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795B1 -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5795B1 KR100905795B1 KR1020080005427A KR20080005427A KR100905795B1 KR 100905795 B1 KR100905795 B1 KR 100905795B1 KR 1020080005427 A KR1020080005427 A KR 1020080005427A KR 20080005427 A KR20080005427 A KR 20080005427A KR 100905795 B1 KR100905795 B1 KR 1009057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usb
- pin
- signal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01R11/14—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the hook being adapted for hanging on overhead or other suspended lines, e.g. hot line clam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1)
-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전원 전압용 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데이터(D+) 핀, 제2 데이터(D-) 핀, 및 접지용 핀을 구비하며 각각의 데이터 라인들이 상기 제1 데이터(D+) 핀 및 제2 데이터(D-) 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USB 커넥터;상기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USB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USB 모듈;상기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UART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 UART 장치;상기 제2 데이터 핀의 로직 레벨 및 상기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외부 USB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상기 외부 UART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부;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기초하여,상기 커넥터의 데이터 라인들을 상기 USB 모듈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UART 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CPU를 구비하며,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2 데이터 핀이 미리 정해진 로직 레벨이 되고 상기 전원 전압용 핀에 미리 정해진 레벨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외부 USB 장치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상기 커넥터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된 전원 전압의 레벨과 상기 제2 데이터 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USB 장치인지를 검출하여 USB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USB 신호 검출부; 및상기 USB 검출 신호 및 상기 CPU에서 발생되는 시스템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CPU로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를 구비하며,상기 CPU는 상기 시스템 인에이블 신호, 상기 USB 검출 신호 및 상기 알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SB 신호 검출부는상기 커넥터의 전원 전압용 핀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이면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레귤레이터;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전압 검출기; 및상기 전압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의 제 2 데이터 핀의 신호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제1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제1 스위치; 및제2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위치의 데이터 라인을 상기 USB 모듈의 입출력 단자 또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의 입출력 단자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의 데이터 라인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스위치에 연결하거나 또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만들며,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는 상기 CPU 제어에 따라,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의 입출력 단자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UART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과 연결시키는 휴대용 단말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제어 신호는시스템 인에이블 신호가 제1 로직레벨일 때, 상기 커넥터의 데이터 라인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며,상기 시스템 인에이블 신호가 제2 로직레벨이 때, 상기 커넥터의 데이터 라 인이 상기 제2 스위치에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USB 모듈은 상기 CPU의 내부에 구비되며,상기 적어도 하나의 UART 장치는UART 칩, GPS 모듈 및 통신 모뎀 중의 적어도 하나인 휴대용 단말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경로 선택 신호를 발생하며,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는 경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의 입출력 단자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을 상기 UART 칩, 상기GPS 모듈 및 상기 모뎀 중의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시스템 디스에이블 상태인 경우, USB 커넥터의 데이터 라인들을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하는 단계;상기 USB 커넥터에 인가된 신호의 로직 레벨과 전압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장치가 USB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시스템 인에이블 상태인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터의 데이터 라인들을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USB 모듈 또는 적어도 하나의 UART 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하되,상기 커넥터는 전원 전압용 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데이터(D+) 핀, 제2 데이터(D-) 핀, 및 접지용 핀을 구비하며,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장치가 USB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 핀이 미리 정해진 로직 레벨이 되고 상기 전원 전압용 핀에 미리 정해진 레벨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커넥터가 USB 장치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5427A KR100905795B1 (ko) | 2008-01-17 | 2008-01-17 |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DE112009000147T DE112009000147T5 (de) | 2008-01-17 | 2009-01-15 | Mobilgerät, das eine UART- und USB-Kommunikation unter Verwendung desselben Steckers gestatte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
US12/863,390 US20110060850A1 (en) | 2008-01-17 | 2009-01-15 | Mobile device of supporting uart and usb communication using same conn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N2009801031659A CN101919169A (zh) | 2008-01-17 | 2009-01-15 | 使用单一连接器来支持uart通信与usb通信的移动终端机及其操作方法 |
PCT/KR2009/000221 WO2009091193A2 (ko) | 2008-01-17 | 2009-01-15 |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5427A KR100905795B1 (ko) | 2008-01-17 | 2008-01-17 |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5795B1 true KR100905795B1 (ko) | 2009-07-02 |
Family
ID=4088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54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5795B1 (ko) | 2008-01-17 | 2008-01-17 |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60850A1 (ko) |
KR (1) | KR100905795B1 (ko) |
CN (1) | CN101919169A (ko) |
DE (1) | DE112009000147T5 (ko) |
WO (1) | WO2009091193A2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7801B1 (ko) | 2012-05-15 | 2014-01-03 | 엠디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외부 인터페이스 핀 관리가 가능한 엠투엠 단말기 및 이의 외부 인터페이스 핀 변경 방법 |
KR101452993B1 (ko) | 2013-03-27 | 2014-10-22 | 주식회사 앰투앰넷 |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 |
KR20170098467A (ko) * | 2016-02-22 | 2017-08-30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 간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82267B2 (en) | 2006-03-20 | 2014-11-11 | High Performance Optics, Inc. | High energy visible light filter systems with yellowness index values |
JP4823352B2 (ja) * | 2009-12-24 | 2011-11-24 | 株式会社東芝 | 情報処理装置 |
CN102215500B (zh) * | 2010-04-09 | 2016-03-0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Ap与通讯模块的端口服务配置的动态变换方法及装置 |
CN102521186B (zh) * | 2011-11-22 | 2015-01-14 |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USB Key及其与终端进行通信的方法 |
US20130191568A1 (en) * | 2012-01-23 | 2013-07-25 | Qualcomm Incorporated | Operating m-phy based communications over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and related cables, connectors, systems and methods |
CN103823772A (zh) * | 2012-11-19 | 2014-05-28 | 创见资讯股份有限公司 | 电子装置重新与计算机主机取得连结方法和相关电子装置 |
TWI520052B (zh) * | 2012-12-25 | 2016-02-01 |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 介面切換系統以及切換操作模式方法 |
CN103853689A (zh) * | 2014-02-17 | 2014-06-11 | 上海大学 | 一种usb与4线串口uart自动切换装置及方法 |
US9703748B2 (en) * | 2014-06-06 | 2017-07-11 | Apple Inc. | Method and apparatus of emulating interfaces using FIFOs |
CN106292971A (zh) * | 2015-06-11 | 2017-01-04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开启电源的方法及电子设备 |
CN106658283B (zh) * | 2015-11-04 | 2019-06-04 | 深圳市海能达通信有限公司 | 双插针式耳机接口自动切换的系统 |
US10277597B2 (en) | 2015-11-09 | 2019-04-30 | Silvercar, Inc. | Vehicle access systems and methods |
CN105898493A (zh) * | 2016-03-31 | 2016-08-24 |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 异步收发传输器和通用串行总线接口复用电路及电路板 |
CN109800196A (zh) * | 2017-11-17 | 2019-05-24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usb接口接入设备 |
CN108132902B (zh) * | 2018-01-11 | 2020-10-23 |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可自适应电压的uart转usb系统和方法 |
CN108599799B (zh) * | 2018-03-20 | 2024-04-23 | 四川万益能源科技有限公司 | Rs485电路和通信系统 |
CN113164012A (zh) * | 2018-09-27 | 2021-07-23 | 3 形状股份有限公司 | 用于扫描人体腔内的电源可适应设备 |
EP3736662A1 (en) * | 2019-05-10 | 2020-11-11 | Nxp B.V. | Power supply management for a data storage device |
US12056075B2 (en) * | 2020-09-30 | 2024-08-06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Repeater with multiplexing circuit for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and embedded universal serial bus (eUSB2) |
CN114691570B (zh) * | 2020-12-25 | 2024-08-06 |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 电子设备及信号的切换方法 |
US11238002B1 (en) * | 2021-04-01 | 2022-02-01 | Motorola Solutions, Inc. | Accessory interfa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CN113760806B (zh) * | 2021-11-09 | 2022-02-15 | 南京沁恒微电子股份有限公司 | 多模式虚拟串口芯片、实现方法、固件下载系统及其方法 |
BE1031098B1 (de) | 2022-12-01 | 2024-07-01 | Phoenix Contact Gmbh & Co | Tragbares Peripheriegerät, Feldgerät, Verfahren sowie Kommunikationssystem |
DE102022131885A1 (de) | 2022-12-01 | 2024-06-06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Tragbares Peripheriegerät, Feldgerät, Verfahren sowie Kommunikationssystem |
US11989152B1 (en) * | 2023-01-13 | 2024-05-21 | Endress+Hauser SE+Co. KG | Self-configuring UART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5806A (ko) * | 2003-07-07 | 2005-01-15 |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
KR20060044208A (ko) * | 2004-11-11 | 2006-05-16 | 주식회사 팬택 |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KR20060068603A (ko) * | 2004-12-16 | 2006-06-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멀티 커넥터 제어장치 및 방법 및 구조 |
KR20060113455A (ko) * | 2005-04-27 | 2006-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기능 소켓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68077B1 (en) * | 1998-10-21 | 2001-01-02 | Litronic, Inc. |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dual mode card and reader |
US20090037622A1 (en) * | 2007-08-02 | 2009-02-05 | Broadcom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operation modes of an interface device |
-
2008
- 2008-01-17 KR KR1020080005427A patent/KR10090579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1-15 WO PCT/KR2009/000221 patent/WO2009091193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1-15 US US12/863,390 patent/US2011006085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1-15 DE DE112009000147T patent/DE112009000147T5/de not_active Ceased
- 2009-01-15 CN CN2009801031659A patent/CN101919169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5806A (ko) * | 2003-07-07 | 2005-01-15 |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
KR20060044208A (ko) * | 2004-11-11 | 2006-05-16 | 주식회사 팬택 |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KR20060068603A (ko) * | 2004-12-16 | 2006-06-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멀티 커넥터 제어장치 및 방법 및 구조 |
KR20060113455A (ko) * | 2005-04-27 | 2006-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기능 소켓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7801B1 (ko) | 2012-05-15 | 2014-01-03 | 엠디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외부 인터페이스 핀 관리가 가능한 엠투엠 단말기 및 이의 외부 인터페이스 핀 변경 방법 |
KR101452993B1 (ko) | 2013-03-27 | 2014-10-22 | 주식회사 앰투앰넷 |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 |
KR20170098467A (ko) * | 2016-02-22 | 2017-08-30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 간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
KR102371501B1 (ko) * | 2016-02-22 | 2022-03-07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 간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060850A1 (en) | 2011-03-10 |
CN101919169A (zh) | 2010-12-15 |
WO2009091193A3 (ko) | 2009-11-05 |
DE112009000147T5 (de) | 2010-11-25 |
WO2009091193A2 (ko) | 2009-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5795B1 (ko) |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
CN101359316B (zh) | 一种实现通用串行总线usb otg的方法及装置 | |
US8200852B2 (en) | Multi-mode dongle for peripheral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 |
KR101038109B1 (ko) | 듀얼 인터페이스 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카드 시스템 | |
EP1550045B1 (en) | Device operable as both a host and a non-host (i.e. dual-mode device) | |
US10042801B2 (en) | System for detecting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method thereof | |
US734314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and loading software into a battery-less electronic device | |
US20070075680A1 (en) | Charging mode control circuit | |
JP4758473B2 (ja) |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電源管理を使用不能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US8862921B1 (en) | Apparatus for remote wake-up during dedicated charging mode | |
KR20120101728A (ko) |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이버네이션 동안의 액세서리로의 전력의 제공 | |
CN108228509B (zh) | 一种usb接口切换装置和电子设备 | |
KR20090028196A (ko) |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 |
WO2017063459A1 (zh) | Usb控制装置及设备 | |
KR101805879B1 (ko) | Mpsc의 제어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 장치 및 방법 | |
US20140157012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 |
WO2008065468A1 (en) | Power control for serial bus peripheral device | |
KR100643750B1 (ko) | 유에스비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그 충전 방법 | |
CN106774769B (zh) | 一种终端工作模式的切换方法及装置、手持终端 | |
US20060015670A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connection of a peripheral unit to a host system | |
KR100659515B1 (ko) | Usb 동작모드의 자동스위칭 방법, 및 이를 이용한단일포트 usb 장치 | |
KR100974519B1 (ko) | 휴대용 단말기 및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 |
CN105373423A (zh) | 解决处理器的中断口不足的装置、方法及系统 | |
US20140365806A1 (en) | Peripher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6530048B1 (en) | I2C test single chi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