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403B1 - Distribution electricity with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of overhead wires - Google Patents
Distribution electricity with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of overhead wir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7403B1 KR100877403B1 KR1020080039542A KR20080039542A KR100877403B1 KR 100877403 B1 KR100877403 B1 KR 100877403B1 KR 1020080039542 A KR1020080039542 A KR 1020080039542A KR 20080039542 A KR20080039542 A KR 20080039542A KR 100877403 B1 KR100877403 B1 KR 1008774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input
- case
- output
- in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25—Light-emitting indic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 인입전선(Li)이 인입되는 하우징(100)과, 입력전선(Ci)이 삽입되는 입구(211)와 출력전선(Co)이 삽입되는 출구(212)를 갖춘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에 내설되고 입·출구(211,212)를 관통삽입하는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입·출력단자(22ㅋ1,222)를 구비한 차단회로(220)를 갖추되, 입·출구(211,212)의 후방에 위치한 케이스(210)의 일면이 개구되도록 배치되는 너트부와, 개구된 일면을 폐구하면서 너트부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승강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전면에 고정배치되는 스프링(215)과, 입·출구(211,212)를 관통하는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을 가압하도록 스프링에 밀려 전방이동하고 전면이 원주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관이 형성된 가압대와, 경사관의 전면과 맞닿는 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대가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되며 경사관의 중심에 삽입되어 가압대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대와, 다수의 걸림대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해 고정되는 관통구멍을 갖추고 케이스(210)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와, 다수의 걸림대가 둘러싼 회전축대의 중심 방향으로 삽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림대와 가이드를 밀착시키는 캡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차단기(200)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어 하우징(100) 내에 탑재되고, 상기 입력전선(Ci)에 병렬연결되는 램프(310)와, 램프(310)와 직렬연결되어 램프(310)의 점멸을 제어하는 스위치(320)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확인부(300)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배선 확인이 손쉬우면서도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과 차단기(200) 간의 접속이 용이한 효과가 예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electricity improve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verhead wire, the housing 100 into which the external inlet wire (Li) is introduced, the inlet 211 and the output wire (Co) into which the input wire (Ci) is inserted A case 210 having an outlet 212 inserted therein, and an input wire Ci and an output wire Co, which are built in the case 210 and are inserted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211 and 212, respectivel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shut-off circuit 220 having output terminals 22-1, 222, and a nut part disposed so as to open one side of the case 210 positioned behind the inlet / outlet 211, 212, and a closed side of the open side.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thread of the nut, the bottom plate is moved up and down while rotating, the spring 215 fixed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he input wire Ci and the output wire Co passing through the inlets and outlets 211 and 212. The inclined tube is pushed forward by the spring to pressurize and the front side protrudes obliquely along the circumference. The formed pressure bar and a projection conta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nclined tube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plurality of hangers protruding from each other, and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inclined tube and rotatably fixed to the pressure bar. And a guid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hangers are rotatably penetrated and protruding from the case 210, and a cap inserted and detachably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hangers to closely contact the hangers and the guides.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and mounted in the housing 100, and are connected to the lamp 310 in parallel with the input wire Ci and the lamp 310 in series with the lamp 310. It consists of a switch 320 to control the flashing of the structure comprising a check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the wiring is easy to check the input wire (Ci) and output wire (Co) ) And an easy connection between the breaker 200 is exp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단기와 입·출력전선 간의 접속이 용이해지게 된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electric machine with an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for overhead wir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ribution electric machine with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for overhead wires that facilitates connection between breakers and input / output wires.
주지된 바와 같이,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는 원격지의 발전소 또는 변전소로부터 각 수용가에게로 전력을 전달하는 외부 인입전선을 인입하고 전주에 설치되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전등,전열 및 동력부하 등 각종부하에 맞게 상호 병렬연결되어 전력을 분배하는 차단기로 이루어진다.As is well known, the distribution electricity that has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of overhead wires is provided in a housing-shaped housing which receives external incoming wires for transferring electric power from remote power plants or substations to each customer and is installed in the poles. It consists of circuit breakers that distribute power by parallel connection to various loads such as electric lights, electric heat and power loads.
그리고, 상기 차단기를 통해 부하에 전력공급을 하기 위해, 인입전선으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차단회로와 연결하는 입력전선과, 차단회로를 거쳐 각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전선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load through the breaker, it is composed of an input wir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incoming wire and connects to the breaker circuit, and an output wire that supplies power to each load through the breaker circuit.
한편, 일반적으로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은 교류 전력으로서, 인입전선,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은 각각 전기가 통하는 활성선 즉 상선과, 전원의 중성극에 접 속된 중성선의 한 쌍으로 각각 구분되며, 다시 전류가 통하는 도선부와 도선부를 절연재질의 피복으로 감싸 도선부를 보호하는 피복부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the power supplied to the consumer is AC power, and the incoming wires, the input wires, and the output wires are respectively divided into active wires, ie, commercial wires, and a pair of neutral wires connected to the neutral pole of the power source. It consists of a conductive part that protects the conductive part by covering the conductive part through which the electric current flows and the conductive part by covering the insulating material.
그리고, 상기 차단기는 입력전선과 출력전선이 각각 삽입되는 입구와 출구를 갖춘 절연체의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어 입력전선과 출력전선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하는 차단회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회로는, 입구와 출구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통전 또는 단전을 시키기 위한 메인스위치와, 과전류 또는 단락 사고 발생시 전자석 또는 바이메탈방식으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통하는 전류를 차단시키는 트립부재와, 전자석 방식인 경우 출력단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코일부재를 포함하는 공지의 회로이다.The circuit breaker includes a case of an insulator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n input wire and an output wire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a breaker circuit installed in the case to control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wire and the output wire. Here, the cut-off circuit is a main switch for energizing or disconnecting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which are inserted through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in an electromagnet or bimetal manner in the event of an overcurrent or short circuit. It is a well-known circuit including a trip member which cuts off the electric current through a terminal, and a coil member for detecting an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an output terminal in the case of an electromagnet system.
일반적으로, 종래의 분배전기는,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개별적으로 접속되도록 케이스의 외부에 형성된 입구와 출구에 입력전선과 출력전선을 각각 삽입하여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과, 케이스 외부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돌출시키고 돌출된 각 단자에 입력전선과 출력전선을 개별적으로 걸어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In general, in the conventional distribution electricity, the input wire and the output wire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inlet and the outlet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so as to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ase, and fixed by bolts, There is a method of protruding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to the outside and connecting the input wire and the output wire to each protruding terminal separately.
그런데, 이러한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의 접속은 작업이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비교적 오래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nection of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with the input wire and the output wire has a problem that the work time is relatively long and the work time is relatively long.
또한,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가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되는 경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의 접속여부가 보이지 않아, 각 단자와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의 접속확인을 위해서는 출력전선에 부하를 연결해 부하의 작동을 통해 서만 접속확인이 가능해 접속확인이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re formed inside the c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nd the input wire and the output wire is not seen, so that the load on the output wire to confirm the connection between each terminal and the input wire and the output wire The connection confirmation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load by connecting the cable, so that the connection confirmation is cumbersome.
한편,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가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노출된 단자를 통해 감전 등의 안전상의 문제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ere was also a safety problem such as electric shock through the exposed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선이 편리한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tribution electricity that improve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verhead wire is easy to wir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인입전선이 인입되는 하우징과, 입력전선이 삽입되는 입구와 출력전선이 삽입되는 출구를 갖춘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고 입·출구를 관통삽입하는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차단회로를 갖추되, 입·출구의 후방에 위치한 케이스의 일면이 개구되도록 배치되는 너트부와, 개구된 일면을 폐구하면서 너트부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승강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전면에 고정배치되는 스프링과, 입·출구를 관통하는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을 가압하도록 스프링에 밀려 전방이동하고 전면이 원주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관이 형성된 가압대와, 경사관의 전면과 맞닿는 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대가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되며 경사관의 중심에 삽입되어 가압대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대와, 다수의 걸림대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해 고정되는 관통구멍을 갖추고 각이진 둘레면을 갖는 고정대와, 고정대가 회전하지 않도록 둘레면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고정대의 전후방 이동을 안내하도록 케이스에 고정되는 안내대와, 다수의 걸림대가 둘러싼 회전축대의 중심 방향으로 삽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림대와 고정대를 밀착시키는 캡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차단기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어 하우징 내에 탑재되고, 상기 입력전선에 병렬연결되는 램프와, 램프와 직렬연결되어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져 하우징에 설치되는 확인부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case having a housing into which the external inlet wire is introduced, an inlet into which the input wire is inserted, and an outlet into which the output wire is inserted, and which is built into the case and penetrates the inlet and outlet. A cut-off circuit having input and output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and output wires, the nut portion being arranged to open one side of the case located at the rear of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nut while closing the opened one side. The bottom plate is moved up and down while rotating and engaged with the negative thread, the spring is fixedly placed on the front of the bottom plate, the spring is pushed forward to pressurize the input and output wires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front is moved along the circumference. Pressing bar is formed with an inclined tube protruding obliquely, and a protrusion is formed at one end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inclined tube and the other end is a plurality o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im having a angular circumference having a rim with a rotational shaft protruding from each other and being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inclined tube to be rotatably fixed to the pressure bar, and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hangers are rotatably penetrated; The guide is fixed to the case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holder while tightly wrapp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holder does not rotate, and the cap is detachably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hangers to closely contact the holder and the holder.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and mounted in the housing, and the lamp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input wire, and the switch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lamp to control the blinking of the lamp.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입·출력전선과 차단기 간의 접속이 용이한 효과가 예상된다.This invention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and the effect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n input / output wire and a circuit breaker is easy is anticipated.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기를 이루는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케이스에 설치된 너트부, 바닥판, 스프링, 가압대, 회전축대, 가이드 및 캡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기으로 인한 입력전선의 설치 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istribution electric machine that improve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verhea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it breaker forming a distribution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nut part installed in the case , The bottom plate, the spring, the pressurizing rod, the rotating shaft, the guide and the cap showing a combined stat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input wire due to the distribution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는, 하우징(100)과, 케이스(210)와 차단회로(220)를 갖춘 차단기(200) 및 확인부(300)로 이루어진다.The distribution electricity having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verhea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하우징(100)은 함체 형상으로 다수의 차단기가 내부에서 상호 병렬연결되어 전주에 고정설치된다.The
상기 차단기(200)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에 내설되어 통전을 제어하는 차단회로(220)로 이루어진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210)는 절연재질의 함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00) 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입구(211), 출구(212), 너트부(213), 바닥판(214), 스프링(215), 가압대(216), 회전축대(217), 가이드(218) 및 캡(219)을 구비한다. 상기 입구(211) 및 출구(212)는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이 각각 관통삽입되는 한 쌍의 관 형상으로서 케이스(2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각 입구(211) 및 출구(212)는 입력전선(Ci)과 출력전선(Co) 각각 한 쌍의 활성선(Ci1,Co1)과 중성선(Ci2,Co2)이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너트부(213)는 입구(211) 및 출구(212)의 후방에 위치한 케이스(210)의 배면 일부가 원 형상으로 개구되고, 개구된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In the
상기 바닥판(214)은 개구된 일면을 폐구하는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진 밀대(214a)와, 밀대(214a)의 배면에 돌출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부(213)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케이스(2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214)은 손잡이부(214b)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The
상기 스프링(215)은 바닥판(214)의 전면에 각각 고정배치되도록 케이스(210)에 내설되어, 바닥판(214)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가압되어 압축된다.The
상기 가압대(216)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스프링(215)에 밀려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케이스(210)에 개별적으로 내설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압대(216)의 중심부에는 전면이 원주(圓周)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관(216a)이 형성되며, 경사관(216a)의 내측으로 회전축(216b)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대(216)는 한 쌍의 가압돌기(216c)를 구비하고서, 회전축(216b)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해당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의 활성선(Ci1,Co1)과 중성선(Ci2,Co2)을 각각 가압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돌기(216c)는 가압대(216)가 스프링(215)에 밀려 전방으로 이동되면, 해당 가압돌기(216c)에 의해 입구(211) 또는 출구(212)에 삽입되어진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을 해당 입구(211) 또는 출구(212)에 고정시킨다. The pressing table 216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individually installed in the
상기 회전축대(217)는 일단의 회전홈(217c)이 형성되고 외면에 경사관(216a)의 전면과 맞닿는 돌기(217a)가 형성되며 타단은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대(217b)가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되어 케이스(210)의 전면(f)에 노출되고 일단은 케이스(210)에 내설되되 회전홈(217c)이 회전축(216b)에 끼워져서 가압대(21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The
상기 가이드(218)는 다수의 걸림대(217b)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해 고정되는 원 형상의 관통구멍(218a)이 전후방으로 개구되어 걸림대(217b)가 노출되는 케이 스(210)의 전면(f)에 배치된다. The
상기 캡(219)은 상호 이격된 다수의 걸림대(217b)의 중심에 삽탈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219)이 상호 이격된 걸림대(217b) 사이에 삽입되면 걸림대(217b)가 벌어지면서 가이드(218)에 걸림대(217b)를 밀착시켜 회전축대(217)는 회전되지 않는다.The
상기 차단회로(220)는 케이스(210)에 내설되며, 입구(211)와 출구(212)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입력전선(Ci)과 출력전선(Co)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하는 공지의 회로로서, 입력전선(Ci)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입력단자(221)가 입구(211)에 하방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출력전선(Co)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자(222)는 출구(212)의 상방에 밀착되게 배치되며,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이 입구(211) 또는 출구(212)에 각각 삽입되면 해당 단자(221,222)에 접속된다. 그리고, 조작을 통해 상기 입력전선(Ci)과 출력전선(Co)의 통전을 제어하는 메인스위치(223)가 케이스(210)의 전면(f)에 노출배치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확인부(300)는 인입전선(Li)에 연결된 입력전선(Ci)의 전력공급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전선(Ci)에 병렬연결되는 램프(310)와, 램프(310)와 직렬연결되어 램프(310)의 점멸을 제어하는 스위치(420)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에 설치된다. 상기 램프(310)는 범용 소형전구이다. 상기 스위치(320)는 조작을 통해 접점(미도시)을 탈부착시켜 회로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통상의 스위치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확인부(300)는 전력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 스위치(320)의 접점이 탈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램프(310)가 소등된 상태로 배치되며, 전력공급여부의 확인시에만 스위치(320)를 조작하여 통전되어 램프(310)가 점등되면, 전력이 입력전선(Ci)으로 정상적으로 공급됨을 알 수 있다.Th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operation of the distribution electricity to improv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verhea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는, 상기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이 입구(211) 또는 출구(212)에 배치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바닥판(214)은 너트부(213)의 후방에 배치되어 스프링(215)을 전방으로 가압하지 않는 상태이고, 캡(219)은 걸림대(217b) 사이에 삽입된 상태이며, 이때 돌기(217a)는 경사관(216a)의 전면 중 상대적으로 경사가 낮은 후방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215)에 의해 가압대(216)가 전방으로 탄발지지되어, 입구(211) 및 출구(212)는 가압돌기(216c)에 의해 일정부분이 폐쇄되므로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다.4A illustrates a state before the input wire Ci or the output wire Co is disposed at the
한편, 도 4의 b는, 상기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을 입구(211) 또는 출구(212)에 배치하기 위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걸림대(217b)의 중앙에 배치된 캡(219)을 제거한 뒤 걸림대(217b)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대(217)는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돌기(217a)는 경사관(216a) 전면의 경사를 따라 전면 중 상대적으로 경사가 큰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가압대(216)를 후방으로 밀어 가압대(216)가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으로 밀리는 가압대(216)에 의해 스 프링(215)이 압축되며, 가압대(216)의 전면에 형성된 가압돌기(216c) 또한 해당 입구(211) 또는 출구(212)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해당 입·출구(211,212)가 개구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4b is for showing the input wire (Ci) or the output wire (Co) to arrange the
이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해당 입·출구(211,212)에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을 삽입한다.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4C, the input wire Ci or the output wire Co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openings and exits 211 and 212.
그 다음에,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출구(211,212)에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이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대(217b)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217a)가 경사관(216a)의 전면 중 상대적으로 경사가 낮은 후방으로 경사를 따라 이동되면, 가압대(216)를 후방으로 미는 힘이 줄어들어 압축된 스프링(215)의 탄성력으로 가압대(216)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가압돌기(216c)가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이 고정되면, 회전축대(217)가 회전되지 않도록 캡(219)을 걸림대(217b)의 중앙에 삽입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D, when the input wire Ci or the output wire Co is inserted into the inlet /
마지막으로,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이 고정되면, 손잡이부(214b)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밀대(214a)를 전방으로 가압하면 스프링(215)의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증가하여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증가한다. 그러면, 상기 가압돌기(216c)에 의해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이 해당 입구(211) 또는 출구(212)에 고정되어 각 단자(221,222)에 접속되므로, 정상상태에서는 입력전선(Ci)의 전력이 출력전선(Co)으로 전달되어 부하로 공급된다.Finally, as shown in e of FIG. 4, when the input wire Ci or the output wire Co is fixed, the
한편, 도 4는 입구(211)측의 작동만 도시하였으나, 출구(212)측의 작동도 이 와 동일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only the operation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는, 스프링(215), 가압대(216), 회전축대(217), 가이드(218) 및 캡(219)으로 구성되어, 공구 없이도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을 해당 단자(221,222)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Distribution electricity improve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verhea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는, 입구(211) 및 출구(212)에 삽입되어 입력단자(221) 및 출력단자(222)에 접속되는 다양한 두께의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을 걸림대(217b)의 회전을 통해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electricity improve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verhea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wire of various thickness is inserted into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는, 상기 케이스(210) 배면에 바닥판(214)이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215)의 탄성력이 조정가능하므로, 입구(211) 및 출구(2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의 고정력을 높여 지속적으로 일정한 힘으로 접속을 유지시키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electricity improve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verhea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는, 상기 하우 징(100)에 확인부(300)가 설치되어, 부하로의 전력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확인부(300)의 점등여부를 통해 램프(310)의 미점등시 입력전선(Ci)만 교체하면 되므로 전력복구가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예상되며 불필요한 자제의 소모가 이루어지지 않아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istribution electricity having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verhea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distribution electricity improve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verhea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기를 이루는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it breaker forming a distribution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케이스에 설치된 너트부, 바닥판, 스프링, 가압대, 회전축대, 가이드 및 캡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3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nut part, a bottom plate, a spring, a pressure bar, a rotating shaft, a guide, and a cap installed in the cas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전기를 통한 입력전선의 설치 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input wire through the distribution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Explana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100:하우징, 200:차단기,100: housing, 200: breaker,
210:케이스, 211:입구,210: case, 211: entrance,
212:출구, 213:너트부,212: exit, 213: nut part,
214:바닥판, 214a:밀대,214: bottom plate, 214a:
214b:손잡이부, 215:스프링,214b: handle part, 215: spring,
216:가압대, 216a:경사관,216: presser, 216a: inclined officer,
216b:회전축, 216c:가압돌기,216b: rotating shaft, 216c: pressing projection,
217:회전축대, 217a:돌기,217: rotating shaft, 217a: projection,
217b:걸림대, 217c:회전홈,217b: hanger, 217c: rotating groove,
218:가이드, 218a:관통구멍, 218: A guide, 218a: A through hole,
219:캡, 220:차단회로, 221:입력단자,219: cap, 220: blocking circuit, 221: input terminal,
222:출력단자, 223:메인스위치, 222: output terminal, 223: main switch,
f:케이스 전면, Li:인입전선,f: Case front, Li: lead wire,
Li1:활성선, Li2:중성선,Li1: active wire, Li2: neutral wire,
Ci:입력전선, Ci1:활성선Ci: input wire, Ci1: active wire
Ci2:중성선, Co:출력전선,Ci2: neutral wire, Co: output wire,
Co1:활성선, Co2:중성선.Co1: active line, Co2: neutral lin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9542A KR100877403B1 (en) | 2008-04-28 | 2008-04-28 | Distribution electricity with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of overhead wir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9542A KR100877403B1 (en) | 2008-04-28 | 2008-04-28 | Distribution electricity with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of overhead wir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7403B1 true KR100877403B1 (en) | 2009-01-07 |
Family
ID=4048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9542A Active KR100877403B1 (en) | 2008-04-28 | 2008-04-28 | Distribution electricity with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of overhead wir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7403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0018A (en) * | 2002-07-26 | 2004-01-31 | 대원전기 주식회사 | electric-wire-stringing clip |
KR200388334Y1 (en) | 2005-03-23 | 2005-06-30 | (주)위지트 | Watt-hour meter having circuit breaker |
KR20060026729A (en) * | 2004-09-21 | 2006-03-24 | 강재석 | Electrical wire connector |
-
2008
- 2008-04-28 KR KR1020080039542A patent/KR10087740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0018A (en) * | 2002-07-26 | 2004-01-31 | 대원전기 주식회사 | electric-wire-stringing clip |
KR20060026729A (en) * | 2004-09-21 | 2006-03-24 | 강재석 | Electrical wire connector |
KR200388334Y1 (en) | 2005-03-23 | 2005-06-30 | (주)위지트 | Watt-hour meter having circuit brea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580205B (en) |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 |
KR100877403B1 (en) | Distribution electricity with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of overhead wires | |
CN201490101U (en) | Magnetic contactors with modules and connection accessories | |
KR100875745B1 (en) | Overhead distribution switchboard | |
KR100861097B1 (en) | Switchboard for pre-distribution management of multi-family houses | |
KR100875746B1 (en) | Water distribu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s to prevent electric safety accidents | |
KR100858977B1 (en) | Distribution structure support of multi-unit housing | |
KR100867435B1 (en) | Lead wire guide for electricity supply of apartment | |
KR100861789B1 (en) | Distributor for connecting all preformed wires | |
KR100857209B1 (en) | Distributor for connecting all preformed wires | |
US9647403B2 (en) | Electric motor/generator with easily replaceable brush holder and brushes | |
CN201015147Y (en) | Connector | |
KR100864314B1 (en) | Indoor distribution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 |
KR100867437B1 (en) | Safety accident prevention wire laying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 |
KR100882790B1 (en) | Clamp-type connection device for separating low voltage cable of ground transformer | |
KR100858486B1 (en) | Distribution box for protection of switchboard | |
KR100847360B1 (en) | Wall Buried Wire Line Fixing Bracket of Apartment | |
KR20070029301A (en) | Elbow Connection Material Separator for Ground Transformer | |
CN214313070U (en) |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 | |
CN108281321B (en) | Knife gate device in front of watch | |
CN115498607A (en) | Micro-grid relay protection method and device | |
CN112786398B (en) | A dual-power permanent magnet leakage protector | |
CN209963276U (en) | Electric stove binding post structure | |
CN210517636U (en) | Wire clamping device for low-voltage power distribution cabinet | |
CN207852560U (en) | An incoming line transfer device applied to the knife switch in front of the me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05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5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06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