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48132B1 - Car box - Google Patents

Car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132B1
KR100948132B1 KR1020080020048A KR20080020048A KR100948132B1 KR 100948132 B1 KR100948132 B1 KR 100948132B1 KR 1020080020048 A KR1020080020048 A KR 1020080020048A KR 20080020048 A KR20080020048 A KR 20080020048A KR 100948132 B1 KR100948132 B1 KR 10094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unting
mounting block
coupling groove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4999A (en
Inventor
윤희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132B1/en
Publication of KR2009009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9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13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박스의 골격은 박스몸체(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0)에는 블록장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장착부(12)의 내부에는 장착블록(20)이 설치되는 장착공(1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블록(20)의 외면에는 조인트클립(30)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결합홈(26)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클립(30)의 골격은 조인트몸체(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몸체(31)의 양측에는 상기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과 상대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가이드(32a,32b)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박스몸체(10)에 형성된 블록장착부(12)에 별개물로 구성된 장착블록(20)이 조인트클립(3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조립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장착블록(20)을 결합하여 원하는 위치에 조립할 수 있어 박스몸체(10)에 장착블록(20)과 대응되는 개수의 블록장착부(12) 및 블록장착부(12)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박스의 부피가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x.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keleton of the vehicle box is formed by the box body (10). The box mounting portion 12 is formed on the box body 10. The mounting hole 13 in which the mounting block 20 is installed is formed to penetrate inside the block mounting part 12.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block 20 is formed so that the coupling groove 26 is inserted into the joint clip 30 is selectively inserted. The skeleton of the joint clip 30 is formed by a joint body 31. On both sides of the joint body 31, insertion guides 32a and 32b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26 of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coupling grooves 26 of the mating mounting block 20 'are symmetric with each other.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mounting block 20 made of a separate object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formed in the box body 10 is assembled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joint clip 30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 appropriate number of mounting blocks 20 can be combined and assembled at a desired position, so that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and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block 20 on the box body 10 can be assembled. Since there is no need to form,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olume of the box is reduced.

퓨즈박스, 릴레이, 블록장착부, 장착블록, 조인트클립 Fuse box, relay, block mounting part, mounting block, joint clip

Description

차량용박스{Box for car}Box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이 실장되는 장착블록이 설치되는 차량용박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ox in which a mounting block on which components are mounted is installed.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부품이 집적되어 구성되는 차량용박스,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션박스나 퓨즈박스의 경우에는, 박스의 외부로부터 전선이 연결된다. 이는 박스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내부에 장착된 각종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퓨즈박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junction box or fuse box installed in a vehicle, for example, a vehicle box that is formed by integr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electric wires are connected from the outside of the box. This i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of the box,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various components mounted inside the box. Hereinafter, a fuse box mounted inside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use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따르면, 퓨즈박스는 다수개의 사출물이 결합되어 하나의 박스를 형성하게 되는데, 도 1에는 각종 전장품이 실질적으로 실장되는 박스몸체(1)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박스몸체(1)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use box, a plurality of injection moldings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box. In FIG. 1, a box body 1 in which various electrical appliances are mounted is illustrated. Although not shown,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may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x body 1, respectively.

상기 박스몸체(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는 차량의 내부와 같은 장소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박스몸체(1)에는 장착브라켓(2)이 구비된다. The box body 1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box body 1 is fixed at the same place as the inside of the vehicle. For this purpose, the box body 1 is provided with a mounting bracket 2.

상기 박스몸체(1)에는 실장부(3)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실장부(3)는 전장품이 실장되는 공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블록(6)과는 별도로 다양한 전장품이 실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실장부(3)는 상기 박스몸체(1)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box body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3). The mounting part 3 is a space in which the electric equipment is mounted, and is to allow various electric equipment to be mounted separately from the mounting block 6 to be described below. Of course, the mounting portion 3 may not be provided in the box body 1.

상기 박스몸체(1)에는 블록장착부(4)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장착부(4)는 장착블록(6)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박스몸체(1)를 관통하여 장착공(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공(4')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ox body 1 is formed with a block mounting portion (4). The block mounting portion 4 is a portion in which the mounting block 6 is installed, and the mounting hole 4 'is formed through the box body 1 therei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hole 4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pac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상기 장착공(4')의 내면에는 걸이턱(미도시)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은 상기 장착공(4')의 입구에 해당하는 내면 가장자리로부터 블록장착부(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은 장착블록(6)의 일부가 걸어지는 부분이다.Hanging jaw (not show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4 '). The hanger jaw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4 from the inner surface edge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mounting hole (4 '). The hanger jaw is a part on which a part of the mounting block 6 is hooked.

상기 블록장착부(4)의 사이에는 구획벽(5)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5)은 상기 다수개의 블록장착부(4)의 사이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A partition wall 5 is formed between the block mounting portions 4. The partition wall 5 serves to part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lock mounting portions 4.

상기 블록장착부(4)에는 장착블록(6)이 조립된다. 상기 장착블록(6)은 릴레이(미도시)와 같은 부품을 퓨즈박스에 실장하기 위한 매개체역할을 한다. 즉, 상기 릴레이는 장착블록(6)에 결합되고, 상기 장착블록(6)은 상기 퓨즈박스에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릴레이가 상기 퓨즈박스에 실장되는 것이다. The mounting block 6 is assembled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4. The mounting block 6 serves as a medium for mounting a component such as a relay (not shown) in the fuse box. That is, the relay is coupled to the mounting block 6, and the mounting block 6 is fixed to the fuse box, so that the relay is mounted on the fuse box.

상기 장착블록(6)에는 걸이후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장착블록(6)의 외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록장착부(4)의 걸이턱에 탄성변형을 통해 걸어진다.The mounting block 6 is provided with a hook hook (not shown). The hook hook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block 6 in a cantilever shape, and is hooked to the hook jaw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4 through elastic deformatio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use box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다수개의 상기 장착블록(6)이 상기 블록장착부(4)에 각각 맞게 조립되기 위해서는, 상기 블록장착부(4) 사이에 상기 구획벽(5)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수개의 장착블록(6)을 설치해야 할 경우 상기 구획벽(5)도 다수개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퓨즈박스(1)의 전체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In order for the plurality of mounting blocks 6 to be assembled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4, respectively, the partition wall 5 must be formed between the block mounting portions 4.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mounting blocks 6 are to be installe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5 must be 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total volume of the fuse box 1.

그리고, 상기 장착블록(6)을 상기 블록장착부(4)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상기 장착블록(6)을 하나씩 파지하여 상기 블록장착부(4)의 관통공(4')에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mounting block 6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4, the worker should hold the mounting block 6 one by one and install it in the through hole 4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4. , The work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블록장착부(4)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의 장착블록(6)이 만들어져야 하므로, 장착블록(6)의 종류가 많아져 퓨즈박스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since the mounting blocks 6 having different sizes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4, there are also problems in that the type of the mounting blocks 6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use box.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장착블록이 서로 결합되도록 조인트클립이 구비되는 차량용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vehicle box having a joint clip so that a plurality of mounting blocks are 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스의 블록장착부에 다수개의 장착블록을 한 번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assemble a plurality of mounting blocks at a time on the block mounting portion of the box.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장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블록장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공의 내면에 걸이턱이 형성되는 박스몸체와; 상기 블록장착부의 장착공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양측 외면에는 결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장착블록; 그리고 양측 중 일측은 상기 장착블록의 결합홈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걸이턱에 걸어져 고정되는 체결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lock mounting portion that forms the appearance and the skeleton, the mounting hole is penetrated, the box is formed with a hooking jaw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A body; A mounting block selectively mounted to a mounting hole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and coupling grooves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thereof to concave; And one side of the both sides protruding toward the coupling groove of the mounting block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other side is formed in the cantilever shape fastening clip is fixed to the hanging jaw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상기 체결클립은, 골격을 형성하는 체결몸체와; 상기 체결몸체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체결가이드; 그리고 상기 체결몸체의 타측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몸체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블록장착부의 걸이턱에 걸어져 고정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astening clip, and the fastening body to form a skeleton; A fastening guide projecting to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fastening body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a hook hook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body in a cantilever shape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body extends, and a hook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o as to protrude from the hook mounting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장착블록과 상대 장착블록의 사이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대칭되는 형상 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가이드가 각각 상기 장착블록의 결합홈과 상대 장착블록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조인트클립에 의해 연결된다.An insertion guide is formed between the mounting block and the mating mounting block to protrude in a symmetrical shape from both sides is connected by a joint clip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ounting block and the coupling groove of the mating mounting block, respectively.

상기 조인트클립은, 골격을 형성하는 조인트몸체와; 상기 조인트몸체로부터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하나는 상기 장착블록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상대 장착블록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joint clip includes a joint body forming a skeleton; A pair of insertions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from the joint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body, on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ounting block, and the other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ating mounting block. The guide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삽입가이드 및 상기 장착블록의 결합홈 그리고 상기 삽입가이드 및 상기 상대 장착블록의 결합홈은 도브테일구조로 결합된다.The coupling groove of the insertion guide and the mounting block and the coupling groove of the insertion guide and the mating mounting block are coupled in a dovetail structure.

본 발명에서는 퓨즈박스에 형성된 블록장착부에 별개물로 구성된 장착블록이 조인트클립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조립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장착블록을 결합하여 원하는 위치에 조립하면 되므로 퓨즈박스에 장착블록과 대응되는 개수의 블록장착부 및 블록장착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퓨즈박스의 부피가 감소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blocks made of separate parts in the block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fuse box are assembled to each other by a joint clip. Accordingly, the number of mounting blocks and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block moun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block do not have to be formed in the fuse box by combin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mounting block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Decreases.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장착블록의 양측에 체결클립을 장착하여 퓨즈박스의 블록장착부에 장착블록을 한 번에 조립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ing clips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blocks coupled to each other, the mounting blocks are assembled at a block mounting portion of the fuse box at onc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특히, 본 발명에서는 블록장착부의 크기에 상관없이 하나의 장착블록 또는 다수개의 장착블록을 조인트클립과 체결클립을 이용하여 블록장착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착블록을 공용화할 수 있어 퓨즈박스의 재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one mounting block or a plurality of mounting blocks can be installed in the block mounting portion using the joint clip and the fastening clip, so that the mounting block can be used in common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use box.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minimiz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블록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인트클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클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클립이 장착블록에 장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퓨즈박스에 장착되는 전장품 중에 릴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블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block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joint clip constituting an example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Figure 5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clip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mounted to the fastening clip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mounted on the block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Hereinafter, the mounting block for fixing the relay among the electrical appliances mounted on the fuse box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퓨즈박스는 다수개의 사출물이 결합되어 하나의 박스를 형성하게 되는데, 도 2에는 각종 전장품이 실질적으로 실장되는 박스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박스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use box is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moldings to form a single box, Figure 2 shows a box body 10 in which the various electrical appliances are mounted substantially. Although not shown,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may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x body 10, respectively.

상기 박스몸체(1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10)는 차량의 내부와 같은 장소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박스몸체(10)에는 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된다. The box body 10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box body 10 is fixed to the same place as the inside of the vehicle, for this purpose, the box body 10 is provided with a bracket (not shown).

상기 박스몸체(10)에는 블록장착부(12)가 구비된다. 상기 블록장착부는 아래 에서 설명될 장착블록(20)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박스몸체(10)를 관통하여 장착공(1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공(13)은 대략 육면체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ox body 10 is provided with a block mounting portion 12. The block mounting portion is a portion in which the mounting block 2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talled, the mounting hole 13 is formed through the box body 10 therei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hole 1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pac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상기 장착공(13)의 내면에는 가이드리브(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장착공(13)이 관통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장착블록(2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Guide ribs (not shown) ar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3. The guide rib is formed lo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unting hole 13 penetrates, and serves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mounting block 20.

상기 장착공(13)의 내면에는 걸이턱(미도시)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은 상기 장착공(13)의 입구에 해당하는 내면 가장자리로부터 블록장착부(12)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턱은 상기 장착공(13)의 양측면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클립(40)의 걸이후크(45)와 걸어지는 부분이다.Hanging jaw (not shown)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3). The hanger jaw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from the inner surface edge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mounting hole (13). In this embodiment, the hanger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hole (13). The hook jaw is a part hooked with the hook hook 45 of the fastening clip 40 to be described below.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블록(20)의 외관 및 골격은 블록몸체(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21)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10)와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As shown in Figure 3,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mounting block 20 is formed by the block body (21). The block body 2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like the box body 10.

상기 블록몸체(21)의 외면에는 삽입채널(2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채널(22)은 상기 블록몸체(21)의 외면에 상기 장착블록(20)의 삽입방향을 따라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채널(22)은 상기 블록장착부(12)의 가이드리브와 대응되어, 상기 장착블록(2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n insertion channel 22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21. The insertion channel 22 is formed to be recess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ounting block 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21. The insertion channel 22 corresponds to the guide rib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and serves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mounting block 20.

상기 블록몸체(21)에는 부품장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3)는, 도 3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블록몸체(21)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 부(23)에는 릴레이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품장착부(23)가 하나의 블록몸체(21)에 두 개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부품장착부(23)는 상기 블록몸체(21)에 한 개 혹은 세 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block body 21 has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23 is formed.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21 when view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3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relay.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component mounting parts 23 are formed in one block body 21. Of course, one or three or more parts mounting portions 23 may be formed in the block body 21.

상기 부품장착부(23)의 외곽을 부품가이드리브(24)가 형성한다. 상기 부품가이드리브(24)는 도 3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블록몸체(21)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품가이드리브(24)는 육면체형상의 릴레이의 외면 모서리에 인접하는 양면의 일부를 가이드하도록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art guide ribs 24 form an outer portion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 23. The component guide 24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21 when viewed based on FIG. 3. The component guide 2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 shape so as to guide a part of both sides adjacent to an outer edge of the hexahedral relay.

상기 블록몸체(21)의 외면에는 단차턱(25)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턱(25)은 상기 블록몸체(21)의 외면의 일부가 더 돌출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블록장착부(12)의 일측에 걸어져 상기 장착블록(20)을 블록장착부(1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A stepped jaw 2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21. The stepped jaw 25 is a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21 is further protruded to be stepped, and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to block the mounting block 20. It is fixed to).

상기 블록몸체(21)의 양측면에는 결합홈(2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조인트클립(30) 및 체결클립(4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6)은 조인트클립(30)의 삽입가이드(32a,32b) 및 체결클립(40)의 체결가이드(4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6)은 조인트클립(30) 또는 체결클립(40)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홈(26)은 횡단면이 도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Coupling grooves 26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lock body 21. The coupling groove 26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int clip 30 and the fastening clip 40 to be described below are inserted. The coupling groove 26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uide 32a, 32b of the joint clip 30 and the fastening guide 43 of the fastening clip 40. The coupling groove 26 is a portion where the joint clip 30 or the fastening clip 40 is coupl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groove 26 is formed in a dovetail cross section.

상기 블록몸체(21)의 결합홈(26)에는 조인트클립(30)이 결합된다. 상기 조인트클립(30)은 상기 장착블록(20)과 상대 장착블록(2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인트클립(30)의 골격은 조인트몸체(31)에 의해 형성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몸체(31)는 상기 장착블록(20)과 별개물로 구비되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몸체(31)는 상기 결합홈(26)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대 장착블록(20')은 상기 장착블록(20)과 형상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The joint clip 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block body 21. The joint clip 30 is to allow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keleton of the joint clip 30 is formed by a joint body 31. As shown in FIG. 4, the joint body 31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unting block 20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joint body 31 is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26 is inserted. Here,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is the same shape as the mounting block 20,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조인트몸체(31)에는 제1 및 제2삽입가이드(32a,32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삽입가이드(32a,32b)는 상기 조인트몸체(31)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삽입가이드(32a,32b)는 각각 상기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과 상기 상대 장착블록(20')의 결합홈(미도시)를 향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삽입가이드(32a,32b)는 상기 조인트몸체(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두 삽입가이드(32a,32b)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삽입가이드(32a,32b)는 임의로 순서를 정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삽입가이드(32a,32b)는 실질적으로 상기 장착블록(20)과 상대 장착블록(20') 사이에 결합되어 두 장착블록(20,2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es 32a and 32b are formed in the joint body 31.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es 32a and 32b ar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joint body 31.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es 32a and 32b are respectively projected toward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coupling groove (not shown) of the mating mounting block 20 ', respectively.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es 32a and 32b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body 31. At this time, the two insertion guides 32a and 32b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es 32a and 32b are arbitrarily determine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es 32a and 32b are substantially coupled between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mating mounting block 20 'so that the two mounting blocks 20 and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o.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삽입가이드(32a,32b)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H'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32a,23b) 및 상기 결합홈(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도브테일 형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삽입가이드(32a,32b)가 각각 상기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과 상기 상대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장착블록(20)과 상대 장착블록(20')이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es 32a and 32b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H' shape when viewed in a plan view. As shown in FIG. 3, the insertion guides 32a and 23b and the coupling groove 26 are coupled in a dovetail shape. Here,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es (32a, 32b) ar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mating mounting block 20 ', respectively,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are coupl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에는 체결클 립(40)이 결합된다. 상기 체결클립(40)은 상기 장착블록(20)을 상기 블록장착부(12)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블록장착부(12)에 상기 체결클립(40)의 골격은 체결몸체(4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체결몸체(41)는 상기 결합홈(26)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fastening clip 4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mounting block 20. The fastening clip 40 is for fixing the mounting block 20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The skeleton of the fastening clip 40 on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is formed by a fastening body 41. The fastening body 41 is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26 is inserted.

상기 체결몸체(41)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체결가이드(4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가이드(43)는 상기 체결몸체(4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가이드(43)는 상기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가이드(43)는 상기 조인트클립(30)의 제1 및 제2삽입가이드(32a,32b)와 동일한 형상이다. 상기 체결가이드(4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브테일 형상으로 결합된다.A fastening guide 43 is formed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fastening body 41. The fastening guide 43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astening body 41. The fastening guide 4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mounting block 20. That is, the fastening guide 43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uides 32a and 32b of the joint clip 30. The fastening guide 43 is coupled to the dovetail shape, as shown in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가이드(43)가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상기 체결몸체(41)의 타측면에는 걸이후크(45)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45)는 상기 체결몸체(41)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45)는 상기 체결몸체(41)의 외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록장착부(12)의 걸이턱에 탄성변형을 통해 걸어진다. As shown in FIG. 5, a hook hook 4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body 41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ing guide 43 is formed. The hook hook 45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body 41 extends. The hook hook 45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41 in a cantilever shape, and hangs on the hook jaw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through elastic deformation.

상기 걸이후크(45)는 도 5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하방으로 갈수록 그 선단이 상기 체결몸체(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블록몸체(21)가 상기 블록장착부(12)의 관통공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5, the hook hook 45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astening body 41 toward the lower side. This is for the block body 21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상기 걸이후크(45)는 상기 체결몸체(41)의 외면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장 착블록(20)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45)의 자유단부와 가까운 위치의 상기 걸이후크(45)의 외면에는 걸림돌기(4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6)는 상기 블록장착부(12)의 걸이턱에 걸어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블록장착부(12)에 장착블록(20)을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hook hook 45 has a bottom portion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41, and a free end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mounting block 20 is inserted. A locking projection 46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hook 45 at a position close to the free end of the hook hook 45. The locking protrusion 46 is fixed to the hanging jaw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to serve to fasten the mounting block 20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상기 걸림돌기(46)에는 상기 걸이후크(45)의 기저부를 향해 점차 낮아지게 안내경사면(46')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46')은 상기 블록장착부(12)의 관통공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걸이후크(45)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돌기(46)가 상기 걸이턱에 보다 용이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The locking projection 46 is formed with a guide inclined surface 46 'to gradually lower toward the base of the hook hook 45. The guide inclined surface 46 ′ elastically deforms the hook hook 45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whereby the locking protrusion 46 may be more easily hooked on the hook jaw. To induce.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걸이후크(45)와 상기 체결몸체(41)의 사이에는 변형공간(47)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간(47)은 상기 걸이후크(45)가 블록몸체(21) 방향으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유공간에 해당한다. As shown in FIG. 5, a deformation space 47 is formed between the hook hook 45 and the fastening body 41. The deformation space 47 corresponds to a free space for allowing the hook hook 45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 some extent in the direction of the block body 21.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작업자는 사용되는 상기 장착블록(20)의 개수를 확인한 후, 상기 조인트클립(30)과 체결클립(40)을 준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블록(20)이 두 개이므로, 상기 조인트클립(30)은 한 개, 체결클립(40)은 두 개가 구비된다.First, the operator checks the number of the mounting block 20 used, and prepares the joint clip 30 and the fastening clip 40.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ounting block 20 is two, the joint clip 30 is one, the fastening clip 40 is provided with two.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조인트클립(30)을 파지하여 상기 조인트클립(30)의 제1삽입가이드(32a)를 상기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에 위치시켜 끼우고, 상기 제2삽입가이드(32b)는 상기 상대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에 위치시켜 끼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장착블록(20)과 상대 장착블록(20)은 상기 조인트클립(3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Then, the worker grips the joint clip 30 to position the first insertion guide 32a of the joint clip 30 in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second insertion Guide 32b is placed in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mating mounting block 20 '. In this case,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joint clip (30).

이러한 상태로, 작업자는 체결클립(40)을 파지하여 상기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과 상대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에 각각 위치시켜서 끼운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45)가 상기 장착블록(20)의 일면과 상대 장착블록(20')의 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체결클립(40)을 상기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 및 상대 장착블록(20')의 결합홈(26)에 끼워야 한다. In such a state, the operator grips the fastening clip 40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mating mounting block 20 ',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oupling clip 40 is coupled to the mounting block 20 so that the hook hook 45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block 20 and one surface of the mating mounting block 20 'in opposite directions. (26) and mating grooves 26 of the mating mounting block 20 '.

다음으로, 작업자는 결합된 상기 장착블록(20)과 상대 장착블록(20')을 파지하여 상기 박스몸체(10)의 블록장착부(12)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장착블록(20) 및 상대 장착블록(20')을 상기 박스몸체(10)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끼워 넣어야 한다.Next, the worker grips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coupled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of the box body 10 to move. At this time, when the worker sees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 should be inserted from the bottom of the box body 10 upward.

다시 말해, 상기 장착블록(20) 및 상대 장착블록(20')의 부품장착부(23,23')가 상기 블록장착부(12)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블록(20) 및 상대 장착블록(2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블록(20)과 상대 장착블록(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블록장착부(12)에 장착하게 되면, 작업자는 상기 장착블록(20)을 하나씩 상기 블록장착부(12)에 장착하지 않아도 된다. In other words,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counterpart mounting block 20 and the counterpart mounting block 20 ′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s 23 and 23 ′ are oriented toward the block mounting part 12. 20 ') upwards. As such, when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 are mounted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worker mounts the mounting block 20 one by one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No need to install

이때, 상기 장착블록(20)의 가이드채널(22)은 상기 장착공(13)에 형성된 가이드리브에 삽입되어 이동하므로, 장착블록(20) 및 상대 장착블록(20')이 오삽입되지 않고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guide channel 22 of the mounting block 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rib formed in the mounting hole 13 and moves,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are not inserted incorrectly. Can be inserted.

상기 장착블록(20)을 상기 장착공(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장착블 록(20) 및 상대 장착블록(20')에 결합된 체결클립(40)의 걸이후크(45)가 탄성변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이후크(45)는 상기 장착공(13)의 내면과 접하여 상기 장착블록(20) 및 상대 장착블록(20')의 외면 방향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걸이후크(45)와 상기 체결몸체(41)의 외면에 형성된 변형공간(47)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ounting block 20 into the mounting hole 13, the hook hook 45 of the fastening clip 40 coupled to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mating mounting block 20 'is elastic Is deformed. More precisely, the hook hook 45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3 to move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of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mating mounting block 20 '. This can be easily achieved by the deformation space 47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hook 45 and the fastening body 41.

이러한 상태로 상기 장착블록(20) 및 상대 장착블록(20')을 계속하여 밀어넣으면, 상기 걸이후크(45)가 상기 장착공(13)의 걸이턱에 걸어지고 원형으로 복원되어, 상기 걸이후크(45)의 선단이 걸이턱에 걸어진다. (도 2참조)When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are continuously pushed in such a state, the hook hook 45 is hooked to the hook jaw of the mounting hole 13 and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The tip of 45 is hanged on the hanger jaw. (See Fig. 2)

다음으로, 작업자는 릴레이를 상기 장착블록(20) 및 상대 장착블록(20')의 부품장착부(23,23')에 조립한다. 물론, 상기 장착블록(20)은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개수만큼 조립된 상태이므로, 퓨즈박스에 장착블록(20)과 대응되는 개수의 블록장착부 및 블록장착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퓨즈박스의 부피가 감소한다. Next, the worker assembles the relay to the component mounting parts 23 and 23 'of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counterpart mounting block 20'. Of course, since the mounting block 20 is assembled at a desired position by a desired number of workers, the mounting block 20 does not have to form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block mounting portion and the block moun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block 20 in the fuse box. This reduces the volume of the fuse box.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착블록(20)과 상대 장착블록(20)를 서로 연결하여 블록장착부(12)에 조립하기 위해 조인트클립(30)과 체결클립(40) 모두 사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장착블록(20)만 사용되는 경우 한 쌍의 체결클립(40)만을 사용하여 블록장착부(12)에 장착블록(20)을 조립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oth the joint clip 30 and the fastening clip 40 are used to connect the mounting block 20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20 to each other to assemble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For example, when only one mounting block 20 is used, the mounting block 20 may be assembled to the block mounting portion 12 using only a pair of fastening clips 40.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se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bloc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인트클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oint clip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클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stening clip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클립이 장착블록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clip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mounting block.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박스몸체 11: 실장부10: box body 11: mounting portion

12: 블록장착부 20,20': 장착블록12: block mounting part 20, 20 ': mounting block

21,21': 블록몸체 22: 삽입채널21,21 ': Block body 22: Insertion channel

23,23': 부품장착부 24,24': 부품가이드리브 23,23 ': Component mounting part 24,24': Component guide

25,25': 단차턱 26: 결합홈25,25 ': step gap 26: coupling groove

30: 조인트클립 31: 조인트몸체30: joint clip 31: joint body

32a: 제1삽입가이드 32b: 제2삽입가이드32a: first insertion guide 32b: second insertion guide

40: 체결클립 41: 체결몸체40: fastening clip 41: fastening body

43: 체결가이드 45: 걸이후크43: Tightening guide 45: Hook hook

46: 걸림돌기 46': 안내경사면46: Jamming 46 ': Guide Slope

47: 변형공간47: transformation space

Claims (5)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장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블록장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공의 내면에 걸이턱이 형성되는 박스몸체와;A box body having an external appearance and a skeleton and having a block mounting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e mounting hole, and having a hooking jaw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상기 블록장착부의 장착공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양측 외면에는 결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장착블록; 그리고A mounting block selectively mounted to a mounting hole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and coupling grooves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thereof to concave; And 양측 중 일측은 상기 장착블록의 결합홈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걸이턱에 걸어져 고정되는 체결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박스.One side of the both sides protruding toward the coupling groove of the mounting block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other side is formed in the cantilever shape fastening clip is fixed to the hanging jaw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클립은, The fastening clip, 골격을 형성하는 체결몸체와;A fastening body forming a skeleton; 상기 체결몸체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체결가이드; 그리고A fastening guide projecting to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fastening body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상기 체결몸체의 타측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몸체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블록장착부의 걸이턱에 걸어져 고정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박스.A hook hook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body in a cantilever shape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body extends, and an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and engage with the hook jaw of the block mounting portion. Car box that is configured b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장착블록과 상대 장착블록의 사이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가이드가 각각 상기 장착블록의 결합홈과 상대 장착블록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조인트클립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박스.Between the mounting block and the mating mounting block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uide is formed to protrude in a symmetrical shape from each oth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the joint clip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ounting block and the mating mounting block respectively. Car box.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인트클립은,The joint clip, 골격을 형성하는 조인트몸체와;A joint body forming a skeleton; 상기 조인트몸체로부터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하나는 상기 장착블록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상대 장착블록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박스.A pair of insertions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from the joint bod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body, on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ounting block, the oth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ating mounting block. A vehicle box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삽입가이드 및 상기 장착블록의 결합홈 그리고 상기 삽입가이드 및 상기 상대 장착블록의 결합홈은 도브테일구조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박스.The coupling groove of the insertion guide and the mounting block and the coupling groove of the insertion guide and the relative mounting block is coupled to the dovetail structure.
KR1020080020048A 2008-03-04 2008-03-04 Car box Expired - Fee Related KR100948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048A KR100948132B1 (en) 2008-03-04 2008-03-04 Car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048A KR100948132B1 (en) 2008-03-04 2008-03-04 Car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999A KR20090094999A (en) 2009-09-09
KR100948132B1 true KR100948132B1 (en) 2010-03-18

Family

ID=4129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0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8132B1 (en) 2008-03-04 2008-03-04 Car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13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429B1 (en) *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Junction box for vehicle
DE202023106398U1 (en) 2023-05-08 2024-01-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oudspeaker housing and motor vehicle component with loudspeaker housing
DE102023204240A1 (en) 2023-05-08 2024-11-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mounting a loudspeaker housing in a motor vehicle component, loudspeaker housing and motor vehicle component with loudspeaker hou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284Y1 (en) * 1986-11-15 1990-02-20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I.c. socket
JP2005086865A (en) 2003-09-05 2005-03-31 Yazaki Corp Assembly structure of cassette relay block
KR100550296B1 (en) 2004-08-20 2006-02-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Junction box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284Y1 (en) * 1986-11-15 1990-02-20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I.c. socket
JP2005086865A (en) 2003-09-05 2005-03-31 Yazaki Corp Assembly structure of cassette relay block
KR100550296B1 (en) 2004-08-20 2006-02-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Junction box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429B1 (en) *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Junction box for vehicle
DE202023106398U1 (en) 2023-05-08 2024-01-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oudspeaker housing and motor vehicle component with loudspeaker housing
DE102023204240A1 (en) 2023-05-08 2024-11-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mounting a loudspeaker housing in a motor vehicle component, loudspeaker housing and motor vehicle component with loudspeaker housing
DE102023204240B4 (en) 2023-05-08 2025-01-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mounting a loudspeaker housing in a motor vehicle component, loudspeaker housing and motor vehicle component with loudspeaker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999A (en)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537Y1 (en) Bracket Coupling Structure of Box
KR100948132B1 (en) Car box
KR20100011831A (en) Connector having front-holder
KR20130042161A (en) Connector having a spacer
KR20090044365A (en) connector
WO2018070196A1 (en) Connector
KR200445633Y1 (en) Connector spacer
JP5510016B2 (en) Wire harness protector
KR20100012414A (en) Joinning device for connector assembly
KR101512615B1 (en) Box for vehicle
KR20100114366A (en) Connector assembly
KR200448593Y1 (en) connector
KR101683981B1 (en) Female connector of high voltage junction box and assembly methods thereof
KR101009362B1 (en) Connector assembly
KR200444896Y1 (en) connector
KR100922156B1 (en) Car box
KR200465856Y1 (en) Connection structure of wire cover for connector
KR100933542B1 (en) Assembled Fuse Box
KR100944013B1 (en) box
KR20120073696A (en) Connector
KR20100070138A (en) Box for car
KR20090129229A (en) Connector assembly
KR20090044363A (en) Assembly Connector
KR20100118440A (en) Fastening structure of bus-bar
KR100922154B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