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338B1 -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1338B1 KR100871338B1 KR1020060024609A KR20060024609A KR100871338B1 KR 100871338 B1 KR100871338 B1 KR 100871338B1 KR 1020060024609 A KR1020060024609 A KR 1020060024609A KR 20060024609 A KR20060024609 A KR 20060024609A KR 100871338 B1 KR100871338 B1 KR 1008713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nction
- relay
- relay station
- station
- mess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이동 단말기(130)는 상기 셀 1(100)과 상기 셀 2(150)의 경계 영역인 핸드오버(hand-over) 영역에 존재한다. 만일, 상기 이동 단말기(130)가 상기 기지국 1(11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셀 2(150)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30)의 서빙 기지국(serving BS)은 상기 기지국 1(110)에서 상기 기지국 2(140)로 변경된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통신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전체 무선망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키고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간 채널 상태가 열악한 경우,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상기 중계국을 이용한 중계 링크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간 송수신되는 신호를 중계하여 더욱 우수한 무선 채널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셀 1(200)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들(211, 213)과 상기 중계국 1(220)은 상기 기지국 1(210)과 직접 통신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중계국 1(220)의 영역(230)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들(221, 223)은 상기 중계국 1(220)을 통해 상기 기지국 1(210)과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중계국 1(220)은 상기 이동 단말기들(221, 223)과 상기 기지국 1(210) 간 송수신되는 신호를 중계한다.
상기 기지국(310)은 상기 셀(300)을 관장하며, 상기 셀(300) 영역에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들(311, 313, 321, 323, 331, 333)과 상기 중계국들(320, 330)은 상기 기지국(310)과 직접 통신을 수행한다.
먼저, 중계국 1(403)은 상기 기지국(401)과 직접 통신은 가능하지만, 건물 등에 의해 신호 간섭을 받거나 상기 기지국(401)의 서비스 영역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한 단말의 데이터 전송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필드(bit) | 내 용 |
1 | 프리앰블 생성/전송기능 |
1 | 단말 레인징 처리 기능 |
1 | CID 자체 할당기능 |
1 | 주변 기지국정보 광고메시지 재생성, 송신 기능 |
1 | 주변 기지국 정보 획득, 주변 기지국정보 리스트 관리기능 |
1 | 2홉 이상의 다중 홉 라우팅 지원기능 |
1 | 단말 등록요청 처리기능 |
1 | 중계국 등록요청 처리기능 |
1 | 단말 핸드오버 지원기능 |
1 | 중계국 핸드오버 지원기능 |
1 |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지원기능 |
1 |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지원기능 |
1 | 중계국 이동성 지원기능 |
1 | 서비스지역 특성 표시(예 :옥내, 옥외) |
1 | HARQ 지원가능 |
1 | Band AMC 지원가능 |
또한, 상기 CID 자체 할당 필드는 상기 중계국에서 CID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지원 여부(1비트) | 중계국 타입(2비트) | |
0 혹은 1 | 00 | 타입 1 |
01 | 타입 2 | |
10 | 타입 3 | |
11 | 타입 4 |
상기 기지국(501)은 상기 확인한 상기 중계국(500)의 지원가능한 기능과 상기 중계국(500)의 위치 및 목적을 고려하여 상기 중계국(500)이 지원할 중계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중계국(500)으로 전송한다(517단계). 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중계국(500)의 중계 서비스 수행 여부와 수행할 중계 서비스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상기 <표 1> 또는 <표 2>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지국(501)은 상기 <표 1>과 같이 상기 중계국(500)의 각 기능들의 필드를 형성하여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501)은 상기 <표 2>와 같이 상기 중계국(500)과 기지국(501) 사이의 약속에 따라 특정 조합의 사용 유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F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RF처리부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무선 자원(air) 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상기 RF처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연산 및 채널 디코딩하여 원래의 정보데이터를 제어부(601)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는 상기 제어부(601)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채널코딩 및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하여 상기 RF처리부로 제공한다.
상기 RF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RF처리부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무선 자원(air) 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상기 RF처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연산 및 채널 디코딩하여 원래의 정보데이터(트래픽 혹은 제어메시지)를 제어부(801)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상기 제어부(601)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데이터를 채널코딩 및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하여 상기 RF처리부로 제공한다.
Claims (22)
-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중계 서비스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상기 중계국이 지원가능한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구성하여 서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상기 서빙국은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1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국의 지원가능한 기능을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서빙국은 상기 중계국의 지원가능한 기능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중계국이 수행할 중계 서비스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2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 서비스 정보에 따라 중계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메시지와 제 2 메시지는, 프리앰블 생성/전송 기능, 단말 레인징(Ranging) 처리기능, 연결 식별자(CID : Connection Identifier) 자체 할당기능, 주변 기지국정보 광고메시지 재생성 및 송신 기능, 주변기지국 정보 획득 및 주변기지국 정보 리스트 관리기능, 2홉 이상의 다중홉 라우팅 지원기능, 단말 등록요청 처리기능, 중계국 등록요청 처리기능, 단말 핸드오버(Hand-over) 지원기능, 중계국 핸드오버 지원기능,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지원기능,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지원기능, 중계국 이동성 지원기능, 서비스 지역 특성 표시 기능,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지원기능, 대역(Band)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지원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는 필드들로 구성되거나,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중계국이 수행할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는 필드들로 구성되거나,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중계국은 상기 서빙국과의 시스템 동기를 획득하고, 초기 레인징(Ranging)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상기 중계국은 초기 레인징 후 상기 서빙국으로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서빙국은,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상위 중계국(Relay statio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 장치에 있어서,지원가능한 중계 서비스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서빙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중계 서비스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에서 지원할 중계 서비스를 확인하는 메시지 처리부와,상기 제 1 메시지를 상기 서빙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서빙국으로부터 수신받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메시지와 제 2 메시지는, 프리앰블 생성/전송 기능, 단말 레인징(Ranging) 처리기능, 연결 식별자(CID : Connection Identifier) 자체 할당기능, 주변 기지국정보 광고메시지 재생성 및 송신 기능, 주변기지국 정보 획득 및 주변기지국 정보 리스트 관리기능, 2홉 이상의 다중홉 라우팅 지원기능, 단말 등록요청 처리기능, 중계국 등록요청 처리기능, 단말 핸드오버(Hand-over) 지원기능, 중계국 핸드오버 지원기능,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지원기능,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지원기능, 중계국 이동성 지원기능, 서비스 지역 특성 표시 기능,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지원기능, 대역(Band)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지원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는 필드들로 상기 제 1 메시지를 구성하거나,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들로 상기 제 1 제어 메시지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중계국이 수행할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는 필드들로 구성되거나,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들로 구성되는 제 2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서빙국은,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상위 중계국(Relay statio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서빙국 장치에 있어서,중계국으로부터 수신받은 제 1 메시지에서 상기 중계국이 지원가능한 기능을 확인하는 메시지 처리부와,상기 중계국이 지원가능한 기능을 고려하여 상기 중계국이 지원할 중계 서비스를 결정하는 중계 서비스 결정부와,상기 중계국이 지원할 중계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메시지와 제 2 메시지는, 프리앰블 생성/전송 기능, 단말 레인징(Ranging) 처리기능, 연결 식별자(CID : Connection Identifier) 자체 할당기능, 주변 기지국정보 광고메시지 재생성 및 송신 기능, 주변기지국 정보 획득 및 주변기지국 정보 리스트 관리기능, 2홉 이상의 다중홉 라우팅 지원기능, 단말 등록요청 처리기능, 중계국 등록요청 처리기능, 단말 핸드오버(Hand-over) 지원기능, 중계국 핸드오버 지원기능,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지원기능,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지원기능, 중계국 이동성 지원기능, 서비스 지역 특성 표시 기능,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지원기능, 대역(Band)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지원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는 필드들로 구성되거나,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들로 구성되는 제 1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는 필드들로 상기 제 2 메시지를 구성하거나,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들로 상기 제 2 메시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서빙국은,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상위 중계국(Relay statio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다중 홉 중계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서비스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지원가능한 중계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서빙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빙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제 2 메시지에 포함된 수행할 중계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중계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계국과,상기 제 1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중계국이 지원가능한 중계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국이 수행할 중계 서비스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서빙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메시지와 제 2 메시지는, 프리앰블 생성/전송 기능, 단말 레인징(Ranging) 처리기능, 연결 식별자(CID : Connection Identifier) 자체 할당기능, 주변 기지국정보 광고메시지 재생성 및 송신 기능, 주변기지국 정보 획득 및 주변기지국 정보 리스트 관리기능, 2홉 이상의 다중홉 라우팅 지원기능, 단말 등록요청 처리기능, 중계국 등록요청 처리기능, 단말 핸드오버(Hand-over) 지원기능, 중계국 핸드오버 지원기능,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지원기능,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지원기능, 중계국 이동성 지원기능, 서비스 지역 특성 표시 기능,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지원기능, 대역(Band)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지원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지원가능 여부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중계국은,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는 필드들로 상기 제 1 메시지를 구성하거나,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들로 상기 제 1 메시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서빙국은, 상기 중계국이 수행할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는 필드들로 상기 제 2 메시지를 구성하거나, 상기 중계국이 지원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들로 상기 제 2 메시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서빙국은,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상위 중계국(Relay st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4609A KR100871338B1 (ko) | 2006-03-17 | 2006-03-17 |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US11/725,586 US20070254586A1 (en) | 2006-03-17 | 2007-03-19 | Apparatus and method for negotiating relay station (RS) func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4609A KR100871338B1 (ko) | 2006-03-17 | 2006-03-17 |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4229A KR20070094229A (ko) | 2007-09-20 |
KR100871338B1 true KR100871338B1 (ko) | 2008-12-01 |
Family
ID=3864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46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1338B1 (ko) | 2006-03-17 | 2006-03-17 |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254586A1 (ko) |
KR (1) | KR10087133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578782B (zh) * | 2006-11-14 | 2013-02-27 | 韩国电子通信研究院 | 利用移动中继站的切换方法 |
US8014336B2 (en) * | 2006-12-18 | 2011-09-06 | Nokia Corporation | Delay constrained use of automatic repeat request for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s |
KR101404677B1 (ko) * | 2007-09-03 | 2014-06-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중계기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자원을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0960416B1 (ko) * | 2007-10-29 | 2010-05-28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
KR20080011150A (ko) * | 2007-12-21 | 2008-01-31 |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응용 요구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다중 홉 다중 라디오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형성 방법 |
KR101533295B1 (ko) * | 2008-04-23 | 2015-07-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 방식을 사용하는 중계국의 네트워크 진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EP2134116A1 (en) * | 2008-06-11 | 2009-12-16 |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 Method and a device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terminal for which signals transferred between the at least one terminal and a base station have to be relayed by a relay |
WO2016153278A1 (ko) * | 2015-03-24 | 2016-09-29 | 엘지전자(주) | 블루투스를 이용한 메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US10383014B2 (en) | 2015-04-08 | 2019-08-1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support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7640A (ja) | 2003-03-28 | 2004-10-21 | Hitachi Ltd | 移動体間通信中継システム |
KR20070038657A (ko) * | 2005-10-06 | 2007-04-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 교섭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949865C2 (de) * | 1979-12-12 | 1985-04-18 | B. Braun Melsungen Ag, 3508 Melsungen | Schlauchverbindung für medizinische Geräte |
US4673161A (en) * | 1985-03-27 | 1987-06-16 | Sherwood Medical Company | Tube clamping device |
US5035399A (en) * | 1990-05-25 | 1991-07-30 | C.R. Bard, Inc. | Protective tubing clamp apparatus |
US5360407A (en) * | 1991-08-29 | 1994-11-01 | C. R. Bard, Inc. | Implantable dual access port with tactile ridge for position sensing |
US5399168A (en) * | 1991-08-29 | 1995-03-21 | C. R. Bard, Inc. | Implantable plural fluid cavity port |
US6113572A (en) * | 1995-05-24 | 2000-09-05 | C. R. Bard, Inc. | Multiple-type catheter connection systems |
US5637102A (en) * | 1995-05-24 | 1997-06-10 | C. R. Bard, Inc. | Dual-type catheter connection system |
US5624413A (en) * | 1996-02-23 | 1997-04-29 | Medical Components, Inc. | Method for inserting a multiple catheter assembly |
US5833654A (en) * | 1997-01-17 | 1998-11-10 | C. R. Bard, Inc. | Longitudinally aligned dual reservoir access port |
US6971390B1 (en) * | 2002-02-05 | 2005-12-06 | C. R. Bard, Inc. | Catheter connection and repair system |
US7988128B2 (en) * | 2003-06-04 | 2011-08-02 | Medical Components, Inc. | Sealing luer |
US7344527B2 (en) * | 2003-11-19 | 2008-03-18 | Medical Components, Inc. | Luer with integrated clamp |
US20050124970A1 (en) * | 2003-12-05 | 2005-06-09 | Medical Components, Inc. | Luer cap with antibacterial property |
US8155016B2 (en) * | 2005-11-12 | 2012-04-10 | Rockstar Bidco, LP | System and method for unbalanced relay-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
US7599341B2 (en) * | 2006-02-28 | 2009-10-06 | Motorola, Inc.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routing within a wireless multi-hop network |
-
2006
- 2006-03-17 KR KR1020060024609A patent/KR10087133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3-19 US US11/725,586 patent/US20070254586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7640A (ja) | 2003-03-28 | 2004-10-21 | Hitachi Ltd | 移動体間通信中継システム |
KR20070038657A (ko) * | 2005-10-06 | 2007-04-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 교섭 장치 및 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UWB 기반의 WPAN에서 채널 상태를 고려한 다중 홉 중계 방식의 MAC 프로토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30, no.11B, pp.792-803, 2005년 11월 |
Proc. of 1st German Workshop on Ad-Hoc Networks, 2002 D Hollos, H Karl ; A protocol extension to HiperLAN/2 to support single-relay networks, Page(s): 91-10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254586A1 (en) | 2007-11-01 |
KR20070094229A (ko) | 2007-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384784B (zh) | 由多跳躍中繼寬頻無線存取通訊系統中之中繼站所構成的廣播訊息之傳輸資訊的處理裝置及其方法 | |
KR100961743B1 (ko) |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0855225B1 (ko) |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 | |
KR100782930B1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0901373B1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연결식별자 관리 장치 및 방법 | |
KR100871338B1 (ko) |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0872421B1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최적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 지원 장치 및 방법 | |
WO200713302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link zone inform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080043464A (ko) |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 |
KR20070038657A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기능 교섭 장치 및 방법 | |
KR100891915B1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주변 노드 리스트 구성 장치 및 방법 | |
JP4990357B2 (ja) | 多重ホップ中継方式を使用する広帯域無線アクセ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間リンク領域の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 | |
CN101529751B (zh) | 用于多跳无线宽带接入通信的从帧控制头(fch)位置向前导码序列集的映射 | |
US2009030391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reamble change of relay st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 |
KR100891295B1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타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 |
KR101567896B1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화된 기지국 내 핸드오버 지원 장치 및 방법 | |
KR100974193B1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해제 처리 장치 및 방법 | |
KR20070091571A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종료 시그널 처리 장치 및 방법 | |
KR20070117407A (ko) |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 |
KR101078322B1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중계국 정보 처리 장치 및방법 | |
KR101542519B1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프리앰블 변경 처리 장치 및 방법 | |
KR20080037976A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프레임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인코딩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 |
KR20080077806A (ko)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비경쟁 방식의 레인징을 지원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 |
KR20090026011A (ko) |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으로 전용 억세스영역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4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3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