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19107B1 - 파형강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형강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107B1
KR100919107B1 KR1020070093100A KR20070093100A KR100919107B1 KR 100919107 B1 KR100919107 B1 KR 100919107B1 KR 1020070093100 A KR1020070093100 A KR 1020070093100A KR 20070093100 A KR20070093100 A KR 20070093100A KR 100919107 B1 KR100919107 B1 KR 10091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rrugated steel
fixing plate
fixing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912A (ko
Inventor
이장섭
Original Assignee
이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섭 filed Critical 이장섭
Priority to KR102007009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1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10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강관의 시공 후 연결이 용이하여 손쉽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 누수에 따른 불필요한 하자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평활수지관이 삽입된 파형강관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활수지관(15)은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게 연장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0)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고, 일측면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날개편(26)이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10)의 나선부(12)에 간섭되도록 단면이 '┥' 및 '┝' 형상을 갖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고정판(25)과; 상기 고정판(25)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28)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25)을 상호 밀착시키는 고정볼트(30)와; 상기 고정판(25)의 타측면에 상기 파형강관(10)의 연결시 상호 밀착된 고정판(25)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구비되는 패킹재(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형강관, 평활수지관, 연장부, 고정판, 고정볼트

Description

파형강관 연결장치{JOINTING APPARATUS OF CORRUGATED STEEL PIPE}
본 발명은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강관의 시공 후 연결이 용이하여 손쉽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 누수에 따른 불필요한 하자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설관은 역학적으로 큰 하중이나 토압을 감당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또는 주철관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콘크리트관 또는 주철관은 토압이나 하중에 대응하는 구조적강도가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나 콘크리트 흄관은 부피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운반, 시공, 해체에 따른 제반 취급이 불편하고, 또한 콘크리트 양생 조건에 따라 제품의 재질이 달라져 겨울철과 같이 양생 조건이 좋지 않을 경우 불량품이 양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이전의 매설관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름관인 파형강관이 개발되어서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파형강관은 오수 및 폐수의 배수, 생활 용수 또는 산업용수의 급수, 건축 분야에서 중공 거푸집이나 건축 슈트로서 널리 채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배수관 건설시 증가되는 인력난과 비용 및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증대로 인하여 기존의 콘크리트재 배수관의 대체 자재로서 높은 외압강도와 구조적 안정성, 내구성, 경제성 및 시공성을 제공하는 우수한 배관자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형강관은 원주방향으로 나선파형들이 반복되어서 우수 및 오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져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우수 및 오수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하는 역기능을 가지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내부를 따라 흐르는 우수 및 오수가 원활하게 통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형강관은 강판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지고 내부를 따라 흐르는 우수 및 오수와 상시적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부식의 촉진으로 사용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점 등이 있어 최근에는 파형강관의 내부에 평활수지관을 삽입하여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파형강관은 매설 후 상호 연결시키는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파형강관의 연결시 단순히 외주면에 고정밴드 등을 이용하여 연질의 패킹을 가압함으로써 결합력 및 밀착력으로 누수를 방지한 상태로 연결시키고 있어 상대적으로 시공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공 후 불필요한 누수의 발생으로 유지보수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평활수지관이 구비된 상태에서 파형강관을 연결시키는 작업이 번거럽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결작업에 따른 공정이 많음에 따라 단순한 구조로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가 개발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활수지관이 구비된 상태에서의 파형강관의 연결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작업시간의 절감 등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밀착력을 높임과 아울러 기밀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누수에 따른 불필요한 하자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유지보수 등 작업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파형강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평활수지관이 삽입된 파형강관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파형강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활수지관(15)은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게 연장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0)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고, 일측면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날개편(26)이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10)의 나선부(12)에 간섭되도록 단면이 '┥' 및 '┝' 형상을 갖는 고정판(25)과; 상기 고정판(25)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28)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25)을 상호 밀착시키는 고정볼트(30)와; 상기 고정판(25)의 타측면에 상기 파형강관(10)의 연결시 상호 밀착된 고정판(25)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구비되는 패킹재(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편(26)은 상기 파형강관(10)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파형강관(1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도록 상기 나선부(12)를 적어도 두골 이 상 감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평활수지관이 구비된 상태에서의 파형강관의 연결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형강관의 상호간에 밀착력을 높임과 아울러 기밀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누수에 따른 불필요한 하자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시간의 절감, 유지보수 등의 작업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형강관 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형강관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형강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형강관 연결장치는 내부에 평활수지관(15)이 삽입된 파형강관(10)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파형강관(10)과 파형강관(10)의 연결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파형강관(10)은 원통체의 형상으로 내주면 및 외주면에 나선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평활수지관(15)은 일정 길이로 제조된 평판을 열융착한 후 원형으로 말아 형성시킨 평활관으로서,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게 연장하여 연장부(20)가 형성되게 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상기 연장부(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정판(25)과, 상기 고정판(25)을 상호 밀착시켜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볼트(30)와, 상기 고정판(25)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패킹재(3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25)은 상기 연장부(20)에 내주면이 결합되고, 일측면 즉 상기 파형강관(10)이 구비된 측면으로 상기 고정판(25)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날개편(26)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편(26)의 저면은 상기 파형강관(10)의 나선부(12)에 간섭되게 단면이 '┥' 및 '┝' 형상을 갖도록 한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날개편(26)에 상기 고정밴드(30)가 간섭된 상태로 상기 파형강관(10)을 연결시키게 되고, 이 경우 상기 날개편(26)은 상기 나선부(12)에 지지됨에 따라 외부의 가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손쉽게 휘거나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버팀목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날개편(26)은 상기 파형강관(10)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파형강관(1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도록 상기 나선부(12)를 적어도 두골 이상 감싸도록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나선부(12)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25)에는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1)을 통해 상기 고정볼트(30)가 끼워져 상기 파형강관(10)을 상호 연결시키게 되며, 이 경우 상기 패킹재(35)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판(25)이 서로 밀착됨에 따라 기밀을 더욱 유지시켜 누수발생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날개편(26)은 상기 파형강관(10)의 나선부(12)에 안착된 상태로 걸쳐지거나 접착수지 등에 의해 일체로 접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형강관(10)을 연결시키는 경우 상기 고정판(25)의 사이에 패킹 재(35)의 삽입시 접착제를 도포하여 누수발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판(25)이 평활수지관(15)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볼트(30)에 의한 결속으로 상기 파형강관(10)을 연결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파형강관(10) 대신 평활관 자체 또는 이중구조를 갖는 평활관을 연결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판(25)을 이용한 동일한 결합구조로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형강관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형강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밀착가압면과 밀착경사면이 형성된 상태에서의 파형강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형강관 연결장치는 내측에 평활수지관(15)이 구비된 이중 구조의 파형강관(10)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파형강관(1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5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정판(55)과, 상기 고정판(55)의 외측에 상기 파형강관(10)의 연결시 상호 밀착된 고정판(55)을 감싸도록 조임볼트(63)에 의해 상기 고정판(55)에 밀착되는 고리형상의 고정밴드(60)와, 상기 고정밴드(60)와 고정판(55)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패킹재(6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55)은 상기 연장부(50)에 내주면이 결합되고, 일측면 즉 상기 파형강관(10)이 구비된 측면으로 상기 고정판(55)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날개편(56)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편(56)의 저면은 상기 파형강관(10)의 나선부(12)에 간섭되게 단면이 '┥' 및 '┝'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날개편(56)에 상기 고정밴드(60)가 간섭된 상태로 상기 파형강관(10)을 연결시키게 되고, 이 경우 상기 날개편(56)은 상기 나선부(12)에 지지됨에 따라 외부의 가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손쉽게 휘거나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고정밴드(60)를 지지하는 버팀목역할을 하면서 기밀을 더욱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55)의 외측에는 상기 날개편(56)의 상부면 일측에서 부터 상기 고정판(55)의 외주면으로 연장되게 경사진 밀착가압면(58)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가압면(58)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밴드(60)의 내측에는 밀착경사면(6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밴드(60)를 더욱 조이는 경우 상기 밀착경사면(61)이 상기 밀착가압면(58)에 상기 패킹재(65)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면서 기밀을 더욱 유지시키게 되어 누수발생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밴드(60)는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반원형상을 갖는 한쌍의 띠로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63)에 의해 원형의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밴드(60)는 상기 고정판(55)의 외측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면 족하며, 그 형상 및 결합구조에 있어 자명한 사항이면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파형강관(10)을 연결시키는 경우 상기 고정판(55)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누수발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판(55) 자체를 관통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평활수지관(15)을 파형강관(10)의 내부에 삽입시키되, 평활수지관(15)의 양측 단부를 상기 파형강관(10)으로부터 돌출되게 하여 연장부(20)를 형성시킨다.
이 후, 상기 연장부(20)의 외주면에 고정판(25)을 결합시키고, 날개편(26)의 저면을 상기 파형강관(10)의 나선부(12)에 간섭되게 하여 상기 고정판(25)을 지지시켜 놓는다.
이 상태에서 지중 또는 지상에 설치한 후 상기 파형강관(10)과 파형강관(10)을 상호 연결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파형강관(10)의 연결로 나란하게 구비된 상기 고정판(25)의 사이에 패킹재(35)를 구비한 후 상기 고정판(25)을 관통시켜 고정볼트(30)로 견고하게 조이면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25)의 날개편(26)이 상기 파형강관(10)의 나선부(12)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손쉽게 파손되거나 상기 파형강관(10)의 연결부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볼트(30)에 의한 결속방식과는 별개로 고정밴드(60)에 의한 결속방식으로 상기 파형강관(10)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밴드(60)에 의한 방식의 경우 조임볼트(63)를 최대한 조여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보다 손쉽게 연결작업을 할 수 있으며, 밀착력과 기밀성의 향상으로 누수를 최대한 차단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형강관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형강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형강관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형강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밀착가압면과 밀착경사면이 형성된 상태에서의 파형강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파형강관 12: 나선부
15: 평활수지관 20, 50: 연장부
25, 55: 고정판 26, 56: 날개편
28: 관통공 30: 고정볼트
35, 65: 패킹재 58: 밀착가압면
60: 고정밴드 61: 밀착경사면
63: 조임볼트

Claims (4)

  1. 내부에 평활수지관이 삽입된 파형강관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강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활수지관(15)은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게 연장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0)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고, 일측면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날개편(26)이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10)의 나선부(12)에 간섭되도록 단면이 '┥' 및 '┝' 형상을 갖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고정판(25)과;
    상기 고정판(25)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28)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25)을 상호 밀착시키는 고정볼트(30)와;
    상기 고정판(25)의 타측면에 상기 파형강관(10)의 연결시 상호 밀착된 고정판(25)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구비되는 패킹재(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26)은 상기 파형강관(10)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파형강관(1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도록 상기 나선부(12)를 적어도 두골 이상 감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장치.
  3. 내부에 평활수지관이 삽입된 파형강관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강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활수지관(15)은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게 연장부(5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50)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고, 일측면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날개편(56)이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10)의 나선부(12)에 간섭되도록 단면이 '┥' 또는 '┝' 형상을 갖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고정판(55)과;
    상기 고정판(55)의 외측에 상기 파형강관(10)의 연결시 상호 밀착된 고정판(55)을 감싸도록 조임볼트(63)에 의해 상기 고정판(55)에 밀착되는 고리형상의 고정밴드(60)와;
    상기 고정밴드(60)와 고정판(55)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패킹재(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55)의 외측에는 상기 날개편(56)의 상부면 일측에서 부터 상기 고정판(55)의 외주면으로 연장되게 밀착가압면(58)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가압면(58)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밴드(60)의 내측에는 밀착경사면(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0070093100A 2007-09-13 2007-09-13 파형강관 연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1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100A KR100919107B1 (ko) 2007-09-13 2007-09-13 파형강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100A KR100919107B1 (ko) 2007-09-13 2007-09-13 파형강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912A KR20090027912A (ko) 2009-03-18
KR100919107B1 true KR100919107B1 (ko) 2009-10-05

Family

ID=4069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1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9107B1 (ko) 2007-09-13 2007-09-13 파형강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976B1 (ko) * 2021-04-29 2021-08-23 대한강관 주식회사 이중수밀구조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일체형 내부평활 파형강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004B1 (ko) * 2010-08-30 2012-05-09 한국전력공사 파형관 이음재
CN103994286B (zh) * 2014-05-30 2016-04-06 靖江市维益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大小管连接处的固定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9781U (ko) 1981-02-25 1982-09-01
JPH03144186A (ja) * 1989-10-27 1991-06-19 Shiro Kanao 継手付波形管とその製造方法
KR0181000B1 (ko) * 1996-05-27 1999-02-18 김용택 플랜지가 형성된 합성수지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6126B1 (ko) 2007-01-04 2007-05-10 동원철강 주식회사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9781U (ko) 1981-02-25 1982-09-01
JPH03144186A (ja) * 1989-10-27 1991-06-19 Shiro Kanao 継手付波形管とその製造方法
KR0181000B1 (ko) * 1996-05-27 1999-02-18 김용택 플랜지가 형성된 합성수지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6126B1 (ko) 2007-01-04 2007-05-10 동원철강 주식회사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976B1 (ko) * 2021-04-29 2021-08-23 대한강관 주식회사 이중수밀구조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일체형 내부평활 파형강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912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691B1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KR100919107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7161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171334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90027957A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KR10083849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396397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N201090855Y (zh) 内衬卡压复合管连接件
KR20060082483A (ko) 파형강관 연결구
KR200431496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N209892935U (zh) 一种rtp管高压密封连接结构
KR200389344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N222392219U (zh) 一种涂塑钢管用快接装置
KR200420349Y1 (ko) 관 연결용 밴드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2211987B1 (ko) 파형관 hm 수밀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형관 연결구조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CN204922348U (zh) 埋地用抗沉降塑料双头抱箍伸缩节
CN2441008Y (zh) 管道堵漏装置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CN219388928U (zh) 一种具有钢圈接头的水泥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