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91262B1 - 떡 제조용 찜질기 - Google Patents

떡 제조용 찜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262B1
KR100891262B1 KR1020070130706A KR20070130706A KR100891262B1 KR 100891262 B1 KR100891262 B1 KR 100891262B1 KR 1020070130706 A KR1020070130706 A KR 1020070130706A KR 20070130706 A KR20070130706 A KR 20070130706A KR 100891262 B1 KR100891262 B1 KR 10089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er
rice cake
tank
ste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726A (ko
Inventor
김옥수
Original Assignee
김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수 filed Critical 김옥수
Priority to KR102007013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262B1/ko
Publication of KR2008000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2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시루에 담긴 곡물가루와 각종 고물에 뜨거운 열과 수분을 가진 증기를 가하여 떡을 제조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를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떡시루의 곡물가루를 익혀 떡을 제조하는 찜질기의 내부 구성을 내식성을 지닌 금속재로 구성함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한 떡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찜질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소비가 종래에 비해 적으면서도 동일한 작업효율을 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에 관한 것이다.
본체부, 집수조, 증기발생조, 부레식 밸브, 히터, 히터제어부.

Description

떡 제조용 찜질기{A steaming device for cooking rice cake}
본 발명은 떡시루에 담긴 곡물가루와 각종 고물에 뜨거운 열과 수분을 가진 증기를 가하여 떡을 제조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를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떡시루의 곡물가루를 익혀 떡을 제조하는 찜질기의 내부 구성을 내식성을 지닌 금속재로 구성함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한 떡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찜질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소비가 종래에 비해 적으면서도 동일한 작업효율을 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에 관한 것이다.
곡물가루를 각종 고물과 함께 찐 음식인 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하면이 개구된 통 형상의 떡시루에 떡재료인 곡물가루와 각종 고물을 넣은 후, 찜질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상기 떡재료가 담긴 떡시루에 가하게 되면 고온의 증기에 의해 떡재료인 곡물가루와 각종 고물이 익혀져 떡이 완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떡을 제조할 때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찜질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찜질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정 형상의 본체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된 수조가 구비되고,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히터의 켜짐 및 꺼짐을 제어하는 작동버튼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찜질기의 상부에 떡재료가 담긴 떡시루가 올려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찜질기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자 할 때에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수조에 적당량의 물을 공급한 후, 히터의 작동버튼을 켬으로써 증기를 발생시키면 수조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떡재료가 담긴 떡시루에 증기를 가하게 됨으로써 증기의 고온의 열과 수분으로 떡을 제조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된 종래의 찜질기는 본체의 내부에 구성되는 수조 등이 강철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증기와 반응하여 표면에 녹이 쉽게 슬게 되며, 이러한 녹물이 포함된 증기로 떡을 제조함에 따라 떡에도 녹물성분이 포함되어 떡을 구매하여 섭취하는 사람의 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조에 물이 부족할 경우 물공급파이프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게 되나, 상기 물공급파이프를 통하여 본체 내부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은 상온상태인 15℃정도의 물이어서 이를 공급하게 될 경우, 100℃로 끓던 물은 현저하게 냉각되어 증기가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현저하게 냉각된 물을 다시 100℃로 상승시켜 증기를 재발생시키기 위해서 전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구조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15KWh의 전력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증기를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떡시루의 곡물가루를 익혀 떡을 제조케하는 찜질기의 내부 구성을 녹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재질로 찜질기의 내부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한 떡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찜질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소비가 종래에 비해 적은 9KWh로도 종래와 같은 동일한 작업량을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히터가 내장된 수조가 구비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히터제어부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덮개판으로 덮여진 함체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된 분사노즐을 통해 훈증틀, 떡시루, 떡시루덮개가 차례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떡 제조용 찜질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면이 개방된 집수틀체의 일측면이 물공급파이브를 통해 부레식 1차밸브(4)로 연결되어 있는 집수조(2)와; 상기 집수조(2)의 일측면과 용접으로 일체로 형성된 훈증틀체의 내부에 히터제어부(7)와 연결된 발열히터(3)와, 상기 집수조(2)와 용접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부레식 2차밸브(4') 및 내부에 3단의 구획공간이 형성된 부레안정화장치(19)가 하부에서 차례로 내장되어 있는 증기발생조(5)와; 상기 증기발생조(5)의 상면을 밀폐하는 판체의 중앙 상,하부에는 분사노즐(9)로 관통하여서 결합되어 있는 증기발생조 커버(10)를; 포함하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레안정화장치(19)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바닥 저면으로 유체흐름통로(19a)를 관통시킨 구획판(19b)으로 3단계의 포집틀체를 형성하되, 1차 포집부(19c)는 부레식 1차밸브(4)를 통과한 집수조(2)의 공급용수가 낙하되는 부레식 2차밸브(4')의 밸브토출부(4b')를 포함하게 하고, 2차 포집부(19d)는 부레식 2차밸브(4')의 부레(4a')가 안치되는 위치에 형성하며, 3차 포집부(19e)는 부레식 2차밸브(4')와 인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조(2), 증기발생조(5), 부레식 1차 및 2차밸브(4)(4'), 부레 안정화장치(19), 본체(11)는 내부식성 및 열전도율이 우수한 스테인레스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발생조(5)의 상면을 덮는 증기발생조 커버(10)의 저면에는 증기발생조(5)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실리콘재로 형성된 패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1)의 측면에는 손잡이(27)가 형성되고, 본체(11)의 저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15)과, 원판형으로 상기 나사봉(15)에 중앙이 관통체결되어 회전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받침판(16)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구(17)와 바퀴(18) 가 형성됨으로써 이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 제어부(7)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차단기(29), 상기 전원차단기(29)에 연결되어 전원차단기(29)의 전원접속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램프(7c), 상기 전원차단기(29)와 히터(3)의 전선연결부(3b)에 연결되어 히터(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접속기(30)와 작동버튼(7a), 상기 작동버튼(7a)에 연결되어 히터(3)의 작동여부를 표시하는 작동램프(7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체(11)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1차적으로 저장하는 집수조(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집수조(2)의 측면에는 히터가 내장된 증기발생조(5)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집수조(2)와 증기발생조(5)는 측면으로 면접촉되어 일체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집수조(2)는 외부 물공급수단과 물공급파이프(1)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물공급파이프(1)의 일단은 외부 물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물공급파이프(1)의 타단은 집수조(2)의 측면에 관통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집수조(2)의 측면에 관통설치된 물공급파이프(1)의 타단은 집수조(2)의 내부에 내장되는 부레식 1차밸브(4)에 연결체결되는 바, 상기 부레식 1차밸브(4)는 일반적인 부레식 밸브로서, 집수조(2)의 물이 일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부레(4a)에 의해 자동적으로 밸브토출부(4b)가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부레식 밸브를 채용함으로써 물공급파이프(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집수조(2)의 내부에 항상 일정량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집수조(2)에서 저장되는 물 또한 부레식 2차밸브(4')를 통하여 히터(3)의 발열부(3a)가 내장된 증기발생조(5)에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부레식 2차밸브(4')는 집수조(2)와 증기발생조(5)가 접면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집수조(2)의 물이 증기발생조(5)로 상기 부레식 2치밸브(4')를 통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증기발생조(5)의 물이 항상 일정량 유지되도록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써 히터(3)의 발열부(3a)에 의해서 증기로 변화하는 증기발생조(5)에 담긴 물의 양이 부족하게 되면 부레식 2차밸브(4')의 부레(4a')가 하강함에 따라 밸브토출부(4b')가 열리게 되고, 부레식 2차밸브(4')의 열림으로 인해 집수조(2)에 저장되어 있던 물은 증기발생조(5)로 이동되며, 증기발생조(5)로 물을 공급하여 수위가 낮아진 집수조(2) 또한 부레식 1차밸브(4)가 열리게 되어 물공급파이프(1)에서 물을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집수조(2)의 부레식 1차밸브(4)가 설치되는 높이는 증기발생조(5)의 부레식 2차밸브(4')의 설치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증기발생조(5)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증기발생조(5)의 내부에는 히터(3)의 발열부(3a)가 내장되고, 증기발생조(5)의 외측면에는 히터(3)의 전선 연결부(3b)가 돌출형성되는 바, 상기 히터(3)의 전선 연결부(3b)는 본체(11)의 외면에 형성된 작동버튼(7a) 및 작동램프(7b), 전원램프(7c)으로 이루어진 히터 제어부(7)에 전선(6)로 연결되어 상기 히터 제어부(7)의 제어에 따라 히터(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1)의 일측면에 경첩(28)이 설치된 도어부로 형성하여 그 내측면에 상기 히터 제어부(7)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본체(11)의 내부 구성들은 녹이 슬지 아니하는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증기에 노출되더라도 녹물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되는 것으로, 예외로 패킹부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부레식 1차 및 2차밸브(4)(4')의 밸브토출부(4b)(4b')는 황동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조(5)의 내부에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바닥 저면으로 유체흐름통로(19a)를 관통시킨 구획판(19b)으로 3단계의 포집틀체를 형성하되, 1차 포집부(19c)는 부레식 1차밸브(4)를 통과한 집수조(2)의 공급용수가 낙하되는 부레식 2차밸브(4')의 밸브토출부(4b')를 포함하게 하고, 2차 포집부(19d)는 부레식 2차밸브(4')의 부레(4a')가 안치되는 위치에 형성하며, 3차 포집부(19e)는 부레식 2차밸브(4')와 인접되는 위치에 형성된 부레안정화장치(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히터(3)를 작동시키게 되면, 히터(3)의 발열부(3a)가 내장되는 증기발생조(5)의 온도는 100℃로 끓는 물의 온도로 인해 100℃로 가열되며, 상기 증기발생조(5)와 집수조(2)는 측면끼리 면접촉으로 일체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증기발생조(5)에서 발생하는 열은 전도열에 의해 집수조(2)에 담긴 물에 전달하여 집수조(2)의 온도 또한 100℃ 가까이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9KWh의 전력으로도 가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100℃로 가열되는 증기발생조(5)의 전도열에 의해 100℃ 가까이 가열되는 집수조(2)의 물은 증기발생조(5)에 공급되더라도 증기발생조(5)의 온도의 하락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고 증기가 곧바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기가 재발생되는 시간을 종래에 비해 크게 단축시킬 뿐 아니라 증기발생조(5)의 물의 온도를 100℃의 온도로 높이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히터(3)의 발열부(3a)에 의해 물이 끓는 증기발생조(5)의 수면에는 원래 수면의 수위를 오버하는 거품이 다량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거품의 발생을 자세히 살펴보면, 히터(3)의 발열부(3a)의 외면에서 발생하여 수면에 이르러 소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는 바, 이러한 거품으로 인해 부레부(4a)는 증기발생조(5)의 실질적인 수위보다 높이 위치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 수위임에도 불구하고 거품으로 인해 물이 공급되지 아니하거나 물 공급이 불규칙하다는 점이 발생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점은 증기발생조(5) 내 부레식 2차밸브(4')의 부레(4a')가 위치하는 부분에 유체흐름통로(19a)가 형성된 부레 안정화장치(19)를 형성함으로써 해소하게 된다.
상기 부레 안정화장치(19)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1차 포집부(19c)는 부레식 1차밸브(4)를 통과한 집수조(2)의 공급용수가 낙하되는 부레식 2차밸브(4')의 밸브토출부(4b')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2차 포집부(19d)는 부레식 2차밸브(4')의 부레(4a')가 안치되도록 틀체형으로 측면에는 증기발생조의 물과 통하는 유체흐름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증기발생조(5)의 히터 발열부에서 발생하는 거품의 진동이 2차 포집부(19d)의 내부에는 미치지 아니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2차 포집부 내에 안치되는 부레는 거품의 진동영향을 받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3차 포집부(19e)는 부레식 2차밸브(4')와 인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측면에는 증기발생조의 물과 통하는 유체흐름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틀체형으로 증기발생조의 거품 진동이 2차 포집부 내부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부레부(4a)가 용이하게 구비될 정도의 크기로 상면이 개구된 틀체로 형성되는 부레 안정화장치(19)는 측면의 하부에 증기발생조(5)의 물과 통하는 유체흐름통로(19a)가 형성되어 있어서 부레 안정화장치(19) 내부의 물의 수위는 증기발생조(5)의 물의 수위와 동일하게 유지하여 부레식 2차밸브(4')의 부레(4a')가 증기발생조(5)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되. 히터(3)의 발열부(3a)로부터 발생하는 거품은 부레 안정화장치(19)로 인해 거품의 진동이 미치지 아니하여 내부의 수면이 잔잔하게 유지됨으로서 부레식 2차밸브(4')의 부레(4a')는 증기발생조(5)의 실질적인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증기발생조(5)에 물이 필요하게 된 때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떡 외에도 찜으로 만들 수 있는 음식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으로 소비자에게 위생적이고 안전한 떡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며, 종래에 비해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동일한 작업효율을 달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에너지효율을 대폭 향상시키게 되어 상당한 전기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매우 큰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떡 제조용 찜질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떡 제조용 찜질기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본체부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증기발생조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본체부 내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증기발생조 커버가 씌워진 본체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덮개판이 씌워진 본체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훈증틀과 덮개가 씌우진 본체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히터 제어부의 내부 배선도, 도 11은 도 10의 히터 제어부의 내부 배선 상세도로서 상면이 개구된 사각함체 형상의 본체(11) 내부에는 외부 물공급파이프(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집수조(2)와 히터(3)의 발열부(3a)가 내장되어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조(5)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집수조(2)와 증기발생조(5)는 각 일측면이 서로 맞대어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본체(11)의 외측면에는 상기 히터(3)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7a)과 작동램프(7b), 전원램프(7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집수조(2)와 증기발생조(5)는 녹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수조(2)에는 외부 물공급파이프(1)가 연결되어 있는 바, 외부 물공급 파이프(1)는 본체(11)의 측면을 관통한 다음, 집수조(2)의 측면에 관통연결되어 부레식 1차밸브(4)를 통해 집수조(2)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부레식 1차밸브(4)는 집수조(2)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되, 집수조(2)의 측면과 관통연결된 외부 물공급파이프(1)의 일단과 연결되어 집수조(2)의 수위에 따라 자동적으로 집수조(2)의 물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레식 1차밸브(4) 또한 부식되지 아니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바, 부레식 밸브(4)에 있어서 밸브토출부(4b)는 황동으로 형성되어 있고, 부레(4a)는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되어 내부가 밀폐된 구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토출부(4b)와 부레(4a)를 연결하는 연결바(4c) 또한 스테인레스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저장되는 집수조(2)의 물은 접면된 측면으로 형성된 부레식 2차밸브(4‘)를 통하여 증기발생조(5)에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부레식 2차밸브(4’)는 증기발생조(5)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되, 집수조(2)와 관통연결되어 집수조(2)로부터 물을 공급받게 되는 것으로, 증기발생조(5)의 수위에 따라 그 공급량은 조절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집수조(2)에 설치되는 부레식 1차밸브(4)는 증기발생조(5)에 설치되는 부레식 2차밸브(4‘)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증기발생조(5)의 내부에는 히터(3)가 내장되는 바, 그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증기발생조(5)의 측면 하부를 관통하여 히터(3)의 발열부(3a)가 밀폐삽입되어 증기발생조(5) 내부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증기발생조(5)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히터(3)의 전선 연결부(3b)는 본체(11)의 외면에 형성된 히터 제어부(7)와 연결되어 작동버튼(7a)의 제어를 받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여기서 히터제어부(7)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원차단기(29)는 전원램프(7c)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차단기(29)는 작동버튼(7a), 작동램프(7b), 히터(3)와 연결된 전자접속기(30)로 연결구성으로 됨으로써 히터(3)를 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3)는 3개가 설치되는 바, 상기 히터(3)에는 각자 별도의 작동버튼(7a)이 설치되어 있는데, 물을 빨리 끓이고자 하거나 좀 더 많은 양의 증기를 발생시키고자 할 때에는 작동하는 히터(3) 수를 늘림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으로 증기발생조(5)의 상면에 증기발생조 커버(10)을 씌우되, 상기 증기발생조 커버(10)의 중앙에는 상하부로 관통된 분사노즐(9)이 돌출형성됨으로써, 증기발생조(5)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증기발생조 커버(10)의 분사노즐(9)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증기발생조 커버(10)의 저면에는 증기발생조(5)의 상면 테두리가 긴밀하게 접면되어 증기가 새지 아니하고 분사노즐(9)으로만 오롯이 배출되도록 실리콘재로 된 패킹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증기발생조 커버(10)의 설치 후, 본체(11)의 상면에는 덮개판(14)을 설치하게 되는데, 덮개판(14)은 본체(11)의 상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하되, 중앙에는 증기발생조 커버(10)의 중앙에 돌출형성된 분사노즐(9)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덮개판(14)을 덮은 후, 그 위에 훈증틀(20)을 설치하게 되는 바, 상기 훈증틀(20)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함체 형상으로서 그 저면의 중앙에는 상기 분사노즐(9)의 상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분사노즐(9)의 상부가 훈증틀(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증기발생조(5)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상기 분사노즐(9)을 통해 배출되어 훈증틀(20)에 고온의 열과 수분을 가진 증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노즐(9)은 단순한 파이프형으로서 그 상부 외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파이프형으로 돌출형된 분사노즐(9)의 상부에는 증기 분산구(23)가 장착되는 바, 증기 분산구(23)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원판형으로 형성된 분산판(21)의 하측에는 분사노즐(9)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고정체결되는 고정관(22)이 형성되는 바, 상기 고정관(22)의 상면과 분산판(21)의 저면사이는 증기가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의 틈으로 이격편(21a)으로 이격되는데, 상기 이격편(21a)의 상단은 분산판(21)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격편(21a)의 하단은 고정관(22)의 상부 외면에 고정되어 있어서, 분사노즐(9)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분산판(21)의 저면에 부딪치면서 분산판(21)과 고정관(22)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 사이로 수평으로 빠져나가면서 사방으로 골고루 분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와 같이 상부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분사노즐(9)에 증기분산구(23)가 나사체결됨으로서 증기의 분산효과는 물론 분사노즐(9)이 일체형성된 증기발생조 커버(10)에 덮개판(14)과 훈증틀(20)을 고정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훈증틀(20)의 상부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떡시루(24)를 얹은 후, 떡시루 덮개(25)를 덮게 되면, 증기발생조(5)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분사노즐(9)을 통해 배출되면서 증기분산판(21)의 저면에 부딪치면서 사방으로 분산되고, 사방으로 분산된 증기는 떡시루(24)의 저면에 골고루 가하게 됨으로써 떡시루(24)에 담긴 떡재료를 골고루 익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훈증틀(20)은 증기의 뜨거운 기운와 떡시루(24)에 담긴 떡재료의 차가운 기운이 만나게 됨으로 인해 증기가 일부 냉각되어 다수의 물방울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물방울은 훈증틀(20)의 내부에 고이는 문제점이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은 훈증틀(20)의 하면 모서리에 배수구(13)를 형성함으로써 훈증틀 내부에 고이는 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배수구(1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덮개판(14)의 구석에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배수구(13)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측면에는 손잡이(27)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구(17)가 본체(11) 저면의 테두리에 2개씩 설치되어 있고, 저면의 각 모서리에는 정지기능이 포함된 바퀴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한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떡 제조용 찜질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떡 제조용 찜질기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본체부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증기발생조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본체부 내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증기발생조 커버가 씌워진 본체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덮개판이 씌워진 본체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훈증틀에 덮개가 씌우진 본체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히터 제어부의 내부 배선도
도 11은 도 10의 히터 제어부의 내부 배선 상세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부
1 : 물공급파이프 2 : 집수조 3 : 히터
4 : 부레식 1차밸브 4a : 부레 4b : 밸브토출부 4c : 연결바
4' : 부레식 2차 밸브 4a' : 부레 4b' : 밸브토출부 4c' : 연결바
5 : 증기발생조 6 : 전선 7 : 히터제어부
9 : 분사노즐 10 : 증기발생조 커버
11 : 본체 13 : 배수구 14 : 덮개판
15 : 나사봉 16 : 받침판 17 : 높이조절구
18 : 바퀴 19 : 부레안정화장치 19a : 유체흐름통로
19b : 구획판 19c : 1차 포집부 19d : 2차 포집부
19e : 3차 포집부 20 : 훈증틀 21 : 증기분산판
21a : 이격편
22 : 고정관 23 : 증기분산구 24 : 떡시루
25 : 떡시루 덮개 27 : 손잡이 28 : 경첩
29 : 전원차단기 30 : 전자접속기

Claims (6)

  1. 히터가 내장된 수조가 구비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히터제어부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덮개판으로 덮여진 함체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된 분사노즐을 통해 훈증틀, 떡시루, 떡시루덮개가 차례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떡 제조용 찜질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면이 개방된 집수틀체의 일측면이 물공급파이브를 통해 부레식 1차밸브로 연결되어 있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일측면과 용접으로 일체로 형성된 훈증틀체의 내부에 히터제어부와 연결된 발열히터와, 상기 집수조와 용접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부레식 2차밸브 및 내부에 3단의 구획공간이 형성된 부레안정화장치가 하부에서 차례로 내장되어 있는 증기발생조와; 상기 증기발생조의 상면을 밀폐하는 판체의 중앙 상,하부에는 분사노즐로 관통하여서 결합되어 있는 증기발생조커버를; 포함하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부레안정화장치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바닥 저면으로 유체흐름통로를 관통시킨 구획판으로 3단계의 포집틀체를 형성하되, 1차 포집부는 부레식 1차밸브를 통과한 집수조의 공급용수가 낙하되는 부레식 2차밸브의 밸브토출부를 포함하게 하고, 2차 포집부는 부레식 2차밸브의 부레가 안치되는 위치에 형성하며, 3차 포집부는 부레식 2차밸브와 인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 으로 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집수조, 증기발생조, 부레식 밸브, 부레 안정화장치, 본체는 내부식성 및 열전도율이 우수한 스테인레스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증기발생조의 상면을 덮는 증기발생조 커버의 저면에는 증기발생조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실리콘재로 형성된 패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의 측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본체의 저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과, 원판형으로 상기 나사봉에 중앙이 관통체결되어 회전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구와 바퀴를 형성하여 이동식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
  6. 제 1 항에 있어서, 히터 제어부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차단기, 상기 전원차단기에 연결되어 전원차단기의 전원접속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상기 전원차단기와 히터의 전선연결부에 연결되어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접속기와 작동버튼, 상기 작동버튼에 연결되어 히터의 작동여부를 표시하는 작동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찜질기.
KR1020070130706A 2007-12-14 2007-12-14 떡 제조용 찜질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91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706A KR100891262B1 (ko) 2007-12-14 2007-12-14 떡 제조용 찜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706A KR100891262B1 (ko) 2007-12-14 2007-12-14 떡 제조용 찜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26A KR20080002726A (ko) 2008-01-04
KR100891262B1 true KR100891262B1 (ko) 2009-03-30

Family

ID=3921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7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1262B1 (ko) 2007-12-14 2007-12-14 떡 제조용 찜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26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7388A (zh) * 2013-08-07 2015-02-11 吴江市龙发不锈钢制品有限公司 智能电气蒸饭柜
CN105559532A (zh) * 2016-01-29 2016-05-11 嘉兴志盛厨具制造有限公司 一种蒸饭箱
CN105581634A (zh) * 2016-01-29 2016-05-18 嘉兴志盛厨具制造有限公司 一种燃气蒸饭箱
CN106923652A (zh) * 2017-04-19 2017-07-07 冯晓栋 一种家庭烹饪用蒸汽设备
CN106993930A (zh) * 2016-12-23 2017-08-01 广州泰若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蒸箱机构
CN107007142A (zh) * 2016-12-23 2017-08-04 广州泰若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抽取的蒸箱装置
KR102050669B1 (ko) * 2018-07-20 2020-01-08 고윤한 무압 증기발생장치
CN111069848A (zh) * 2019-11-12 2020-04-28 王柳琴 液压钢管路安装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96B1 (ko) * 2009-11-13 2011-02-16 주식회사 에너지닥터 간이 떡찜장치
KR100968072B1 (ko) * 2010-01-14 2010-07-08 나창환 찜용 증기발생장치
KR101233643B1 (ko) * 2011-02-18 2013-02-15 포인트앤마크 주식회사 떡찜장치의 증기생성기
KR101307930B1 (ko) * 2011-05-23 2013-09-12 뉴퓨리텍 주식회사 떡 제조장치
CN108634162A (zh) * 2018-04-26 2018-10-12 佛山市甄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入料的食材预处理装置
CN109275859A (zh) * 2018-10-24 2019-01-29 贵州黔峰原生态食品有限公司 一种从江香猪加工用猪肉熏煮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351U (ko) * 1991-11-19 1993-06-23 조석구 찜통
KR100317093B1 (ko) * 1999-09-10 2001-12-22 천경수 떡 제조장치
KR200317184Y1 (ko) 2003-03-29 2003-06-25 김영호 자동 물공급장치를 갖는 떡찜장치
KR100539058B1 (ko) 2005-09-05 2005-12-28 임생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351U (ko) * 1991-11-19 1993-06-23 조석구 찜통
KR100317093B1 (ko) * 1999-09-10 2001-12-22 천경수 떡 제조장치
KR200317184Y1 (ko) 2003-03-29 2003-06-25 김영호 자동 물공급장치를 갖는 떡찜장치
KR100539058B1 (ko) 2005-09-05 2005-12-28 임생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7388A (zh) * 2013-08-07 2015-02-11 吴江市龙发不锈钢制品有限公司 智能电气蒸饭柜
CN105559532A (zh) * 2016-01-29 2016-05-11 嘉兴志盛厨具制造有限公司 一种蒸饭箱
CN105581634A (zh) * 2016-01-29 2016-05-18 嘉兴志盛厨具制造有限公司 一种燃气蒸饭箱
CN106993930A (zh) * 2016-12-23 2017-08-01 广州泰若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蒸箱机构
CN107007142A (zh) * 2016-12-23 2017-08-04 广州泰若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抽取的蒸箱装置
CN106993930B (zh) * 2016-12-23 2019-01-04 扬州强明电热电器有限公司 一种高效的蒸箱机构
CN106923652A (zh) * 2017-04-19 2017-07-07 冯晓栋 一种家庭烹饪用蒸汽设备
KR102050669B1 (ko) * 2018-07-20 2020-01-08 고윤한 무압 증기발생장치
CN111069848A (zh) * 2019-11-12 2020-04-28 王柳琴 液压钢管路安装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26A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262B1 (ko) 떡 제조용 찜질기
US4281636A (en) Steam processor
CN207940754U (zh) 一种湿度可调节的空气炸锅
WO2017190522A1 (zh) 一种电饭锅
KR20100114151A (ko) 이동식 라디에이터
CN208355210U (zh) 一种加热效率高的电饭煲
JP2013039319A (ja) 圧力型電気炊飯器
US20060000821A1 (en) Oven with a system for generating steam
US6363834B1 (en) Multipurpose fryer
CN208635325U (zh) 一种步进式开水器
JP2015134259A (ja) 圧力型電気炊飯器
CN110419937A (zh) 烹饪器具
JP2009100890A (ja) 炊飯器
CN210204499U (zh) 电烤箱
KR101150980B1 (ko) 압력튀김장치
CN200963327Y (zh) 一种线控式远红外蒸汽足浴器
CN217408553U (zh) 空炸烹饪装置
JP2002119423A (ja) 蒸し器
KR20110106719A (ko)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KR200398917Y1 (ko) 증기 찜 장치
CN210276870U (zh) 一种智能米饭蒸箱
CN211822949U (zh) 加热杀菌式雾化装置
CN213153836U (zh) 一种粽子卧式高压水浴蒸煮杀菌冷却一体机
CN210870991U (zh) 烹饪器具及其烹饪附件
CN209932474U (zh) 一种电烤箱的手动喷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