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37060B1 - 쌍방향 통신 방법과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쌍방향 통신 방법과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060B1
KR100937060B1 KR1020077000861A KR20077000861A KR100937060B1 KR 100937060 B1 KR100937060 B1 KR 100937060B1 KR 1020077000861 A KR1020077000861 A KR 1020077000861A KR 20077000861 A KR20077000861 A KR 20077000861A KR 100937060 B1 KR100937060 B1 KR 100937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ncoded data
delete delete
unit
interlea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617A (ko
Inventor
히로아끼 데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06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sourc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전송로(102)를 경유해서 통신하는 쌍방향 통신 장치(101, 103)는, 부호화부와 복호부를 구비하고, 인터리버와 디인터리버, 또는, 오류 정정 부호화부와 복호부 중 적어도 한쪽의 조합을 구비하고, 인터리브 처리 단위, 인터리브의 순서, 또는,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오류 정정 부호 생성 단위, 부호화 레이트, 프레임 레이트, 표본화 주파수를, 송수신에서, 비대칭으로 설정할 수 있고, 각각, 전송로(102)의 상태, 이용자의 지연 요구, 품질 요구에 따른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쌍방향 통신 장치, 부호화 데이터, 인터리브 처리, 표본화 주파수,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부호화 수단, 설정 정보, 복호 데이터

Description

쌍방향 통신 방법과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TWO-WAY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본 발명은, 쌍방향 통신 방법과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경유한 화상이나 음성 등의 쌍방향 통신에 있어서,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손실에 의해 발생하는, 미디어의 품질의 열화의 억제, 안정된 품질의 통신의 실현에 적합한 쌍방향 통신 방법과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로의 상태, 이용자의 지연/품질의 요구에 맞춰, 쌍방향의 각각의 품질 유지와 지연 증가의 트레이드 오프에 의한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패킷으로 화상이나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를 통신하는, 소위 VoIP(Voice over IP)이나 TVoIP(TV over IP)라고 불리는 쌍방향 통신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쌍방향 통신에 이용되는 부호화 방식에는 몇 개의 종류가 있다. 예를 들면 동화상의 부호화 방식으로서, 프레임간 예측에 기초한 고능률 압축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방식에서는, 시간적으로 전후의 프레임으로부터 부호화 화상을 예측해서 얻어 진 예측 파라미터와 예측 잔차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함으로써, 시간 방향의 상관이 높은 동화상 데이터의 정보량을 삭감한다. 또한, 예측 잔차 화상 데이터를 변환 부호화나 양자화에 의해 고능률로 압축 부호화함으로써, 적은 전송 대역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대표예로서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MPEG-2, MPEG-4등의 압축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압축 부호화 방식에서는, 입력 화상 프레임을 매크로 블록이라고 불리는 일정 사이즈의 사각형 영역 단위로 움직임 보상에 의한 프레임간 예측이 행해진다. 얻어진 움직임 벡터와, 예측 잔차 화상 데이터에 2차원 이산 코사인 변환 및 양자화를 실시해서 압축한 신호 데이터가 가변 길이 부호화된다.
또한, 음성에 관해서도, G.722나, G.729, AMR-N8(Adaptive Multi Rate-Narrow Band), AMR-WB(Adaptive Multi Rate-Wide Band)나, MPEG-4_AAC(Advanced Audio Codec) 등의 음성(음악) 부호화 방식이 있다. 각각 소정의 샘플량에 대해서, 높은 효율의 부호화를 행하여, 적은 전송 대역에서 음성 품질이 높은 음성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화상이나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교환 방식을 이용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로 배신하는 방법은 다수 있다.
또한 금후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이나 휴대 전화, 또는 이것들을 통신 수단으로서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동국이, 무선기지국과 무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쌍방향 통신 시스템으로 전개해 가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후술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에 대해서는 기술 문헌 1(M. Handley, H. Schulzrinne, E. Schooler, J. Rosenberg,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RFC2543, March 1999, 인터넷 URL<http://www.ietf.org/rfc/rfc2543.txt>) 및 기술 문헌 2(M. Handley, V. Jacobson,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RFC2327, April 1998, 인터넷 URL<http://www.ietf.org/rfc/rfc2327.txt>)이 참조된다. 또한, 후술되는 RTP에 대해서는, 기술 문헌 3(H. Schulzrinne, S. Casner, R. Frederick, V. Jacobson, "RTP:A Transport Protocol for Real-Time Applications", RFC3550, January 2003, 인터넷 URL<http://www.ietf.org/rfc/rfc3550.txt>)이 참조된다.
종래의 쌍방향 통신에 있어서는, 전송로에서의 데이터의 오류나, 전송 패킷의 결락이 발생하면,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어, 미디어의 품질 열화가 발생해버린다.
또한, 쌍방향 통신이기 때문에, 지연을 일정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어, 잃어버려진 데이터의 재송을 요구하여, 재송 데이터하는 것도 곤란하다.
또한, 화상이나 음성의 부호화 방식에, 프레임간 예측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한번 발생한 화상이나 음성의 혼란이, 후속 프레임에도 전파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서, 전송로에 송신하기 전에, 인터리브 처리를 행하고, 무선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버스트적인 손실을, 인터리브 처리 단위 내에서 흩뜨려서, 연속된 데이터 손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나, FEC(Forwards Error Correction)등의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하여, 오류 혹은 손실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것을 그대로 적용하면, 지연의 증가로 연결되어, 쌍방향 통신으로서의 사용이 어렵게 되어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사정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각각의 이용자가 요구하는, 미디어의 품질, 지연, 대역, 지연에의 요구의 트레이드 오프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될 수 있는 한 안정된 품질로 쌍방향 통신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승 링크와 하강 링크가 비대칭의 전송로에서도, 품질과 지연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의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송로의 변동하는 데이터 오류, 혹은 손실 상태에 맞춰, 품질의 안정성과, 처리 지연의 증가를 억제한 쌍방향 통신의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제1 양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미디어의 신호를 캡쳐하는 수단과, 캡쳐한 미디어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수단과, 인터리브 처리 수단과, 전송로에의 송신 수단과, 전송로로부터의 수신 수단과, 디 인터리브 처리 수단과,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수단과, 복호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부호화 수단에 의한 부호화 설정, 인터리브 처리 설정, 송신 수단에 의한 송 신 설정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부호화 설정, 상기 인터리브 처리 설정, 상기 송신 설정,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캡쳐한 미디어의 신호를 부호화해서 송신하고,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호하여, 재생한다.
제2 양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미디어의 신호를 캡쳐하는 수단과, 캡쳐한 미디어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수단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과, 전송로에의 송신 수단과, 전송로로부터의 수신 수단과,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에 오류 혹은 결락이 있는 경우,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해서 해당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단과,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수단과, 복호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부호화 수단에 의한 부호화 설정,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 처리 설정, 송신 수단에 의한 송신 설정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부호화 설정, 상기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 처리 설정, 상기 송신 설정,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캡쳐한 미디어의 신호를 부호화해서 송신하고,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호하여, 재생한다.
제3 양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전송로를 통하여 통신하는 적어도 2개의 통신 장치를 구비한 쌍방향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이, 입력된 미디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과,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단위로 인터리브 처리하는 인터리브 수단과, 인터리브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전송로에 출력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통신 장치 중 적 어도 다른 쪽이, 상기 전송로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되어, 인터리브 처리된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으로 원래대로 재배열하는 디 인터리브 수단과,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해서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4 양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입력된 미디어를 부호화하는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단위로 인터리브하는 스텝과, 인터리브된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으로 디 인터리브하는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해서 재생하는 스텝을 가진다.
제5 양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쌍방향 통신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프로세서)에, 입력된 미디어를 부호화하는 처리와,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단위로 인터리브하는 처리와, 인터리브된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리와,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으로 디 인터리브하는 처리와,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해서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와 수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에서,
A) 인터리브 처리의 유무,
B)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
C) 인터리브의 순서,
D) 비트 레이트,
E) 프레임 레이트,
F) 표본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전송로 대역,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손실 패턴, 또는,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이용자로부터의 요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부호화 데이터의
A) 인터리브 처리의 유무,
B)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
C) 인터리브의 순서,
D) 프레임 레이트,
E) 표본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호 접속 처리에 의해,
A) 인터리브 처리의 유무,
B)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
C) 인터리브의 순서,
D) 비트 레이트,
E) 프레임 레이트,
F) 표본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정보를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호 접속 처리에 의해, 통신 상대로부터
A) 인터리브 처리의 유무,
B)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
C) 인터리브의 순서,
D) 비트 레이트,
E) 프레임 레이트,
F) 표본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정보를 얻어,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의 손실률, 버스트 길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의 도착 상황을 통신 상대에게 송신하고,
통신 상대로부터 상기 도착 상황을 수신하면, 그 도착 상황에 따라서,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A) 인터리브 처리의 유무,
B)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
C) 인터리브의 순서,
D) 비트 레이트,
E) 프레임 레이트,
F) 표본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호화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거나, 혹은 순서를 알 수 있는 포맷에 따라,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단위로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 및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 및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에 손실이 있는 경우,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부호화 데이터 및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손실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원하는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스텝을 가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기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와 수신하는 상기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에서,
A)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B)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송신의 유무,
C)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D)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의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전송로 대역, 또는,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손실 패턴, 또는,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이용자로부터의 요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A)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B)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송신의 유무,
C)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D)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의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호 접속 처리에 의해,
A)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B)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송신의 유무,
C)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D)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의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정보를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호 접속 처리에 의해, 통신 상대의
A)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B)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송신의 유무,
C)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D)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의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정보를 얻어, 손실이 있는 경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원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손실률, 버스트 길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의 도착 상황을 통신 상대에게 송신하고, 상기 도착 상황을 수신하면, 그 도착 상황에 따라서 송신하는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A)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B)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송신의 유무,
C)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D)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의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호화 데이터와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의 대응 관계를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고,
부호화 데이터 및,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자를 부여해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쌍방향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쌍방향 통신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쌍방향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쌍방향 통신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쌍방향 통신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미디어의 신호를 캡쳐하는 수단(203)과, 캡쳐한 미디어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204)과, 인터리브 처리 수단(206)과, 전송로에의 송신 수단(207)과, 전송로로부터의 수신 수단(208)과, 디 인터리브 처리 수단(209)과,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211)과, 복호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수단(212)을 갖고, 또한 부호화 수단(204)에서의 부호화 설정, 인터리브 처리 수단(206)에서의 인터리브 처리 설정, 송신 수단(207)에서의 송신 설정을 행하는 수단(202)과, 상기 부호화 설정, 상기 인터리브 처리 설정, 상기 송신 설정,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수단(202)을 갖고,캡쳐한 미디어의 신호를 부호화해서 송신하고,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호하여, 재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스템은, 쌍방향 통신 장치와 전송로를 구비하고, 호 접속 서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쌍방향 통 신 장치(101), 쌍방향 통신 장치(103), 호 접속 서버 장치(104)는, IP(Internet Protocol)망인 전송로(102)에 접속되어 있다. 쌍방향 통신 장치(101, 103)는, 패킷 교환에 의해 부호화 데이터 및, 호 접속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이며, 호 접속 서버 장치(104)는, 예를 들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에 의한 호 접속 데이터를 처리해서 쌍방향 통신 장치(101)와 쌍방향 통신 장치(103) 간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말기인 것으로 한다(SIP/SDP에 대해서는, 비특허 문헌 1, 2를 참조). 또한, 쌍방향 통신 장치(101)와 쌍방향 통신 장치(103)가, 상호 상대 장치의 IP 어드레스나,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 포트 번호, 송수신하는 미디어의 부호화 방식이나 부호화 옵션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 호 접속 서버 장치(104)는 불필요해진다.
도 2는, 도 1의 쌍방향 통신 장치(101, 10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쌍방향 통신 장치(101, 103)는 동일 구성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쌍방향 통신 장치(참조 부호 201)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쌍방향 통신 장치(201)는,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 미디어 신호 캡쳐부(203), 미디어 부호화부(204), 패킷화 처리부(205), 인터리버(206), 송신부(207), 수신부(208), 디인터리버(209), 페이로드 추출부(210), 미디어 복호부(211), 재생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카메라나, 마이크로폰 등으로부터의 화상이나 음성 신호는, 미디어 신호 캡쳐부(203)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되어, 캡쳐된다. 해당 변환은,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에 의해 설정되고,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 신 장치에 통지된, 혹은,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
·표본화 주파수,
·양자화 비트수
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캡쳐된 미디어 데이터는, 미디어 부호화부(204)에서,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에서 설정되고,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에 통지된, 혹은,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
·비트 레이트,
·예를 들면 MPEG-4 부호화 방식에서의 데이터 파티셔닝이나 재동기 마커의 유무, RVLC(Reversibie Variabie Length Code)와 같은 부호화 옵션 등
의 부호화 설정에 기초하여, 부호화된다.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는,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에서 설정된, 혹은 미리 정해진 미디어 데이터 단위, 페이로드 포맷에 따라, 부호화 데이터의 순서를 알 수 있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고, 패킷화 처리부(205)에서 패킷화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에 기초한 패킷화를 채용하면, RTP 헤더에 포함되는 시퀀스 번호로 부호화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RTP에 대해서는, 비특허 문헌 3을 참조).
패킷화된 부호화 데이터는,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로부터 통지된, 혹 은, 미리 정해진, 수신처 어드레스, 포트를 향해서 송신부(207)로부터, 전송로(214)로 출력한다.
쌍방향 통신 장치(201)는,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에서 결정된, 혹은, 미리 정해진, 포트에 의해, 수신부(208)에서 전송로(214)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디인터리버(209)는, 패킷에 부여된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인터리브 처리된 패킷을 재배열한다.
디인터리버(209)에서 재배열된 패킷은,
페이로드 추출부(210)에서 부호화 데이터가 추출되어,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에서 얻어지는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로부터 통지된, 혹은, 미리 정해진,
·미디어 부호화 방식,
·부호화 옵션
에 기초하여, 미디어 복호부(211)에서 복호된다.
또한, 상기 패킷은,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에서 얻어지는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로부터 통지된, 혹은, 미리 정해진,
·프레임 레이트,
·표본화 주파수,
·양자화 비트수
에 기초해서 재생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의 인터리버(206), 디인터리버(209)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2의 인터리버(206), 디인터리버(209)에서의 처리의 내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화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입력 스트림(301)은, 인터리버(302)에 의해, 예를 들면, 송신 스트림(303)과 같이, 인터리브된다. 이 경우의 인터리브 처리 단위는 「9」로 되고, 9개의 부호화 데이터 단위마다, 인터리브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그만큼의 처리 지연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나타내는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나, 인터리브의 순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처리 단위나 순서가 이들 설정값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송신 스트림(303)은, 전송로(304)를 경유해서 통신 상대에게 송신된다.
전송로(304)에 있어서, 송신 스트림에 대해서, 버스트적인 데이터 오류, 혹은 손실이 발생한 경우, 통신 상대에 대해서, 수신 스트림(305)과 같은 스트림이 수신된다. 여기에서, 수신 스트림(305)을 구성하는 부호화 데이터(7, 2, 5)는, 전송로에서 데이터 오류, 혹은 손실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인터리버(306)는, 부호 데이터를, 본래의 순서로 재배열하여, 디 인터리브 후 스트림(307)을 얻는다. 이 결과, 버스트적인 데이터 오류/손실이 분산되어, 연속적인 데이터의 오류/손실에 비해서, 미디어의 품질의 열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유효하고, 연속적인 데이터 오류/손실에 의한 장시간의 음질의 열화를, 산재시킴으로써, 청각적으로 지각시키기 어렵게 한다.
여기에서, 인터리브 처리 단위를,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오류, 혹은, 손실의 버스트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즉 인터리브 처리 단위를 크게 함으로써,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오류, 혹은, 손실의 버스트 길이에 대응할 수 있는 폭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반해서, 인터리브 처리 단위를 크게 하면, 처리 지연은 증대한다. 그 때문에, 어느 한 쌍의 쌍방향 통신 장치로, 재생되는 미디어에 요구되는 품질이, 서로 상이한 경우, 각각 통신 상대가 요구하는 품질에 맞춘 인터리브 처리 사이즈를 설정함으로써, 지연을 삭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쌍방향 통신 장치(101)에서 재생되는 미디어의 품질에의 요구가 높고, 쌍방향 통신 장치(103)에서 재생되는 미디어의 품질에의 요구가 낮은 경우, 쌍방향 통신 장치(101)에서는, 인터리브 처리 단위를 작게하거나, 혹은, 인터리브 처리를 행하지 않고, 쌍방향 통신 장치(103)에서는, 전송로(102)에서의 데이터 오류/손실의 버스트 길이에 대응할 수 있는 인터리브 처리 단위를 설정함으로써, 서로의 미디어 재생 품질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왕복의 지연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터리브 처리 단위는, 전송로에 의해 설정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상승 링크와 하강 링크에서 상이한 전송로를 이용하는 경우나,
·상승 링크와 하강 링크가, 서로 다른 데이터 오류/손실 특성을 갖는 경우에는,
인터리브 처리 단위를 비대칭으로 함으로써, 품질을 안정시키면서, 지연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지연을 삭감하기 위해서, 미디어 신호 캡쳐부(203)에서, 화상을 캡쳐하는 프레임 레이트나 음성을 캡쳐하는 표본화 주파수를 높게 할 수도 있다.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높게 한 경우, 비트 레이트에 변화가 없으면,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로 재생되는 1프레임당의 화질은 낮아지지만, 지연은, 삭감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음성을, AAC로 부호화하는 경우, 음성의 표본화 주파수를 높게 하면, 단위 시간당의 부호화 데이터 단위수는 증가하기 때문에, 오버 헤드가 증가하고, 역시, 비트 레이트에 변화가 없으면, 미디어에 할당하는 비트 레이트는 저하하고,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로 재생되는 음질은 저하하지만, 지연은 삭감된다.
그 때문에, 인터리브 처리 단위와 마찬가지로,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나,
·음성의 표본화 주파수
는, 통신 상대가 요구하는 품질의 요구에 맞춰서 설정하고,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에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에 의해 통지함으로써, 품질과 지연의 요구의 트레이드 오프에 의한 설정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08)에서 수신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데이터 오류/손실률,
·오류/손실 버스트 길이 등
의 통계 정보를, 수신 상황 송수신부(213)에서, 예를 들면 RTCP(RTP Control Protocol)의 SR(Sender Report)이나, RR(Receiver Report)에 의해,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통신 중에 인터리브 처리 단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RTCP에 대해서는, 비특허 문헌 3을 참조).
여기에서, 인터리브 처리 단위의 변경은, 송신측에서는 인터리브 단위의 단락에서 용이하게 변경을 할 수 있고, 수신측에서는, 사이즈의 확대에 대해서는, 인터리브의 버퍼를 확대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측에서의 사이즈의 축소는, 재생음의 중도 끊김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억제해서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디인터리버(209)에서의 버퍼의 최후미가 비어있으면, 이 부분부터 삭감하고, 버퍼에 수신 데이터가 가득 차 있는 경우, 무음 또는, 값이 작은 무음에 가까운 레벨의 수신 데이터부터 삭감함으로써, 음의 중도 끊김을 작게 억제한 버퍼 사이즈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데이터 오류/손실 패턴이 변동하는 전송로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미디어의 품질 안정화와, 지연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송로(214)에서는, 데이터 오류는 발생해도, 데이터 손실은 발생하지 않고, 또한 패킷 데이터의 순서의 교체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인터리버(206)에서의 인터리브 순서를,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로부터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에 통지하거나, 혹은, 미리 정해 두면, 패킷화 처리부(205)에서의 시퀀스 번호의 부여는 불필요해진다.
또한,AMR과 같이, 부호화 방식에 따라서는, 페이로드 포맷 처리의 구조에, 인터리브/디 인터리브 처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 인터리버(206)와 디인터리버(209)는 불필요해진다. 이 경우, SDP의 a=fmtp 속성에,
"interleaving="
으로, 인터리브 처리 단위를 기술하고,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면 된다.
또한, 쌍방향 통신 장치(201)에 있어서의,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와, 미디어 신호 캡쳐부(203)와, 미디어 부호화부(204)와, 패킷화 처리부(205)와, 인터리버(206)와, 송신부(207)와, 수신부(208)와, 디인터리버(209)와, 페이로드 추출부(210)와, 미디어 복호부(211)와, 재생부(212)에 대해서, 쌍방향 통신 장치(201)를 구성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각각의 기능, 처리를 실현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미디어의 신호를 캡쳐하는 수단(203)과, 캡쳐한 미디어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수단(204)과,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403)과, 전송로에의 송신 수단(207)과, 전송로로부터의 수신 수단(208)과,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에 오류 혹은 결락이 있는 경우,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해서 해당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단(404)과,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수단(211)과, 복호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수단(212)을 구비하고, 또한, 부호화 수단(204)에서의 부호화 설정,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 처리 설정, 송신 수단(207)에서의 송신 설정을 설정하는 수단(402)과, 상기 부호화 설정, 상기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 처리 설정, 상기 송신 설정,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수단(402)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캡쳐한 미디어의 신호는 부호화되어 송신된다. 수신된 해당 부호화 데이터는 복호화되어, 재생된다.
이하,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개소만,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쌍방향 통신 장치(도 1의 101, 10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통신 장치(401)는, 도 2에 나타낸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통신 장치(201)의 인터리버(206) 및 디인터리버(209) 대신에, 각각 오류 정정 부호화부(403)와 오류 정정 복호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주로 도 2의 상기 제1 실시예와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동일 부분의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오류 정정 부호화부(403)는, 설정·호 접속 처리부(402)에서 설정되어,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에 통지된, 혹은 미리 정해진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 단위에 기초하여, 패킷화된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생성하고,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송신부(207)로부터 전송로(214)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에는, 예를 들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방식이나 리드 솔로몬 부호 등과 같은 FEC(Forward Error Correction)라고 불리는 부호가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류 정정 부호에 대해서는,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 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류 정정 부호화부(403), 오류 정정 복호부(404)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서의 오류 정정 부호화부(403), 오류 정정 복호부(404)에서의 처리의 내용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의 예로서, LDPC 방식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이 LDPC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화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입력 스트림(501)으로부터, 오류 정정 부호화부(502)에서, 오류 정정 부호를 생성함으로써, 전송로(504)에 송신하는 스트림은, 송신 스트림(503)과 같이 된다. 여기에서, 오류 정정 부호를 생성하는 단위는 「6」이며, 6개의 부호화 데이터 단위마다 오류 정정 부호화가 행해지기 때문에, 그만큼의 처리 지연이 발생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6개의 부호화 데이터 단위로 3개의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단위를 생성하고 있지만, 오류 정정 부호 생성 단위마다의 오류 정정 데이터의 개수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러한 개수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송신 스트림(503)은, 전송로(504)를 경유해서 통신 상대에게 송신된다.
전송로(504)가, 예를 들면 무선 전송로에서, 송신 스트림에 대해서 데이터 오류, 혹은 손실이 발생한 경우, 통신 상대에서는 수신 스트림(505)과 같은 스트림이 수신된다. 여기에서, 수신 스트림(505)을 구성하는 부호화 데이터(3, 4, 5)는, 전송로에서 데이터 오류, 혹은 손실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오류 정정 복호부(506)는, 정확하게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 및,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오류/손실이 발생한 부호화 데이터(3, 4, 5)를 복원한다. 이 결과, 전송로에서의 오류/손실의 영향은 없어져서, 본래의 미디어의 품질로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수신 스트림(505)에서, 미디어의 부호화 데이터와,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에 기초한 패킷화를 채용하면, RTP 헤더에 포함되는 페이로드 타입, 혹은 SSRC(Synchronization Source identifier), 또는 CSRC(Contributing Source identifier)를 식별자로서 이용하여, 미디어의 부호화 데이터와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에 상이한 값을 설정하고, 데이터의 종별과 값의 조합을 통신 상대에게 통지함으로써, 오류 정정 복호부(506)에서, 미디어의 부호화 데이터와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쌍방향 통신 장치(601)는, 미디어의 부호화 데이터와,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각각 미디어 부호 송신부(604), 오류 정정 부호 송신부(605)로부터 각각의 세션, 혹은 각각의 전송로에서 송신한다. 상기 양 부호화 데이터를 각각 미디어 부호 수신부(606), 오류 정정 부호 수신부(607)로부터 수신하고, 오류 정정 복호부(608)에서, 오류 혹은, 손실의 영향을 받은 미디어 부호화 데이터를 복원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미디어 부호화 데이터와,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없어도, 송수신하는 세션 혹은, 전송로로부터, 데이터의 종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에 따라서는, 미디어의 부호화 데이터를 보내지 않고,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만 송신하면 된다고 하는 부호화 방식도 있다. 이러한 부호화 방식의 경우에는, 미디어 부호 송신부(604)와 미디어 부호 수신부(606)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미디어 부호화 데이터는 불필요해진다.
여기에서, LDPC 방식에 의해,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사 행렬은,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오류, 혹은 손실의 패턴에 맞춰서 준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검사 행렬에 의해, 미디어의 부호화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량,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위가 결정된다.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생성에는,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 단위분의 처리 지연이 필요하다. 생성 단위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적은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데이터량으로, 데이터 오류/손실로부터의 복원율을 높게 할 수 있지만, 한편 지연은 증대한다. 그 때문에, 어느 한 쌍의 쌍방향 통신 장치에서 재생되는 미디어에 요구되는 품질이, 서로 상이한 경우, 각각 통신 상대가 요구하는 품질에 맞춘 검사 행렬을 설정함으로써, 지연을 삭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쌍방향 통신 장치(101)에서 재생되는 미디어의 품질에의 요구는 높고, 쌍방향 통신 장치(103)에서 재생되는 미디어의 품질에의 요구가 낮은 경우, 쌍방향 통신 장치(101)에서는, 오류 정정 부호 생성 단위가 작아지는 검사 행렬을 설정하거나, 혹은,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쌍방향 통신 장치(103)에서는, 전송로(102)에서의 데이터 오류/손실의 패턴에 맞춰, 적절한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 생성량과 생성 단위로 되는 검사 행렬을 설정함으로써, 서로의 미디어 재생 품질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왕복의 지연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송 대역에 한계가 있는 경우, 미디어의 부호화와,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에 있어서, 비트 레이트의 할당을 바꿈으로써, 미디어의 품질의 안정성과, 품질의 높이의 트레이드 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이것도 서로의 쌍방향 통신 장치 각각에서 재생되는 미디어에의 요구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검사 행렬은, 전송로에 의해 설정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상승 링크와 하강 링크에서 서로 다른 전송로를 이용하는 경우나, 상승 링크와 하강 링크가, 서로 다른 데이터 오류/손실 특성을 갖는 경우에는, 역시 검사 행렬을 비대칭으로 함으로써, 품질을 안정시키면서, 지연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을 캡쳐하는 프레임 레이트, 음성을 캡쳐하는 표본화 주파수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수신부(208)에서 수신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데이터 오류/손실률, 오류/손실 버스트 길이 등의 통계 정보를, 예를 들면 RTCP(RTP Control Protocol)의 SR(Sender Report)이나 RR(Receiver Report)에서,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신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전송로의 오류/손실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설정·호 접속 처리부(202)에 의해, 상기 통계 정보를 상기 통신 상대의 쌍방향 통 신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통신 중에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을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통신 중에 검사 행렬을 변경하는 것, 즉,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생성의 단위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재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송로의 상태가 양호해서, 미디어의 부호화 데이터를 충분한 품질로 송수신할 수 있는 경우,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고, 전송로의 상태가 악화한 경우에는,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의 송신을 재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오류 정정 부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신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해서, 데이터 오류/손실 패턴이 변동하는 전송로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미디어의 품질 안정화와 지연의 삭감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통신 장치에 있어서, 도 2의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인터리브 처리(인터리버(206)), 디 인터리브 처리(디인터리버(209))를 조합해도 된다.
또한, 쌍방향 통신 장치(401)에 있어서의, 설정·호 접속 처리부(402)와, 미디어 신호 캡쳐부(203)와, 미디어 부호화부(204)와, 패킷화 처리부(205)와, 오류 정정 부호화부(403)와, 송신부(207)와, 수신부(208)와, 오류 정정 복호부(404)와, 페이로드 추출부(210)와, 미디어 복호부(211)와, 재생부(212)에 대해서, 쌍방향 통신 장치(401)를 구성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각각의 기 능, 처리를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쌍방향 통신 장치(401)는, 예를 들면 음성 통신 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쌍방향 통신 장치(601)에 있어서의, 설정·호 접속 처리부(602)와, 미디어 신호 캡쳐부(203)와, 미디어 부호화부(204)와, 패킷화 처리부(205)와, 오류 정정 부호화부(603)와, 미디어 부호 송신부(604)와, 오류 정정 부호 송신부(605)와, 미디어 부호 수신부(606)와, 오류 정정 부호 수신부(607)와, 오류 정정 복호부(608)와, 페이로드 추출부(210)와, 미디어 복호부(211)와, 재생부(212)에 대해서, 쌍방향 통신 장치(601)를 구성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각각의 기능, 처리를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쌍방향 통신 장치(601)는, 예를 들면 음성 통신 장치를 구성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각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이면 할 수 있을 각종 변형, 수정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가 요구하는, 미디어의 품질, 지연, 대역, 지연에의 요구의 트레이드 오프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될 수 있는 한 안정된 품질로 쌍방향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승 링크와 하강 링크가 비대칭의 전송로에서도, 품질과 지연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동하는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오류/손실에 맞춰, 품질의 안정성과, 처리 지연의 증가를 억제한 쌍방향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9)

  1. 삭제
  2. 삭제
  3. 입력된 미디어를 부호화하는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단위로 인터리브하는 스텝과,
    인터리브된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으로 디 인터리브하는 스텝과,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해서 재생하는 스텝
    을 갖고,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에서, 통신 상대가 요구하는 미디어 품질에 맞추어,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변화시키며,
    이용 가능한 전송로 대역,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손실 패턴, 및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이용자로부터의 요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부호화 데이터의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설정하고,
    상기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변경할 경우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송신측에서는, 인터리브 단위의 단락을 변경함으로써 행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측에서는,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사이즈를 가변시키고, 상기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의 사이즈의 확대에 대해서는 상기 버퍼를 확대함으로써 대응하고, 사이즈의 축소는, 재생 신호의 중도 끊김을 억제해서 상기 버퍼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호 접속 처리에 의해,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의 설정 정보를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호 접속 처리에 의해, 통신 상대로부터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의 설정 정보를 얻어,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의 손실률, 버스트 길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의 도착 상황을 통신 상대에게 송신하고,
    상기 도착 상황을 수신하면, 그 도착 상황에 따라서,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측에서는, 상기 버퍼에 빈 부분이 있으면, 상기 빈 부분부터 삭감하고, 상기 버퍼에 수신 부호화 데이터가 가득 차 있는 경우, 무음 또는 무음에 가까운 레벨의 수신 데이터부터 삭감함으로써, 음의 중도 끊김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입력된 미디어를 부호화해서 출력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화 수단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단위로 인터리브 처리하는 인터리브 수단과,
    상기 인터리브 수단에서 재배열된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인터리브 처리된 부호화 데이터를 원래대로 재배열하는 디 인터리브 수단과,
    상기 디 인터리브 수단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해서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으로부터의 복호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
    을 포함하고,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에서, 통신 상대가 요구하는 미디어 품질에 맞추어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변화시키며,
    이용 가능한 전송로 대역,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손실 패턴, 및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이용자로부터의 요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부호화 데이터의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설정하고,
    상기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변경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송신측은, 인터리브 단위의 단락을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측은,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사이즈를 가변시키고, 상기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의 사이즈의 확대에 대해서는 상기 버퍼를 확대함으로써 대응하고, 사이즈의 축소는, 재생 신호의 중도 끊김을 억제해서 상기 버퍼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호 접속 처리에 의해,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의 설정 정보를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호 접속 처리에 의해, 통신 상대로부터,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의 설정 정보를 얻어,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의 손실률, 버스트 길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의 도착 상황을 통신 상대에게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도착 상황을 수신하면, 그 도착 상황에 따라서,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재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부호화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거나, 또는, 부호화 데이터의 순서를 알 수 있는 포맷에 따라,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측은, 상기 버퍼에 빈 부분이 있으면, 상기 빈 부분부터 삭감하고, 상기 버퍼에 수신 부호화 데이터가 가득 차 있는 경우, 무음 또는 무음에 가까운 레벨의 수신 데이터부터 삭감함으로써 음의 중도 끊김을 억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장치.
  33. 전송로를 통하여 통신하는 적어도 2개의 통신 장치를 포함한 쌍방향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2개의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이, 입력된 미디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과,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단위로 인터리브 처리하는 인터리브 수단과,
    인터리브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전송로에 출력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통신 장치 중 적어도 다른 쪽이, 상기 전송로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되어, 인터리브 처리된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으로 원래대로 재배열하는 디 인터리브 수단과,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해서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통신 장치 중 한쪽의 통신 장치가 다른 한쪽의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에서, 통신 상대가 요구하는 미디어의 품질에 맞추어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변화시키며,
    상기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변경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송신측은, 인터리브 단위의 단락을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측은,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사이즈를 가변시키고, 상기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의 사이즈의 확대에 대해서는 상기 버퍼를 확대함으로써 대응하고, 사이즈의 축소는, 재생 신호의 중도 끊김을 억제해서 상기 버퍼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시스템.
  34. 삭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 가능한 전송로의 대역,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손실 패턴, 및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이용자로부터의 요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부호화 데이터의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호 접속 처리에 의해,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의 설정 정보를, 통신 상대의 통신 장치에 통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호 접속처리에 의해, 통신 상대의 통신 장치로부터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의 설정 정보를 얻어,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시스템.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의 손실률, 버스트 길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의 도착 상황을 통신 상대의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통신 상대의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도착 상황을 수신하면, 그 도착 상황에 따라서,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를 재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시스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제33항, 또는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측은, 상기 버퍼에 빈 부분이 있으면, 상기 빈 부분부터 삭감하고, 상기 버퍼에 수신 부호화 데이터가 가득 차 있는 경우, 무음 또는 무음에 가까운 레벨의 수신 데이터부터 삭감함으로써 음의 중도 끊김을 억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통신 시스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미디어 신호를 캡쳐하는 미디어 캡쳐 수단과,
    캡쳐한 미디어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미디어 부호화 수단과,
    상기 미디어 부호화 수단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인터리브 수단과,
    상기 인터리브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로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전송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기초로 재배열하는 디 인터리브 수단과,
    상기 디 인터리브 수단으로 재배열이 행해진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미디어 복호 수단과,
    상기 미디어 복호 수단으로 복호된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수단과,
    상기 인터리브 수단에 의한 인터리브 처리 설정을 가변으로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인터리브 처리 설정을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리브 처리 설정으로서, 상기 인터리브 수단에 의한 인터리브 단위의 단락을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디 인터리브 수단에 대해서,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사이즈를 가변시키고, 상기 인터리브 처리의 단위의 사이즈의 확대에 대해서는, 상기 버퍼를 확대함으로써 대응하고, 사이즈의 축소는, 재생 신호의 중도 끊김을 억제해서 상기 버퍼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수신측에서는, 상기 버퍼에 빈 부분이 있으면, 상기 빈 부분부터 삭감하고, 상기 버퍼에 수신 부호화 데이터가 가득 차 있는 경우, 무음 또는 무음에 가까운 레벨의 수신 데이터부터 삭감함으로써 음의 중도 끊김을 억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77000861A 2004-06-14 2005-06-13 쌍방향 통신 방법과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937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76035 2004-06-14
JPJP-P-2004-00176035 2004-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617A KR20070037617A (ko) 2007-04-05
KR100937060B1 true KR100937060B1 (ko) 2010-01-15

Family

ID=3550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8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7060B1 (ko) 2004-06-14 2005-06-13 쌍방향 통신 방법과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98878A1 (ko)
EP (1) EP1775870A4 (ko)
JP (1) JPWO2005122455A1 (ko)
KR (1) KR100937060B1 (ko)
CN (1) CN1969493B (ko)
WO (1) WO2005122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676389T (pt) 2011-02-15 2016-11-07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Método de facultar uma assimetria de atraso de percurso para sincronização de tempo entre um relógio mestre e um escravo através de uma rede de comunicação
JP2013062737A (ja) * 2011-09-14 2013-04-04 Nec Corp 信号送受信回路
US8954832B1 (en) 2012-09-05 2015-02-10 L-3 Communications Corp. Asymmetric distance coding
KR102108380B1 (ko) * 2014-02-04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데이터 오류를 복구하도록 작동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US10749628B2 (en) 2015-09-17 2020-08-18 Nec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control program for terminal apparatus is stored
US20170324425A1 (en) * 2016-05-06 2017-11-09 Infineon Technologies Ag Embedded parity matrix generator
US10992724B2 (en) * 2017-01-20 2021-04-27 Hanwha Techwin Co., Ltd. Media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delay prevention system
CN113438054B (zh) * 2021-06-23 2022-08-16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526A (ja) * 1996-03-07 1997-11-18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データ通信における誤り制御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629A (en) * 1980-05-21 1982-01-11 Sony Corp Data transmitting method capable of correction of error
US5933567A (en) * 1993-01-13 1999-08-03 Hitachi America,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heads of a digital video tape recorder during trick play operation and for recording digital data on a tape
CA2131674A1 (en) * 1993-09-10 1995-03-11 Kalyan Ganesan High performance error control coding in channel encoders and decoders
JPH07170503A (ja) * 1993-12-15 1995-07-04 Sony Corp 受信装置
FR2718906B1 (fr) * 1994-04-13 1996-05-24 Alcatel Mobile Comm France Procédé d'adaptation de l'interface air, dans un système de radiocommunication avec des mobiles, station de base, station mobile et mode de transmission correspondants.
US5926205A (en) * 1994-10-19 1999-07-20 Ime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formatting data representing a video program to provide multiple overlapping presentations of the video program
US6389066B1 (en) * 1997-09-21 2002-05-14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modification of modulated and coded schem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154661A (en) * 1997-12-10 2000-11-28 Arraycomm, Inc. Transmitting on the downlink using one or more weight vectors determined to achieve a desired radiation pattern
US6067646A (en) * 1998-04-17 2000-05-23 Ameritech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interleaving
JP4031136B2 (ja) * 1999-01-14 2008-01-09 株式会社東芝 符号化・復号化装置及びディスク記憶装置
WO2000060752A1 (en) * 1999-04-06 2000-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2-dimensional interleaving apparatus and method
EP1126717A1 (en) * 2000-02-16 2001-08-22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real-time video service
WO2001067665A2 (en) * 2000-03-09 2001-09-13 Raytheon Company Frequency domai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with flexible time frequency code
GB2371947B (en) * 2001-02-01 2005-02-23 Fujitsu Ltd Communications systems
JP3670989B2 (ja) * 2001-09-06 2005-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218610B2 (en) * 2001-09-27 2007-05-15 Eg Technology,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techniques for transmission from source to destination
US20030069963A1 (en) * 2001-09-27 2003-04-10 Nikil Jayant System and method of quality of service signaling between client and server devices
JP3757857B2 (ja) * 2001-12-12 2006-03-2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188855A (ja) * 2001-12-19 2003-07-04 Nec Mobiling Ltd 移動体通信の誤り訂正制御方式
JP3815344B2 (ja) * 2002-02-21 2006-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値変調に適した符号語マッピング方法
US20050251725A1 (en) * 2004-05-06 2005-11-10 Genieview Inc. Signal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US7447978B2 (en) * 2004-11-16 2008-11-04 Nokia Corporation Buffering packets of a media stream
JP4806418B2 (ja) * 2005-01-10 2011-11-02 クォーティックス インク ビジュアルメディアの統合処理のための統合アーキテクチャ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526A (ja) * 1996-03-07 1997-11-18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データ通信における誤り制御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5870A4 (en) 2012-11-07
WO2005122455B1 (ja) 2006-03-30
CN1969493B (zh) 2011-01-26
CN1969493A (zh) 2007-05-23
WO2005122455A1 (ja) 2005-12-22
EP1775870A1 (en) 2007-04-18
JPWO2005122455A1 (ja) 2008-04-10
US20070198878A1 (en) 2007-08-23
KR20070037617A (ko)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3538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program for content encoding, content distribution, and content reception
CN100539544C (zh) 媒体流式传输分发系统
KR100927159B1 (ko) 데이터 전송
CN100435506C (zh) 音频数据编码转换发送方法以及编码转换接收方法、设备和系统
US20060268841A1 (en) Error resilience using out of band directory information
JP5109787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08527862A (ja) Fecフィードバックを使用する適応型情報配送システム
JP2008546230A (ja) インバンド誤りパターンを使用する誤り回復のための装置と方法
CN101304537A (zh) 3g-ip无线视频传输系统
CN101536088A (zh) 用于提供冗余管理的系统和方法
CN102342057A (zh) 用于可伸缩媒体的封装的方法和装置
KR100937060B1 (ko) 쌍방향 통신 방법과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JP2001251279A (ja) 有無線映像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のビットエラー確率基準値の設定方法
KR101153694B1 (ko) 미디어 송수신 방법, 미디어 송신 방법, 미디어 수신 방법, 미디어 송수신 장치, 미디어 송신 장치, 미디어 수신 장치, 게이트웨이 장치 및 미디어 서버
Larzon et al. Efficient transport of voice over IP over cellular links
CN100493188C (zh) 保障低码率无线信道传输高质量视频信号的方法
Worrall et al. Optimal packetisation of MPEG-4 using RTP over mobile networks
Zhai et al. Joint source-channel video transmission
Qu et al. Source-adaptive FEC/UEP coding for video transport over bursty packet loss 3G UMTS networks: a cross-layer approach
Shan et al. Adaptive two-stage FEC scheme for scalable video transmission over wireless networks
JP2004120148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受信装置
Girod et al. Compressed video over networks
Pei et al. Robust packet video transport over wireless fading channels using a joint source-channel coding approach
Seferoğlu Multimedia streaming over wireless channels
Korhonen New methods for robust audio streaming in a wireless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1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1012

Appeal identifier: 2009101007580

Request date: 20090817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8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1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7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910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91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