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43276B1 -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276B1
KR100943276B1 KR1020020064074A KR20020064074A KR100943276B1 KR 100943276 B1 KR100943276 B1 KR 100943276B1 KR 1020020064074 A KR1020020064074 A KR 1020020064074A KR 20020064074 A KR20020064074 A KR 20020064074A KR 100943276 B1 KR100943276 B1 KR 100943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s
pseudo
area
single carrier
pseudo noi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286A (ko
Inventor
권용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276B1/ko
Priority to CNB031103723A priority patent/CN100518156C/zh
Publication of KR2004003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2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01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0Mod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은, 송신측과 수신측의 동기를 위한 동기정보인 의사잡음열정보를 단일반송파 방식의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의사잡음열정보를 발생하는 의사잡음열정보 발생부, 의사잡음열정보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의사잡음열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구분부, 및 영역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의사잡음열정보의 각각의 영역을 데이터 스트림에 연속적으로 삽입하여 멀티플렉싱하는 먹스를 구비한다. 여기서, 영역구분부는 의사잡음열정보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의사잡음열정보의 심볼의 갯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포함하며, 카운팅부에 의해 카운팅된 값이 설정된 값에 달하면 의사잡음열정보의 영역을 구분한다. 이로써,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은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에서의 동기획득 구간의 지터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Figure R1020020064074
단일반송파, 의사잡음열, 심볼, 지터

Description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Single carri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reception efficiency of single carrier receiver}
도 1은 ATSC 표준방식 또는 ADTB-T 표준방식에 따른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의한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데이터 세그먼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대한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에서의 프레임동기신호와 수신된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의한 데이터의 세그먼트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의한 데이터의 세그먼트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에 의한 데이터의 세그먼트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5에 의한 데이터의 세그먼트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5에 의한 의사잡음열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1은 도 5에 대한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에서의 프레임동기신호와 수신된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스크램블러 20, 120 : FEC부
21, 121 : RS인코더 23, 123 : 인터리버
25, 125 : 트렐리스 인코더 130 : PN발생부
140 : 영역구분부 141 : 카운팅부
40, 160 : 파일럿 삽입부 50, 170 : 변조부
60, 180 : RF 컨버터
본 발명은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과 컴퓨터 및 방송이 융합되어 멀티미디어화함에 따라 세계 각국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을 디지털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 각국에서는 이미 위성을 통한 디지털 방송을 일부에서 실시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을 위한 표준 방식이 마련되었으며, 이러한 표준 방식은 나라마도 조금씩 다르게 구성된다.
디지털 방송을 위한 표준방식은 크게 미국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방식, 유럽의 DVB-T(Digiatal Video Broadcasting - Terrestiral)방식, 및 일본의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 Terrestrial)방식으로 대별된다.
상기의 표준방식 중, ATSC 표준방식은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와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비월주사와 순차주사, 16:9와 4:3화면비 등의 다양한 비디오 형식을 지원한다. 비디오 부호화는 MPEG-2표준의 MP@HL을 채용하고, 오디오 부호화는 돌비(Dolby)AC-3표준, 서비스 다중화 및 트랜스포트 계층은 MPEG-2시스템 표준을 따른다. 채널 부호화는 리드 솔로몬(Reed-Solomon) 부호화와 인터리빙, 트렐리스(Trellis)부호화를 사용하며, 변조는 단일반송파(Single Carrier)의 8-VSB(Vestigial Sideband)변조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ATSC 표준방식은 6MHz의 대역폭에서 19.39Mbps의 전송률을 나타내며, 이는 DVB-T에 비해 전송효율이 높다. ATSC 표준방식은 아날로그와의 동시방송(Simulcast)환경에서도 동일채널간섭에 강하게 설계되었으며, 타방식에 비해 하드웨어 구성이 간단하여 저가의 수신기 구성이 가능하고, 첨두 대 평균 전력비(Peak-to-Average Power Ratio)가 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DVB-T방식이 가지는 SFN(Single Frequency Network)이나 이동 수신의 특성은 없다.
최근에, ATSC 표준과 유사한 ADTB-T(Advanced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Terrestial) 표준이 제안되었다. ADTB-T 표준은 싱글/하이브리드 전송모드를 지원하며, OQAM(Offset Quadrate Amplitude Modulation)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도 1은 ATSC 표준방식 또는 ADTB-T 표준방식 등에 기초한 단일반송파 전송시 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스크램블러(10), FEC(Forward Error Correction)부(20), 먹스(mux)(30), 파일럿 삽입부(40), 변조부(50), 및 RF 컨버터(60)를 구비한다. 또한, FEC부(20)는 RS인코더(Reed-Solomon enconder)(21), 인터리버(interleaver)(23), 및 트렐리스 인코더(trellis encoder)(25)를 구비한다.
스크램블러(10)는 데이터 랜더마이저(data randomizer)라고도 하며, 동기식 데이터 전송에서 00000000b 또는 11111111b 등과 같이 같은 숫자가 반복되어 동기 신호를 상실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랜덤화한다. 스크램블러(10)는 데이터 신호의 각 바이트 값을 소정의 패턴에 따라 바꾸며, 이 과정은 수신기에서 역으로 처리되어 정확한 값을 복원된다.
RS인코더(21)는 입력 데이터 스트림에 부가되는 FEC 구조이다. FEC는 전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트 에러를 보정하는 기술을 말한다. 대기중의 노이즈, 다중경로 전파, 신호 페이딩과 송신기의 비직선성은 모두 비트 에러발생 요인이 되며, RS인코더(21)는 MPEG-II 전송 스트림의 경우, 187바이트 후미에 20개의 바이트를 추가한다. 추가되는 20개의 바이트를 리드 솔로몬 패리티 바이트라고 한다. 수신기에서는 수신된 187바이트를 20패리티 바이트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판별한다. 정확성 판별에 의해 에러가 검출되면, 수신기는 에러의 위치를 찾아내어 왜곡된 바이트를 수정해서 원래의 신호로 복구한다. 이 방법으로 스트림당 10바이트의 에러까지 복구가능하다. 그 이상의 에러는 복구 불가능하며,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 전체의 스트림은 폐기처분된다.
인터리버(23)는 데이터 스트림의 순서를 교란하여 전송신호를 간섭에 강(둔감)하도록 시간축상에서 데이터를 분산시킨다. 전송신호의 분산에 의해 신호 대역의 어떤 부분에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그 외의 대역에 있는 신호는 보존된다. 수신기는 이 과정을 역으로 처리하며, 분산된 전송신호를 다시 정확한 값으로 복원한다.
트렐리스 인코더(25)는 RS인코더(21)와는 다른 형태의 FEC 구조를 이룬다. MPEG-II전체 스트림을 다루는 RS인코더(21)와 달리, 트렐리스 인코더(25)는 시간의 영향을 고려하여 인코딩하며, 이러한 과정을 중첩부호화(Convolutional Code)라고도 한다. 트렐리스 인코더(25)는 8비트 바이트를 4개의 2비트 워드로 분할한다. 여기서, 2비트 워드는 이전의 워드와 비교되며, 3비트 2진 코드가 이전 워드에서 현재 워드로의 변화를 기술할 목적으로 발생된다. ATSC 표준방식의 경우, 이 3비트 코드가 원래의 2비트 워드를 대체하여 8-VSB의 여덟 레벨 심볼로 전송된다(3비트 = 8레벨). 이로써, 트렐리스 인코더(25)로 입력된 2비트 워드는 3비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러한 이유로 8-VSB시스템을 2/3레이트 코더(rate coder)라 부르기도 한다. 트렐리스 코딩의 강점은 시간에 따른 신호의 경과를 추적하여 오류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트렐리스 인코더(25)에 의한 트렐리스 코딩 후, 먹스(30)는 전송신호에 세그먼트 싱크 및 프레임 싱크를 삽입한다. 파일럿 삽입부(40)는 세그먼트 싱크 및 프레임 싱크가 삽입된 전송신호에 파일럿(PILOT : Programmed Inquiry Learning Or Teaching)을 삽입한다. 여기서, 변조 직전에 약간의 DC편이(1.25V)가 전송신호에 인가되는데, 이 경우 약간의 잔류 반송파가 변조된 스펙트럼의 제로 주파수 포인트에 나타난다. 이 발생된 잔류 반송파를 파일럿이라고 한다.
변조부(50)는 파일럿 삽입부(40)로부터 수신된 전송신호를 8-VSB 변조방식 또는 OQAM 변조방식을 사용하여 변조시킨다. RF컨버터(60)는 변조된 전송신호를 RF(Radio Frequency : 무선 주파수)변환시키며, 변환된 전송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도 2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에 따른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ATSC 표준방식에 따른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ATSC 데이터의 필드는 313개의 연속된 데이터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ATSC 필드 동기(field sync)는 필드 데이터 세그멘트가 된다. ATSC 데이터 프레임은 두 개의 ATSC 데이터 필드로 구성된다.
ATSC 데이터 필드의 반복주기는 24.2msec이며 NTSC의 수직귀선기간(Vertical Interval)과 유사(NTSC 주기=16.7msec)하다. 필드 동기는 잘 알려진 데이터 심볼 패턴을 갖고 있으며 수신기에서 고스트제거에 사용된다. 이 과정은 에러가 포함된 수신신호를 필드 동기와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그 결과 나타나는 에러 벡터를 이용하여 고스트제거 등화기의 특성을 조정한다.
ATSC 데이터 세그멘트는 원래의 MPEG-II 데이터 스트림 187바이트+20바이트로 구성된다. 트렐리스 코딩후 207바이트의 세그멘트는 828개(=207×4), 8레벨 심볼 스트림으로 바뀐다.
세그멘트 동기신호는 데이터세그멘트의 머리에 부가되는 반복형태의 4개의 심볼(1바이트) 펄스로서 원래의 MPEG-II 전송 스트림의 동기 바이트를 대체한다. 수신기는 완전히 랜덤한 여타 데이터에서 반복형태를 지닌 세그멘트 동기신호를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며,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의 노이즈와 간섭레벨에서도 클럭의 정확한 복원이 가능하다. 세그먼트 동기신호(segment sync : 세그먼트 싱크)가 부여된 데이터의 세그먼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전송신호의 세그먼트는 8개의 심볼로 구성된 세그먼트 동기신호, 511개 및 253개의 심볼로 구성된 의사잡음열(Pseudo Noise sequence : PN)정보 두 개, 및 32개의 심볼로 구성된 시스템 정보신호 두 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의사잡음열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에서 전송신호의 동기 및 채널을 예측하기 위한 동기정보열이다. 의사잡음열은 PN정보발생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발생되며, 먹스(30)에 의해 전송신호에 삽입된다.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은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와,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내부에 마련된 필드동기신호 생성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필드동기신호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이용하여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과의 동기를 획득한다. 전송된 데이터와 필드동기신호의 상관관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은 의사잡음열정보를 한 개만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의사잡음열정보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에서 상관관계에 의한 채널 추정시 상관값에 지터가 발생하여 정확한 채널을 추정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및 그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은, 송신측과 수신측의 동기를 위한 동기정보인 의사잡음열정보를 단일반송파 방식의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발생하는 의사잡음열정보 발생부, 상기 의사잡음열정보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구분부, 및 상기 영역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의 각각의 영역을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연속적으로 삽입하여 멀티플렉싱하는 먹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의사잡음열정보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의 심볼의 갯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운팅부에 의해 카운팅된 값이 설정된 값에 달하면 상기 의사잡음열정보의 영역을 구분한다. 또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가 삽입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크기는 ADTB-T 표준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카운팅부에 의해 카운팅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심볼의 갯수가 동일한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각각의 심볼의 갯수가 382개인 영역으로 구분한다. 또는,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각각의 심볼의 갯수가 384개인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카운팅부에 의해 카운팅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심볼의 갯수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각각의 심볼의 갯수가 380개인 영역 및 384개인 영역으로 구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스크램블러(110), FEC(Forward Error Correction)부(120), PN발생부(130), 영역구분부(140), 먹스(mux)(150), 파일럿 삽입부(160), 변조부(170), 및 RF 컨버터(180)를 구비한다. 또한, FEC부(120)는 RS인코더(121), 인터리버(123), 및 트렐리스 인코더(125)를 구비하며, 영역구분부(140)는 카운팅부(141)를 구비한다.
스크램블러(110)는 동기식 데이터 전송에서 00000000b 또는 11111111b 등과 같이 같은 숫자가 반복되어 동기 신호를 상실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랜덤화한다. 스크램블러(110)는 데이터 신호의 각 바이트 값을 소정의 패턴에 따라 바꾸며, 이 과정은 수신기에서 역으로 처리되어 정확한 값을 복원된다.
RS인코더(121)는 MPEG-II 전송 스트림의 경우, 187바이트 후미에 20개의 바 이트를 추가한다. 수신기에서는 수신된 187바이트를 20패리티 바이트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판별한다. 정확성 판별에 의해 에러가 검출되면, 수신기는 에러의 위치를 찾아내어 왜곡된 바이트를 수정해서 원래의 신호로 복구한다. 이 방법으로 스트림당 10바이트의 에러까지 복구가능하다. 그 이상의 에러는 복구 불가능하며,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 전체의 스트림은 폐기처분된다.
인터리버(123)는 데이터 스트림의 순서를 교란하여 전송신호를 간섭에 강(둔감)하도록 시간축상에서 데이터를 분산시킨다. 전송신호의 분산에 의해 신호 대역의 어떤 부분에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그 외의 대역에 있는 신호는 보존된다. 수신기는 이 과정을 역으로 처리하며, 분산된 전송신호를 다시 정확한 값으로 복원한다.
트렐리스 인코더(125)는 RS인코더(121)와는 다른 형태의 FEC 구조를 이룬다. MPEG-II전체 스트림을 다루는 RS인코더(121)와 달리, 트렐리스 인코더(125)는 시간의 영향을 고려하여 인코딩한다.
PN발생부(130)는 송신측과 수신측의 동기를 위한 동기정보인 의사잡음열정보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의사잡음열정보는 심볼단위의 펄스신호의 열로 구현되며, 하나의 심볼은 2비트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하나의 심볼의 크기는 4비트 또는 8비트의 크기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영역구분부(140)는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의사잡음열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이 경우, 영역구분부(140)의 내부에 구비된 카운팅부(141)는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의사잡음열정보의 심볼갯수를 카운팅하며, 영역구분부(140)는 카운팅부(141)에 의해 카운팅된 값이 설정된 값에 도달된 경우에 의사잡음열정보를 구분하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의사잡음열정보를 구분시키는 설정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의 제조시에 설정될 수 있으며, 적용되는 표준방식에 따라 그 설정치는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 싱크 및 의사잡음열정보가 삽입된 후의 데이터 스트림의 세그먼트의 심볼크기가 ADTB-T 표준의 세그먼트의 크기와 동일한 심볼크기(836개의 심볼)를 갖도록 구현하였다. 그러나, 데이터 스트림의 세그먼트의 심볼크기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ATSC 표준의 세그먼트의 심볼크기와 동일한 심볼크기(832개의 심볼)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의한 데이터의 세그먼트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역구분부(140)는 카운팅부(141)에 의해 카운팅된 값에 기초하여 764개의 심볼을 갖는 의사잡음열정보를 각각의 심볼의 갯수가 382개인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의사잡음열정보의 심볼의 갯수는 ADTB-T 표준에 따른 세그먼트에서 의사잡음열정보의 전체 심볼의 갯수와 동일하게 764개로 구현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영역구분부(140)는 764개의 심볼을 갖는 의사잡음열정보를 심볼의 크기가 동일한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것으로 구성하였다.
도 7은 도 5에 의한 데이터의 세그먼트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5에 의한 데이터의 세그먼트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역구분부(140)는 ADTB-T 표준의 세그먼트에서 의사잡음열정보의 심볼 갯수와 동일한 심볼갯수를 갖는 의사잡음열정보를 심볼의 갯수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도면의 경우, 영역구분부(140)는 의사잡음열정보를 각각의 심볼의 갯수가 380개인 영역과 384개인 영역으로 구분한 것으로 구현하였다. 여기서, 구분된 각각의 영역의 크기(심볼의 갯수 380개 및 384개)는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에서의 상관관계에 의한 채널 추정시 정확한 채널의 추정이 가능하도록 영역간의 심볼갯수 차이를 최소화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분된 의사잡음열정보의 각 영역간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각각의 구분된 영역이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되는 순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즉, 384개의 심볼을 갖는 영역이 380개의 심볼을 갖는 영역의 앞에 삽입될 수 있으며, 380개의 심볼을 갖는 영역이 384개의 심볼을 갖는 영역의 앞에 삽입될 수도 있다(도 7 및 도 8참조).
도 9는 도 5에 의한 데이터의 세그먼트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의사잡음열정보는 768개의 심볼을 갖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며, 세그먼트의 심볼의 갯수는 ADTB-T 표준의 세그먼트 심볼의 갯수와 동일한 836개의 심볼로 구현하였다. 이 경우, 영역구분부(140)는 카운팅부(141)에 의해 카운팅된 값에 기초하여 768개의 심볼을 갖는 의사잡음열정보를 각각의 심볼의 갯수가 384개인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ADTB-T 표준의 세그먼트의 의사잡음열정보의 심볼갯수에 비해 증가된 4개의 심볼의 갯수는 세그먼트 내의 시스템정보의 심볼의 갯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세그먼트 심볼의 전체 갯수를 ADTB-T 표준의 세그먼트 심볼의 갯수와 동일하게 하였다.
도 10은 도 5에 의한 의사잡음열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의사잡음열정보는 프리앰블영역, 심볼갯수가 255개인 의사잡음열정보영역, 및 포스트앰블영역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리앰블영역 및 포스트앰블영역은 신속한 신호처리를 위해 의사잡음열정보의 일부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또한, 심볼갯수 255개는 ATSC 표준 또는 ADTB-T 표준의 심볼갯수 511개의 영역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할 경우를 고려한 것이며, 따라서 심볼갯수 255개의 수치는 변화될 수 있다.
심볼의 갯수가 384개인 의사잡음열정보의 영역의 경우에, 프리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후반의 25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앞에 삽입하며, 포스트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전반의 104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뒤에 삽입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심볼의 갯수가 382개인 의사잡음열정보의 영역의 경우에, 프리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후반의 23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앞에 삽입하며, 포스트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전반의 104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뒤에 삽입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심볼의 갯수가 382개인 의사잡음열정보의 영역의 경우, 프리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후반의 25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앞에 삽입하며, 포스트앰 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전반의 102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뒤에 삽입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심볼의 갯수가 380개인 의사잡음열정보의 영역의 경우에, 프리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후반의 23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앞에 삽입하며, 포스트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전반의 102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뒤에 삽입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심볼의 갯수가 380개인 의사잡음열정보의 영역의 경우에, 프리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후반의 25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앞에 삽입하며, 포스트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전반의 100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뒤에 삽입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심볼의 갯수가 380개인 의사잡음열정보의 영역의 경우에, 프리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후반의 21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앞에 삽입하며, 포스트앰블영역은 PN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정보 중 전반의 104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심볼갯수 255개의 의사잡음열영역의 뒤에 삽입함으 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트렐리스 인코더(125)에 의한 트렐리스 코딩 후, 먹스(150)는 데이터 스트림에 세그먼트 싱크 및 영역구분부(140)에 의해 구분된 의사잡음열정보를 삽입한다.
파일럿 삽입부(160)는 세그먼트 싱크 및 의사잡음열정보가 삽입된 전송신호에 파일럿을 삽입한다.
변조부(170)는 파일럿 삽입부(160)로부터 수신된 전송신호를 OQAM 변조방식을 사용하여 변조시킨다. RF컨버터(180)는 변조된 전송신호를 RF 변환시키며, 변환된 전송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도 11은 도 5에 대한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에서의 프레임동기신호와 수신된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의사잡음열정보가 심볼의 갯수가 동일한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되거나 심볼의 갯수의 차이가 크지 않은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됨으로써,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에서의 동기획득 구간의 지터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에서의 동기획득 구간의 지터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6)

  1. 삭제
  2. 송신측과 수신측의 동기를 위한 동기정보인 의사잡음열정보를 단일반송파 방식의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발생하는 의사잡음열정보 발생부;
    상기 의사잡음열정보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구분부; 및
    상기 영역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의 각 영역을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연속적으로 삽입하여 멀티플렉싱하는 먹스;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의사잡음열정보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의 심볼 갯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운팅부에 의해 카운팅된 값이 설정된 값에 달하면 상기 의사잡음열정보의 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가 삽입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크기는 ADTB-T 표준에 따라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카운팅부에 의해 카운팅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심볼의 갯수가 동일한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각각의 심볼의 갯수가 382개인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의 각각의 영역은 255개의 심볼, 상기 255개의 심볼 중 후반의 23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앞에 삽입한 프리앰블, 및 상기 255개의 심볼 중 전반의 104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뒤에 삽입한 포스트앰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구분부에 의해 구분된 상기 의사잡음열정보의 각각의 영역은 255개의 심볼, 상기 255개의 심볼 중 후반의 25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앞에 삽입한 프리앰블, 및 상기 255개의 심볼 중 전반의 102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뒤에 삽입한 포스트앰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카운팅부에 의해 카운팅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심볼의 갯수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각각의 심볼의 갯수가 380개인 영역 및 384개인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먹스는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할 경우 상기 심볼의 갯수가 384개인 영역을 먼저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먹스는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할 경우 상기 심볼의 갯수가 380개인 영역을 먼저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의사잡음열정보를 각각의 심볼의 갯수가 384개인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13.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갯수가 380개인 영역은 255개의 심볼, 상기 255개의 심볼 중 후반의 23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앞에 삽입한 프리앰블, 및 상기 255개의 심볼 중 전반의 102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뒤에 삽입한 포스트앰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14.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갯수가 380개인 영역은 255개의 심볼, 상기 255개의 심볼 중 후반의 25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앞에 삽입한 프리앰블, 및 상기 255개의 심볼 중 전반의 100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뒤에 삽입 한 포스트앰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15.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갯수가 380개인 영역은 255개의 심볼, 상기 255개의 심볼 중 후반의 21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앞에 삽입한 프리앰블, 및 상기 255개의 심볼 중 전반의 104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뒤에 삽입한 포스트앰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16.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갯수가 384개인 영역은 255개의 심볼, 상기 255개의 심볼 중 후반의 25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앞에 삽입한 프리앰블, 및 상기 255개의 심볼 중 전반의 104개의 심볼을 복사하여 상기 255개의 심볼의 뒤에 삽입한 포스트앰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KR1020020064074A 2002-10-19 2002-10-19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943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074A KR100943276B1 (ko) 2002-10-19 2002-10-19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CNB031103723A CN100518156C (zh) 2002-10-19 2003-04-10 能够改善在单载波接收系统的接收效率的单载波发送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074A KR100943276B1 (ko) 2002-10-19 2002-10-19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286A KR20040035286A (ko) 2004-04-29
KR100943276B1 true KR100943276B1 (ko) 2010-02-23

Family

ID=3419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0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3276B1 (ko) 2002-10-19 2002-10-19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3276B1 (ko)
CN (1) CN10051815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8254B (zh) * 2005-10-31 2012-10-31 日本电气株式会社 发送/接收系统、发送设备及其中使用的导频信号复用方法
KR100854495B1 (ko) * 2006-09-07 2008-08-26 주식회사 휴니드 테크놀러지스 주파수 도약형 단파 무전기에서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장치와,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송수신 모듈
US7693031B2 (en) 2007-01-09 2010-04-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system acquisition and other signaling purposes using the preamble in an OFDM based communications system
CN101222459B (zh) * 2007-01-12 2010-11-1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频域均衡系统的导频插入和信道估计方法
US8443269B2 (en) * 2010-11-04 2013-05-14 Himax Medi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forward error correction code blocks in a receiver
CN104580057B (zh) * 2014-12-30 2018-08-28 江苏中兴微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单载波mimo系统的时域导频及其同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615A (ko) * 1998-09-30 2001-04-25 모리시타 요이찌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KR20040032284A (ko) * 2002-10-08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신호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및 그 방법
KR20040032283A (ko) * 2002-10-08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환경변화에 적응가능한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615A (ko) * 1998-09-30 2001-04-25 모리시타 요이찌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KR20040032284A (ko) * 2002-10-08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신호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및 그 방법
KR20040032283A (ko) * 2002-10-08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환경변화에 적응가능한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286A (ko) 2004-04-29
CN100518156C (zh) 2009-07-22
CN1491009A (zh)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723B1 (ko) 동적환경변화에 적응가능한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20726B1 (ko)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및 그 전송방법
RU2508605C2 (ru) Цифровой радиовещательный приемник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игналов
US20020191712A1 (en) Packet identification mechanism at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an enhanced ATSC 8-VSB system
KR20010111667A (ko) 엠펙 데이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송수신 시스템
KR100757469B1 (ko)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해 널 패킷 및 trs 코드를 이용한지상파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 신호처리방법
CN101861734B (zh) 码增强的交错播放
US7599442B2 (en) Transmitter synchronization in a distributed transmission system
KR100943276B1 (ko) 단일반송파 수신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US20120036413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100920736B1 (ko) 전송신호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및 그 방법
KR20060047533A (ko)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HK1103877A (en) Single carri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acclimating dynamic environmental change and method thereof
HK1109968A (en) Single carri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reducing signal distortion and method thereof
HK1103876A (en) Single carri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acclimating dynamic environmental change and method thereof
HK1109525B (en) Single carri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HK1103875A (en) Single carri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acclimating dynamic environmental change and method thereof
HK1107203A (en) Single carri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HK1109524B (en) Single carri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HK1109969A (en) Single carri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reducing signal distortion and method thereof
HK1107459B (en) Single carri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0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3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126

Appeal identifier: 2009101010726

Request date: 20091125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2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6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0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22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