 |
WO2017221993A1 (ja) | 導光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KR100310153B1 (ko) | 적층방법을 이용한 광대역 특성을 갖는 편광막의 제조방법 | |
KR101663563B1 (ko) |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
KR101135363B1 (ko) | 광대역 반사형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장치 | |
KR100961246B1 (ko) |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
KR101971049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080050B1 (ko) | 광대역 반사형 액정 필름, 광대역 반사형 액정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
CN112799247B (zh) | 一种液晶显示组件及其制备方法、液晶显示器 | |
KR101040738B1 (ko) |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
TW589492B (en) | Board with cholesteric layer and display having the board | |
KR101871548B1 (ko) | 도광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
KR101155879B1 (ko) | 복합 광학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
JP2002241756A (ja) | 液晶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 |
TWI247163B (en) |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film, method for forming liquid crystal brightness enhancing film, and structure of liquid crystal film | |
KR20100043529A (ko) | 액정 필름, 그 제조 방법과 액정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
CN117917455A (zh) | Uv固化性粘接剂组合物、包含其的粘接膜、偏振膜、以及显示装置 | |
JP6716912B2 (ja) | 表示装置用基材 | |
CN108628016A (zh) | 液晶显示面板的制作方法 | |
KR20110058003A (ko) | 광대역 반사형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장치 | |
US20120200814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rocess for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2000321406A (ja) | 転写フィルム及び拡散反射板の製造方法 | |
KR20050106634A (ko) | 프리즘 일체형 확산판 및 이의 제조방법 | |
TW202334366A (zh) | 紫外光固化黏著劑組成物、包括其之黏著膜、包括其之偏光膜以及包括偏光膜之顯示元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