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93618B1 - 전자 영상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영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618B1
KR100893618B1 KR1020080021485A KR20080021485A KR100893618B1 KR 100893618 B1 KR100893618 B1 KR 100893618B1 KR 1020080021485 A KR1020080021485 A KR 1020080021485A KR 20080021485 A KR20080021485 A KR 20080021485A KR 100893618 B1 KR100893618 B1 KR 10089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region
regions
barrier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식
남희
박찬영
구자승
장형욱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618B1/ko
Priority to US12/382,042 priority patent/US81255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6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토크 발생을 억제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고,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는 전자 영상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영상 기기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베리어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복수의 주사선, 복수의 데이터선 및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베리어부는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제1 전극들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들과 다른 층에 형성되면서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제1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전극들을 포함한다.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의 일부는 베리어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어 위치한다.
입체영상, 표시부, 베리어부, 주사선, 데이터선, 절연층

Description

전자 영상 기기 {ELECTRONIC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영상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영상 기기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영상 기기는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여 관찰자가 보는 영상에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 영상 기기 가운데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관찰자가 편광 안경과 같은 장비를 착용하지 않고도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피(autostereoscopy)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통상의 오토스테레오스코피 장치는 화소를 좌안용과 우안용으로 나누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표시부에서 구현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관찰자의 좌안 방향과 우안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베리어부를 포함한다. 베리어부는 투명 전극들과 액정층을 구비하여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와 광 투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표시부에서 화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화소들을 홀수번째 화소들과 짝수번째 화소들로 나누면, 공지의 시분할 방식에서 표시부는 한 프레임을 2개의 기간으로 나누어 제1 기간에서 홀수번째 화소들 및 짝수번째 화소들에서 각각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고, 제2 기간에서 홀수번째 화소들 및 짝수번째 화소들에서 각각 우안 영상과 좌안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베리어부는 표시부의 구동에 동기되어 구동하며, 제1 기간과 제2 기간에서 광 차단부와 광 투과부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이러한 방식을 시분할 구동 방식이라 하며, 관찰자가 표시부의 전체 화소, 즉 홀수번째 화소들과 짝수번째 화소들을 모두 볼 수 있으므로 평면 영상과 동일한 해상도의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액정 표시 패널(LCD)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과 같이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에서는 주사 방향을 따라 제1 기간의 영상과 제2 기간의 영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즉, 표시부의 아래쪽에 제1 기간의 영상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표시부의 위쪽부터 아래 방향으로 제2 기간의 영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1 기간의 영상과 제2 기간의 영상이 혼재하는 시간 동안에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분리되지 못하므로 크로스토크(crosstalk)로 작용한다.
이러한 크로스토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 프레임 내에 제1 기간의 영상과 제2 기간의 영상을 2번 이상 표시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구동 주파수의 상승으로 인해 소비 전력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크로스토크 발생을 억제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고,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는 전자 영상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는, (i)복수의 주사선, 복수의 데이터선 및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ii)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베리어부를 포함한다. 베리어부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제1 전극들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들과 다른 층에 형성되며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제1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전극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의 일부는 베리어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어 위치한다.
제1 전극들은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양 단부에 제1 확장부를 형성하여 제1 확장부에서 제2 전극들과 중첩될 수 있다. 제1 전극의 폭은 제1 전극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 중 홀수번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과 짝수번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은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 홀수번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은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짝수번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은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영상 기기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제1 전극들 사이로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제1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1 전극용 연결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영상 기기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제1 전극들과 거리를 두고 제1 전극들과 같은 층에 위치하는 제2 전극용 연결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용 연결전극은 금속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들은 절연층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제2 전극용 연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들은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양 단부 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 이웃 영역의 제1 전극들과 중첩되는 제2 확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영역이 1/4 영역, 2/4 영역, 3/4 영역 및 4/4 영역을 포함할 때, 1/4 영역, 2/4 영역 및 3/4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전극들은 일측 단부에 각각 2/4 영역, 3/4 영역 및 4/4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과 중첩되는 제2 확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4 영역, 3/4 영역 및 4/4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전극들의 일측 단부는 각각 1/4 영역, 2/4 영역 및 3/4 영역의 제1 전극들과 갭을 두지 않고 이웃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영상 기기는 좌우 영상과 우좌 영상이 섞여서 표시되는 영역을 차단하여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며, 구동 주파수와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영상 기기는 베리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동할 때, 영역들 사이의 경계 부분이 보이지 않으며, 제1 전극들과 제2 전극들 사이로 빛이 새지 않으므로 입체 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영상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00)와, 표시부(100)에 연결되는 주사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와, 표시부(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베리어부(400)와, 베리어부(400)에 연결되는 베리어 구동부(500)와, 주사 구동부(200)와 데이터 구동부(300) 및 베리어 구동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표시부(100)는 선택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S1-Sn)과, 복수의 주사선(S1-Sn)과 절연을 유지하면서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과,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110)를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110)는 적색을 표시하는 적색 부화소와, 녹색을 표시하는 녹색 부화소 및 청색을 표시하는 청색 부화소로 구성된다.
표시부(100)는 평면 영상과 입체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입체 영상을 표시할 때에는 화소들을 좌안용과 우안용으로 나누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동시에 표시한다. 표시부(100)는 액정 표시 패널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과 같은 공지의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다.
주사 구동부(200)는 표시부(100)의 주사선(S1-Sn)에 연결되어 게이트 온 전압과 게이트 오프 전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선택 신호를 주사선에 인가한다. 이때, 주사 구동부(200)는 복수의 주사선(S1-Sn)에 각각 인가되는 복수의 선택 신호가 차례로 게이트 온 전압을 가지도록 선택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 신호가 게이트 온 전압을 가지는 경우, 해당 주사선에 연결되는 화소 회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온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표시부(100)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계조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어부(600)로부터 입력되는 계조를 가지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전압 또는 전류의 형태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600)는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입력받아 주사 제어 신호(CONT1), 데이터 제어 신호(CONT2), 영상 데이터 신호(DR, DG, DB) 및 베리어 구동부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며, 주사 제어 신호(CONT1)를 주사 구동부(200)로,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와 영상 데이터 신호(DR, DG, DB)를 데이터 구동부(300)로, 베리어 구동부 제어 신호(CONT3)를 베리어 구동부(500)로 전달한다.
주사 제어 신호(CONT1)는 주사 시작을 지시하는 주사 시작 신호 및 제1 클록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사 시작 신호는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전달의 시작을 지시하는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되어 한 프레임의 영상을 표시부(100)에 표시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신호이며, 제1 클록 신호는 한 행의 화소에 대한 입력 영상 데이터 전달을 지시하는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되어, 복수의 주사선 각각에 선택 신호를 전달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되어 일정한 주기를 갖는 제2 클록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전달의 시작을 제어하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600)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는 일반적인 평면 영상 데이터이거나, 객체의 3차원 공간 좌표 및 표면 정보를 포함하여 평면상에 입체적으로 표시되는 3D 그래픽 데이터 및 각 시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입력 신호가 입체 영상 데이터인 경우, 복수의 주사선(S1-Sn)에 전달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베리어부(400)를 구동하기 위한 베리어 구동부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며, 이를 베리어 구동부(50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리어부(400)는 데이터선(D1-Dm)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사선(S1-Sn) 중 어느 하나의 주사선에 선택 신호가 전달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베리어부(400)의 각 영역이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주사 구동부(200)가 제1 클록 신호에 따라 선택 신호를 복수의 주사선(S1-Sn) 각각에 전달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제1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베리어부(400)의 복수개 영역에 대응하는 주사선 중 어느 주사선에 선택 신호가 전달되는지 감지한다. 즉, 제어부(600)는 복수의 주사선(S1-Sn) 중 임의의 선택 신호가 전달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베리어부(400)가 동작하도록 베리어 구동부 제어 신 호(CONT3)를 생성한다. 그러면 베리어 구동부(500)는 베리어 구동부 제어 신호(CONT3)에 따라 베리어부(400)를 구동시키거나 동작을 멈추게 한다.
베리어 구동부(500)는 베리어부(4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베리어 구동신호(CB)를 생성하여 베리어부(400)에 전달한다. 베리어부(400) 및 베리어 구동부(5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구성의 전자 영상 기기는 시분할 구동 방식으로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시분할 구동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2의 (a)는 하나의 프레임을 제1 기간(T1)과 제2 기간(T2)의 2개의 기간으로 나누어 시분할 구동하였을 때, 제1 기간(T1)에서 화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좌안-우안의 순서로 합성된 영상(이하, '좌우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의 (b)는 제2 기간(T2)에서 화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우안-좌안의 순서로 합성된 영상(이하, '우좌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제1 기간(T1)에서 표시부(100)의 홀수번째 화소(OP)는 좌안용 화소가 되고, 짝수번째 화소(EP)는 우안용 화소가 된다. 그리고 베리어부(400)는 화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광 차단부(12)와 광 투과부(14)를 하나씩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한다. 그러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각각 관찰자의 좌안 방향과 우안 방향으로 투사되는 경로가 형성된다.
이어서 도 2의 (b)를 참고하면, 제2 기간(T2)에서 표시부(100)의 홀수번째 화소(OP)는 우안용 화소가 되고, 짝수번째 화소(EP)는 좌안용 화소가 된다. 그리고 베리어부(400)는 화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광 투과부(14)와 광 차단부(12)를 하나씩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한다. 그러면 우안 영상과 좌안 영상이 각각 관찰자의 우안과 좌안 방향으로 투사되는 경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베리어부(400)에 의해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서로에 대해 소정의 편차(disparity)를 가지며, 전자 영상 기기를 관찰하는 관찰자는 실제 입체 대상물을 보는 것과 같은 깊이 정보를 얻게 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한 프레임을 제1 기간(T1)과 제2 기간(T2)으로 나누어 표시함에 따라, 관찰자는 평면 영상과 같은 해상도의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복수의 주사선(S1-Sn)에 선택 신호가 차례로 전달되는 주사 방향을 따라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제1 기간(T1)에서 좌우 영상을 표시한 다음 제2 기간(T2)에서 우좌 영상을 표시할 때, 표시부(100)에 좌우 영상과 우좌 영상이 섞여서 보이는 영역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의 베리어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00)의 주사 방향(데이터선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며, 도 1에서 화면의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주사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바뀌는 영상에 동기되어 각 영역이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 중 베리어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베리어부(40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22) 및 제2 기판(24)과, 제1 기판(22)과 제2 기판(24) 사이에 주입 밀봉되는 액정층(26)과, 제1 기판(22)의 내면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28)과, 제2 기판(24)의 내면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30)과, 절연층(32)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들(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전극들(34)과, 제1 기판(22)과 제2 기판(24)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편광판(36)과 제2 편광판(38)을 포함한다.
공통 전극(28)은 제1 기판(22)의 유효면 전체에 형성된다. 공통 전극(28)이 위치하는 제1 기판(22)이 베리어부(400)의 전면 기판이 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공통 전극(28)과 제1 전극들(30) 및 제2 전극들(34)은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고, 절연층(32)은 투명한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액정층(26)을 향한 공통 전극(28)의 일면과, 액정층(26)을 향한 제2 전극들(34)의 일면에는 배향막(40)이 위치한다. 제1 편광판(36)과 제2 편광판(38)은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베리어부 가운데 제1 전극군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베리어부는 표시부의 주사 방향(화면의 수직 방향이며, 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R1, R2, R3, R4)으로 분할된다. 도 4에서는 베리어부가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베리어부의 영역 개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영역(R1, R2, R3, R4)마다 제1 전극들(30)이 주사선의 길이 방향(화면의 수평 방향이며, 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각각의 제1 전극(30)은 표시부의 주사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긴 슬릿 모양으로 이루 어진다.
그리고 제1 전극들(30) 사이에는 주사선의 길이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연결전극(L1, L2, L3, L4)이 배치되어 제1 전극들(30)을 연결시킨다. 1/4 영역(R1), 2/4 영역(R2), 3/4 영역(R3) 및 4/4 영역(R4)에 위치하는 연결전극을 각각 제1 연결전극(L1), 제2 연결전극(L2), 제3 연결전극(L3) 및 제4 연결전극(L4)이라 한다.
1/4 영역(R1)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30)과 2/4 영역(R2)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30)은 표시부의 주사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2/4 영역(R2)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30)은 1/4 영역(R1)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30)의 사이 부위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1/4 영역(R1)의 제1 전극들(30)과 3/4 영역(R3)의 제1 전극들(30)이 표시부의 주사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2/4 영역(R2)의 제1 전극들(30)과 4/4 영역(R4)의 제1 전극들(30)이 표시부의 주사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전극(30)은 주사선의 길이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양 단부에 제1 확장부(301, 도 5 참조)를 형성한다. 제1 확장부(301)는 다음에 설명하는 제2 전극들과 중첩되는 부위이다. 제1 확장부(301) 형성에 의해 제1 전극(30)의 폭(w, 도 4 참조)은 제1 전극들(30)의 사이 간격(g, 도 4 참조)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영역(R1, R2, R3, R4)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제2 전극들을 위한 연결전극(L5, L6, L7, L8)이 위치한다. 도면에서는 일례로 각 영역(R1, R2, R3, R4)의 하단부에 제2 전극들을 위한 연결전극(L5, L6, L7, L8)이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1/4 영역(R1), 2/4 영역(R2), 3/4 영역(R3) 및 4/4 영역(R4)에 위치하는 연결전극을 각각 제5 연결전극(L5), 제6 연결전극(L6), 제7 연결전극(L7) 및 제8 연결전극(L8)이라 한다.
제5 내지 제8 연결전극(L5-L8)은 제1 전극들(30)과 쇼트되지 않도록 제1 전극들(30)과 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제1 내지 제4 연결전극(L1-L4)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제5 내지 제8 연결전극(L5-L8)은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거나,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5 내지 제8 연결전극(L5-L8)을 미세 폭으로 형성하여 전자 영상 기기 구동시 제5 내지 제8 연결전극(L5-L8)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들(30)과 제1 내지 제8 연결전극(L1-L8) 위로 투명한 절연층(32, 도 3 참조)이 형성되며, 절연층(32) 위로 제2 전극들(34, 도 3 참조)이 위치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베리어부 가운데 제2 전극군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각 영역(R1, R2, R3, R4)마다 제2 전극들(34)이 주사선의 길이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제2 전극들(34)은 같은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30)의 사이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표시부의 주사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긴 슬릿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8의 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베리어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2 전극(34)은 절연층(32)에 형성된 비아홀(via hole)(321)을 통해 해당 영역의 연결전극(L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에서 제2 전극(34)과 해당 연결전극(L5, L6)의 접촉점을 CP로 표기하였다.
도 7을 참고하면, 제2 전극(34)은 표시부의 주사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양 단부 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 이웃 영역의 제1 전극(30)과 중첩되는 제2 확장부(341)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1/4 영역(R1), 2/4 영역(R2) 및 3/4 영역(R3)에 위치하는 제2 전극(34)은 하측 단부에 각각 2/4 영역(R2), 3/4 영역(R3) 및 4/4 영역(R4)의 제1 전극(30)과 중첩되는 제2 확장부(341)를 형성한다. 제2 확장부(341)의 폭은 제2 내지 제4 연결전극(L2-L4)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례로 제2 확장부(341)의 폭이 제2 내지 제4 연결전극(L2-L4)의 폭과 같은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2/4 영역(R2), 3/4 영역(R3) 및 4/4 영역(R4)에 위치하는 제2 전극(34)은 상측 단부가 각각 1/4 영역(R1), 2/4 영역(R2) 및 3/4 영역(R3)에 위치하는 제1 전극(30)과 갭을 두지 않고 이웃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2/4 영역(R2), 3/4 영역(R3) 및 4/4 영역(R4)에 위치하는 제2 전극(34)은 상측 단부에 각각 1/4 영역(R1), 2/4 영역(R2) 및 3/4 영역(R3)에 위치하는 제1 전극(30)의 단부와 이웃하도록 연장된 제3 확장부(342)를 형성한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한 베리어부 가운데 제1 전극군과 제2 전극군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베리어부의 각 영역에서 제1 전극들(30)과 제2 전극들(34)은 제1 전극(30)에 형성된 제1 확장부(301)에 의해 베리어부의 두께 방향(도 3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베리어부가 동작할 때 제1 전극(30)과 제2 전극(34) 사이로 빛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입체 영상 구현시 크로스토크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34)은 일측 단부에 제2 확장부(341)를 형성하여 다음 영역의 제1 전극(30)과 중첩되고, 반대편 일측 단부에 제3 확장부(342)를 형성하여 이전 영역의 제1 전극(30)과 갭을 두지 않고 이웃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베리어부의 각 영역이 선택적으로 동작할 때, 영역들 사이의 경계 부위가 시각적으로 인지되지 않는다. 베리어부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10과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베리어부 가운데 1/4 영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베리어부가 전압 무인가시 빛을 통과시키는 노멀리 화이트 모드(normally white molde)인 경우, 공통 전극에 대해 액정이 동작하는 전압차 만큼의 전압, 즉 액정 구동전압(V1)을 제1 연결전극(L1)에 인가하면, 제1 전극들(30)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액정의 꼬임각이 변화한다. 따라서 제1 전극들(30)이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가 되고, 나머지 부분이 광 투과부가 된다. 이때, 제2 전극들(34)에는 공통 전극과 동일한 전압(Vcom)을 인가하거나 플로팅시킨다.
도 11을 참고하면, 반대로 액정 구동전압(V1)을 제5 연결전극(L5)에 인가하는 경우, 제2 전극들(34)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액정의 꼬임각이 변화한다. 따라서 제2 전극들(34)이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가 되고, 나머지 부분이 광 투과부가 된다. 이때, 제1 전극들(30)에는 공통 전극과 동일한 전압(Vcom)을 인가하거나 플로팅시킨다.
2/4 영역(R2), 3/4 영역(R3) 및 4/4 영역(R4)의 동작 또한 전술한 1/4 영역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 중 표시부와 베리어부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표시부(100)는 4개의 영역(D1, D2, D3, D4)으로 분할되고, 베리어부(400)도 표시부(100)의 영역 분할에 대응하여 4개의 영역(R1, R2, R3, R4)으로 분할된다. 각 영역마다 제1 전극들(30)과 제2 전극들(34)이 위치한다. 1/4 영역(R1)에는 제1 연결전극(L1)과 제5 연결전극(L5)이 위치하고, 2/4 영역(R2)에는 제2 연결전극(L2)과 제6 연결전극(L6)이 위치한다. 3/4 영역(R3)에는 제3 연결전극(L3)과 제7 연결전극(L7)이 위치하며, 4/4 영역(R4)에는 제4 연결전극(L4)과 제8 연결전극(L8)이 위치한다.
이하, 도 13과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00)에 제1 기간(T1) 동안 좌우 영상(1)이 표시되고, 제2 기간(T2) 동안 우좌 영상(2)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부(100)의 각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및 이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베리어부(400)의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리어 구동부(500)로부터 복수의 연결전극(L1-L8)에 전달되는 베리어 구동신호(CB11-14, CB21-24)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6, 3, 8 연결전극(L1, L6, L3, L8: 이하, '제1 그룹 연결전극') 각각에는 4개의 베리어 구동신호(CB11-14)가 인가되고, 제5, 2, 7, 4 연결전극(L5, L2, L7, L4: 이하, '제2 그룹 연결전극') 각각에는 4개의 베리어 구동신호(CB21-24)가 인가된다.
복수의 연결전극(L1-L8)에 인가되는 베리어 구동신호(CB11-14, CB21-24)는 액정 구동전압(V1) 및 공통 전압(Vcom)을 교대로 가진다. 기입 기간(T11-T14, T21-T24)은 새로운 영상을 표시부(100)에 기입하는 기간으로서, 복수의 선택 신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부(100)의 주사선들에 인가되면, 기입 기간(T11-T14, T21-T24)에서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선들을 따라 화소에 기입된다. 유지 기간(T15, T25)은 기입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일정기간 영상을 유지하는 기간이다.
먼저, 좌우 영상(1)이 표시되기 시작하는 시점 직전에는 현재 프레임 직전 프레임의 우좌 영상(2')이 전체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현재 프레임의 좌우 영상(1)을 표시부(100)에 기입하기 시작하면, 표시부(100)의 주사 방향을 따라 좌우 영상(1)이 표시되기 시작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좌 영상(2')에서 좌우 영상(1)으로 바뀌는 전체 시간을 1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리어부(400)는 4개의 영역(R1, R2, R3, R4)으로 구분되며, 표시부(100)도 4개의 영역(D1, D2, D3, D4)으로 구분된다. 표시부(100)의 각 영역에 복수의 선택 신호 중 어느 한 선택 신호가 전달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제1 그룹 연결전극(L1, L6, L3, L8) 및 제2 그룹 연결전극(L5, L2, L7, L4)에 액정 구동전압(V1)의 레벨을 가지는 각각의 베리어 구동신호(CB11-14, CB21-24)가 인가된다.
제1 기간(T1) 동안에는 현재 프레임의 좌우 영상(1)에 대응하는 제1 그룹 연결전극(L1, L6, L3, L8)에 순차적으로 액정 구동전압(V1)이 인가된다. 제2 기간(T2) 동안에는 현재 프레임의 우좌 영상(2)에 대응하는 제2 그룹 연결전극(L5, L2, L7, L4)에 순차적으로 액정 구동전압(V1)이 인가된다. 다만, 우좌 영상(2) 및 좌우 영상(1)에 혼재되는 영역의 제1 그룹 연결전극(L1, L6, L3, L8) 및 제2 그룹 연결전극(L5, L2, L7, L4)에는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어 광 차단부를 형성한다.
먼저, 우좌 영상(2')으로부터 좌우 영상(1)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1/4 시간이 되는 기간(T11)동안, 표시부(100)에 주사 방향을 따라 1/4 영역(D1)에 좌우 영상(1)이 표시되고, 나머지 영역(D2, D3, D4)에는 우좌 영상(2')이 남아있다. 이때, 1/4 영역(D1) 전체에 좌우 영상(1)이 표시되기 전까지, 즉 기간(T11) 전체에서 1/4 영역(D1)에는 좌우 영상(1)과 우좌 영상(2')이 섞여있다. 그러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과 직전 프레임의 영상이 혼재되어 있어 화질이 열화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리어 구동신호(CB11, CB21)가 액정 구동전압(V1)이 되어 제1 연결전극(L1) 및 제5 연결전극(L5)에 액정 구동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00)의 1/4 영역(D1)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신호(CB22, CB23, CB24)는 액정 구동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신호(CB12, CB13, CB1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00)의 나머지 영역(D2, D3, D4)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우좌 영상(2')으로부터 좌우 영상(1)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2/4 시간이 되는 기간(T12)동안, 표시부(100)의 주사 방향을 따라 2/4 영역(D2)까지 좌우 영상(1)이 표시되고, 3/4 영역(D3)과 4/4 영역(D4)에는 우좌 영상(2')이 남아있다. 이때, 표시부(100)의 2/4 영역(D2)에는 좌우 영상(1)과 우좌 영상(2')이 섞여 있으므로, 베리어 구동신호(CB12, CB22)가 액정 구동전압(V1)이 되어 제6 연결전극(L6)과 제2 연결전극(L2)에 액정 구동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00)의 2/4 영역(D2)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신호(CB11, CB23, CB24)는 액정 구동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신호(CB21, CB13, CB1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00)의 1/4 영역(D1)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되고, 3/4 영역(D3)과 4/4 영역(D4)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우좌 영상(2')으로부터 좌우 영상(1)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3/4 시간이 되는 기간(T13)동안, 표시부(100)의 주사 방향을 따라 3/4 영역(D3)까지 좌우 영상(1)이 표시되고, 나머지 4/4 영역(D4)에는 우좌 영상(2')이 남아있다. 이때, 표시부(100)의 3/4 영역(D3)에는 좌우 영상(1)과 우좌 영상(2')이 섞여 있으므로, 베리어 구동신호(CB13, CB23)가 액정 구동전압(V1)이 되어 제3 연결전극(L3)과 제7 연결전극(L7)에 액정 구동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00)의 3/4 영역(D3)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신호(CB11, CB12, CB24)는 액정 구동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신호(CB21, CB22, CB1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00)의 1/4 영 역(D1)과 2/4 영역(D2)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되고, 4/4 영역(D4)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우좌 영상(2')으로부터 좌우 영상(1)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4/4 시간이 되는 기간(T14)동안, 표시부(100)의 주사 방향을 따라 전체 영역(D1, D2, D3, D4)에 좌우 영상(1)이 표시된다. 이때, 표시부(100)의 4/4 영역(D4)에는 좌우 영상(1)과 우좌 영상(2')이 섞여 있으므로, 베리어 구동신호(CB14, CB24)가 액정 구동전압(V1)이 되어 제8 연결전극(L8)과 제4 연결전극(L4)에 액정 구동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00)의 4/4 영역(D4)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신호(CB11, CB12, CB13)는 액정 구동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신호(CB21, CB22, CB23)가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00)의 1/4 내지 3/4 영역(D1, D2, D3)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다음 기간(T15)은 유지 기간으로서, 표시부(100)의 전체 영역(D1, D2, D3, D4)에 좌우 영상(1)이 표시된 후 일정 기간 좌우 영상(1)이 유지된다. 이때, 베리어 구동신호(CB11-14)는 액정 구동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신호(CB21-24)는 공통 전압(Vcom)이다. 그러면 표시부(100)의 전체 영역(D1, D2, D3, D4)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제2 기간(T2) 동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좌우 영상(1)으로부터 우좌 영상(2)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1/4 시간이 되는 기간(T21)동안, 표시부(100)에 주사 방향을 따라 1/4 영역(D1)에 우좌 영상(2)이 표시되고, 나머지 영역(D2, D3, D4)에 좌우 영상(1)이 남아있다. 이 기 간(T21)동안, 베리어 구동신호(CB11, CB21)가 액정 구동전압(V1)이 되어 제1 연결전극(L1)과 제5 연결전극(L5)에 액정 구동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00)의 1/4 영역(D1)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신호(CB12, CB13, CB14)는 액정 구동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신호(CB22, CB23, CB2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00)의 나머지 영역(D2, D3, D4)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좌우 영상(1)으로부터 우좌 영상(2)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2/4 시간이 되는 기간(T22)동안, 표시부(100)에 주사 방향을 따라 2/4 영역(D2)까지 우좌 영상(2)이 표시되고, 3/4 영역(D3)과 4/4 영역(D4)에 좌우 영상(1)이 남아있다. 이 기간(T22)동안, 베리어 구동신호(CB12, CB22)가 액정 구동전압(V1)이 되어 제6 연결전극(L6)과 제2 연결전극(L2)에 액정 구동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00)의 2/4 영역(D2)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신호(CB21, CB13, CB14)는 액정 구동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신호(CB11, CB23, CB2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00)의 1/4 영역(D1)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되고, 3/4 영역(D3)과 4/4 영역(D4)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좌우 영상(1)으로부터 우좌 영상(2)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3/4 시간이 되는 기간(T23)동안, 표시부(100)에 주사 방향을 따라 3/4 영역(D3)까지 우좌 영상(2)이 표시되고, 4/4 영역(D4)에 좌우 영상(1)이 남아있다. 이 기간(T23)동안, 베리어 구동신호(CB13, CB23)가 액정 구동전압(V1)이 되어 제3 연결전극(L3)과 제7 연결전 극(L7)에 액정 구동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00)의 3/4 영역(D3)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신호(CB21, CB22, CB14)는 액정 구동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신호(CB11, CB12, CB24)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00)의 1/4 영역(D1)과 2/4 영역(D2)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되고, 4/4 영역(D4)에서 좌우 영상(1)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좌우 영상(1)으로부터 우좌 영상(2)으로 바뀌기 시작한지 4/4 시간이 되는 기간(T24)동안, 표시부(100)의 주사 방향을 따라 전체 영역(D1, D2, D3, D4)에 우좌 영상(2)이 표시된다. 이 기간동안, 베리어 구동신호(CB14, CB24)가 액정 구동전압(V1)이 되어 제8 연결전극(L8)과 제4 연결전극(L4)에 액정 구동전압(V1)이 인가된다. 그러면 표시부(100)의 4/4 영역(D4)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베리어 구동신호(CB21, CB22, CB23)는 액정 구동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신호(CB11, CB12, CB13)는 공통 전압(Vcom)이 되어, 표시부(100)의 1/4 내지 3/4 영역(D1, D2, D3)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다음 기간(T25)은 유지 기간으로서, 표시부(100)의 전체 영역(D1, D2, D3, D4)에서 우좌 영상(2)이 표시된 후 일정 기간 우좌 영상(2)이 유지된다. 이때, 베리어 구동신호(CB21-24)는 액정 구동전압(V1)이고, 베리어 구동신호(CB11-14)는 공통 전압(Vcom)이다. 그러면 표시부(100)의 전체 영역(D1, D2, D3, D4)에서 우좌 영상(2)이 입체 영상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100)의 주사 방향과 제1 전극들(30) 및 제2 전극들(34)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베리어부(400)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동하여도 전술한 제2 전극들(34)의 제2 확장부(341) 및 제3 확장부(342) 구성에 의해 영역들 사이의 경계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또한, 제1 전극들(30)의 제1 확장부(301) 구성에 의해 제1 전극들(30)과 제2 전극들(34) 사이로 빛이 새지 않으므로 입체 영상 구현시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시분할 구동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 중 베리어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베리어부 가운데 제1 전극군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베리어부 가운데 제2 전극군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8의 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베리어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한 베리어부 가운데 제1 전극군과 제2 전극군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베리어부 가운데 1/4 영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 중 표시부와 베리어부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 제1 기간 동안 좌우 영상이 표시되고, 제2 기간 동안 우좌 영상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리어 구동부로부터 복수의 연결전극에 전달되는 베리어 구동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2)

  1. 복수의 주사선, 복수의 데이터선 및 상기 주사선과 상기 데이터선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베리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제1 전극들; 및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들과 다른 층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상기 제1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전극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들과 상기 제2 전극들의 일부가 상기 베리어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어 위치하는 전자 영상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들이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양 단부에 제1 확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확장부에서 상기 제2 전극들과 중첩되는 전자 영상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폭이 상기 제1 전극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전자 영상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홀수번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과 짝수번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이 상기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는 전자 영상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번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은 상기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짝수번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은 상기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전자 영상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상기 제1 전극들 사이로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1 전극용 연결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서 상기 제1 전극들과 거리를 두고 상기 제1 전극들과 같은 층에 위치하는 제2 전극용 연결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용 연결전극이 금속막으로 형성되는 전자 영상 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에 비아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들이 상기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2 전극용 연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영상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들이 상기 데이터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양 단부 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 이웃 영역의 제1 전극들과 중첩되는 제2 확장부를 형성하는 전자 영상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이 1/4 영역, 2/4 영역, 3/4 영역 및 4/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1/4 영역, 상기 2/4 영역 및 상기 3/4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전극들이 일측 단부에 각각 상기 2/4 영역, 상기 3/4 영역 및 상기 4/4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극들과 중첩되는 제2 확장부를 형성하는 전자 영상 기기.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이 1/4 영역, 2/4 영역, 3/4 영역 및 4/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2/4 영역, 상기 3/4 영역 및 상기 4/4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전극들의 일측 단부는 각각 상기 1/4 영역, 상기 2/4 영역 및 상기 3/4 영역의 제1 전극들과 갭을 두지 않고 이웃하게 위치하는 전자 영상 기기.
KR1020080021485A 2008-03-07 2008-03-07 전자 영상 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9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85A KR100893618B1 (ko) 2008-03-07 2008-03-07 전자 영상 기기
US12/382,042 US8125581B2 (en) 2008-03-07 2009-03-06 Electronic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85A KR100893618B1 (ko) 2008-03-07 2008-03-07 전자 영상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618B1 true KR100893618B1 (ko) 2009-04-20

Family

ID=4075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4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3618B1 (ko) 2008-03-07 2008-03-07 전자 영상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25581B2 (ko)
KR (1) KR100893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1441B2 (en) 2010-01-21 2013-09-10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530B1 (ko) * 2007-10-23 2009-03-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자 영상 기기
KR101002660B1 (ko) * 2009-04-23 2010-12-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EP2462484A4 (en) * 2009-08-07 2014-02-12 Reald Inc STEREOSCOPIC FLAT PICTURE DISPLAY WITH CONTINUOUS LUMINOUS TAIL LIGHT
KR101762251B1 (ko) * 2011-03-18 2017-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9097947B2 (en) * 2011-05-12 2015-08-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414049B2 (en) 2011-09-19 2016-08-09 Écrans Polaires Inc./Polar Screens Inc. Method and display for showing a stereoscopic image
KR20130064325A (ko) * 2011-12-08 2013-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용 패럴랙스 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130096050A (ko) * 2012-02-21 2013-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5907758B2 (ja) * 2012-03-02 2016-04-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液晶バリア素子
JP5779533B2 (ja) * 2012-03-29 2015-09-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899135B1 (ko) * 2012-04-03 2018-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분할 액정 배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979680B1 (ko) * 2012-12-05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촉각센서
CN103152594B (zh) * 2013-02-20 2015-04-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3d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04155824B (zh) * 2014-08-08 2018-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主动式光栅、裸眼3d显示装置及显示方法
JP2016071073A (ja) * 2014-09-29 2016-05-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電子装置
US10082675B2 (en) 2014-10-21 2018-09-25 Reald Inc. High power handling polarization switches
KR102533793B1 (ko) 2014-10-21 2023-05-18 리얼디 인크. 고 출력 취급 편광 스위치
CN104898337B (zh) * 2015-06-30 2018-02-0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作方法
KR102533076B1 (ko) 2016-05-26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KR101800965B1 (ko) * 2016-06-30 2017-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CN106557710B (zh) * 2016-10-31 2022-05-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设备及显示方法
CN108957877A (zh) 2018-09-29 2018-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镜结构及其制造方法和操作方法、电子装置
US11449004B2 (en) 2020-05-21 2022-09-20 Looking Glass Fac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holographic image display
US11415935B2 (en) 2020-06-23 2022-08-16 Looking Glass Fac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holographic communication
WO2022119940A1 (en) 2020-12-01 2022-06-09 Looking Glass Fac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ree dimensional imag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775A (ko) * 2004-11-29 200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78165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용 패러랙스 베리어 액정패널 및 그제조방법
KR20060124849A (ko) * 2005-05-26 2006-12-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패러렉스 베리어 액정패널 및 이를 이용한입체영상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3033B1 (en) * 1999-03-29 2001-05-15 National Semiconductor Corp. Pixel array for LC silicon light valve featuring pixels with overlapping edges
JP3788259B2 (ja) * 2001-03-29 2006-06-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0928921B1 (ko) * 2002-12-11 2009-1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JP4466596B2 (ja) * 2006-03-29 2010-05-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配向転移方法
EP2058694A1 (en) * 2007-11-07 2009-05-13 TPO Displays Corp.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electrode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775A (ko) * 2004-11-29 200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78165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용 패러랙스 베리어 액정패널 및 그제조방법
KR20060124849A (ko) * 2005-05-26 2006-12-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패러렉스 베리어 액정패널 및 이를 이용한입체영상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1441B2 (en) 2010-01-21 2013-09-10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25581B2 (en) 2012-02-28
US20090224646A1 (en)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618B1 (ko) 전자 영상 기기
KR101015846B1 (ko) 전자 영상 기기
US8730224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89530B1 (ko) 전자 영상 기기
JP5867844B2 (ja) バリア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電子映像機器
US8441585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182945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23651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EP2054752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US8384834B2 (en) Electronic imag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88521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951297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91013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773191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10113967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646494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KR20130127764A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US9372356B2 (e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barrie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1317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780825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20140025782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극성 제어 방법
KR20120116551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WO2013053113A1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