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091B1 -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2091B1 KR100902091B1 KR1020090002413A KR20090002413A KR100902091B1 KR 100902091 B1 KR100902091 B1 KR 100902091B1 KR 1020090002413 A KR1020090002413 A KR 1020090002413A KR 20090002413 A KR20090002413 A KR 20090002413A KR 100902091 B1 KR100902091 B1 KR 1009020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level
- stopper
- shaft
- ca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71 agricultural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 of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으로 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 공급이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용수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upply for agricultural water for a single channel so that water supply can be made evenly by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paddy without power and reducing waste of water.
본 발명은 논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A)와, 상기 수위감지부에 연동되어 수위가 낮으면 물을 공급하고 수위가 높으면 물을 차단하도록 하여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용수제어부(B)로 구성되며, 상기 수위감지부(A)는, 하부에 용수유입구(2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용수제어부에 통하는 장공(26)이 형성된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2)의 내부에 삽입되며 수위 변동시 부력에 의해 높낮이가 변동되는 플로우트(4)를 포함하고, 상기 용수제어부(B)는, 상기 케이싱(2)의 측면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수로에 통하는 흡입구(32)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34)가 형성된 용수함체(3)와, 상기 용수함체(3)의 바닥에 형성된 토출공(30)을 막도록 설치되는 물마개(10)와, 상기 물마개(10)의 하부에 형성된 보스축(13)과, 상기 보스축(13)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플로우트(4)에 연동되는 구동축(7)에 힌지결합된 링크축(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level control unit (A) installed in the paddy field to detect the water level and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to supply water when the water level is low and block the water when the water level is high in conjunction with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B),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A), the water inlet 2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2) formed with a long hole 26 through the water control unit on the side, and the casing (2) It includes a float (4)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the height is changed by the buoyancy when the water level fluctuates, The water control unit (B)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asing (2), the inlet 32 through the water channel on one side is And a water stopper 10 formed to block a discharge hole 30 formed at a bottom of the water container 3, a water stopper 3 having a discharge hole 34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water stopper 10 of the water stopper 10. The boss shaft 1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one end is hinged to the boss shaft 13 The other end comprises a link shaft 9 hinged to the drive shaft 7 interlocked with the float 4.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동력으로 농업용수의 공급을 자동 제어할 수 있고,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의 논까지 물 공급이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물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for waterways,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with no power, and evenly supply water from upstream to downstream rice fiel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for a single channel to reduce waste.
일반적으로 종래 토공수로에서 농업생산기반 구축으로 인하여 전국 대부분의 논이 경지정리 사업을 통해서 수로가 콘크리트 구조물로 개선되었지만, 아직도 논에 물공급하는 것은 원시적인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In general, due to the constr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bases in conventional earthworks, most of the country's paddy fields have been improved to concrete structures through arable land reclamation projects, but water supply to the paddy fields has not escaped from the primitive method.
따라서 물의 낭비는 물론이고 상류측 논에서 용수를 사용하면, 하류측 논은 용수가 부족하여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으며, 또한 수원공인 양수펌프장에서는 계속 운전을 해도 물부족 현상은 여전하다.Therefore, if water is used in the upstream paddy field as well as waste of water, the downstream paddy field lacks water, and many problems are exposed, and the water shortage phenomenon still remains even if the pump is operated in the water source.
도 1은 현재 농업용수의 공급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urrent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의 개수로에서 논에 물은 공급하는 시스템은 콘크리트로 된 간선수로(R)에서 분기된 지선수로(S)에 각 논(F)마다 70~150mm 정도의 PVC관으로 물꼬(T)를 설치하여 용수를 공급하는데, 상기 물꼬(T)는 짚이나 헝겊 등으로 막아서 물의 유입을 막고 있는 실정이다.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for supplying water to the paddy field in the current channel has a diameter of about 70 to 150 mm for each paddy field (F) in the branch line (S) branched from the concrete trunk line (R). A water pipe (T) is installed in a PVC pipe to supply water, and the water wire (T) is blocked by a straw or a cloth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따라서 농민들은 아침 일찍 논에 나와서 짚이나 헝겊으로 된 물마개를 열고 용수를 논에 공급하고 저녁이 되면 다시 닫고 하는 것을 되풀이 한다.Therefore, farmers come to the rice paddies early in the morning, open straw or cloth caps, supply water to the rice paddies, and close them again in the evening.
또한, 지선수로의 길이가 보통 300~1000m 정도의 길이로서 상류측 논에서 물꼬를 계속 열어 놓으면 용수가 부족하게 되어 하류측 논에는 용수의 공급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만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upporter is usually about 300 ~ 1000m, and if water is kept open in the upstream paddy field, the water is insufficient and the supply of water to the downstream paddy field is almost impossible.
이로 인해 농민들 간의 분쟁이 발생되기도 하고, 무엇보다 수자원의 효율적인 분배가 안되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disputes between farmers occur, and most of 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t distribution of water resources is not wast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벼의 생육시기에 따라 논의 수위를 조절하여 용수를 공급하다가 정해진 수위에 도달하면 물마개가 자동으로 닫혀서 용수의 공급을 중지함으로써 수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상류측은 물론 하류측까지 고르게 용수를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한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adjusting the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growing season of the rice to supply water, and when the water level is reached, the water stopper is automatically closed to stop the supply of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upply for agricultural water for a single channel to minimize waste and to supply water evenly upstream and downstream.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는, 논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수위감지부에 연동되어 수위가 낮으면 물을 공급하고 수위가 높으면 물을 차단하도록 하여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용수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위감지부는, 하부에 용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용수제어부에 통하는 장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며 수위 변동시 부력에 의해 높낮이가 변동되는 플로우트를 포함하고, 상기 용수제어부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수로에 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용수함체와, 상기 용수함체의 바닥에 형성된 토출공을 막도록 설치되는 물마개와, 상기 물마개의 하부에 형성된 보스축과, 상기 보스축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플로우트에 연동되는 구동축에 힌지결합된 링크축으로 구성된다.Automatic water supply for agricultural water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leve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s installed in the paddy field, the water level is linked to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to supply water and the water level is low It is composed of a water control unit to supply water by blocking the water if high,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the casing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water inlet is formed in the long hole through the water control unit, and the water level is inserted into the casing And a float whose height is changed by buoyancy upon fluctuation, wherein the water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asing, and a water inle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water passage,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the bottom of the water container. A water stopper provided to block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water stopper, a boss shaft formed below the water stopper, and one end of the boss shaft It is hinged and the other end is adapted to the drive shaft that is linked to the float by a link shaft hinged.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장치의 플로우트에 의해서 논의 수위를 무동력 자동으로 개폐함으로써 벼의 생육시기에 따라 논의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growth time of rice by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level by the float of the water supply device.
또한 논의 수위에 따라 무동력으로 용수의 공급 및 정지가 가능하여 농업용수의 낭비를 막고, 상류측 논의 물관리로 인하여 하류측 논으로의 용수 분배가 용이하고, 농민의 물관리 노동시간 단축으로 농촌의 고령화에 적극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and stop the water without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ussion, to prevent the waste of agricultural water, and to facilitate the distribution of water to the rice paddies on the downstream side through the water management of upstream discussion, and to reduce the labor time of farmers' water management. Can actively cope with aging.
또 수원인 양수장 비용(전기세, 유지관리비)의 획기적 절감으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농업 용수로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o agricultural waterways nationwide due to the drastic reduction of the cost of the pumping station (electricity and maintenance cost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utomatic supply for agricultural water for water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써, 도 3은 열린 상태이고, 도 4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Attached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automatic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for water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automatic supply for agricultural water for water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n state, and FIG. 4 is a closed state.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는, 논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A)와, 상기 수위감지부에 연동되어 수위가 낮으면 물을 공급하고 수위가 높으면 물을 차단하도록 하여 용 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용수제어부(B)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automatic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for water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A) installed in the paddy field to detect the water level, and the water level is low in conjunction with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f the water supply is high and the water level is high, it is composed of a water control unit (B) to cut off the water to supply the wate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논'이라 함은 물이 저수되며 물이 소용되는 사용처를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논'이라 명칭하나 반드시 통상의 논(畓)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음을 밝혀둔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on' refers to a place where water is stored and water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erm 'non' is not limited to only ordinary rice. To reveal.
상기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Each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in detail.
수위감지부(A)는, 하부에 용수유입구(21)가 형성된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2)의 내부에 삽입되며 수위 변동시 부력에 의해 높낮이가 변동되는 플로우트(4)를 포함한다.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A) includes a casing (2) having a water inlet (21) formed at the bottom, and a float (4) inserted into the casing (2) and whose height is changed by buoyancy when the water level is changed. .
따라서 용수유입구(21)를 통해 논의 물이 유입되면 상기 플로우트(4)가 상승하게 되고, 이후 논에 저수된 용수의 수위 변동에 따라 플로우트(4)의 높낮이가 변동된다.Therefore, when the water of argument is introduced through the
상기 케이싱(2)은 내부가 빈 원통형 관체로써, 하부 일측에는 구동축(7)이 삽입되는 장공(26)이 형성되고, 케이싱(2)의 상단에는 뚜껑(22)이 결합되어 밀폐된다.The casing (2) is a hollow cylindrical body, the lower side is formed with a
상기 뚜껑(22)은 내부의 플로우트(4) 및 그의 부속품을 설치하거나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개폐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케이싱(2)의 하단에는 수로의 바닥과 같은 대상면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외주에 결합용 플랜지(24)가 더 구비된다.The lower end of the casing (2) is further provided with a
상기 용수유입구(21)는 논에 저수된 용수가 케이싱(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물의 이동은 허용하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수유입구(21)는, 케이싱(2)의 하부면을 수직형태로 천공시켜 된 슬릿(212)을 다수로 형성함으로써 물은 이동될 수 있으나 이물질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물론 이외에도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용수유입구(21)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various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which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상기 플로우트(4)는 케이싱(2)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부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가벼운 재질이거나 속이 빈 상태로 된 원판상이 적당하며, 상부 중앙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수직의 수위조절바(5)가 결합된다.The float (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2) and is made of a disc or a light material or hollowed out in order to have a buoyancy, vertical water level adjustment bar (5)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center is coupled do.
상기 수위조절바(5)는 일정 길이를 갖는 축봉으로써 외면에는 수위를 표시하는 눈금자(52)가 형성되고, 눈금마다 후술될 걸쇠(64)를 끼울 수 있도록 조절구멍(54)이 다수로 형성된다.The water
상기 수위조절바(5)의 상부는 가이드바(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upper part of the water
상기 가이드바(6)는 상부에 걸쇠체결부(62)가 형성되고, 상기 걸쇠체결부(62)에는 상기 수위조절바(5)의 조절구멍(54)에 끼워지는 걸쇠(64)가 결합되며, 하부에는 브라켓(66)이 결합되어 구성된다.The
상술한 가이드바(6)와 수위조절바(5)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논의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By adjusting the lengths of the above-described
즉, 벼의 생육기에는 다량의 물이 필요하므로 수위조절바(5)를 상부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면 플로우트(4)가 상승된 상태가 되므로 실제 설정 수위가 높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논에 저수되는 수위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a large amount of water is required in the growing season of rice, when the water
상기 가이드바(6)의 브라켓(66)은 일측에는 구동축(7)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결합부(662)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결합부(662)에는 제1축핀(81)이 끼워진다. The
상기 구동축(7)은 일정 길이를 갖는 축봉으로써, 그 일단은 브라켓(66)의 힌지결합부(662)에 삽입된 채 제1축핀(81)을 끼워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중간부위는 장공(26)에 부착된 브라켓(28)에 제2축핀(82)으로 힌지결합되어 시이소오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또, 구동축(7)의 타단은 케이싱(2)의 장공(26)을 관통하여 상기 용수함체(3)에 삽입된 후 물마개(10)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상기 용수제어부(B)는, 논의 수위에 따라 플로우트(4)의 수위 변동에 연동하여 물마개(10)가 개폐됨으로써 흡입구(32)를 통해 용수가 유입되어 토출구(34)를 통해 배출되어 논에 공급되거나 공급이 차단될 수 있어야 한다. The water control unit (B) i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change of the
상기 용수제어부(B)는, 상기 케이싱(2)의 측면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수로에 통하는 흡입구(32)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34)가 형성된 용수함체(3)와, 상기 용수함체(3)의 바닥에 형성된 토출공(30)을 막도록 설치되는 물마개(10)와, 상기 물마개(10)의 하부에 형성된 보스축(13)과, 상기 보스축(13)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타단부는 플로우트(4)에 연동되는 구동축(7)에 힌지결합된 링크축(9)으로 구성된다.The water control unit (B)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asing (2), one side is formed with a suction port (32) through the water channel, the
상기 용수함체(3)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상단에 뚜껑(36)이 결합되며, 일측에는 수로로부터 용수가 공급되는 흡입구(32)가 형성되고, 내측 바닥에는 토출공(30)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공(30)과 통하는 토출구(34)가 하부에 형성된다.The water container (3) can store a certain amount of water therein, the
상기 물마개(10)는 상기 토출공(30)을 막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토출공(3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원판(11)과, 상기 토출공(30)에 삽입되도록 상기 원판(11)의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12)가 형성된다.The
또, 상기 돌출부(12)의 중앙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하향돌출된 보스축(13)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축(13)에 링크축(9)의 일단이 연결되며, 이 링크축(9)의 타단은 상기 구동축(7)에 연결된다.In addition, a downwardly projected
특히, 본 발명은 물마개(10)의 개방각도를 조절하여 물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유량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flow rate adjust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water by adjus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water stopper (10).
즉,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링크축(9)에 구동축(7)과 연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절공(92)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That is,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is configured by forming a plurality of adjusting
따라서, 구동축(7)을 링크축(9)의 상부에 형성된 조절공(92)에 연결하면 물마개(10)의 개방각도가 감소되므로 이로 인해 물의 이동량도 감소된다.Therefore, when the
이와 반대로, 구동축(7)을 링크축(9)의 하부에 형성된 조절공(92)에 연결하면 물마개(10)의 개방각도가 최대가 되므로 이로 인해 물의 이동량은 증가하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이하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upling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수위감지부(A)의 케이싱(2)을 대상면에 설치하고, 일측에는 용수제어부(B)를 결합시킨다.The
즉, 케이싱(2)의 내부에 플로우트(4)를 삽입하고, 상기 플로우트(4)의 상면에 수직의 수위조절바(5)를 결합시킨 후 상기 수위조절바(5)의 상부에는 가이드바(6)를 끼운다.That is, the
이후, 상기 수위조절바(5)의 손잡이(56)를 잡고 적정한 높이로 올리거나 내려서 맞춘 후 상기 가이드바(6)의 상부에 마련된 걸쇠체결부(62)의 일단에 걸쇠(64)를 끼워 수위조절바(5)의 조절구멍(54)까지 관통시킴으로써 가이드바(6)와 수위조절바(5)가 일체로 거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n, after grasping the
이후, 상기 가이드바(6)의 하부 브라켓(66)의 힌지결합부에 제1축핀(81)을 매개로 하여 구동축(7)의 일단을 힌지결합하고, 상기 구동축(7)의 타단은 케이싱(2)의 장공(26)을 관통하여 용수함체(3)로 삽입한 다음, 링크축(9)을 연결하고, 상기 링크축(9)은 물마개(10)의 보스축(13)에 연결한다.Thereafter, one end of the
상기 물마개(10)는 토출공(30)을 막도록 배치하여 본 발명의 조립을 완료한다.The
상기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는 각 논의 물꼬에 설치된다.Agricultural water automatic suppl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is completed is installed in each rice paddy.
이후, 도 3을 참조하면, 논에 저수된 용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케이싱(2)의 내부에 삽입된 플로우트(4)가 하강하므로, 수위조절바(5)와 가이드바(6)가 일체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힌지결합된 구동축(7)이 시이소오 운동으로 회전된다.3,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rice field is lowered, the
따라서, 구동축(7)의 선단이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고, 이에 종동되어 링크축(9)이 상승하게 되며, 이에 의해 물마개(10)가 상승하면서 토출공(30)이 열리게 된다.Therefore, the tip of the
상기 토출공(30)이 열림에 따라 흡입구(32)로 유입된 용수가 토출공(30)을 통해 토출구(34)로 배출되어 논에 공급된다.As the
한편, 논에 적량의 용수가 공급되어 수위가 상승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우트(4)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수위조절바(5) 및 가이드바(6) 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7)이 반대의 방향으로 시이소오 운동으로 회전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suitabl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paddy field and the water level rises, as shown in FIG. 4, the
따라서, 구동축(7)의 선단이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고, 이에 종동되어 링크축(9)이 하강하게 되며, 이에 의해 물마개(10)가 하강하면서 토출공(30)을 막아 닫히게 된다.Therefore, the tip of the
이때 용수함체(3) 내에 차있는 물의 압력에 의해 물마개(10)가 토출공(30)에 밀착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논이 만수위가 되면 토출공(30)이 막혀 용수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용수는 더이상 흡입구(32)로 유입되지 않고 수로를 따라 하류의 논으로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각 논의 수위를 적정한 양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상류측 논에 용수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폐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addy water reaches the full water level,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현재 농업용수의 공급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urrent supply system of agricultural wat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분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automatic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for water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써, 도 3은 열린 상태이고, 도 4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for water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pen state, Figure 4 is a closed stat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케이싱 3 … 용수함체2 …
4 … 플로우트 5 … 수위조절바4 …
6 … 가이드바 7 …: 구동축6.
9 … 링크축 10 … 물마개9...
21 … 용수유입구 32 … 흡입구21.
34 … 토출구 52 … 눈금자34.
54 … 조절구멍 64 … 걸쇠54.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2413A KR100902091B1 (en) | 2009-01-12 | 2009-01-12 |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2413A KR100902091B1 (en) | 2009-01-12 | 2009-01-12 |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2091B1 true KR100902091B1 (en) | 2009-06-09 |
Family
ID=4098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24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2091B1 (en) | 2009-01-12 | 2009-01-12 |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209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5516A (en) * | 2020-10-05 | 2022-04-12 | 허광회 | Auto Water level Inlet For Irriga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03780A (en) * | 1994-01-27 | 1995-08-08 | Chubu Bika Kigyo Kk | Water-level controlling valve for irrigation |
KR100256845B1 (en) * | 1998-03-04 | 2000-06-01 | 노종호 |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
KR200199239Y1 (en) * | 2000-05-10 | 2000-10-02 | 농업기반공사 | Watering controller for irrigation canal |
JP2002125491A (en) * | 2000-10-26 | 2002-05-08 | Aichi Pref Gov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 Fixed water supply for irrigation |
-
2009
- 2009-01-12 KR KR1020090002413A patent/KR1009020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03780A (en) * | 1994-01-27 | 1995-08-08 | Chubu Bika Kigyo Kk | Water-level controlling valve for irrigation |
KR100256845B1 (en) * | 1998-03-04 | 2000-06-01 | 노종호 |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
KR200199239Y1 (en) * | 2000-05-10 | 2000-10-02 | 농업기반공사 | Watering controller for irrigation canal |
JP2002125491A (en) * | 2000-10-26 | 2002-05-08 | Aichi Pref Gov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 Fixed water supply for irrigat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5516A (en) * | 2020-10-05 | 2022-04-12 | 허광회 | Auto Water level Inlet For Irrigation |
KR102421205B1 (en) * | 2020-10-05 | 2022-07-14 | 허광회 | Auto Water level Inlet For Irrig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7715783U (en) | The floating control flow regulating valve of one kind | |
KR100902091B1 (en) |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 |
CN104255396A (en) | Automatic paddy field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 |
CN106069618A (en) | A kind of vertical drip irrigation appliance and system | |
RU2538811C1 (en) | Mouth of drain manifold | |
KR100886750B1 (en) |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 |
RU2667760C1 (en) | Drying system | |
CN204157399U (en) | Automatic rice paddy irrigation system | |
CN102696451B (en) | Pneumatic control flow drip irrigation tank for agricultural irrigation | |
KR100662861B1 (en) | Hydrologic switchgear for waterways and drip blocks | |
KR100375550B1 (en) | Sluice for Pipe Line | |
JPH0247415A (en) | Automatically irrigating method for paddy field irrigation water | |
KR100919132B1 (en) | Water level keeping structure for floodgate and floodgate using the same | |
KR100450908B1 (en) |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for irrigation ditch | |
KR100256845B1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 |
CN2580752Y (en) | Energy source free automatic irrigation apparatus | |
KR20000061564A (en) | Farming a waterway draw water into system | |
JP2827096B2 (en) | Automatic flow controller for in-field water etc. | |
KR100853502B1 (en) | Pipe Water Injector | |
CN207109768U (en) | A kind of water channel of water-saving irrigation | |
KR200199239Y1 (en) | Watering controller for irrigation canal | |
KR101123754B1 (en) | Supply apparatus for cultural water | |
CN206165349U (en) | Automatic irrigation equipment in field | |
KR200430399Y1 (en) | Angle Hook-type Sluice | |
KR200240094Y1 (en) | An automatic water supply for submersed ro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2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