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08477B1 -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 Google Patents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477B1
KR100908477B1 KR1020090022710A KR20090022710A KR100908477B1 KR 100908477 B1 KR100908477 B1 KR 100908477B1 KR 1020090022710 A KR1020090022710 A KR 1020090022710A KR 20090022710 A KR20090022710 A KR 20090022710A KR 100908477 B1 KR100908477 B1 KR 10090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member
lid
bent
pressing
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제이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제이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제이캔텍
Priority to PCT/KR2009/0015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142386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6Drums or barrels
    • B65D11/08Arrangements of filling or discharging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에 형성된 리벳과, 상기 리벳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리벳의 타측에 형성된 버팀돌기를 일체로 구비한 원형의 몸체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의 리벳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버팀돌기의 상부에 타측이 위치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꺽임선이 형성되고 상기 꺽임선의 양쪽 끝에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와 테두리 끝단까지 폭방향으로 꺽임홈이 일체로 형성된 탭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캔 뚜껑은 탭 부재의 누름부를 누를 경우 상기 탭 부재의 꺽임부가 위로 꺽이도록 하는 버팀돌기를 캔 뚜껑의 판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를 누르면 상기 꺽임부가 쉽게 꺽이도록 상기 탭 부재에 꺽임선과 고정구 및 꺽임홈을 형성함으로써, 개봉이 용이하고 기능 불량이 없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캔 뚜껑, 탭 부재, 꺽임, 절취, 구멍, 홈, 돌기, 개봉, 용이

Description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CAN END}
본 발명은 캔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봉이 용이하고 기능 불량이 없는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 뚜껑에는 캔을 개봉할 수 있도록 탭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탭 부재를 개봉하는 형태는 개구부분을 형성하는 개구편(開口片)을 당겨 올려서 캔 상면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 개봉하는 풀 오픈 타입(Full open type)과, 개구편을 캔 상면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캔 상면과의 연결접속 부분을 남기고 개구하는 타입과, 개구편을 용기 내부로 밀어내는 푸쉬 오픈 타입(Push open type)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 중 탭 부재를 당겨 일으키는 방식에다 상기 푸쉬 오픈 타입을 결합한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캔 뚜껑의 상면에 리벳에 의해 결합된 탭 부재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서 절취선으로 구획된 개구부를 아래로 밀어 개봉시킴으로써, 캔 내부에 있는 음료를 취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캔 뚜껑은 캔 뚜껑의 상면에 평면 형태의 탭 부재가 리벳에 의해 단단히 결합되어 있어 상기 캔 뚜껑의 상면에 탭 부재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캔을 따기 위해, 먼저 캔 뚜껑의 상면에 결합된 탭 부재의 끝부분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캔 뚜껑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된 탭 부재를 손으로 잡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리벳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 탭 부재를 위로 제쳐서 들어올리기가 힘이 들었다. 더구나, 노약자나 어린아이 또는 여성들의 경우에는 캔을 따서 음료를 마시기가 여간 힘이 들고 불편한 게 아니어서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0355317호(등록일: 2002.09.23)에서 실용성이 개선된 캔뚜껑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상기 등록특허 제0355317호는 캔몸체의 상면에서 오프너 말단부를 이격시키는 작업이 누름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며, 말단부가 캔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오프너를 들어 올리어 입구부를 개봉시키는 작업이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오프너의 일정부위에 홈으로 이루어진 취약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오프너의 일정부위에 누름동작을 수행하는 누름부 또는 만곡상의 탄발돌출부와 홈으로 이루어진 홈부를 구비함으로써, 오프너 말단부의 당겨 일으키기를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적인 힘으로도 개봉할 수 있으며, 또 위생상의 문제점을 개선한 원터치식 캔뚜껑 구조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등록특허 제0355317호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캔몸체(10)의 상면(20)에 리벳으로 결합되는 일측에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절 개부(32)와 말단부(31) 사이에는 오프너(30)의 말단부(31)를 원활히 들어 올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발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는 오프너(30)를 이용하여 캔 상면(20)에 형성된 분할선(21)에 의해 구획된 입구부(22)를 압박하여 개봉토록 구성된 캔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30)의 탄발돌출부(33)의 하면에 원활한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원 형상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구분된 다수의 일정크기 홈부(3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성이 개선된 캔뚜껑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도 1a 참조).
하지만, 상기의 구성을 갖는 종래의 탄발돌출부를 형성된 캔 뚜껑은 실제 제품을 제조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캔 뚜껑은 캔을 따기 위해 상기 오프너(이하, '탭 부재'라 한다)를 잡고 위로 들어올릴 때 상기 탭 부재에 성형된 탄발돌출부를 누르게 되는데, 상기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탄발돌출부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금속의 탄성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되어야 제기능을 발휘하는데 원활한 누름조작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다(도 1b 참조). 그리고, 상기 탄발돌출부를 성형하여 시험해 본 결과 형상의 반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 않았으며, 불량도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탄발돌출부를 형성된 캔 뚜껑은 종래의 캔 뚜껑과 마찬가지로, 일자(一字)로 평평한 구조의 탭 부재가 상기 캔 뚜껑의 상면에 리벳에 의해 단단히 결합되어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탭 부재를 이용하여 캔을 따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캔 뚜껑은 상기 탭 부재와 상기 캔 뚜껑의 상면 사이에 공간이 없어 누르는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c와 같이 상기 캔 뚜껑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부를 설치하여 상기 탭 부재를 누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였으나 이것도 상기 리벳에 의한 간섭 현상에 의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봉이 용이하고 기능 불량이 없는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를 위에서 누르면 상기 탭 부재가 위로 꺽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탭 부재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부재를 누르기 편리하고 잘 꺽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꺽임부와 누름부를 평탄한 평탄면을 형성하고, 누름부에 누름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탄면보다 높게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를 위에서 누르면 상기 탭 부재가 쉽게 꺽이도록 꺽임선과 고정구 및 꺽임홈을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구의 일부 절단면을 상기 탭 부재의 하단으로 컬부처럼 절곡시켜 강도를 보강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를 누를 경우 상기 탭 부재가 위로 꺽이도록 캔 뚜껑의 판상부에 버팀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의 꺽임부 양쪽 가장자리 아래에 버팀돌기를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판상부의 리벳에 고정되는 탭 부재의 일측보다 버팀돌기를 더 높게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에 누름부홈과 꺽임선을 스코어로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를 누를 경우 상기 탭 부재가 위로 꺽이도록 하는 버팀돌기를 캔 뚜껑의 판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탭 부재가 쉽게 꺽이도록 상기 탭 부재에 꺽임선과 고정구 및 꺽임홈을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캔 뚜껑의 판상부의 표면, 탭 부재의 누름부 및/또는 꺽임부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을 설명하는 문양이나 문구를 인쇄 또는 각인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중앙부에 형성된 리벳과, 상기 리벳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리벳의 타측에 형성된 버팀돌기를 일체로 구비한 원형의 몸체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의 리벳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버팀돌기의 상부에 타측이 위치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꺽임선이 형성 되고 상기 꺽임선의 양쪽 끝에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와 테두리 끝단까지 폭방향으로 꺽임홈이 일체로 형성된 탭 부재;를 포함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탭 부재는 상기 고정구의 일부 절단면을 상기 꺽임홈이 형성된 탭 부재의 하단으로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버팀돌기는 상기 탭 부재의 타측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버팀돌기는 상기 리벳에 고정된 상기 일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누름부는 평편한 판상 구조의 평탄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누름부에는 평탄면보다 0.1∼0.4㎜ 정도 높게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누름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코어로 형성된 누름부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꺽임선은 상기 탭 부재에 스코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꺽임홈은 상기 꺽임선과 동일선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꺽임홈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를 절개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꺽임홈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에 스코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고정구는 폭과 길이가 2∼8㎜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폭은 2∼5㎜ 정도, 길이는 3∼5㎜ 정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몸체 부재는 상기 탭 부재의 꺽임선과 상기 리벳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탭 부재의 테두리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탭 부재는 상기 탭 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개구부를 개봉할 때 상기 탭 부재가 휘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캔 뚜껑은 상기 몸체 부재의 상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 설명을 위한 문자가 인쇄 또는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캔 뚜껑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 설명을 위한 문자가 인쇄 또는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탭 부재의 누름부를 누를 경우 상기 탭 부재의 꺽임부가 위로 꺽이도록 하는 버팀돌기를 캔 뚜껑의 판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를 누르면 상기 꺽임부가 쉽게 꺽이도록 상기 탭 부재에 꺽임선과 고정구 및 꺽임홈을 동일선 상 또는 미동일선 상에 형성함으로써, 개봉이 용이하고 기능 불량이 없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캔 뚜껑의 판상부의 표면, 탭 부재의 누름부 및/또는 꺽임부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을 설명하는 문양이나 문구를 인쇄 또는 각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캔 뚜껑에서는 탭 부재의 누름을 볼록에서 오목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탭 부재를 상부에서 누르면 꺽임선을 중심으로 아래로 꺽여서 리벳의 반대쪽에 있는 탭 부재가 꺽여서 올라오도록 함으로써, 개봉이 용이하고 기능 불량이 없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캔 뚜껑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캔 뚜껑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탭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을 절개한 탭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을 절개한 다른 탭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C-C'선을 절개한 탭 부재의 단면도이다.
상기 캔 뚜껑은 외형을 이루는 몸체 부재(100)와, 상기 몸체 부재(100) 상면에 리벳(110)으로 결합되어 캔을 개봉하는 탭 부재(20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몸체 부재(10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하게 설치홈(102)이 형성된 판상부(101)와, 상기 설치홈(102)의 상면에 절취선으로 구획되는 개구부(103)와, 상기 설치홈(102)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리벳(110)과, 상기 리벳(110)과 인접한 상기 설치홈(102)의 상면에 나란히 형성된 고정돌기(104)와, 상기 고정돌기(104)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설치홈(102)의 상면에 나란히 형성된 버팀돌기(105)와, 상기 판상부(101)의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컬부(도 10의 106 참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설치홈(102)은 상기 탭 부재(200)와 개구부(103) 등이 설치되는 곳으로, 상기 탭 부재(200)를 눌러서 상기 개구부(103)를 개봉할 때 상기 판상 부(101)가 아래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판상부(101)를 프레스 가공으로 오목하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104)는 상부에 상기 탭 부재(200)를 설치하였을 때 상기 탭 부재(200)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구성은 상기 탭 부재(200)의 테두리 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06)의 안쪽에 2개로 형성되거나 상기 탭 부재(200)의 양쪽 테두리 바깥쪽에 형성되며, 상기 판상부(10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04)는 상기 탭 부재(200)가 좌우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최소의 크기로 구성하고,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를 눌렀을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버팀돌기(105)는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 중의 하나로써, 상기 탭 부재(20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누름부(230)를 위에서 눌렀을 때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꺽임부(도 4의 220)가 위로 꺽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버팀돌기(105)는 상기 탭 부재(200)가 상기 판상부(101)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판상부(10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탭 부재(200)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팀돌기(10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탭 부재(200)의 꺽임선(203) 왼쪽, 즉 상기 탭 부재(200)의 꺽임부(220) 아래에 1개 또는 좌우로 각각 2개로 형성하되, 상기 꺽임부(22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테두리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실험결과, 상기 버팀돌기(105)를 상기 꺽임부(220)의 안쪽 하부에 형성했을 때보다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했을 때 상기 꺽임부(220)가 잘 꺽임과 동시에 힘도 적게 드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버팀돌기(105)의 높이는 상기 탭 부재(220)의 일측이 상기 리벳(110)에 결합되는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탭 부재(200)는 측면에서 볼때 상기 리벳(110)으로 고정된 일측에서 상기 꺽임부(220)가 형성된 타측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230)를 눌렀을 때 상기 꺽임부(220)를 꺽기가 용이하고 힘이 적게 들게 된다. 또한, 상기 꺽임부(220)를 꺽었을 때 위로 꺽이는 각도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들어올리기가 용이하다.
상기 리벳(110)은 상기 판상부(101)의 성형 가공시 상기 판상부(101)와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하며, 상기 탭 부재(200)를 프레스 가공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판상부(101)의 설치홈(102)에 상기 리벳(110)으로 결합되는 상기 탭 부재(2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의 외주면이 하부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06)를 형성하고 있고, 그 기능에 따라 압박부(210), 꺽임부(220), 누름부(230)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탭 부재(200)의 압박부(210)는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 즉 도 4에서 상기 누름부(230)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상기 판상부(101)의 리벳(110)에 삽입하여 상기 탭 부재(200)를 결합하는 리벳구멍(209)과, 상기 리벳(110)의 외주면을 따라 곡면으로 절개된 반고리 형상의 절개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01)는 상기 탭 부재(200)의 젖힘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상기 탭 부재(200)를 젖힐 때 절개된 부위 가 절단되지 않도록 절개된 끝부분을 아래로 절곡시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201)의 모서리 부분은 곡면으로 처리하여 미관이 좋게 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는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요철부(208)에서 상기 탭 부재(200)의 타측에 형성된 절개부(201) 사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꺽임부(220)와 같이 평편한 판상 구조의 평탄면로 형성되거나(도 5 참조) 또는 약간 볼록한 형상(도 6 참조)으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230)에는 사용자가 누름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평탄면보다 약간 높게(예를 들어, 0.1∼0.4㎜ 정도) 누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230)는 종래의 탭 부재에서와 같이 천공되거나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성형되지 않아 탭 부재의 기능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230)에는 스코어로 구획된 원형의 누름부홈(20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홈(205)은 도 2 내지 도 7에서 1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지만, 1개 이상 복수 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원형 뿐만 아니라 타원형, 곡선형, 장방형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누름부홈(205)은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누름부(230)를 눌렀을 때 중앙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스코어로 구획된 원형의 절반이 상기 꺽임부(22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홈(205)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탭 부재(200)의 폭 방향으로 꺽임선(203)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꺽임선(203)의 양쪽 끝부분에 고정 구(2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꺽임선(203)이 연결된 상기 고정구(202)의 부분을 일측이라 하면, 상기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고정구(202)의 타측에 꺽임홈(204)이 상기 탭 부재(200)의 외주면까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꺽임선(203)은 상기 누름부(230)를 위에서 누를 때 상기 버팀돌기(105)에 의해 상기 탭 부재(200)가 상기 꺽임선(203)을 따라 아래로 꺽이도록 절곡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젖힘 동작이 쉽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꺽임선(203)은 상기 탭 부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스코어로 가공하여 형성한다.
상기 꺽임홈(204)은 상기 탭 부재(200)가 상기 꺽임선(203)을 따라 쉽게 절곡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상기 고정구(202)에서 상기 꺽임선(203)을 따라 상기 탭 부재(200)의 외주면까지 상기 탭 부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꺽임홈(204)은 도 2와 도 4 및 도 7에서 상기 탭 부재(200)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지만, 상기 탭 부재(200)의 하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꺽임홈(204)은 상기 탭 부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을 일정 깊이로 절개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스코어로 가공하여 미절개된 상태로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구(202)는 상기 탭 부재(200)의 성형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탭 부재(200)가 상기 꺽임선(203)을 따라 절곡될 때 상기 탭 부재(20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그 크기는 상기 탭 부재(200)의 모양이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대량 생산에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구(202)의 크기는 폭이 대략 2∼8㎜ 정도(바람직하게는 2∼5㎜ 정도), 길이가 대략 2∼8㎜ 정도(바람직하게는 3∼5㎜ 정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 고정구(202)의 폭과 길이를 적게 형성할 경우, 상기 고정구(202)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누름부(230)의 면적을 그만큼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누르는 면적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팀돌기(105)에 의해 상기 꺽임부(220)가 꺽이는 힘이 감소됨으로써 그 만큼 힘이 적게 들고 꺽이는 각도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탭 부재(200)에 상기 고정구(202)를 형성할 때 상기 고정구(202)의 폭과 길이를 제한하지 않고 상기 탭 부재(200)의 크기에 따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구(202)의 폭은 적게 형성하고 길이는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젖힐 때 상기 꺽임선(203)과 고정구(202) 및 꺽임홈(204)에 의해 상기 탭 부재(20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202)의 일부 절단면(207)을 상기 꺽임홈(204)이 형성된 상기 탭 부재(200)의 하단으로 컬부처럼 절곡시켜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성하였다(도 7 참조). 이때, 상기 절단면(207)의 절곡은 상기 꺽임홈(204)이 형성된 바깥쪽 방향으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반대의 안쪽 방향으로도 가능하며, 바깥쪽과 안쪽 모두에 절단면을 컬부처럼 절곡시켜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구(202)가 상기 꺽임선(203)의 양쪽 끝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고정구(202)의 형성 위치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탭 부재(200)의 꺽임부(220)는 상기 탭 부재(200)의 타측, 즉 도 4에서 상기 꺽임선(203)의 왼쪽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누름부(230)와 같이 평편한 판상 구조의 평탄면로 형성되거나 또는 약간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꺽임부(220)에는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들어올려 상기 개구부(103)를 개봉할 때 상기 탭 부재(200)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탭 부재(200)의 외주면을 따라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 요철부(20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탭 부재(200)는, 상기 판상부(101)의 설치홈(102)에 형성된 상기 리벳(110)에 리벳구멍(209)을 끼워 위치를 고정한 후 상기 리벳(110)의 상부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도 2와 같이 캔 뚜껑의 판상부(101) 위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압박부(210)는 상기 리벳(11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 형성된 꺽임부(220)는 상기 판상부(101)에 형성된 버팀돌기(105)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버팀돌기(105)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탭 부재(200)의 타측, 즉 상기 꺽임부(220)의 하부 또는 양쪽 가장자리 부분(테두리 부분)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상기 탭 부재(200)는 일측이 상기 리벳(110)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버팀돌기(105)에 의해 지지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탭 부재(200)는 상기 리벳(100)에 의해 고정된 일측에서 상기 꺽임부(220)가 형성된 타측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탭 부재를 누르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탭 부재를 위에서 눌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캔을 개봉하기 위해,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를 누른다. 이때, 상기 누름부(23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요철부(208)에서 상기 탭 부재(200)의 타측에 형성된 절개부(201) 사이에 평편한 판상 구조의 평탄면로 형성되거나(도 5 참조) 누름위치를 알 수 있도록 평탄면보다 0.1∼0.4㎜ 정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여기에, 스코어로 가공된 누름부홈(205)이 일체로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홈(205)은 도 4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에 형성된 상기 꺽임선(203)을 기준으로 원형의 절반이 상기 꺽임부(220)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홈(205)에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가운데 부분에 상기 꺽임선(203)이 상기 탭 부재(2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꺽임선(203)의 양쪽 끝부분에는 고정구(2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202)에서 상기 탭 부재(200)의 가장자리 끝부분까지 상기 꺽임홈(2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리벳(110)과 버팀돌기(105)에 의해 지지되는 일측 및 타측보다 상기 누름부(230)가 있는 가운데 부분에서 힘을 가장 많이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230)가 있는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꺽임선(203)과 고정구(202) 및 꺽임홈(204)이 형성되어 있어 다른 부위보다 강도가 취약하다. 따라서,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리벳(110)과 버팀돌기(105)를 축으로 상기 꺽임선(203)이 아래로 꺽이면서 상기 꺽임부(220)가 상기 버팀돌기(105)에 의해 위로 꺽여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버팀돌기(105)는 상기 리벳(110)에 고정되는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230)를 눌렀을 때 꺽기가 용이하고 힘이 적게 들게 된다. 또한, 상기 꺽임부(220)를 꺽었을 때 위로 꺽이는 각도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들어올리기가 용이하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상기 꺽임부(220)가 위로 꺽인 탭 부재(200)를 잡고 위로 들어올리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리벳(110)을 중심축으로 상기 탭 부재(200)의 압박부(210)가 아래로 향하면서 상기 개구부(103)를 눌러 개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구(20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탭 부재(200)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들어올릴 때 상기 꺽임홈(204)이 꺽이면서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젖힐 때 상기 꺽임선(203)과 고정구(202) 및 꺽임홈(204)에 의해 상기 탭 부재(20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202)의 일부 절단면(207)을 상기 꺽임홈(204)이 형성된 상기 탭 부재(200)의 하단으로 컬부처럼 절곡시켜 강도를 보강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캔 뚜껑(300)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은 몸체 부재, 101은 판상부, 103은 개구부, 106은 컬부, 110은 리벳, 200은 탭 부재, 201은 절개부, 202는 고정구, 203은 꺽임선, 204는 꺽임홈, 230는 누름부를 나타낸다.
도 1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상부(101),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문양이나 문구를 인쇄 또는 각인한 것을 나타내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캔 뚜껑에, 상기 판상부(101),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 및/또는 꺽임부(220)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문양이나 문구를 인쇄 또는 각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캔 뚜껑은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를 누를 경우 상기 탭 부재(200)의 꺽임부(220)가 위로 꺽이도록 하는 상기 버팀돌기(105)를 상기 캔 뚜껑의 판상부(101)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230)를 누르면 상기 꺽임부(220)가 쉽게 꺽이도록 상기 탭 부재(200)에 꺽임선(203)과 고정구(202) 및 꺽임홈(204)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탭부재(200)를 누르기 편리하고 잘 꺽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꺽임부(200)와 누름부(230)를 평탄한 평탄면을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230)에 누름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탄면보다 높게 형성함 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탄발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및 오프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캔 뚜껑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캔 뚜껑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탭 부재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을 절개한 탭 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절개한 다른 탭 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을 절개한 탭 부재의 단면도
도 8은 탭 부재를 누르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탭 부재를 위에서 눌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캔 뚜껑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부재 101 : 판상부
102 : 설치홈 103 : 개구부
104 : 고정돌기 105 : 버팀돌기
106 : 컬부 110 : 리벳
200 : 탭 부재 201 : 절개부
202 : 고정구 203 : 꺽임선
204 : 꺽임홈 205 : 누름부홈
206 : 절곡부 207 : 절단면
208 : 요철부 209 : 리벳구멍
210 : 압박부 220 : 꺽임부
230 : 누름부 300 : 캔뚜껑

Claims (16)

  1. 캔 뚜껑에 있어서,
    중앙부에 형성된 리벳과, 상기 리벳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리벳의 타측에 형성된 버팀돌기를 일체로 구비한 원형의 몸체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의 리벳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버팀돌기의 상부에 타측이 위치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꺽임선이 형성되고 상기 꺽임선의 양쪽 끝에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와 테두리 끝단까지 폭방향으로 꺽임홈이 일체로 형성된 탭 부재;
    를 포함하는 캔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재는:
    상기 고정구의 일부 절단면을 상기 꺽임홈이 형성된 탭 부재의 하단으로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돌기는:
    상기 탭 부재의 타측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돌기는:
    상기 리벳에 고정된 상기 일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평편한 판상 구조의 평탄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평탄면보다 0.1∼0.4㎜ 정도 높게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코어로 형성된 누름부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선은:
    상기 탭 부재에 스코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홈은:
    상기 꺽임선과 동일선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홈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를 절개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홈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에 스코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폭과 길이가 2∼8㎜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폭은 2∼5㎜ 정도, 길이는 3∼5㎜ 정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상기 탭 부재의 꺽임선과 상기 리벳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탭 부재의 테두리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재는:
    상기 탭 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개구부를 개봉할 때 상기 탭 부재가 휘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은:
    상기 몸체 부재의 상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 설명을 위한 문자가 인쇄 또는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 설명을 위한 문자가 인쇄 또는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KR1020090022710A 2008-05-21 2009-03-17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KR10090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1502 WO2009142386A2 (ko) 2008-05-21 2009-03-24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7137 2008-05-21
KR1020080047137 2008-05-21
KR20080073262 2008-07-25
KR1020080073262 2008-07-25
KR1020080091146 2008-09-17
KR20080091146 2008-09-17
KR20080092880 2008-09-22
KR1020080092880 2008-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477B1 true KR100908477B1 (ko) 2009-07-21

Family

ID=4133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710A KR100908477B1 (ko) 2008-05-21 2009-03-17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8477B1 (ko)
WO (1) WO200914238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65B1 (ko) 2010-12-29 2011-06-10 장영희 웃는 모양의 상면 구조를 갖는 캔
WO2011149207A3 (ko) * 2010-05-25 2012-02-16 Seo Jin Hyok 재밀봉 가능한 이지 오픈 엔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9910B2 (ja) 2012-11-07 2016-10-19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缶蓋および飲料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976A (ja) * 1994-04-11 1995-10-24 Hokkai Can Co Ltd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75448A (ja) 2003-09-03 2005-03-24 Daiwa Can Co Ltd 開口容易缶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746Y2 (ja) * 1991-07-31 1996-02-28 大和製罐株式会社 負圧缶詰用タブ非分離式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JP3683023B2 (ja) * 1996-02-27 2005-08-17 北海製罐株式会社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JP2000159228A (ja) * 1998-11-25 2000-06-13 Daiwa Can Co Ltd 負圧缶用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KR20000017742A (ko) * 1999-10-19 2000-04-06 조성호 실용성이 개선된 캔뚜껑의 구조
JP2002211561A (ja) * 2001-01-18 2002-07-31 Toyo Seikan Kaisha Ltd イージオープン缶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976A (ja) * 1994-04-11 1995-10-24 Hokkai Can Co Ltd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75448A (ja) 2003-09-03 2005-03-24 Daiwa Can Co Ltd 開口容易缶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207A3 (ko) * 2010-05-25 2012-02-16 Seo Jin Hyok 재밀봉 가능한 이지 오픈 엔드
US8608007B2 (en) 2010-05-25 2013-12-17 Jin Hyok Seo Resealable easy-open end
KR101040365B1 (ko) 2010-12-29 2011-06-10 장영희 웃는 모양의 상면 구조를 갖는 캔
WO2012091430A2 (ko) * 2010-12-29 2012-07-05 주식회사 물댄동산 웃는 모양의 상면 구조를 갖는 캔
WO2012091430A3 (ko) * 2010-12-29 2012-11-08 주식회사 물댄동산 웃는 모양의 상면 구조를 갖는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386A3 (ko) 2010-01-14
WO2009142386A2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9188Y1 (ko) 오픈 기능성이 개선된 캔뚜껑
US8783496B2 (en) Double-opening can lid
AU2005245413B2 (en) Can end with tab for improved accessibility
JPH0227223B2 (ko)
KR100908477B1 (ko)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EP1034054B1 (en) Container-end ta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9504495A (ja) 容器のイージーリフト開け
KR200201770Y1 (ko) 오픈기능성 및 위생성이 개선된 캔 개봉수단을 가지는캔뚜껑
US4557397A (en) Pull tab for readily openable can lid
KR200209070Y1 (ko) 캔의 오프닝 구조
JPS63102639U (ko)
JPS6323316Y2 (ko)
JP3224161U (ja) 開封器具
JP4895573B2 (ja) 開口容易缶蓋のタブおよびタブの成形方法
JP2012030825A (ja) 缶蓋
KR200312171Y1 (ko) 캔 뚜껑 구조
JP2560682Y2 (ja) 開口容易缶蓋
KR200289208Y1 (ko) 문고리형 따개를 가진 캔뚜껑
KR100364632B1 (ko) 탄성력을 이용한 자동 캔따개 장치
KR200207450Y1 (ko) 탭리프터를 구비한 캔 개봉장치
KR200177626Y1 (ko) 오픈기능성 및 위생성이 개선된 캔 개봉수단을 가지는캔뚜껑
KR19990017362U (ko) 캔을 쉽게 열 수 있는 구조
KR200225375Y1 (ko) 음료수 캔의 개봉장치
RU4968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снятия кронен-пробок с бутылок
KR200311547Y1 (ko) 캔 따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