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88882B1 -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882B1
KR100888882B1 KR1020080093412A KR20080093412A KR100888882B1 KR 100888882 B1 KR100888882 B1 KR 100888882B1 KR 1020080093412 A KR1020080093412 A KR 1020080093412A KR 20080093412 A KR20080093412 A KR 20080093412A KR 100888882 B1 KR100888882 B1 KR 10088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
molecular weight
propanedi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이창규
Original Assignee
김창현
이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현, 이창규 filed Critical 김창현
Priority to KR102008009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882B1/ko
Priority to CN200980000405.2A priority patent/CN101855268B/zh
Priority to PCT/KR2009/002018 priority patent/WO2010035931A1/ko
Priority to JP2010530944A priority patent/JP2010534276A/ja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785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하나 또는 2개의 반응기를 사용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킨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 방법은, 하나 또는 2개의 반응기 또는 하나의 니더형 압출기를 사용하여, 1,3-프로판디올 및 테레프탈산 또는 1,3-프로판디올 및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프로필렌 대 테레프탈레이트기의 몰비가 1.1 내지 2.2가 되도록 반응기 또는 니더형 압출기의 원료투입구에 공급하고, 반응기 또는 니더형 압출기 내에서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한 후, 중합반응 촉매 및 첨가제를 반응기 또는 니더형 압출기의 보조 투입구에 공급하며 반응기 또는 니더형 압출기의 후반부에 진공을 가하면서 중축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고, 반응기 또는 니더형 압출기와 직접 연결된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Description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폴리(1,3-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oly(1,3-propylene terephthalate))'로도 지칭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 또는 2개의 반응기를 사용하여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킨 제조공정이 간편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폴리 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PTT'라 한다)는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일종으로서 기존의 합성구조를 바꾸어 촉감을 나일론과 같거나 그 보다 좋게 만든 것이며 친피부적인 원사를 말한다. 이러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 공정은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제조공정과 같이 1,3-프로판디올(1,3-propanediol)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또는 1,3-프로판디올 및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원료의 혼합단계, 1,3-프로판디올 및 테레프탈산의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1,3-프로판디 올 및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통한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생성단계,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이용한 중축합공정을 통한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생성단계,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결정화 후 고상중합(solid state polymerization)단계 등 최소 3 또는 4 단계의 제조공정을 거치며, 이의 연속생산을 위해 각 제조 단계별로 각각 다른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회분식 제조 방법이 미국특허등록 제 5,340,909호에 소개되어 있다. 미국특허등록 제5,340,909호에서는 저급 디알킬 테레프탈레이트 에스테르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한 에스테르 교환반응 또는 테레프탈산의 직접 에스테르화에 이은 중축합 반응을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회분식으로 수행함으로써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연속 제조 방법은 듀폰사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713759호, 특허등록 제 10-0713761호에 소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및 1,3-프로판디올로부터 에스테르 교환 반응 또는 테레프탈산 및 1,3-프로탄디올의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단계, 이를 예비중합 반응기로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상대점도가 약 5이상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이를 다시 최종 중합 반응기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대점도가 약 17이상인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연속 제조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각 제조 단계별로 다른 종류의 반 응기를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많은 수의 반응기(최소 3개 이상)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를 위한 새로운 공정, 즉 반응기의 사용개수를 줄이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 또는 2개의 반응기를 사용하여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를 제조할 수 있도록 폴리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킨 제조공정이 간편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출기형 반응기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단순화된 제조공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알려진 3 내지 4개의 반응기를 순차적으로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공정과는 달리 압출기형 반응기 1개 내지 2개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응기 내부에 1개 또는 2개의 압출기형 스크류가 장착되고, 반응기는 분리조절장치(S)에 의해 전반부 및 후반부 두 개의 부분으로 구분되고, 반응기 전반부(P1)에 원료투입구(F11)와 수분 또는 메탄올 배출을 위한 배출구(V11)가 있으며, 반응기 후반부(P2)에 촉매 및 첨가제 투입을 위한 보조 투입구(F12)가 1개 이상 장착되고 진공펌프와 연결된 연결부(V12)가 1개 이상 구성된 반응기를 이용하여, i) 1,3-프로판디올 및 테레프탈산 또는 1,3-프로판디올 및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프로필렌 대 테레프탈레이트기의 몰비가 1.1 내지 2.2가 되도록 압출기형 반응기 전반부(P1)의 원료투입구에 공급하고, ii) 압출기형 반응기 전반부(P1)에서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한 후, iii) 중합반응 촉매 및 첨가제를 압출기형 반응기 후반부(P2)의 보조 투입구(F12)에 공급하고, 반응기 후반부(P2)에 진공을 가하면서 중축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고, iv) 압출기형 반응기와 직접 연결된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 시키는 일련의 단계를 거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한다.
대안적으로, 압출기형 반응기 2대(R1, R2)가 시리즈로 연결된 반응기로서, 첫 번째 반응기(R1)에는 원료투입구(F21)와 수분 또는 메탄올 배출을 위한 배출구(V21)가 장착되고, 두 번째 반응기(R2)에는 중축합 촉매 및 첨가제 투입을 위한 보조 투입구(F22)가 1개 이상 장착되고 진공펌프와 연결된 연결부(V22)가 1개 이상 장착된 상기 압출기형 반응기 2대가 시리즈로 연결된 반응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공급하는 단계,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펠렛화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한다.
또한, 원료투입구(K-F1)와 배출구(K-V1)가 장착된 니더(Kneader)형 압출기로서, 상기 배출구(K-V1)는 조절밸브를 통해 외부 또는 진공펌프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니더(Kneader)형 압출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공급하는 단계,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펠렛화시키는 단계를 회분식으로 운전하여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 또는 2개의 반응기를 사용함으로써 단순화되고 간편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제조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압출기형 반응기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첫 번째 원료투입구(F11)에 1,3-프로판디올과 테레프탈산을 투입하며, 이때 투입된 1,3-프로판디올 대 테레프탈산의 몰비가 1.1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이 되도록 유지한다. 원료물질은 외부에서 혼합한 후 압출기형 반응기의 첫 번째 원료투입구(F11)에 투입하거나, 각각의 원료를 원료투입구(F11)에 투입하여 혼합과 동시에 반응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 때 원료를 투입함과 동시에 촉매를 투입할 수도 있고, 투입하지 않을 수도 있다. 촉매를 투입한다면 반응기 전반부(P1)에서의 1,3-프로판디올과 테레프탈산의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을 위해 직접에스테르화 반응 촉매를 넣을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로는 유기-티탄 및 유기-주석 화합물이 있으며, 각각 최종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ppm 이상의 티탄 또는 50 ppm 이상의 주석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첨가된다. 이렇게 투입된 원료는 반응기 중간에 위치한 보조투입구(F12)에 이르기까지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에서 1,3-프로판디올과 테레프탈산의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저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된다. 이때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의 온도는 180~240℃, 바람직하게는 200~210℃를 유지한다. 또한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에는 1,3-프로판디올과 테레프탈산의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수분이 잘 제거될 수 있도록 배출구(V11)를 구성하여 수분에 의한 역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과 후반부(P2)의 사이에 배치된 분리조절장치(S)에 의해서 반응기 전반부(P1)에서 생성된 반응물, 즉 저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후반부(P2)로 넘어가는 양이 조절된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의 원료투입구(F11)를 통해 원료가 투입된 후 1,3-프로판디올과 테레프탈산의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이 진행되면서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생성되면서 반응기 내부의 점도가 증가하게 된다. 투입된 원료의 반응 정도에 따라 점도가 결정되는데 스크류에 걸리는 토크(torque) 값을 측정함으로써 전반부(P1)에서 반응물의 점도를 측정하여, 점도가 일정수준으로 증가하게 되면 분리조절장치(S)의 개폐장치를 작동하여 압출기형 반응기의 후반부(P2)로 반응물을 이동시킨다. 이때 반응기의 전반부(P1)에 투입된 원료의 전환율이 70% 이상 95%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80% 미만일 때의 점도에서 분리조절장치(S)의 개폐장치를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된 원료의 전환율이 70% 미만일 때는 반응기 후반부(P2)에서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지연되어 고분자량의 중합체를 얻기가 힘들고, 전환율이 95% 이상이면 반응기의 전반부(P1)에서의 체류시간이 너무 길어지고 반응시간이 길어져 경제성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분리조절장치(S)의 기능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조절장치가 없는 2대의 압출기형 반응기를 시리즈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도 원하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이 분리조절장치(S)에 의해서 반응기의 전반부(P1)에서 후반부(P2)로 전달된 저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보조투입구(F12)에 이르러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와 함께 중축합반응에 진입하며, 반응기형 압출기의 후반부(P2)에서 고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생성되게 된다. 이때 투입되는 촉매로서 에스테르 교환 공정에 유용한 촉매로는 티탄, 란탄 및 아연의 유기 및 무기화합물을 포함한다. 티탄 촉매는, 예를들어 테트라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 및 테프라이소부틸 티타네이트가 바람직하며,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90 ppm(백만분의 1)의 티탄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첨가된다. 또 다른 유용한 촉매는 란탄 아세테이트로서,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250 ppm(백만분의 1)의 란탄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이어서, 최종 중합체를 기준으로 10내지 50 중량 ppm의 인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인산을 첨가하여 란탄을 실활시킨다. 이어서 테트라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 또는 테트라이소부틸 티타네이트가 중축합 촉매로서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10내지 50ppm의 티탄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첨가된다. 다른 에스테르 교환 촉매의 양은 20내지 90ppm의 티탄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도록 조절된다. 또한 촉매와 함께 첨가되는 안정제로서 티탄계화합물로는 포스페이트계 또는 아미노알킬계가 적절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네오펜틸(디아릴) 옥시트리(디옥틸)포스파토티타네이트, 네오펜틸(디아릴) 옥시트리(디옥틸)파이로포스파토 티타네이트, 네오펜틸(디아릴)옥시트리(N-에틸렌디아미노) 에틸티타네이트 및 네오펜틸 (디아릴)옥시트리(m-아미노)페닐티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사용량은 원료인 테레프탈산 100 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0.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만일 상 기 안정제의 첨가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안정제로서의 효과가 불충분하여 폴리머가 열분해되어 제반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0.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중합체의 색상이 나빠지며, 강도가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기타 첨가제로서 인산과 같은 착색 억제제, 이산화티탄과 같은 소광제, 그리고 기타 염색성 개질제, 안료 및 표백제를 첨가제로 사용함으로써 최종 중합체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즉 중축합 반응이 일어나기 직전에 반응기 후반부(P2)의 보조 투입구(F12)에 투입할 수도 있지만,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이 일어나기 전, 즉 원료를 투입함과 동시에 반응기의 전반부(P1)의 원료투입구(F11)에 투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반부(P1)에 이미 촉매를 투입하였기 때문에 중축합 반응이 일어나기 전, 후반부(P2)의 보조투입구(F12)에 촉매를 다시 투입할 필요는 없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후반부(P2)에서는 전반부(P1)에서 넘어온 저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보조투입구(F12)에서 첨가된 촉매와 혼합이 이루어지면서 고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생성되게 된다. 이는 반응기의 후반부(P2)에서 반응기의 가열, 혼련(mixing), 진공 그리고 촉매에 의해 달성된다. 반응기의 후반부(P2)에서는 최종 중합체의 분자량을 최대화시켜, 섬유방사 또는 다른 플라스틱 성형 공정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기의 후반부(P2)의 온도는 약 200 내지 260℃, 바람직하게는 약 220 내지 240℃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압출기형 반응기는 반응기 내부에 1개 또는 2개의 스크류가 있어 중합체의 혼련(mixing)을 향상시켜 주어 에스테르 교환 반응 효율을 증진시키며, 기존의 중합반응기 시스템에 비하여 중합체가 받는 마찰열을 줄여주어 국부적인 중합체의 열분해를 방지함으로써 최종 중합체의 황변현상(yellowness)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반응기가 일반적인 압출기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반응기 후반부(P2)를 여러부위로 분할하여 온도조절함으로써 반응기 내부의 온도조절이 정확하게 가능하게 함으로써 반응기 내부의 국부적인 온도상승으로 인한 열분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후반부(P2)에서는 중합체의 분자량을 높이기 위해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1,3-프로판디올을 외부로 제거해 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진공을 가할 수 있도록 외부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연결부(V12)가 구성되어 있으며, 반응기 후반부(P2)의 압력은 약 0.5 내지 3.0 mmHg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후반부(P2)의 압력을 약 0.5 내지 3.0 mmHg로 유지하게 되면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생성된 1,3-프로판디올이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연결부(V12)를 통해 외부로 제거되는데, 이는 1.3-프로판디올의 끓는점이 200oC 부근으로 반응기에 진공을 걸어주게 되면 고분자량의 중합체는 반응기에 남고 1,3-프로판디올만 외부로 제거되어 1,3-프로판디올에 의한 중합체의 분해반응을 방지하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계속 진행되어 중합체의 분자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반응기 외부로 제거되는 1,3-프로판디올은 응축기를 통해 회수하여 다시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기 후반부(P2)를 통해 생성된 최종 중합체는 반응기 후반부(P2)의 다이(die)와 직접 연결된 수냉방식의 펠렛타이저(underwater die-face pelletizing system) - 반응기 후반부(P2) 끝에 구성된 중합체 배출구에 회전하는 칼날이 부착되고 냉각수가 공급되면서 칼날이 회전하여 배출되는 중합체를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 -에 의해 펠렛 형태로 제작되고 냉각수와 함께 이송된 최종 중합체는 탈수 및 건조의 과정을 거쳐 포장됨으로써 완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펠렛타이저는 일반적인 고분자 수지의 압출기에서 사용하는 수냉방식의 underwater die-face pelletizer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탈수 및 건조시에 중합체의 결정화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의 방식으로 제조된 최종 중합체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ASTM D 4603-96에 따라 60/40 중량%의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 중 고유 점도 측정 방식으로 측정하여 상대점도가 약 0.5 dl/g 이상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도 2에는 2대의 압출기형 반응기를 시리즈로 연결된 형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반응기, 즉 첫 번째 반응기(R1)와 두 번째 반응기(R2)의 온도 및 압력 등의 공정조건은 도 1에서 설명한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과 후반부(P2)의 공정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체를 제조하며, 사용하는 원료, 촉매 및 첨가제의 함량은 도 1의 압출기형 반응기의 조건과 동일하다. 또한,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즉 중축합 반응이 일어나기 직전에 두번째 반응기(R2)에 투입할 수도 있지만,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이 일어나기 전, 즉 원료를 투입함과 동시에 첫번째 반응기(R1)에 투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미 촉매를 투입하였기 때문에 중축합 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두번째 반응기(R2)에 촉매를 다시 투입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조절장치(S)가 없는 압출기형 반응기 1대를 회분식(batch-type)으로 운전함으로써도 원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압출기형 반응기를 회분식(batch-type)으로 운전할 경우에 이러한 압출기형 반응기를 니더(kneader)형 압출기, 또는 니더(kneader)형 반응기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회분식으로 운전할 경우에는 각 반응단계를 하나의 니더형 반응기로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니더형 반응기를 참조하면, 니더형 반응기의 원료투입구(K-F1)에 1,3-프로판디올과 테레프탈산이 투입되며, 이때 투입된 1,3-프로판디올 대 테레프탈산의 몰비가 1.1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이 되도록 유지한다. 원료물질은 외부에서 혼합한 후 원료투입구(K-F1)에 투입하거나, 각각의 원료를 원료투입구(K-F1)에 투입하여 혼합과 동시에 반응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렇게 투입된 원료는 1,3-프로판디올과 테레프탈산의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저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생성된다. 이때 니더형 반응기의 온도는 180~240℃, 바람직하게는 200~210℃를 유지한다. 또한 니더형 반응기에서 1,3-프로판디올과 테레프탈산의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수분이 잘 제거될 수 있도록 배출구(K-V1)를 구성하여 수분에 의한 역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배출구(K-V1)의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니더형 압출기와 진공펌프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외부로 수분이 배기(Vent)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이 진행되면서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생성되면서 반응기 내부의 점도가 투입된 원료의 전환율이 70%이상 95% 미만 이 되는 점도에 도달하게 되면, 원료투입구에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 및 첨가제를 투입하여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중축합 반응을 진행한다.(촉매 및 첨가제는 원료 투입과 동시에 투입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축합 반응 전에 재차 투입할 필요는 없다.) 이 때 배출구(K-V1)의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니더형 압출기와 진공펌프와 연결되도록 조절하여 니더형 압출기 내부에 진공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중축합 반응이 진행되는 운전조건은 도 1의 압출기형 반응기 후반부(P2)의 운전조건과 동일하게 운전한다. 니더형 압출기를 통해 생성된 최종 중합체는 압출기 끝의 다이(die)와 직접 연결된 수냉방식의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 시킨 후 탈수 및 건조과정을 거쳐 최종 제품을 제조한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를 위해 상기한 원료 이외에 1,3-프로판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의 압출기형 반응기의 첫 번째 원료투입구(F11)에 1,3-프로판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와 함께 투입하며, 이때 투입된 1,3-프로판디올 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몰비가 1.1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이 되도록 유지한다. 원료물질은 외부에서 혼합한 후 압출기형 반응기의 첫 번째 원료투입구(F11)에 투입하거나, 각각의 원료를 원료투입구(F11)에 투입하여 혼합과 동시에 반응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렇게 투입된 원료는 반응기 중간에 위치한 보조투입구(F12)에 이르기까지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에서 1,3-프로판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저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된다. 이때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의 온도는 180~240℃, 바람직하게는 200~210℃를 유지한다. 또한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에는 1,3-프로판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메탄올이 잘 제거될 수 있도록 배출구(V11)를 구성하여 메탄올에 의한 역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과 후반부(P2)의 사이에 배치된 분리조절장치(S)에 의해서 반응기 전반부(P1)에서 생성된 반응물, 즉 저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후반부(P2)로 넘어가는 양이 조절된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의 원료투입구(F11)를 통해 원료가 투입된 후 1,3-프로판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진행되면서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생성되면서 반응기 내부의 점도가 증가하게 된다. 투입된 원료의 반응 정도에 따라 점도가 결정되는데 스크류에 걸리는 토크(torque) 값을 측정함으로써 전반부(P1)에서 반응물의 점도를 측정하여, 점도가 일정수준으로 증가하게 되면 분리조절장치(S)의 개폐장치를 작동하여 압출기형 반응기의 후반부(P2)로 반응물을 이동시킨다. 이때 반응기의 전반부(P1)에 투입된 원료의 전환율이 70% 이상 95%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80% 미만일 때의 점도에서 분리조절장치(S)의 개폐장치를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된 원료의 전환율이 70% 미만일 때는 반응기 후반부(P2)에서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지연되어 고분자량의 중합체를 얻기가 힘들고, 전환율이 90% 이상이면 반응기의 전반부(P1)에서의 체류시간이 너무 길어지고 반응시간이 길어져 경제성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분리조절 장치(S)의 기능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조절장치가 없는 2대의 압출기형 반응기를 시리즈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도 원하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이 분리조절장치(S)에 의해서 반응기의 전반부(P1)에서 후반부(P2)로 전달된 저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보조투입구(F12)에 이르러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와 함께 중축합반응에 진입하며, 압출기형 반응기의 후반부(P2)에서 고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생성되게 된다. 반응기 후반부(P2)의 보조투입구(F12)에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를 추가적으로 더 첨가할 수도 있다. 보조투입구(F12)에는 앞서 언급한 안정제를 첨가하여 폴리머가 열분해되어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기타의 첨가제로 착색 억제제, 소광제, 염색성 개질제, 안료 및 표백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최종 중합체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후반부(P2)에서는 전반부(P1)에서 넘어온 저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에스테르 교환방응을 통해 고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생성되게 된다. 이는 반응기의 후반부(P2)에서 반응기의 가열, 혼련(mixing), 진공 그리고 촉매에 의해 달성된다. 반응기의 후반부(P2)에서는 최종 중합체의 분자량을 최대화시켜, 섬유방사 또는 다른 플라스틱 성형 공정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기의 후반부(P2)의 온도는 약 200 내지 260℃, 바람직하게는 약 220 내지 240℃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압출기형 반응기는 반응기 내부에 1개 또는 2개의 스크류가 있어 중합체의 혼련(mixing)을 향상시켜 주어 에스테르 교환 반응 효율을 증진시키며, 기존의 중합반응기 시스템에 비하여 중합체가 받는 마찰열을 줄여주어 국부적인 중합 체의 열분해를 방지함으로써 최종 중합체의 황변현상(yellowness)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반응기가 일반적인 압출기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반응기 후반부(P2)를 여러부위로 분할하여 온도조절함으로써 반응기 내부의 온도조절이 정확하게 가능하게 함으로써 반응기 내부의 국부적인 온도상승으로 인한 열분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후반부(P2)에서는 중합체의 분자량을 높이기 위해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1,3-프로판디올을 외부로 제거해 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진공을 가할 수 있도록 외부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연결부(V12)가 구성되어 있으며, 반응기 후반부(P2)의 압력은 약 0.5 내지 3.0 mmHg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기형 반응기의 후반부(P2)의 압력을 약 0.5 내지 3.0 mmHg로 유지하게 되면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생성된 1,3-프로판디올이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연결부(V12)를 통해 외부로 제거되는데, 이는 1.3-프로판디올의 끓는점이 200oC 부근으로 반응기에 진공을 걸어주게 되면 중합체는 반응기에 남고 1,3-프로판디올만 외부로 제거되어 1,3-프로판디올에 의한 중합체의 분해반응을 방지하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계속 진행되어 중합체의 분자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반응기 외부로 제거되는 1,3-프로판디올은 응축기를 통해 회수하여 다시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기 후반부(P2)를 통해 생성된 최종 중합체는 반응기 후반부(P2)의 다이(die)와 직접 연결된 수냉방식의 펠렛타이저(underwater die-face pelletizing system) - 반응기 후반부(P2) 끝에 구성된 중합체 배출구에 회전하는 칼날이 부착 되고 냉각수가 공급되면서 칼날이 회전하여 배출되는 중합체를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 -에 의해 펠렛 형태로 제작되고 냉각수와 함께 이송된 최종 중합체는 탈수 및 건조의 과정을 거쳐 포장됨으로써 완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펠렛타이저는 일반적인 고분자 수지의 압출기에서 사용하는 수냉방식의 underwater die-face pelletizer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탈수 및 건조시에 중합체의 결정화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의 방식으로 제조된 최종 중합체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ASTM D 4603-96에 따라 60/40 중량%의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 중 고유 점도 측정 방식으로 측정하여 상대점도가 약 0.5 dl/g 이상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1,3-프로판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원료로 사용하여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2대의 압출기형 반응기를 시리즈로 연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반응기, 즉 첫 번째 반응기(R1)와 두 번째 반응기(R2)의 온도 및 압력 등의 공정조건은 도 1에서 설명한 압출기형 반응기의 전반부(P1)과 후반부(P2)의 공정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체를 제조하며, 사용하는 원료, 촉매 및 첨가제의 함량은 도 1의 압출기형 반응기의 조건과 동일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조절장치(S)가 없는 압출기형 반응기 1대를 회분식(batch-type)으로 운전함으로써도 1,3-프로판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원료를 이용하여 원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니더형 반응기를 참조하면, 니더형 반응기의 원료투입구(K-F1)에 1,3-프로판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가 투입되며, 이때 투입된 1,3-프로판디올 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몰비가 1.1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이 되도록 유지한다. 원료물질은 외부에서 혼합한 후 원료투입구(K-F1)에 투입하거나, 각각의 원료를 원료투입구(K-F1)에 투입하여 혼합과 동시에 반응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렇게 투입된 원료는 1,3-프로판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저분자량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생성된다. 이때 니더형 반응기의 온도는 180~240℃, 바람직하게는 200~210℃를 유지한다. 또한 니더형 반응기에서 1,3-프로판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메탄올이 잘 제거될 수 있도록 배출구(K-V1)를 구성하여 메탄올에 의한 역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배출구(K-V1)의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니더형 압출기와 진공펌프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외부로 메탄올이 배기(Vent)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진행되면서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생성되면서 반응기 내부의 점도가 투입된 원료의 전환율이 70%이상 95%미만이 되는 점도에 도달하게 되면, 원료투입구에 안정제 및 첨가제를 투입하여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중축합 반응을 진행한다. 이때 배출구(K-V1)의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니더형 압출기와 진공펌프와 연결되도록 조절하여 니더형 압출기 내부에 진공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중축합 반응이 진행되는 운전조건은 도 1의 압출기형 반응기 후반부(P2)의 운전조건과 동일하게 운전한다. 니더형 압출기를 통해 생성된 최종 중합체는 압출기 끝의 다이(die)와 직 접 연결된 수냉방식의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 시킨 후 탈수 및 건조과정을 거쳐 최종 제품을 제조한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반응기 또는 니더형 압출기가 1개 또는 2개의 압출기형 스크류가 장착된 압출기 타입의 경우로 한정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교반기 타입의 반응기를 포함하여 기타 다양한 타입의 반응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순화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제조공정에 의하면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를 효율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분리조절장치가 장착된 1개의 압출기형 반응기를 이용하여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2는 분리조절장치가 없는 2개의 압출기형 반응기를 시리즈로 연결하여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3은 니더형 압출기를 이용하여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이다.

Claims (11)

  1.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리조절장치(S)에 의해 전반부(P1) 및 후반부(P2) 두 개의 부분으로 구분되는 반응기로서, 반응기 전반부(P1)에 원료투입구(F11)와 배출구(V11)가 있으며, 반응기 후반부(P2)에 보조 투입구(F12)가 1개 이상 장착되고 진공펌프와 연결된 연결부(V12)가 1개 이상 구성된 반응기를 이용하여,
    i) 1,3-프로판디올 및 테레프탈산을 1,3-프로판디올 대 테레프탈산의 몰비가 1.1 내지 2.2가 되도록 반응기 전반부(P1)의 원료투입구(F11)에 공급하는 단계;
    ii) 반응기 전반부(P1)에서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iii)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 및 첨가제를 반응기 후반부(P2)의 보조 투입구(F12)에 공급하고, 반응기 후반부(P2)에 진공을 가하면서 중축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iv) 반응기와 직접 연결된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 방법.
  2.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리조절장치(S)에 의해 전반부(P1) 및 후반부(P2) 두 개의 부분으로 구분되는 반응기로서, 반응기 전반부(P1)에 원료투입구(F11)와 배출구(V11)가 있으며, 반 응기 후반부(P2)에 보조 투입구(F12)가 1개 이상 장착되고 진공펌프와 연결된 연결부(V12)가 1개 이상 구성된 반응기를 이용하여,
    i) 1,3-프로판디올 및 테레프탈산을 1,3-프로판디올 대 테레프탈산의 몰비가 1.1 내지 2.2가 되도록 반응기 전반부(P1)의 원료투입구(F11)에 공급하고,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를 원료투입구에 공급하는 단계;
    ii) 반응기 전반부(P1)에서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iii) 첨가제를 반응기 후반부(P2)의 보조 투입구(F12)에 공급하고, 반응기 후반부(P2)에 진공을 가하면서 중축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iv) 반응기와 직접 연결된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 방법.
  3.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리조절장치(S)에 의해 전반부(P1) 및 후반부(P2) 두 개의 부분으로 구분되는 반응기로서, 반응기 전반부(P1)에 원료투입구(F11)와 배출구(V11)가 있으며, 반응기 후반부(P2)에 보조 투입구(F12)가 1개 이상 장착되고 진공펌프와 연결된 연결부(V12)가 1개 이상 구성된 반응기를 이용하여,
    i) 1,3-프로판디올 및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1,3-프로판디올 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몰비가 1.1 내지 2.2가 되도록 반응기 전반부(P1)의 원료투입 구(F11)에 공급하고,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를 원료투입구(F11)에 공급하는 단계;
    ii) 반응기 전반부(P1)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iii) 첨가제를 반응기 후반부(P2)의 보조 투입구(F12)에 공급하고, 반응기 후반부(P2)에 진공을 가하면서 중축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iv) 반응기와 직접 연결된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전반부(P1) 내에 투입된 원료가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70% 이상 95% 미만으로 전환되었을 때 반응기 전반부(P1)와 반응기 후반부(P2) 사이에 설치된 점도분리조절장치(S)의 개폐장치를 작동하여 반응기의 후반부(P2)로 반응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내부에 1개 또는 2개의 압출기형 스크류가 장착되어 있는 압출기형 반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내부는 1개 또는 2개의 압출기형 스크류가 장착되어 있는 압출기형 반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 방법.
  7.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응기 2대(R1, R2)가 시리즈로 연결된 반응기로서, 첫 번째 반응기(R1)에는 원료투입구(F21)와 배출구(V21)가 장착되고, 두 번째 반응기(R2)에는 보조 투입구(F22)가 1개 이상 장착되고 진공펌프와 연결된 연결부(V22)가 1개 이상 장착된 상기 반응기 2대가 시리즈로 연결된 반응기를 이용하여,
    i) 1,3-프로판디올 및 테레프탈산을 1,3-프로판디올 대 테레프탈산의 몰비가 1.1 내지 2.2가 되도록 첫 번째 반응기(R1)의 원료투입구(F21)에 공급하는 단계;
    ii) 첫 번째 반응기(R1)에서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iii) 생성된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두번째 반응기(R2)에 전달함과 동시에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 및 첨가제를 공급하고, 두 번째 반응기(R2)에 진공을 가하면서 중축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iv) 두번째 반응기(R2)에 직접 연결된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 방법.
  8.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응기 2대(R1, R2)가 시리즈로 연결된 반응기로서, 첫 번째 반응기(R1)에는 원료투입구(F21)와 배출구(V21)가 장착되고, 두 번째 반응기(R2)에는 보조 투입구(F22)가 1개 이상 장착되고 진공펌프와 연결된 연결부(V22)가 1개 이상 장착된 상기 반응기 2대가 시리즈로 연결된 반응기를 이용하여,
    i) 1,3-프로판디올 및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1,3-프로판디올 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몰비가 1.1 내지 2.2가 되도록 첫 번째 반응기(R1)의 원료투입구(F21)에 공급하고,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를 원료투입구(F21)에 공급하는 단계;
    ii) 첫 번째 반응기(R1)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iii) 생성된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두번째 반응기(R2)에 전달함과 동시에 첨가제를 공급하고, 두 번째 반응기(R2)에 진공을 가하면서 중축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iv) 두번째 반응기(R2)에 직접 연결된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시리즈로 연결된 상기 반응기들(R1,R2)은 내부에 1개 또는 2개의 압출기형 스크류가 장착되어 있는 압출기형 반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 방법.
  10.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투입구(K-F1)와 배출구(K-V1)가 장착된 니더(Kneader)형 압출기로서, 상기 배출구(K-V1)는 조절밸브를 통해 외부 또는 진공펌프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니더(Kneader)형 압출기를 이용하여,
    i) 1,3-프로판디올 및 테레프탈산을 1,3-프로판디올 대 테레프탈산의 몰비가 1.1 내지 2.2가 되도록 원료투입구(K-F1)에 공급하는 단계;
    ii)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iii)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 및 첨가제를 원료 투입구(K-F1)에 공급하고, 니더형 압출기에 진공을 가하면서 중축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iv) 니더형 압출기에 직접 연결된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회분식으로 운전하여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11.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투입구(K-F1)와 배출구(K-V1)가 장착된 니더(Kneader)형 압출기로서, 상기 배출구(K-V1)는 조절밸브를 통해 외부 또는 진공펌프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니더(Kneader)형 압출기를 이용하여,
    i) 1,3-프로판디올 및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1,3-프로판디올 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몰비가 1.1 내지 2.2가 되도록 원료투입구(K-F1)에 공급하고,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 및 첨가제를 원료 투입구(K-F1)에 공급하는 단계;
    ii)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저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iii) 니더형 압출기에 진공을 가하면서 중축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iv) 니더형 압출기에 직접 연결된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화시키는 단계;
    를 회분식으로 운전하여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80093412A 2008-09-23 2008-09-23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88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412A KR100888882B1 (ko) 2008-09-23 2008-09-23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CN200980000405.2A CN101855268B (zh) 2008-09-23 2009-04-17 聚对苯二甲酸亚丙基酯的制造方法
PCT/KR2009/002018 WO2010035931A1 (ko) 2008-09-23 2009-04-17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JP2010530944A JP2010534276A (ja) 2008-09-23 2009-04-17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412A KR100888882B1 (ko) 2008-09-23 2008-09-23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882B1 true KR100888882B1 (ko) 2009-03-17

Family

ID=4069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4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8882B1 (ko) 2008-09-23 2008-09-23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534276A (ko)
KR (1) KR100888882B1 (ko)
CN (1) CN101855268B (ko)
WO (1) WO20100359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2600A1 (en) * 2009-11-19 2011-05-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condensation with a kneader reactor
KR20220073091A (ko) * 2020-11-26 2022-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친환경 폴리에스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폴리에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9056A1 (de) * 2011-12-19 2013-06-20 Evonik Industri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n
KR101964136B1 (ko) 2016-08-11 2019-04-01 주식회사 미래에스아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용액과 표면 처리된 실리카의 혼합물로부터 습윤 마스터 배치의 제조방법
CN107400228B (zh) * 2017-07-21 2023-05-16 重庆华峰化工有限公司 一种生产聚酯多元醇的装备系统及其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909A (en) 1991-12-18 1994-08-23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Poly(1,3-propylene terephthalate)
WO2001058980A1 (en) * 2000-02-11 2001-08-1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WO2001058981A1 (en) * 2000-02-11 2001-08-1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4313A (ja) * 1983-03-22 1984-10-02 Kensaku Nakamura 樹脂ペレツト製造装置
JPH07196782A (ja) * 1993-12-28 1995-08-01 Teijin Ltd 高重合度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高重合度ポリエステル成形品の製造方法
JPH08253595A (ja) * 1995-03-17 1996-10-01 Hitachi Ltd 連続重合装置及び方法
JP3573576B2 (ja) * 1996-09-25 2004-10-06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の連続反応方法及びその装置
JP3727138B2 (ja) * 1997-06-02 2005-12-14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の連続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6277947B1 (en) * 2000-04-21 2001-08-21 Shell Oil Company Process of produc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ES2195465T3 (es) * 1999-04-22 2003-12-01 Zimmer Ag Procedimiento para producir poli(tereftalato de trimetileno) (ptt).
DE10155419B4 (de) * 2001-11-12 2005-06-16 Inventa-Fischer Gmbh & Co. K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m Polyester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005060528A (ja) * 2003-08-12 2005-03-10 Asahi Kasei Chemicals Corp 安定した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909A (en) 1991-12-18 1994-08-23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Poly(1,3-propylene terephthalate)
WO2001058980A1 (en) * 2000-02-11 2001-08-1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WO2001058981A1 (en) * 2000-02-11 2001-08-1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2600A1 (en) * 2009-11-19 2011-05-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condensation with a kneader reactor
KR20220073091A (ko) * 2020-11-26 2022-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친환경 폴리에스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폴리에스터
KR102552242B1 (ko) * 2020-11-26 2023-07-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친환경 폴리에스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폴리에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5268A (zh) 2010-10-06
JP2010534276A (ja) 2010-11-04
CN101855268B (zh) 2014-01-15
WO2010035931A1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882B1 (ko)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292201B1 (ko) 폴리젖산의 제조 방법
KR101716380B1 (ko)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US3438942A (en) Continuous polyester process
CN102558528B (zh) 生产聚乳酸类材料的装置和方法
JPWO2003027166A1 (ja) ポリ(エチレン芳香族ジカルボキシレート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及び樹脂製品
CN114057996A (zh) 一种对苯二甲酸基聚酯的高效合成方法
CN111423570B (zh) 一种连续化生产可降解聚酯的工艺方法及装置
JP2009242444A (ja) ポリ乳酸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
CN100395275C (zh) 一种在双螺杆挤出机上制备高分子量聚乳酸的方法
KR100716666B1 (ko) 폴리머의 분자량 제어방법
JP5079226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
JP2004323837A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
CN107955141B (zh) 聚对苯二甲酸丙二醇酯组合物的制备方法
WO2005108462A1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方法
JP2010077350A (ja) ポリ乳酸系樹脂の製造方法
CN113004505B (zh) 一种常压阳离子易染聚酯切片的工业化连续式制造方法
CN100334127C (zh) 聚对苯二甲酸丙二醇酯组合物及其制造方法
JP4725027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
JP4591187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方法
JP4725029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
CN212640345U (zh) 一种连续化生产可降解聚酯的装置
CN110606942A (zh) 聚对苯二甲酸环己烷二甲醇酯的工业制备方法
JP7559786B2 (ja) ジブチレングリコール共重合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コンパウンド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525411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ペ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1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