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96002B1 -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 - Google Patents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002B1
KR100896002B1 KR1020077007792A KR20077007792A KR100896002B1 KR 100896002 B1 KR100896002 B1 KR 100896002B1 KR 1020077007792 A KR1020077007792 A KR 1020077007792A KR 20077007792 A KR20077007792 A KR 20077007792A KR 100896002 B1 KR100896002 B1 KR 100896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cutting
insert
corner
main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156A (ko
Inventor
타쿠야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68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64173B2/ja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6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6Face-milling cutters, i.e. having only or primarily a substantially flat cut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5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characterised by chip-breaker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C2200/085Rake or top surfaces dis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2Side or flank surfaces
    • B23C2200/125Side or flank surfaces dis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2Side or flank surfaces
    • B23C2200/128Side or flank surfaces with one or more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5Discontinuous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32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 B23C2200/323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by chip-breaking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4Angles
    • B23C2210/0407Cutting angles
    • B23C2210/0442Cutting angles po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32Details of teeth
    • B23C2210/325Different teeth, i.e. one tooth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to a tooth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l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66Markings, i.e. symbols or indicating ma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1Plural simultaneously usable separable tools in common seat or common clamp actuator for plural simultaneously usable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10T407/23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with integral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홀더를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절삭칩 배출성이 우수한 스로어웨이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대략 다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상면에 경사면(2)을, 측면에 여유면(3)을 구비함과 아울러, 경사면(2)과 여유면(3)의 교차 능선부에 주절삭날(4)이 형성되고, 또한 주절삭날(4)이 여유면(3) 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홈부(5)에 의해 분단된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4a)로 이루어지는 스로어웨이 인서트(1)로서, 각 분할 주절삭날(4a)과 대응하도록, 경사면(2) 상에 돌기(6)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THROWAWAY INSERT AND MILLING TOOL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정면 밀링커터나 엔드밀 등의 회전 절삭 공구에 이용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도 28은, 종래기술의 스로어웨이 인서트(101)(이하, 인서트(101)로 약칭한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9는, 종래기술의 인서트(10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인서트(101)는, 대략 원통형상의 홀더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인서트(101)를 장착한 홀더는, 피절삭재를 회전 절삭하는 회전 절삭 공구로서 이용된다. 예컨대 인서트(101)가 장착되는 회전 절삭 공구는, 정면 밀링커터용 공구나 엔드밀용 공구 등이고, 특히 절삭날 길이가 길며 다수의 절삭날을 부착하여 사용되는 회전 절삭 공구로서 이용된다.
종래기술로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절삭날(103)로부터 연속하는 경사면(104)이 양의 경사각을 구비함과 아울러, 주절삭날(103)을 포함하는 여유면(105)을 홈부(106)에 의해 분단한 인서트(101)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평7-299636호 공보 참조). 이러한 인서트(101)는 주로 한번의 절삭 동작으로, 대량의 절삭칩이 배출되는 중절삭용 회전 절삭 공구에 이용된다. 이 중절삭 동작의 경우, 커팅량 및 이송량이 모두 크고, 엄격한 절삭 조건하에서의 가공이 되기 때문에, 피절삭재로부터 회전 절삭 공구에 주어지는 절삭 저항이 커진다. 인서트(101)는, 주절삭날(103)이 홈부(106)에 의해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103a)로 분단됨으로써, 절삭 동작시에 생성되는 절삭칩이 작게 분할된다. 이것에 의해서, 절삭 저항이 감소하고, 피절삭재로의 물림성도 좋아지므로 가공중에 있어서의 채터 진동도 억제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종래기술의 인서트(101)를 갖는 회전 절삭 공구(11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1은, 회전 절삭 공구(112)의 인서트 장착부의 단면을 나타냄과 아울러 절삭칩(116)의 생성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모식도이다. 중절삭시에, 피절삭재로부터 생성되는 절삭칩(116)은, 두께, 바꿔 말하면 단면적이 크고, 강성이 높아 변형되기 어렵다. 따라서 회전 절삭 공구(112)의 주절삭날(103)에 의해 생성된 절삭칩(116)은, 경사면(104) 상을 홀더(111)의 중심측을 향해 흘러서, 절삭칩 포켓(113)의 홀더 벽면(114)에 맞부딪친다. 다음에, 절삭칩(116)은, 홀더 벽면(114)을 가이드로 하여 절삭칩 포켓(113)의 외방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홀더 벽면(114)에 절삭칩(116)이 충돌하고, 홀더 벽면(114)과 절삭칩(116)이 서로 마찰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피절삭재에 대한 절삭가공을 반복하여, 피절삭재를 회전 절삭하면, 절삭칩 포켓(113)의 홀더 벽면(114)이 점차 마모되어 가고, 결국에는 깎여 내어진 상태로 되고, 이 깎여 내어진 벽면에 절삭칩(116)이 가득 차서, 절삭칩 배출성능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인서트(101)가 결손되는 원인이 되거나, 홀더(111)의 강성이 저하 하여 가공 정밀도가 악화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중절삭가공에 기인하여, 생성되는 절삭칩(116)이 두꺼워지면 마모가 현저하고, 손상된 홀더(111)를 조기에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 큰 문제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절삭칩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절삭칩 포켓에 절삭칩이 가득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략 판형상을 이루고, 두께방향 한쪽의 면에 경사면을, 측면에 여유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경사면과 상기 여유면의 교차 능선부에 주절삭날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절삭날이 분단된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로 이루어지는 스로어웨이 인서트로서,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각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기 중 주절삭날측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높이가 점점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기 중 주절삭날측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폭이 점점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기 중 주절삭날측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기 중 주절삭날측 부분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서로의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감소하는 2개의 돌기 측면을 갖고, 상기 2개의 돌기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교차 능선부는, 상기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경사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돌기 중 1개 이상의 돌기는,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돌기 중 1개 이상의 돌기는, 분할 주절삭날의 중간부분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할 주절삭날의 대략 수직이등분선 상에, 상기 돌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의 대략 중앙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관통구멍 둘레에 환상의 융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기는, 상기 각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는 각 돌기가, 상기 분할 주절삭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는 돌기는, 상기 코너R 절삭날을 향해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는 돌기는, 상기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이루는 각도가, 60°이상 85°이하로 되는 가상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기는, 상기 각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여 1개 이상,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각 돌기가, 상기 분할 주절삭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여 돌기가 형성되고, 이 대응하는 돌기 중, 상기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는, 상기 코너R 절삭날을 향해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는, 상기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이루는 각도가, 60°이상 85°이하로 되는 가상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여 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기 중, 상기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 이외의 돌기가, 상기 분할 주절삭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경사면과 반대측에 홀더에 접촉하는 저면이 형성되고,
상기 각 분할 주절삭날은, 코너R 절삭날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스로어웨이 인서트와, 상기 스로어웨이 인서트를 복수 장착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절삭 공구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스로어웨이 인서트(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인서트(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인서트(1)를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다.
도 4는, 인서트(1)를 나타내는 단변측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서트(1,21)를 이용한 회전 절삭 공구(12)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 절삭 공구(12)의 인서트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전 절삭 공구의 S-S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2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9는, 인서트(2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3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11은, 인서트(31)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인서트(31)의 변형예의 인서트(31a)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인서트(31)의 다른 변형예의 인서트(31b)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4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15는, 인서트(41)의 장변측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5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17은, 인서트(5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인서트(51)를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다.
도 19는, 인서트(51)를 나타내는 단변측 측면도이다.
도 20A~20D는,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와, 비교예의 인서트(151A,151B,151C)의 절삭날 형상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6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인서트(61)를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다.
도 23은, 인서트(61)를 나타내는 단변측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인서트(51,61)를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1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의 인서트(7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회전 절삭 공구(12)의 인서트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7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인서트(71a)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28은, 종래기술의 인서트(1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종래기술의 인서트(101)를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종래기술의 인서트(101)를 갖는 회전 절삭 공구(11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회전 절삭 공구(112)의 인서트 장착부의 단면을 나타냄과 아울러 절삭 칩(16)의 생성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스로어웨이 인서트(1)(이하, 인서트(1)로 약칭한다)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인서트(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인서트(1)를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고, 도 4는, 인서트(1)를 나타내는 단변측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인서트(1)는, 대략 다각형 판형상, 구체적으로는 대략 평행사변형 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상면에 경사면(2)을, 측면에 여유면(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경사면(2)과 상기 여유면(3)의 교차 능선부에는 주절삭날(4)이 형 성되고, 주절삭날(4)은 상기 여유면(3) 상에 형성된 1개 이상의 홈부(5)에 의해 분단된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4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1)의 1개의 예각의 코너부에는, 측면과 경사면(2)의 교차 능선부에 코너R 절삭날(7)이 형성되어 있고, 주절삭날(4)의 가장 코너R 절삭날(7)측에 위치하는 분할 주절삭날(4a)과 연이어져 있다. 또한 각 분할 주절삭날(4a)에 인접하는 경사면(2) 상에는, 상기 각 분할 주절삭날(4a)에 대응하여 돌기(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분할 주절삭날(4a)과 쌍을 이루도록, 경사면(2) 상에 돌기(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인서트(1)에는, 두께방향(A)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상의 관통구멍(16)이 형성된다. 관통구멍(16)은, 인서트(1)를 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으로 된다. 관통구멍(16)은, 인서트(1)의 길이방향(B) 및 폭방향(C)에 있어서의 중앙위치에 형성된다. 인서트(1)는, 관통구멍(16)의 축선에 관하여, 180도 회전 대칭형상, 바꿔 말하면 2회 회전 대칭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인서트(1)를 가상 평면에 투영했을 때에, 관통구멍(16)의 축선 둘레로 180도 회전시킨 상태와, 회전시키기 전의 상태에서, 가상 평면에 투영되는 인서트(1)의 형상은 동일하게 된다. 이렇게 인서트(1)는, 180도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대칭된 형상 중 한쪽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하고, 한쪽의 형상에 대칭된 다른쪽의 형상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인서트(1) 중에서 두께방향 일방측 부분으로 되는 상면부의 가장자리 변에는, 길이방향(B)으로 연장되는 주절삭날(4)이 형성됨과 아울러, 주절삭날(4)의 일단부에 연이어져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코너R 절삭날(7)이 형성된다. 인서트(1)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에서, 주절삭날(4)은 홀더 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홀더의 외주면으로부터 홀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주절삭날(4)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7)은 인서트(1) 중에서 홀더 선단부측 부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1)는, 대략 평행사변형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두께방향(A)에 수직한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된다. 이하, 이 대략 평행사변형 판형상의 두께방향을 인서트 두께방향(A)이라고 칭하고, 이 대략 평행사변형의 길이방향을 인서트 길이방향(B)이라고 칭하고, 인서트 두께방향(A)과 인서트 길이방향(B)에 서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인서트 폭방향(C)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인서트(1)는, 두께방향 한쪽(A1)의 면에 경사면(2)이 형성되고, 두께방향 다른쪽(A2)에 저면이 형성된다. 또한 인서트(1)는, 인서트 폭방향(C)의 끝면에 여유면(3)이 형성된다. 경사면(2)과 여유면(3)의 교차 능선부는, 인서트(1)의 길이방향(B)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는 주절삭날(4)은,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 두께방향(A)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인서트(1)는, 홀더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인서트(1)의 저면이 홀더에 설치되는 착좌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홀더에 장착된다.
인서트(1)의 폭방향(C)의 단부에는, 폭방향 끝면으로부터 인서트 폭방향(C)에 몰입하고, 인서트 두께방향(A)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홈부(5)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부(5)는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다. 각 홈부(5)는, 인서트(1)의 경사면(2)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형성되고, 저면에 가까 워짐에 따라 인서트 길이방향(B) 치수인 폭치수가 커진다. 또한 홈부(5)의 인서트 폭방향(C)의 깊이 치수는, 중절삭가공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조건 중에서의, 회전 절삭 공구의 1칼날당 최대이송량보다 크게 설정된다. 인서트(1)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각 홈부(5)는, 홀더의 회전 축선에 수직한 평면상을, 홀더(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주절삭날(4) 및 여유면(3)은, 홈부(5)에 의해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분단된다. 따라서 주절삭날(4)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4a)을 갖는다. 또한 여유면(3)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분할 여유면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1)에는,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나열되는 4개의 홈부(5)가 형성되므로, 주절삭날(4)은 5개의 분할 주절삭날(4a)을 갖고, 여유면(3)은 5개의 분할 여유면을 갖는다. 각 홈부(5)는,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나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2)으로부터 인서트 두께방향(A)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6)가 형성된다. 각 돌기(6)는,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에 쌍을 이루어 각각 형성되고, 각각 쌍을 이루는 분할 주절삭날(4a)을 향해 배치된다. 또한 돌기(6) 중 분할 주절삭날측 부분은, 인서트 폭방향(C)을 향해서,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에 가까워짐에 따라,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6)의 높이는, 경사면(2)에 대한 돌기(6)의 인서트 두께방향(A)의 치수이다. 또한 돌기(6)의 폭은, 돌기(6)의 인서트 길이방 향(B)의 치수이다.
돌기(6) 중 분할 주절삭날측 부분은, 인서트 길이방향(B) 한쪽에 노출되는 한쪽 돌기 측면과, 인서트 길이방향(B) 다른쪽에 노출되는 다른쪽 돌기 측면을 갖는다. 2개의 돌기 측면은, 인서트 두께방향 한쪽(A1)을 향함에 따라, 인서트 길이방향(B)의 간격이 점점 감소한다. 또한 2개의 돌기 측면은, 인서트 두께방향 한쪽(A1) 측단부에서 교차하여, 교차 능선부가 형성된다. 2개의 돌기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6)의 교차 능선부는,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에 가까워짐에 따라, 경사면(2)과의 인서트 두께방향(A)의 거리가 점점 감소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주절삭날(4a)과 돌기(6) 사이의 인서트 폭방향(C)의 거리(t)는, 분할 주절삭날(4a)의 인서트 길이방향(B) 중앙부에서 최단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돌기(6)와, 상기 돌기(6)에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 사이의 최단 거리(t)는, 0.5㎜ 이상 5.0㎜ 이하로 형성된다. 최단 거리(t)가, 0.5㎜ 이상으로 설정됨으로써, 인서트(1)가 중절삭에 이용되는 경우이여도, 절삭칩이 돌기(6)에 충돌할 때의 충격이 과잉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단 거리(t)가, 5.0㎜ 이하로 설정됨으로써, 절삭칩을 충분히 만곡시킬 수 있어, 절삭칩 배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주절삭날(4a)의 길이(X)가 5.2㎜이고, 상기 최단 거리(t)는, 2.3㎜로 된다. 또한 후술하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2)과 돌기(6)의 능선이 이루는 돌기 각도(α)는, 90°이상 170°이하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 각도(α)는, 대략 165°로 선택된다. 돌기 각도(α)가 90° 보다 작게 설정되면, 절삭칩이 막히기 쉽게 되고, 돌기 각도(α)가 170°보다 크면, 절삭칩이 만곡 변형되지 않고 신장된 상태로 되어 버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 각도(α)가 대략 165°로 선택됨으로써, 절삭칩이 막히는 일 없이 원활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6)의 능선과 저면이 이루는 각도(β)는, 대략 150°로 선택된다. 또한 분할 주절삭날(4a)로부터 돌기(6)의 정점까지의 거리(u)는, 3.0㎜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돌기(6)의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높이, 폭 및 분할 주절삭날로부터 돌기 선단까지의 거리의 요소가 중요하게 된다. 예컨대 각 돌기(6)의 최대폭은, 분할 주절삭날(4a)의 길이(X)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각 돌기(6) 중에서, 코너R 절삭날(7)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4a)에 대응하는 돌기(6)를 코너R 돌기(6a)라고 칭하고, 코너R 돌기(6a) 이외의 돌기(6)를 직교 돌기(6b)라고 칭한다. 각 돌기(6) 중에서 직교 돌기(6b)는,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의 대략 수직이등분선 상에 배치된다. 즉 직교 돌기(6b)는,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분을 향해 배치되고, 분할 주절삭날(4a)에 직교하는 가상 직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각 직교 돌기(6b)의 능선이,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의 수직이등분선 상에 연장된다. 또한 각 직교 돌기(6b)의 분할 주절삭날측 선단부분은, 형상이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분할 주절삭날(4a)의 수직이등분선은, 분할 주절삭날(4a)을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이등분함과 아울러, 분할 주절삭날(4a)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직선이다.
각 돌기(6) 중에서 코너R 돌기(6a)는, 코너R 절삭날(7)에 근접함에 따라서,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코너R 돌기(6a)는, 인서트 상면에서 바라봄에 있어서, 그 교차 능선부의 능선과 분할 주절삭날이 이루는 경사각도(θ)가, 90°미만으로 된다. 또한 코너R 돌기(6a)의 능선은, 인서트 상면에서 바라봄에 있어서의 분할 주절삭날(4a)과 이루는 경사각도(θ)가, 60°이상 85°이하로 설정되는 가상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각도(θ)는 65°로 설정된다.
또한 경사면(2)의 중앙부의 관통구멍(16) 둘레에 섬 형상부, 구체적으로는 환상의 융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15)는, 경사면(2)으로부터 인서트 두께방향 한쪽(A1)으로 돌출하고, 주절삭날(4)을 향함에 따라서, 폭 및 높이가 점점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융기부(15)의 높이는, 경사면(2)에 대한 융기부(15)의 인서트 두께방향(A)의 치수이다. 또한 융기부(15)의 폭은, 융기부(15)의 인서트 길이방향(B)의 치수이다. 융기부(15)는, 각 돌기(6)의 분할 주절삭날측 부분보다, 인서트 폭방향(C) 중앙부근에 형성된다. 또한 융기부는, 나사 부재(17)에 의해 인서트(1)가 홀더의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나사 부재(17)의 머리부보다 인서트 두께방향(A)으로 돌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1)에 형성되는 돌기(6) 중에서, 인서트 길이방향 중간부에 배치되는 돌기는, 융기부(15)와 일체로 형성된다. 융기부(15)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6)의 교차 능선부는, 융기부의 두께방향 한쪽 단부와 매끄럽게 연이어진다. 융기부(15)와 돌기(6)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돌기(6)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인서트(1)의 저면이 홀더에 형성되는 착좌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인서트(1)에 형성되는 관통구멍(16)과, 홀더의 장착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장착 구멍이 대략 동축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 나사가 형성되는 나사 부재(17)를 인서트(1)의 관통구멍(16)에 삽입하고, 홀더의 장착 구멍에 나선 진행시킴으로써, 인서트(1)를 홀더의 장착부에 체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인서트(1)가 홀더의 장착부에 장착된다.
홀더의 선단부에는, 홀더의 외주면 및 축선방향 끝면으로부터 몰입하는 오목개소가 형성된다. 이 오목개소는, 장착되는 인서트(1)가 수용되는 인서트 수용공간과, 피절삭재로부터 절삭되는 절삭칩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절삭칩 포켓이 형성된다. 인서트 수용공간과 절삭칩 포켓은 홀더 둘레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서트(1,21)를 이용한 회전 절삭 공구(12)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 절삭 공구(12)의 인서트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전 절삭 공구(12)의 S1-S1단면도이다. 회전 절삭 공구(12)는, 인서트(1)와, 인서트(1)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홀더(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11)는, 홀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예컨대 6개의 인서트(1)를 외주부에 장착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11)는, 둘레방향으로 복수 나열된 인서트(1)의 조합이, 홀더 축선방향으로 복수열, 예컨대 2열로 나열된다. 이와 같은 회전 절삭 공구(12)는, 1개의 인서트(1)로 한번에 절삭하는 절삭량이 큰 중절삭가공, 바꿔 말하면 황삭가공에 이용된다.
홀더(11)의 축선방향 기단부에는, 연결용 부재인 아버를 통해서 밀링머신에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축선방향 선단부에는, 인서트(1)의 주절삭날이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인서트(1)를 장착하는 장착부가 형성된다. 밀링머신은, 클램프한 피절삭재와, 유지한 회전 절삭 공구(12)를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수단과, 유지한 회전 절삭 공구(12)를 홀더(11)의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회전 절삭 공구(12)는, 홀더(11)의 축선 둘레로 회전하면서 피절삭재에 접촉함으로써, 인서트(1)의 주절삭날(4)이 피절삭재를 단속 절삭한다. 이것에 의해 피절삭재를 미리 정한 형상으로 절삭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절삭 공구(12)를 이용하여, 피절삭재에 숄더 밀링 가공, 홈가공 또는 단차가공 등을 실시할 수 있다. 회전 절삭 공구(12)는, 인서트(1)의 주절삭날(4)이 마모 또는 결손된 경우에, 그 인서트(1)를 홀더(11)에 형성되는 장착 구멍의 축선 둘레로 180도 회전시켜 부착하거나, 새로운 인서트(1)로 바꾸거나 함으로써, 절삭 능력을 회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11)의 외주 선단부에 복수의 절삭칩 포켓(13)이 형성되어 있고, 절삭칩 포켓(13)에 인접하는 인서트 수용공간에 상기 인서트(1)가 부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서트(1)는, 회전방향에 경사면(2)을 향해 최외주에 상기 주절삭날(4)이 위치하도록 장착되고, 주절삭날(4)이 홀더(11)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절삭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회전 절삭 공구(12)에 있어서, 주절삭날(4), 엄밀하게는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16)은 상기 인서트(1)의 경사면(2) 상을 외주측 으로부터 홀더(11)의 중심측, 즉 절삭칩 포켓(13) 내의 홀더 벽면(14)을 향해 흘러 온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인서트(101)를 이용한 구성에 의하면, 생성된 절삭칩(116)이 생성방향으로 그대로 진행되고, 생성방향 전방의 홀더 벽면(114)에 맞부딪침으로써 컬(curl)되기 때문에, 홀더 벽면(114)이 절삭칩(116)과의 마찰에 의해 서서히 마멸되어 온다.
이것에 대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에 있어서는, 각 분할 주절삭날(4a)에 인접하는 경사면(2) 상에 돌기(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폭이 좁게 형성된 절삭칩(8)이 돌기(6)에 닿아 작게 컬된다. 그 결과, 절삭칩(8)이 홀더 벽면(14)에 맞부딪치는 일 없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절삭칩 포켓(13) 내의 홀더 벽면(14)의 마멸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홀더(11)를 장수명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절삭칩(8)의 컬 지름이 작아짐으로써, 각 절삭칩(8)의 사이즈가 작아지므로, 절삭칩 포켓(13)으로부터 외부로의 절삭칩 배출이 부드럽게 되고, 주절삭날(4)의 절삭칩 물림에 의한 결손 등의 문제가 억제되어, 인서트(1)도 장수명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6)의 상기 주절삭날측 부분은, 각각 쌍을 이루는 상기 분할 주절삭날(4a)에 가까워짐에 따라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절삭칩(8)과 접촉하는 상기 돌기(6)의 능선부분이, 상기 분할 주절삭날(4a)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 높이가 낮아진다, 바꿔 말하면 분할 주절삭날(4a)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돌기(6)의 능선부분의 높이가 서서히 높아지므로, 돌기(6)와 절삭칩(8)의 접촉이 부드럽게 되어 절삭 저항의 증가가 억제된다. 또한 돌기(6)는, 분할 주절삭날(4a)로부터 이반됨에 따라 폭이 넓게 된다. 이와 같이 돌기(6)가 폭이 넓게 됨으로써 돌기(6)의 강도가 증가하고, 절삭칩 충돌시에 돌기(6)가 결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서트(1)를 더욱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6)는,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므로,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8)이 1개의 돌기(6)에만 충돌하여 안내되게 되고, 절삭칩(8)이 복수의 돌기(6)에 충돌하여 안내되는 경우에 비해서, 돌기(6)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6)가 절삭칩(8)에 의해 마모되거나, 절삭칩(8)의 생성방향이 조금 어긋나더라도, 대응하는 1개의 돌기(6)의 능선부분에 절삭칩(8)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분할 주절삭날(4a)과 상기 돌기(6)의 거리(t)가, 상기 분할 주절삭날(4a) 각각의 길이(X)의 대략 중앙부분에서 최단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생성된 각 절삭칩(8)의 인서트 길이방향(B)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분에서, 절삭칩(8)과 돌기(6)가 접촉하게 되고, 절삭칩(8)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컬되기 때문에, 양호한 절삭칩 배출성이 얻어진다.
또한 돌기(6) 중 1개 이상, 구체적으로는 코너R 돌기(6a) 이외의 직교 돌기(6b)의 주절삭날측 부분에 있어서의 능선과, 각각 쌍을 이루는 상기 분할 주절삭 날(4a)이, 인서트(1)의 상면에서 바라봄에 있어서 대략 직각인 관계로 있다. 코너R 돌기(6a) 이외의 직교 돌기(6b)가 향하여 배치되는 분할 주절삭날(4a)로부터 형성되는 절삭칩(8)은, 각각 분할 주절삭날(4a)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 경우, 직교 돌기(6b)가 분할 주절삭날(4a)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경사면(2) 상을 이동하는 절삭칩(8)과, 직교 돌기(6b)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절삭칩(8)의 이동의 기세를 유지하여, 절삭칩(8)을 일정한 방향으로 가장 효율 좋게 컬시킬 수 있다.
또한 인서트 길이방향(B)에 관하여, 각각 분할 주절삭날(4a)의 중간부분을, 직교 돌기(6b)가 각각 향해서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직교 돌기(6b)는, 분할 주절삭날(4a)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을 향해 배치된다.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8)은, 분할 주절삭날(4a)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절삭칩(8)의 폭방향 중앙부분에 직교 돌기(6b)가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직교 돌기(6b)는, 절삭칩(8)의 좌우의 진동을 방지하여, 분할 주절삭날(4a)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삭칩(8)을 안내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각각 생긴 복수의 절삭칩(8)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칩 포켓(13) 내에서 절삭칩(8)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할 주절삭날(4a)의 배치위치가 다른 2종류의 인서트를 홀더(11)에 장착하여 절삭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는, 분할 주절삭날(4a)의 중앙부분에 대응하는 절삭칩(8)의 단면적이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주절삭날(4a)의 중앙부분을 돌기(6)가 향해서 배치되므로, 절삭칩(8) 중에서 단면적이 커 지는 부분을, 돌기(6)에 접촉시킬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절삭칩(8)을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고, 돌기(6)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켜 절삭칩(8)을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기(6)가 각 분할 주절삭날(4a)과 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분할 주절삭날(4a)마다 1개의 돌기(6)가 각각 형성된다.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8)이 1개의 돌기(6)에만 충돌하여 안내됨으로써, 절삭칩(8)이 복수의 돌기(6)에 충돌하여 안내되는 경우에 비해, 돌기(6)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a)은, 코너R 절삭날(7)과 연이어져 있으므로,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8)은, 코너R 절삭날(7)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8)과 연이어진 원호상으로 형성되어서, 경사면(2) 상이 분할 주절삭날(4a)에 대하여 경사지게 생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너R 돌기(6a)는, 코너R 절삭날(7)을 향해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코너R 절삭날(7)에 의해 단면의 일부분이 원호상으로 형성된 절삭칩(8)을 가장 효율 좋게 또한 일정한 방향으로 컬시킬 수 있다. 또한 코너R 절삭날(7)과 그것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8)을, 코너R 돌기(6a)에 원활하게 충돌시킬 수 있고, 코너R 돌기(6a)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상면에서 바라봄에 있어서, 코너R 돌기(6a)의 능선과, 상기 분할 주절삭날(4a)이 이루는 경사각도(θ)가 60°이상 85°이하인 것이, 코너R 절삭 날(7)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8)을 보다 확실하게 작게 컬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경사각도(θ)가 60°미만이면 절삭칩(8)이 막히기 쉬워져, 돌기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각도(θ)가 85°를 초과하면 절삭칩(8)이 컬되기 어려워지므로, 홀더 벽면(14)의 마멸이 개선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삭칩(8)의 사이즈가 커져 절삭칩 배출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절삭칩(8)의 물림에 의한 절삭날의 결손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너R 돌기(6a)의 능선과 분할 주절삭날이 이루는 경사각도(θ)가 60°이상 85°이하, 구체적으로는 65°로 설정되므로, 상술한 문제가 생길 일은 없다. 따라서 코너R 돌기(6a)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켜서, 코너R 절삭날(7) 및 그것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8)을 보다 확실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면(2)의 중앙부의 관통구멍(16) 둘레에 섬 형상부, 구체적으로는 환상의 융기부(15)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돌기(6)에 의한 절삭칩(8)의 컬 작용이 불충분한 조건하에 있어서도 절삭칩(8)이 확실하게 컬되게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1)를 홀더(11)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클램프용 나사 부재(17)의 머리부가 환상의 융기부(15)에 숨겨진다, 즉 환상의 융기부(15)보다 나사 부재(17)의 머리부가 낮은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절삭칩(8)의 충돌에 의한 나사 부재(17)의 머리부의 마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홈부(5)는, 인서트 두께방향 다른쪽(A2)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므로, 피절삭재에 생기는 절삭 찌꺼기 부분이, 홈부(5)의 벽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홈부(5)에 의해 생 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폭이 좁게 형성된 절삭칩(8)이 경사면(2) 상에 형성되는 돌기(6a,6b)에 접촉함으로써, 절삭칩(8)은 만곡 변형하여 곡률반경이 작아지고, 절삭칩(8)은, 홀더(11)에 형성되는 홀더 벽면(14)에 접촉하기 전에 파단되고, 절삭칩 포켓(13)의 외방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절삭칩(8)이, 홀더 벽면(14)에 충돌하여 홀더 벽면(14)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11)의 강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절삭재의 가공 정밀도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11)를 수명 연장하여 장기에 걸쳐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비용대비성능이 높은 인서트(1) 및 인서트(1)가 장착되는 회전 절삭 공구(12)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절삭칩(8)이 돌기(6)에 접촉하여, 그 곡률반경이 작아짐으로써, 절삭칩(8)의 사이즈가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절삭칩 포켓(13)으로부터 홀더 외방으로, 절삭칩(8)이 원활하게 이동되어, 절삭칩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삭칩 포켓(13)에 있어서의 절삭칩의 막힘, 절삭칩(8)의 막힘 등의 문제가 억제된다. 또한 돌기(6)에 충돌하는 절삭칩(8)은,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이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6)와 절삭칩(8)이 충돌한 경우에 돌기(6)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절삭가공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중절삭을 행하더라도 돌기(6)가 결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의 인서트를 이용함으로써, 절삭칩 배출량, 즉 1분 사이에 절삭할 수 있는 피절삭재의 체적으로서 1000㏄/min을 실현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2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9는, 인서트(2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는, 주절삭날(4)을 4개의 홈부(5)로 분단하여 5개의 분할 주절삭날(4a)로 구성된 인서트(1)를 예시했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절삭날(4)이, 3개의 홈부(5)로 분단되어 4개의 분할 주절삭날(4a)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서트는, 홈부(5)의 수 및 각 홈부(5)의 배치가 제1실시형태와 다른 인서트도 당연히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와 같은 주절삭날(4)에 홈부(5)을 구비한 인서트(1,21)에서는, 홈부(5)에서는 절삭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단일 종류의 인서트만을 홀더(11)에 복수 장착한 경우에는, 피절삭재의 가공 벽면에는 띠형상의 절삭 찌꺼기부가 발생되어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제1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제1인서트(1)와, 제2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제2인서트(21)의, 홈부(5)의 배치가 서로 다른 인서트(1,21)를 홀더(11)의 동일 원주 상에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제1인서트(1)의 홈부(5)에 의한 절삭 찌꺼기를, 제2인서트(21)의 분할 주절삭날(4a)이 절삭하므로, 결과적으로 홈부(5)에 의한 절삭 찌꺼기가 방지되고, 절삭 후의 피절삭재의 가공 벽면에 생기는 단차를 억제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회전 절삭 공구(12)는,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와,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가,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이 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서 나타낸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와 다른 점은,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의 홈부(5)에서 생긴 절삭 찌꺼기를 깎아내기 위해,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와는 다른 위치에 홈부가 배치된다.
또한 분할 주절삭날(4a,4b,4c)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각 분할 주절삭날(4a~4c)의 길이에 따라, 각 분할 주절삭날(4a~4c)에 대응하는 돌기(6)의 수가 증가하도록, 돌기(6)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에서 생긴 절삭 찌꺼기를 깎기 내기 위해 형성되는 긴 분할 주절삭날(4b,4c)에 의해 폭이 넓은 절삭칩이 형성되어도 확실하게 컬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는,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4a~4c) 중, 길이가 긴 분할 주절삭날(4b,4c)과, 길이가 짧은 분할 주절삭날(4a)이 존재한다. 길이가 짧은 분할 주절삭날(4a)에 대응하는 돌기(6b)의 수에 비해서, 길이가 긴 분할 주절삭날(4b,4c)에 대응하는 돌기(6c,6d;6e,6f)의 수가 증가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분할 주절삭날(4a~4c)에 대응하는 돌기의 수는, 분할 주절삭날(4a~4c)의 길이에 따라 증가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길이가 긴 분할 주절삭날(4b,4c)에 의해 형성되는 폭이 넓은 절삭칩(8)을 보다 확실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길이가 긴 분할 주절삭날(4b,4c)에 대응하는 돌기(6c,6d;6e,6f)가, 폭이 넓은 절삭칩(8)의 충돌에 의해 결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2)으로부터 인서트 두께방향(A)으로 돌출하는 복 수의 돌기(6b~6f)가 형성된다. 각 돌기(6b~6f)는,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4c)에 대응하여 1개 이상 형성되고,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4c)을 각각 향해서 배치된다. 또한 돌기(6) 중 분할 주절삭날측 부분은, 인서트 폭방향(B)을 향해서,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4c)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기(6) 중 분할 주절삭날측 부분은, 인서트 길이방향(B) 한쪽에 노출되는 한쪽 돌기 측면과, 인서트 길이방향(B) 다른쪽에 노출되는 다른쪽 돌기 측면을 갖는다. 2개의 돌기 측면은, 서로 대향하고, 인서트 두께방향 한쪽(A1)을 향함에 따라서, 인서트 길이방향(B)의 간격이 점점 감소한다. 또한 2개의 돌기 측면은, 인서트 두께방향 일방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교차 능선부가 형성된다. 2개의 돌기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6)의 교차 능선부는,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4c)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경사면(2)과의 인서트 두께방향(A)의 거리가 점점 감소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주절삭날(4a~4c)과 돌기(6) 사이의 인서트 폭방향의 거리(t)는, 분할 주절삭날(4a)의 대략 인서트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최단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돌기(6b~6f)의 최대폭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4c)의 인서트 길이방향(B) 치수보다 작게 형성된다.
코너R 절삭날(7)에 연속해 있는 제1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과, 코너R 절삭날(7)과 반대측으로 되는 제2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c)이, 나머지의 분할 주절삭날(4a)에 비해서 인서트 길이방향 치수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4c)에 대응하여, 돌기(6c,6d;6e,6f)가 각각 2개 배치된다. 따라서 각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4c)에는, 2개의 돌기(6c,6d;6e,6f)가 각각 향해서 배치된다.
제1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6c,6d) 중, 코너R 절삭날(7)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를 제1돌기(6d)라고 칭하고, 제1돌기(6d) 이외의 돌기를 제2돌기(6c)라고 칭한다. 제1돌기(6d)는, 코너R 절삭날(7)에 근접함에 따라서,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인서트 상면에서 바라봄에 있어서, 제1돌기(6d)는, 그 교차 능선부의 능선과 분할 주절삭날(4b)이 이루는 경사각도(θ)가, 90도 미만으로 된다. 이 경사각도(θ)는, 60°이상 85°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각도(θ)는, 65°로 설정된다. 또한 제2돌기(6c)의 능선은, 제1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1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6c,6d)의 인서트 폭방향(C)의 선단부는, 제1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의 수직이등분선에 관해서 대략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2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c)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6)를 제3돌기(6f,6e)라고 칭한다. 제3돌기(6f,6e)는, 각각 제2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c)을 각각 향해서 배치되고, 그 능선은, 제2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c)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2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c)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6e,6f)의 인서트 폭방향(C)의 선단부는, 제2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c)의 수직이등분선에 관해서 대략 대칭으 로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각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4c)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4a)에 대응하는 돌기(6)를 제4돌기(6b)라고 칭한다. 제4돌기(6b)는,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의 인서트 길이방향 중앙부를 각각 향해서 배치되고, 그 능선은,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다. 즉 제4돌기(6b)는,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의 수직이등분선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배치된다.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하는 제1돌기(6d)가, 제1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에 대하여 경사진다. 이것에 의해, 코너R 절삭날(7)에 연속하는 제1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 및 코너R 절삭날(7)에 의해 생성되는, 단면이 직선상 부분과 원호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폭이 넓은 절삭칩(8)을, 원호상 부분을 상기 제1돌기(6d)에 의해, 직선상 부분을 제1돌기(6d) 이외의 제2돌기(6c)에 의해, 가장 효율 좋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절삭날(4)의 양단 중, 코너R 절삭날(7)과는 반대측의 제2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c)에 대응하는 돌기(6e,6f)도 2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코너R 절삭날(7)과 반대측의 코너부는 절삭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제2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c)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 단면은, 대략 직선상으로 되어 어느 부분도 원호상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2코너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3돌기(6e,6f)는, 분할 주절삭날측 부분의 능선과 제2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c)이 대략 직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생성되는 폭이 넓은 절삭칩(8)을 좌우로 흔드는 일 없이 일정 방향으로 보다 확실하게 컬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여 1개 이상의 돌기(6)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1 또는 복수의 돌기(6b~6f)에 절삭칩(8)을 접촉시켜서, 절삭칩(8)을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돌기(6)에 절삭칩(8)을 접촉시켜서, 절삭칩(8)을 만곡 변형시킴으로써, 절삭칩(8)의 단면적이 큰 경우 및 절삭칩(8)의 강성이 높은 경우이여도, 절삭칩(8)으로부터 주어지는 충격력을 복수의 돌기(6)로 분담할 수 있고, 돌기(8)가 결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칩(8)을 충분히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 중, 긴 분할 주절삭날과, 짧은 분할 주절삭날이 존재하는 경우, 짧은 분할 주절삭날(4a)에 대응하는 돌기(6b)의 수에 비해서, 긴 분할 주절삭날(4b,4c)에 대응하는 돌기(6c,6d;6e,6f)의 수를 늘림으로써, 긴 분할 주절삭날(4b,4c)에 의해 형성되는 폭이 넓은 절삭칩을 보다 확실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긴 분할 주절삭날(4b,4c)에 대응하는 돌기(6c,6d;6e,6f)가, 폭이 넓은 절삭칩(8)의 충돌에 의해 결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짧은 분할 주절삭날(4a)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돌기(6)의 수가 원하지 않게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고, 돌기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코너R 절삭날(7)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4a,4c)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4c)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너R 절삭날(7)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4a,4c)과 대응하는 각 돌기(6b,6e,6f)가,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4c)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분할 주절 삭날(4a,4c)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절삭칩에 대하여, 돌기(6b,6e,6f)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각 돌기(6b,6e,6f)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4a,4c)의 인서트 길이방향 중간부를 향해 배치됨으로써, 절삭칩의 좌우의 진동을 방지하여, 절삭칩을 분할 주절삭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복수의 절삭칩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포켓 내에서 절삭칩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너R 절삭날(7)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은, 코너R 절삭날(7)과 연이어져 있으므로, 코너R 절삭날(7)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은, 코너R 절삭날(7)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과 연이어진 원호상으로 형성되어서, 경사면(2) 상을 분할 주절삭날(4a)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너R 절삭날(7)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6c,6d) 중에서, 코너R 절삭날(7)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제1돌기(6d)가 코너R 절삭날(7)을 향해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므로, 코너R 절삭날(7)과 그것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4b)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을, 제1돌기(6d)에 원활하게 충돌시킬 수 있고, 제1돌기(6d)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코너R 절삭날(7)과 그것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4b)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에 대하여, 원활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코너R 절삭날(7)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과 이루는 경사각도(θ)가, 60°이상 85°이하인 가상 직선을 따라, 제1돌기(6d)가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돌기(6d)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코너R 절삭날(7)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을 보다 확실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사각도(θ)가, 60°미만이면 절삭칩이 막히기 쉬워져, 제1돌기(6d)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각도(θ)가 85°를 초과하면 절삭칩이 만곡 변형되기 어려워지므로, 홀더 벽면(14)의 마멸이 개선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삭칩의 사이즈가 커져서 절삭칩 배출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절삭칩의 물림에 의한 절삭날의 결손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각도(θ)가 60°미만이면, 코너R 절삭날(7)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4b)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 부분이 제1돌기(6d)에 충돌한 경우에 생기는 절삭 저항이 과잉으로 된다. 또한 경사각도가 85°를 초과하면, 코너R 절삭날(7)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 부분이 제1돌기(6d)에 충돌한 경우에 생기는 절삭 저항이 과잉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각도(θ)가 60°이상 85°이하로 설정되므로, 상술한 문제가 생기는 일 없이, 코너R 절삭날(7)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을 보다 확실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분할 주절삭날(4a~4c)의 길이에 따라, 분할 주절삭날(4a~4c)에 대응하는 돌기(6)의 수가 증가해도 된다. 예컨대 길이가 다른 분할 주절삭날이 형성되는 경우, 길이가 긴 분할 주절삭날(4b,4c)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돌기(6)의 수는, 길이가 짧은 분할 주절삭날(4a)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돌기(6)의 수에 비해서 많게 설정된다. 길이가 긴 분할 주절삭날(4b,4c)에 의해 형성되는 강성이 높은 절삭칩은, 복수의 돌기(6c,6d;6e,6f)에 충돌한다. 이것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의 강성에 따라, 1 또는 복수의 돌기(6)는, 절삭칩으로부터 주어지는 힘을 분담할 수 있어, 각 돌기가 결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할 주절삭날(4a~4c)의 길이가 미리 정하는 설정 범위를 초과할 때마다, 대응하는 돌기(6)의 수를 증가시켜도 된다. 단, 분할 주절삭날(4a~4c)에 대응하는 돌기(6)의 수가 과잉으로 하면, 돌기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이 증가하거나, 절삭칩이 돌기에 막히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분할 주절삭날(4a~4c)에 대응하는 돌기(6)의 수가 부족하면, 돌기(6)의 크기에 따라서는 결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상기 주절삭날(4)의 양단을 각각 갖는 2개의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4b,4c)에 대응하는 돌기(6c,6d;6e,6f)의 수만이, 복수인 구성을 가지지만,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상기 분할 주절삭날의 길이에 따라, 인서트의 어느 위치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돌기의 수가 복수이여도 상관없다.
(제3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3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11은, 인서트(31)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각 분할 주절삭날(4a)은, 인서트 두께방향(A)에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각 분할 주절삭날(4a)은, 코너R 절삭날(7)에 근접하는 길이방향 한쪽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인서트 두께방향(A)에 관하여 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분할 주절삭날(4a)은, 미리 정하는 1가상직선 상을 따라 각각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절삭날(4)이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분단된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4a)로 구성되므로, 형성되는 절삭칩의 폭방향 치수가 작게 분단된다. 또한 인서트 전체의 길이방향 치수에 비해서, 주절삭날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절삭시의 절삭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인서트(1)의 저면에 대하여 각 분할 주절삭날(4a)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인서트(1)가 장착되는 회전 절삭 공구(12)에 포지티브 방향의 액셜 레이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절삭재로의 물림성을 더욱 향상시켜, 피절삭재로부터 주어지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절삭가공을 행하여도, 절삭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여, 가공중에 있어서의 채터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돌기(6)가 형성되므로, 돌기(6)에 절삭칩이 접촉함으로써, 돌기(6)를 만곡 변형시켜서 작은 사이즈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삭칩이 홀더 벽면(14)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절삭칩 포켓(13)으로부터 절삭칩이 탈출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절삭칩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주절삭날(4a)이 경사짐으로써, 분할 주절삭날(4a)로부터 배출되는 절삭칩이 홀더 기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절삭칩이 절삭칩 포켓으로부터 탈출하기 쉽게 할 수 있고, 절삭칩 배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돌기(6)의 능선은, 절삭칩의 배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절삭칩을 원활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1)의 저면에 대하여 분할 주절삭날(4a)을 경사지게 하여, 액셜 레이크를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서, 홀더(11)에 형성되는 착 좌면을, 홀더 축선에 대하여 홀더 둘레방향으로 크게 경사지게 할 필요가 없고, 홀더(11)의 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홀더(11)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홀더(11)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피절삭재로의 물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절삭재로부터 주어지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번에 절삭하는 절삭량이 더욱 커지는 중절삭가공을 행하여도, 절삭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여, 가공중에 있어서의 채터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분할 주절삭날(4a)은, 미리 정하는 1가상직선(L3) 상에 각각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나열되는 2개의 분할 주절삭날(4a) 중, 길이방향 한쪽의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절삭된 절삭칩이, 길이방향 다른쪽의 분할 주절삭날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배출되는 절삭칩이, 홀더 기단부를 향해 기세 좋게 이동하기 쉬워져, 절삭칩 배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인서트(31)의 변형예의 인서트(31a)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다. 이 인서트(31a)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제3실시형태의 인서트(31)와 유사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의 인서트(31a)는, 인서트 폭방향(C)으로부터 측면 끝면을 바라본 경우에는, 각 분할 주절삭날(4a)을 형성하는 분할 주절삭날 형성부분(8)과, 분할 주절삭날(4a)의 사이가 되는 절삭날 사이부분(9)이 형성된다. 분할 주절삭날 형성부분(8)의 인서트 두께방향 한쪽(A1)의 가장자리 변으로 되는 각 분할 주절삭날(4a)은, 각각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분할 주절삭날(4a)의 길이방향 일방측 단부와 저면의 두께방향 치수(T1)는, 각각 일정하게 형성된다. 또한 절삭날 사이부분(9)의 인서트 두께방향 한쪽(A1)의 가장자리 변은, 코너R 절삭날(7)로부터 이반되는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저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인서트 두께방향(A)으로 경사진다. 이러한 변형예의 인서트(31a)는, 상술한 인서트(1)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분할 주절삭날 형성부분(8)의 두께방향 두께를 크게 할 수 있고, 주절삭날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삭날 사이부분(9)과, 그 절삭날 사이부분(9)보다 코너R 절삭날(7)로부터 이반되는 길이방향측의 절삭날 형성부분의 단차를 크게 할 수 있고, 이 단차부분이 절삭칩을 세분화하는 인서트 브레이커로서 작용하여, 절삭칩을 세분화할 수 있고, 절삭칩 배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인서트(31)의 다른 변형예의 인서트(31b)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다. 이 인서트(31b)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제3실시형태의 인서트(31)와 유사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변형예의 인서트(31b)는, 인서트 폭방향(C)으로부터 측면 끝면을 바라본 경우에는, 각 분할 주절삭날(4a)을 형성하는 분할 주절삭날 형성부분(8)과, 분할 주절삭날(4a)의 사이로 되는 절삭날 사이부분(9)이 형성된다. 분할 주절삭날 형성부분(8)의 인서트 두께방향 한쪽(A1)의 가장자리 변으로 되는 각 분할 주절삭날(4a)은, 각각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분할 주절삭 날(4a)의 길이방향 일방측 단부와 저면의 인서트 두께방향(A) 치수(T1)는, 각각 일정하게 형성된다. 또한 절삭날 사이부분(9)의 인서트 두께방향 한쪽(A1)의 가장자리 변은, 코너R 절삭날(7)로부터 이반되는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저면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두께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러한 변형예의 인서트(31b)는, 상술한 인서트(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분할 주절삭날 형성부분(8)의 두께방향 두께를 크게 할 수 있어, 주절삭날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삭날 사이부분(9)과, 그 절삭날 사이부분(9)보다 코너R 절삭날(7)로부터 이반되는 길이방향측의 절삭날 형성부분(8)의 단차를 작게 할 수 있어, 주절삭날의 결손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삭칩이 단차를 타고넘음으로써, 작게 만곡 변형되고, 절삭칩의 사이즈를 작게 하여, 절삭칩 포켓(13)으로부터 탈출하는 절삭칩의 절삭칩 배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4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4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15는, 인서트(41)의 장변측 측면도이다. 이 인서트(41)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와 유사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는, 1 또는 복수의 홈부(5)에 의해 경사면(2)의 일부가 절제됨으로써,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4a)이 형성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4실시형태의 인서트(41)에서는, 주절삭날(4)은,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4a)로 구성되고, 각 분할 주절삭날(4a)은, 인서트 두 께방향(A)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이렇게 각 분할 주절삭날(4a)에 두께방향(A)으로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4a)이 연속해 있는 일이 없고, 분할 주절삭날(4a)마다 절삭칩이 생성된다. 따라서 폭이 좁은 절삭칩이 발생하게 되어,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인서트(1)와 마찬가지로, 경사면(2)으로부터 돌출하고, 각 분할 주절삭날(4a)에 각각 대응하는 돌기(6)가 형성된다. 돌기(6)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해서는, 상술하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각 분할 주절삭날(4a)에 대응하여, 돌기(6)가 형성됨으로써, 분할 주절삭날(4a)에 의해 발생한 폭이 좁은 절삭칩을 돌기(6)에 의해 각각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삭칩이 홀더 벽면(13)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삭칩의 곡률반경을 작게 함으로써, 절삭칩 포켓(13)으로부터 절삭칩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절삭칩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분할 주절삭날(4a)은, 코너R 절삭날(7)에 근접함에 따라 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분할 주절삭날(4a)과 저면이 평행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4a) 중, 일부의 경사가 다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저면에 대하여 분할 주절삭날(4a)이 경사지는 경우에는, 분할 주절삭날(4a)로부터 이동하는 절삭칩의 생성방향을 따라 돌기(6)의 능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제3실시형태의 인서트(31) 및 제4실시형태의 인서트(41)이여도, 홀더(11)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분할 주절삭날의 위치가 다르도록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홈부(5)에 의한 절삭 찌꺼기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분할 절삭날의 길이에 따라, 돌기(6)의 수 및 돌기(6)의 배치가 각각 선택되어도 된다.
(제5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5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17은, 인서트(5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8은, 인서트(51)를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고, 도 19는, 인서트(51)를 나타내는 단변측 측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51)는, 대략 다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를 갖고, 본체부 하면에 저면(52)을, 상면에 경사면(53)을, 측면에 여유면(5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경사면(53)과 여유면(54)의 교차 능선부에 주절삭날(5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여유면(54)에는, 그 양단이 경사면(53) 및 저면(52)에 도달하는 주홈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주절삭날(55)은, 각각 주홈부(56)에 의해 분단된 복수의 제1분할 주절삭날(55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유면(54)은, 각각 주홈부(56)에 의해 분단된 복수의 분할 여유면(54A)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분할 여유면(54A) 상에는, 부홈부(57)가, 그 일단이 경사면(53)에 도달하도록 하여 상기 주홈부(56)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분할 주절삭날(55a)은, 부홈부(57)의 그 일단에 의해 분단된 복수의 제2분할 주절삭날(55a)로 구성된다.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는,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과 유사한 구성을 갖고,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는,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에 형성되는 돌기를 갖고 있지 않은 점과,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홈부(57) 를 갖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의 주홈부(56)는, 도 8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에 형성되는 홈부(5)에 대응하고,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 중,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21)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홈부(57)의 구성에 관련해서 설명한다.
도 16~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는, 주홈부(56)와, 주홈부(56)보다 작게 형성되는 부홈부(57)를 갖는다. 주홈부(56)는, 인서트(51)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폭방향 끝면으로부터 인서트 폭방향(C)으로 몰입하여, 인서트 두께방향(A)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주홈부(56)는, 인서트(51)의 경사면(53)으로부터 저면(52)에 걸쳐 형성되고, 저면(52)에 가까워짐에 따라 인서트 길이방향(B) 양쪽으로 넓혀진다. 바꿔 말하면, 주홈부(56)는, 경사면(53)으로부터 저면(52)까지 도달한다.
주절삭날(55) 및 여유면(54)은, 주홈부(56)에 의해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분단된다. 따라서 주절삭날(55)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제1분할 주절삭날(55a)을 갖는다. 또한, 여유면(54)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분할 여유면(54A)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51)에는,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나열되는 3개의 주홈부(56)가 형성되므로, 주절삭날(55)은, 4개의 제1분할 주절삭날(55a)을 갖고, 여유면(54)은, 4개의 분할 여유면(54A)을 갖는다. 각 주홈부(56)의 형상은 각각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나열된다. 주홈 부(56)는, 절삭날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상, 배치 및 개수가 선택된다.
또한 부홈부(57)는, 인서트(51)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폭방향 끝면으로부터 인서트 폭방향(C)으로 몰입하여, 인서트 두께방향(A)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부홈부(57)는, 인서트(51)의 경사면(53)으로부터 인서트 두께방향(A)으로 연장된다. 또한 부홈부(57)는, 주홈부(56)에 비해서 인서트(51)에 몰입하는 몰입량, 즉 깊이가 작게 형성된다.
또한 주홈부(56) 및 부홈부(57)의 인서트 폭방향(C)의 치수는, 적어도, 미리 설정되는 회전 절삭 공구(12)의 1칼날당 최대이송량보다 크게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홈부(56)의 인서트 폭방향(C)의 치수는, 절삭 저항의 저하가 임계로 되는 치수로 설정되고, 부홈부(57)의 인서트 폭방향(C)의 치수는, 예상되는 이송량의 최대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주홈부(56)의 인서트 길이방향, 인서트 폭방향 및 인서트 두께방향 치수는, 인서트(1)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치수로 각각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51)에는, 여유각이 설정된다. 여유면(54)은, 경사면(53)으로부터 저면(52)을 향해 인서트 두께방향(A)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안쪽을 향해 인서트 폭방향(C)으로 몰입한다. 부홈부(57)의 바닥 부분은, 여유면(54) 중에서 저면(52)에 교차하는 부분보다, 인서트 폭방향(C)으로 돌출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부홈부(57)는, 인서트(51)의 폭방향 단부 중, 저면(52) 부근의 부분을 제외한 경사면(53) 부근의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부홈부(57)의 인서트 폭 방향 벽면은, 인서트 두께방향(A)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각 부홈부(57)는, 주홈부(56)에 비해서, 깊이, 폭 및 길이 중 적어도 1개가 작게 형성된다. 즉, 각 부홈부(57)의 깊이 및 폭이 작아도, 깊이만, 폭만이 주홈부(56)의 것보다 작아도 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부홈부(57)는, 각 주홈부(56)에 비해서, 깊이, 폭 및 길이가 각각 작게 형성된다. 부홈부(57)는, 인서트 길이방향(B)으로 인접하는 2개의 주홈부(56)의 사이와, 주홈부(56)와 인서트 길이방향 끝면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즉 각 부홈부(57)는, 주홈부(56)에 의해 분할된 제1분할 주절삭날(55a)을 복수로 분할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절삭날(55)은, 인서트 길이방향 치수가 긴 제1분할 주절삭날과, 인서트 길이방향 치수가 짧은 제1분할 주절삭날을 갖는다. 긴 제1분할 주절삭날은, 2개의 부홈부(57)에 의해 3개의 제2분할 주절삭날로 분할된다. 또한 짧은 제1분할 주절삭날은, 1개의 부홈부(57)에 의해 2개의 분할 주절삭날로 분할된다. 이것에 의해 제2분할 주절삭날은, 제1분할 주절삭날의 길이에 상관없이, 짧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부홈부(57)는, 제1분할 주절삭날을 2등분 또는 3등분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절삭날(55)을 포함하는 여유면(54)을 분단하는 주홈부(56)는, 절삭날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더나은 절삭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주홈부(56)에 비해서 작은 부홈부(57)에 의해 제1분할 주절삭날(55a)을 복수의 제2분할 주절삭날(55a)로 더욱 분 할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절삭날이 형성되는 절삭날부의 강도 저하를 억제하여,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커팅량이 큰 중절삭가공 등에 있어서도, 인서트(51)에 결손이 생기는 일 없이 채터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새롭게 배치한 부홈부(57)와 주홈부(56)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의 구성요소로서 폭(W), 깊이(D), 길이(L)의 3개의 치수가 중요하게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홈부(56,57)의 폭(W1,W2)은, 인서트 길이방향(B)의 치수이고, 경사면(53)과 각 홈부(56,57)의 벽면의 교차 능선부와, 주절삭날(5)의 가상 직선의 2개의 교점간의 거리이다. 바꿔 말하면, 홈부(56,57)에 있어서의 인서트 길이방향 양 벽면의 사이의 인서트 길이방향 치수이다.
또한 각 홈부(56,57)의 깊이(D1,D2)는, 인서트 폭방향(C)의 치수이며, 주절삭날(55)의 가상 직선으로부터 각 홈부의 상기 교차 능선부까지의 인서트 폭방향(C)으로 최장의 거리이다. 바꿔 말하면, 경사면(53) 근방의 여유면(54)으로부터, 홈부(56,57)에 있어서의 인서트 폭방향 벽면까지의 인서트 폭방향(C) 치수이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홈부(56,57)의 길이(L1,L2)는, 인서트 두께방향(A)의 치수이며, 인서트(51)의 저면(52)을 평탄면에 정치(靜置)했을 때의, 경사면(53)에 도달하는 각 홈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인서트 두께방향(A)의 최단의 거리이다.
여기서, 특히 부홈부(57)의 폭(W2)에 있어서, 주홈부(56)의 폭(W1)의 1/6 이 상 5/6 이하인 것이, 절삭 저항의 저감과 절삭날 강도의 유지를 균형 좋게 양립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부홈부(57)의 폭(W2)이, 주홈부(56)의 폭(W1)의 1/6보다 작으면 절삭 저항의 저감 효과가 불충분하고, 주홈부(56)의 폭(W1)의 5/6보다 크면 절삭날부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이, 제2분할 주절삭날(55a)의 절삭날 길이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삭날의 치핑, 결손, 파손 등의 방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특히 부홈부(57)의 깊이(D2)에 있어서, 주홈부(56)의 깊이(D1)의 1/6 이상 5/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홈부(57)의 깊이(D2)가, 주홈부(56)의 깊이(D1)의 1/6보다 작으면, 중절삭가공시의 이송량보다 부홈부(57)의 깊이(D2)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절삭칩이 분할되지 않고 절삭 저항의 저감이 충분하게 되지 않는다. 또한, 절삭칩이 분할되지 않을 경우에는, 절삭칩이 부홈부(57)의 홈벽면에 접촉해 버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절삭 저항이 증대되기 쉬워진다. 부홈부(57)의 깊이(D2)가, 주홈부(56)의 깊이(D1)의 5/6보다 크면, 절삭날부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됨과 아울러, 인서트 본체부의 강도도 저하해 버린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홈부(56)의 길이(L1)는 인서트(1)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지만, 부홈부(57)의 길이(L2)는, 그 인서트(51)의 두께 치수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홈부(57)의 타단은 분할 여유면(54A)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타단이 저면(52)까지 도달하는 주홈부(56)의 수를 단순하게 증가시킨 경우에 비해서, 절삭날 강도의 저하, 또한, 인서트 본체부의 강도한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홈부(56)의 폭(W1)은 1.6㎜이고, 주홈부(56)의 깊이(D1)는 1.2㎜이고, 주홈부(56)의 길이(L1)는 6.4㎜로 설정된다. 또한 부홈부(57)의 폭(W2)은 0.6㎜이고, 부홈부(57)의 깊이(D2)는 0.4㎜이고, 부홈부(57)의 길이(L2)는 2.4㎜로 설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인서트의 절삭 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행한 실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A~20D는, 본 실험에 이용한 각종 인서트의 절삭날 형상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와, 비교예의 인서트(151A,151B,151C) 각각의 평면도이다.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는,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주홈부(56)와 4개의 부홈부(57)를 갖는다. 이에 대하여 제1비교예의 인서트(151A)는,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주홈부(56)를 갖는다. 또한 제2비교예의 인서트(151B)는, 도 2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7개의 주홈부(56)를 갖는다. 또한 제3비교예의 인서트(151C)는, 도 2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7개의 부홈부(57)를 갖는다. 각각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 제1~제3비교예의 인서트(151A,151B,151C)에 있어서의, 주홈부(56)와 부홈부(57)의 크기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1비교예의 인서트(151A)는, 3개의 주홈부(56)에 의해 대략 4분할된 분할 주절삭날을 갖는다. 또한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는, 제1비교예의 인서트(151A)에 추가로 부홈부(57)가 형성된 것이고, 주홈부(56)에 의해 분할된 분할 주절삭날이, 각 부홈부(57)에 의해 추가로 각각 2분할된다. 또한 제2비교예의 인서트(151B)는, 7개의 주홈부(56)에 의해 대략 8등분된 분할 주절삭날을 갖고, 제3비교예의 인 서트(151C)는, 7개의 부홈부(57)에 의해 대략 8등분된 분할 주절삭날을 갖는다.
제1비교예 (표준 닉) 제5실시예 (W 닉) 제2비교예 (많은 닉(대)) 제3비교예 (많은 닉(소))
절삭 저항 3528N 2964N 2540N 3281N
제1비교예에 대한 절삭 저항비 100% 84% 72% 93%
절삭날 강도 (한계이송: ㎜/칼날) 0.7 0.65 0.35 0.65
제1비교예에 대한 절삭날 강도비 100% 93% 50% 93%
마무리면 큰 요철 요철 적음 요철 적음 비교적 큰 요철
그리고, 각 인서트의 절삭 저항과, 절삭날 강도와, 마무리면의 상태를 각각 비교하기 위하여, 절삭속도(V)를 200m/min으로 하고, 피절삭재로서 JIS로 규정되는 SS400을 이용하여, 건식에서 절삭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홀더 축선방향의 커팅량을 15㎜, 홀더 반경방향의 커팅량을 5㎜로 하고, 절삭 저항 및 마무리면 측정시에는, 인서트 1칼날당 이송량(f)을 0.2㎜/칼날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또한 절삭 저항은, 상술의 절삭 조건하에서, 키스라사 제작, 절삭저항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주분력을 절삭 저항으로서 표기했다. 또한 절삭날 강도는, 인서트에 가해지는 부하가 서서히 커지도록 이송량을 올려 가고, 최종적으로 인서트가 결손될 때까지 시험을 행하고, 인서트가 결손된 한계 이송을 표기했다. 구체적으로는, 인서트 1칼날당 이송량을 증가시켜 가고, 인서트의 주절삭날이 결손되었을 때의 이송량으로 표시하였다.
절삭 저항은, 인서트와 피절삭재의 접촉면, 즉 인서트에 설치되는 각 분할 주절삭날의 길이의 합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각 홈부(56,57)가 많을수록, 절삭 저항이 저감된다. 제1비교예의 인서트(151A)에 비해서, 부홈부(57)가 형성되는 분만큼 홈부가 많은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의 절삭 저항이 낮다. 또한 제3비교예의 인서트(151C)와 같이, 부홈부(57)만을 늘려도, 주홈부(56)를 늘리는 경우에 비해서 절삭 저항의 저하 비율이 작다. 이것은, 인서트에 설치되는 각 분할 주절삭날의 길이의 합계가 긴 것에 따를 뿐만 아니라, 부홈부(57)는, 깊이(D) 및 폭(W)이 작으므로, 절삭 찌꺼기 부분이 부홈부(57)의 벽면에 접촉하기 쉽고, 이것에 의해 절삭 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없다. 또한 주홈부(56)도 부홈부(57)도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절삭 저항은, 대략 5000N으로 된다.
또한 절삭날 강도는, 분할 주절삭날의 길이에 비례하여 높게 된다. 바꿔 말하면, 각 분할 주절삭날이 짧아짐에 따라서 절삭날 강도가 저하한다. 따라서 제1비교예의 인서트(151A)에 비해서 주홈부(56)를 늘린 제2비교예의 인서트(151B)쪽이, 절삭날 강도가 낮아진다. 이것에 대하여, 제5실시예의 인서트(51)는, 주홈부(56)보다 작은 부홈부(57)를 형성함으로써, 제2비교예의 인서트(151B)에 비해서, 제1비교예의 인서트(151A)에 대한 절삭날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홈부(57)의 깊이(D2)가, 1칼날당 홀더 커팅량(f)보다 작은(f>D2) 경우에는, 부홈부(57)의 인서트 길이방향 양 벽면 외에, 인서트 폭방향 벽면과도, 절삭 찌꺼기 부분이 접촉하기 쉽다. 이 경우, 피절삭재와 인서트의 접촉면이 더욱 증가하여, 그 만큼 절삭 저항이 증대하고, 절삭날의 결손이 생기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절삭날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는, 부홈부(57)의 깊이(D2)가, 인서트 1칼날당 예상되는 이송량의 최대값(fmax)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부홈부(57)에 기인하는 절삭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고, 절삭날 강도의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상되는 이송량의 최대값(fmax)은, 0.3㎜/칼날로 설정된다.
또한 절삭후의 피절삭재의 마무리면에 생기는 오목부와 볼록부의 차는, 절삭 저항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비교예의 인서트(151A)보다 절삭 저항이 낮으므로,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쪽이, 제1비교예의 인서트(151A)에 비해서 마무리면의 요철 차를 적게 하여, 마무리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다 절삭 조건이 엄격한 중절삭가공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1비교예의 인서트(151A)에 비해서, 주홈부(56)의 수를 늘리면, 절삭 저항은 저하하지만, 절삭날 강도가 절반정도까지 저하되므로, 중절삭가공에서의 사용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3비교예의 인서트(151C)와 같이 부홈부(57)만을 복수 배치한 경우에는, 절삭날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는 있지만, 절삭 저항이 충분히 저하되지 않고, 최종적으로 중절삭가공에서의 사용이 곤란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5실시예의 인서트(51)와 같이, 제1비교예의 인서트(151A)에, 주홈부(56)보다 작은 부홈부(57)를 부설함으로써, 절삭 저항을 저하시키면서, 절삭날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5실시예의 인서트(51)를 이용하여, 절삭 조건이 엄격한 중절삭가공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홈부(57)의 타단은 저면(52)에 도달하지 않은 형태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유면(54)의 여유각이나 인서트 본체부의 두께, 부홈부(57)의 폭(W2), 깊이(D2)의 균형에 의해 인서트 본체부의 강도가 충분하게 유지가능한 경우에 있어서는, 부홈부(57)의 타단은 저면(52)에 도달하도록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부홈부(57)는, 제1분할 주절삭날(55a)을 대략 등분하도록 배치되고, 제2분할 주절삭날(55a)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각 제2분할 주절삭날(55a)에 가해지는 절삭 저항은 동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절삭 저항이 저감되고, 절삭날 강도의 저하를 최대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홈부(57)에 의해 제1분할 주절삭날(55a)을 2등분 및 3등분한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등분, 3등분, 4등분… 등 제1분할 주절삭날(55a)을, 대략 같은 길이의 복수의 제2분할 주절삭날(55a)로 분할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홈부(56)에 의해 분단된 제1분할 주절삭날(55a)이, 부홈부(57)에 의해, 또한 복수의 제2분할 주절삭날(55a)로 분단된다. 생성되는 절삭칩(8)의 폭은, 제2분할 주절삭날(55a)의 길이와 대략 일치하므로, 절삭칩(8)이 작아져 경량화된다. 이것에 의해서, 홀더(11)에 형성되는 절삭칩 포켓(13)으로부터 절삭칩(8)이 배출되기 쉬워져, 절삭칩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삭칩 포켓(13)에 있어서의 절삭칩(8)의 막힘, 절삭칩(8)의 물림 등의 문제가 억제되고, 인서트(51) 및 홀더(11)를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삭칩 포켓(13)으로부터 외방으로 배출된 절삭칩(8)은, 경량이므로, 피절삭재 주변에 퇴적되지 않고 이동하여, 절삭칩에 의해 피절삭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절삭재 주변에 절삭칩이 퇴적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절삭날로의 절삭칩의 물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절삭가공시에 있어서의 절삭칩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홈부(57)에 의해 제1분할 주절삭날(55a)이 더욱 분단되기 때문에, 주절삭날부에 가해지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부홈부(57)는, 주홈부(56)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주홈부(56)의 형성시에 보여지는 절삭날부의 큰 강도 저하는 억제된다. 즉 주홈부(56) 및 부홈부(57)를 병존시킴으로써, 절삭날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인서트(51)와 피절삭재의 접촉면의 감소에 따른 절삭 저항의 저감도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가공중에 있어서의 채터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절삭 조건이 엄격한 중절삭가공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홈부(56)에 비해서 부홈부(57)의 폭이 작게 형성되므로, 폭이 다른 2개의 홈부(56,57)를 형성할 수 있다. 주홈부(56)의 폭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인서트 전체에 차지하는 제1분할 주절삭날(55a)의 비율을 낮게 할 수 있고, 절삭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절삭시에 생기는 채터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홈부(57)의 폭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절삭칩을 더욱 세분화하는 기능을 달성하면서, 제1분할 주절삭날(55a)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절삭날의 결손을 방지하여, 인서트(51)의 수명을 연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인서트(51)를 이용함으로써, 절삭날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는데다가,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어, 중절삭가공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홈부(57)의 길이가 본체부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된다. 2개의 주홈부(56)의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면(54A)은, 부홈부(57)에 의해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복수의 여유면(54A)은, 저면측에서 각각 연이어진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주홈부(56)에 끼여진 여유면 부분 또는, 부홈부(57)와 주홈부(56)에 의해 끼여진 여유면 부분이 결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절삭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홈부(57)의 깊이가 주홈부(56)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주홈부(56)에 끼여진 경사면 부분 또는, 부홈부(57)와 주홈부(56)에 의해 끼여진 경사면 부분이 결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절삭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홈부(56)의 깊이가, 그 이상 깊더라도 절삭 저항의 저하를 기대할 수 없는 임계치로 설정됨으로써, 절삭 저항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홈부(57)의 깊이가 최대이송량에 상당하는 깊이 이상으로 설정됨으로써, 부홈부(57)에 의해 절삭칩의 폭을 확실하게 분단할 수 있다. 또한 부홈부(57)의 깊이는, 주홈부(56)의 깊이 이하로 설정됨으로써, 절삭날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홈부(57)가 제1분할 주절삭날(55a)을 대략 등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부홈부(57)에 의해 분할되는 각 제2분할 주절삭날(55a)에 가해지는 절삭 저항을 동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절삭 저항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절삭날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관통구멍(16)의 둘레에 융기부(15)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절삭칩의 컬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16)에 나사결합된 나사 부재의 머리부가 융기부(15)에 의해 숨겨지므로, 절삭칩과 나사 부재의 나사머리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나사 부재의 머리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제6실시형태)
도 16~도 19에서는, 주절삭날(5)을 3개의 주홈부(56)로 분단하여 이루어지는 인서트(51)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로서, 주절삭날(55)을 4개의 주홈부(56)로 분단하여 이루어지는 인서트(61)를 도 21~도 23에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의한 인서트(6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인서트(61)를 나타내는 장변측 측면도이고, 도 23은, 인서트(61)를 나타내는 단변측 측면도이다.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는,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와 유사한 구성을 갖고,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는,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에 형성되는 돌기를 갖고 있지 않은 점과,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홈부(57)를 갖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의 주홈부(56)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에 형성되는 홈부(5)에 대응하고,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의 주홈부(56) 및 부홈부(57)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와 마찬가지이다.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는,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에 비해서 주홈부(56) 및 제1분할 주절삭날(55a)의 배치가 다르다.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는, 4개의 주홈부(56)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주절삭날(55)은, 5개의 제1분할 주절삭날(55a)로 분할된다. 또한 부홈부(57)는, 각 제1분할 주절삭날(55a)을 2등분하여, 각각 제2분할 주절삭날(55a)을 형성한다. 따라서 부홈부(57)는 5개 형성된다.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와,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를 홀더(11)의 외주부에 둘레방향으로 나열하여 장착한 경우에,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의 주홈부(56)가 통과하는 영역이,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의 제1분할 주절삭날(55a)이 통과하는 영역에 포함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의 주홈부(56)가 통과하는 영역이,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의 제1분할 주절삭날(55a)이 통과하는 영역에 포함되도록, 각인서트(51,61)의 주홈부(56)의 배치가 선택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인서트(51,61)를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1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홀더(11)의 외주 선단부에 복수의 절삭칩 포켓(13)이 형성되어 있고, 절삭칩 포켓(13) 내의 각각 외주위치에 인서트(51,61)가 부착된다. 상세하게는, 인서트(51,61)는, 회전방향으로 경사면(53)을 향해서 최외주에 주절삭날(55)이 위치하도록 장착되고, 주절삭날(55)이 홀더(11)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절삭이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회전 절삭 공구(12)로 절삭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홀더(11)에 굽힘 응력이 작용하지만, 이와 같은 굽힘 응력에 의해 큰 휨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홀더(11)는 일정한 강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절삭가공에 있어서는, 가공조건 등에 의해 홀더(11)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의 크기가 변화되므로, 가공 부하가 큰 경우에는, 홀더(11)의 강성이 부족한 것에 의해 큰 휨이 발생하고, 그 결과 가공중의 채터 진동이 유발되는 일이 있다. 특히, 커팅량이 큰 중절삭가공 등에 있어서는, 절삭 저항이 현저하게 증대되기 때문에 채터 진동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종래로부터, 상기와 같은 회전 절삭 공구(12)에 있어서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절삭날을 포함하는 여유면을, 양단이 경사면 및 저면에 도달하는 홈부에 의해 분단한 인서트를 복수 조합시켜 이용하는 것이 널리 행해져 왔다. 즉, 이와 같은 인서트에 있어서는, 생성되는 절삭칩의 폭이 작게 분할되므로, 절삭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가공중의 채터 진동이 억제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엄격한 절삭 조건하에서의 중절삭가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종래 그대로의 형상의 홈부를 단순히 수만 늘리면, 홈부에 의해 분단된 절삭날부의 강도가 저하해서 치핑이나 결손 등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절삭 저항의 저감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홈부(56)와 부홈부(57)를 형성함으로써, 절삭날부의 강도 저하를 억제하여,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커팅량이 큰 중절삭가공 등에 있어서도, 인서트(51,61)에 결손이 생기는 일 없이 채터 진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6~19에 나타낸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만을 이용한 절삭가공은, 주절삭날(55)에 주홈부(5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공후의 피절삭재 벽면에 필연적으로 절삭 찌꺼기가 생겨 버린다. 그래서, 주홈부(56)에 의한 절삭 찌꺼기가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 주홈부(56)의 배치가 서로 다른 인서트(51,61), 예컨대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와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를,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11)의 동일 원주상에 교대로 배치하여, 절삭가공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한쪽의 인서트(51)의 홈부(56,57)에 의한 절삭 찌꺼기를 다른쪽의 인서트(61)의 주절삭날(55)이 절삭할 수 있고, 피절삭재의 가공 벽면에 생기는 요철을 적게 하여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2종류의 인서트(51,61)가 이용되는 경우, 주홈부(56)의 폭 및 주홈부 사이의 치수는, 2종류의 인서트(51,61)에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된다. 제3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5 및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51,61)는, 분할 주절삭날이 코너R 절삭날로부터 인서트 길이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저면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제7실시형태)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의 인서트(71)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회전 절삭 공구(12)의 인서트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제7실시형태의 인서트(71)는,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와 대응한 구성을 갖고, 대응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5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제7실시형태의 인서트(71)는, 상술한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의 구성요소에 추가로, 제1분할 주절삭날(55a)에 인접하는 경사면(53) 상에, 상기 각 제1분할 주절삭날(55a)에 대응하여 1개 이상의 돌기(5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기(58)는, 경사면(53)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돌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분할 주절삭날(55a)과 쌍을 이루도록 돌기(58)가 형성된다. 돌기(58)의 주절삭날측 부분은, 부홈부(57)에 의해 더욱 분단된 제2분할 주절삭날(55a)에 대응하도록, 갈라져 나온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돌기(58) 중 분할 주절삭날측 부분 중 갈라져 나온 부분은, 인서트 폭방향(C)을 향하여, 각각 대응하는 제2분할 주절삭날(55a)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58)의 높이는, 경사면(53)에 대한 돌기(58)의 인서트 두께방향(A)의 높이 치수이다. 또한 돌기(58)의 폭은 돌기(58)의 인서트 길이방향(B)의 치수이다. 또한 제2분할 주절삭날(55a)과 돌기(58) 사이의 인서트 폭방향(C)의 거리는, 제2분할 주절삭날(55a)의 인서트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최단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즉 갈라져 나온 선단부가, 제2분할 주절삭날(55a)의 인서트 길이방향 중앙부를 향해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2분할 주절삭날(55a)에 의해 폭이 좁게 형성된 절삭칩이 경사면(53) 상에 형성된 상기 돌기(58)에 접촉하여, 작게 만곡 변형되고, 절삭칩이 절삭칩 포켓 내의 홀더 벽면(14)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폭이 좁게 형성된 각 절삭칩이, 경사면(53) 상에 형성되는 돌기(58)에 접촉함으로써, 그 곡률반경이 작아져, 절삭칩의 사이즈가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절삭칩 포켓(13)으로부터 홀더(11) 외방으로 절삭칩이 부드럽게 이동하고, 절삭칩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삭칩 포켓(13)에 있어서의 절삭칩의 막힘, 절삭칩의 물림 등의 문제가 억제되고, 인서트(71) 및 홀더(11)를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홈부(56) 및 부홈부(57)는, 홀더(11)에 장착된 경우에, 홀더 축선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홀더 둘레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분할 주절삭날(55a)이 형성되는 부분이 다른 복수 종류의 인서트(51,61)를 홀더(11)에 교대로 장착하여 회전 절삭 가공을 행하는 경우, 피절삭재의 가공 벽면에는, 2개 중 한쪽의 인서트의 분할 주절삭날(55a)에 의해 절삭되는 부분과, 양쪽의 인서트의 분할 주절삭날(55a)에 의해 절삭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 때, 생성하는 절삭칩 단면의 중앙부는, 한쪽의 인서트의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서만 절삭되는 부분에 상당하기 때문에, 가장 두껍게 된다. 제7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11)에 장착되는 각 인서트(71)가, 돌기(58)를 가짐으로써, 상술한 절삭칩 단면의 가장 두꺼운 부분에 돌기(58)가 접촉하고, 생성된 절삭칩을 선택적으로 또한 효율 좋게 만곡 변형, 즉 컬시킬 수 있다.
제7실시형태의 인서트(71)는, 제5실시형태의 인서트(51)에 돌기(58)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냈지만, 제6실시형태의 인서트(6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돌기(58)가 형성되어도 된다. 따라서, 홀더(11)에 장착되는 인서트 모두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기에 대해서는, 각 분할 주절삭날(55a)에 1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제1실시형태 또는 제2실시형태의 인서트(1,21)와 동일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53)의 중앙부의 관통구멍(16) 둘레에 환상의 융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융기부(15)가 형성되는 것에 관하여,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7은, 제7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인서트(71a)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제7실시형태의 인서트(71)는, 제1분할 주절삭날(55a)에 인접하는 경사면(53) 상에, 상기 각 제1분할 주절삭날(55a)에 대응하여 1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는, 제2분할 주절삭날(55a)에 대응하도록 주절삭날측이 갈라져 나온 형상을 취한다.
이것에 대하여 변형예의 인서트(71a)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분할 주절삭날(55a) 각각에 대응해서 독립된 복수의 돌기(68)를 갖는다. 이와 같은 돌기(68)를 갖는 인서트(71a)이여도 제7실시형태의 인서트(7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돌기는, 대응하는 각각의 제2분할 주절삭날(55a)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칩이 충돌하여, 컬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돌기의 경사면 중앙측의 형상에 관계없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돌기(68)는,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에 나타내는 돌기(6)와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의 돌기(6)는, 분할 주절삭날을 향해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제7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인서트(71a)의 돌기(68)는, 제2분할 주절삭날(55a)을 향해 배치된다. 돌기(68)에 대한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돌기(68)가 형성되는 것에 관하여, 제1실시형태의 인서트(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도 27에서는, 본체부가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 또는 대략 평행사변형 판형상을 하고 있는 인서트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홀더 형상에 대응하여 본체부가 대략 다각형 판형상 및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한 임의의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는, 180도 회전 대칭형상인 것으로 했지만, 주절삭날이 인서트의 폭방향 한쪽의 가장자리 변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분할 주절삭날의 경사, 홈부의 형상 및 돌기의 형상 등은, 적절히 선택되면 되고,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인서트는 중절삭가공 이외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되는 일 없이, 다른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청구항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폭이 좁게 형성된 절삭칩이 돌기에 접촉함으로써, 만곡 변형되어 곡률반경이 작아진다. 절삭칩의 곡률반경이 작아짐으로써, 절삭칩은, 홀더에 형성되는 홀더 벽면에 접촉하기 전에 파단되고, 절삭칩 포켓의 외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절삭칩이, 홀더 벽면에 충돌하여 홀더 벽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삭칩이 돌기에 접촉하여, 그 곡률반경이 작아짐으로써, 절삭칩의 사이즈가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절삭칩 포켓으로부터 홀더 외방으로, 절삭칩이 원활하게 이동되어, 절삭칩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삭칩 포켓에 있어서의 절삭칩의 막힘, 절삭칩의 물림 등의 문제가 억제되어, 인서트 및 홀더를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돌기는, 분할 주절삭날로부터 이반됨에 따라 경사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게 된다. 따라서 절삭칩은, 돌기에 의해 경사면으 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안내되어서, 만곡 변형되어 곡률반경이 작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돌기의 높이가 점점 감소함으로써, 절삭칩이 돌기에 부드럽게 접촉하고, 접촉시의 충격을 억제하여, 절삭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돌기는, 분할 주절삭날로부터 이반됨에 따라 폭이 넓게 된다. 이와 같이 돌기가 폭이 넓게 됨으로써 돌기의 강도가 향상되고, 절삭칩 충돌시에 돌기가 인서트 본체로부터 결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서트를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4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칩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분할 주절삭날로부터 멀어지고, 절삭칩이 돌기에 접촉한다. 절삭칩은, 경사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안내되어서, 곡률반경이 작아지도록 만곡 변형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기의 주절삭날측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는, 분할 주절삭날로부터 이반됨에 따라 경사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게 된다. 이 경우, 절삭칩과 돌기의 접촉이 부드럽게 되고, 바꿔 말하면 절삭칩이 돌기에 접촉할 때의 충격이 작아지고, 접촉시의 충격을 억제하여, 절삭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기는, 높이가 높게 됨과 아울러, 그 폭이 넓혀짐으로써 돌기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만곡 변형되도록 절삭칩을 안내할 때에 돌기가 인서트 본체로부터 결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서트를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5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돌기의 교차 능선부는, 분할 주절삭날로부터 이반됨에 따라서, 경사면과의 사이의 두께방향의 거리, 즉 돌기의 높이가 커진다. 절삭칩은, 돌기의 교차 능선부에 충돌하고, 절삭칩은, 돌기의 교차 능선부를 따라 이동하여 만곡 변형된다. 이와 같이 돌기에 교차 능선부가 형성되고, 돌기의 교차 능선부에 절삭칩이 충돌함으로써, 절삭칩과 돌기가 접촉하는 부분을, 매우 작게 할 수 있고, 절삭칩을 더욱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절삭칩을 만곡 변형시키는데에 기인하는 절삭 저항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절삭 저항의 저감을 위해서는, 돌기의 교차 능선부는, 돌기가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의 수직이등분선을 따라 연장되어,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높이가 점점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6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칩은,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돌기가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므로, 경사면 상을 이동하는 절삭칩에 대해서, 돌기에 의해 생기는 절삭시의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돌기는, 분할 주절삭날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을 향해 배치된다.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은, 분할 주절삭날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절삭칩의 폭방향 중앙부분에 돌기가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돌기는, 절삭칩의 좌우의 진동을 방지하여,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삭칩을 안내시킬 수 있다.
청구항8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할 주절삭날의 대략 수직이등분선 상 에 상기 돌기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돌기는,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분할 주절삭날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을 향해 배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절삭칩에 대하여, 돌기에 의해 생기는 절삭시의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는, 절삭칩의 폭방향 중앙부분에 돌기가 접촉하게 됨으로써, 절삭칩의 좌우의 진동을 방지하여, 절삭칩을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9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구멍의 둘레에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돌기에 의한 절삭칩의 만곡 변형 작용이 불충분한 조건하에서도, 절삭칩이 융기부에 접촉함으로써, 절삭칩의 만곡 변형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에 나사결합된 나사 부재의 머리부가 융기부에 의해 숨겨짐으로써, 절삭칩과 나사 부재의 나사머리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나사 부재의 머리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나사머리가 절삭칩의 배출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0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돌기가 각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분할 주절삭날마다 1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이 1개의 돌기에만 충돌하여 안내됨으로써, 절삭칩이 복수의 돌기에 충돌하여 안내될 경우에 비해서, 절삭 저항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가 절삭칩에 의해 마모되거나, 절삭칩의 생성방향이 조금 어긋나거나 해도, 대응하는 1개의 돌기의 능선부분에 절삭칩을 접촉시킬 수 있 다.
청구항1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은, 각각 분할 주절삭날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는 각 돌기가, 분할 주절삭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절삭칩에 대하여, 돌기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각 돌기가, 각각 쌍을 이루는 분할 주절삭날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향해 배치됨으로써, 절삭칩의 좌우의 진동을 방지하여, 절삭칩을 분할 주절삭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복수의 절삭칩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포켓 내에서 절삭칩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면의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은, 코너R 절삭날과 연이어져 있으므로,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은, 코너R 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과 연이어진 원호상으로 형성되어서, 경사면 상을 분할 주절삭날에 대하여 미리 정해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는 돌기가 코너R 절삭날을 향해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므로, 코너R 절삭날과 그것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을, 돌기에 원활하게 충돌시킬 수 있어, 절삭 저항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코너R 절삭날과 그것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에 대하여, 원활하게 만 곡 변형시킬 수 있다.
청구항13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는 돌기는, 상기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이루는 경사각도가, 60°이상 85°이하로 되는 가상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돌기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코너R 절삭날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을 보다 확실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사각도가, 60°미만이면, 절삭칩이 막히기 쉬워져, 절삭 저항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각도가 60°미만이면, 코너R 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 부분에 기인하는 절삭 저항이 과잉으로 된다. 또한 경사각도가 85°를 초과하면, 절삭칩이 만곡되기 어려워지므로, 홀더의 벽면의 마멸이 개선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삭칩의 사이즈가 커져서 절삭칩 배출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절삭칩의 물림에 의한 절삭날의 결손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각도가 85°를 초과하면, 코너R 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 부분에 기인하는 절삭 저항이 과잉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경사각도가 60°이상 85°이하로 설정되므로, 상술한 문제가 생길 일은 없다. 따라서 절삭 저항을 억제하여, 코너R 절삭날 및 코너R 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을 보다 확실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청구항14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여 1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1 또는 복수의 돌기에 절삭칩을 접촉시켜서, 절삭칩을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돌기에 절삭칩을 접촉시켜서, 절삭칩을 만 곡 변형시킴으로써, 절삭칩의 단면적이 큰 경우 및 절삭칩의 강성이 높은 경우이여도, 절삭칩으로부터 주어지는 충격력을 복수의 돌기에서 분담할 수 있고, 돌기가 결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칩을 충분히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 중, 분할 주절삭날의 길이가 긴 분할 주절삭날과, 분할 주절삭날의 길이가 짧은 분할 주절삭날이 존재하는 경우, 길이가 짧은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돌기의 수에 비해서, 길이가 긴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돌기의 수를 늘림으로써, 길이가 긴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폭이 넓은 절삭칩을 보다 확실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길이가 긴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돌기가, 폭이 넓은 절삭칩의 충돌에 의해 결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5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과 대응하는 각 돌기가, 분할 주절삭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절삭칩에 대해서, 돌기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각 돌기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향해 배치됨으로써, 절삭칩의 좌우의 진동을 방지하여, 절삭칩을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복수의 절삭칩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포켓 내에서 절삭칩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6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 은, 코너R 절삭날과 연이어져 있으므로,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은, 코너R 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과 연이어진 원호상으로 형성되어서, 경사면 상을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미리 정해지는 각도로 경사져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돌기 중에서,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가 코너R 절삭날을 향해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므로, 코너R 절삭날과 그것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을,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에 원활하게 충돌시킬 수 있어, 절삭 저항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코너R 절삭날과 그것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에 대해서, 원활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돌기가 1개인 경우에는, 그 1개의 돌기가, 돌기가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로 된다. 또한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돌기가 복수인 경우에는, 그들 복수의 돌기 중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하는 돌기가,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로 된다.
청구항17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는, 상기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이루는 경사각도가, 60°이상 85°이하로 되는 가상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돌기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코너R 절삭날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을 보다 확실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사각도가, 60°미만이면 절삭칩이 막히기 쉬워져, 절삭 저항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각도가 60°미만이면, 코너R 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 부분에 기인하는 절삭 저항이 과잉으로 된다. 또한 경사각도가 85°를 초과하면 절삭칩이 만곡 변형되기 어려워지므로, 홀더의 벽면의 마멸이 개선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삭칩의 사이즈가 커져서 절삭칩 배출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절삭칩의 물림에 의한 절삭날의 결손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각도가 85°를 초과하면, 코너R 절삭날 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 부분에 기인하는 절삭 저항이 과잉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는, 경사각도가 60°이상 85°이하로 설정되므로, 상술한 문제가 생기는 일 없이, 코너R 절삭날에 의해 형성된 절삭칩을 보다 확실하게 만곡 변형시킬 수 있다.
청구항18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칩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 중에서,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하는 돌기 이외의 돌기가, 상기 분할 주절삭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절삭칩이 돌기에 부드럽게 접촉하여, 돌기에 의해 생기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26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로어웨이 인서트를 홀더에 장착함으로써, 포지티브 방향의 액셜 레이크를 갖는 회전 절삭 공구를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절삭재로의 물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절삭재로부터 주어지는 절삭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번에 절삭하는 절삭량이 더욱 커지는 중절삭가공, 소위 황삭가공을 행하여도, 절삭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여, 가공중에 있어서의 채터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서트의 저면에 대하여 각 분할 주절삭날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액셜 레이크를 부여하기 때문에, 홀더에 형성되는 인서트 저면을 홀더의 회전 축선에 대하여 홀더 둘레방향으로 크게 경사지게 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홀더의 두꺼워짐의 감소를 억제하여, 홀더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회전 절삭 공구의 수명을 길게 하여, 한번에 절삭할 수 있는 절삭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삭제

Claims (28)

  1. 판형상을 이루고, 두께방향 한쪽의 면에 경사면을, 측면에 여유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경사면과 상기 여유면의 교차 능선부에 주절삭날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절삭날이 분단된 복수의 분할 주절삭날로 이루어지는 스로어웨이 인서트로서,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각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여 돌기가 형성되고, 이 대응하는 돌기 중, 상기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는, 상기 코너R 절삭날을 향해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중 주절삭날측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높이가 점점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중 주절삭날측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폭이 점점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중 주절삭날측 부분은, 각각 대응하는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중 주절삭날측 부분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서로의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감소하는 2개의 돌기 측면을 갖고, 상기 2개의 돌기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교차 능선부는, 상기 분할 주절삭날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경사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로어웨이 인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 중 1개 이상의 돌기는, 분할 주절삭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 중 1개 이상의 돌기는, 분할 주절삭날의 중간부분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주절삭날의 수직이등분선 상에, 상기 각 돌기 중 1개 이상의 돌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중앙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관통구멍 둘레에 환상의 융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각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는 돌기가, 상기 분할 주절삭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는 돌기는, 상기 코너R 절삭날을 향해 폭과 높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쌍을 이루는 돌기는, 상기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이루는 각도가, 60°이상 85°이하로 되는 가상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각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여 1개 이상,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 이외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는 각 돌기가, 상기 분할 주절삭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는, 상기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과 이루는 각도가, 60°이상 85°이하로 되는 가상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R 절삭날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대응하여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이 복수의 돌기 중, 코너R 절삭날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돌기 이외의 돌기가, 상기 분할 주절삭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1개의 코너부에는, 그 코너부에 근접하는 코너부 부근의 분할 주절삭날에 연속해 있는 코너R 절삭날이 형성되고, 경사면과 반대측에 홀더에 접촉하는 저면이 형성되고,
    상기 각 분할 주절삭날은, 코너R 절삭날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인서트.
  27. 삭제
  28. 제1항 내지 제15항, 제17항, 제18항,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로어웨이 인서트와, 상기 스로어웨이 인서트를 복수 장착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절삭 공구.
KR1020077007792A 2004-09-29 2005-09-29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 KR100896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83561 2004-09-29
JPJP-P-2004-00283561 2004-09-29
JP2005070423 2005-03-14
JPJP-P-2005-00070423 2005-03-14
JPJP-P-2005-00104789 2005-03-31
JP2005104789 2005-03-31
JPJP-P-2005-00216862 2005-07-27
JP2005216862A JP4364173B2 (ja) 2004-09-29 2005-07-27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
JP2005239689 2005-08-22
JPJP-P-2005-00239689 2005-08-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864A Division KR101067414B1 (ko) 2004-09-29 2005-09-29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156A KR20070069156A (ko) 2007-07-02
KR100896002B1 true KR100896002B1 (ko) 2009-05-07

Family

ID=361190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792A KR100896002B1 (ko) 2004-09-29 2005-09-29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
KR1020087024864A KR101067414B1 (ko) 2004-09-29 2005-09-29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864A KR101067414B1 (ko) 2004-09-29 2005-09-29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802946B2 (ko)
EP (1) EP1808248B1 (ko)
KR (2) KR100896002B1 (ko)
WO (1) WO2006035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08248B1 (en) * 2004-09-29 2015-03-11 Kyocera Corporation Throwaway insert and milling tool equipped with the same
EP1911538B1 (en) * 2005-07-29 2017-08-30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Edge replacing cutting tip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1886749B1 (en) * 2005-10-06 2017-08-09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Cutting tool for high quality and high efficiency machining and cutting method using the cutting tool
EP1949993B1 (en) * 2005-10-28 2016-03-30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JP4812537B2 (ja) * 2006-06-21 2011-11-09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転削工具
JP4991214B2 (ja) * 2006-08-30 2012-08-01 京セラ株式会社 切削工具
KR101369580B1 (ko) 2006-09-13 2014-03-04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러핑용 인서트 및 러핑 엔드밀
WO2008032778A1 (en) 2006-09-13 2008-03-20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Insert for roughing and roughing end mill
JP5023628B2 (ja) * 2006-09-13 2012-09-1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ラフィングエンドミル
WO2008038805A1 (fr) * 2006-09-29 2008-04-03 Kyocera Corporation Insert de découpe, outil de découpe l'utilisant, et procédé de découpe
US8419319B2 (en) * 2006-09-29 2013-04-16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using the same, and cutting method
JP4824767B2 (ja) * 2006-10-31 2011-11-30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
CN101668604B (zh) * 2007-04-26 2012-02-08 京瓷株式会社 切削镶刀及切削工具以及使用了该切削工具的切削方法
US8337123B2 (en) * 2007-05-28 2012-12-25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cutting method using the cutting tool
IL192785A0 (en) * 2007-10-22 2009-02-11 Gershon Harif Cutting tool with protrus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393419B1 (en) * 2008-03-13 2013-03-12 Us Synthetic Corporation Superabrasive elements having indicia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s
JP2009241212A (ja) * 2008-03-31 2009-10-22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ニック付き刃先交換式チップ
WO2010024435A1 (ja) * 2008-08-29 2010-03-04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US20110081210A1 (en) * 2008-09-29 2011-04-07 Takuya Ishida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cutt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10035870A1 (ja) * 2008-09-29 2010-04-01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JP5483872B2 (ja) * 2008-12-25 2014-05-07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切削方法
KR101059031B1 (ko) * 2009-01-06 2011-08-24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를 적용한 밀링 절삭공구
WO2010087376A1 (ja) 2009-01-29 2010-08-05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被削材の切削方法
CN102264495B (zh) 2009-02-26 2014-05-21 京瓷株式会社 切削镶刀及切削工具、以及使用该切削工具的被切削件的切削方法
EP2412462B1 (en) * 2009-03-27 2015-05-13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cutting material to be cut using the cutting tool
KR101145491B1 (ko) * 2009-05-13 2012-05-15 한국야금 주식회사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채용한 커터바디
IL203283A (en) * 2010-01-13 2014-02-27 Iscar Ltd Cutting put
KR101154704B1 (ko) * 2010-02-19 2012-06-08 대구텍 유한회사 홈에 의해 분할된 절삭날을 갖는 절삭 인서트 및 이를 구비한 밀링 커터
CN101844238A (zh) * 2010-05-25 2010-09-29 李仕清 一种复合刀头
US8967920B2 (en) * 2011-09-13 2015-03-03 Iscar, Ltd. Cutting insert and chip-control arrangement therefor
US8746115B2 (en) * 2012-01-09 2014-06-10 Iscar, Ltd. Cutting insert having hole orientation indicia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AT512452A1 (de) * 2012-02-01 2013-08-15 Boehlerit Gmbh & Co Kg Schneidplatte
WO2013175478A2 (en) 2012-05-24 2013-11-28 Gershon System Ltd. Method for designing a cutting edge of a cutting tool, cutting tools comprising the same, and cutting elements with multiple such cutting portions
KR101394631B1 (ko) * 2012-06-14 2014-05-13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WO2014003161A1 (ja) 2012-06-29 2014-01-03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WO2015040615A1 (en) 2013-09-17 2015-03-26 Gershon System Ltd. Cutting element and a method of cutting using the same
JP6004301B2 (ja) * 2014-03-18 2016-10-05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KR101469135B1 (ko) * 2014-07-08 2014-12-04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CN106660145B (zh) * 2014-07-31 2018-09-18 株式会社泰珂洛 切削刀片及刀头更换式切削刀具
EP3034214A1 (en) * 2014-12-19 2016-06-22 Pramet Tools, S.R.O. Drill and drill insert with chipbreaker protrusions
US10675695B2 (en) * 2015-04-02 2020-06-09 Stephen MacLennan Saw tooth
WO2016163341A1 (ja) * 2015-04-06 2016-10-13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DE102016216464A1 (de) * 2016-08-31 2018-03-01 Gühring KG Aufrauwerkzeug und verfahren zum aufrauen einer zylindrischen oberfläche
JP6744599B1 (ja) * 2019-03-01 2020-08-1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EP3725444A1 (de) * 2019-04-18 2020-10-21 KOMET Deutschland GmbH Schneidelement für ein reibwerkzeug sowie ein reibwerkzeu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636A (ja) * 1994-04-28 1995-11-14 Kyocera Corp フライス工具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H08257822A (ja) * 1995-03-20 1996-10-08 Toshiba Tungaloy Co Ltd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20010020675A (ko) * 1999-03-26 2001-03-15 오카무라 가네오 플런지 절삭용 총형 팁
JP2004148424A (ja) * 2002-10-29 2004-05-27 Kyocera Corp エンドミル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8522U (ko) 1986-02-26 1987-09-01
JPH0253305A (ja) 1988-08-18 1990-02-22 Nippon Hoso Kyokai <Nhk> Fm復調装置
JPH0253305U (ko) 1988-10-11 1990-04-17
JP2501471Y2 (ja) * 1989-08-23 1996-06-1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転削工具用スロ―アウェイチップ
US5232319A (en) 1990-10-25 1993-08-03 Iscar Ltd. Insert for a milling cutter
US5192171A (en) 1991-01-07 1993-03-09 Gte Valenite Corporation Chip control insert
US5282703A (en) 1991-03-29 1994-02-01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Indexable cutter insert
US5221164A (en) * 1992-08-03 1993-06-22 Gte Valenite Corporation Positive rake insert having serrations for cutting
IL103115A (en) 1992-09-09 1996-09-12 Iscar Ltd Milling placement
IL104800A (en) 1993-02-19 1998-04-05 Iscar Ltd Milling cutter
US5725334A (en) * 1993-03-29 1998-03-10 Widia Gmbh Cutting insert
JPH07299633A (ja) * 1994-04-28 1995-11-14 Kyocera Corp エンドミル
DE4422312A1 (de) * 1994-06-17 1995-12-21 Krupp Widia Gmbh Schneideinsatz
JPH08108310A (ja) 1994-10-05 1996-04-30 Toshiba Tungaloy Co Ltd 正面フライス用のスロ−アウェイチップ
DE4437093A1 (de) * 1994-10-17 1996-04-18 Widia Gmbh Vieleckiger Schneideinsatz
JPH08118135A (ja) 1994-10-19 1996-05-14 Toshiba Tungaloy Co Ltd 回転切削工具用の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3588170B2 (ja) 1995-08-10 2004-11-10 日立ツール株式会社 3次元加工用エンドミル
JP4315480B2 (ja) 1997-12-16 2009-08-19 大昭和精機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SE513610C2 (sv) * 1998-02-03 2000-10-09 Sandvik Ab Skär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JP4797292B2 (ja) 2001-07-17 2011-10-1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スローアウェイ式エンドミルおよび切刃チップ
JP3812473B2 (ja) * 2001-11-20 2006-08-2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04160620A (ja) * 2002-11-15 2004-06-10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EP1808248B1 (en) * 2004-09-29 2015-03-11 Kyocera Corporation Throwaway insert and milling tool equipped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636A (ja) * 1994-04-28 1995-11-14 Kyocera Corp フライス工具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H08257822A (ja) * 1995-03-20 1996-10-08 Toshiba Tungaloy Co Ltd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20010020675A (ko) * 1999-03-26 2001-03-15 오카무라 가네오 플런지 절삭용 총형 팁
JP2004148424A (ja) * 2002-10-29 2004-05-27 Kyocera Corp エンドミル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8248B1 (en) 2015-03-11
US7802946B2 (en) 2010-09-28
EP1808248A4 (en) 2010-10-20
WO2006035910A1 (ja) 2006-04-06
KR20080097492A (ko) 2008-11-05
US20080260476A1 (en) 2008-10-23
US20100316452A1 (en) 2010-12-16
US8142113B2 (en) 2012-03-27
EP1808248A1 (en) 2007-07-18
KR20070069156A (ko) 2007-07-02
KR101067414B1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002B1 (ko) 스로어웨이 인서트 및 그것을 장착한 회전 절삭 공구
JP5369185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KR101309060B1 (ko) 절삭 인서트, 밀링 공구 및 절삭 방법
KR101141855B1 (ko) 볼 엔드 밀
KR100824345B1 (ko) 스로-어웨이 팁
KR101904564B1 (ko) 고경도 재료 절삭용 엔드밀
KR100502990B1 (ko) 드로우어웨이팁및드로우어웨이식드릴
JP5853613B2 (ja) 切削インサート
KR20120020153A (ko) 절삭용 인서트 및 날끝교환식 정면 밀링 커터
JP4779864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KR20000023406A (ko) 드릴링 공구 및 드릴링 가공용 스로어웨이 팁
CN111201103A (zh) 旋转切削工具
JP2012030306A (ja) ドリル及びそれを用いた穴加工方法
JP2006212744A (ja) エンドミル
JP4431164B2 (ja) 内径加工用工具
JP2008000837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5295271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被削材の切削方法
JP4804127B2 (ja)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被削材の切削方法
JP4859815B2 (ja)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
JP5004625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JP481253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転削工具
JP2002103107A (ja) 精密加工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100875791B1 (ko) 엔드밀
JP4906314B2 (ja)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
KR20070083787A (ko) 엔드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