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38778B1 - 배관설치용 행거 - Google Patents

배관설치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778B1
KR100938778B1 KR1020090030171A KR20090030171A KR100938778B1 KR 100938778 B1 KR100938778 B1 KR 100938778B1 KR 1020090030171 A KR1020090030171 A KR 1020090030171A KR 20090030171 A KR20090030171 A KR 20090030171A KR 100938778 B1 KR100938778 B1 KR 100938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flange
joining
joining flang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택
오명수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아이
Priority to KR102009003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설치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앵커부재와 결합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에 배관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구되는 이음매를 구비하는 클립부재 그리고, 상기 클립부재의 이음매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음매는 접합면 상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단차부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치용 행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배관을 지지하는 행거부재에 체결부재가 일체로 설치되는 바,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되고, 나아가 상기 체결부재가 단차된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 클립부재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배관 설치의 안전성 또한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설치용 행거{HANGER FOR PIPING}
본 발명은 각종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설치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천정이나 벽에 배관을 설치 및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설치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가스나 전기 등이 건물 내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각종 배관시설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배관시설은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배관설치용 행거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배관설치용 행거는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연결되는 앵커볼트와 체결되면서, 동시에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로, 다수의 부품이 볼트와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각각 낱개 부품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따라서, 배관설치용 행거를 이용하여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부품을 일일이 체결해야 하는 바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측에서 작은 크기의 부품을 개별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품을 떨어뜨리는 경우 작업시간의 지연 및 분실의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설치용 행거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낱개의 부품으로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하여, 작업시간 단축 및 분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앵커부재와 결합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에 배관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구되는 이음매를 구비하는 클립부재 그리고, 상기 클립부재의 이음매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음매는 접합면 상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단차부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치용 행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구를 회동시켜,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이음매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볼트 부재 및 너트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볼트 부재 및 상기 너트 부재 중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 플랜지의 단차부는 상기 접합면과 단차 형성되는 단차면에 의해 상기 접합면으로부터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단차면을 관통하여 상기 단차부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구를 회동시켜 상기 체결부재의 나사 결합이 진행되면, 상기 접합 플랜지의 접합면이 고정 위치에 밀착되면서 상기 이음매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의 길이는 상기 접합면과 상기 단차면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볼트 부재 및 너트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의 이음매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발명의 목적은 앵커부재와 결합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배관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구되는 제1, 제2 접합 플랜지를 구비하는 클립부재, 상기 제1 접합 플랜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체결구 그리고, 상기 제2 접합 플랜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제1 체결구와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체결구는 상기 제2 접합 플랜지의 단차부 내측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는 배관설치용 행거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체결구는 상기 제1 접합 플랜지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는 상기 제2 접합 플랜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배관을 지지하는 클립 부재에 체결부재가 일체로 설치되는 바,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되고, 나아가 상기 체결부재가 단차된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 클립부재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배관 설치의 안전성 또한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설치용 행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설치용 행거의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설치용 행거는 앵커부재와 결합되는 브라켓(100), 배관을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부재(200), 그리고 상기 클립부재(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브라켓(100)은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앵커부재(미도시)와 체결되는 고정부(120) 그리고, 클립부재(200)가 설치되는 플랜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앵커부재와 대응되어 결합 가능한 부재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앵커부재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너트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벽면 등을 따라 노출되어 있는 앵커부재와 고정부(120)를 결합시켜, 배관설치용 행거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0)는 몸체(110)의 상측에 형성된 설치공(미도시)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0)의 하측은 설치공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단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내측에는 별도의 탄성부재(130)를 구비하여, 고정부(120)의 하측이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130)는 배관 설치시 브라켓(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앵커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부(1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0)와 앵커부재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 범위 내에서 고정부(120)의 위치 및 방향이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바, 용이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내측에 탄성부재(130)로서 용수철을 구비하고, 용수철(130)의 상부가 고정부(120)의 하측과 결합하면서 고정부(1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몸체(110)의 내측에는 용수철(130)의 하부가 고정될 수 있는 슬릿(111)을 구비하여, 상기 용수철(130)이 몸체 외부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클립부재(200)는 브라켓(100)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배관이 설치되어 배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부재(200)는 선택적으로 개구될 수 있는 이음매(202)가 형성되어, 상기 이음매(202)를 통해 상기 배관을 내측으로 삽입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음매(202)의 연결부가 소정 간격 이격되면, 이음매(202)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이음매(202)를 다시 연결 고정하여 배관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립부재(200)는 별개의 제1, 제2 클립(210, 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클립은 반원의 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클립은 일측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힌지 부(201)를 구성하며, 상기 힌지부(201)를 축으로 각 클립이 힌지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힌지부(2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삽입부(221) 및 걸림부(211)로 구성되는 암수형상의 체결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 클립(210, 220)이 용이하게 체결 및 탈거가 가능하며,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부(201)를 중심으로 힌지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부재(200)가 분리된 두 개의 클립을 이용하여 구성되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하나의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내부에 힌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힌지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클립부재(200)는 선택적으로 개구되는 이음매(20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이음매(202)가 선택적으로 개구되며 배관이 삽입되고, 상기 배관이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이음매(202)가 연결되어 클립부재(200)가 배관의 외면을 둘러싸면서 배관을 지지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200)의 이음매(202)는 상기 제1, 제2 클립(210, 220)의 단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제2 클립(210, 220)의 일측 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부(201)를 구성하고, 힌지부(201)를 구성하지 않는 타측 단부가 클립부재(200)의 이음매(202)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제2 클립(210, 220)은 이음매(202)를 구성하는 부분은 각각이 제1, 제2 접합 플랜지(212, 222)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합 플랜지는 각 클립의 단부에서 소정 각도 절곡되는 면으로 구성되며, 이음 매 연결시 각 접합 플랜지(212, 222)의 접합면이 각각 면(面) 접합 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300)는 클립부재(200)의 이음매(202)를 연결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클립(210)의 제1 접합 플랜지(212)와 제2 클립(220)의 제2 접합 플랜지(222)가 브라켓(100)의 플랜지(140)의 양측에 접하도록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부재(300)에 의해 클립부재(200)의 이음매(202)가 연결됨과 동시에, 클립부재(200)가 브라켓(10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클립부재와 브라켓의 연결 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클립부재가 이음매 이외의 별도의 위치에서 브라켓과 연결되어 제1, 제2 플랜지가 직접 접하면서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이외에도 클립부재의 이음매 일측이 브라켓의 플랜지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클립부재의 이음매가 개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클립부재의 이음매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체결부재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체결부재(300)는 나사 결합에 의해 이음매(202)를 연결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즉, 표면에 나선 형상의 홈을 구비하는 볼트 부재 및 너트 부재로 구성되어, 하나의 부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부재를 회동시켜 나사 결합 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볼트 부재 및 너트 부재는 클립부재(200) 또는 브라켓(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매번 체결이 이루어질 때마다 볼트 부재, 너트 부재를 반복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없고, 작업 중 체결부재(300)가 낙하하여 작업이 지연될 우려가 없으며, 체결부재(300)의 초기 결합위치가 기 설정되는 바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체결부재(300)는 제1 클립(210)의 제1 접합 플랜지(212)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체결구(310) 및 제2 클립(220)의 제2 접합 플랜지(222)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체결구(3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체결구(310)는 볼트 부재로 구성되며, 제2 체결구(320)는 너트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합 플랜지(212)의 제1 체결구(310)가 브라켓(100)의 플랜지(140)에 형성된 통공(141)을 관통한 후, 제2 접합 플랜지(222)의 제2 체결구(320)와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볼트 부재 및 너트 부재의 위치를 바꾸어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때, 제1, 제2 체결구(310, 32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는 클립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도, 자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나사 결합은 볼트 부재 및 너트 부재가 각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7 나선 홈을 따라 상대적으로 회동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구(310)는 제1 접합 플랜지(212)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제2 체결구(320)는 제2 접합 플랜지(222) 상 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2 접합 플랜지(222) 상에서 자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구(310)와 제2 체결구(320)의 결합시, 제1 체결구(310)가 제2 체결구(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체결구(320)를 회동시키면서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2 체결구(310, 320)는 각각 헤드와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체결구의 헤드(310a)는 제1 접합 플랜지(212)에 고정 설치되며, 몸체(310b)는 외면에 나선 홈이 형성되어 브라켓(100)의 통공(141)을 관통한 후 제2 체결구(320)와 결합한다. 제2 체결구(320)의 헤드(320a)는 제2 접합 플랜지(222)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몸체(320b)는 제2 접합 플랜지의 통공(223)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2 체결구의 몸체(320b)는 단부가 상기 통공(223)보다 큰 단면을 갖도록 잘록하게 형성되어 제2 접합 플랜지(222)의 통공(223) 내측에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면서 탈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몸체(320b)는 내측으로 제1 체결구의 몸체(310b)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내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체결구의 몸체(310b)가 제2 체결구의 몸체(320b) 내측으로 삽입되면, 제2 체결구의 헤드(320a)를 이용하여 제2 체결구를 회동시켜 제1, 제2 체결부의 각 몸체(310b, 320b)간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의 신속성을 위해서 제1, 제2 체결구(310, 320)는 각각의 접합 플랜지(212, 222)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나사 결합시 회동이 이루어지는 제2 체결구(320)의 경우 제2 접합 플랜지(222)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헤드(320a)와 몸체(320b) 단부 사이는 제 2 접합 플랜지의 통공(223)을 따라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 잘록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체결부재(300)의 체결시 제2 체결구의 몸체(320b) 단부가 브라켓(100)의 플랜지(141)에 밀착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가정하는 경우, 상기 제2 접합 플랜지(222)는 상기 제2 체결구 몸체(320b)의 잘록한 형상의 범위 내에서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동하게 된다. 즉, 클립부재(200)에 배관을 삽입한 후 이음매(202)를 연결하더라도 제2 클립부재(200)가 유동하면서 배관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접합 플랜지(222)의 면(面) 결합이 이루어지는 접합면(222a) 상에 단차부(222c)가 형성되고, 제2 체결구(320)는 상기 단차부(222c)의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합 플랜지(222)는 브라켓(100)의 플랜지(140)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접합면(222a)과 상기 접합면(222a)과 단차 형성되는 단차면(222b)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면(222a)과 단차면(222b)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 접합면(222a)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공간, 즉 단차부(222c)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접합 플랜지(222)의 통공(223)은 상기 단차면(222b) 상에 형성되고, 제2 체결구의 몸체(320b)는 상기 통공(223)을 관통하여 단차부(222c)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아가 제2 체결구의 몸체(320b)의 길이는 접합면(222a)과 단차면(222b)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구의 헤드(320a)를 회동시키면 각 체결구의 몸체(310b, 320b) 사이에서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체결이 진행될 수록 제2 체결구의 헤드(320a)가 제2 플랜지의 단차면(222b)을 가압하면서 제2 접합 플랜지(222)를 브라켓(100)의 플랜지(14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 접합 플랜지의 접합면(222a)이 상기 플랜지(140)에 밀착된 상태까지 제2 체결구의 헤드(320a)가 회동하면서 체결부재(30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체결구는 상호간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이 되고, 제2 접합 플랜지(222)는 제2 체결구의 헤드(320a)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이 된다. 따라서, 체결부재(300)가 상기 클립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도 클립부재(200)가 내측에 설치되는 배관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바, 배관 설치시 작업성과 안전성이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할 수 있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설치용 행거의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클립부재의 이음매가 개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클립부재의 이음매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9)

  1. 앵커부재와 결합하는 브라켓(100);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배관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구되는 제1, 제2 접합플랜지(212)(222)를 구비하는 클립부재(200); 상기 제1 접합플랜지(212)에 설치되는 제1체결구(310); 그리고 상기 제2 접합플랜지(22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제1 체결구(310)와 나사 결합되어지는 제2 체결구(3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체결구(320)는 상기 제2 접합플랜지(222)의 내측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배관설치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구(310)는 상기 제1 접합플랜지(212)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320)는 상기 제2 접합플랜지(22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부재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2 접합플랜지(222)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단차부(222c)를 형성하여 접합면(222a)에 대해 단차 형성되는 단차면(222b)에 의해 상기 접합면(222a)으로 부터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제2 체결구(320)가 상기 단차면(222b)을 관통하여 상기 단차부(222c)의 내측공간에서 회동하도록 하고, 체결부재의 상호 체결시 제2 체결구(320)의 헤드(320a)가 제2 접합플랜지(222)의 단차면(222b)을 가압하면서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치용 행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30171A 2009-04-08 2009-04-08 배관설치용 행거 KR10093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71A KR100938778B1 (ko) 2009-04-08 2009-04-08 배관설치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71A KR100938778B1 (ko) 2009-04-08 2009-04-08 배관설치용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778B1 true KR100938778B1 (ko) 2010-01-27

Family

ID=4181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171A KR100938778B1 (ko) 2009-04-08 2009-04-08 배관설치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7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494B1 (ko) * 2016-05-09 2017-12-05 주식회사 덕신엔지니어링 방진수단이 구비된 배관용 행거
CN114673854A (zh) * 2022-03-24 2022-06-28 惠州市喜屋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bim的抗震吊架及其钢结构建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555Y1 (ko) * 1999-08-21 2000-02-15 이상용 볼트 및 너트가 용접 고정된 파이프 서포트
JP2000081168A (ja) * 1998-07-06 2000-03-21 Shigero Sasamoto パイプ取付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168A (ja) * 1998-07-06 2000-03-21 Shigero Sasamoto パイプ取付け具
KR200169555Y1 (ko) * 1999-08-21 2000-02-15 이상용 볼트 및 너트가 용접 고정된 파이프 서포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494B1 (ko) * 2016-05-09 2017-12-05 주식회사 덕신엔지니어링 방진수단이 구비된 배관용 행거
CN114673854A (zh) * 2022-03-24 2022-06-28 惠州市喜屋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bim的抗震吊架及其钢结构建筑
CN114673854B (zh) * 2022-03-24 2023-08-15 河南省氟基建设工程有限公司 基于bim的抗震吊架及其钢结构建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3050B2 (en) Bracket for fixing reducer in fire sprinkler
JP5119246B2 (ja) パイプ固定装置
US7290805B2 (en) Pipe clip
US9731156B2 (en) Fixing bracket of sprinkler
JP5857105B2 (ja) 振れ止め用金具の固定部構造
JP2010529392A (ja) クランプおよび耐震遥動補強
KR100938778B1 (ko) 배관설치용 행거
KR20180003123U (ko) 연결 부분의 풀림 방지를 위한 잠금 기기
JP5643595B2 (ja) 振れ止め用金具
KR100889578B1 (ko) 배관설치구
JP6410114B2 (ja) 天井用照明装置の設置構造
JP2020512516A (ja) 管継手
KR101282647B1 (ko) 집게형 고정 클램프
JP5576235B2 (ja) 壁つなぎ取付金具
KR200446638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2017057704A (ja) ブレース連結金具
JP2011196391A (ja) 配設体支持具
KR20080091554A (ko)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JP5222887B2 (ja) 屋根上取付具
JP4417140B2 (ja) パイプハンガー
KR101186501B1 (ko) 배관 고정장치
JP4021470B1 (ja) パイプ取付具
KR102277788B1 (ko) 배관 지지대
KR200241485Y1 (ko) 가스기구의관접속장치
KR20060132153A (ko) 수도전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