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686B1 - Small camera - Google Patents
Small camer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6686B1 KR100926686B1 KR1020080009080A KR20080009080A KR100926686B1 KR 100926686 B1 KR100926686 B1 KR 100926686B1 KR 1020080009080 A KR1020080009080 A KR 1020080009080A KR 20080009080 A KR20080009080 A KR 20080009080A KR 100926686 B1 KR100926686 B1 KR 100926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holder
- coil
- seating protrusion
- seating
- magn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자성전도체를 코일측에 고정하는 구조를 구체화하여 제품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mpact camera devic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a product by specifying a structure for fixing a nonmagnetic conductor to a coil side.
본 발명의 소형 카메라장치는, 렌즈가 장착되어 광축방향으로 구동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를 내장하는 고정부와;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홀더가 광축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고정부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렌즈홀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에 노출되도록 상기 렌즈홀더를 감싸는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에 노출되도록 상기 코일과 평행하게 상기 렌즈홀더를 감싸는 비자성전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상부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하부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및 비자성전도체는 상기 상부안착돌기와 하부안착돌기 사이에서 상기 렌즈홀더를 감싸도록 장착된다.The compact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holder mounted with a lens and driven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fixing part incorporating the lens holder; A leaf spring disposed above or below the lens holder to support and connect the lens holder to the fixing unit so that the lens holder flow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magnet fixed to the fixing part in the lens holder direction; A coil surrounding the lens holder to be exposed to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It consists of a non-magnetic conductor surrounding the lens holder in parallel with the coil so as to be exposed to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protrudes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direction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protrudes, and the coil and the nonmagnetic conductor are mounted to surround the lens holder between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and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소형 카메라장치, 렌즈홀더, 비자성전도체, Small camera device, lens holder, non-magnetic conduc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형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그네트를 고정부에 배치하고, 비자성전도체를 마그네트의 자기장 영역내에 위치하는 렌즈홀더에 결합하여, 맴돌이 전류 댐핑력으로 렌즈홀더를 댐핑시킴으로써, 렌즈홀더의 이동시 렌즈홀더를 신속하게 안정시켜 이미지를 촬상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소형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ct camera device, and in particular, a magnet is disposed in a fixed portion, a nonmagnetic conductor is coupled to a lens holder located in a magnetic field region of the magnet, and the lens holder is damped by a eddy current damping fo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ct camera device for shortening the time for photographing an image by quickly stabilizing a lens holder during movement.
휴대폰과 같은 소형의 통신기기에는 소형의 카메라장치가 장착된다.A small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equipped with a small camera device.
도 6은 종래의 VCM방식의 소형 카메라장치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소형 카메라장치의 사용상태 단면구조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렌즈부의 진동과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conventional small camera device of the VCM metho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small camera device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vibration of the lens portion shown in Figure 6 and time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이 도면에 도시된 소형 카메라장치는, 피사체의 배율을 변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군(500)과, 렌즈군(500)을 장착하여 광축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렌즈 홀더(550)와, 고정부(600)와, 고정부(600)에 지지되어 렌즈 홀더(550)를 광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부상시키며 렌즈 홀더(550)가 정확히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판스프링(650)과, 렌즈 홀 더(550)에 지지되어 고정부(600)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와, 렌즈군(500)을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기 위한 이미지센서(800)와, 액츄에이터 및 이미지센서(8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다.The compact camera device shown in this figure includes a
이러한 판스프링(650)은, 고정부(600)에 고정되는 부분과 렌즈 홀더(550)에 고정되는 부분 사이에 폭을 좁게하여 광축 방향으로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The
따라서 판스프링(650)은 렌즈 홀더(550)를 광축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한다.Therefore, the
또한 판스프링(650)은 렌즈 홀더(550)의 네곳 이상에 고정되어, 렌즈 홀더(560)가 광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액츄에이터는, 고정부(600)에 고정되는 마그네트(710)와, 렌즈 홀더(550)에 고정되며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때 마그네트(710)로부터 나오는 자속을 받아 렌즈 홀더(550)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720)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actuator, the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VCM방식이라고 한다.The structure of such an actuator is called a VCM method.
이러한 마그네트(710)와 코일(720)은 대칭되는 부분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One pair of
또한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710)의 자속을 효율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요크(730)를 갖는다.The actuator also has a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형 카메라장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로부터 액츄에이터의 코일(720)에 인가되면, 마그네트(710)로부터 나오는 자속의 영향으로 코일(72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전자력이 발생한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compact camera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pplied to the
따라서 코일(720)이 고정된 고정부(6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이와 같이하여 제어부는 렌즈군(500)을 광축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이미지센서(800)에 촬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controller raises or lowers the
한편, 도 8은 코일(720)에 스텝 전압을 가하여 렌즈군(500) 및 렌즈 홀더(550)를 포함하는 렌즈부가 도 7과 같이 이동하였을 때, 렌즈부의 진동과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Meanwhile,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bration of the lens unit and time when the lens unit including the
상기 코일(720)에 가해지는 구동전압은 일정한 데도 불구하고 심하게 진동이 발생하면서 원하는 높이로 수렴하는 것을 볼 수 있다.Although the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이 진동이 발생하고 있는 중에 영상을 촬상하게 되면, 영상에 노이즈가 끼게 되므로, 영상은 진동이 멈춘 후에 촬상해야 한다. If the image is picked up while the vibration is occurring, the image is noisy. Therefore, the image should be picked up after the vibration is stopped.
따라서 진동이 발생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a method for minimizing the time that vibration occurs is need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마그네트의 자기장에 노출되도록 코일측에 고정되어 맴돌이 전류 댐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비자성전도체를 구성요소로 하는 소형 카메라장치에 대하여 출원하여 특허등록을 받았다(등록특허공보 제10-0676679호).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applied for a small camera device having a nonmagnetic conductor as a component fixed to the coil side to generate eddy current damping force so as to be exposed to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Patent Publication No. 10-0676679).
등록특허공보 제10-0676679호에는 비자성전도체를 코일측에 고정한다고 기재되어 있는데, 그 고정결합구조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Patent No. 10-0676679 discloses that a nonmagnetic conductor is fixed to a coil side, which is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fixed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자성전도체를 코일측에 고정하는 구조를 구체화하여 제품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mpact camera devic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a product by specifying a structure for fixing a nonmagnetic conductor to a coil s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소형 카메라장치는, 렌즈가 장착되어 광축방향으로 구동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를 내장하는 고정부와;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홀더가 광축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고정부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렌즈홀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에 노출되도록 상기 렌즈홀더를 감싸는 코일과;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에 노출되도록 상기 코일과 평행하게 상기 렌즈홀더를 감싸는 비자성전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상부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하부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및 비자성전도체는 상기 상부안착돌기와 하부안착돌기 사이에서 상기 렌즈홀더를 감싸도록 장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act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ens holder mounted with a lens and driven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fixing part incorporating the lens holder; A leaf spring disposed above or below the lens holder to support and connect the lens holder to the fixing unit so that the lens holder flow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magnet fixed to the fixing part in the lens holder direction; A coil surrounding the lens holder to be exposed to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It consists of a non-magnetic conductor surrounding the lens holder in parallel with the coil so as to be exposed to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protrudes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direction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protrudes, and the coil and the nonmagnetic conductor are mounted to surround the lens holder between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and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상기 상부안착돌기 및 하부안착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코일 및 비자성전도체의 합산 두께보다 크다.The protruding length of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and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is larger than the combined thickness of the coil and the nonmagnetic conductor.
상기 렌즈홀더의 중앙부위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중부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 어 있고, 상기 코일은, 상기 상부안착돌기와 중부안착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코일과; 상기 중부안착돌기와 하부안착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코일로 이루어진다.A central seat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oil includes: an upper coil disposed between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and the middle seating protrusion; The lower coil is disposed between the middle seating protrusion and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상기 중부안착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코일과 비자성전도체의 합산 두께보다 크되, 상기 비자성전도체는, 상기 상부코일을 덮는 상부비자성전도체와; 상기 하부코일을 덮는 하부비자성전도체로 이루어진다.The protruding length of the middle seating protrusion is greater than the combined thickness of the coil and the nonmagnetic conductor, and the nonmagnetic conductor includes: an upper nonmagnetic conductor covering the upper coil; It consists of a lower nonmagnetic conductor covering the lower coil.
또는, 상기 중부안착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상부안착돌기 및 하부안착돌기의 돌출길이보다 작고, 상기 코일의 두께보다 크되, 상기 비자성전도체는 상기 상부안착돌기와 하부안착돌기 사이에서 상기 상부코일, 중부안착돌기 및 하부코일을 모두 덮는다.Alternativel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middle seating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protrusion lengths of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and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and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il, wherein the nonmagnetic conductor is between the upper coil and the middle seating protrusion. Cover both seating protrusions and lower coil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형 카메라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mpact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비자성전도체를 렌즈홀더에 고정하는 구조를 구체화함으로써 생산이 용이하다.Production is easy by specifying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non-magnetic conductor to the lens holder.
또한, 상부안착돌기 및 하부안착돌기에 의해 비자성전도체가 렌즈홀더의 상부 또는 하부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nmagnetic conductor from slipping off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by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and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또한, 중부안착돌기의 상부에 하부에 각각 상부코일과 하부코일을 배치함으로써, 상부코일과 하부코일이 접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upper coil and the lower coil, respective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seating proj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coil and the lower coil from contacting in advance.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홀더 및 비자성전도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형 카메라장치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카메라장치의 댐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ens holder and a nonmagnetic condu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act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amping principle of a small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 카메라장치는, 렌즈(미도시), 렌즈홀더(55), 고정부(60), 판스프링(65), 마그네트(71), 코일(72), 비자성전도체(75), 이미지센서(80), 제어부 등으로 이루어진다.1 and 2, the compact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not shown), a
상기 렌즈는 피사체의 배율을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로 이루어진다.The lens is for conver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ubject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lenses.
상기 렌즈홀더(55)는 상기 렌즈가 내부에 장착되어 광축방향으로 구동된다.The
상기 고정부(60)는 소형카메라 장치의 외부케이스와 같은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60)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홀더(55)를 비롯한 다른 구성요소들이 내장된다.The
상기 판스프링(65)은 상기 렌즈홀더(55)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홀더(55)가 광축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렌즈홀더(55)를 상기 고정부(60)에 연결하여 지지한다.The
상기 마그네트(71)는 상기 렌즈홀더(55)의 외부에서 상기 렌즈홀더(55)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60)에 고정결합된다.The
이때, 상기 마그네트(71)는 상하방향으로 극성이 다르게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코일(72)은 상기 마그네트(71)의 자기장에 노출되도록 상기 렌즈홀더(55)를 감싸고 있다.The
상기 코일(72)은 전류가 인가될 때 상기 마그네트(71)의 자속을 받아 상기 렌즈홀더(55)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The
상기 비자성전도체(75)는 상기 마그네트(71)의 자기장에 노출되도록 상기 코일(72)과 평행하게 상기 렌즈홀더(55)를 감싸고 있다.The
상기 비자성전도체(75)는 상기 렌즈홀더(55)에 고정결합되어 맴돌이 전류 댐핑력을 발생시킨다.The
상기 비자성전도체(75)는 자기장이 일정하게 분포하고 있는 영역 내에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되면,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속도에 비례하는 힘이 발생하는데, 이를 맴돌이 전류 댐핑력이라고 한다.Whe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자성전도체(75)에 의해 발생하는 맴돌이 전류 댐핑력으로 상기 렌즈홀더(55)가 구동할 때 발생되는 진동을 신속하게 댐핑한다.In this embodiment,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상기 이미지센서(80)는 상기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72) 및 이미지센서(8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상기 코일(72)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마그네트(71)의 자력을 받아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렌즈홀더(55)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킨다.The
상술한 구성요소 중 렌즈, 고정부(60), 판스프링(65), 마그네트(71), 이미지 센서(80) 등은 종래기술과 동일한 바,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mo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e lens, the
상기 렌즈홀더(55)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써, 상부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상부안착돌기(5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하부안착돌기(57)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위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중부안착돌기(5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상부안착돌기(56), 하부안착돌기(57) 및 중부안착돌기(58)는 각각 돌출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상부안착돌기(56), 하부안착돌기(57) 및 중부안착돌기(58)의 돌출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lengths of the
그리고, 상기 코일(72)과 비자성전도체(75)는 상기 상부안착돌기(56)와 하부안착돌기(57) 사이에서 상기 렌즈홀더(55)를 감싸도록 장착된다.The
이때, 상기 코일(72)은, 상기 상부안착돌기(56)와 중부안착돌기(58)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코일(72a)과, 상기 중부안착돌기(58)와 하부안착돌기(57)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코일(72b)로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상기 상부코일(72a)과 하부코일(72b)을 상기 중부안착돌기(58)에 의해 상하부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상부코일(72a) 및 하부코일(72b)이 상호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By dividing the
그리고, 상기 비자성전도체(75)는, 상기 상부코일(72a)을 덮는 상부비자성전도체(75a)와, 상기 하부코일(72b)을 덮는 하부비자성전도체(75b)로 이루어진다.The
따라서, 상기 상부코일(72a)과 상부비자성전도체(75a)는 상기 상부안착돌 기(56)와 중부안착돌기(58)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코일(72b)과 하부비자성전도체(75b)는 상기 중부안착돌기(58)와 하부안착돌기(57) 사이에 배치된다.Accordingly, the
이때, 상기 상부안착돌기(56), 하부안착돌기(57) 및 중부안착돌기(58)의 각각의 돌출길이는 상기 코일(72) 및 비자성전도체(75)의 합산 두께 즉 적층두께보다 같거나 크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length of each of the
위와 같이 상기 상부안착돌기(56), 하부안착돌기(57) 및 중부안착돌기(58)의 각각의 돌출길이를 상기 코일(72) 및 비자성전도체(75)의 합산 두께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코일(72) 및 비자성전도체(75)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거나, 렌즈홀더(5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ruding lengths of the
상기 비자성전도체(75)와 코일(72)의 적층구조는, 상기 렌즈홀더(55)에 상기 비자성전도체(75)를 먼저 감고 그 위에 상기 코일(72)을 감을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홀더(55)에 코일(72)을 먼저 감고 그 위에 상기 비자성전도체(75)를 감아서 적층하였다.In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상기 비자성전도체(75)는 상기 렌즈홀더(55) 전체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마그네트(71)에 대향하는 면에 대해서만 상기 렌즈홀더(55)에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상기 비자성전도체(75)는 띠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렌즈홀더(55)를 감싼 후에 일단과 타단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면 된다.The
상기 비자성전도체(75)는 비자성체이면서 동시에 전도체인 구리판 또는 알루미늄판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이하,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통신기기에 설치된 키패드를 통하여 촬영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이미지센서(80)를 구동시켜 렌즈군을 통과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photographing button through the keypad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roller drives the
상기 이미지센서(80)는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시그널로 변환시켜 메인피씨비를 통하여 본체내의 제어부로 전송한다.The
영상을 전송받은 제어부는 촬영된 영상이 선명하지 않으면, 포커싱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전원을 상기 코일(72)에 인가한다.If the captured image is not clear, the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image applies power to the
이때, 상기 상부코일(72a)에 인가되는 전류방향과 상기 하부코일(72b)에 인가되는 전류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이 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urrent direction applied to the
또한, 상기 중부안착돌기(58)에 의해 상기 상부코일(72a)과 하부코일(72b)이 상하방향으로 분할되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코일(72)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마그네트(71)로부터 나오는 자속의 영향으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른 전자기력이 발생하여 상기 코일(72)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따라서 상기 코일(72)이 고정되어 있는 상기 렌즈홀더(55)도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렌즈군의 포커싱이 조절되어 촬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된다.Therefore, the
이 과정에서 상기 판스프링(65)은 상기 렌즈홀더(55)가 정확히 광축 방향으 로 구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In this process, the
그리고 상기 비자성전도체(75)는 상기 마그네트(71)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내에서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맴돌이 전류 댐핑력을 발생시켜 렌즈홀더(55)의 진동을 신속하게 감쇄시킨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코일(72)의 상하이동시 상기 코일(72)이 고정된 상기 렌즈홀더(55)도 상하이동하게 되고, 상기 렌즈홀더(55)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렌즈홀더(55)에 고정 결합된 상기 비자성전도체(75)도 상하이동하게 된다.That is, the
상기 비자성전도체(75)가 상기 마그네트(71)의 자기장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맴돌이 전류 댐핑력이 상기 비자성전도체(75)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발생하여 상기 렌즈홀더(55)의 상하이동에 따른 진동을 신속하게 감쇄시킨다.As the
이때, 상기 비자성전도체(75)에는 맴돌이 전류 댐핑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비자성전도체(75)가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부안착돌기(56), 하부안착돌기(57) 및 중부안착돌기(58)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바, 맴돌이 전류 댐핑력이 상기 비자성전도체(75)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비자성전도체(75)가 상기 렌즈홀더(55)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 eddy current damping force is applied to the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센서(80)에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는 시간이 빨라지게 된다.Accordingly, the time for imaging the image of the subject by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홀더 및 비자성전도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형 카메라장치의 단면구조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ens holder and a nonmagnetic condu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act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비교하여, 렌즈, 고정부(60), 판스프링(65), 마그네트(71), 코일(72), 이미지센서(80) 등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lens, the fixing
본 실시예의 렌즈홀더(55)에도 상부안착돌기(56), 하부안착돌기(57) 및 중부안착돌기(58)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상기 중부안착돌기(58)의 돌출길이는 상기 상부안착돌기(56) 및 하부안착돌기(57)의 돌출길이보다 작고, 상기 코일(72)의 두께보다 크다.The protruding length of the
그리고, 상기 비자성전도체(75)는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안착돌기(56)와 하부안착돌기(57) 사이에서 상기 상부코일(72a), 중부안착돌기(58) 및 하부코일(72b)을 모두 덮는다.In addition, the
즉, 제 1실시예는 상기 비자성전도체(75)가 상부비자성전도체(75a)와 하부비자성전도체(75b)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중부안착돌기(58)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그러나, 제 2실시예는 상기 비자성전도체(75)가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코일(72a) 및 하부코일(72b) 뿐만 아니라 상기 중부안착돌기(58)도 함께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However,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이러한 제 2실시예의 작동과정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작동과정과 동일한 바 이하 생략한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is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below.
본 발명인 소형 카메라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small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홀더 및 비자성전도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ens holder and a nonmagnetic condu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형 카메라장치의 단면구조도,2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compact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카메라장치의 댐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amping principle of a small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홀더 및 비자성전도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ens holder and a nonmagnetic condu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형 카메라장치의 단면구조도,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compact camera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의 VCM방식의 소형 카메라장치의 단면구조도,6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conventional small camera device of the VCM method,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소형 카메라장치의 사용상태 단면구조도,7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small camera device shown in FIG.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렌즈부의 진동과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8 is a graph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vibration of the lens unit and time shown in FIG. 6;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5 : 렌즈홀더, 56 : 상부안착돌기, 57 : 하부안착돌기, 58 : 중부안착돌기,55: lens holder, 56: upper seating protrusion, 57: lower seating protrusion, 58: middle seating protrusion,
60 : 고정부, 65 : 판스프링, 71 : 마그네트, 72 : 코일, 72a : 상부코일, 72b : 하부코일, 75 : 비자성전도체, 75a : 상부비자성전도체, 75b : 하부비자성전도체, 80 : 이미지센서, 60: fixed part, 65: leaf spring, 71: magnet, 72: coil, 72a: upper coil, 72b: lower coil, 75: nonmagnetic conductor, 75a: upper nonmagnetic conductor, 75b: lower nonmagnetic conductor, 80: Image Senso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9080A KR100926686B1 (en) | 2008-01-29 | 2008-01-29 | Small camera |
PCT/KR2008/007770 WO2009096664A1 (en) | 2008-01-29 | 2008-12-30 | Image photographing device |
US12/865,279 US8248720B2 (en) | 2008-01-29 | 2008-12-30 | Image photograph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9080A KR100926686B1 (en) | 2008-01-29 | 2008-01-29 | Small camer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3107A KR20090083107A (en) | 2009-08-03 |
KR100926686B1 true KR100926686B1 (en) | 2009-11-17 |
Family
ID=4120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90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6686B1 (en) | 2008-01-29 | 2008-01-29 | Small camer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668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2822B1 (en) * | 2010-06-07 | 2017-06-0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21891A (en) | 2003-10-16 | 2005-05-12 | Sankyo Seiki Mfg Co Ltd | Lens drive device and portable device with camera |
KR20050110737A (en) * | 2004-05-19 | 2005-11-23 | 주식회사 포엠 | Camera device for communication machine and communication machine having the same |
JP2006276565A (en) | 2005-03-30 | 2006-10-12 | Sumida Corporation | Lens drive device |
KR20070001667A (en) * | 2005-06-29 | 2007-01-04 | 주식회사 하이소닉 | Small camera |
-
2008
- 2008-01-29 KR KR1020080009080A patent/KR10092668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21891A (en) | 2003-10-16 | 2005-05-12 | Sankyo Seiki Mfg Co Ltd | Lens drive device and portable device with camera |
KR20050110737A (en) * | 2004-05-19 | 2005-11-23 | 주식회사 포엠 | Camera device for communication machine and communication machine having the same |
JP2006276565A (en) | 2005-03-30 | 2006-10-12 | Sumida Corporation | Lens drive device |
KR20070001667A (en) * | 2005-06-29 | 2007-01-04 | 주식회사 하이소닉 | Small camera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2822B1 (en) * | 2010-06-07 | 2017-06-0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3107A (en) | 2009-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4755B1 (en) | Voice coil motor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 |
JP2009271204A (en) | Lens drive unit | |
KR100548869B1 (en) | Small camera | |
JP2006195452A (en) | Focus adjustment apparatus with improved vibration and impact-resistance properties | |
US8643964B2 (en) | Lens driving device without permanent magnet | |
KR20110066879A (en) | Lens actuator | |
JP2012088432A (en) | Lens drive device | |
WO2015043459A1 (en) | Lens driving apparatus | |
KR100987934B1 (en) | Lens drive | |
JP2018180353A (en) | Lens drive | |
KR20110068504A (en) | Low cost manufacturing and compact lens actuator | |
KR20060084130A (en) | Compact camera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 |
TW201409150A (en) | Camera module | |
US11586095B2 (en) | Lens apparatus and camera system having the same | |
JP2006259032A (en) | Lens driving device | |
KR20110058582A (en) | Lens Actuator for Image Imaging Device | |
KR100926686B1 (en) | Small camera | |
KR100466508B1 (en) | Small camera device for a communication machine | |
KR100676679B1 (en) | Small camera | |
JP2006345589A (en) | DRIVE DEVICE, IMAG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DRIVE DEVICE | |
KR20110058581A (en) | Lens Actuator for Image Imaging Device | |
KR100671716B1 (en) | Small camera | |
JP6278664B2 (en) | Lens drive device | |
KR950015067B1 (en) | Lenear motor | |
KR100952622B1 (en) | Compact camera driving device using piezoelectric el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9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1104 Appeal identifier: 2009101008255 Request date: 20090903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9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4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911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00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