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568B1 -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9568B1 KR100899568B1 KR1020070138017A KR20070138017A KR100899568B1 KR 100899568 B1 KR100899568 B1 KR 100899568B1 KR 1020070138017 A KR1020070138017 A KR 1020070138017A KR 20070138017 A KR20070138017 A KR 20070138017A KR 100899568 B1 KR100899568 B1 KR 1008995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latching
- output
- input
- addr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11C11/4087—Address decoders, e.g. bit - or word line decoders; Multiple line decod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패드를 통해 인가된 제1 입력신호를 내부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칭하는 제1 래칭수단과, 제2 패드를 통해 인가된 제2 입력신호를 상기 내부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칭하는 제2 래칭수단과, 제1 및 제2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내부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내부클럭신호보다 소정시간 지연된 지연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래칭수단의 출력신호를 래칭하는 제1 프리 래칭수단과, 상기 지연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래칭수단의 출력신호를 래칭하는 제2 프리 래칭수단과, 미러 펑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프리 래칭수단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제1 다중화수단, 및 상기 미러 펑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프리 래칭수단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제2 다중화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한다.
미러 펑션, 프리 래칭부, 스큐, 레이 아웃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latching means latches a first input signal applied through a first pad in response to an internal clock signal, and latches a second input signal applied through a second pad in response to the internal clock signal. A second latching means, output means for outputting signals inp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put terminals in response to an internal command signal, and a first latching means in response to a delay clock signal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internal clock signal. First pre-latching means for latching an output signal, second pre-latching means for latching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latching means in response to the delay clock signal, and the first and second pre-latching according to mirror function information. A first multiplexing means for outputting any one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means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one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pre-latching means according to the mirror function information;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econd multiplexing means for outputting to a stage is provided.
Mirror Function, Free Latching, Skew, Layou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러 펑션(mirror function) 동작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RAM)을 비롯한 반도체 소자는 대용량화, 고속화, 및 저전력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중 대용량화를 이루기 위하여 다수의 메모리 칩을 모듈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모듈은 모듈 기판상에 장착 또는 실장된 다수의 메모리 칩과, 각 메모리 칩과 모듈 기판 간의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들을 구비하며, 접속 단자들의 배열 형태에 따라 노말 패키지와 미러 패키지로 구분할 수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DDR SDRAM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RAM) are developing toward higher capacity, higher speed, and lower power. In order to achieve a large capacity among these, it is common to use a plurality of memory chips in a modular manner. Such a module has a plurality of memory chips mounted or mounted on a module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or between each memory chip and the module substrate, and the normal package and the mirror packa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ion terminals. Can be divided into
미러 패키지는 양면 모듈 기판(double side module substrate)에 메모리 칩을 장착 또는 실장할 때 모듈 기판의 양면에 형성되는 금속 배선의 배열이 일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룬다. 이때 메모리 칩의 핀 배열 역시 대칭 구조를 가져야 하며, 그렇기 때문에 서로 동일한 핀 배열을 갖는 메모리 칩의 경우 미러 펑션 동작을 수행하여 메모리 칩의 핀 배열을 대칭구조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즉, 두 개의 메모리 칩은 대응되는 패드가 서로 반대로 연결되기 때문에, 칩 내부에서는 미러 펑션 동작을 통해 다시 재구성해 주어야 한다.In the mirror package, when the memory chip is mounted or mounted on a double side module substrate, an array of metal wir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dule substrate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one surface. At this time, the pin array of the memory chip must also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Therefore, in the case of memory chips having the same pin array, the mirror array operation must be performed to make the pin array of the memory chip symmetrical. That is, since the two memory chips have opposite pad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emory chips need to be reconfigured again through a mirror function operation.
이러한 미러 펑션 동작을 통해 예컨대, ×16으로 동작하는 메모리 칩 두 개를 핀이 마주보게 겹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모듈이 마치 ×32로 동작하게끔 할 수 있다. Through this mirror function operation, for example, two memory chips operating at x16 may be overlapped with pins facing each other, and one module may be operated at x32.
도 1은 두 개의 메모리 칩이 마주보게 연결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two memory chips are connected to face each other.
도 1을 참조하면, 제1 메모리 칩(110)은 다수의 어드레스 패드(A<0>, A<1>, A<2>, A<3>, A<4>, A<5>, A<6>, A<7>)를 구비하고, 제2 메모리 칩(130)도 제1 메모리 칩(110)과 동일하게 다수의 어드레스 패드(A<0>, A<1>, A<2>, A<3>, A<4>, A<5>, A<6>, A<7>)를 구비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메모리 칩(110, 130) 모두 8개의 패드만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 1, the
제1 메모리 칩(110)의 다수의 어드레스 패드(A<0>, A<1>, A<2>, A<3>, A<4>, A<5>, A<6>, A<7>)는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에서의 배열이고, 제2 메모리 칩(130)의 다수의 어드레스 패드(A<0>, A<1>, A<2>, A<3>, A<4>, A<5>, A<6>, A<7>)는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에서의 배열이다. 여기서, 서로 대응되는 어드레스 패드(예컨대, 제1 메모리 칩(110)의 'A<0>' 어드레스 패드와 제2 메모리 칩(130)의 'A<1>' 어드레스 패드)는 하나의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공유하게 된다. 때문에, 미러 펑션을 하고자하는 제2 메모리 칩(130)의 다수의 어드레스 패드(A<0>, A<1>, A<2>, A<3>, A<4>, A<5>, A<6>, A<7>) 배열은 채널에 대응될 수 있도록 다시 재구성되어야 한다.A plurality of address pads A <0>, A <1>, A <2>, A <3>, A <4>, A <5>, A <6>, and A <of the
다시 설명하면, 제1 메모리 칩(110)의 'A<0>' 어드레스 패드는 대응하는 채널을 통해 해당하는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는다. 동시에 제2 메모리 칩(130)의 'A<1>' 어드레스 패드는 동일한 채널을 통해 'A<0>' 어드레스 패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제2 메모리 칩(130) 내부에서는 'A<1>'어드레스 패드로 전달된 어드레스 신호를 마치 'A<0>' 어드레스 패드로 전달된 것과 같이 처리해주어야 한다. 즉, 제2 메모리 칩(130)의 경우 'A<1>' 어드레스 패드로 'A<0>' 어드레스 패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고, 'A<0>' 어드레스 패드로 'A<1>' 어드레스 패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서, 제2 메모리 칩(130) 내부에서 이를 서로 바꾸어 처리함으로써, 제2 메모리 칩(130)은 마치 제1 메모리 칩(110)과 동일한 배열을 입력받은 것처럼 동작한다.In other words, the address pad 'A <0>' of the
도 2는 도 1의 'A<0>' 어드레스 패드와 'A<1>' 어드레스 패드의 미러 펑션 동작에 관련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related to a mirror function operation of the address pad 'A <0>' and the address pad 'A <1>'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A<0>'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1 버퍼링부(210)에서 버퍼링(buffering)되고, 'A<1>'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2 버퍼링부(220)에서 버퍼링된다. 제1 다중화부(230)는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버퍼링부(210, 22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제1 래칭부(240)에 전달한다. 제1 래칭부(240)는 내부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제1 다중화부(230)의 출력신호를 래칭(latching)하고 제1 전송라인(PAS1)을 통해 어드레스 출력부(250)로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2, an address signal input through the 'A <0>' address pad is buffered by the
한편, 제2 다중화부(260)도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버퍼링부(210, 22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제2 래칭부(260)로 전달한다. 이때, 제2 다중화부(260)는 제1 다중화부(230)에서 선택되지 않은 쪽의 버퍼링부의 출력신호를 제2 래칭부(270)로 전달하게 된다. 즉, 제1 다중화부(230)가 제1 버퍼링부(210)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경우, 제2 다중화부(260)는 제2 버퍼링부(220)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제1 다중화부(230)가 제2 버퍼링부(220)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경우, 제2 다중화부(260)는 제1 버퍼링부(210)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어서, 제2 래칭부(270)는 내부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제2 다중화부(260)의 출력신호를 래칭하고 제2 전송라인(PAS2)을 통해 어드레스 출력부(250)로 전달한다.Meanwhile, the
제1 및 제2 전송라인(PAS1, PAS2)을 통해 어드레스 출력부(250)로 전달된 신호는 내부명령신호(CMD)에 응답하여 최종 어드레스 신호(OUT_RA<0:1> 또는 OUT_CA<0:1>)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OUT_RA<0:1>' 최종 어드레스 신호는 메모리 칩의 로우(row) 동작시 해당하는 로우 디코더(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고, 'OUT_CA<0:1>' 최종 어드레스 신호는 메모리 칩의 컬럼(column) 동작시 해당하는 컬럼 디코더(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된다.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참고적으로, 내부명령신호(CMD)는 외부명령신호인 /RAS(Row Adderess Stobe), /CAS(Column Address Stobe), /WE(Write Enable), /CS(Chip Select)를 디 코딩(decoding)한 신호이다.For reference, the internal command signal (CMD) decodes external command signals such as / RAS (Row Adderess Stobe), / CAS (Column Address Stobe), / WE (Write Enable), and / CS (Chip Select). One signal.
이하, 미러 펑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황에서 도 2의 간단한 동작 설명을 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rief opera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a situation where a mirror func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A<0>'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1 버퍼링부(210)에서 버퍼링되고, 제1 다중화부(230)를 거쳐 제1 래칭부(240)에 래칭된 후 제1 전송라인(PAS1)을 통해 어드레스 출력부(250)에 전달된다. 그리고, 'A<1>'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2 버퍼링부(220)에서 버퍼링되고, 제2 다중화부(260)를 거쳐 제2 래칭부(270)에 래칭된 후 제2 전송라인(PAS2)을 통해 어드레스 출력부(250)에 전달된다. 한편, 어드레스 출력부(250)는 제1 및 제2 전송라인(PAS1, PAS2)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내부명령신호(CMD)에 응답하여 최종 어드레스 신호(OUT_RA<0:1> 또는 OUT_CA<0:1>)로서 출력한다.The address signal applied through the address pad 'A <0>' is buffered by the
이어서, 미러 펑션 동작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도 2의 간단한 동작 설명을 하기로 한다.Next, a brief opera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a situation in which a mirror function operation is performed.
'A<0>'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1 버퍼링부(210)에서 버퍼링되고, 제2 다중화부(260)를 거쳐 제2 래칭부(270)에 래칭된 후 제2 전송라인(PAS2)을 통해 어드레스 출력부(250)에 전달된다. 그리고, 'A<1>'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2 버퍼링부(220)에서 버퍼링되고, 제1 다중화부(230)를 거쳐 제1 래칭부(240)에 래칭된 후 제1 전송라인(PAS1)을 통해 어드레스 출력부(250)에 전달된다. 한편, 어드레스 출력부(250)는 제1 및 제2 전송라인(PAS1, PAS2)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내부명령신호(CMD)에 응답하여 최종 어드레스 신호(OUT_RA<0:1> 또는 OUT_CA<0:1>)로 출력한다.The address signal applied through the address pad 'A <0>' is buffered by the
여기서, 제1 래칭부(240)의 출력신호가 전달되는 제1 전송라인(PAS1)과 제2 래칭부(270)의 출력신호가 전달되는 제2 전송라인(PAS2)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 the first transmission line PAS1 through which the output signal of the
제1 전송라인(PAS1)과 제2 전송라인(PAS2)은 메모리 칩 입장에서 매우 긴 배선이며, 서로 다른 배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제1 전송라인(PAS1)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와 제2 전송라인(PAS2)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간에 스큐(skew)가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어드레스 출력부(250)가 이 두 신호를 동시에 입력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A<0>' 어드레스 패드와 'A<1>' 어드레스 패드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전송라인(PAS1, PAS2)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이외 다른 어드레스 패드에 대응하는 전송라인과의 관계에서도 해당된다. 이하, 도 3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The first transmission line PAS1 and the second transmission line PAS2 are wires that are very lo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mory chip, and may have different wire lengths. Thus, skew may occur between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line PAS1 and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line PAS2. As a result, the
도 3은 도 1의 다수의 어드레스 패드(A<0>, A<1>, A<2>, A<3>, A<4>, A<5>, A<6>, A<7>)와 이에 대응하는 버퍼링부와, 다중화부, 및 래칭부가 배치되는 영역과 어드레스 출력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llustrates a plurality of address pads A <0>, A <1>, A <2>, A <3>, A <4>, A <5>, A <6>, and A <7> of FIG. ), A buffering unit, a multiplexing unit, a latching unit, and an address output unit are disposed.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블록(310)은 'A<0>'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다중화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2 블록(320)은 'A<1>'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다중화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3 블록(330)은 'A<2>'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다중화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4 블록(340)은 'A<3>'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다중화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5 블록(350)은 'A<4>'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다중화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6 블록(360)은 'A<5>'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다중화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7 블록(370)은 'A<6>'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다중화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며, 제8 블록(380)은 'A<7>'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다중화부, 및 래칭부를 구비한다.2 and 3, the
실질적으로 각각의 버퍼링부, 다중화부, 및 래칭부는 해당하는 어드레스 패드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이 배치된 영역을 이하, "패드영역"이라 칭한다.Substantially each of the buffering section, multiplexing section, and latching sec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address pad, and the region in which they are disposed is referred to hereinafter as the "pad region".
도 2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블록(310)과 제2 블록(320) 사이에는 미러 펑션을 위하여 배선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제1 버퍼링부(210)의 출력신호는 해당하는 배선을 통해 제2 다중화부(260)에 전달되고, 제2 버퍼링부(230)의 출력신호도 해당하는 배선을 통해 제1 다중화부(230)에 전달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 wire must be provided between the
마찬가지로, 제3 블록(330)과 제4 블록(340) 사이에도 미러 펑션을 위하여 배선이 구비되어야 하고, 제5 블록(350)과 제6 블록(360) 사이, 제7 블록(370)과 제8 블록(380) 사이에도 미러 펑션을 위하여 배선이 구비되어야 한다.Similarly, a wiring must be provided between the
요즈음, 설계에 있어서 대용량화 즉, 고집적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신호 선폭과 신호 라인들 간의 간격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불필요한 배선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러 펑션을 위한 배선들은 설계에 있어서 큰 부담일 수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achieve high capacity, that is, high integration in design,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unnecessary wires, as well as efforts to reduce signal line widths and gaps between signal lines. In this situation, the wirings for the mirror function can be a heavy burden on the design.
한편, 제1 내지 제8 블록(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이 배치된 패드영역과 어드레스 출력부(390)는 메모리 칩 입장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배치 된다. 또한, 제1 블록(310)에서 어드레스 출력부(390)까지의 배선 길이와, 제2 블록(320)에서 어드레스 출력부(390)까지의 배선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외 제3 내지 제8 블록(330, 340, 350, 360, 370, 380)에서 어드레스 출력부(390)까지의 각각의 배선 역시 그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Meanwhile, the pad area in which the first to
결국, 어드레스 출력부(390)는 제1 내지 제8 블록(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 각각에서 출력되는 8개의 출력신호(BUS_A<0:7>)를 동시에 입력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어드레스 출력부(390) 입장에서 출력신호(BUS_A<0:7>)간의 마진(margin)확보에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As a result,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미러 펑션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어드레스 출력부에 입력되는 신호간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by providing a component for the mirror function operation efficiently, to provide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an secure the margin between the signals input to the address output unit The purpose is.
또한, 패드영역에 배치되던 배선들을 줄이면서 원하는 동작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a desired operation while reducing the wirings arranged in the pad reg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는 제1 패드를 통해 인가된 제1 입력신호를 내부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칭하는 제1 래칭수단; 제2 패드를 통해 인가된 제2 입력신호를 상기 내부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칭하는 제2 래칭수단; 제1 및 제2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내부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 상기 내부클럭신호보다 소정시간 지연된 지연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래칭수단의 출력신호를 래칭하는 제1 프리 래칭수단; 상기 지연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래칭수단의 출력신호를 래칭하는 제2 프리 래칭수단; 미러 펑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프리 래칭수단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제1 다중화수단; 및 상기 미러 펑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프리 래칭수단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입력단으로 출 력하는 제2 다중화수단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emiconductor device comprises: first latching means for latching a first input signal applied through a first pad in response to an internal clock signal; Second latching means for latching a second input signal applied through a second pad in response to the internal clock signal;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put terminals in response to an internal command signal; First pre-latching means for latching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latching means in response to a delay clock signal delayed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internal clock signal; Second free latching means for latching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latching means in response to the delay clock signal; First multiplexing means for outputting one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free latching means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 accordance with mirror function information; And second multiplexing means for outputting one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pre-latching means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mirror function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는 제1 패드를 통해 인가된 제1 입력신호를 내부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칭하고 제1 전송라인을 통해 출력하는 제1 래칭수단; 제2 패드를 통해 인가된 제2 입력신호를 상기 내부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칭하고 제2 전송라인을 통해 출력하는 제2 래칭수단;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의 스큐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스큐보상수단; 제1 및 제2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내부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 미러 펑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스큐보상수단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제1 다중화수단; 및 상기 미러 펑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스큐보상수단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제2 다중화수단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latching means for latching the first input signal applied through the first pad in response to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outputs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line ; Second latching means for latching a second input signal applied through a second pad in response to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outputting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a second transmission line; Skew compensation means for compensating skew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put terminals in response to an internal command signal; First multiplexing means for outputting any one of output signals of the skew compensa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ccording to mirror function information; And second multiplexing means for outputting one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skew compensa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mirror func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서는 어드레스 출력부 이전에 다시 한번 래칭하고 이후 미러 펑션을 위한 선택 동작을 함으로써, 어드레스 출력부에 입력되는 신호간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고, 종래에 미러 펑션 동작을 위해 패드영역에 배치되던 다수의 배선을 없앨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latching once again before the address output unit and then performing a selection operation for the mirror fun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margin between signals input to the address output unit, and a plurality of conventionally arranged in the pad area for the mirror function operation. Can eliminate the wiring.
전술한 본 발명은 미러 펑션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어드레스 출력부의 보다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칩 설계시 레이 아웃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fficiently disposing the components for the mirror function opera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a more stable operation of the address output uni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layout burden when designing the chip.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펑션 동작에 관련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related to a mirror fun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A<0>'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1 버퍼링부(410)에서 버퍼링되어 제1 래칭부(420)에 전달된다. 제1 래칭부(420)는 내부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제1 버퍼링부(410)의 출력신호를 래칭하여 제1 전송라인(PAS1)으로 출력한다. 제1 프리 래칭부(430)는 지연클럭신호(D_CLK)에 응답하여 제1 전송라인(PAS1)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다시 래칭한다. Referring to FIG. 4, an address signal input through an address pad 'A <0>' is buffered by the
여기서, 지연클럭신호(D_CLK)는 내부클럭신호(CLK)보다 소정시간 지연된 신호이다. 지연클럭신호(D_CLK)는 제1 및 제2 래칭부(420, 450)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내부클럭신호(CLK)의 활성화 시점과 제1 및 제2 래칭부(420, 450)의 다음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내부클럭신호(CLK)의 활성화 시점 사이에 활성화 시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lay clock signal D_CLK is a signal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internal clock signal CLK. The delay clock signal D_CLK is an activation point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CLK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s of the first and
한편, 'A<1>'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2 버퍼링부(440)에서 버퍼링되어 제2 래칭부(450)에 전달된다. 제2 래칭부(450)는 내 부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제2 버퍼링부(440)의 출력신호를 래칭하여 제2 전송라인(PAS2)으로 출력한다. 제2 프리 래칭부(460)는 지연클럭신호(D_CLK)에 응답하여 제2 전송라인(PAS2)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다시 래칭한다.Meanwhile, the address signal input through the 'A <1>' address pad is buffered by the
여기서, 제1 및 제2 전송라인(PAS1, PAS2)은 매우 긴 배선이기 때문에 이 배선을 통하는 신호들간의 스큐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프리 래칭부(430, 460)를 제1 및 제2 다중화부(470, 480) 앞단에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전송라인(PAS1, PAS2)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들간의 스큐를 보상해줄 수 있고, 제1 및 제2 다중화부(470, 480) 각각은 제1 및 제2 프리 래칭부(430, 460)의 출력신호를 거의 동시에 받는 것이 가능하다.Here, since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PAS1 and PAS2 are very long wires, skew between signals through the wires may occu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한편, 제1 다중화부(470)는 미러 펑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미러평션 제어신호(CTR_MF)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프리 래칭부(430, 46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어드레스 출력부(49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2 다중화부(480)도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프리 래칭부(430, 46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어드레스 출력부(490)에 전달한다. 이때, 제2 다중화부(480)는 제1 다중화부(470)에서 선택되지 않은 쪽의 프리 래칭부의 출력신호를 어드레스 출력부(490)로 전달하게 된다. 즉, 제1 다중화부(470)가 제1 프리 래칭부(430)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경우, 제2 다중화부(480)는 제2 프리 래칭부(460)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제1 다중화부(470)가 제2 프리 래칭부(460)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경우, 제2 다중화부(480)는 제1 프리 래칭부(430)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Meanwhile, the
도 5와 도 6은 도 4의 제1 및 제2 다중화부(470, 480)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여기서, '/CTR_MF'는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와 위상이 반대인 신호이다.5 and 6 are circuit diagrams for describing the first and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다중화부(470)는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 /CTR_MF)에 응답하여 제1 프리 래칭부(430)의 출력신호(LAT_A<0>)를 제1 출력신호(OUT<0>)로 전달하는 제1 전달부(TG1)와,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 /CTR_MF)에 응답하여 제2 프리 래칭부(460)의 출력신호(LAT_A<1>)를 제1 출력신호(OUT<0>)로 전달하는 제2 전달부(TG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력신호(OUT<0>)는 어드레스 출력부(490, 도 4참조)의 제1 입력단으로 입력된다.First, referring to FIG. 5, the
예컨대, 미러 펑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즉,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가 논리 '로우(low)'가 되는 경우, 제1 전달부(TG1)가 턴 온(turn on)되고 제2 전달부(TG2)가 턴 오프(turn off)되어 제1 프리 래칭부(430)의 출력신호(LAT_A<0>)가 제1 출력신호(OUT<0>)로 전달된다.For example, when the mirror func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that is, when the mirror function control signal CTR_MF becomes logic 'low', the first transfer unit TG1 is turned on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is turned on. TG2 is turned off and the output signal LAT_A <0> of the first
반대로 미러 펑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즉,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가 논리'하이(high)'가 되는 경우, 제1 전달부(TG1)가 턴 오프되고 제2 전달부(TG2)가 턴 온되어 제2 프리 래칭부(460)의 출력신호(LAT_A<1>)가 제1 출력신호(OUT<0>)로 전달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mirror fun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at is, when the mirror function control signal CTR_MF becomes logic 'high', the first transfer unit TG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TG2 is turned on. The output signal LAT_A <1> of the second
도 6을 참조하면, 제2 다중화부(480)는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 /CTR_MF)에 응답하여 제2 프리 래칭부(460)의 출력신호(LAT_A<1>)를 제2 출력신호(OUT<1>)로 전달하는 제3 전달부(TG3)와,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 /CTR_MF)에 응답하여 제1 프리 래칭부(430)의 출력신호(LAT_A<0>)를 제2 출력신호(OUT<1>)로 전달하는 제4 전달부(TG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출력신호(OUT<1>)는 어드레스 출력부(490, 도 4참조)의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된다.Referring to FIG. 6, in response to the mirror function control signals CTR_MF and / CTR_MF, the
예컨대, 미러 펑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즉,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가 논리 '로우'가 되는 경우, 제3 전달부(TG3)가 턴 온되고 제4 전달부(TG4)가 턴 오프되어 제2 프리 래칭부(460)의 출력신호(LAT_A<1>)가 제2 출력신호(OUT<1>)로 전달된다.For example, when the mirror func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that is, when the mirror function control signal CTR_MF becomes logic 'low', the third transfer unit TG3 is turned on and the fourth transfer unit TG4 is turned off. The output signal LAT_A <1> of the second
반대로 미러 펑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즉, 미러펑션 제어신호(CTR_MF)가 논리'하이'가 되는 경우, 제3 전달부(TG3)가 턴 오프되고 제4 전달부(TG4)가 턴 온되어 제1 프리 래칭부(430)의 출력신호(LAT_A<0>)가 제2 출력신호(OUT<1>)로 전달된다.In contrast, when the mirror fun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at is, when the mirror function control signal CTR_MF becomes logic 'high', the third transfer unit TG3 is turned off and the fourth transfer unit TG4 is turned on. The output signal LAT_A <0> of th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어드레스 출력부(490)의 제1 및 제2 입력단으로 전달된 제1 및 제2 출력신호(OUT<0>, OUT<1>)는 내부명령신호(CMD)에 응답하여 최종 어드레스 신호(OUT_RA<0:1> 또는 OUT_CA<0:1>)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OUT_RA<0:1>' 최종 어드레스 신호는 메모리 칩의 로우(row) 동작시 해당하는 로우 디코더(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고, 'OUT_CA<0:1>' 최종 어드레스 신호는 메모리 칩의 컬럼(column) 동작시 해당하는 컬럼 디코더(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된다.Referring back to FIG. 4, the first and second output signals OUT <0> and OUT <1>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terminals of the
참고적으로, 내부명령신호(CMD)는 외부명령신호인 /RAS(Row Adderess Stobe), /CAS(Column Address Stobe), /WE(Write enable), /CS(Chip Select)를 디코딩(decoding)한 신호이다. 또한, 'OUT_RA<0:1>'은 로우 디코더로 전달되는 신호 이고, 'OUT_CA<0:1>'은 컬럼 디코더로 전달되는 신호이다.For reference, the internal command signal (CMD) decodes external command signals such as / RAS (Row Adderess Stobe), / CAS (Column Address Stobe), / WE (Write enable), and / CS (Chip Select). It is a signal. In addition, 'OUT_RA <0: 1>' is a signal delivered to the row decoder, and 'OUT_CA <0: 1>' is a signal delivered to the column decoder.
이하, 미러 펑션을 적용하지 않은 상황에서 도 4의 간단한 동작 설명을 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rief operation of FIG. 4 will be described in a situation where a mirror function is not applied.
'A<0>'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1 버퍼링부(410)에서 버퍼링되고, 제1 래칭부(420)에서 래칭된 후 제1 전송라인(PAS1)을 통해 출력된다. 제1 전송라인(PAS1)을 통해 전달된 신호는 제1 프리 래칭부(430)에서 래칭되고 제1 다중화부(470)를 거쳐 어드레스 출력부(490)의 제1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A<1>'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2 버퍼링부(440)에서 버퍼링되고, 제2 래칭부(450)에서 래칭된 후 제2 전송라인(PAS2)을 통해 출력된다. 제2 전송라인(PAS2)을 통해 전달된 신호는 제2 프리 래칭부(460)에서 래칭되고 제2 다중화부(480)를 거쳐 어드레스 출력부(490)의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한편, 어드레스 출력부(250)는 제1 및 제2 다중화부(470, 480)의 출력신호(OUT<0>, OUT<1>)를 내부명령신호(CMD)에 응답하여 최종 어드레스 신호(OUT_RA<0:1> 또는 OUT_CA<0:1>)로 출력한다.The address signal applied through the address pad 'A <0>' is buffered by the
이어서, 미러 펑션을 적용한 상황에서 도 4의 간단한 동작 설명을 하기로 한다.Next, a brief operation of FIG. 4 will be described in a situation where a mirror function is applied.
'A<0>'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1 버퍼링부(410)에서 버퍼링되고, 제1 래칭부(420)에서 래칭된 후 제1 전송라인(PAS1)을 통해 출력된다. 제1 전송라인(PAS1)을 통해 전달된 신호는 제1 프리 래칭부(430)에서 래칭되고 제2 다중화부(480)를 거쳐 어드레스 출력부(490)의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A<1>' 어드레스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제2 버퍼링부(440)에서 버퍼링되고, 제2 래칭부(450)에서 래칭된 후 제2 전송라인(PAS2)을 통해 출력된다. 제2 전송라인(PAS2)을 통해 전달된 신호는 제2 프리 래칭부(460)에서 래칭되고 제1 다중화부(470)를 거쳐 어드레스 출력부(490)의 제1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한편, 어드레스 출력부(250)는 제1 및 제2 다중화부(470, 480)의 출력신호(OUT<0>, OUT<1>)를 내부명령신호(CMD)에 응답하여 최종 어드레스 신호(OUT_RA<0:1> 또는 OUT_CA<0:1>)로 출력한다.The address signal applied through the address pad 'A <0>' is buffered by the
도 7은 다수의 어드레스 패드(A<0>, A<1>, A<2>, A<3>, A<4>, A<5>, A<6>, A<7>)와 이에 대응하는 버퍼링부와, 래칭부가 배치되는 패드영역과 프리 래칭부와, 다중화부, 및 어드레스 출력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7 illustrates a plurality of address pads A <0>, A <1>, A <2>, A <3>, A <4>, A <5>, A <6>, and A <7>. It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buffering part, the pad area in which a latching part is arrange | positioned, the pre latching part, the multiplexing part, and the address output part are arrange | positioned.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제1 블록(710)은 'A<0>'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2 블록(720)은 'A<1>'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3 블록(730)은 'A<2>'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4 블록(740)은 'A<3>'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5 블록(750)은 'A<4>'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6 블록(760)은 'A<5>'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고, 제7 블록(770)은 'A<6>'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및 래칭부를 구비하며, 제8 블록(780)은 'A<7>'용 어드레스 패드와, 버퍼링부, 및 래칭부를 구비한다.4 and 7, the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해당하는 버퍼링부, 및 래칭부는 해당하는 어드레 스 패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내지 제8 블록(710, 720, 730, 740, 750, 760, 780) 각각에서 출력된 8개의 출력신호(BUS_A<0:7>)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기 위한 프리 래칭부와 미러 펑션 동작을 위한 다중화부는 어드레스 출력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때문에, 종래에 제1 및 제2 블록(310, 320 도 3참조), 제3 및 제4 블록(330, 340), 제5 및 제6 블록(350, 360), 제7 및 제8 블록(370, 380)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8 블록(710, 720, 730, 740, 750, 760, 780)의 출력신호(BUS_A<0:7>)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rresponding buffering portion and latching portion are disposed adjacent to corresponding address pads and output from each of the first to
전술한 바와 같이, 미러 펑션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제1 내지 제8 블록(710, 720, 730, 740, 750, 760, 780)의 출력신호(BUS_A<0:7>) 간의 스큐를 최소화하여 어드레스 출력부(490)에 입력되는 신호간의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어드레스 출력부(490)의 보다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할 수 있고, 패드영역에 배치되던 다수의 배선을 없앨 수 있어 칩 설계시 레이 아웃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signals BUS_A <0: 7> of the first to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한 트랜지스터는 입력되는 신호의 극성에 따라 그 위치 및 종류가 다르게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For example, the transistor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hould be implemented in a different position and type depending on the polarity of the input signal.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미러 펑션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어드레스가 입력되는 어드레스 패드의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데이터나 반도체 소자에 입력되는 이외 신호에 대응하는 패드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of an address pad to which an address is input in performing a mirror function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corresponding to a signal other than an input as well as data or a semiconductor element. Applicable to
도 1은 두 개의 메모리 칩이 마주보게 연결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two memory chips are connected to face each other.
도 2는 도 1의 'A<0>' 어드레스 패드와 'A<1>' 어드레스 패드의 미러 펑션 동작에 관련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related to a mirror function operation of an address pad 'A <0>' and an address pad 'A <1>' of FIG. 1.
도 3은 도 1의 다수의 어드레스 패드가 배치되는 영역과 어드레스 출력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address pads of FIG. 1 and an address output unit are arrang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펑션 동작에 관련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related to a mirror fun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도 6은 도 4의 제1 및 제2 다중화부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5 and 6 are circuit diagrams for describing the first and second multiplexers of FIG. 4.
도 7은 다수의 어드레스 패드가 배치되는 영역과 프리 래칭부와, 다중화부, 및 어드레스 출력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address pads are arranged, a prelatching part, a multiplexing part, and an address output par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10 : 제1 버퍼링부 420 : 제1 래칭부410: first buffering portion 420: first latching portion
430 : 제1 프리 래칭부 440 : 제2 버퍼링부430: first free latching unit 440: second buffering unit
450 : 제2 래칭부 460 : 제2 프리 래칭부450: second latching portion 460: second free latching portion
470 : 제1 다중화부 480 : 제2 다중화부470: first multiplexer 480: second multiplexer
490 : 어드레스 출력부490: address output unit
Claims (1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8017A KR100899568B1 (en) | 2007-12-26 | 2007-12-26 |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8017A KR100899568B1 (en) | 2007-12-26 | 2007-12-26 |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99568B1 true KR100899568B1 (en) | 2009-05-27 |
Family
ID=4086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8017A KR100899568B1 (en) | 2007-12-26 | 2007-12-26 |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9956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3987A (en) * | 2000-08-24 | 2002-06-12 | 하이 커넥터 덴서티, 인코포레이티드 | High capacity memory module with higher density and improved manufacturability |
KR20030046715A (en) * | 2001-12-06 | 2003-06-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modules with the same |
KR20050012933A (en) * | 2003-07-25 | 2005-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de register setting method for implementing mirror package |
-
2007
- 2007-12-26 KR KR1020070138017A patent/KR10089956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3987A (en) * | 2000-08-24 | 2002-06-12 | 하이 커넥터 덴서티, 인코포레이티드 | High capacity memory module with higher density and improved manufacturability |
KR20030046715A (en) * | 2001-12-06 | 2003-06-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modules with the same |
KR20050012933A (en) * | 2003-07-25 | 2005-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de register setting method for implementing mirror packa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11539B2 (en) | Memory system | |
KR100357676B1 (en) |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0319415B1 (en) | Lsi device with memory and logics mounted thereon | |
US6396766B1 (en) | Semiconductor memory architecture for minimizing input/output data paths | |
US7394718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global data bus | |
US6847576B2 (en) | Layout structures of data input/output pads and peripheral circuits of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 |
JP2001256772A (en) | Memory module | |
KR100375147B1 (en) | Circuit module | |
US7539826B2 (en) |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mirror mode operation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JP3623762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JP4327699B2 (en) | Multichip package and IC chip | |
US9152594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high speed reading and writing | |
KR100297735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effective arrangement of fuction blocks | |
KR100899568B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0550643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JP2003271538A (en) | Memory system using directional coupler for address | |
KR100355240B1 (en) | Two sides memory module sharing clock signal and wiring method thereof | |
US6532179B2 (en) | Input signal receiving circuit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 |
JP2008071474A (en) | Boosted clock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 |
US9396773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GB2348317A (en) | An arrangement of data input/output circuits for use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0903381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US20210103533A1 (en) | Memory system and memory chip | |
JP2005332407A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improved mirror mode action | |
JP2013218767A (en) | Semiconduct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