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04950B1 -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Google Patents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950B1
KR100904950B1 KR1020060116578A KR20060116578A KR100904950B1 KR 100904950 B1 KR100904950 B1 KR 100904950B1 KR 1020060116578 A KR1020060116578 A KR 1020060116578A KR 20060116578 A KR20060116578 A KR 20060116578A KR 100904950 B1 KR100904950 B1 KR 100904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acrylate
resin composition
copolymer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911A (ko
Inventor
신배근
이기수
전병호
정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11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9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4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상세하게는 a)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b) 폴리올레핀, 및 c)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산소 차단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차단성 수지 조성물은, 용융성형성 및 상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관(투명성 등)과 산소 차단성이 우수하여 필름, 시트 및 용기 등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산소 차단성 수지 조성물,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용융성형성, 상용성, 필름, 시트, 용기

Description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OXIGEN BARRI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ETHYLENE-ACRYLATE COPOLYMER AND ARTICLES THEREFROM}
본 발명은 산소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a)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b) 폴리에틸렌, 및 c)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 용기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차단성 수지 조성물은, 용융성형성 및 상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관(투명성 등)과 산소 차단성이 우수하여 필름, 시트 및 용기 등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성형성, 기계적 물성 및 습기에 대한 차단성능 등에서 뛰어나 여러가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식품 포장용 등의 특정 용도에는 기체 투과도, 특히 산소 투과도가 높아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리올레핀 수지에 나노복합 체를 컴파운딩하여 산소 차단성을 증대 시키는 방안도 연구된바 있으나, 차단성의 개선 효과가 적고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산소 차단성이 우수한 에틸렌 비닐알코올 (EVOH)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등과 공압출(co-extrusion) 및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통해 다층 필름을 제조하여 식품포장용 필름, 용기 등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EVOH는 기체 차단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고분자 재료로서 식품이나 화학제품 포장시 이용되지만 가격이 월등히 비싸고 유연성 및 연신성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그 용도에 제한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산소 차단성이 낮다는 점을 극복하고, EVOH에 유연성과 연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EVOH을 블렌딩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으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EVOH 간의 상용성(compatibility)이 좋지 않아 필름이나 시트 제조시에 불균일한 혼합물이 얻어지므로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물 제조시 적당한 상용화제를 선정하여 혼합물의 균일도를 높이는 것이 주요한 기술적 과제이다.
유럽 특허 제0,015,556호(1980.09.17 공개)와 제0,210,725호(1987.02.04 공개), 미국 특허 제4,971,864호(1990.11.20 등록)에는 극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폴리에틸렌에 그라프트(graft) 중합된 상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폴리 올레핀계와 EVOH의 혼합물의 균일성을 높여 산소차단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5,310,788호(1994.05.10 등록)에는 폴리올레핀과 EVOH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극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폴리에틸렌에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과 폴리아미드(또는 폴리아미드 올리고머)의 반응물을 상용화제 성분으로 혼합물의 연신성(stretchability)과 유연성(flexibility)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상용화제의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 용융 성형성 및 산소차단성이 저하되고, 상용화제 함량을 감소시키는 경우 필름의 투명성과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5,356,990호(1994.10.18 등록)에는 EVOH의 기계적 물성 및 제품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EVOH를 용융시킨 후 에틸렌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압출기나 성형장비가 요구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6-001657호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부분 검화 수지를 상용화제로 이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EVOH에 혼합한 후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양쪽 표면에 코팅하는 다층필름이 개시되어 있으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EVOH간의 상용성에 한계가 있으며 다층 필름 제조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필름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융성형성 및 상용성이 우수할 뿐 만 아니라, 외관(투명성 등)과 산소차단성이 우수하여 필름, 시트, 용기 등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종래 기술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EVOH계가 아닌 새로운 성분 조성을 갖는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의 제조에 성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a)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b) 폴리올레핀, 및 c)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지 조성물은, a) 에틸렌 10~50몰%, 아크릴레이트 50~90몰%로 이루어진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0 내지 90 중량%; b) 폴리올레핀 5 내지 55 중량%; 및, c)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 차단성 필름 및 용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공중합체"는 2 이상의 공단량체로 제조된 중합체를 의미하며, "공단량체"는 공중합체를 이루는 단량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내의 "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아크릴산 염과 같은 아크릴산 화합물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또한 본 발 명에서 사용된 용어 중 "필름"이란, 얇은 막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 통상 쉬트(sheet), 랩(wrap)으로 불리우는 것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폴리올레핀과 극성기를 함유하고 있는 고분자 사이의 블렌딩 등을 이용하여 물성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경우 수지 간의 상용성의 문제 및 적당한 상용화제의 선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수지 간에 블렌딩 없이 극성기가 포함된 폴리올레핀을 차단성 필름에 적용함으로써 필름의 균일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기술적 과제가 되어 왔다. 폴리올레핀에 극성기를 도입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고온 고압법 및 촉매법이 있으나 제조 공정상 어려움과 극성기의 도입량이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된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극성 모노머의 랜덤 공중합체이면서 극성기의 함유량이 높고 함유량을 자유로이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고,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와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용성의 문제 또는 상용화제를 선정하여야 하는 문제가 야기되지 않으며, 용융성형성, 투명성 및 산소차단성이 우수하여 이러한 물성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a)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첫번째 구성성분은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40 내지 9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함량이 40중량% 미만이면 산소차단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발명의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90중량% 미만이면 유연성의 향상 효과가 적어진다.
또한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은 10~50몰%이고, 아크릴레이트 함량은 50~90몰%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틸렌 함량이 15~40몰%이고 아크릴레이트 함량이 60~85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내의 에틸렌 함량은 유연성 및 연신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인이며, 아크릴레이트 함량은 필름의 산소 차단성 및 투명성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내의 단량체 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투명성, 기계적 물성 및 산소 차단 효과를 동시에 갖도록 할 수 있다. 에틸렌 함량이 10몰% 보다 적을 경우 유연성 및 연신성 측면에서 불리하여 필름 등으로의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되며, 에틸렌 함량이 50몰% 보다 높을 경우, 기계적 강도에 유리하지만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에틸렌 반응성이 아크릴레이트 반응성보다 현저히 떨어지므로 중합 관점에서 기술적 구현이 어려워진다. 특히 에틸렌 함량이 15~40몰% 의 범위인 경우,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더욱 개선된다.
또한, 상기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질량평균 분자량은 30,000g/몰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70,000g/몰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30,000g/몰 보다 작을 경우 조성물 및 조성물로 제조된 물품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며, 70,000g/몰 이상일 경우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더욱 개선된다.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므로 상한값은 특히 제한할 의미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공단량체와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인 1종 이상의 공단량체와 에틸렌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에틸렌과 공중합될 수 있는 적절한 공단량체로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소수 1 내지 12인 알코올의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소수 1 내지 8인 알코올의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공단량체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탄소수 5 내지 12의 알코올의 네오-이성체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공단량체는 n-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틸렌과,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제3의 단량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제3의 단량체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비닐 에스테르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말레산의 부분 에스테르 및 일산화탄소 등의 단량체 등이 있다.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에 도입되는 에틸렌 함량은 10~50몰%가 적합하며, 15~40 몰%가 더욱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량이 10몰% 보다 적을 경우 유연성 및 연신성 측면에서 불리하여 필름 등으로의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되며, 에틸렌 함량이 50몰% 높을 경우, 기계적 강도에 유리하지만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에틸렌 반응성이 아크릴레이트 반응성보다 현저히 떨어지므로 중합 관점에서 기술적 구현이 불가능 하다. 특히 에틸렌 함량이 15~40몰% 이상일 경우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더욱 개선되어 필름으로 제조하기에 더욱 적합하다.
b) 폴리올레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두번째 성분인 폴리올레핀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헥센, 폴리펜텐, 폴리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사용량은 5∼55중량%이며,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유연성의 향상효과가 적어지고 55중량%를 초과하면 산소차단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c)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세번째 성분인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서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이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라디칼 공중합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3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우며,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소차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투명성 및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건조혼합(Dry Blending) 또는 용융혼합(Melt Blending)한 후에 압출기로 혼입하여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건조혼합의 경우는 텀블러 믹서(Tumbler mixer)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으며, 용융혼합의 경우는 브라벤더(Brabender) 믹서, 일축 압출기(Single-screw extruder) 또는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블로운(Blown), 캐스트(Cast) 압출성형 등의 가공기기를 사용하여 가공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 시트 또는 용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 및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표기
a)성분 A1 에틸렌 20몰%, 190℃에서의 용융지수가 5(g/10분, 2.16kg)인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EMMA)
A2 틸렌 20몰%, 160℃에서의 용융지수가 3.2(g/10분, 2.16kg)인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PEMA)
b)성분 B1 190℃에서 용융지수가 0.6(g/10분, 2.16kg)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c)성분 C1 아크릴산의 함유도가 10중량%이고 190℃에서의 용융지수가 1.5(g/10분, 2.16kg)인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실시예 1]
에틸렌 함량이 20몰%인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65중량%,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25중량%, 아크릴산 함유도가 10중량%인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10중량%의 비율로, 총량이 3kg 이 되도록 건조혼합시켰다. 혼합물을 직경 19mm 의 일축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140-150-170-190 에서 용융압출하여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5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차단층으로 사용하여 단층 캐스팅 필름 장비를 이용하여 20㎛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및 비교예 1~9]
각 성분과 함량을 하기 표 2 및 표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필름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을 가로 및 세로 10cm 규격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상대습도 0% 조건에서 가스투과율 측정기(Mocon Oxtran)로 산소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공급 산소는 99.9% 산소이고 산소 공급 압력은 0.5 bar 이며 최소 12시간이상 1시간 간격으로 산소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및 신율은 ASTM D638에 따라 유니버셜 인장시험기(인스트론, M 420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종류 A1/B1/C1 산소 투과도 (cc.30㎛/㎡.day.atm) 인장강도 신율
TD MD TD MD
실시예1 65/25/10 0.3034 654 634 158 143
실시예2 55/35/10 0.4521 623 601 196 187
실시예3 75/10/15 0.2153 644 623 123 111
실시예4 50/25/25 0.4214 665 645 167 153
비교예1 35/50/15 5.2443 616 601 234 212
비교예2 91/6/3 0.4324 634 611 76 69
비교예3 75/2/23 0.3524 645 631 45 37
비교예4 41/57/2 6.2541 639 625 243 211
비교예5 45/15/40 4.2563 629 605 157 139
종류 A2/B1/C1 산소 투과도 (cc.30㎛/㎡.day.atm) 인장강도 신율
TD MD TD MD
실시예5 60/20/20 0.5435 589 567 279 259
실시예6 50/30/20 0.4765 547 527 301 287
실시예7 70/15/15 0.3546 598 570 255 244
비교예6 35/50/15 4.5476 547 533 254 230
비교예7 91/6/3 0.2999 567 555 77 69
비교예8 75/2/23 0.3145 573 560 39 29
비교예9 41/57/2 5.4150 599 576 277 256
비교예10 45/15/40 5.5549 555 535 201 193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산소 차단성, 기계적 물성 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구성성분 함량이 범위를 벗어난 경우, 비교예의 결과와 같이 산소차단성 또는 신율이 현저하게 떨어짐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b) 폴리올레핀 및 c)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산소 차단성 수지 조성물은, 용융성형성 및 상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차단층으로 사용한 경우보다도 유연성(flexibility)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외관(투명성 등)과 산소 차단성이 우수하여 식품 포장용 필름, 용기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a) 에틸렌 10~50몰%, 아크릴레이트 50~90몰%로 이루어진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0 내지 90 중량%;
    (b) 폴리올레핀 5 내지 55 중량%; 및,
    (c)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1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15~40몰%이고, 상기 아크릴레이트 함량은 60~85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30,000g/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평균 분자량은 70,000g/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a)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공단량체와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단량체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소수 1~12인 알코올의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5 내지 12의 알코올의 네오-이성체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b) 폴리올레핀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헥센, 폴리펜텐, 폴리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c)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는, 라디칼 공중합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필름.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 차단성 용기.
KR1020060116578A 2006-11-23 2006-11-23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0904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578A KR100904950B1 (ko) 2006-11-23 2006-11-23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578A KR100904950B1 (ko) 2006-11-23 2006-11-23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911A KR20080046911A (ko) 2008-05-28
KR100904950B1 true KR100904950B1 (ko) 2009-06-29

Family

ID=3966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578A KR100904950B1 (ko) 2006-11-23 2006-11-23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4478B (zh) * 2019-06-11 2022-01-18 福建富一锦科技有限公司 一种透明牛奶包装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395A (ko) * 1995-01-03 1996-08-17 조규향 산소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KR20020087703A (ko) * 2001-05-16 2002-11-23 케미타운 주식회사 완구제조용 다층 필름
KR20070093367A (ko)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1-알켄-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395A (ko) * 1995-01-03 1996-08-17 조규향 산소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KR20020087703A (ko) * 2001-05-16 2002-11-23 케미타운 주식회사 완구제조용 다층 필름
KR20070093367A (ko)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1-알켄-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911A (ko)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8056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5225524B2 (ja) アイオノマー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IL95661A (en) Alloys based o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s with gas barrier properties, heat-resistant and / or resistant to
WO2002078885A1 (en) Thermoformable packaging film
KR100904950B1 (ko)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JPH0496946A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9138139A (ja) オレフィン系重合体延伸フイルム
KR100693390B1 (ko)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0161647B1 (ko) 산소 차단성 다층필름
KR100314827B1 (ko)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693388B1 (ko)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605675B1 (ko) 산소차단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JP5021751B2 (ja) エチレン−アクリレート系共重合体を含んで成る酸素遮断性フィルム及び容器
KR100326587B1 (ko) 산소차단성수지조성물및그의성형품
JP373754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6156401A (en) Oxygen barrier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 containing the same
JPH04110336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層構造体
JPH0932859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5220086B2 (ja) アイオノマー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20070264512A1 (en) Extrusion coating process for improved adhesion to metal(lized) substrates
KR101174929B1 (ko)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KR101135736B1 (ko)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KR100547353B1 (ko)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산소차단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
JP6710537B2 (ja) 樹脂組成物、フィルム、包装袋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240050277A (ko) 저수축장력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