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147B1 - Copier with dust collector - Google Patents
Copier with dust coll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1147B1 KR100871147B1 KR1020070010120A KR20070010120A KR100871147B1 KR 100871147 B1 KR100871147 B1 KR 100871147B1 KR 1020070010120 A KR1020070010120 A KR 1020070010120A KR 20070010120 A KR20070010120 A KR 20070010120A KR 100871147 B1 KR100871147 B1 KR 100871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copier
- toner
- suction
- suction du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가 구비된 복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집진기가 구비된 복사기에 있어서, 상기 복사기의 내부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 수용부 설치부위에 구비되며 토너 삽입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복사기 내부의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흡입하는 다수개의 흡입파이프; 내측면에 다수개의 흡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공 외측에 상기 흡입파이프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흡입파이프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파이프 결합부와 결합된 상기 흡입파이프와 연통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사기의 토너 수용부를 개폐하는 토너 수용부 개폐도어; 상기 토너 수용부 개폐도어의 내측면에 결합된 상기 흡입파이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복사기 후방부에 위치한 전자기판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판부에 낀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후방 흡입덕트; 상기 복사기의 토너 수용부의 개폐도어와 상기 후방 흡입덕트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중앙 흡입덕트; 상기 복사기 하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 흡입덕트에서 흡입된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복사기의 일측 내부에 소형전기집진기를 구비하여 토너 분진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를 정화하도록 하여 먼지 또는 토너 분진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를 최대로 줄여 복사기의 고장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ier equipped with a dust collector, wherein, in a copier equipped with a dust collector, it is provided at a toner accommodating part moun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internal toner of the copier, and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toner insertion direction so as to remove dust or toner inside the copier. A plurality of suction pipes for sucking dust;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provid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suction pipe coupling parts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uction holes, and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ipes coupled to the suction pipe coupling parts is formed therein. A toner accommodating part opening / closing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toner accommodating part of the copier; A rear suction duct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suction pipe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toner container opening / closing door and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electromagnetic plate part located at the rear of the copier to suck dust or toner dust caught on the electromagnetic plate part; A central suction duct coupled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 closing door of the toner receiving unit of the copier and the rear suction duct; A dust collect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pier and collecting dust or toner dust sucked from the central suction duct; Bar is provided with a small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side one side of the copier to purify the toner dust and dust flowing from the outside to minimize the problems caused by dust or toner dust, etc. to reduce the failure rate of the copier It works.
복사기, 흡입부, 덕트, 집진기, 코로나방전, 전기집진기 Copier, suction part, duct, dust collector, corona dischar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Description
도 1은 공기 정화기 내의 소형전기집진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ll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an air purifier.
도 2는 복사기의 토너 수용부를 도시한 복사기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pier showing the toner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copier.
도 3은 도3의 A-A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복사기 내부의 집진기 설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installation configuration inside the copier.
도 5는 집진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or.
도 6은 집진기의 후방 흡입덕트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uction duct of the dust collector.
도 7은 집진기의 중앙 흡입덕트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ntral suction duct of the dust collector.
도 8은 집진부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ng uni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복사기 2 : 토너 수용부1: copier 2: toner container
3 : 토너3: toner
10 : 토너 수용부 개폐도어 11 : 흡입공10: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toner container 11: suction hole
12 : 파이프 결합부 13 : 배출공12: pipe coupling portion 13: discharge hole
20 : 흡입파이프 21 : 통공홀20: suction pipe 21: through hole
30 : 후방 흡입덕트 31: 후방 흡입덕트 흡입부30: rear suction duct 31: rear suction duct suction
32 : 후방 흡입덕트 배출공32: rear suction duct discharge hole
40 : 중앙 흡입덕트 41 : 수평 연결부40: center suction duct 41: horizontal connection
42 : 연통공 42 : 수직 연결부42: communication hole 42: vertical connection
50 : 집진부 51 : 흡입팬50: dust collector 51: suction fan
52 : 1차 필터 53 : 전기집진부52: primary filter 53: electrostatic precipitator
54 : 2차 필터 55 : 배출팬54: secondary filter 55: exhaust fan
본 발명은 집진기가 구비된 복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사기에 흡입되는 먼지 또는 복사기의 토너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전기집진장치에 의해 집진하여 배출함으로서 먼지로 인하여 발생되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ier having a dust collector, and to prevent dust caused by dust by collecting and discharging dust sucked into the copier or dust generated from the toner of the copier b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종래에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또는 복사기 토너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별도의 배출장치 없이 사용함으로써 이들이 복사기 내부에 축적되고, 축적된 먼지 또는 복사기의 토너분진에 의해 복사기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된다.Conventionally, by us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or foreign matter generated from the copier toner without a separate discharge device, they accumulate inside the copier, and the copier malfunction frequently occurs due to accumulated dust or toner dust of the copier.
또한, 복사용지에서 부유되는 해로운 종이의 미세 분진이나 복사기 토너의 분진을 방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흡입하게 되어 건강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by leaving the fine dust of the harmful paper suspended in the copy paper or the dust of the copier toner, the user to inhale it, there is a problem that impairs health.
최근 실내공기의 정화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와 관련된 제품이 다수 출시되고 있으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실내 공기 청정기 이다.Recently,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purification of indoor air, a number of related products have been released. Among them, indoor air cleaners are representative.
실내 공기 청정기의 경우 내부의 공기 중에 부유중인 이물질을 흡입하여 정화하는 수단으로 부피가 작으면서 효율적인 전기집진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indoor air purifier, a small volume and efficient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used as a means of inhaling and purifying foreign substances suspended in the air.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집진장차기 있으나 제품의 소형화에 적합한 코로나 방전의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Alth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s various kinds of dust collectors, a corona discharge method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of a product is used.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전기 집진기는 도1에서와 같이 크게 이단식 구조로 하전부(110)와 집진부(120)로 구성된다, 하전부(110)는 복수개의 접지판(111)과 상기 접지판(111)들 사이의 공간 내에 고정되는 텅스텐재질의 코로나와이어(112)로 이루어지는데, 코로나와이어(112)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0V의 전위를 가지는 접지판(111)과 코로나와이어(112) 사이에서 코로나방전이 일어나서 하전부(110)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이온화시킨다.As suc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corona discharge is composed of the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코로나라고 함은 전자가 수없이 많이 흐르는 상태를 일컫는데, 코로나방전은 공기중의 원자에서 전자를 제거(양(+)의 코로나)하거나, 추가(음(-)의 코로나)하여 부유입자를 이온화시킨다. 음의 코로나방식은 다량의 오존을 생성하기 때문에 산업용도로 주로 이용되며, 공기 정화기용으로는 양의 코로나방식이 이용된다.As is well known, corona refers to a state in which electrons flow innumerably, and corona discharge removes electrons from the atoms in the air (positive corona) or adds them (negative corona). To ionize the suspended particles. The negative corona method is mainly used for industrial purposes because i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ozone, and the positive corona method is used for an air purifier.
집진부(120)는 상호 병렬로 연결되며 또한 접지되는 복수개의 집진판(121)과 집진판(121)들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고전압판(122)으로 이루어지는데, 고전압판(122)에 전압이 인가되면 고전압판(122)과 집진판(121) 사이에 자장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자장에 의해 집진부(120)를 통과하는 이온화된 부유입자들이 집진판(121)에 포집된다.The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사기의 내부에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로 인한 복사기의 고장 또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토너 분진 또는 용지에서 발생하는 해로운 미세먼지가 사용자에게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실내에 복사기 내부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dust or toner dust inside the copier, preventing the copier failure or error due to foreign matters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d from toner dust or pa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harmful dust from being inhaled by the user an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discharged inside the copier in the room.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사기의 내부에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와 흡입된 먼지를 집진부까지 이송하기 위한 덕트가 구비되고, 흡입된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전기집진부가 구비된 복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side of the copier is provided with a suction unit for sucking dust or toner dust and a duct for transporting the sucked dust to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an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sucked dust or toner dus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hotocopi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은 집진기가 구비된 복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사기(1)의 내부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 수용부 설치부위에 구비되며 토너 삽입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복사기(1) 내부의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흡입하는 다수개의 흡입파이프(20)와, 내측면에 다수의 흡입공(11)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공 외측에 상기 흡입파이프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흡입파이프(20) 결합부(12)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파이프(20) 결합부와 결합된 상기 흡입파이프와 연통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사기(1)의 토너 수용부(2)를 개폐하는 토너 수용부 개폐도어(10)와, 상기 토너 수용부 개폐도어(10)의 내측면에 결합된 상기 흡입파이프(20)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복사기(1) 후방부에 위치한 전자기판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판부에 낀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후방 흡입덕트(30)와, 상기 복사기(1)의 토너 수용부(2)의 개폐도어(10)와 상기 후방 흡입덕트(30)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중앙 흡입덕트(40)와, 상기 복사기(1) 하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 흡입덕트(40)에서 흡입된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부(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ier equipped with a dust collector, which is provided at a toner receiving unit installation portion for accommodating internal toner of the copier (1) and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toner insertion direction to remove dust or toner dust inside the copier (1).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흡입파이프(20)는 다수개의 통공홀(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토너 수용부 개폐도어(10)와 상기 흡입파이프(20)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후방 흡입덕트(30)는 다수개의 후방 흡입덕트 흡입부(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중앙 흡입덕트(40)는 상기 토너 수용부 개폐도어(10)와 상기 후방 흡입덕트(30)의 일측면과 각각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집진부(50)는 상기 중앙 흡입덕트(40)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는 흡입팬(51)과 상기 흡입팬(51)에서 흡입된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1차적으로 걸러주기 위한 1차 필터(52)와 상기 1차 필터(52)를 통과한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집진하는 전기집진부(53)가 구비되며, 상기 전기집진부(53)의 일측 후단에 구비되는 2차 필터(54)와 상기 2차 필터(54)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집진부(5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패출팬(5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집진기를 구비한 복사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opier having a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복사기의 토너 수용부를 도시한 복사기 사시도이며, 도 3은 도3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복사기 내부의 집진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집진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집진기의 후방 흡입덕트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집진기의 중앙 흡입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집진부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pier showing the toner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copier,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or inside the copier,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or, and FIG.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uction duct of the dust collector,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ntral suction duct of the dust collector,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or.
본 발명의 집진기가 구비된 복사기는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기(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토너 수용부(2) 내부의 토너(3)에서 발생되는 토너 분진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복사기(1)의 전면부에서 복사기 토너의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흡입파이프(20)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파이프(20)는 상기 복사기(1)의 토너 수용부(2) 내부의 모든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파이프(20)의 외면에 통공홀(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파이프(20)는 상기 토너수용부(2)의 토너수용부 개폐도어(10)의 파이프 결합부(12)에 삽입되어 연결된다.The copier equipped with the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o suck the toner dust generated in the
상기 토너수용부 개폐도어(10)는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다수개의 파이프결합부(12)가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흡입파이프(20)가 다양한 위치에 삽입 고정되어 연결 가능하며, 상기 복사기(1)의 토너 수용부(2) 내부에서 부유중인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흡입공(11)이 더 추가되어 구비 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11)과 상기 흡입파이프(20)에서 흡입된 먼지 또는 토너 분진은 상기 토너수용부 개폐도어(10) 내측의 공간부에서 혼합되어 배출공(13)을 통하여 집진부(50)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toner accommodation part opening / closing
도 4 내지 도 7은 상기 복사기(1)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흡입파이프(20)가 상기 복사기(1)의 내부에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토너수용부 개폐도어(10)가 상기 흡입파이프(20)와 결합되어 복사기(1)의 전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사기(1)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전자기판부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후방 흡입덕트(30)가 구비되어 있다.4 to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또한, 상기 토너수용부 개폐도어(10)와 상기 후방흡입덕트(30)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상기 복사기(1)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집진부(50)로 혼합하여 이송하기 위한 중앙흡입덕트(40)가 상기 복사기(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집진부(50)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central suction duct for mixing and transporting the foreign material sucked from the toner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상기 후방흡입덕트(30)는 상기 복사기(1)의 전자기판의 크기에 따라 적용될 수 있도록 상기 후방흡입덕트(30)의 일측면이 다수개로 나누어져 있는 후방흡입덕트 흡입부(31)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후방 흡입덕트 흡입부(31)에서 흡입된 이물질은 상기 후방흡입덕트(30)의 일측면에서 혼합되어 후방 흡입덕트 배출공(32)을 통하여 상기 중앙흡입덕트(40)로 이동된다.The
이와 같이 상기 후방흡입덕트(30)에서 흡입된 이물질은 상기 중앙흡입덕트(40)의 수평연결부(41)에서 토너수용부 개폐도어(10)에서 흡입된 이물질과 혼합되어 상기 중앙 흡입덕트(40)의 수직연결부(43)를 거쳐 상기 복사기(1)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집진부(50)로 이동하게 된다.As such, the foreign matter sucked from the
도 8은 상기 집진부(5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집진부(50)의 일측에 상기 중앙흡입덕트(40)의 일측면과 연결 고정되며 상기 복사기(1)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팬(51)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팬(51)은 흡입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동시에 흡입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50) 내부의 전기집진부(53)로 불어넣어주는 역할을 한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상기 흡입팬(51)을 지난 이물질은 1차 필터(52)를 통과하면서 다소 부피가 큰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를 이용하여 정화하여 줌으로써 1차 필터(52)의 일측 후방에 구비되는 전기집진부(53)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The foreign matter passing through the
상기 1차 필터(52)를 통과한 이물질은 전기집진부(53)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전기집진부(53)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나 본원 발명에서는 소형 전기집진장치에 적합한 코로나방전 방식을 이용하고, 상기 전기 집진부(53)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코로나방전의 형식과 같이 하전부(110)와 집진부(120)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전부(110)는 복수개의 알루미늄 재질의 접지판(111)과 상기한 접지판(111) 사이의 공간내에 텅스텐 재질의 코로나와이어(112)가 설치 구성된다.The foreign matter passing through the
또한, 상기 집진부(120)는 알루미늄 재질의 복수개의 집진판(121)과 상기 집진판(121)의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고전압판(122)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상기에서와 같이 전기집진부(53)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전기집진부(53)의 일측 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배출팬(55)에 의해 2차 필터(54)를 거쳐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parted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mplementation will be possibl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가 구비된 복사기에 있어서, 실내 내부의 공기 중에 부유되어 있는 이물질과 복사기 토너에서 발생되는 토너분진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py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due to the foreign matter suspended in the air inside the room and the failure caused by the toner dust generated in the copying toner.
또한, 복사 용지 또는 토너에서 발생되는 인체에 해로운 이물질을 복사기 외부로 분산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복사기 주변이나 실내 공기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복사기의 사용자가 인체에 해로운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from copy paper or toner from being distribu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pier, it is possible to always keep the surrounding air or the indoor air pleasant, and to prevent the user of the copier from inhal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0120A KR100871147B1 (en) | 2007-01-31 | 2007-01-31 | Copier with dust coll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0120A KR100871147B1 (en) | 2007-01-31 | 2007-01-31 | Copier with dust coll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1803A KR20080071803A (en) | 2008-08-05 |
KR100871147B1 true KR100871147B1 (en) | 2008-12-05 |
Family
ID=3988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0120A Active KR100871147B1 (en) | 2007-01-31 | 2007-01-31 | Copier with dust coll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114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0013100A1 (en) * | 2009-11-06 | 2011-05-12 | Christian Maass | Feinstaubabsaugeeinrichtung |
KR102242802B1 (en) | 2020-11-10 | 2021-04-21 | 자이온솔루션 주식회사 | Copier filt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05612A (en) | 1998-04-23 | 1999-11-05 | Ricoh Co Ltd | Ozone and powder dust proces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device |
JP2004045573A (en) | 2002-07-09 | 2004-02-12 | Canon Inc | Image forming apparatus |
KR20060014313A (en) * | 2004-08-10 | 2006-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ust collecting means |
JP2006235433A (en) | 2005-02-28 | 2006-09-07 | Kyocera Mita Corp | Image forming apparatus |
-
2007
- 2007-01-31 KR KR1020070010120A patent/KR1008711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05612A (en) | 1998-04-23 | 1999-11-05 | Ricoh Co Ltd | Ozone and powder dust proces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device |
JP2004045573A (en) | 2002-07-09 | 2004-02-12 | Canon Inc | Image forming apparatus |
KR20060014313A (en) * | 2004-08-10 | 2006-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ust collecting means |
JP2006235433A (en) | 2005-02-28 | 2006-09-07 | Kyocera Mita Corp | Image form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1803A (en) | 2008-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52096B2 (en) | Cleaning and/or filtering apparatus | |
US7534279B2 (en) |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 |
JP3547447B2 (en) | Vacuum cleaner and filter assembly therefor | |
WO2020138929A1 (en) | Dust container and cleaner including | |
US6361589B1 (en) | Device for air cleaning | |
WO2020244321A1 (en) | Air handling assembly and cleaning device having same | |
EP1707096A2 (en) |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 |
US20070144117A1 (en) | Cyclone air purifier | |
EP2915473B1 (en) | Dust collecting device | |
CN102164677A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ir purification efficiency | |
KR20150045068A (en) |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cyclone structure | |
EP1892044B1 (en) | Electrostatic precipitator | |
TWI658241B (en) | Improved ion filtration air cleaner | |
KR100541384B1 (en) | Centrifugal Air Purifier | |
KR100871147B1 (en) | Copier with dust collector | |
CN101500713B (en) | Cleaning and /or filtering apparatus | |
CN109692527B (en) | Cyclone dust removal pipe and dust removal filtration equipment | |
JP4983566B2 (en) | Clean air production equipment | |
WO2012077887A1 (en) | Air filter for use in non-motorized, cyclone-type systems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s | |
KR20160111055A (en) | Air cleaner by using plasma | |
KR102026565B1 (en) | air cleaner | |
KR102087561B1 (en) | Air purifier | |
JP2000042326A (en) | Air purifier | |
CN218684103U (en) | Double-cavity type dust cup structure | |
CN212415620U (en) | Dust collecting box of self-moving cleaning device and self-moving cleaning device with dust collecting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