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531B1 -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1531B1 KR100901531B1 KR1020070009688A KR20070009688A KR100901531B1 KR 100901531 B1 KR100901531 B1 KR 100901531B1 KR 1020070009688 A KR1020070009688 A KR 1020070009688A KR 20070009688 A KR20070009688 A KR 20070009688A KR 100901531 B1 KR100901531 B1 KR 1009015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 charge
- terminal
- pers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25 referen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작업단위별 담당자에게 부여된 각각의 고유식별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담당자 측 단말기, 단말기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버 및 서버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며 관리자에게 부여된 고유식별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관리자 측의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서버는, 컨텐츠의 정보, 컨텐츠에 해당하는 개별 작업단위, 개별 작업단위별 담당부서, 담당부서에 소속된 담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계통적으로 연계된 정보인 종합정보 및 종합정보에 기초된 작업 진행 스케줄에 관한 정보인 스케줄정보가 저장되는 컨텐츠DB부; 단말기에서 입력된 담당자별 작업결과물에 관한 작업결과정보를 전송받아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고,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작업결과정보에 관하여 작업수정을 요청하는 신호인 보류신호 또는 다음 작업단위로의 작업인계에 관한 신호인 승인신호를 입력받아 단말기 또는 후속담당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스케줄정보를 갱신하고, 작업단위별 각 담당자의 작업진행상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디지털컨텐츠, 작업단위, 작업관리, 작업통계, 애니메이션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는 도 1의 컨텐츠DB부에 스케줄정보의 저장을 위한 화면구성 예시도,
도 2b는 도 1의 컨텐츠DB부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에 표시되는 작업상태정보의 화면구성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통신부를 이용한 작업결과정보 전송, 보류신호의 전송, 보류신호의 확인 및 승인신호의 전송에 관한 화면구성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작업관리부에 관한 화면구성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레퍼런스저장부에 관한 화면구성 예시도,
도 6은 도 1의 작업통계부 중 제1통계부에 관한 화면구성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작업통게부 중 제2통계부에 관한 화면구성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유무선통신망
100...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110...서버 111...컨텐츠DB부
112...통신부 113...작업관리부
115...작업통계부 116...제1통계부
117.,..제2통계부 117...예측부
118...레퍼런스저장부 120...관리자단말기
130...단말기
본 발명은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순차적으로 연계되며 복수 개의 독립된 작업단위에 기반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에 있어서 작업단위별 작업진행의 상호 연계성을 증진시키고 작업단위의 관리 효율을 증진시키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 광고 등과 같은 디지털컨텐츠 제작에는 거대 인원 및 거대 시간이 투입 및 소요되며 복수 개의 작업단위로 구성되어 각 작업단위별 인원이 투입되어 진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컨텐츠가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각 작업단위는 스토리보드(Story board), 블로킹 애니메이션(Blocking animation), 디테일 애니메이션(Detail animation), 라이팅(Lighting), 특수효과(F/X) 등일 수 있고, 이러한 디지털켄텐츠를 구성하는 각 작업단위로 구분되는 개별 담당부서와 소속된 담당자 등 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단위별 담당자가 구분된 경우에 있어서, 해당 디지털컨텐츠 또는 각 작업단위에 관한 지휘와 감독을 수행하는 소정 감독관은 각 담당자에 의해 진행된 작업결과물의 검토가 있은 후, 다음 작업단위의 후속 담당자에 의한 후속작업이 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담당자에게 작업승인 명령을 내림에 따라 상기 작업결과물이 후속담당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감독관의 검토결과, 작업결과물에 관한 수정지시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작업결과물을 수행한 해당 담당자에게 수정명령을 내리고 수정된 작업결과물을 다시 확인하여 수정을 재반복 요청하거나 또는 작업승인 명령을 내려 상기와 같은 후속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각 작업단위별 담당자에 의해 작성된 작업결과물을 상기 담당자가 이메일 또는 네트워크 파일공유를 통해 감독관에게 전송하고, 감독관으로 하여금 이를 확인하여 다시 이메일, 파일공유, 전화, 오프라인 대화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담당자에게 수정명령 또는 작업승인이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메일, 파일공유, 전화 등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각 작업단위별 담당자와 감독관 간 또는 담당자 간의 자료 전송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호 간의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 등의 부적절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작업오류가 발생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상기 컨텐츠 제작시간을 낭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감독관에게 전송된 각 담당자별 작업결과물들 간의 분류 또는 통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개별 작업단위 또는 담당자별 작업관리, 작업평가 등이 체계적으로 수행되지 못하게 되고, 또한 담당자 또는 감독관으로 하여금 해당 컨텐츠 프로젝트에 관한 스케줄, 작업단위별 진행상황, 작업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실적 등의 파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각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 스케줄 확인, 작업관리 및 작업성취도 평가가 용이하고, 각 작업단위별 담당자 간의 의사소통 및 업무연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순차적으로 연계되며 복수 개의 독립된 작업단위에 기반한 컨텐츠 제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작업단위별 담당자에게 부여된 각각의 고유식별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기 담당자 측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버 및 상기 서버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며 관리자에게 부여된 고유식별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기 관리자 측의 관리자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컨텐츠의 정보,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개별 작업단위, 상기 개별 작업단위별 담당부서, 상기 담당부서에 소속된 담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계통적으로 연계된 정보인 종합정보 및 상기 종합정보에 기초된 작업 진행 스케줄에 관한 정보인 스케줄정보가 저장되는 컨텐츠DB부; 상기 단말기에서 입력된 담당자별 작업결과물에 관한 작업결과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결과정보에 관하여 작업수정을 요청하는 신호인 보류신호 또는 다음 작업단위로의 작업인계에 관한 신호인 승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 또는 후속담당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케줄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작업단위별 각 담당자의 작업진행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작업관리부는, 상기 담당자 또는 상기 관리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식별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따라 차등적으로 구분된 정보를 상기 고유식별번호가 입력된 단말기 또는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보류신호 또는 승인신호를 상기 담당자 또는 상기 후속담당자의 이메일로 더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케줄정보는, 상기 담당자별 또는 담당부서별로 할당된 작업의 기일정보, 작업의 진행/완료/대기/정지/기일초과에 관한 작업상태정보가 해당날짜에 따라 색상 또는 특정이미지로 구분되어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관리자단말기 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줄 정보는, 상기 관리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정보가 입력되어 인증되는 경우에 상기 관리자에 의하여 변경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작업관리부는,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검색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일시, 담당부서 또는 담당자별로 정렬된 상기 업무진행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관리부는, 상기 단말기 측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특정작업에 관한 진행정도를 나타내는 작업진척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작업진척도정보 및 상기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각 담당자의 특정작업별 또는 담당부서별로 작업진행상태를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각 단말기 측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디지털컨텐츠 제작을 위한 참고자료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단말기의 담당자가 소속된 담당부서별로 구분 저장하고 저장된 참고자료정보를 상기 각 단말기 또는 관리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레퍼런스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승인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수행성취도를 상기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결과를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단말기에 제공하는 작업통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통계부는, 상기 담당부서에 소속된 각 담당자별 상기 특정작업에 관한 승인신호가 수신된 작업완료상태, 상기 담당자의 특정작업의 작업진행개시에 관한 신호인 작업개시신호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작업진행상태 및 상 기 작업개시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작업대기상태로 각각 구분하고, 상기 담당자가 수행하는 작업의 전체상태에 대비한 각 상태의 점유율에 관한 작업수행성취도인 진행상태점유 통계데이터를 날짜단위별로 제공하는 제1통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통계부는, 상기 담당부서에 소속된 각 담당자별 상기 스케줄정보에 저장된 작업목표치와 상기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한 작업완료치를 비교한 작업수행성취도인 목표완료치비교 통계데이터를 날짜단위별로 제공하는 제2통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통계부는, 상기 스케줄 정보의 갱신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전체 컨텐츠 제작 작업의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컨텐츠는, 애니메이션이며, 상기 작업단위는, 스토리보드(Story board), 블로킹 애니메이션(Blocking animation), 디테일 애니메이션(Detail animation), 라이팅(Lighting), 특수효과(F/X), 디자인(Design), 모델링(Modeling), 유브이(UV), 블렌드 쉐이프(Blend shape), 쉐이더 스크립트(Shader script) 중 선택된 복수 개의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는 도 1의 컨텐츠DB부에 스케줄정보의 저장을 위한 화면구성 예시도, 도 2b는 도 1의 컨텐츠DB부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에 표시되는 작업상태정보의 화면구성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통신부를 이용한 작업결과정보 전송, 보류신호의 전송, 보류신호의 확인 및 승인신호의 전송에 관한 화면구성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작업관리부에 관한 화면구성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레퍼런스저장부에 관한 화면구성 예시도, 도 6은 도 1의 작업통계부 중 제1통계부에 관한 화면구성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작업통게부 중 제2통계부에 관한 화면구성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광고 등과 같이 순차적으로 연계되며 복수 개의 독립된 작업단위에 기반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은 단말기(130), 서버(110) 및 관리자단말기(120)를 포함한 다.
상기 단말기(130)는 상기 각 작업단위별 담당자에게 부여된 각각의 고유식별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기 담당자 측의 단말기이다.
또한, 상기 서버(110)는 상기 단말기(130)와 유무선통신망(10)으로 연결된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단말기(120)는 상기 서버(110)와 유무선통신망(10)으로 연결되며 관리자에게 부여된 고유식별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기 관리자 측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담당자 측 단말기인 상기 단말기(130)와 관리자 측의 단말기인 상기 관리자단말기(120)는 각 단말기가 위치한 물리적 공간에 의해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부여된 고유식별번호에 의해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유식별번호는 상기 담당자 및 관리자 각각에 부여되는 아이디정보, 비밀번호정보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유식별번호는 본 발명의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 이용을 위한 각 담당자와 관리자에 관한 로그인 정보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130)와 관리자단말기(120)는 상기 담당자와 관리자를 아우르는 각 사용자에 부여된 개별 고유식별번호에 의해 서로 구분되므로, 해당 고유식별번호로 접속된 사용자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단말기가 담당자 측의 단말기(130)인지 또는 관리자 측의 관리자단말기(120)인지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110)는 컨텐츠DB부(111), 통신부(112) 및 업무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DB부(111)는 상기 컨텐츠의 정보,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개별 작업단위, 상기 개별 작업단위별 담당부서, 상기 담당부서에 소속된 담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계통적으로 연계된 정보인 종합정보 및 상기 종합정보에 기초된 작업 진행 스케줄에 관한 정보인 스케줄정보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저장되는 컨텐츠 정보란, 제작될 디지털컨텐츠에 관한 프로젝트명, 프로젝트의 요약스토리, 제작지원업체 정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별 작업단위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인 일련의 단위로 연계되는 복수 개의 독립된 작업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컨텐츠가 애니메이션인 경우, 상기 독립적인 작업단위란, 스토리보드(Story board), 블로킹 애니메이션(Blocking animation), 디테일 애니메이션(Detail animation), 라이팅(Lighting), 특수효과(F/X), 디자인(Design), 모델링(Modeling), 유브이(UV), 블렌드 쉐이프(Blend shape), 쉐이더 스크립트(Shader script) 중 선택된 복수 개의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a는 상기 컨텐츠DB부(111)에 스케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화면구성의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명(Project Name), 프로젝트 작업기간(Project Period), 담당부서(Dept), 작업명(Crew), 담당자(Worker), 개별 작업단위의 작업기간(Period) 등이 설정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텐츠DB부(111)에 저장되는 스케줄정보는, 상기 관리자에게 고 유하게 부여된 식별정보가 입력되어 인증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관리자에 의해 수정, 삭제, 추가 등의 변경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는 프로젝트 총괄관리자 또는 개별 작업단위별 중간관리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는 상기 고유식별번호을 통해 로그인된 접속상태라 하더라도, 보안 강화 등의 목적으로 상기 식별정보로 재차 입력 인증을 받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스케줄정보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보일 수 있으며 상이한 정보인 경우 보안 강화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도 2b와 같이 상기 스케줄정보는, 상기 담당자별 또는 담당부서별로 할당된 작업의 기일정보, 작업의 진행(ING)/완료(PUB)/대기(WAIT)/정지(STOP)/기일초과에 관한 작업상태정보가 해당날짜에 따라 색상 또는 특정이미지로 구분되어 상기 단말기(130) 또는 상기 관리자단말기(120)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단말기(130) 측의 담당자 또는 상기 관리자단말기(120) 측의 관리자로 하여금 담당자별 또는 담당부서별 할당된 작업에 관한 작업상태정보가 한번에 파악 가능하며 기일체크가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통신부(112)는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상기 단말기(130)에서 입력된 담당자별 작업결과물에 관한 작업결과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자단말기(12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120)로부터 상기 작업결과정보에 관하여 작업수정을 요청하는 신호인 보류신호 또는 다음 작업단위로의 작업인계에 관한 신호인 승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130) 또는 후속담당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부분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통신부(112)에는 상기 작업결과정보, 보류신호, 승인신호가 저장된 후 외부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의 경우는, 특정 담당자가 상기 단말기(130)를 통해 작업결과물에 관한 작업결과정보를 관리자단말기(120) 측으로 전송하는 화면구성에 관한 예시로서, 작업보고 날짜(Date), 업무종류(Select), 작업결과물 파일첨부(File), 작업진척도(Rate), 작업프레임(Time), 업무요약문(Centent) 등의 정보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b는 관리자단말기(120) 측 관리자에 의해 상기 작업결과정보에 관한 작업수정이 요청되는 예로서, 별도의 지시사항(단층별로 느낌을 다르게 잡아주세요)이 입력되어 상기 보류신호와 함께 상기 단말기(130) 측 담당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c는 상기 보류신호를 전송한 관리자 또는 상기 보류신호를 전송받은 담당자가 상기 보류신호를 확인하는 화면구성에 관한 예시도로서 상기 지시사항이 함께 표시되게 된다.
한편, 도 3d는 관리자단말기(120) 측 관리자에 의해 상기 작업결과정보에 관하여 다음 작업단위로의 작업인계에 관한 신호인 승인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로서, 승인신호가 입력된 경우 다음 후속담당자 단말기(130)에 승인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작업결과정보 이후의 작업단위가 연계되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속담당자 단말기에는 상기 승인신호와 함께 상기 작업결과정보, 별도의 지시메시지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인신호는 상기 단말 기(130) 측 담당자와 후속담당자 모두에게 전송되도록 하여 상호 간의 통합적인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2)는 상기 보류신호 또는 승인신호를 상기 담당자 또는 후속담당자의 이메일로 더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송되는 각 신호에 관한 신속하고 정확한 이중적인 확인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작업 연계성 및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관리부(113)는 상기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케줄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작업단위별 각 담당자의 작업진행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120) 또는 상기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승인신호의 전송은 곧 해당 작업단위의 작업이 완료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를 바탕으로 상기 스케줄정보가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작업단위별 각 담당자의 작업진행상태 정보는 도 4a 내지 도 4c의 형태로 상기 관리자단말기(120) 측 관리자 또는 상기 단말기(130) 측 담당자에게 제공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작업관리부(113)는 도 4a와 같이, 상기 단말기 측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특정작업에 관한 진행정도를 나타내는 작업진척도정보(Condition)를 전송받고, 상기 작업진척도정보 및 상기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각 담당자의 특정작업별 또는 담당부서별로 작업진행상태를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작업진척도가 100% 미만인 경우, 상기 작업진척도정보에 해당 작업진척도에 관하여 입력된 해당 퍼센티지(%)가 표시되고, 상기 작업진척도가 100% 인 경우 상기 승인신호가 전송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진행완료상태(PUB)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작업관리부(113)는 상기 관리자단말기(120)로부터 입력된 검색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일시, 담당부서 또는 담당자별로 정렬된 상기 업무진행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120)로 출력함에 따라 관리자에 의한 업무진행상태 감시가 실시간 가능하고 그에 따른 사후 작업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a의 경우는 해당하는 일시에 대한 각 담당자별로 정렬된 업무진행상태정보를 나타내며, 도 4b는 해당 일시에 대한 컷(Cut)단위별 각 작업단위(스토리보드, 블로킹 애니메이션 등)의 업무진행상태에 관한 전체 히스토리가 표시된 내역이며, 도 4c는 각 작업단위(디자인, 모델링, UV 등)별 담당자의 업무진척도 및 수정사항에 관한 히스토리 등이 표시된 사항이다. 여기서, 도 4b의 경우, 각각의 컷(Cut)단위에 포함된 작업단위 중 가장 최근에 진행완료된 작업단위의 작업이미지가 화면의 리스트(List) 란에 대표이미지로 실시간 갱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도 4a 내지 4c와 같은 화면 구성은 상기 관리자단말기(120)에 출력되는 구성 이외에도 상기 담당자의 검색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담당자 측 단말기(130)에 출력되도록 함에 따라 각 담당자 간의 작업진행 파악 및 작업에 관련된 의사소통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상기 작업관리부(113)에 따르면, 작업단위별 담당자의 작업진행상태 정보가 한번에 용이하게 파악되고 그에 따른 히스토리가 저장 및 표시됨에 따 라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진행상태 모니터, 작업진척도 확인 등이 용이하여 사후 작업계획 수립에 관한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112) 또는 상기 작업관리부(113)는, 상기 담당자 또는 상기 관리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식별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따라 차등적으로 구분된 정보를 상기 고유식별번호가 입력된 단말기(130) 또는 관리자단말기(120)로 전송함으로써, 보안유지, 각 담당자 또는 담당부서별 독립성 유지 등에 효율적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바는 각 담당자 또는 관리자의 정보 수신 또는 정보 열람 권한에 관하여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통해 각기 차등 설정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담당자 또는 관리자에 관한 직급, 소속부서 등에 따라, 소속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스케줄 정보, 업무진행상태정보, 담당자의 인적사항정보 등의 정보를 각각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와 같은 레퍼런스저장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저장부(118)는 상기 각 단말기(130) 측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디지털컨텐츠 제작을 위한 참고자료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단말기(130)의 담당자가 소속된 담당부서별로 구분 저장하고 저장된 참고자료정보를 상기 각 단말기(130) 또는 관리자단말기(1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해당 담당부서(애니메이션 1팀)에 소속된 담당자에 의해 업로드된 참고자료정보의 리스트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정보는 각 담당부서의 담당자 또는 관리자 등에게 제공되어 작업지침 등과 같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상과 같은 유용 할 수 있는 참고자료에 관한 공유를 통해 업무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7c의 화면구성도와 같은 작업통계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통계부(115)는 상기 승인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수행성취도를 상기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결과를 상기 관리자단말기(120) 또는 단말기(130)에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제1통계부(116), 제2통계부(117) 및 예측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인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작업에 관한 완료신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담당자에 의해 진행된 작업에 관한 상기 승인신호를 이용한다면, 상기 담당자가 소속된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수행성취도의 분석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통계부(116)는 도 6과 같이, 상기 담당부서에 소속된 각 담당자별 상기 특정작업에 관한 승인신호가 수신된 작업완료상태(완료), 상기 담당자의 특정작업의 작업진행개시에 관한 신호인 작업개시신호가 상기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작업진행상태(진행) 및 상기 작업개시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작업대기상태(대기)로 각각 구분하고, 상기 담당자가 수행하는 작업의 전체상태에 대비한 각 상태의 점유율에 관한 작업수행성취도인 진행상태점유 통계데이터를 날짜단위별로 제공하는 부분이다.
도 6에서 디테일 애니메이션(Detail Animation) 담당부서의 경우를 예를 들면, 상기 담당부서에 소속된 담당자인 이중목 및 이관희 각각에 관한 작업수행성취도가 표시되는데, 여기서 담당자 '이중목'의 경우를 살펴보면, 총 5가지 업무 중 완료0건, 진행4건, 대기1건을 가지고 있으며, 총 5건의 전체작업상태에 대비한 완료/진행/대기상태의 각 진행상태점유 데이터(0%, 66.7%, 33.3%)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담당자별 진행상태점유 정도뿐만 아니라 해당 담당부서에 소속된 각 담당자의 업무결과를 합산하여 연산된 담당부서별 전체 진행상태점유 통계데이터 또한 상기 '이중목' 항목 상위에 위치한 '전체' 항목과 같이 표시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의 각 담당부서(블로킹 애니메이션, 디테일 애니메이션, 라이팅 등)별 업무결과를 합산하여 연산된 부서통합 진행상태점유 통계데이터의 제공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통계데이터는 각각의 프로젝트별로 한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이는 화면 상단 우측의 서치 프로젝트 란의 체크박스 체크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이상과 상술한 바와 같은 제1통계부(116)의 진행상태점유 통계데이터를 통하여 각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 진행상태 점유 정도, 업무 분담의 적절성(특정 담당부서 또는 특정 담당자에게 업무가 과중하게 또는 과소하게 분배된 것은 아닌지) 등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작업 관리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통계부(115)에 구비된 상기 제2통계부(117)는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상기 담당부서에 소속된 각 담당자별 상기 스케줄정보에 저장된 작업목표치와 상기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한 작업완료치를 비교한 작업수행성취도인 목표완료치비교 통계데이터를 날짜단위별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케줄정보에는 각 담당자별 작업목표치가 부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작업목표치에 대비한, 상기 승인신호를 이용한 작업완료치 비교를 통해서 각 담당자가 작업목표치에 어느 정도로 근접되어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지 등의 여부가 판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뿐 아니라, 상기 제2통계부(117)에서 연산된 목표완료치 비교 통계데이터 자료는 추후 담당자별 실적연산에 이용됨에 따라 보수, 연봉책정 등의 담당자별 인사고과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도 7a은 선택된 한 달 동안 연산된 각 담당자별 총 목표완료치비교 통계데이터, 도 7b는 선택된 한 달에 관한 날짜별 연산된 일 담당자의 목표완료치비교 통계데이터, 도 7c는 선택된 한 달에 관한 날짜별 누적 연산된 일 담당자의 목표완료치비교 통계데이터에 관한 실시예이다.
이상과 같은 제2통계부(117)에 따르면, 각 담당자별 작업목표에 대비한 작업완료 수행능력에 관한 통계가 제공되므로, 담당자별 업무 점유상황 파악 또는 작업실적평가 산정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통계부(115)에 포함된 상기 예측부(117)는 상기 스케줄 정보의 갱신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전체 컨텐츠 제작 작업의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부분이다.
상기 스케줄 정보의 갱신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작업 완료를 나타내는 상기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작업단위별 승인신호 전송 시간에 바탕한 스케줄 정보의 갱신 속도 등을 이용하여 전체 컨텐츠 제작 작업의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의 연산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테면, 상기 컨텐츠 제작에 100개의 작업이 존재하고 상기 컨텐츠 제작의 완료 시점은 상기 100개에 대응되는 100개의 승인신호가 모두 전송된 시점이라 하는 경우, 컨텐츠 제작 첫째 날 총 10개의 승인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컨텐츠 제작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은 총 10일로 예측될 수 있다. 또한, 둘째 날에는 총 14개의 승인신호가 전송된 경우 첫째 날과의 평균치 등을 이용하여 종료 예측일을 연산한 후 기 예측된 값에 갱신되어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산 기준 단위는 상기와 같이 날짜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더 정밀하게 1시간 단위 등으로 연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상기 작업 완료 소요시간 예측에 관한 예는 상술한 바로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작업통계부(115)에 따르면, 각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수행정도 또는 능력을 판단할 수 있고, 적체되고 있는 작업단위의 파악 또는 예측이 가능하며 향후 투입해야할 인력의 산출이 가능하므로 디지털컨텐츠 제작시 발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변수적인 요소들에 관하여 사전에 대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컨텐츠의 신속한 제작 및 제작효율 향상 등이 실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통계부(115)의 분석결과를 이용한다면, 다음 프로젝트 제작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줄 수 있고, 관리자(디렉터)의 입장에 있어서 각 작업자의 능률에 맞는 작업량 배분 및 현실성 있는 제작계획의 수립에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 제작은 보통 조달청, 대기업 등의 발주기관로부터 수주를 받은 소정의 용역업체에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 제작업체인 상기 용역업체에 소속 된 관리자뿐만 아니라 상기 관리자와 동급의 아이디로 접속되는 상기 조달청 또는 대기업 등의 발주기관 소속의 관리자에 의한 컨텐츠 진행상황 감시 등의 감독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제작을 의뢰한 상기 발주기관 측의 관리자는,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상기 작업관리부(113), 컨텐츠DB부(111), 작업통게부(114) 등의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요청한 컨텐츠에 관한 작업진행상태의 검색 및 조회, 작업완료 소요시간 예측 등이 실시간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상기 작업관리부(113) 및 컨텐츠DB부(111)를 통해서는 각 담당부서별 및 담당자별 개별작업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담당자별 업무할당에 문제가 없는지,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이상이 없는지 등에 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예측부(117)를 통해서는 발주된 컨텐츠가 기일 내로 완료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주기관 측은 그러한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 제작과정의 중간 단계에 있어서 추가 인력투입, 제작 스케줄 변경 지시, 용역업체 변경 등의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컨텐츠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시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장기간의 시간과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 제작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과정에 있어서 담당부서 또는 담당자 간의 명확하고 신속한 의사전달 및 의사결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디지털컨텐츠 제작을 위한 각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 스케줄 정보의 확인, 작업진행상태 정보의 확인 등의 작업단위의 관리가 용이하여 각 담당부서별 인력활용 및 프로젝트의 제작현황의 분석이 효과적이며 작업단위별 작업진행의 상호 연계성이 증진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작업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작업관리부를 이용하여 작업단위별 담당자의 작업진행상태 정보가 한번에 용이하게 파악되고 그에 따른 히스토리가 저장 및 표시됨에 따라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진행상태 모니터, 작업진척도 확인 등이 용이하여 사후 작업계획 수립에 관한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넷째, 담당자 또는 관리자의 정보 수신 또는 정보 열람 권한에 관하여 상기 고유식별번호를 통해 각기 차등 설정될 수 있다.
다섯째, 레퍼런스저장부를 이용하여 참고자료의 수집 및 공유가 가능하다.
여섯째, 작업통계부를 이용하여 각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 진행상태 점유 정도, 업무 분담의 적절성, 담당자별 업무 점유상황 파악, 작업수행능력의 판단이 가능하므로 담당자별 인사고과에 객관적인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또한 향후 투입해야할 인력 산출이 가능하므로 디지털컨텐츠 제작시 발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변수적인 요소들에 관하여 사전에 대비할 수 있다.
일곱째, 전체 컨텐츠 제작 작업의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예측 가능하여, 해당 컨텐츠 제작을 의뢰한 별도 발주기관의 컨텐츠 중간 점검 및 그에 따른 중간 대처 및 조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컨텐츠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3)
- 순차적으로 연계되며 복수 개의 독립된 작업단위에 기반한 컨텐츠 제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상기 각 작업단위별 담당자에게 부여된 각각의 고유식별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기 담당자 측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버 및 상기 서버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며 관리자에게 부여된 고유식별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기 관리자 측의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며,상기 서버는,상기 컨텐츠의 정보,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개별 작업단위, 상기 개별 작업단위별 담당부서, 상기 담당부서에 소속된 담당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계통적으로 연계된 정보인 종합정보 및 상기 종합정보에 기초된 작업 진행 스케줄에 관한 정보인 스케줄정보가 저장되는 컨텐츠DB부;상기 단말기에서 입력된 담당자별 작업결과물에 관한 작업결과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결과정보에 관하여 작업수정을 요청하는 신호인 보류신호 또는 다음 작업단위로의 작업인계에 관한 신호인 승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 또는 후속담당자 측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상기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케줄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작업단위별 각 담당자의 작업진행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작업관리부는,상기 담당자 또는 상기 관리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식별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따라 차등적으로 구분된 정보를 상기 고유식별번호가 입력된 단말기 또는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상기 보류신호 또는 승인신호를 상기 담당자 또는 상기 후속담당자의 이메일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정보는,상기 담당자별 또는 담당부서별로 할당된 작업의 기일정보, 작업의 진행/완료/대기/정지/기일초과에 관한 작업상태정보가 해당날짜에 따라 색상 또는 특정이미지로 구분되어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정보는,상기 관리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정보가 입력되어 인증되는 경우에 상 기 관리자에 의하여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관리부는,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검색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일시, 담당부서 또는 담당자별로 정렬된 업무진행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관리부는,상기 단말기 측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특정작업에 관한 진행정도를 나타내는 작업진척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작업진척도정보 및 상기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각 담당자의 특정작업별 또는 담당부서별로 작업진행상태를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각 단말기 측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디지털컨텐츠 제작을 위한 참고자료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단말기의 담당자가 소속된 담당부서별로 구분 저장하고 저장된 참고자료정보를 상기 각 단말기 또는 관리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레퍼런스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승인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담당부서별 또는 담당자별 작업수행성취도를 상기 스케줄정보를 기초로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결과를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단말기에 제공하는 작업통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통계부는,상기 담당부서에 소속된 각 담당자별 특정작업에 관한 승인신호가 수신된 작업완료상태, 상기 담당자의 특정작업의 작업진행개시에 관한 신호인 작업개시신호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작업진행상태 및 상기 작업개시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작업대기상태로 각각 구분하고, 상기 담당자가 수행하는 작업의 전체상태에 대비한 각 상태의 점유율에 관한 작업수행성취도인 진행상태점유 통계데이터를 날짜단위별로 제공하는 제1통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통계부는,상기 담당부서에 소속된 각 담당자별 상기 스케줄정보에 저장된 작업목표치와 상기 승인신호를 바탕으로 한 작업완료치를 비교한 작업수행성취도인 목표완료치비교 통계데이터를 날짜단위별로 제공하는 제2통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통계부는,상기 스케줄 정보의 갱신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전체 컨텐츠 제작 작업의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컨텐츠는,애니메이션이며,상기 작업단위는,스토리보드(Story board), 블로킹 애니메이션(Blocking animation), 디테일 애니메이션(Detail animation), 라이팅(Lighting), 특수효과(F/X), 디자인(Design), 모델링(Modeling), 유브이(UV), 블렌드 쉐이프(Blend shape), 쉐이더 스크립트(Shader script) 중 선택된 복수 개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9688A KR100901531B1 (ko) | 2007-01-30 | 2007-01-30 |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9688A KR100901531B1 (ko) | 2007-01-30 | 2007-01-30 |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0248A KR20080080248A (ko) | 2008-09-03 |
KR100901531B1 true KR100901531B1 (ko) | 2009-06-08 |
Family
ID=4002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9688A KR100901531B1 (ko) | 2007-01-30 | 2007-01-30 |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15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20325B2 (en) * | 2012-11-14 | 2015-04-28 | Storyvine, LLC | Storyboard-directed video production from shared and individualized assets |
KR102492774B1 (ko) * | 2022-04-14 | 2023-01-27 | 주식회사 메타핀트 | 인공지능 기반 음원 컨텐츠 라이센싱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0812A (ko) * | 2001-04-17 | 2002-10-26 | 애드플러스 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 웹프로젝트관리시스템 |
KR20030020213A (ko) * | 2001-09-03 | 2003-03-08 | (주)사공이랩 |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커뮤니티에 근거한 웹 프로젝트제작 및 관리 시스템과 그에 따른 웹 프로젝트 제작 및관리방법 |
KR20030075500A (ko) * | 2002-03-19 | 2003-09-26 | (주)아크로글로벌 | 서버 컴퓨터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KR20060099074A (ko) * | 2005-03-10 | 2006-09-19 | 최동혁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
-
2007
- 2007-01-30 KR KR1020070009688A patent/KR1009015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0812A (ko) * | 2001-04-17 | 2002-10-26 | 애드플러스 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 웹프로젝트관리시스템 |
KR20030020213A (ko) * | 2001-09-03 | 2003-03-08 | (주)사공이랩 |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커뮤니티에 근거한 웹 프로젝트제작 및 관리 시스템과 그에 따른 웹 프로젝트 제작 및관리방법 |
KR20030075500A (ko) * | 2002-03-19 | 2003-09-26 | (주)아크로글로벌 | 서버 컴퓨터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KR20060099074A (ko) * | 2005-03-10 | 2006-09-19 | 최동혁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0248A (ko) | 2008-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60877B2 (en) | Technician control system | |
KR101979365B1 (ko) | 고객 및 정비사 간 중개 기반 차량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 |
US20110184771A1 (en) | Implementation resource project management | |
US20100312604A1 (en) | Technician control system | |
CN112561275A (zh) | 研发项目全过程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介质 | |
US20030177052A1 (en) |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KR101302011B1 (ko) | 사건조사 담당자 지정을 이용한 손해사정 관리시스템 | |
JP2002230196A (ja) | エレベーターの保守契約支援システム | |
KR101330519B1 (ko) | 도심재생 종합 사업관리 시스템 | |
KR101049405B1 (ko) | 교량 자산관리 시스템 | |
US20220383236A1 (en) | Enterprise Workload Sharing System | |
CN109726975A (zh) | 基于工作流的项目开发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 |
KR100901531B1 (ko) |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
KR102146545B1 (ko) |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 |
US20040215618A1 (en) | Automated quality compliance system | |
JP6333615B2 (ja) | 車両修理管理システム | |
JP2010218324A (ja) | 業務割振り装置、業務割振り方法及び業務割振りプログラム | |
JP5135295B2 (ja) | プロジェクト人材選定支援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KR102621130B1 (ko) | 시스템가설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
US20170270459A1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Job Management | |
US11151658B1 (en) | Dynamic location tracking assignment and management of insurance claims | |
JP2006119917A (ja) | 工程管理支援システム、工程管理支援方法及び工程管理支援プログラム | |
KR102497783B1 (ko) | 영업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 |
JP2019067386A (ja) | 管理システム | |
Asif | Critical success factor for different project objectiv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