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03832B1 - 1 이상의 견인력-개선 외부 표면을 갖는 재킷을 구비한엘리베이터 부하 지지 부재 - Google Patents

1 이상의 견인력-개선 외부 표면을 갖는 재킷을 구비한엘리베이터 부하 지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832B1
KR100903832B1 KR1020077020607A KR20077020607A KR100903832B1 KR 100903832 B1 KR100903832 B1 KR 100903832B1 KR 1020077020607 A KR1020077020607 A KR 1020077020607A KR 20077020607 A KR20077020607 A KR 20077020607A KR 100903832 B1 KR100903832 B1 KR 10090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load bearing
bearing member
polyurethane
tr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651A (ko
Inventor
마크 에스. 톰슨
존 피. 웨슨
윌리엄 에이. 베로네시
휴 제이. 오도넬
존 피츠
윌리엄 씨. 페론
애리 오. 멜로
케이트린 로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7702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832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8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D07B5/0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by the properties of an outer surface 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22Flat or flat-sided ropes; Sets of ropes consisting of a series of parallel rop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4Jackets or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7B2201/2086Jackets or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cerning the external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부하 지지 부재 조립체는 재킷(44) 상에 1 이상의 견인력 개선 표면(46)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기계적 제거 프로세스는 재킷이 인장 부재(2)들 상으로 압출된 후에 표면(46)으로부터 아마이드-리치 층의 적어도 일부를 벗겨 내는데 사용된다. 다른 예시에서는, 화학적 제거 프로세스가 사용된다. 개시된 또 다른 예시는 표면을 찢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1 이상의 견인력-개선 외부 표면을 갖는 재킷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부하 지지 부재{ELEVATOR LOAD BEARING MEMBER HAVING A JACKET WITH AT LEAST ONE TRACTION-ENHANCING EXTERIOR SURFACE}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 지지 부재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수 재킷 표면을 갖는 엘리베이터 부하 지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빌딩 내의 상이한 랜딩들로 승객들 또는 화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승강로 내에서 이동하는 캡 및 평형추를 포함한다. 로핑(roping) 또는 벨트와 같은 부하 지지 부재는, 통상적으로 시브들의 세트에 걸쳐 이동하고 캡 및 평형추의 부하를 지탱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는 다양한 타입들의 부하 지지 부재들이 존재한다.
예시적인 부하 지지 부재들은 인장 부재들(예를 들어, 강 코드들 또는 아라마이드 파이버들)을 둘러싸는 폴리머 재킷(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나일론)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들은 둥글거나 또는 편평할 수 있다.
몇몇 부하 지지 부재들의 경우에, 인장 부재들 위에 재킷을 적용하는 압출(extrusion) 프로세스는 재킷 적용 프로세스에 유리한 화학적 특성들을 갖는 재 료를 선택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로서 생성된 재킷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설치되는 경우 원하는 레벨의 견인력(traction)을 갖는데 있어 어려움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처리 관점으로부터 유리한 몇몇 재료를 이용하면, 재킷과 엘리베이터 시브 표면 간에 초래된 마찰 계수는 승강로 내의 견인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원하는 것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통상적인 프로세스들은 시브 접촉 표면들 상에서 재킷의 매끈(smooth)하거나 광택이 있는(glossy) 외부를 생성한다. 몇몇 예에서, 이러한 매끈함은 재킷과 견인 시브 간에 바람직하지 않은 부착(adhesion)을 초래할 수 있다. 대개의 경우에, 매끈한 표면과 견인 시브 사이에서 초래된 마찰 계수는 원하는 견인 성능과 조화되지 않는다.
몇몇 재킷들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폴리우레탄 공급자들은 왁스, 성형 이형제(mold release agent) 및 우레탄 처리를 촉진하는 성분들과 같은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스톡(polyurethane stock)을 제공한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통상적으로 몰딩 프로세스 동안 재킷의 표면으로 옮겨진다(migrate). 이러한 왁스들, 성형 이형 및 처리 제(mold release and processing agent)들은 폴리우레탄 표면으로 옮겨져, 상술된 견인의 어려움들을 제공하는 표면 층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구성은 통상적인 폴리머 재킷의 바람직하지 않은 마찰 특성들을 최소화 또는 제거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요구에 대응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 지지 부재를 제조하는 예시적 방법은 순수 폴리우레탄이 노출되도록 1 이상의 인장 부재를 일반적으로 둘러싸는 폴리머 재킷의 1 이상의 표면으로부터의 층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표면 전체에 걸쳐 순수 폴리우레탄을 완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표면 층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화학적 워싱(chemical wash) 또는 화학적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제거된다. 또 다른 예시에서, 표면 층의 적어도 일부는 재킷 표면을 어브레이딩(abrading), 러빙(rubbing) 또는 그라인딩(grinding)하는 것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제거된다. 또 다른 예시에서, 표면 층은 밑에 있는(underlying) 폴리우레탄 층이 상기 표면에서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딤플 롤러(dimpled roller)에 의해 찢겨진다(disrupted).
일 예시의 부하 지지 부재는 1 이상의 인장 부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재킷은 인장 부재를 둘러싼다. 재킷은 재킷의 외부 상에 노출되는 순수 폴리우레탄을 갖는 1 이상의 표면을 가진다. 일 예시에서, 노출된 순수 폴리우레탄을 갖는 표면은 매끈하다. 또 다른 예시에서, 표면은 거칠다(rough).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당업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첨부된 도면들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예시적 부하 지지 부재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또 다른 예시적 부하 지지 부재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3은 도 2의 라인 3-3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부하 지지 부재를 제조하는 예시적 방법의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방법의 일 부분을 수행하는 하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예시적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예시적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예시적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9는 예시적 재킷의 표면을 찢는 예시적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부하 지지 부재(40)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복수의 코드(42)들은 부하 지지 부재(40)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일 예시에서, 코드(42)들은 강 와이어의 스트랜드들로 만들어진다. 재킷(44)은 일반적으로 코드(42)들을 둘러싼다. 또 다른 예시에서, 부하 지지 부재는 직사각형이라기 보다는 둥글며, 단 하나의 인장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시에서, 재킷(44)은 폴리우레탄-기반 재료를 포함한다. 다수의 이러한 재료들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며,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 유용하다는 것이 당 업계에서 알려져 있다. 일 예시에서, 바람직한 우레탄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이다. 다른 예시들은, 특수화된(specified) TPU가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들을 제공하는 한, 에테르, 에스테르 및 지방족 계(aliphatic based) TPU와, 불소 또는 다른 원소들을 함유하는 유도체들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TPU를 포함한다. 주어진 이러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들은 그들의 특정 상황의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재킷 재료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 재킷(44)은 부하 지지 부재(40)의 외부 길이(L), 폭(W) 및 두께(t)를 조성한다. 일 예시에서, 부하 지지 부재의 폭(W)은 대략 30 mm이고 두께(t)는 대략 3 mm이다. 동일한 예시에서, 코드(42)들은 1.65 mm의 직경을 갖는다. 코드(42)들은 조립체의 전체 길이(L)를 따라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 재킷(44)은 외부 표면들(46 및 48)을 갖는다. 표면들(46 또는 48) 중 1 이상의 표면은, 부하 지지 부재(40)가 원하는 엘리베이터 캡의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할 때, 견인 시브와 접촉하며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접촉할 수도 있다. 적어도 외부 표면(46)은 몇몇 노출된 순수 폴리우레탄을 갖는다. 일 예시에서, 순수 폴리우레탄은 폭(W)에 걸쳐 그리고 길이(L)를 따라 노출된다.
예시적 조립체는 표면(46)을 주기적으로 구분하는(interrupting) 복수의 이 격된 홈(47)들을 포함하며, 이는 몇몇 벨트-제조 기술로부터 나온 것이다. 홈의 배치들에서 코드들의 부분들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도 있고 알려진 바와 같이 재킷(44)의 재료로 완전히 커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홈(47)들은 노출되는 순수 폴리우레탄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홈들 사이에서 확장되는 재킷의 적어도 부분들은 다소의 노출된 순수 폴리우레탄을 갖는다.
표면(46)은 재킷(44)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몰딩 및 경화 프로세스들 동안 재킷(44)의 표면으로 옮겨지는 아마이드-리치(amide-rich) 층의 일부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디스패칭(즉, 제거 또는 찢음)함으로써 생성된다. 표면(46)의 상기 층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패칭(dispatching)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후술된다.
도 1의 예시에서, 표면(46)은 매끈하다. 이 예시에서, 제거된 아마이드-리치 층의 화학적 특성들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매끈한 표면은 (우레탄 재킷들을 갖는 종래 벨트들에서 발생되는 것과 같이) 원하는 견인을 방해하지 않는다. 노출된 순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표면 층은 보다 바람직한 견인 특성들을 나타낸다.
일 예시에서, 전체 아마이드-리치 층은 (홈(47)들을 제외한) 전체 표면(46)이 노출된 순수 폴리우레탄을 갖도록 제거된다. 또 다른 예시에서, 아마이드-리치 층의 일부는 표면(46) 상에 남는다. 후자의 예시에서, 표면(46)의 일부만 노출된 순수 폴리우레탄을 갖는다.
도 2 및 3은 편평한 벨트로서 구성되지만 표면(46') 상에 어떠한 홈(47)들도 포함하지 않는 부하 지지 부재(4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3 의 예시는 홈(47)들이 도 1의 실시예에서만 존재하도록 도 1의 실시예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제조 기술과는 상이한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이 예시에서는, 표면(46') 상에 복수의 임프레션들(impressions;49)이 제공되어, 표면이 거칠게 이루어진다.
예시적 표면(46')의 거칠기는 표면(46')을 거칠게(즉, 매끈하지 않게) 하는 복수의 표면 불규칙부들(surface irregularities)을 포함한다. 나타낸 예시에서, 복수의 임프레션(49)들은 표면(46')에 대해 분포된다. 몇몇 예시들에서, 표면 불규칙부들의 패턴은 제어되는 방식으로 조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들에서, 표면 불규칙부들은 표면(46')에 걸쳐 임의로 분포된다.
일 예시에서, 표면(46') 상에는 5 미크론 이상 깊은 복수의 임프레션(49)들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의 요구들에 따라 보다 깊은 임프레션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시에서, 거친 표면(46')은 전체 표면에 걸쳐 순수 폴리우레탄이다. 이 예시에서, 임프레션(49)들은 전체 아마이드-함유(amide-containing) 층을 제거하는 프로세스 동안 폴리우레탄 재료 내에서 만들어진다.
또 다른 예시에서는, 아마이드-리치 층의 일부가 남는다. 일 예시에서, 임프레션(49)들은 이 예시에서의 아마이드-리치 층의 대응되는 부분들의 제거로부터 생성되며, 상기 임프레션(49)들은 노출된 순수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거친 표면은 우레탄 위에 아마이드-리치 층을 갖는 매끈한 표면과 비교하여 부하 지지 부재와 견인 시브 사이에 현저히 상이한 마찰 계수를 제공한다. 몇몇 예 시들에서의 거친 표면(46)은 견인력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재킷(44')의 제조를 위해 선택된 우레탄 재료에 따라, 만일 마찰 계수가 증가되는 압력과 더불어 감소된다면, 거친 표면(46')은 효과적으로 압력을 증가시키고 마찰을 감소시킨다. 한편, 몇몇 우레탄 재료들에 의하면, 마찰 계수가 증가되는 압력과 더불어 증가됨으로써, 증가된 거칠기가 마찰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어느 한 상황에서, 표면(46')의 거칠기는 아마이드-함유 재료의 일부가 남는 경우에도 부착성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확실한 마찰을 부여한다. 이러한 설명의 수혜를 입는 당업자들은 부하 지지 부재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해 선택된 재료를 고려하여 그들의 특정 상황의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절한 표면 조직(texture)(즉, 거칠기)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일 예시의 부하 지지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코드 공급부(40)는 코드(42)들을 제공한다. 위치설정 디바이스(52)는 코드들이 부하 지지 부재(40)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하게 확장되도록 원하는 정렬로 코드(42)들을 정렬시킨다. 인장 디바이스(tensioning device;54)는 재킷 적용 프로세스 동안 코드(42)들 상의 인장의 양을 제어한다. 재킷 적용 스테이션(56)은 재킷 재료를 코드(42)들 상에 적용하기 위한 적합한 몰드 또는 여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부(58)는 선택된 재료를 통상적인 방식으로 재킷 적용 스테이션(56)에 제공한다. 재킷 재료는 코드(42)들에 압력 몰딩되거나, 압출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형성된 조립체는 마무리(finishing) 스테이션(60)에서 마무리된다. 나타낸 예시에서, 마무리 스테이션은 재킷(44)으로부터 1 이상의 표면 층의 적어도 일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1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5는 재킷(44) 표면(46)으로부터 아마이드-리치 층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어브레이딩 패드(65)는 표면(66)이 적어도 재킷(44)의 표면(46)과 맞물리도록 마무리 스테이션(66)의 기계 장치(machinery)에서 지지되는 거친 표면(66)을 갖는다. 일 예시에서, 이동하는 기계 장치는 표면(46)으로부터 소정의 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어브레이딩 디바이스(65)가 원 운동 또는 왕복 운동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재킷(44)에 대해 러빙되도록 한다.
도 6는 샌드페이퍼와 같은 연마 시트(67)가 마무리 스테이션(60) 내에서 적절히 지지되어 표면(46)으로부터 원하는 양의 재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표면(46)과 접촉하는 또 다른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표면(46)으로부터 재료를 제거하기 위한 또 다른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 예시에서, 버핑 패드(buffing pad;68)는 표면(46)이 적절한 양의 거칠기를 가질 때까지 상기 표면을 버핑(buff)하기 위하여, 적어도 상기 표면(46)에 대해 러빙되도록 적절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도 9는 표면(46)을 찢는데 유용한 롤러(63)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시는 표면을 찢고 상기 표면(46)의 대응되는 위치들에서 순수 폴리우레탄을 노출시키는 돌출부(64)들을 포함한다. 몇몇 예시들에서, 롤러(63)는 표면(46)으로부터 재료를 제거하지 않고, 단지 재료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변형시킨다. 조직화된(textured) 롤 러 또는 휠을 이용하여 표면 층을 찢는 것은 탄성 재킷이 압출로부터 가열되는 동안 일어날 수 있다. 대안적인 프로세스는 압출 후에 소정 시간 동안 냉(cool) 열가소성 재킷의 표면을 변형시키기 위하여 가열된 롤러 또는 외부 열 원을 이용한다. 이 방법의 원리는 왁스들의 표면 층을 찢고 베이스 엘라스토머 특성들이 그를 통해 프린팅되도록 하는 것이다.
표면(46)으로부터의 재료를 기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나타낸 특정 디바이스(들)은 주어진 적용에 바람직한 재킷 및 특정 표면 조직을 만들기 위해 선택된 특정한 재료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거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재료의 취급을 촉진하기 위해 건식 또는 습식일 수 있다. 본 설명의 수혜를 입는 당업자들은 그들의 상황에 최적의 것을 실현할 것이며, 이는 상술된 디바이스들 또는 여타의 기능적으로 유사한 디바이스들의 1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7 및 9의 예시들은 기계적 변위(displacing) 기술들을 예시한 한편, 또 다른 예시의 마무리 스테이션(60)은 화학-기반의 제거 프로세스를 활용한다. 어플리케이터(applicator;70)는, 예를 들어 2-부톡시에탄올 및 물의 혼합물과 같은 화학적 워시(wash)를 적어도 일 예시의 표면(46)에 적용하여, 상기 표면(46) 상의 재료를 부분적으로 마멸(erode)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물에 의해 화학적 워시가 씻겨져 나간 뒤 노출된 순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표면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는, 화학적 에칭 기술이 적어도 표면(46)에 적용된다. 본 설명이 수혜를 입는 당업자들은 적절한 화학제들 및 처리 시간들을 선택하여, 적어도 표면(46) 중 원하는 양의 순수 폴리우레탄 노출을 달성함으로써 그들의 특정 상황의 요구들을 충족시킬 것이다.
일 예시에서, 마무리 스테이션(60)은 또한 포밍(forming) 디바이스, 치수 검사 디바이스 및 재킷 재료 및 상기 재료 내의 코드들이 적절한 온도로 냉각되는 경화 냉각 수조(curing cold water bath)를 포함한다. 마무리 스테이션 포밍 디바이스는 원하는 외부 구조(즉,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재킷에 힘을 가하는(force) 강성(rigid)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려진 레이저 삼각 측정 장치와 같은 검사 디바이스는 원하는 기하학적 구조가 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다음, 결과적인 부하 지지 부재(40)는 바람직하게 스토리지(62)에 저장되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서의 설치를 위해 다양한 지역들로의 수송을 위하여 스풀(spool)들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하 지지 부재(40)는 특정한 길이들로 사전 커팅(precut)되거나 또는 설치시 기술자가 특정한 적용을 위해 적절한 양의 벨트 재료를 선택할 경우 보다 많은 양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제한이라기 보다 예시적이다. 개시된 예시들에 대한 변형례들 및 수정례들은, 반드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적인 보호 범위는 후속 청구항들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Claims (22)

  1.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부하 지지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머 재킷의 원하는 견인 특성을 얻기 위하여 1 이상의 인장 부재를 둘러싸는 상기 폴리머 재킷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의 적어도 일부의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된 재료을 갖는 표면측이 적어도 견인 시브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재료를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면에 화학제(chemical)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제는 2-부톡시에탄올과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에칭하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워싱하는 단계 중 1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재료를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면을 러빙(rubbing), 그라인딩(grinding), 어브레이딩(abrading) 또는 버핑(buffing) 하는 단계 중 1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면을 찢는(disrupt)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순수 폴리우레탄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재킷은 제 1 마찰 특성을 갖는 내부 층 및 제 2의 상이한 마찰 특성을 갖는 표면 층을 가지며,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층의 적어도 일부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 지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는,
    폴리머 재킷의 원하는 견인 특성을 얻기 위하여 1 이상의 인장 부재를 둘러싸는 상기 폴리머 재킷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의 적어도 일부의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된 재료을 갖는 표면측이 적어도 견인 시브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재료를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하나의 표면에 화학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제는 2-부톡시에탄올과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하나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에칭하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워싱하는 단계 중 1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재료를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하나의 표면을 러빙, 그라인딩, 어브레이딩 또는 버핑 하는 단계 중 1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하나의 표면을 찢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하나의 표면 상에 순수 폴리우레탄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은 제 1 마찰 특성을 갖는 내부 층 및 제 2의 상이한 마찰 특성을 갖는 표면 층을 가지며,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내부 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19.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부하 지지 부재에 있어서,
    1 이상의 인장 부재; 및
    상기 인장 부재를 둘러싸는 재킷을 포함하고,
    상기 재킷의 원하는 견인 특성을 얻기 위하여, 상기 재킷은 상기 재킷의 가장 바깥쪽 층의 적어도 일 부분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노출된 순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된 순수 폴리우페탄을 포함하는 표면측이 적어도 견인 시브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순수 폴리우레탄은 상기 하나의 표면 전체에 걸쳐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면은 매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지지 부재.
KR1020077020607A 2007-09-07 2005-02-09 1 이상의 견인력-개선 외부 표면을 갖는 재킷을 구비한엘리베이터 부하 지지 부재 Expired - Lifetime KR10090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0607A KR100903832B1 (ko) 2007-09-07 2005-02-09 1 이상의 견인력-개선 외부 표면을 갖는 재킷을 구비한엘리베이터 부하 지지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0607A KR100903832B1 (ko) 2007-09-07 2005-02-09 1 이상의 견인력-개선 외부 표면을 갖는 재킷을 구비한엘리베이터 부하 지지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651A KR20070104651A (ko) 2007-10-26
KR100903832B1 true KR100903832B1 (ko) 2009-06-25

Family

ID=3881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607A Expired - Lifetime KR100903832B1 (ko) 2007-09-07 2005-02-09 1 이상의 견인력-개선 외부 표면을 갖는 재킷을 구비한엘리베이터 부하 지지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305A (ko) * 2017-01-30 2018-08-0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부하 지지 부재 표면 처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6786A (en) 1994-03-02 1996-10-22 Inventio Ag Cable as suspension means for lifts
KR19990083527A (ko) * 1998-04-27 1999-11-25 모리시타 요이찌 열경화성수지경화물의분해처리방법및분해처리장치
US6295799B1 (en) 1999-09-27 2001-10-02 Otis Elevator Company 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
KR20040030497A (ko) * 2001-02-12 2004-04-0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기용 평탄 인장 부재의 방향 균일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6786A (en) 1994-03-02 1996-10-22 Inventio Ag Cable as suspension means for lifts
KR19990083527A (ko) * 1998-04-27 1999-11-25 모리시타 요이찌 열경화성수지경화물의분해처리방법및분해처리장치
US6295799B1 (en) 1999-09-27 2001-10-02 Otis Elevator Company 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
KR20040030497A (ko) * 2001-02-12 2004-04-0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기용 평탄 인장 부재의 방향 균일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305A (ko) * 2017-01-30 2018-08-0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부하 지지 부재 표면 처리
KR102581234B1 (ko) * 2017-01-30 2023-09-2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부하 지지 부재 표면 처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651A (ko) 200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08371A1 (en) Elevator load bearing member having a jacket with at least one traction-enhancing exterior surface
US8449349B2 (en) Elevator load bearing member having a jacket with at least one rough exterior surface
JP5848753B2 (ja) 織繊維によって画成される少なくとも1つの牽引面を有するエレベータの懸吊および/または駆動アセンブリ
JP4288168B2 (ja) 騒音と振動を低減する溝なしジャケット構成を有するエレベータベルトアッセンブリ
WO2004029343A1 (en) Elevator belt assembly with prestretched synthetic cords
KR100903832B1 (ko) 1 이상의 견인력-개선 외부 표면을 갖는 재킷을 구비한엘리베이터 부하 지지 부재
JP4386371B2 (ja) エレベータ装置
HK1117111B (en) Load bearing member for use in an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842663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하는 하중 지지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과,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하는 하중 지지 부재
JP4523364B2 (ja) エレベータ
HK1151500A (en) Elevator load bearing member having a jacket with at least one rough exterior surface
KR20080044361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하는 하중 지지 부재를 제조하는방법과,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하는 하중 지지 부재
JP4516546B2 (ja) エレベータ装置
HK1104259B (en) Elevator load bearing member having a jacket with at least one rough exterior surface
JP2007210796A (ja) エレベータ装置
HK1181024B (en) Elevator suspension and/or driving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traction surface defined by weave 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