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25857B1 -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 Google Patents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857B1
KR100925857B1 KR1020060023727A KR20060023727A KR100925857B1 KR 100925857 B1 KR100925857 B1 KR 100925857B1 KR 1020060023727 A KR1020060023727 A KR 1020060023727A KR 20060023727 A KR20060023727 A KR 20060023727A KR 100925857 B1 KR100925857 B1 KR 10092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unit
separation film
cells
electrochemical 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642A (ko
Inventor
류지헌
이재필
최정희
김민수
신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2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857B1/ko
Priority to PCT/KR2007/000212 priority patent/WO2007105860A1/en
Priority to JP2009500275A priority patent/JP5290952B2/ja
Priority to CN2007800093589A priority patent/CN101405911B/zh
Priority to TW096102465A priority patent/TWI340494B/zh
Priority to US11/673,844 priority patent/US8481196B2/en
Publication of KR2007009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857B1/ko
Priority to JP2013078643A priority patent/JP5636463B2/ja
Priority to US13/911,480 priority patent/US8778523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6U-shaped, bag-shaped or fol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셀로서 다수의 풀 셀 또는 바이 셀들이 긴 시트형의 분리필름에 의해 폴딩되어 있고 상기 단위 셀의 분리막과 폴딩용 분리필름이 열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셀을 제공하는 바, 이러한 전기화학 셀은 외부의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하여 적층된 단위 셀들의 전극이 분리필름에서 분리되거나 뒤틀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발열 또는 발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온도 상승시 또는 가스 발생에 의한 부피 팽창시에도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Multi-layered Type Electrochemistry Cell of Improved Safety}
도 1a 내지 1e는 본 발명의 전기화학 셀에서 단위 셀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풀 셀 및 바이 셀들의 모식도들이다;
도 2a 및 2b는 도 1b 및 1c와 같은 바이 셀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단위 셀들을 폴딩하고, 상기 단위셀들의 양측면에서 분리필름을 열융착하여 제조되는 전기화학 셀의 모식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폴딩된 단위 셀들의 하단에서 분리필름을 열융착하여 제조되는 전기화학 셀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셀로서 다수의 풀 셀 또는 바이 셀들이 긴 시트형의 분리필름에 의해 폴딩되어 있고, 상기 단위 셀의 분리막과 폴딩용 분리필름이 열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셀을 제공한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외부 및 내부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대략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길이 대비 작은 폭을 가진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기화학 셀은 그것의 구조에 따라 크게 젤리-롤형(권취형)과 스택형(적층형)으로 구분된다. 젤리-롤형 전기화학 셀은, 집전체로 사용되는 금속 호일에 전극 활물질 등을 코팅하고 건조 및 프레싱한 후, 소망하는 폭과 길이의 밴드 형태로 재단하고 분리막을 사용하여 음극과 양극을 격막한 후 나선형으로 감아 제조된다. 젤리-롤형 전기화학 셀은 원통형 전지에는 적합하지만, 각형 또는 파우치형 전지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극 활물질의 박리 문제, 낮은 공간 활용성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스택형 전기화학 셀은 다수의 양극 및 음극 단위 셀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로서, 각형의 형태를 얻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제조과정이 번잡하고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전극이 밀려서 단락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기화학 셀로서, 일정한 단위 크기의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풀 셀(full cell) 또는 양극(음극)/분리막/음극(양극)/분리막/양극(음극) 구조의 바이 셀(bicell)을 긴 길이의 연속적인 분리필름을 사용하여 폴딩한 구조의 전기화학 셀이 개발되었고, 이는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82058호, 제2001-82059호, 제2001-82060호 등에 개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에서 전기화학 셀은 긴 길이의 분리필름이 사용됨에 따라 전지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하여 단위 셀의 전극과 분리필름이 분리되거나 뒤틀리는 등의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이차전지의 내부 단락을 유발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 폭발 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긴 시트형의 분리필름에 의해 폴딩되어 있는 다수의 단위 셀에서, 상기 단위 셀의 분리막과 상기 분리필름을 열융착하여 고정할 경우, 외부의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하여 적층된 단위 셀들의 전극과 분리필름이 분리되거나 뒤틀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발열 또는 발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온도 상승시 또는 가스 발생에 의한 부피 팽창시에도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셀은 단위 셀로서 다수의 풀 셀 또는 바이 셀들이 긴 시트형의 분리필름에 의해 폴딩되어 있고 상기 단위 셀의 분리막과 폴딩용 분리필름이 열융착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기화학 셀은 상기 분리필름이 단위 셀들을 감쌀 수 있는 단위길이를 갖고, 단위길이 마다 내측으로 꺾여서 중앙의 단위 셀로부터 시작되어 최외각의 단위 셀까지 연속하여 각각의 셀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화학 셀은 상기 분리필름이 그것의 단부에서부터 중앙의 제 1 단위 셀의 외면을 한 바퀴 감싸고, 상기 분리필름을 사이에 두고 단위 셀이 적층될 수 있도록 제 2 단위 셀과 제 3 단위 셀을 상기 제 1 단위 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단위 셀과 제 3 단위 셀의 외면을 한 바퀴 감싸고, 또 그것들의 상부와 하부에 제 4, 제 5 단위 셀들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것들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로, 최외각의 단위 셀들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기화학 셀은, 예를 들어, 상기 분리필름의 단부에 제 1 단위 셀을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그것의 두께와 너비 및 적층되는 제 2 단위 셀의 두께를 단위길이로 하여 제 2 단위 셀을 고정하고, 고정되어 있는 상기 두 개의 단위 셀과 고정되는 제 3 단위 셀의 두께를 단위길이로 하여 제 3 단위 셀을 고정하 는 등, 기존의 단위 셀과 늘어나는 단위 셀의 두께를 더한 길이를 단위길이로 하여 단위 셀들을 분리필름의 일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분리필름을 단위길이마다 내측으로 꺾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단위 셀과 제 2 단위 셀 사이의 단위길이는 상기 제 1 단위 셀의 두께와 너비를 포함하는 길이로, 다른 단위 셀들간의 단위길이와 다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기화학 셀은 상기 분리필름이 전기화학 셀을 감쌀 수 있는 단위 길이를 갖고, 단위 길이 마다 외측으로 꺾여서 첫 단의 단위 셀로부터 시작되어 끝 단의 단위 셀까지 연속하여 Z형으로 각각의 단위 셀들을 폴딩하고, 여분의 분리필름이 중첩 셀의 외주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기화학 셀은, 예를 들어, 상기 분리필름의 단부 일면에 제 1 단위 셀을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단위 셀의 두께를 단위길이로 하여 제 2 단위 셀을 상기 제 1 단위 셀과 대향되는 타면에 고정하는 등, 단위 셀의 두께를 단위 길이로 하여 단위 셀들을 상기 분리막의 양면에 교대로 번갈아가며 고정시킨 상태에서 분리필름을 단위길이마다 외측으로 꺾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필름이 꺾이는 방향으로서의 "내측"과 "외측"은 상기 분리필름을 꺾을 때 바로 전에 행해진 꺾임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것과 같은 방향을 내측으로 표현하고, 그것과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으로 표현하였다. 즉, 예를 들어, 바로 전에 행해진 껌임 방향이 오른쪽일 경우, 그것과 같은 방향인 오른쪽을 "내측"으로 그것과 다른 방향인 왼쪽을 "외측"으로 나타내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필름에 행해지는 열융착은 상기 단위 셀들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서 행해질 수 있으며, 그것들의 하단 및/또는 상단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반면에, 상단에 전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단위 셀을 사용할 경우, 단위 셀들의 하단에 열융착이 행해질 수도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셀의 하단 및/또는 상단에 열융착이 행해질 경우, 상기 셀의 하단 및/또는 상단을 완전히 감싸는 크기의 분리막을 덧댄 후 열융착이 행할 수 있다.
상기 열융착은 열에 약한 분리필름과 분리막에 행해지는 만큼, 70 내지 140℃의 온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열융착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또는 열과 함께 높은 압력을 가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지의 제조공정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에,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열융착시 분리필름 또는 분리막이 손상되어 내부 단락을 유발하거나 전극활물질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풀 셀 및 바이 셀의 구성과 이들을 사용하여 전기화학 셀을 구성하는 방법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82058호, 제2001-82059호 및 제2001-82060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들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
단위 셀로서의 풀 셀은 양극/분리막/음극의 단위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셀로서, 셀의 양측에 각각 양극과 음극이 위치하는 셀이다. 이러한 풀 셀은 가장 기본적인 구조의 양극/분리막/음극 셀과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 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풀 셀의 모식도가 도 1a에 도 시되어 있는 바, 이러한 풀 셀을 사용하여 이차전지를 포함한 전기화학 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분리필름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서로 대면하도록 다수의 풀 셀들을 적층하여야 한다.
또한, 단위 셀로서의 바이 셀은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의 단위 구조 및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의 단위구조와 같이 셀의 양측에 동일한 전극이 위치하는 셀이다. 그 중,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 구조의 바이 셀의 모식도가 도 1b에 도시되어 있고,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바이 셀의 모식도가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러한 바이 셀을 사용하여 이차전지를 포함한 전기화학 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분리막 필름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 구조의 바이 셀과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바이 셀이 서로 대면하도록 다수의 바이셀들을 적층하여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 많은 적층 수의 바이셀들도 가능한 바, 그러한 예로서,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 구조의 바이 셀의 모식도가 도 1d에 도시되어 있고,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바이 셀의 모식도가 도 1e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전기화학 셀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및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2b에는 도 1b와 1c의 바이 셀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단위 셀의 양측면에서 분리필름을 열융착하여 제조되는 전기화학 셀의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전기화학 셀(100 또는 200)은 다수의 바이 셀들(110, 120, 130… 또는 210 … 220)이 하나의 긴 분리필름(310)에 의해 폴딩되어 있고, 바이 셀들(110, 120, 130 … 또는 210, 220)의 분리막(300)과 분리필름(310)을 양측면에서 열융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화학 셀(100 또는 200)은 도 2a에서와 같이, 분리필름(310)이 중앙의 제 1 바이 셀(110)의 외면을 한 바퀴 감싸고, 제 1 바이 셀(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 2 바이 셀(120)과 제 3 바이 셀(13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것들의 외면을 한 바퀴 감싸는 구조로 바이 셀들(110, 120, 130 …)을 폴딩하거나, 도 2b에서와 같이, 분리필름(310)이 최하단의 바이 셀(210)에서 최상단의 바이 셀(220)까지 Z형태로 감싸는 구조로 바이 셀들(210 … 220)을 폴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전자의 방법으로 바이 셀들(110, 120, 130 …)을 폴딩할 경우, 외각에서 중앙의 바이 셀(110)로 갈수록 그것의 양측을 덮는 분리필름(310)의 두께가 두꺼워져 그 두께를 감안하기 위하여, 바이 셀(110)의 폭이 좁아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위 셀의 하단에서 분리필름을 열융착하여 제조되는 전기화학 셀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화학 셀(100)은 그것의 상단에 전극단자가 돌출되어 있고, 그것의 하단에 셀(100)의 하단면 보다 다소 큰 크기의 별도의 분리막(3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열융착시킨다. 이러한 열융착에 의해, 분리막(320)은 분리필름(310)의 하단에 열융착되고, 또한 그것의 일부는 단위 셀의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분리막(300)과도 열융착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양극 활물질로서 LiCoO2 95 중량%, Super-P(도전제) 2.5 중량% 및 PVdF(결합제) 2.5 중량%를 용제인 NMP(N-methyl-2-pyrrolidone)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고, 음극 활물질로서 인조흑연 95 중량%, Super-P(도전제) 2.5 중량% 및 PVdF(결합제) 2.5 중량%를 용제인 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한 후, 알루미늄 호일과 구리 호일 상에 각각 코팅, 건조 및 압착하여 양극 및 음극을 제조하였다.
분리막으로 셀가드TM을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및 상기 분리막을 순서대 로 적층하여 바이 셀을 구성한 뒤, 분리필름으로서 분리막과 동일한 소재의 셀가드TM으로 7 개의 바이 셀을 순차적으로 폴딩하고, 양측면에서 100℃의 hot plate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막과 분리필름을 열융착하는 것으로 전기화학 셀을 제조하였고, 상기의 전기화학 셀을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에 내장한 후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지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바이 셀들의 하단에서 분리막과 분리필름을 열융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지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1]
바이 셀들의 양측면을 열융착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지를 완성하였다.
[실험예 1]
상기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지를 4.2 V까지 충전한 후, 1 m의 높이에서 50 회 연속 낙하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17943509-pat00001
상기의 표 1에서와 같이, 단위 셀들을 긴 시트형의 분리필름으로 폴딩하고, 상기 단위 셀의 분리막과 폴딩용 분리필름을 열융착하여 제조된 전지화학 셀을 포함하는 전지에서는 50 회 연속 낙하 실험에서도 쇼트의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셀은 외부의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하여 적층된 전극과 분리필름이 분리되거나 뒤틀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발열 또는 발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온도 상승시 또는 가스 발생에 의한 부피 팽창시에도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단위 셀로서 다수의 풀셀 또는 바이셀들이 긴 시트형의 분리필름에 의해 폴딩되어 있고 상기 단위 셀의 분리막과 폴딩용 분리필름이 열융착되어 있으며, 상기 열융착은 상기 셀의 양 측면에 행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셀은 상기 분리필름이 단위셀들을 감쌀 수 있는 단위길이를 갖고, 단위 길이 마다 내측으로 꺾여서 중앙의 단위셀로부터 시작되어 최외각의 단위셀까지 연속하여 각각의 셀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셀은 상기 분리필름이 전기화학 셀을 감쌀 수 있는 단위 길이를 갖고, 단위 길이 마다 외측으로 꺾여서 첫 단의 단위셀로부터 시작되어 끝 단의 단위셀까지 연속하여 Z형으로 각각의 단위셀드를 폴딩하고, 여분의 분리필름이 중첩 셀의 외주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i) 하단, 또는 (ii) 상단, 또는 (iii) 하단 및 상단에 열융착이 행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i) 하단, 또는 (ii) 상단, 또는 (iii) 하단 및 상단을 완전히 감싸는 크기의 분리막을 덧댄 후 열융착이 행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은 70 내지 140℃의 온도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셀.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기화학 셀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060023727A 2006-03-14 2006-03-14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Active KR100925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27A KR100925857B1 (ko) 2006-03-14 2006-03-14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JP2009500275A JP5290952B2 (ja) 2006-03-14 2007-01-12 高安全性多層型電気化学セル
CN2007800093589A CN101405911B (zh) 2006-03-14 2007-01-12 具有改进的安全性的多层型电化学电池
PCT/KR2007/000212 WO2007105860A1 (en) 2006-03-14 2007-01-12 Multi-layered type electrochemistry cell of improved safety
TW096102465A TWI340494B (en) 2006-03-14 2007-01-23 Multi-layered type electrochemistry cell of improved safety
US11/673,844 US8481196B2 (en) 2006-03-14 2007-02-12 Multi-layered type electrochemistry cell of improved safety
JP2013078643A JP5636463B2 (ja) 2006-03-14 2013-04-04 高安全性多層型電気化学セル
US13/911,480 US8778523B2 (en) 2006-03-14 2013-06-06 Multi-layered type electrochemistry cell of improved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27A KR100925857B1 (ko) 2006-03-14 2006-03-14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42A KR20070093642A (ko) 2007-09-19
KR100925857B1 true KR100925857B1 (ko) 2009-11-06

Family

ID=3850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727A Active KR100925857B1 (ko) 2006-03-14 2006-03-14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481196B2 (ko)
JP (2) JP5290952B2 (ko)
KR (1) KR100925857B1 (ko)
CN (1) CN101405911B (ko)
TW (1) TWI340494B (ko)
WO (1) WO2007105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14A1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08B1 (ko) * 2006-06-05 2008-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두 개 이상의 유닛 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고용량 전지셀
KR101431278B1 (ko) * 2008-12-19 2014-08-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도 분포의 균일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
WO2011126310A2 (ko) * 2010-04-06 2011-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 타입 셀, 개선된 바이-셀, 이들을 이용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8046B1 (ko) * 2010-12-21 2015-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함침성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57311B1 (ko) * 2011-07-26 2014-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3118162A (ja) 2011-12-02 2013-06-13 ▲蘇▼州冠▲碩▼新能源有限公司 リチウムバッテリ
JP2013118161A (ja) 2011-12-02 2013-06-13 ▲蘇▼州冠▲碩▼新能源有限公司 電池蓋組立部材、この電池蓋組立部材を備えた電池アセンブリ及びこの電池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20130236768A1 (en) 2012-03-08 2013-09-12 Lg Chem, Ltd. Battery pack of stair-like structure
KR20130105271A (ko)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대칭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30113301A (ko) 2012-04-05 2013-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20130118716A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WO2013168982A1 (ko) * 2012-05-07 2013-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30132231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KR20130133640A (ko) 2012-05-29 2013-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너부 형상이 다양한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TWI484686B (zh) * 2012-06-28 2015-05-11 Lg Chemical Ltd 電極組及包含其之電化學電池
KR101693289B1 (ko) * 2012-07-31 2017-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483505B1 (ko) 2012-11-13 2015-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가 형성된 전극조립체
KR101387424B1 (ko) 2012-11-22 2014-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폭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장의 길이가 상이한 전극 유닛들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CN104798240B (zh) * 2012-12-27 2017-09-26 株式会社Lg 化学 阶梯式结构的电极组件
US9318733B2 (en) 2012-12-27 2016-04-19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US9484560B2 (en) 2013-02-13 2016-11-01 Lg Chem, Ltd. Electric device having a round corner and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EP2869387B1 (en) * 2013-02-15 2018-04-11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954203B2 (en) 2013-03-08 2018-04-24 Lg Chem, Ltd.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US9786874B2 (en) 2013-03-08 2017-10-10 Lg Chem, Ltd. Electrode having round corner
KR101834035B1 (ko) 2013-03-15 2018-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TWI491099B (zh) 2013-08-29 2015-07-01 Htc Corp 電池結構、電子裝置及電池結構的製造方法
KR101643593B1 (ko) * 2013-09-06 2016-07-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7423B1 (ko) * 2014-01-06 2016-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하이브리드 전극조립체
KR101749409B1 (ko) * 2015-08-28 2017-06-21 주식회사 제낙스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7008430B2 (ja) * 2017-05-19 2022-02-10 Fdk株式会社 ラミネート型蓄電素子
KR102173032B1 (ko) 2017-11-13 2020-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37724B1 (ko) * 2017-11-15 2018-03-12 이소라 적층식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210061112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30024796A (ko) * 2021-08-12 2023-0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JPWO2024014161A1 (ko) * 2022-07-13 2024-01-18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060A (ko) * 2000-02-08 2001-08-29 성재갑 다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66652A (ko) * 2003-12-26 2005-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종 분리막 구조의 리튬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577A (en) * 1896-05-19 Cigar-mold
US3207630A (en) * 1961-06-27 1965-09-21 Yardney International Corp Electrode assembly
US4368243A (en) * 1980-10-10 1983-01-11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JP3199409B2 (ja) * 1991-09-13 2001-08-20 旭化成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電池
JP3200130B2 (ja) * 1991-12-19 2001-08-20 古河電池株式会社 二次電池用極板群の内部短絡防止法
JPH08102313A (ja) * 1994-09-30 1996-04-16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5605771A (en) * 1995-10-26 1997-02-25 Zbb Technologies, Inc. Component design for an electric energy storing device
JPH09161759A (ja) * 1995-12-05 1997-06-20 Nissan Motor Co Ltd セパレータ
JPH09274935A (ja) * 1996-04-05 1997-10-21 Sony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5876873A (en) * 1997-01-21 1999-03-02 Gnb Technologies, Inc. Sealed lead-acid cells and batteries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restraint for accommodating plate growth
CN1293651C (zh) * 1998-02-05 2007-01-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池盒形成片和电池组件
JP3830008B2 (ja) * 1998-10-30 2006-10-04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JP3544889B2 (ja) * 1999-03-31 2004-07-21 株式会社東芝 密閉型電池
KR100309604B1 (ko) 1999-12-20 2001-11-03 홍지준 리튬 2차 전지
KR100515571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 화학 셀
KR100515572B1 (ko) *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1338687A (ja) * 2000-05-26 2001-12-07 Yuasa Corp 密閉形電池
JP2002246278A (ja) * 2001-02-19 2002-08-30 Ckd Corp 積層体、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並びに、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KR100440933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CN1321477C (zh) * 2003-10-28 2007-06-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
US20050233190A1 (en) * 2004-04-15 2005-10-20 Gennadi Finkelshtain Fuel cell with removable/replaceable cartridg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fuel cell and cartridge
US20070202394A1 (en) * 2006-02-28 2007-08-30 Viavattine Joseph J Separator systems for batter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060A (ko) * 2000-02-08 2001-08-29 성재갑 다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66652A (ko) * 2003-12-26 2005-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종 분리막 구조의 리튬이차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14A1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42A (ko) 2007-09-19
TWI340494B (en) 2011-04-11
TW200805746A (en) 2008-01-16
US20070218355A1 (en) 2007-09-20
JP2013138029A (ja) 2013-07-11
JP5636463B2 (ja) 2014-12-03
JP2009530766A (ja) 2009-08-27
WO2007105860A1 (en) 2007-09-20
US8481196B2 (en) 2013-07-09
CN101405911B (zh) 2011-01-19
JP5290952B2 (ja) 2013-09-18
US8778523B2 (en) 2014-07-15
CN101405911A (zh) 2009-04-08
US20130266841A1 (en)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857B1 (ko)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KR100515572B1 (ko)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97147B1 (ko) 다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7623B1 (ko) 신규한 적층 구조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KR100873308B1 (ko) 두 개 이상의 유닛 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고용량 전지셀
US7201997B2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KR100922441B1 (ko) 전지케이스의 전극조립체 수납부 변형에 의해 안전성이향상된 이차전지
US8021775B2 (en) Cell structure for electrochemical devi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893225B1 (ko)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KR20090064021A (ko) 안전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그것의 제조방법
US20160226056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chemical bundle of a lithium battery
KR100900413B1 (ko) 열안전성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전기화학 셀
KR101154883B1 (ko) 향상된 전해액 함침성의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82489B1 (ko) 열수축에 의한 내부 단락을 방지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셀
KR101154884B1 (ko) 상부 절연체가 젤리-롤에 결합되어 있는 이차전지
KR20140072794A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팩
JPH11167934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20240056431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220092314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6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3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5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930

Appeal identifier: 2008101012876

Request date: 20081203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2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6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202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9020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20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61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9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1203

Decision date: 20090930

Appeal identifier: 2008101012876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2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30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