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82200B1 -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200B1
KR100882200B1 KR1020080052066A KR20080052066A KR100882200B1 KR 100882200 B1 KR100882200 B1 KR 100882200B1 KR 1020080052066 A KR1020080052066 A KR 1020080052066A KR 20080052066 A KR20080052066 A KR 20080052066A KR 100882200 B1 KR100882200 B1 KR 10088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yclone body
hydrocyclone
air
pipe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시천
조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Priority to KR102008005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200B1/ko
Priority to PCT/KR2009/002963 priority patent/WO2009148265A2/ko
Priority to US12/996,149 priority patent/US20110084012A1/en
Priority to EP09758518A priority patent/EP2305386A4/en
Priority to CN2009801208324A priority patent/CN102056673A/zh
Priority to JP2010515986A priority patent/JP2010527787A/ja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00Apparatus in which the main direction of flow follows a flat spiral ; so-called flat cyclones or vortex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02Froth-flotation processes
    • B03D1/028Control and monitoring of flotation processes; computer mode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418Flotation machines using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24Pneumatic
    • B03D1/247Mixing gas and slurry in a device separate from the flotation tank, i.e. reactor-separator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론 몸체, 이 사이클론 몸체에 공급되는 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수단, 사이클론 몸체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사이클론 몸체 내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배수량 조절수단, 사이클론 몸체에 공급되는 물에 분산되어 있다가 물이 사이클론 몸체를 통과하는 동안 물의 선회류 및 물에 주입된 공기의 포말에 의하여 수면의 선회류중심 부분으로 부상하여 일정한 높이에 모이는 현탁물질, 즉 스컴(scum)을 밖으로 수거하는 현탁물질 제거수단으로 구성된 하이드로사이클론을 포함하므로 용수, 폐수, 하수 등 수질정화공정에서 발생되는 조류나 슬러지와 같은 부유성의 물질을 비교적 저렴한 비용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질오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러지, 조류, 수질정화, 부상분리법, 하이드로사이클론

Description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Hydrocyclone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apparatu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하천, 호소 등의 수질환경을 보존할 수 있고 용수, 폐수, 하수 등의 처리 여건을 보다 호전시킬 수 있는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비수준의 증가와 함께 폐기물의 양은 늘어만 가고 있고, 이에 따라 하천이나 호소 등 용수 취수원의 수질오염 정도는 점점 높아져 가는 곳이 많아져서 조류(algae)의 대량 증가와 함께 생태계의 파괴, 경관의 악화, 용수 처리비용의 증가와 처리 수질의 저하 등 갖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하수와 폐수의 발생량 증대는 이것의 무해화 처리를 위한 사회적 비용의 지출을 급속히 증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하천이나 호소수 중의 조류의 제거는 한국 내 뿐만이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매우 중대한 사안이나 대상 수량이 과다한 경우가 많아서 현재의 기술로는 처 리를 위한 엄두를 내지도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수중의 조류를 제거하는 간편한 방법으로는 염소나 제초제와 같이 조류를 사멸시키는 약품을 투입하거나 금망이나 여과포 등을 사용하여 개체를 걸러내는 방법 등이 있는데, 전자는 약품 자체가 가지는 독성 문제와 조류의 사체에 의한 2차오염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후자인 여재를 이용하는 제거방식은 처리속도가 느리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수중의 조류를 제거하는 또 다른 방법은 조류가 포함된 물에 철이나 알루미늄의 염 또는 고분자 응집제 등을 투입하여 침전물과 함께 조류가 플록을 형성하게 한 후 특정 영역에 침강시키고 회수 장치를 이용하여 이 침전물을 외부로 제거해 내는 방법(응집침전법)이나, 앞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중에 플록을 형성시킨 후 이 곳에 공기가 과포화 용해된 가압수나 미세한 공기방울을 주입하여 이 플록이 공기방울과 함께 물 위로 떠오르도록 한 후 이 부침(浮沈)(스컴, scum)을 회수장치(스키머, skimmer)를 이용하여 외부로 제거해 내는 방법(부상분리법)이 쓰이고 있다.
그런데 전자인 응집침전법의 경우 공정의 운전이 비교적 손쉬운 데 비하여, 침전을 위한 체류시간이 2~5시간으로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그만큼 설비가 커지고 시설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후자인 부상분리법은 기포에 흡착된 플록의 부상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므로 해서 부상을 위한 체류 시간이 20~50분 정도로 소요 되어 응집침전법에 비하여 5~6분의 1 정도 용량의 설비로 운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부상분리법은 공기 가압설비와 부상된 스컴을 걷어 내기 위한 스키머 등의 추가 설비를 설치ㆍ운영해야 하는 부담과 일부 스컴이 다시 가라앉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으로, 하ㆍ폐수의 처리 과정에서도 슬러지의 제거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응집침전법 또는 부상분리법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 역시 비슷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수중의 조류, 슬러지 등 부유성물질의 제거를 통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늦은 처리속도 및 용량의 비대화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여 경제적이고 대규모 대상에 적용이 가능한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 유입구를 가지고 있고 이 물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을 내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선회하는 물을 하부로부터 배출하는 물 배출구를 가지는 사이클론 몸체, 상기 물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수단, 상기 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사이클론 몸체 내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배수량 조절수단, 상기 사이클론 몸체에 공급되는 물속에 분산되어 있다가 물이 상기 사이클론 몸체를 통과하는 동안 물의 선회류 및 물에 주입된 공기의 포말에 의하여 수면의 선회류중심 부분으로 부상하여 일정한 높이에 모이는 현탁물질을 밖으로 수거하는 현탁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이 제공된다.
상기 사이클론 몸체는 횡단면이 원형이고 둘레에 물 유입관이 접선방향으로 접속되어 이 물 유입관의 관로가 상기 물 유입구이며 하부에 배수관이 접속되어 이 배수관의 관로가 상기 물 배출구일 수 있다. 그리고 물 유입관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사이클론 몸체에 동일한 접선방향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 배수량 조절수단은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탁물질 제거수단은 현탁물질 회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현탁물질 회수관은 입구가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수면 아래에서 이 수면의 선회류중심 부분과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취수원으로부터 물을 퍼내어 목적하는 곳으로 이송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가 퍼내는 물을 수용하여 이송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설치되어 이 관로를 따라 흐르는 물에 물의 처리를 위한 약품을 주입하는 약품주입수단, 상기 관로에 설치되어 약품이 주입된 물속의 현탁물질을 물과 분리하는 것으로서 위의 기재와 같은 하이드로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오염 방지장치는 상기 관로에 설치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상기 관로를 따라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으로 흐르는 물을 처리하는 생물학적 수질정화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는 용수, 폐수, 하수 등의 물이나 이 물을 정화 처리하는 과정 중 이 물에 포함된 조류나 오니 등과 같은 현탁물질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있는 바, 설치 시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고 부지 면적을 줄일 수도 있어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뿐만 아니라 운전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은 크기가 작아 선박이나 부체 위에 설치하여 가동 시킴으로써 오염된 하천이나 호소의 물을 필요한 현장에서 직접 정화처리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질오염 방지장치(이하, '제1실시예'라 한다)가 도시된 구성도로,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취수원(30)에 이 취수원(30)의 물(이하, '원수'라 한다)을 퍼낼 수 있게 설치된 취수펌프(32), 이 취수펌프(32)가 퍼내는 원수를 이 원수가 수용될 담수처(40)로 이송하는 송수관로(34), 이 송수관로(34)를 따라 흐르는 원수에 공기와 처리에 요구되는 약품을 각각 주입하는 적어도 하나씩의 공기주입수단 및 약품주입수단, 원수와 이 원수에 주입된 약품을 뒤섞는 적어도 하나의 교반시설(36), 이 교반시설(36)에 의하여 섞인 원수 속의 조류 등 각종 현탁물질을 부상시키는 방식으로 원수와 분리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1)을 포함하고, 이 밖으로는 스컴(scum) 저장수단(56)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취수원(30)은 하천이나 호소일 수 있다. 그리고 담수처(40)는 다른 하천이나 호소, 인공저수조일 수 있다. 또는,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취수원(30)이 곧 담수처가 될 수도 있다.
취수펌프(32)는 취수원(30)으로부터 원수를 퍼내고 이 퍼내는 원수를 담수처(40)로 이송하는 데 필요한 압력을 제공한다.
송수관로(34)는 원수가 흐르는 관로를 제공하는 것인 바, 강철제의 내압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개거형의 관로를 제공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관(예를 들어, U자형 관)이 적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송수관로(34)에는 원수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공기주입수단, 약품주입수단, 교반시설(36), 하이드로사이클론(1)이 순차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중 공기주입수단의 경우에는 그 설치위치가 이점쇄선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처럼 교반시설(36)과 하이드로사이클론(1) 사이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공정 간에 이송펌프가 하나 이상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공기주입수단은 공기압축기, 압축공기저장탱크, 주입압력조절기, 유량조절기 등으로 이루어진 공기주입설비(50)로서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과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공기주입수단은 이와 달리, 압축공기를 미리 용해시켜 놓은 물, 즉 가압수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약품주입수단은 공기가 주입된 물에 처리약품으로서 응집제(flucclant)를 공급하는 응집제주입설비(51), 그리고 산(acid)과 염기로 구분된 pH약품을 공급하는 pH약품주입설비(52)를 포함한다. 물론, 이 밖에 원수의 처리에 필요하다면 다른 어떠한 약품주입설비라도 추가될 수 있다.
응집제주입설비(51)는 응집제용해조, 응집제용액저장조, 주입펌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중 주입펌프는 정량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며, 정량펌프를 적용하면 액상의 응집제를 제공할 수 있고 주입되는 응집제의 양을 자유롭게 특정 지을 수 있다. 응집제는 무기응집제와 유기응집제 중 어느 한 타입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이 둘을 조합한 타입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 pH약품주입설비(52)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응집제주입설비(51)가 응집제와 함께 pH약품을 주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교반시설(36)은 임펠러(impeller) 및 그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임펠러회전수단은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참고로, 송수관로(34)는 그 안에서 원수의 난류가 발생되는 바, 그 일부분을 인위적으로 지그재그로 구부려 난류의 발생을 도울 수도 있으며, 난류가 충분히 발생되는 경우에는 교반기(36)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드로사이클론(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이드로사이클론(1)은 공기가 과포화 용해된 원수로부터 형성된 미세기포나 강제 주입된 미세공기포에 원수 중의 현탁물질이 부착되어 수면으로 부상하게 함으로써 현탁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몸체(10), 공기주입수단, 배수량 조절수단(18), 현탁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한다.
사이클론 몸체(10)는 물을 내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횡단면이 원형인 용기의 구조를 가지는 것인 바, 둘레에는 물 유입관(12)이 접선방향으로 접속되어 그 관로를 물 유입구로 하고, 하부 가운데에는 배수관(16)이 접속되어 그 관로를 물 배출구로 한다. 이때, 물 유입관(12)은 필요한 경우 안정적인 선회류 생성을 위하여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모두 사이클론 몸체(10)에 둘레방향으로 동일간격을 두고 있도록 배치되고 이 상태로 동일한 접선방향으로 접속된다.
공기주입수단은 사이클론 몸체(10)에 공급되는 물에 공기를 주입한다. 이 공기주입수단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겠으나, 여기에서는 앞서 언급하였던 공기주입수단인 공기주입설비(50)를 이용하였다.
배수량 조절수단(18)은 배수관(16)에 설치된 유량조절밸브일 수 있는 바, 배수관(16)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사이클론 몸체 내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렇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수위감지센서 등을 갖출 수도 있다.
현탁물질 제거수단은 사이클론 몸체(10)에 공급되는 물속에 분산되어 있다가 물이 사이클론 몸체(10)를 통과하는 동안 물의 선회류 및 물에 주입된 공기의 포말에 의하여 수면의 선회류중심 부분으로 부상하여 일정한 높이에 모이는 현탁물질, 즉 스컴(scum)을 밖으로 수거하는 역할을 하는 바, 구성요소로서 현탁물질 회수관(14)을 포함한다. 현탁물질 회수관(14)은 그 입구가 사이클론 몸체(10)의 수면 아래에서 이 수면의 선회류중심 부분과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그 출구는 배수관(16)을 관통하여 밖으로 노출되며, 입구와 출구 측의 사이는 곧게 형성되어 선회류중심에 위치하도록 세워진다.
도 3은 하이드로사이클론의 현탁물질 부상원리에 대한 개념도로, 다음에서는 이 도 3을 참조, 현탁물질(슬러지입자를 예로 들기로 한다)이 물과 함께 하이드로사이클론(1)에 공급되어 선회류를 일으킨 때의 역학적 작용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선회류가 생긴 사이클론 몸체(10)의 내부에서 임의의 슬러지입자 M1은 중력에 의한 힘 Fg와 선회류의 회전중심인 A의 바깥쪽방향으로 Fc 크기의 원심력(centrifugal force)을 받게 된다.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슬러지입자 M1은 두 힘의 벡터 합인 Fv의 힘을 받는 것이 된다. 이때, 같은 위치의 물에서도 같은 힘을 받게 되므로 만약 이 슬러지입자 M1이 기포를 흡착하여 평균 밀도가 물의 그것보다 낮다면, 이 슬러지입자 M1은 힘 Fv의 반대방향으로 힘 Ff 만큼의 부상력을 받아 선회류의 회전중심 A를 향하여 떠오르게 된다. 이때의 부력은 평상시의 부력보다도 Fv/Fg배만큼 크게 나타나므로 부상속도는 더욱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임의의 슬러지입자 M2의 경우도 같은 작용을 받게 되는데, 이때도 부력은 선회류의 회전중심 A를 향하여 기울어져 작용하므로 수중의 슬러지 입자들은 궁극적으로 선회류의 회전중심 A와 수표면 H가 만나는 지점을 향하여 모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로 하이드로사이클론(1)은 물속에 분산되어 있는 현탁물질을 용이하게 한 점으로 모을 수 있고 현탁물질 회수관(14)을 통하여 간편하게 외부로 방 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수거된 스컴은 스컴 저장수단(56)에 모은 후 그대로 처리되거나 다시 농축 과정을 거쳐서 최종 처리된다. 반면, 현탁물질이 제거되어 정제된 처리수는 샌드 필터, 소독장치 등을 거치거나 그대로 담수처(40)로 이송되어 활용된다.
살펴본 바와 같은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취수펌프(32)가 퍼내는 취수원(30)의 원수는 송수관로(34)를 따라 담수처(40)로 흘러간다.
위의 과정에서, 응집제주입설비(51)는 응집제를 주입하고, pH약품주입설비(52)는 pH약품을 주입하는데, 응집제는 원수에 포함된 현탁물질과 응결, 플록을 만들어 쉽게 부상될 수 있도록 하고, pH약품은 플록의 생성을 돕는다. 그리고 공기주입설비(50)는 공기를 주입하는 바, 송수관로(34)를 따라 흐르는 원수 속에는 상압에서 과포화 수준의 공기가 용해되고, 일부 공기는 난류에 의하여 미세한 크기의 입자로 분산되기도 한다.
이후, 이렇게 공기, 응집제, pH약품이 섞인 원수는 이송 중 관로 내에서 생성되는 난류에 의하여 혼합되고,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는 교반시설(36)에 의하여 강제로 혼합된 뒤 하이드로사이클론(1)으로 향하게 된다.
하이드로사이클론(1)에 도달한 공기, 응집제, pH약품이 혼합된 혼합액은 사이클론 몸체(10)에서 낮은 압력과 느린 유속으로 생성된 기포를 포함하게 되고, 중력과 선회류의 회전력에 따라 현탁물질은 수면으로 부상하여 스컴을 형성한다. 이때, 부상된 스컴은 선회류의 중심 측으로 모여지고 현탁물질 회수관(1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 회수되어 스컴저장조(56)에 모여진 후 별도 처리 된다. 현탁물질이 분리된 아래쪽의 정제된 처리수는 샌드 필터 등 추가의 정제공정이나 소독처리공정을 거치거나 그대로 담수처(40)로 이송되어 활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원수 중 현탁물질에 대한 공기요구량 비는 0.05~0.2 정도가 적절하고, 하이드로사이클론(1)의 사이클론 몸체(10) 크기는 혼합수가 10~25분 정도 체류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통상적인 기포의 상승속도는 20~100mm/min 정도로 나타난다.
한편, 조류의 함량이 높은 원수는 고액분리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응집제로서 폴리염화알루미늄(poly aluminum chloride, PAC)을 17% 용액 기준 10~50ppm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수처리 고분자응집제 등을 0.2~1.0ppm 정도 추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폴리염화알루미늄 대신 성능은 다소 떨어지나 가격이 저렴한 황산알루미늄이나 염화제이철과 같은 약품을 가성소다와 같은 알칼리 용액과 함께 투입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 다양한 다른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은 제1실시예는 취수원(30)의 원수에 포함된 조류 등 현탁물질을 경제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하며, 시설물의 크기가 비교적 작으므로 하천이나 호소의 수상에서 선박 등 이동체에 탑재하여(또는, 부체에 의하여 물에 떠 있도록 설치하여) 자체 수질의 정화에 활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수 또는 폐수 등 오염이 심한 물의 수질오염 방지장치(이하, '제2실시예'라 한다)가 도시된 구성도로, 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송수관로(34)를 따라 하이드로사이클론(1)으로 흐르는 원수를 생물학적 처리법인 미생물 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처리하는 생물학적 수질정화수단(33)을 더 포함한다는 점만이 상이하다. 이때, 생물학적 수질정화수단(33)은 일례로 활성오니법의 구현이 가능한 처리설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현탁물질 제거수단의 현탁물질 회수관(14)은 입구가 사이클론 몸체(10) 내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현탁물질 회수관(14)은 그 입구가 수면 위에서 수면과 연접하여 있도록 배치한 후 진공펌프 등 을 이용하여 스컴을 뽑아내도록 할 수도 있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질오염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사이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하이드로사이클론의 현탁물질 부상원리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질오염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하이드로사이클론 10 : 사이클론 몸체
12 : 물 유입관 14 : 현탁물질 회수관
16 : 배수관 16 : 배수량 조절수단
30 : 취수원 32 : 취수펌프
33 : 생물학적 수질정화수단 34 : 송수관로
36 : 교반시설 40 : 담수처
50 : 공기주입설비 51 : 응집제주입설비
52 : pH약품 주입설비

Claims (7)

  1. 삭제
  2. 횡단면이 원형이고 둘레에 물 유입관이 접선방향으로 접속되며 하부에 이 물 유입관으로 유입되어 내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선회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이 접속된 사이클론 몸체,
    상기 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수단,
    상기 배수관을 통한 물 배출량을 조절하여 상기 사이클론 몸체 내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배수량 조절수단,
    상기 사이클론 몸체에 공급되는 물속에 분산되어 있다가 물이 상기 사이클론 몸체를 통과하는 동안 물의 선회류와 물에 주입된 공기의 포말에 의하여 상기 사이클론 몸체 내 수면과 선회류 중심이 만나는 부분으로 부상하여 일정한 높이에 모이는 현탁물질을 밖으로 수거하는 현탁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3. 청구항 2에 있어서, 물 유입관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사이클론 몸체에 동일한 접선방향으로 접속된 하이드로사이클론.
  4. 청구항 2에 있어서, 배수량 조절수단은,
    밸브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현탁물질 제거수단은, 현탁물질 회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현탁물질 회수관은, 입구가 상기 사이클론 몸체 내 수면의 아래에서 이 수면의 선회류중심 부분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하이드로사이클론.
  6. 취수원으로부터 물을 퍼내어 목적하는 곳으로 이송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가 퍼내는 물을 수용하여 이송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설치되어 이 관로를 따라 흐르는 물에 물의 처리를 위한 약품을 주입하는 약품주입수단,
    상기 관로에 설치되어 약품이 주입된 물속의 현탁물질을 물과 분리하는 것으로서 청구항 2에 기재된 하이드로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관로에 설치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상기 관로를 따라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으로 흐르는 물을 처리하는 생물학적 수질정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KR1020080052066A 2008-06-03 2008-06-03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Active KR10088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066A KR100882200B1 (ko) 2008-06-03 2008-06-03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PCT/KR2009/002963 WO2009148265A2 (ko) 2008-06-03 2009-06-03 하이드로사이클론 부상분리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시스템
US12/996,149 US20110084012A1 (en) 2008-06-03 2009-06-03 Hydrocyclone flotation system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EP09758518A EP2305386A4 (en) 2008-06-03 2009-06-03 HYDROCYCLONE FLOTATION SYSTEM AND SYSTEM FOR PREVENTING WATER POLLUTION WITH FLOTATION SYSTEM
CN2009801208324A CN102056673A (zh) 2008-06-03 2009-06-03 旋流浮选系统和配备有该旋流浮选系统的水污染防治系统
JP2010515986A JP2010527787A (ja) 2008-06-03 2009-06-03 ヒドロサイクロン方式の浮上分離装置及びそれを含む水質汚染防止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066A KR100882200B1 (ko) 2008-06-03 2008-06-03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200B1 true KR100882200B1 (ko) 2009-02-06

Family

ID=4068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066A Active KR100882200B1 (ko) 2008-06-03 2008-06-03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84012A1 (ko)
EP (1) EP2305386A4 (ko)
JP (1) JP2010527787A (ko)
KR (1) KR100882200B1 (ko)
CN (1) CN102056673A (ko)
WO (1) WO200914826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234A1 (ko) * 2012-04-12 2013-10-1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오수의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20190059479A (ko)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에이비테크 선회류 침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4295B2 (en) 2012-10-08 2018-02-06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Membrane bioreactor system using reciprocating membrane
US9422168B2 (en) 2013-04-24 2016-08-23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Dissolved air flotation device for liquid clarification
KR101639414B1 (ko) * 2013-07-04 2016-07-15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가압부상장치
CN203470193U (zh) * 2013-09-06 2014-03-12 刘学凯 淘金粗选装置
CN103539221A (zh) * 2013-10-10 2014-01-29 彭伟明 双涡旋体涡旋活化水的方法和装置
CN105498943B (zh) * 2015-12-16 2018-03-06 通辽矽砂工业公司 稳流多用硅砂泵池
JP7021553B2 (ja) * 2018-02-13 2022-0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ーラントタン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04Y1 (ko) * 1998-08-27 2001-01-15 이영섭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KR100806462B1 (ko) * 2006-12-08 2008-02-21 한상배 수질정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72B1 (ko) * 1971-05-24 1976-01-13
US4399027A (en) * 1979-11-15 1983-08-16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Flo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chieving flotation in a centrifugal field
US4414112A (en) * 1982-01-29 1983-11-08 Recovery Technology Associates Oil/water separator
JPS6028880A (ja) * 1983-07-28 1985-02-14 Mizu Kemikaruzu:Kk 排水の油分離装置
US4997549A (en) * 1989-09-19 1991-03-05 Advanced Processing Technologies, Inc. Air-sparged hydrocyclone separator
DE69102785T2 (de) * 1990-02-09 1994-11-10 Masakatsu Ozawa Vorrichtung für Trennung durch Druckbeaufschlagung und Flotation.
US5240600A (en) * 1990-07-03 1993-08-31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ystems, Inc., Usa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5069751A (en) * 1990-08-09 1991-12-03 Kamyr, Inc. Hydrocyclone deinking of paper during recycling
US5131980A (en) * 1990-08-09 1992-07-21 Kamyr, Inc. Hydrocyclone removal of sticky contaminants during paper recycling
ZA915186B (en) * 1990-11-08 1992-03-25 Kamyr Inc Foam removal from receiving tanks of gas sparged hydrocyclones
US5458738A (en) * 1993-09-08 1995-10-17 Kamyr, Inc. Clarifying suspended solids from liquid process streams
JP2652613B2 (ja) * 1993-11-02 1997-09-10 一豊 杉原 浄化装置
JPH0975916A (ja) * 1995-09-18 1997-03-25 Kimura Chem Plants Co Ltd 気液接触装置及び浮上分離装置
FI104852B (fi) * 1997-12-30 2000-04-14 Valmet Corp Menetelmä öljyn ilmapitoisuuden saattamiseksi tasapainotilaan kiertovoitelu- ja telahydrauliikkajärjestelmissä
JP3949811B2 (ja) * 1998-04-02 2007-07-25 永和国土環境株式会社 排水処理装置
DE10201916A1 (de) * 2001-01-24 2002-07-25 Oekag Wassertechnik Schweiz Ag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Trennen von aufschwimmbaren und sedimentierbaren Stoffen aus damit verunreinigtem Wasser
JP3634791B2 (ja) * 2001-10-31 2005-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被除去物の除去方法
JP2003190708A (ja) * 2001-12-25 2003-07-08 Aura Tec:Kk 油水分離装置
CA2422608A1 (en) * 2002-05-10 2003-11-10 Maurice Lacasse Transportable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441628B1 (ko) * 2004-04-20 2004-07-23 아태수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싸이크론식 분리기와 회전식 디스크 여과기를 이용한비점오염물질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US7267232B2 (en) * 2004-04-30 2007-09-1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Flotation device and method of froth flotation
GB2423490B (en) * 2005-02-23 2009-05-20 Dps Sepa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04Y1 (ko) * 1998-08-27 2001-01-15 이영섭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KR100806462B1 (ko) * 2006-12-08 2008-02-21 한상배 수질정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234A1 (ko) * 2012-04-12 2013-10-1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오수의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US9346695B2 (en) 2012-04-12 2016-05-24 Pos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Apparatus for purifying wastewater and method thereof
KR20190059479A (ko)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에이비테크 선회류 침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4012A1 (en) 2011-04-14
EP2305386A2 (en) 2011-04-06
EP2305386A4 (en) 2012-04-04
CN102056673A (zh) 2011-05-11
WO2009148265A2 (ko) 2009-12-10
JP2010527787A (ja) 2010-08-19
WO2009148265A3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200B1 (ko)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KR101779748B1 (ko) 수처리 시스템
CA276709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ell flow-back and produced water or other wastewater
KR101000742B1 (ko) 장방형 침전지의 개조에 의한 인 제거효율 향상 방법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100808289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1835271B1 (ko)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CA2963306C (en) Water treatment process employing dissolved air flotation to remove suspended solids
KR20160029272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KR101602289B1 (ko)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KR20160032067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KR100319326B1 (ko) 하천수의 현위치 정화장치
KR101020238B1 (ko) 나노 입자 공기 부상을 이용한 하ㆍ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01981B1 (ko) 와류식 고효율 가압고액분리장치
KR101164660B1 (ko) 저수지 및 연못 수질정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 처리시스템
CN111908663A (zh) 一种高盐度矿井水强化预处理系统及方法
CN216106335U (zh) 一种新型气浮预处理系统
KR20110071481A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646042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US3075645A (en) Water treatment in municipal and industrial water systems
JP2009056346A (ja) 汚濁泥水処理システム
KR101612879B1 (ko) 하수의 질소, 인 및 부유물 제거 장치 및 방법
CN207031138U (zh) 一种钻井废液化学与膜耦合处理系统
KR100985064B1 (ko) 이동식 실시간 수질정화장치
KR200371017Y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