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05803B1 -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803B1
KR100905803B1 KR1020070120326A KR20070120326A KR100905803B1 KR 100905803 B1 KR100905803 B1 KR 100905803B1 KR 1020070120326 A KR1020070120326 A KR 1020070120326A KR 20070120326 A KR20070120326 A KR 20070120326A KR 100905803 B1 KR100905803 B1 KR 100905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alcony
opening
outer window
hi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471A (ko
Inventor
송두삼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송두삼
주식회사 피플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두삼, 주식회사 피플어스 filed Critical 송두삼
Priority to KR102007012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8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8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분리하면서 단열을 실시하는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발코니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부창문; 상기 발코니 상에서 상기 외부창문(6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건물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외부창문(60)과의 사이에 단열공간(55)을 형성하는 내부창문(50) 및; 상기 내부창문(50)의 단열공간(55)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 사이에 개재되고, 중첩되거나 전개되면서 외부창문(60)으로 투사되는 태양광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양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열공간(55)에 차양부재가 개재되므로 필요에 따라 태양광을 차단하거나 실내로 유입할 수 있으며, 차양부재가 단열공간(55)과 함께 단열을 실시하므로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코니, 창문, 단열, 공간, 차양

Description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 WINDOW SYSTEM FOR BALCONY }
본 발명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분리하면서 단열을 실시하는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로 투사되는 태양광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온기능을 갖는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에는 주거 이외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발코니가 마련된다. 최근에는 주거면적의 증가를 위해 발코니 확장공사가 성행하고 있다.
이러한 발코니 확장공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의 구조를 변경하는 공사이다. 이렇게, 발코니 확장공사에 의해 변경되는 발코니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상에서 약간의 공간을 두고 이격설치되는 외부창문(1) 및 내부창문(5)에 의해 변경된다. 따라서, 변경되는 발코니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는 외부창문(1) 및 내부창문(5) 사이에 단열공간(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확장공사에 의해 변경되는 일반적인 발코니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단열공간(3)을 통해 실외 및 실내를 단열한다. 따라서, 아파트는 전술한 일반적인 발코니의 구조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상태로 주거면적이 증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발코니의 구조는 단열공간(3)이 도시된 바와 같이 협소하여 단열효과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단열효과가 낮아서 겨울철에는 난방비가 과도하게 소요되고, 여름철에는 냉방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겨울철에는 내부창문(5)의 근처에만 가도 유리창에서 냉기가 느껴지므로 냉기에 의해 불쾌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외부창문(1)이나 내부창문(5)의 내측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외부창문과 내부창문 사이의 단열공간에 개재되어, 중첩되면서 단열공간을 실질적으로 개방하거나 전개되면서 단열공간을 실질적으로 차폐하면서 단열공간을 통해 열교환을 실시하거나 단열을 실시하는 부재를 갖는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재에서 발열이 실시되는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외부창문과 내부창문을 통해 환기를 실시할 수 있는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분리하면서 단열을 실시하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부창문; 상기 발코니 상에서 상기 외부창문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건물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외부창문과의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창문 및; 상기 내부창문의 단열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문 및 내부창문 사이에 개재되고, 중첩되거나 전개되면서 외부창문으로 투사되는 태양광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양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양부재는 예컨대, 상기 단열공간에서 중첩되거나 전개되는 복수개의 차양블레이드를 갖는 블라인드; 상기 블라인드의 차양블레이드를 자동으 로 중첩하거나 전개하는 리트렉터 및; 상기 리트렉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리모컨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고, 상기 리트렉터에 의해 전개되는 상기 블라인드의 차양블레이드를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발열시키는 발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기 발열부재는 예컨대, 상기 차양블레이트에 일체적으로 부착되고, 전원이 유입되는 단자가 마련된 면상발열체 및; 상기 면상발열체의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창문 및 내부창문의 일부분을 개폐하면서 건물의 외기 및 내기를 환기시키는 환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환기부재는 예컨대, 상기 외부창문 및 내부창문의 일부분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창문 및 내부창문을 통해 외기 및 내기를 소통시켜서 환기를 가능케하는 구멍형태의 환기부; 상기 외부창문 및 내부창문의 일측이 힌지로 고정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환기부를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힌지를 회전시켜서 상기 개폐판을 개폐하는 개폐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기는 예컨대, 상기 힌지에 돌출형성되어 힌지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판의 일측면을 밀어서 개폐하는 개폐돌기 및; 상기 힌지에 구동축이 연결되어 힌지를 회전시켜서서 상기 개폐돌기를 작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은, 단열공간에 차양부재가 개재되므로 필요에 따라 태양광을 차단하거나 실내로 유입할 수 있으며, 차양부재가 단열공간과 함께 단열을 실시하므로 단열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블라인드를 이용하여 차양부재를 구성할 경우 차양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중첩 및 전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차양부재에 발열부재를 마련할 경우 차양부재를 단열공간의 내부에서 발열시킬 수 있으므로 단열효율을 보다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효율의 향상으로 난방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내부창문의 유리창에 온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공간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외부 및 내부창문에 환기부재를 마련할 경우 필요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도 열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양부재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환기부재의 구성을 창호시스템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의 제1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의 제2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은 도 2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의 제3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의 제4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은 외부창문(60); 내부창문(50) 및; 외부 및 내부창문(60, 50) 사이에 중첩되거나 전개가능하게 개재되는 차양부재(SS);를 포함한다.
외부창문(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창문(50)의 외측에 설치된다. 물론, 외부창문(60)은 미도시된 발코니의 외벽에 설치됨에 따라 내부창문(50)의 외측에 설치된다.
내부창문(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창문(6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설치된다. 물론, 내부창문(50)은 미도시된 발코니의 내측에 설치됨에 따라 외부창문(60)과 이격된다. 즉, 내부창문(50)은 건물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내부창문(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창문(60)과의 사이에 단열공간(55)을 형성한다.
차양부재(SS)는 내부창문(50)의 단열공간(55)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차양부재는 중첩되거나 전개되면서 외부창문(60)으로 투사되는 태양광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는 유리창(62, 52) 및; 건물에 고정되고, 유리창(62)이 끼워져서 유리창(62)을 건물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창틀(64, 5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은 유리창(62, 52) 및 창틀(64, 54)로 구성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의 일부분을 개폐하면서 건물의 외기 및 내기를 환기시키는 환기부재(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물은 환기부재(80)를 통해 외기 및 내기를 환기한다. 물론, 환기부재(80)를 통해 열교환도 가능하다. 이러한 환기부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창문(50) 및 내부창문(60)의 창틀(64)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환기부재(80)는 차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차양부재(SS)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차양블레이드(72a)를 갖는 블라인드(72); 이 블라인드(72)의 차양블레이드(72a)를 자동으로 중첩하거나 전개하는 리트렉터(74) 및; 이 리트렉터(74)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컨(7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차양부재는 자동으로 중첩되거나 전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양블레이드(72a)는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리트렉터(74)에 권취되거나 인출되는 견인줄(71)에 의해 중첩되거나 전개된다.
리트렉터(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내장된 드럼식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견인줄(71)을 권취하거나 인출한다.
리모컨(7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무선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리모컨(7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버튼(76a) 및 전개버튼(76b)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후술되는 발열부재를 작동시 키는 발열버튼(76c)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차양블레이드(72a)는 발열부재에 의해 발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재는 리모컨(76)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차양블레이드(72a)를 발열시키다.
여기서, 전술한 발열부재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블레이드(72a)에 일체적으로 부착되고, 전원이 유입되는 단자(T)가 마련된 면상발열체(78) 및; 이 면상발열체(78)의 단자(T)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상발열체(7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태로 형성되어 차양블레이드(72a)에 부착된다. 이러한 면상발열체(78)는 예컨대, 탄소섬유 발열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선은 블라인드(72)의 견인줄(71)에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달리 별도의 전선을 견인줄(71)의 옆에 배선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선은 면상발열체(78)의 단자(T)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면상발열체(78)는 가열된다.
한편, 리모컨(76)은 중첩버튼(76a)이 조작될 경우, 리트렉터(74)에 전원을 공급하여 미도시된 드럼식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견인줄(71)을 권취한다. 이에 따라, 차양블레이드(72a)는 리트렉터(74)의 하부에 중첩된다.
이와 달리, 리모컨(76)은 전개버튼(76b)이 조작될 경우, 리트렉터(74)에 전원을 공급하여 미도시된 드럼식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견인줄(71)을 인출 한다. 따라서, 차양블레이드(72a)는 리트렉터(74)의 하부로 전개된다.
이와 또 달리, 리모컨(76)은 발열버튼(76c)이 조작될 경우,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인가하여 단자(T)를 통해 면상발열체(78)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차양블레이드(72a)는 면상발열체(78)에 의해 발열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환기부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기부재(80)는 예컨대, 도면상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와 같이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의 일부분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을 통해 외기 및 내기를 소통시켜서 환기를 가능케하는 구멍형태의 환기부(82); 전술한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의 일측이 힌지(H)로 고정되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환기부(82)를 개폐하는 개폐판(84) 및; 전술한 힌지(H)를 회전시켜서 개폐판(84)을 개폐하는 개폐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환기부재(80)는 개폐기에 의해 개폐판(84)이 환기부(82)를 개폐함에 따라 공기를 환기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개폐기는 예컨대,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에 돌출형성되어 힌지(H)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판(84)의 일측면을 밀어서 개폐하는 개폐돌기(86) 및;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에 구동축이 연결되어 힌지(H)를 회전시켜서서 개폐돌기(86)를 작동시키는 모터(88);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폐기는 모터(88)가 힌지(H)를 회전시켜서 개폐돌기(86)를 회전시킴으로써 개폐판(84)을 개폐한다. 다시 말하면, 개폐판(84)은 힌지(H)와 함께 회전되는 개폐돌기(86)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화살표방향으로 편축회전하면서 환기부(82)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따라서, 환기부(82)는 모터(88)의 작동상태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물론, 이러한 모터(88)는 미도시된 스위치에 의해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은 봄이나 가을과 같이 양호한 외기조건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와의 환기가 가능한 상태로 사용된다. 이때, 전술한 차양부재(S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되어 단열공간(55)을 개방한다. 그리고, 전술한 환기부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창문(60)의 하부에 형성된 환기부(82) 및 내부창문(50)의 상부에 형성된 환기부(82)를 개방한다. 즉, 외부창문(60)의 상부 및 내부창문(5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환기부(82)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외부창문(60)의 하부 및 내부창문(50)의 상부에 형성된 환기부(82)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경우, 건물 외부의 외기는 외부창문(60)의 하부 환기부(82)으로 유입된 후 단열공간(55)을 통해 내부창문(50)의 상부 환기부(82)로 배출된다. 따라서, 실내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환기된다. 이때, 외기는 풍압에 의해 외부창문(60)의 하부 환기부(82)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기는 복사열에 의해 단열공간(55)이 가열됨에 따른 온도차에 의해 외부창문(60)의 하부 환기부(82)로 유입될 수도 있다. 즉, 외기는 단열공간(55)이 따듯하므로 온도차에 의한 자연대류 현상에 의해 단열공간(55)으로 유입된다. 물론, 외기는 단열공간(55)의 내부 온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승기류(연돌효과)에 의해 단열공간(55)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한편, 단열공간(55)에는 단시간에 환기가 용이하게 실시되도록 미도시된 환풍팬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환풍팬은 외기를 강제로 흡기하여 단열공간(55)을 통해 실내로 공급한다. 따라서, 환풍팬은 실내의 환기를 단시간에 완료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은, 여름과 같이 고온의 외기조건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차단한 상태에서 단열공간(55)을 열교환할 수 있는 상태로 사용된다. 이때, 전술한 차양부재(S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어 단열공간(55)을 차폐한다. 그리고, 전술한 환기부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창문(6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환기부(82)만을 모두 개방한다. 즉, 내부창문(5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환기부(82)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외부창문(6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환기부(82)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경우, 건물 외부의 외기는 외부창문(60)의 하부 환기부(82)으로 유입된 후 단열공간(55)을 통해 외부창문(60)의 상부 환기부(82)로 배출된다. 즉, 외기는 외부창문(60)의 하부로 유입된 후 상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단열공간(55)은 복사열에 의해 가열되었던 공기가 열교환되면서 냉각된다.
한편, 차양부재(S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태양광이 실내로 투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실내는 복사열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은, 겨울철의 주간과 같이 태양열이 필요한 저온의 외기조건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의 유입이 가능한 상태에서 단열공간(55)이 밀폐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때, 전술한 차양부재(SS)는 태양광이 실내로 조사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되어 단열공간(55)을 개방한다. 그리고, 전술한 환기부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에 형성된 모든 환기부(82)를 차폐한다. 즉,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은 완전하게 밀폐된다.
이렇게,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이 밀폐되고, 차양부재(SS)가 중첩될 경우, 태양광은 외부 및 내부창문(60, 50)을 투과하여 실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단열공간(55)은 태양광의 복사열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실내는 단열공간(55)에 의해 단열될 뿐만 아니라 복사열에 의해 가열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은, 겨울철의 야간과 같이 극저온의 외기조건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공간(55)이 차양부재(SS)에 의해 차폐되고, 모든 환기부(82)가 폐쇄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건물 외부의 극저온 외기는 실내로 유입되지 못한다. 이때, 차양부재(SS)는 외부의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재 역할을 한다.
한편, 차양부재(SS)는 전술한 발열부재가 마련될 경우 발열부재에 의해 단열공간(55)의 내부에서 발열한다. 따라서, 차양부재(SS)는 단열공간(55)을 가열하여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단열공간(55)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단열공간(55)은 차양부재(SS)의 열기에 의해 가열되므로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코니용 창호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양부재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환기부재의 구성을 창호시스템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의 제1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의 제2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의 제3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창호시스템의 제4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0 : 내부창문
60: 외부창문
72 : 블라인드
72a : 차양블레이드
74 : 리트렉터
76 : 리모컨
78 : 면상발열체
80 : 환기부재
82 : 환기부
84 : 개폐판

Claims (7)

  1.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분리하면서 단열을 실시하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부창문(60)과; 상기 발코니 상에서 상기 외부창문(6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건물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외부창문(60)과의 사이에 단열공간(55)을 형성하는 내부창문(50)과; 상기 내부창문(50)의 단열공간(55)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 사이에 개재되고, 중첩되거나 전개되면서 외부창문(60)으로 투사되는 태양광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양부재; 및 상기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의 일부분을 개폐하면서 건물의 외기 및 내기를 환기시키는 환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단열공간(55)에서 중첩되거나 전개되는 복수개의 차양블레이드(72a)를 갖는 블라인드(72), 상기 블라인드(72)의 차양블레이드(72a)를 자동으로 중첩하거나 전개하는 리트렉터(74) 및 상기 리트렉터(74)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컨(76)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76)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고 상기 리트렉터(74)에 의해 전개되는 상기 블라인드(72)의 차양블레이드(72a)를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발열시키는 발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차양블레이트(72a)에 일체적으로 부착되고, 전원이 유입되는 단자(T)가 마련된 면상발열체(78) 및 상기 면상발열체(78)의 단자(T)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부재는 상기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의 일부분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을 통해 외기 및 내기를 소통시켜서 환기를 가능케하는 구멍형태의 환기부(82), 상기 외부창문(60) 및 내부창문(50)의 일측이 힌지(H)로 고정되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환기부(82)를 개폐하는 개폐판(84) 및 상기 힌지(H)를 회전시켜서 상기 개폐판(84)을 개폐하는 개폐기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는 상기 힌지(H)에 돌출형성되어 힌지(H)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판(84)의 일측면을 밀어서 개폐하는 개폐돌기(86) 및 상기 힌지(H)에 구동축이 연결되어 힌지(H)를 회전시켜서서 상기 개폐돌기(86)를 작동시키는 모터(88)를 포함하는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120326A 2007-11-23 2007-11-23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Active KR100905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326A KR100905803B1 (ko) 2007-11-23 2007-11-23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326A KR100905803B1 (ko) 2007-11-23 2007-11-23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471A KR20090053471A (ko) 2009-05-27
KR100905803B1 true KR100905803B1 (ko) 2009-07-02

Family

ID=4086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326A Active KR100905803B1 (ko) 2007-11-23 2007-11-23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037B1 (ko) 2012-04-18 2014-05-16 김용욱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KR101896045B1 (ko) * 2017-12-26 2018-09-06 주식회사 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93B1 (ko) * 2009-08-10 2013-06-05 전태규 태양열 난방 시스템
KR101251716B1 (ko) * 2009-11-26 2013-04-05 (주)엘지하우시스 난간대 겸용 이중 창호
KR101461264B1 (ko) * 2011-04-11 2014-11-14 (주)엘지하우시스 공틀확장 창호시스템
KR101479127B1 (ko) * 2013-02-04 2015-01-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마이크로 루버 일체형 창호
KR101595516B1 (ko) 2014-09-01 2016-02-18 (주)제이피이 태양광선 조절 기능을 갖는 열 차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309137B (zh) * 2018-04-04 2024-04-05 四川森宇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绿色建筑的多功能集成凸窗配套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068Y1 (ko) * 2003-12-24 2004-03-10 매직유라주식회사 면상발열체용 블라인드
KR200373326Y1 (ko) * 2004-10-12 2005-01-27 주식회사 한스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KR200405932Y1 (ko) 2005-10-05 2006-01-11 주식회사 한스 복층유리 내장형 자동 블라인드 장치
KR20060036177A (ko) * 2004-10-25 2006-04-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기를 위한 기능성 이중외피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068Y1 (ko) * 2003-12-24 2004-03-10 매직유라주식회사 면상발열체용 블라인드
KR200373326Y1 (ko) * 2004-10-12 2005-01-27 주식회사 한스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KR20060036177A (ko) * 2004-10-25 2006-04-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기를 위한 기능성 이중외피구조
KR200405932Y1 (ko) 2005-10-05 2006-01-11 주식회사 한스 복층유리 내장형 자동 블라인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037B1 (ko) 2012-04-18 2014-05-16 김용욱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KR101896045B1 (ko) * 2017-12-26 2018-09-06 주식회사 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471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803B1 (ko)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US11781762B1 (en) Air cooling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with attic
JP5870450B2 (ja) ダブルスキン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空調システム
US7631641B1 (en) Solar heat absorbing and distributing system
KR101062187B1 (ko) 하이브리드 파사드 시스템 및 건물의 실내공기 제어방법
KR101600974B1 (ko) 다기능 스마트 파사드 모듈 및 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CN209891596U (zh) 一种遮阳保温窗户
ES2337238T3 (es)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nivel de aportacion de alumbrado natural y/o de energia calorifica a traves de accesos y/o de la calidad del aire.
EP3749824B1 (en) A set with a roof window, electric and electronic elements and an exterior shading system
CN100575631C (zh) 一种内外双循环双层幕墙
JP2007120861A (ja) 換気調温制御装置および方法
CN111206864A (zh) 玻璃窗内腔清洁结构及其清洁方法
JP3944181B2 (ja) 建物空調システム
JP5926711B2 (ja) 暖房システム
KR101849298B1 (ko) 풍력발전 기능을 갖는 온열 블라인드 장치
KR101671930B1 (ko) 기능성 창문시스템
KR101521196B1 (ko) 건축물의 송풍 시스템
CN102518374A (zh) 具有通风口控制结构的全气候节能呼吸窗
KR102060637B1 (ko) 열관리 기능을 가지는 건물 외벽 시스템
CN218209947U (zh) 一种保温隔热墙空腔自动换气装置
RU950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точной вентиляции
KR102030502B1 (ko) 텐트
EP3384123B1 (en) Facade system
JP3121354U (ja) 集熱パネル
JP2025021636A (ja) 窓通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20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